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Ethylacrylate에 대한 n-Butylmercaptan의 親核性 添加反應에 關한 硏究

        동숙 梨花女子大學校 韓國生活科學硏究院 1970 韓國生活科學硏究院 論叢 Vol.5 No.-

        Ethylacrylate에 대한 n-Butylmercaptan의 添加反應速度常數를 지난번 25˚C에 이어 30˚C의 反應溫度에서 Iodometry로 측정하여 넓은 pH 범위에서 잘 맞는 속도식을 구하였다. 이 식에 의하면 pH3이하에서는 n-Butylmercaptan 분자가 첨가하며 pH7이상에서는 n-Butylmercaptide ion 이 첨가함을 알 수 있고 pH3-7사이에서 일어나는 복잡한 첨가반응 메카니즘도 이 식으로 설명될 수 있음을 알았다. The rate constants for the addition of n-Butylmercaptan to Ethylacylacrylate has been measured by iodometry over wide pH range. 1) Arate equation which can be applied over wide pH range was obtained. k_t=k’[OH] In this case k_t is given by k_(1,646×10^ ̄7×1,268×10^3[OH ̄]/1,029×10 ̄3+1,526×10^6[OH ̄]+2,188×10^5[OH ̄] 2) From this equation one may conclude that the reaction is started by addition of n-Btylmercaptan molecule below pH 3. However, above pH 7, this addition reaction is proceeded by the n-Buthylmercaptide jon. At pH 3-7, the complex addition reaction mechanism can also be revealed by this rate equation.

      • 炭素 二重結合 化合物에 대한 親核性 添加反應에 관한 硏究 : Furfuralacetone에 대한 tert-butylmercaptan의 첨가반응

        權東淑 梨花女子大學校 韓國生活科學硏究院 1981 韓國生活科學硏究院 論叢 Vol.27 No.-

        furfuralacetone에 대한 tert-butylmercaptan의 첨가반응 메카니즘을 밝히기 위하여 산성에서 겸기성에 으르는 넒은 pH 범위에 걸쳐 그 반응속도를 25˚C에서 spectrophotometry로 측정하여 첨가반응 속도상수를 구하고 실험결과와 일치하는 반응메카니즘을 밝히고 반응식을 구했다. 이 속도식으로부터 반응메카니즘이 산성쪽과 염기성 쪽이 다르다는 것을 알았으며 산성 쪽이나 염기성 쪽이나 속도상수가 pH 6.7 부근을 향해 증가하여 pH 6.70에서 극대치를 이루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염기성 쪽에 있어서 pH 12까지는 그 반응메카니즘은 보통 Michael형 반응에 따르리라는 예상과는 달리 hybroxide 이온농도에 그다지 영향을 받지 않으나 pH 12 이상에서 Michael형 반응이 일어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pH 9에서 pH 12 사이에서는 furfuralacetone의 carbonyl group의 enolization에 기인된다고 보며 산성 쪽에서의 enol from의 electron의 eleetron-attracting force보다 강하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pH 6.70에서 반응속도상수가 극대치를 나타내는 것은 산성 쪽의 반응메카니즘과 염기성쪽의 반응메카니즘이 경쟁력으로 일어나기 때문이라고 생가되며 이것은 furfural acetone의 enol form과 enolate ion의 pka를 알려주는 길 잡이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The rate-comstants of th nucleophilic addition reaction of tert-butylmercaptan to furfur-alacetone were determined by utraviolet spectrophotometry at^- the range from pH 0.6 to 14.0 and the rate equations that can be applied to the acidic and basic pH range were obtained. From those rate equations, it was shown that the mechanisms od the reaction are different between acidic and basic media. It was proposed that the addition reactions of n-butylmercaptan ot furfuralacetone in the acidic and basic media start by protonation of carbonyl group and by the enolysation of carbonyl group, respectively. The maximum rate constant near pH 6.70 should be considered as though the reactons of acidic and basic media occurred competitively at this point.

      • Furfuralacetone에 대한 propylmercaptan의 親核性 添加反應에 관한 硏究

        權東淑 梨花女子大學校 韓國生活科學硏究院 1983 韓國生活科學硏究院 論叢 Vol.31 No.-

        탄소와 탄소간에 이중결합을 가지고 있고 이 이중결합이 carbonyl기와 conjugation을 이루고 있는 Furfuralacetone에 Nucleophile인 n-propyl 및 isopropylmercaptan을 첨가시켜 친핵성 첨가반응의 반응메카니즘을 밝히기 위해서 산성에서 염기성에 이르는 넓은 pH범위(pH 0.0∼14.0)에 걸쳐 반응속도를 UV-spectrophotometer로 측정하였다. 이 측정치를 토대로 하여 산성에서 중성에 이르는 반응속도상수와 반응속도식을 구하였으며 실험식과 일치하는 반응 메카니즘을 제시하였다. 그 결과 반응메카니즘이 산성영역과 염기성영역에서 서로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산성영역과 염기성영역의 반응속도상수는 중성부근을 향하여 증가하여 pH 7.30과 7.69어서 각각 최대값을 나타내었다. 반응속도식에 의하면 아직 잘 알려져 있지 않은 산성에서의 첨가반응 메카니즘을 정량적으로 잘 설명할 수 있다. 즉 pH 5.00과 pH 5.73이하에서는 중성의 mercaptan 분자만이 첨가하며, pH가 이 이상이 되면 mercaptan 분자와 mercaptide ion이 경쟁적으로 Furfuralacetone에 첨가하게 되며 이때 hydroxide ion는 general base catalysis로서 뿐 아니라 mercaptan 분자를 더 반응성이 강한 mercaptide ion으로 변화시키는 촉매작용도 한다. 또한 염기성 영역인 pH 7.30 및 7.69 이상에서는 보통 Michael형 반응에 따르리라는 예상과는 달리 hydroxide ion 농도에 영향을 받지 않음을 볼 수 있다. 약염기성 영역에서의 이러한 현상은 furfural acetone의 carbonyl group의 enolization에 기인된다고 보여지며 산성영역에서의 enolform의 electron-attracting force에 비해 염기성 영역의 enotate anion의 electron attracting force가 약하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그러나 이 영역에서의 반응메카니즘은 본 실험에서 제안한 것 이외에도 또 다른 factor가 관여하는 복잡한 반응이 일어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되며 앞으로 더 연구되어야 할 과제라고 생각된다. pH 11.0이상에서는 〔 OH^-〕의 농도 증가에 따라 반응속도가 증가함을 볼 수 있는데 이는 Michael형 반응과 가수분해반응이 경쟁적으로 일어나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한편 n-propylmelrcaptan과 isopropylmercaptan을 비교하여 볼때 구조적인 차이는 거이 찾아 볼 수 없었다. The rate-constants of the nucleophilic addition reaction of n-propyl and isopropylmercaptan to furfuralacetone were determined by ultraviolet spectrophotometry in the range of pH 1.0-11.0 and the rate equations that can be applied to the acidic pH range were obtained. It was shown from those rate equations, that the mechanism of the reaction is different between acidic and basic media. It was proposed that the addition reactin of both propylmercaptans to furfuralacetone in the acidic and basic media starts by protonation of carbonyl group and by the enolyzation of carbonyl group, respectively. The maximum rate constant near pH 7.0 was considered as the point at which the reactions in the acidic and basic media occurred competitively.

      • 3-(2-Nitrovinyl) thiophene에 대한 ethylmercaptan의 親核性 添加反應에 관한 硏究

        權東淑 梨花女子大學校 韓國生活科學硏究院 1985 韓國生活科學硏究院 論叢 Vol.35 No.-

        3-(2-Nitrovinyl) thiophene에 친핵성 시약인 ethylmercaptan을 반응시켜 pH (0.09~11.95)와 온도(25.0~40.0˚)를 변화시키면서 반응속도를 UV spectrometer로 측정하여 반응속도상수를 구하였으며, 실험 결과와 일치하는 반응메카니즘을 밝히고 반응속도식을 유도하였다. 아울러 반응에 대한 온도의 영향을 조사하였으며 반응의 활성화에너지와 활성화엔트로피를 구하였다. 그 결과 pH 8.94이하의 용매 속에서 그의 반응 메카니즘을 잘 설명할 수 있는 반응속도식을 구하였다. 높은 pH일수록 속도상수가 크며 활성화에너지가 작고, 활성화 엔트로피가 커짐을 알 수 있었다. activation parameter에 맞는 전이상태를 예상하였고 pH가 높아질수록 반응속도가 빨라지는 이유를 충분히 설명할 수 있었다. The rate-constants of the nucleophilic addition reaction of ethylmercaptan to 3-(2-Nitrovinyl) thiophene have been determined by ultraviolet spectrophotometry at various pH range (0.09~11.95) and temperatures (25.0~40.0˚). A rate-equation has been derived from the proposed reaction mechanism. From the rate-equation, it was shown that the mechanism of the reaction consists of two parts (acidic and basic) Reaction was temperature dependent, and the values of Arrehenius activation energy and entropy of activation has been determined from Arrehenius plot. Finally, the structures of transition state are suggested from the valuses of activation energy and activation entrogy.

      • Ion 交換膜에 依한 Thorium溶液 電解濃縮의 速度論的 硏究

        權東淑,權利默,韓相準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1960 韓國文化硏究院 論叢 Vol.2 No.-

        Although the possibility of the use of ion exchange membranes for the electrolytic concentration has been known for about 10 years, little information was available for the case of thorium solution.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 factors influencing the electrolytic concentration were also kept unknown. Many studies, however, have been reported about the concentration and separation of the salts in the sea water by using several ion exchange membranes. This method has been developed to be applied for the industrial processes. This study has been undertaken to separate the thorium from monazite sand by the ion exchange membranes. Monazite is a phosphate mineral of varing compositions and it is one of the abundant minerals among the so-called atomic fuel resources which can be available in this country. In this paper, we report the kinetic studies for the concentration process of the thorium solution through membrane and propose a newly devised rate equation. 수식 Here, E and n2 are the membrane voltage and the number of moles of the salt in the concentration compartment of the cell, respectively. "n" is the sum of "n1" and "n2" "n1" is the number of moles of salt in the desalting compartment. The parameters and calculated values were summarized in table 1 and 2. The percentage of the concentration degree has variety from 70 to 97 percent. It was assumed that the concentration efficiency is not only dependent upon the temperature but also the terminal voltage, V. The activation heat for the ion exchange velocity of the membranes is found to be 4.15 kcal/mole and this value shows an good agreement with the already observed values for the ion exchange resins. The activation entropy obtained shows a fairly large negative value (-40.46 e.u.) and the negative entropy is often observed in the flow processes.

      • 식염군결정의 製法

        權東淑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화학교육 연구회 1960 化學敎育 Vol.- No.4

        이 실험의 목적은 최근에 결정내의 원자배열 X-ray 연구 자외선연구, 산화물확산과정 등등 여러 가지 방면에서 여러과학자들에 의해서 연구되어온 재료로서 사용되는 단결정 (Single crystal)을 만드는데 우선 X-ray 연구와 자외선연구를 해 볼 목적으로 NaCl(소금)의 단결정을 만든후 이것이 가능하면 동 Nickel, 코발트, 아연 등의 단결정을 만들려고 한다. 고가인 전기등을 도입하기 곤란한 실정인 우리는 저가로 그것과 같은 효과를 가져올 수 있는 전기등을 만들 수 있었고 또한 백금 도가니 대신 자기 도가니를 사용해서 단결정을 만들 수 있었다. 전기등제작에서는 무엇보다 얻어야 할 온도의 차이에 따라 Nichrom 선의 국기를 골라야 한다는 것과 성능이 좋은 백토를 사용하여야 한다. 자기 도가니 사용시는 가능한 한 많은 질이 좋은 것을 사용해야 할 것이 중요한 것이다.

      • Acetylsulfanilylamidine의 가수분해 반응 메카니즘과 그의 반응속도론적 연구

        權東淑 梨花女子大學校 韓國生活科學硏究院 1976 韓國生活科學硏究院 論叢 Vol.17 No.-

        schiff염기의 한 종류인 amidine화합물, acetylsulfanilylbenzamidine의 가수분해 반응 메카니즘을 밝히기 위하여 25℃에서 pH 0.03∼13.33의 영역에 걸친 반응속도를 자외선 분광기로 추적하였다. 산성부분(pH 0.03∼3.03)과 염기성부분(pH 9.02∼13.33)에서의 여러 pH에 대한 반응속도 상술르 결정하였으며 그 결과와 일치하는 반응 메카니즘을 밝히고 전체 반응속도식을 유도하였다. 이속도식으로부터 얻은 계산치들은 실험치들과 잘 일치하였다. 즉 산성쪽에서는 〔H^+〕의 감소에 따라, 염기성 쪽에서는 〔OH^-〕의 감소에 따라 반응속도가 급격하게 감소하여 중성에서는 반응이 매우 느려지므로 직접 반응속도를 측정할 수 없었고 다만 구해낸 전체반응 속도식을 이용하여 그 계산치를 구하였다. 본 연구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을 알수 있었다. ① 이 반응은 산-염기 촉매 반응이다. ② 산성 쪽에서는 H^+가 약간의 음전하를 띠는 이민기의 질소(imine carring nitrogen)를 protonate함으로써 반응이 시작된다. ③ 염기성 쪽에서는 OH^-가 약간의 양전하를 띠는 이민기의 탄소(imine carring carbon)를 공격함으로써 반응이 진행된다. Rate constants for the hydrolysis of acetylsulfanilyl venzamidine have been determined by ultraviolet spectrophotometry at widr pH range (0.03 to 13.99). Reaction mechanisms which are consistent with the pH dependence of the rate constants are proposed for the has been derived. This equation allows calculation of the rate constants for the neutral region, where the rate is too slow to be measured in a period of a few weeks. The proposed mechanisms shows that the hydrolysis in the acidic medium is started by protonation of the imine carrying nitrogen and that the hydrolysis in the basic medium is started when the imine carrying carbon is attacked by an hydroxide ion. Both the pH profile of the reaction constants and the proposed mechanism show that this reaction is catalyzed by acid and base.

      • SCOPUSKCI등재

        Ethylacrylate에 대한 n-Butylmercaptan의 친핵성 첨가반응에 관한 연구

        동숙,김태린,Kwon Dong-Sook,Kim Tae-Rin 대한화학회 1972 대한화학회지 Vol.16 No.4

        Ethylacrylate에 대한 n-butylmercaptan의 첨가반응속도상수를 iodometry로 측정하여 넓은 pH범위에서 잘 맞는 속도식을 구하였다. 이 식에 의하면 pH 4 이하에서는 n-butylmercaptan분자가 첨가하여 pH 7 이상에서는 n-butylmercaptide ion이 첨가함을 알 수 있고 pH 4∼7 사이에서 일어나는 복잡한 첨가반응 메카니즘도 이 식으로 잘 설명 될 수 있음을 알았다. The rate constants for the addition reaction of n-butylmercaptan to ethylacrylate have been measured by iodometry and for the proposed reaction mechanism a rate equation which can be applied over wide pH range was derived. From this rate equation, one may conclude that the reaction is started by addition of n-butylmercaptan molecule below pH 4. However, above pH 7, this addition reaction is proceeded by the n-butylmercaptide ions. At pH 4-7, the complex addition reaction mechanism can also be revealed by this rate equation.

      • Acetylsulfanilyl Acetamidine의 가수분해 반응 메카니즘에 관한 연구

        權東淑 梨花女子大學校 韓國生活科學硏究院 1974 韓國生活科學硏究院 論叢 Vol.13 No.-

        Schiff염기의 한 종류인 Amidine화합물, acetylsulfanilyl acetamidine의 가수분해 반응 메카니즘을 밝히기 위하여 25℃에서 pH 0.03∼13.33의 영역에 걸친 반응속도를 자외선분광기로 추적하였다. 산성부분(pH 0.03∼3.03)과 염기성부분(pH 9.02∼13.33)에서의 여러 pH에 대한 반응속도상수를 결정하였으며 그결과와 일치하는 반응 메카니즘을 밝히고 전체 반응속도식을 유도하였다. 이 속도식으로부터 얻은 계산치들은 실험치들과 잘 일치하였다. 산성쪽에서는 〔H^+〕의 감소에 따라, 염기성 쪽에서는 〔OH^-〕의 감소에 따라 반응 속도가 급격하게 감소하여 중성에서는 반응이 매우 느려지므로 직접 반응속도를 측정할 수 없었고 다만 구해냔 전체반응 속도식을 이용하여 그 계산치를 구하였다. 본 연구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을 알수 있었다. ① 이 반응은 산-염기 촉매 반응이다. ② 산성 쪽에서는 H^+가 약간의 음전하를 띠는 이민기의 질소 (imine carring nitrogen)를 protonate함으로써 반응이 시작된다. ③ 염기성 쪽에서는 OH^-가 약간의 양전하를 띠는 이민기의 탄소 (imine carring carbon)를 공격함으로써 반응이 진행된다. Rate constants for the hydrolysis of acetylsulfanilyl acetamidine have been determined by ultraviolet spectrophotometry at wide pH range (0.03 to 13.33). Reaction mechanisms which are consistent with the pH dependence of the rate constants are proposed for the acidic and basic regions. And a rate equation that can be applied to the whole pH range has been derived. This equation allows calculation of the rate constants for the neutral region, where the rate is too slow to be measured in a period of a few weeks. The proposed mechanism shows that the hydrolysis in the acidic medium is started by protonation of the imine carrying nitrogen and that the hydrolysis in the basic medium is started when the imine carrying carbon is attacked by an hydroxide ion. Both the pH profile of the reaction constants and the proposed mechanism shows that this reaction is catalyzed by acid and base.

      • The role of thiol groups in the setting of wool

        權東淑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1966 韓國文化硏究院 論叢 Vol.8 No.-

        毛織物의 熱處理(permanent setting) 機構에 關하여 羊毛속에 存在하는 티올基와 二硫化物間의 相互變化로 말미암아 새로운 分子配列이 容易하게 만들어진다는 것이 밝혀졌다. 熱處理하는 동안의 티올, 유화물, 이유화물들의 含量變化는 위의 事實을 잘 說明해 주고 있다. 보통 羊毛속에 存在하는 少量의 티올基로 말미암아 끓는 물에서 만도 熱處理가 可能한데 여기에다 아황산 수소 나트륨과 같은 試藥을 써서 熱處理를 하여 過量의 티올基를 만들어주면 熱處理의 速度가 훨씬 빨라진다. 反對로 유리상태의 티올基를 反應前에 어떤 適當한 試藥을 써서 파괴하면 熱處理는 大端히 妨害를 받게 된다. 熱處理의 時間을 짧게 잡았을 때는 相當量의 熱處理된 섬유가 위에서 말한 相互變化로 말미암아 處理以前狀態로 되돌아 간다. 이것을 막기위해서는 熱處理된 섬유속에 存在하는 遊離 티올基를 막거나 酸化해 주어야 漢다. 熱處理된 織物을 後處理 하는데는 架橋結合을 만드는 試藥보다 티올 방지 試藥이 더 效果的이었다. 熱處理의 除去는 티올 생성 試藥을 쓰면 빨라지고 티올-이유화물 相互變化를 억제하는 條件下에서는 지연이 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