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후변화 정책 수립 지원을 위한 소셜 빅데이터 분석

        예림,강정은 한국환경정책학회 2019 環境政策 Vol.27 No.4

        This study investigates climate change policy demands by analyzing how people perceive and react to climate change through social media data and big data analyses. The emotions, policy demands, and topics were analyzed through paragraph embedding and topic modeling for all posts (33,185) that contain a term, “climate change”on Twitter and Naver blogs for 12 months from June 2017 to May 2018. The analysis results show that people expressed negative emotions to climate change in general, and responded instantly to extreme weather events such as heat wave and cold wave in summer and winter, and to fine dusts in spring and autumn. The keyword and topic analysis results were summarized into 53 major results, which were then reorganized into 33 policy demands. Citizens were demanding legal and institutional foundations to show the nation's strong commitment to climate change issues. Along with the implementation of existing major policies in each sector, there were high policy demands for renewable energy, disaster insurance, disaster resilience enhancement measures, consideration of vulnerable groups, the construction of safe urban spaces, international cooperation, education and publicity. 본 연구는 소셜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국민들이 기후변화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반응하는지를 분석하여기후변화 정책 수요를 파악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2017년 6월에서 2018년 5월(12개월) 동안 트위터와 네이버 블로그의 ‘기후변화’를 포함한 모든 게시글 (33,185건)을 대상으로 패러그래프 임베딩(Paragraph embedding), 토픽 모델링(Topic modeling)을 통한 정서 및 정책 수요분석, 주제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시민들은 기후변화에 대해 걱정과 근심을 포함한 부정적인 감정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름·겨울철에는 폭염, 한파 등의 이상기후에, 봄·가을에는 미세먼지에 대해 즉각적으로 반응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키워드 분석과 주제 분석 결과를 종합해 53개의 주요 결과로 정리하고 이를 33개의 정책수요로 재정리하였다. 시민들은 정부가 기후변화에 대한 강력한 의지를 표명할 수 있는 법, 제도적 기반을 요구하고 있었으며, 부문별로 기존의 주요 정책에 대한 시행과 함께 재생에너지, 기후변화를 고려한 농업기술, 재해보험, 재해 회복력 제고 방안, 취약계층 고려 정책, 안전 도시공간 구축, 국제협력, 교육홍보에 대한 정책적 수요가 높게 나타났다.

      • KCI등재

        한국판 대학생용 코로나 팬데믹 스트레스 척도(K-CPSQ) 타당화 연구

        예림(Jeong, Yerim),양수진(Yang, Sujin) 강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21 사회과학연구 Vol.60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 팬데믹으로 인한 스트레스를 측정하는 국내용 척도를 타당화 하는 것이다. 기존에 개발된 팬데믹 스트레스 척도(Kujawa et al., 2020)를 기초로 한국판 대학생용 코로나 팬데믹 스트레스 척도(K-CPSQ)를 타당화하였다. 척도 타당화를 위해 사회적 거리두기 2단계 시행 기간 동안(2021년 4월 1일부터 4월 14일) 국내 전지역의 대학생을(만 18세~26세)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온라인 설문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참여자 467명을 두 집단으로 무선할당하여, 첫 번째 집단(N=230)에서는 예비문항의 문항 분석과 탐색적 요인분석(EFA)을 실시하였고, 두 번째 집단(N=237)에서는 본 문항의 2차 문항 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CFA)을 실시하여 4요인 구조를 지닌 13문항을 최종 척도의 문항으로 선정하였다. 이후, 법칙적 망조직(Nomological network)을 활용한 구인타당도 분석 결과, 성장적 스트레스 마인드셋과 코로나 우울 간 관계를 코로나 팬데믹 스트레스가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나 척도의 구인타당도가 확보되었다. 또한, 코로나 팬데믹 스트레스가 코로나 우울과 불안, 그리고 정신적 안녕감의 하위요인인 정서적 안녕감을 유의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확인되며 척도의 준거관련타당도가 확보 되었다. 본 연구에서 타당화된 척도는 일상생활, 대인관계, 경제, 과업진행 등 여러 생활 측면에서 팬데믹으로 인한 스트레스를 측정할 뿐 아니라, 장기화되는 코로나19 상황에서 개인의 심리 사회적 적응과 정신 건강을 도모하며 심리상담과 중재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the Korean version of the COVID-19 Stress Questionnaire for college students(K-CPSQ). In the item development phase, items were constructed based on the pandemic stress scale(Pandemic Stress Questionnaire. Kujawa et al., 2020). The Study 1(N=230) and the Study 2(N=237) were completed by online survey whose ages ranged from 18 to 26. The results of exploratory and confirmtatoy analyses susgested the Corona Stress Scale could be conceptualized as four-dimensional and 13 items remained to constitute for final scale. It was validated using evidences obtained from nomological network analysis and criterion validity. As a result, enhancing stress mindset, corona blue colud mutually explain corona stress. Next, Criterion validity was supported by moderate positive associations of corona stress with corona blue, and anxiety, as well as negative associations of corona stress with emotional well-being of mental well-being.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COVID-19 Stress Questionnaire is a vaild and reliable scale to measure a corona stress about COVID-19 pandemic sitiuation. And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psychological counseling and arbitration programs for university students in order to promote individual psychological, social adaptation, and mental health in the long-term pandemic.

      • KCI등재

        국내 CSR 연구에 대한 내용분석

        예림(Chung, Ye Rim),배지은(Bae, Ji Eun)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4 社會科學硏究 Vol.30 No.1

        본 연구에서는 국내 CSR관련 석·박사 학위논문을 중심으로 국내 CSR연구의 현황과 흐름을 살펴보고 향후 CSR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00년부터 2012년 2월까지 발표된 CSR 관련 학위논문, 총 528편을 대상으로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총 10개의 분석유목, ⑴ 학위수여연도, ⑵ 학위수여교, ⑶ 연구자 학위, ⑷ 연구자 전공, ⑸ 연구주제, ⑹ 연구방법, ⑺ 조사대상자국적, ⑻ 조사대상자종류, ⑼ 공중국적, ⑽ 공중종류를 선정하여 분석하였으며, 이를 통해 연도별 CSR논문 분포와 연구자특성, 연구주제별 특성 등의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Content-analyzing the 528 dissertations published from 2000 to February 2012, this study explored in the overall flow of the CSR studies and suggested the direction of future study to compare with existing CSR research trends focused on academic papers. This research analyzed to select total of 10 analysis nomadism - ⑴ year diploma,⑵ school diploma,⑶ degree researchers,⑷ researchers studied,⑸ research topics,⑹ research methods, ⑺ participant nationality, ⑻ participant type, ⑼ public nationality, ⑽ public type - and the distribution of this paper, the researchers Annual CSR characteristics, subject characteristics, and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obtained.

      • 공공서비스디자인 개선을 위한 주민센터의 민원공간 실태조사

        예림(Jeong, Ye-Rim),최진경(Choi, Jin-Kyung),유광헌(Yoo, Gwang-Heon),한원희(Han, Won-Hee),박규령(Park, Gyu-Ryung),김주연(Kim, Ju-Yeon) 대한건축학회 2022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42 No.2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elect cases of community centers in which spatial improvement has been implemented in Seoul, and to find ways to improve point of the community center in the study area using an observational search technique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user and space as a public service design methodology. A total of 5 cases were investigated, and they directly visited the space and conducted an interview questionnaire. Problems of the spatial status were derived from the spatial domain derived from the use flow of visitors to the study site, and compared and analyzed with the improved elements in the research cases.

      • KCI등재

        소비자 네트워크의 변화 관리 문제

        예림(Yerim Chung),박선주(Sunju Park),승화(Seungwha Chung) 한국경영과학회 2014 한국경영과학회지 Vol.39 No.2

        Customer networks go through constant changes. They may expand or shrink once they are formed. In dynamic environments, it is a critical corporate challenge to identify and manage influential customer groups in a cost effective way. In this context, we apply inverse optimization theory to suggest an efficient method to manage customer networks. In this paper, we assume that there exists a subset of nodes that might have a large effect on the network and that the network can be modified via some strategic actions. Rather than making efforts to find influential nodes whenever the network changes, we focus on a subset of selective nodes and perturb as little as possible the interaction between nodes in order to make the selected nodes influential in the given network. We define the following problem based on the inverse optimization. Given a graph and a prescribed node subset, the objective is to modify the structure of the given graph so that the fixed subset of nodes becomes a minimum dominating set in the modified graph and the cost for modification is minimum under a fixed norm. We call this problem the inverse dominating set problem and investigate its computational complexity.

      • KCI등재

        쉴드 TBM 시공데이터와 지반침하 계측데이터 간 상관성 분석

        예림,남경민,김한얼,하상귀,윤지석,조재은,유한규 사단법인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2022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논문집 Vol.24 No.1

        The demand for tunnel construction is increasing as part of underground space development due to urban saturation. The shield TBM method minimizes vibration and noise and minimizes ground deformation that occurs simultaneously with excavation, and shield TBM is generally applied to tunnel construction in urban areas. The importance of urban ground settlement prediction is increasing day by day, and in the case of shield TBM construction, ground deformation is minimized, but ground settlement due to tunnel excavation inevitably occurs. Therefore, in this study, the correlation between shield TBM, which is highly applicable to urban areas, and ground settlement is analyzed to suggest the shield TBM construction factors that have a major effect on ground settlement.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between the shield TBM construction data and ground settlement measurement data collected at the actual site, and the degree of correlation was expressed as a correlation coefficient “r”. As a result, the main construction factors of shield TBM affecting ground settlement were thrust force, torque, chamber pressure, backfill pressure and muck discharg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presentation of judgment criteria for major construction data so that the ground settlement can be predicted and controlled in advance when operating the shield TBM in the future. 도심지 포화 상태로 인한 지하공간 개발의 일환으로 터널 건설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쉴드 TBM 공법은 진동과 소음을 최소화하며 굴착과 동시에 지반 변형을 최소화하는 공법으로, 국내 도심지 터널 시공은 대체로 쉴드 TBM이 적용되고 있다. 도심지 지반침하 예측의 중요성은 나날이 증가하고 있으며 쉴드 TBM 시공의 경우 지반 변형을 최소화 하지만 터널굴착에 의한 지반침하는 필연적으로 발생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심지 적용성이 높은 쉴드 TBM과 지반침하와의 상관성을 분석하여 지반침하에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쉴드 TBM 시공인자를 제시하고자 한다. 실제 현장에서 수집한 쉴드 TBM 시공데이터와 지반침하 계측데이터 간 상관관계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상관성 정도를 상관계수 “r”로 표현하였다. 그 결과 지반침하에 영향을 미치는 쉴드 TBM 주요 시공인자는 추력(Thrust force), 토크(Torque), 챔버압(Chamber pressure), 뒷채움압(Backfill pressure), 배토량(Muck discharge)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향후 쉴드 TBM 운용 시 지반침하를 사전에 예측 및 제어 할 수 있도록 주요 시공데이터에 대한 판단 기준 제시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