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우리나라 논, 밭토양의 미생물상(微生物相)에 한 연구 -I. 논토양의 미생물(微生物) 분포조사(分布調査)

        유익동,윤세영,이명구,류진,Yoo, Ick-Dong,Yun, Seh-Young,Lee, Myong-Goo,Rhu, Jin-Chang 한국토양비료학회 1983 한국토양비료학회지 Vol.16 No.2

        우리나라 논토양의 미생물(微生物) 취락정도(聚落程度)를 밝히기 위하여 각(各) 도당 8개지역(個地域), 총 60개지점(個地点)의 논토양을 임의(任意)로 선정하여 미생물(微生物) 분포조사(分布調査)를 실시하였다. 또 이들 미생물(微生物) 분포정도(分布程度)와 농업기후대별 및 토양화학성, 물리성(物理性)과의 관계를 검토조사하였다. 얻어진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우리나라 논토양의 평균 미생물(微生物) 취락수(聚落數) 세균(細菌) $121.8{\times}10^5$, 방선균(放線菌) $25.5{\times}10^5$, 사상균(絲狀菌)이 $32.4{\times}10^3$으로 나타났으며 B/F, B/A 및 A/F율(率)은 각각(各各) 385, 5.1, 82정도(程度)이었다. 2. 농업기후대별 논토양 미생물(微生物) 분포정도(分布程度)는 산간권(山間圈)이 제일 낮았으며 동해안권(東海岸圈), 경기만권(京畿彎圈), 충청내륙권(忠淸內陸圈)이 비교적(比較的) 낮은 편(便)이었고 호남평야권(湖南平野圈) 및 남부권(南部圈)에서 높은 미생물(微生物) 취락수를 나타냈다. 3. 논토양 미생물(微生物) 취락정도(聚落程度)와 토양화장성 (인산(燐酸), 가리(加里), 총탄소(總炭素), 고토(苦土) 및 pH)과는 통계적(統計的)으로 유의성(有意性)있는 상관관계가 인정(認定)되었다. 4. 각(各) 토성별(土性別) 미생물(微生物) 취락정도(聚落程度)는 식토양에서 제일 높았고 그 다음이 식토(埴土), 토양 및 사토양의 순(順)으로 저하(低下)하는 경향(傾向)이었다. Sixty paddy soil samples were collected from the different Korean agricultural climatic area to find relationship between soil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soil microorganism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 1. The mean numbers of microorganisms in collected paddy soils were $121.8{\times}10^5$ in bacteria (B), $22.5{\times}10^5$ in actinomycetes (A) and $32.4{\times}10^3$ in fungi (F) per gr soil. The ratios of B/F, B/A, and A/F were 385, 5.1 and 82, respectively. 2. Number of soil microorganism was lowest in Mountainous area, lower in Eastern Coast, Gyeonggi Bay and Chungcheong Continental area, but higher in Honam Plain and Southern Part. 3. Th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ere obtained between the number of microorganisms and soil chemical properties, available phosphorous, $K^+$, $Mg^{++}$, T-C and soil pH. 4. The number of soil microorganism was in the order of Clay loamy soil > Clayey soil > Loamy soil > Sandy loamy soil.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