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과학 교과서 삽화 이해 과정에서 나타나는 교사와 학생의 안구 운동의 차이

        신동훈,최현동 韓國生物敎育學會 2013 생물교육 Vol.41 No.2

        1. 삽화의 관심 영역에 대한 진입 시간과 시선 흐름 삽화의 관심 영역별 진입시간을 토대로 시선 흐름을 나타내면 <표 4>와 같다. 진입 시간은 관심 영역에 처음으로 응시가 일어난 시간의 평균값을 의미한다(SMI, 2011b). 진입 시간을 기준으로 시선 흐름을 분석한 결과, 교사들은 각 삽화의 관심 영역을 모두 응시하였으나, 학생 S2와 S3의 경우에는 삽화의 제목을 응시하지 않았고, S3은 화살표에 대해 응시한 경우가 나타나지 않았다. T1은 그림→제목→언어→화살표의 순서로 응시하였고, T2는 그림→언어→화살표→제목 순서로 응시하였으며, T3은 그림→언어→화살표→제목 순서로 응시하였다. S1은 그림→화살표→언어→제목의 순서로 응시하였고, S2는 그림→화살표→언어 순서로 응시하였으며, S3은 그림→언어 순서로 응시하였다. <표 4>의 내용을 요약해 보면, 교사들은 삽화의 관심 영역 중 그림 영역에 대한 진입 시간이 공통적으로 가장 빨랐으며, 다음으로 언어 영역에 대한 진입 시간이 빨랐다. 학생들도 삽화의 관심 영역 중 그림에 대한 진입 시간이 공통적으로 가장 빨랐으나, 다음으로 화살표에 대한 진입 시간이 빨랐다(화살표를 응시하지 않은 S3 제외). 삽화의 관심 영역 중 제목과 언어를 언어적 정보로, 그림과 화살표를 시각적 정보로 간주할 경우, 교사들은 시각적 정보와 언어적 정보 모두에 대하여 진입 시간과 시선 흐름이 영향을 미치고 있으나, 학생들은 시각적 정보가 언어적 정보보다 진입 시간과 시선의 흐름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Parasuraman(2000)의 인간의 시선 이동 연구 결과에 따르면, 화면상 좌우에 따른 탐색에선 텍스트일 경우 좌측이 첫 번째로 탐색되고, 그래픽 정보일 경우 중앙부가 가장 먼저 탐색되며, 화면상 높이에 따른 탐색에서 텍스트일 경우 화면의 위쪽이 첫 번째로 탐색되고, 그래픽 정보일 경우 중앙부가 가장 먼저 탐색된다는 사실을 밝혀졌다. 이 연구에서 제시된 삽화의 경우, 시각적 정보(그림과 화살표)와 언어적 정보(제목과 언어)가 혼재되어 있으나, Parasuraman의 시선 이동 연구 결과와 마찬가지의 패턴을 보여준다. 즉, 교사와 학생들은 모두 삽화의 가운데에 나타난 그림 영역을 먼저 탐색하였고, 이후 우측의 언어와 화살표, 그리고 하단의 제목 영역이 탐색되는 양상이었다. 인간이 무엇을 보고자 하는 행위를 할 때는 크게 두 가지 원인에 의해 행위가 이루어진다(김규정 등, 2011). 즉, 주위 자극에 의해 시선 주의가 유발되는 탐사적 탐색과 지각자 본인에 의해 유발되는 목적지향적 탐색이다. 탐사적 탐색은 주의를 유발시키는 자극들에 영향을 받는다. 크기, 색, 위치, 특이함, 움직임 등의 자극들을 에로 들 수 있다. 반면에 목적지향적 탐색은 인지 구성 요소가 자극에 대한 선택적 주의를 결정한다. 여기에서 인지 구성 요소는 신념이나 지식, 동기, 기대, 관여, 목적 등이 될 수 있다고 밝혀졌다(김지호 등, 2006). 이 연구에서 피험자들의 영역 진입 시간과 시선 흐름을 살펴볼 때, T1만이 목적 지향적 탐색을 하였으며, 나머지 교사들과 학생들은 탐사적 탐색을 한 것으로 여겨진다. 왜냐하면, T1은 삽화의 제목을 먼저 찾는 시선 흐름을 나타냈기 때문이다. 최현동과 신동훈(2012)의 표에 대한 안구 운동 추적 연구에 따르면, 제목은 전체 내용에 대한 단서를 찾는 중요한 인지작용으로 목적 지향적 탐색을 한다는 근거가 된다. 그들은 연구에서 목적 지향적 탐색은 효율적인 검색과 인지적 부담을 적게 한다고 주장하였다. T1을 제외한 나머지 교사들과 학생들은 제목에 대한 진입 시간이 다른 요소보다 가장 늦었으며, S2와 S3은 제목에 대한 시선 이동이 나타나지 않았다. 하지만 같은 탐사적 탐색을 하더라도 교사들은 시각적 정보와 언어적 정보를 모두 살피는 시선 흐름이 나타난 반면에, 학생들은 시각적 정보에 더욱 주목하고 있었다. 따라서 교사와 학생이 삽화를 이해하는 과정에서 차이가 나타나고 있는데, 그 차이를 목적지향적 탐색과 탐사적 탐색으로 구분할 수는 없다. 다만 삽화 이해 과정에는 인지 발달과 같은 연속적인 탐색이 존재한다고 설명할 수는 있을 것이다. 즉, 인지적 효율성이 뛰어난 목적 지향적 교사 T1을 상위에 두고, 탐사적 탐색인 교사 T2, T3을 다음에 두고, 학생 S1, S2, S3의 순서적 발달을 생각하여 볼 수 있다. 왜냐하면 학생들은 같은 탐사적 탐색을 한 교사들보다 일부 항목에 관심을 두며, 삽화에 기록된 특이함 등을 강조하는 눈에 띄는 요소들을 찾아가는 시선 이동을 하였기 때문이다. 또, 학생들 사이에서도 일부 영역에서 시선 이동의 차이를 나타냈기 때문이다. 2. 삽화의 관심 영역에 대한 응시 시간, 응시점 수, 평균 응시율 <표 5>에는 삽화의 관심 영역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응시 시간, 응시점 수, 평균 응시율이 나타나 있다. <표 5>를 살펴보면, 교사와 학생들은 모두 그림 영역에 대한 응시 시간과 응시점의 수가 다른 영역의 응시 시간이나 응시점의 수보다 월등하게 많았으며, 다음으로 언어 영역을 많이 응시하였다. 그러나 제목과 화살표를 응시하는 측면에서는 개별적인 차이를 나타냈는데, 교사들과 학생 S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differences in eye movements between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students shown during the process of understanding textbook illustrations. The subjects for the research consisted of three students and three teachers. Eye-tracker was used in order to collect eye movement data. Results were as follows. There were common eye movements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at the center of textbook illustrations at first, and they were mostly interested in picture area. But there were different eye movements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in eye path when interacting with picture area and language area. Students processed cognitive information with low-level visual features and focused on picture area. However, teachers were interested in information process that various areas interacted actively. This implies that textbook illustrations should emphasize picture area that students easily read and analyze.

      • 십이지장 벽내 혈종 1예

        신동훈 고신대학교(의대) 고신대학교 의과대학 학술지 2006 고신대학교 의과대학 학술지 Vol.21 No.1

        Intramural duodenal hematoma is an uncommon cause of intestinal obstruction. Most often the hematoma develops after blunt abdominal trauma and less it is due to pancreatic disease and other disease. The diagnosis is usually made with radiologic studies or endoscopy or at the time of surgery. Once the diagnosis is established, conservative management consisting of intravenous alimentation, fluid electrolyte replacement,nasogastric suctioning and correction of coagulation defects is recommended, A number of patients still require a delayed surgical procedure, most commonly a simple evacuation of the hematoma or a gastrojejunostomy. This case is an intramural duodenal hematoma due to trauma which was treated with bypass gastrojejunostomy operation.

      • KCI등재
      • KCI등재

        『訓蒙字會』의 시대 - 위로부터의 사회 更張 및 상호 문물을 향한 손짓 -

        신동훈 진단학회 2023 진단학보 Vol.- No.140

        Although Yeonsangun was dethroned and King Jungjong ascended the throne due to the rebellion, the social atmosphere that prioritized protection was not easily improved during the reign of Yeonsangun. To overcome this situation, the expansion of primary education and the improvement of the education system focusing on 『So-hak(小學)』 education were discussed. However, the plan to expand elementary education was withdrawn due to the bizarre socialization, and social ethics education centered on campaigns was implemented. Choi Se-jin's 『Hunmongjahoe』 was published along with other books he translated and compiled as an extension of social ethics education. On the other hand, the relationship between Chosun and Ming in the 16th century developed into a comprehensive partnership with military cooperation and cultural exchange. The development of economic ties between the two countries has led to an increase in people-to-people contacts. These changes appeared socially as an increase in Chinese demand centered on practical conversation and a decrease in Chinese learning among high official politically. The contact between the people of the two countries was accompanied by the exchange of cultures between the two countries, especially in the Liaodong[遼東] area, the people of Joseon and the culture of Joseon were having an impact. The inclusion of content for learning Chinese in Choi Se-jin's 『Hunmongjahoe』 was a response to the demand for Chinese. 반정으로 연산군이 폐위되고 중종이 즉위했지만, 연산군 대에 조성된 보신 우선의 사회 분위기는 쉽게 개선되지 되지 않았다. 이러한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동몽까지의 교육 대상 확대 및 『소학』 교육을 중점으로 하는 교육 체계 개선이 논의되었다. 그러나 기묘사화로 인하여 동몽 교육 확대안은 철회되었고, 홍보(campaign) 위주의 사회 윤리 교육이 시행되었다. 최세진의 『훈몽자회』는 그가 번역⋅편찬한 다른 책들과 함께 사회 윤리 교육의 연장선에서 간행되었다. 한편, 16세기 조⋅명 관계는 군사 협력 및 문물 교류를 함께하는 포괄적 동반자 관계로 나아갔다. 양국 간 경제적 관계의 발달은 민간 접촉의 증가로 이어졌다. 이러한 변화는 사회적으로는 실용 회화 중심의 한어 수요 증가와 정치적으론 조신들의 한어 학습 감소 현상으로 나타났다. 양국 백성들의 접촉은 양국 문화 교류를 수반했는데, 특히 요동 지역을 중심으로 조선인과 조선 문화가 영향을 끼치고 있었다. 최세진의 『훈몽자회』에 한어 학습을 위한 내용이 포함된 것은 한어 수요에 대한 대응이었다.

      • KCI등재
      • KCI등재

        작성자 언어적 특성 기반 가짜 리뷰 탐지 딥러닝 모델 개발

        신동훈,신우식,김희웅 한국정보시스템학회 2022 情報시스템硏究 Vol.31 No.4

        Purpose This study aims to propose a deep learning-based fake review detection model by combining authors’ linguistic features and semantic information of reviews. Design/methodology/approach This study used 358,071 review data of Yelp to develop fake review detection model. We employed linguistic inquiry and word count (LIWC) to extract 24 linguistic features of authors. Then we used deep learning architectures such as multilayer perceptron(MLP), long short-term memory(LSTM) and transformer to learn linguistic features and semantic features for fake review detection. Findings The results of our study show that detection models using both linguistic and semantic features outperformed other models using single type of features. In addition, this study confirmed that differences in linguistic features between fake reviewer and authentic reviewer are significant. That is, we found that linguistic features complement semantic information of reviews and further enhance predictive power of fake detection model.

      • KCI등재

        생명현상에 대한 과학적 흥미의 생성 모형 개발 : 생명과학 동영상을 중심으로

        신동훈 韓國生物敎育學會 2012 생물교육 Vol.40 No.1

        The role and importance of interest in learning has long been emphasized by pedagogists and psychologist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model by analyzing the generation of scientific interest that students came to have while watching videos on life science. For this purpose, we showed life science videos to 44 university students and had them write about scenes stimulating their interest and the reasons. The videos used in the experiment were a documentary about the life of "the ant" and another documentary titled "Animals" Architecture," an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self-report survey and interview When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inductively, scientific interest was generated in three ways. First, the interest was generated by the provision of knowledge. This process had two sub-processes, the provision of new knowledge and the expansion of existing knowledge. Many students reported that their interest was generated when they came to know something unknown to them. Second, the interest was generated by the method of knowledge provision. In other words, the level of interest generated was different according to how the contents of video were presented. That is, interest was stimulated strongly when computer graphics was used or the scene was highly realistic and when adequate background music was used. Third, the interest was generated by abductive thinking. Abductive thinking is a type of inference that explains a given unknown situation based on its similarities to other known situations. This process has sub-processes recall and sympathy through the process of personification. The generating model was developed based on the three ways of scientific interest of generation. The model was expected to be helpful to the development of interesting science learning strategies and teaching-learning materia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