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목포시 문화관광자원의 개발방안

        조웅,한현운,윤영석,박이준 한국관광정보학회 2000 觀光情報硏究 Vol.-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m with a further detailed method on how to develope the cultural tourism industry of Mokpo city. The first chapter mentions the necessity of development of the cultural tourism resources and the second chapter examined the background of Mokpo city's resources. So called, this study investigates the tourism resources through the geographical place and the historic and cultural background. The third chapter deals with the identity of Mokpo's resources and the fourth chapter classifies the resources pertaining to historical relics, festival culture, food culture, popular culture and art culture. The fifth chapter provides the method on how to develope the cultural tourism resources. Particularly, we tried to make the method realistic comparing with the present Mokpo city's tourism policy. The last chapter deals with the insufficient contents in this study and further tasks which should be studied later. Thu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efficient method to develope Mokpo city's cultural tourism resources is to graft the cultural unique identity of Mokpo city itself onto Mokpo city's tourism industry.

      • KCI등재후보

        부분차등변조 방식을 이용한 협력통신 전송기법

        조웅,Cho, Woong 한국전자통신학회 2014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Vol.9 No.7

        Cooperative communication, which transmit signal via arbitrary number of relays, enhances the overall communication performance by providing virtual Multi-Input Multi-Output (MIMO) gain without imposing multiple antennal limitation in physical system. There are two representative relaying protocols, i.e., Amplify-and-Forward (AF) and Decode-and-Forward (DF), where we analyze the performance of cooperative communication by adopting DF relaying protocol applying partially differential modulation. The performance is based on symbol error rate (SER), and the effect of relay location on the performance is analyzed. We also compare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scheme with the system which uses differential modulation scheme. 중계기를 이용해서 신호를 전송하는 협력통신은 여러 개의 안테나를 사용해야하는 물리적인 시스템의 제약없이 가상 다중입출력 이득을 제공함으로서 전체적인 통신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두 개의 대표적인 중계 프로토콜로는 증폭 후 전송방식과 복조 후 전송방식이 있는데, 본 논문에서는 복조 후 전송 중계 프로토콜을 적용하여 부분적으로 차등변조 방식을 사용하는 협력통신기법의 성능에 대해 분석한다. 성능분석은 심볼오류율을 이용하여 이루어지며 중계기의 위치가 통신성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또한 제안된 부분차등변조 방식과 기존의 차등변조 방식의 성능을 비교한다.

      • KCI등재후보

        IEEE 802.11p 기반 통신시스템의 대용량 전송 성능 측정

        조웅,최현경,Cho, Woong,Choi, Hyun-Kyung 한국전자통신학회 2014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Vol.9 No.12

        IEEE 802.11p는 차량통신 시스템의 대표적인 물리계층 및 매체접근제어계층 표준이다. IEEE 802.11p를 기반으로 한 통신시스템의 일대일 통신성능은 링크접속시간, 오류율, 전송용량 (throughput), 등의 다양한 형태로 측정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IEEE 802.11p기반 통신시스템을 이용하여 대용량으로 신호 전송 시 성능을 측정한다. 일대일 통신을 포함하여 최대 32개의 통신시스템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였을 경우에 대한 성능을 측정한다. 전송방식은 브로드캐스트와 유니캐스트 두 가지 경우에 대해 고려하며, 통신시스템의 성능은 수신율 및 전송용량을 이용하여 나타낸다. IEEE 802.11p is a representative PHY/MAC layer standard in vehicular communications. The performance of IEEE 802.11p based communication systems has been measured in various criterions such as link setup time, error rate, and throughput for the case of one-to-one. In this paper, we measure the performance of IEEE 802.11p based communication systems in large capacity transmission. The performance of large capacity transmission is measured by considering the maximum 32 simultaneous transmission including one-to-one transmission. We consider two transmission schemes, i.e., broadcasting and unicasting, and the performance is represented as the receiving rate and throughput.

      • KCI등재

        차량통신시스템에서의 멀티홉 전송 방법

        조웅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2012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논문지 Vol.12 No.6

        차량통신은 정보통신기술과 차량 및 도로 기술을 결합한 대표적인 융합기술중 하나이다. 일반적으로 차량통신은 WAVE (Wireless Access in Vehicular Environments)라 일컫어지는 IEEE 802.11p 표준을 채택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차량-노변기지국간 통신 및 차량간 통신을 지원하는 IEEE 802.11p 기반 통신시스템의 멀티홉 전송방식에 대해 알아본다. 먼저 IEEE 802.11p 기반 통신시스템의 성능에 대해 간단히 살펴본 후 브로드캐스팅과 유니캐스팅의 멀티홉 전송 방식에 대해 소개한다. 제안된 방식의 성능은 실제 시스템을 구현한 후 실험을 통한 결과를 통해 알아본다. Vehicular communication is one of main convergence technologies which combine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with vehicle and road industries. In general, vehicular communication adopts IEEE 802.11p standard which is commonly referred as wireless access in vehicular environments (WAVE). In this paper, we investigate a multi-hop communication scheme for IEEE 802.11p based communication systems which support both vehicle-to-infrastructure (V2I) and vehicle-to-vehicle (V2V) communications. First, we briefly overview the performance of IEEE 802.11p based communication systems. Then, a multi-hop communication scheme is introduced for both broadcast and unicast. The performance of proposed scheme is presented via experimental measurements.

      • KCI등재

        $PRESAGE^{REU}$ 겔 선량계의 분석 및 정도 관리 도구 개발

        조웅,이재기,김현석,우홍균,Cho, Woong,Lee, Jaegi,Kim, Hyun Suk,Wu, Hong-Gyun 한국의학물리학회 2014 의학물리 Vol.25 No.4

        본 연구에서는 $PRESAGE^{REU}$ 겔을 이용하여 방사선 치료계획 시 3차원 흡수선량 분포 검증을 위한 정도 관리 소프트웨어를 개발하여 겔을 이용한 3차원 선량분석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우선 치료계획상의 3차원 흡수선량 데이터와 측정한 겔 광학밀도 데이터의 입출력 기능을 구현하였고, 변환 테이블을 이용하여 광학밀도를 흡수선량으로 변환하는 기능을 구현하였다. 겔에서 측정된 흡수선량과 치료계획상의 흡수선량 분포간의 기하학적 매칭을 위하여 3D 볼륨 데이터의 x, y, z 방향 및 회전 변환을 구현하였다. 매칭이 완료된 두 선량 분포간에 일치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3차원 감마 인덱스알고리듬을 구현하였고, 감마 통과 지도(gamma passing map) 기반의 일치도 확인 기능을 구현하였다. 광학밀도와 흡수선량간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원기둥 형태의 $PRESAGE^{REU}$ 겔을 대상으로 X-선 전산화 단층촬영기를 이용하여 CT 영상을 획득하였고, 방사선 치료계획 시스템(Eclipse, Varian, Palo Alto)을 이용하여 원반 형태의 6개의 가상 표적을 생성하여, 각각에 1 Gy에서 6 Gy까지 선량이 전달되도록 입체조형 방사선 치료계획을 수립하였다. 다음으로 광학 CT 스캐너($Vista^{TM}$, Modus Medical Devices Inc, Canada)를 이용하여 기준 투영 영상들을 획득하였고, 치료계획과 동일하게 겔에 방사선을 조사하였다. 조사2시간 후 매 2시간 간격으로 광학 CT 스캐너로 투영 영상 셋을 획득 후 3차원 광학밀도 데이터로 재구성하였다. 실린더 중심축을 따라 치료계획상의 흡수선량 프로파일과 광학밀도 프로파일을 추출하여 광학선량 대비 흡수선량 대응 테이블을 정의하였다. 이후 본 연구에서 개발한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3차원상의 선량 분포의 일치도를 평가하였다. 광학밀도와 흡수선량간에는 supra-linear 관계가 나타났으며, 광학밀도는 그 크기에 따라 24시간당 60% 전후로 감쇄하였다. 측정된 흡수선량은 중심축 부근에서는 치료계획 선량과 잘 일치하였으나, 주변부로 갈수록 크게 낮아짐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로 인하여 3D 감마 통과율은 선량 차이율과 DtoA 각각 3%/3 mm의 조건하에 70.36%로 낮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광학 CT 스캐너 내부의 오일과 $PRESAGE^{REU}$ 겔간의 굴절률이 정확하게 매칭되지 않아서 광학 스캔 시 빔이 굴절되어 부정확한 데이터를 만들어 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정도 관리소프트웨어는 3차원 겔 선량을 비교 분석하기에 유효한 것으로 평가되었으나, $PRESAGE^{REU}$ 겔로부터 정확한 흡수선량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해 겔 선량측정 과정의 많은 개선이 요구된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new software tool for 3D dose verification using $PRESAGE^{REU}$ Gel dosimeter. The tool included following functions: importing 3D doses from treatment planning systems (TPS), importing 3D optical density (OD), converting ODs to doses, 3D registration between two volumetric data by translational and rotational transformations, and evaluation with 3D gamma index. To acquire correlation between ODs and doses, CT images of a $PRESAGE^{REU}$ Gel with cylindrical shape was acquired, and a volumetric modulated arc therapy (VMAT) plan was designed to give radiation doses from 1 Gy to 6 Gy to six disk-shaped virtual targets along z-axis. After the VMAT plan was delivered to the targets, 3D OD data were reconstructed from 512 projection data from $Vista^{TM}$ optical CT scanner (Modus Medical Devices Inc, Canada) per every 2 hours after irradiation. A curve for converting ODs to doses was derived by comparing TPS dose profile to OD profile along z-axis, and the 3D OD data were converted to the absorbed doses using the curve. Supra-linearity was observed between doses and ODs, and the ODs were decayed about 60% per 24 hours depending on their magnitudes. Measured doses from the $PRESAGE^{REU}$ Gel were well agreed with the TPS doses at central region, but large under-doses were observed at peripheral region at the cylindrical geometry. Gamma passing rate for 3D doses was 70.36% under the gamma criteria of 3% of dose difference and 3 mm of distance to agreement. The low passing rate was resulted from the mismatching of the refractive index between the PRESAGE gel and oil bath in the optical CT scanner. In conclusion, the developed software was useful for 3D dose verification from PRESAGE gel dosimetry, but further improvement of the Gel dosimetry system were required.

      • KCI등재

        CDMA 기지국과 중계기의 시스템 최적화를 위한 Traffic 분석 기법

        조웅,진용옥,Jo, Ung,Chin, Yong-Ohk 한국통신학회 2002 韓國通信學會論文誌 Vol.27 No.4C

        본 논문은 CDMA 이동전화 기지국에서 처리되는 이동전화 Traffic을 과학적이고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BTS(Base Station Transceiver Subsystem)와 중계기의 통화량을 정확하게 예측함으로써 무선망 엔지니어링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한 연구이다. 중계기는 BTS와 물리적으로 직접 연결되어 원격 중계 역할을 담당하는 단순한 기능을 가지고 있고, 중계기에 유입되는 Traffic을 계산 할 수 없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기지국 Traffic은 BTS와 중계기 Traffic이 혼합된 통계 데이터를 의미한다. BTS와 중계기의 Traffic을 구분하기 위해서 기지국과 이동국 사이의 통화거리 분포 측정이 가능하도록 제안된 RTD(Round Trip Delay)를 활용하여 Traffic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BTS를 기준으로 BTS와 이동국이 직접 통화하는 경우보다, BTS에서 일정거리에 있는 중계기를 통해서 이동국과 통화로를 구성하는 경우에 상당한 호(call) 지연이 발생하교 BTS와 중계기 사이의 이격 거리에 따라 시간지연이 커지는 현상에 착안하였다. 이러한 근거를 바탕으로 중계기에 임의의 Time Delay를 설치 실험한 결과 Traffic 구분이 불가능하던 중계기 Traffic이 일정한 시간 지연상태로 BTS에 유입되어 99.78%가 구분되었다. This article is written to make a foundation for effective radio network engineering by enabling the accurate traffic assumption between Base Station (BTS : Base Station Transceiver Subsystem) md Repeater through the scientific and systematic analysis of mobile traffic dealt within CDMA Base Station. Among these, Repeater, having direct physical connection with BTS, simply does the remote relay function but the volume of the traffic flowed into the repeater is not accountable. The total BTS traffic is the sum of traffic dealt by the BTS and multiple Repeaters. In this article, we tried traffic analysis of this kind by adopting RTD (Round Trip Delay) which is specially designed to measure distribution of the distance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the Mobile station by differentiating the traffic dealt by BTS from traffic dealt by Repeaters. The fact that the connection between mobile station and BTS via Repeater (which is located remotely) yields far more delay than the direct connection between mobile station and BTS is the clue of this article. Based on this fact, Time Delay equipment was put at the receiving side of the Repeater to add certain amount of delay to the traffic to BTS and the result showed that the 99.78% of the traffic can be identified.

      • KCI등재후보

        WAVE 핸드오버상에서 수신 신호 세기의 이용

        조웅 한국전자통신학회 2012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Vol.7 No.6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RSSI) represents the strength of the received signal at the front end of analog-to-digital convertor (ADC) input. RSSI value can be used for deciding the status of channel at the receiver. In this paper, the usage of RSSI in handover is studied using the practical measurement data. We first measure RSSI in 5.9GHz frequency band which is commonly used in wireless access in vehicular environments (WAVE) system. i.e., vehicular communications. Then, to implement a fast handover, the usability of RSSI data is analyzed based on the measured data. We also apply handover in practical highway environments. 수신 신호 세기 (RSSI: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입력단에서 수신신호의 세기를 나타낸다. 통신시스템에서 수신 신호 세기는 수신단에서 채널의 상태를 결정하는데 사용된다. 본 논문에서는 핸드오버상에서 실측값을 바탕으로 한 수신 신호 세기의 이용에 대해 알아본다. 먼저 WAVE (Wireless Access in Vehicular Environments)라 일컫어지는 차량통신을 위한 5.9GHz 주파수대에서 RSSI값을측정한다. 측정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하여 빠른 핸드오버 방식 적용을 위한 수신 신호 세기의 이용에 대해 논의하고, 실제 고속도로 환경에서 RSSI를 이용하여 핸드오버를 적용한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