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시진핑(習近平) 시기 중국의 한반도 전략 패러다임 분석

        리단 사단법인 한국평화연구학회 2015 평화학연구 Vol.16 No.3

        Abstract The object of this study focuses on the circumstantial changes surrounding the unification brought about bycontinuous competition between America and China throughout the 2010s, as well as the influences on Chinese strategy and policy paradigm on the Korean Peninsula. Based on this predicament, South Korea’s and China’s initiatives toward Korean unification are also analyzed. The role of China is now changing from a dictator of international politics and economics to a designer of international law and order (policy maker). As we know, China proposed the new pattern of relationship among great powers, and is seeking to cooperate with America, while trying to seize the initiative of regional order. China also proposed the “New Asia Security Concept” which emphasizes “development,”“cooperation,” and “engagement,”with the object of changing the Asian regional order from “power-related” to “system-related.” China is now trying its best to seize the initiative of regional order by conducting active diplomacy with neighboring countries, for which it proposed a“community of destiny.” The Chinese strategy has an influence on its strategy regarding the Korean Peninsula. For instance,the existing Chinese strategy on the Korean Peninsula has been passively responded to by the establishment of Sino-American relations, and is therefore trying to link Sino-South Korean relations to Sino-North Korean relations. But now, China’s new construction of neighboring orders is changing, which will further develop by dividing diplomatic relations with South and North Korea. 이 연구는 패권국 미국과 부상하는 중국 간의 경쟁으로 한반도 통일 환경의 변화, 중국의 한반도 전략과 정책 패러다임을 분석하는데 목적을 둔다. 중국은 현존하는 국제정치경제 질서의 수용자이자 반응자(rule taker)에서 질서와 규칙의 설계자이자 제정자(rule maker)로 나서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중국은 신형대국관계를 제시하여 미국과의 협력을 추구하는 한편 지역질서 주도권 확보에 노력하고 있다. 중국은 ‘신아시아 안전관(新亞洲安全觀)’을 제시하여 ‘발전’, ‘협력’ 및 ‘포용’을 통한 ‘권력형 지역질서’를 ‘제도형 지역질서’로 전환시키려고 한다. 또한 중국은 ‘운명공동체’를 제시하여 적극적 주변국 외교를 통한 지역 주도권 확보에 전력하고 있다. 중국의 이러한 전략은 한반도 전략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기존에 중국의 한반도 전략은 중미관계의 설정에 따라서 소극적으로 대응해 왔으며, 한중관계와 북중관계를 연계시켜왔다. 그러나 중국의 새로운 주변질서 구축은 대 남북한 관계를 분리시켜 전개할 것으로 전망된다.

      • KCI등재

        改革开放以来中国女性的政治参与 -基于社会性别的视角-

        리단 한중사회과학학회 2014 한중사회과학연구 Vol.12 No.1

        중국에서 여성은 법적으로 남성과 동등한 참정권을 부여받은 이래 오늘날까지 적극적으로 민주참여와 권력참여를 해 왔다. 이 연구는 젠더의 시각에 입각하여 중국 여성의 정치참여의 환경과 그 실천을 분석하였다. 우선, 정치참여의 환경을 살펴보면, 법.제도적 측면에서 원칙적인입법체계를 확립하였으나 조항의 모호성 등 문제점으로 인하여 제도적장치로서 충분한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고 있는 문제점들이 존재 한다. 또한 중국 여성은 여전히 가부장적인 전통문화의 강한 영향력하에 놓여 있다. 특히 개혁개방 이후, “여성 성”에 대한 인식은 시대발전과 역으로 여성의 사적 영역을 강조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중국여성의 정치참여는 성과와 함께 “권력의 주변화(权利边缘化)”라는 문제점을 노출하고 있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이 논문은 “여성 정치참여 환경의 적화”와 “여성의 참정능력과 소양의 향상”을 중심으로 시장환경하에 중국 여성의 정치참여를 활성·향상을 시킬 수 있는 대안을 모색하려고 노력하였다.

      • KCI등재

        개혁개방 이후 중국 여성의 정치참여 연구 -젠더를 중심으로

        리단 한중사회과학학회 2014 한중사회과학연구 Vol.12 No.1

        중국에서 여성은 법적으로 남성과 동등한 참정권을 부여 받은 이래 오늘날까지 적극적으로 민주참여와 권력참여를 해왔다. 이 연구는 젠더의 시각에 입각하여 중국 여성의 정치참여의 환경과 그 실천을 분석하였다. 우선, 정치참여의 환경을 살펴보면, 법.제도적 측면에서 원칙적인 입법체계를 확립하였으나 조항의 모호성 등 문제점으로 인하여 제도적 장치로서 충분한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고 있는 문제점들이 존재 한다. 또한 중국 여성은 여전히 가부장적인 전통문화의 강한 영향력하에 놓여 있다. 특히 개혁개방 이후, "여성성"에 대한 인식은 시대발전과 역으로 여성의 사적 영역을 강조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중국 여성의 정치참여는 성과와 함께 "권력의 주변화(權利邊緣化)"라는 문제 점을 노출하고 있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이 논문은 "여성 정치참여 환경의 적화"와 "여성의 참정능력과 소양의 향상"을 중심으로 시장 환경하에 중국 여성의 정치참여를 활성.향상을 시킬 수 있는 대안을 모색하려고 노력하였다.

      • KCI등재

        朝鲜通事群体与朝清关系研究—以凤城徐氏家族为中心

        李丹 한중인문학회 2019 한중인문학연구 Vol.65 No.-

        The Tongsa(通事) refers to the interpreter, and the Tongsa group is an important medium for ancient Chinese diplomacy. The Joseon Tongsa was the Joseon interpreter official set up in the Qing Dynasty, was mainly responsible for Joseon Dynasty interpretation and communication, became a bridge and the bond of tributary relations between the Joseon Dynasty and Qing Dynasty. From the end of Kangxi to the early years of Qianlong, among the Xu's Tongsa family, especially the Xu Zongshun and Xu Zongmeng brothers are the most active. They mainly performed the duties stipulated by the Qing Dynasty, such as serveing as the ambassadors of Qing Dynasty to Joseon Dynasty, receiving the tributary Joseon envoys, supervising trade, interrogating and returning the drifters and the offenders, and so on. They play the role of communicate likings and needs and coordinate the etiquette of the two countries. At the same time, for personal survival and family building, they also disregard the Qing Dynasty's manage, relying on the role of interpreter, using power to violate the Qing Dynasty's regulations and seeking private interests, asking for and accepting bribes, participating in the Lantou(揽头) trade, the money obtained is used to set up the house and donated an official for his son, and was discovered and confiscated property by the Qing Dynasty. In the Qianlong period, with the stability of the Joseon-Qing relationship and the emphasis on the concept of "giving more and getting less" (厚往薄来),the flexible Tongsa used the role of interpretation to seek power to operate the space , causing dissatisfaction in the Qing Dynasty. Not only is it not satisfied with Joseon Tongsa's request for bribes, but it also has a negative sense of Joseon Tongsa's ability to interpret. As a result, the role of Joseon Tongsa was gradually weakened. Through the specific translation activities and power operation process of the Xu's family, we can re-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Joseon Dynasty and Qing Dynasty ,and feel the social life and political survival of the Joseon Tongsa group. 통사(通事)란 역관을 가리키며, 통사 집단은 고대 중국 외교왕래의 중요한 매개체였다. 조선통사(朝鮮通事)는 청조에 설치된 조선어 통역관으로, 조선어 번역과 의사소통을 주로 맡음으로써 말이 통하지 않는 조선왕조와 청조 양국 외교의 교량 역할 및 조공 관계의 유대를 구축하는 역할을 담당하였다. 강희 말에서 건륭 초기까지 서씨 통사 가문 중에서 특히 서종순과 서종맹 형제가 가장 활약하였다. 이들은 청조에 규정된 조선왕조로의 출사, 조선왕조 사신의 접대, 무역 감사, 표류인과 범월인(犯越人)의 심문과 송환 등의 직책을 주로 수행하였으며, 본국의 의사를 잘 전달하고 양국의 예의를 조정하는 역할을 하였다. 그러나 또한 동시에 이들은, 개인의 생존과 가문의 건설을 위해 청조의 행정을 무시하고서 통역이란 직책을 빌미로 권력의 편의를 이용해 사사로운 이익을 도모하고 뇌물을 요구하거나, 남두무역(揽头贸易)에 참여하거나 하였고, 그렇게 얻은 돈은 주택을 마련하거나 자식의 관직을 위한 연납비로 쓰였다. 그래서 나중에는 결국 청조 조정에 발각되어 이들의 재산은 몰수당하였다. 건륭시대에 이르러 청조와 조선왕조의 양국관계가 안정되고 후왕박래 이념이 강조되었는데, 유연한 외교방식을 구사한 통역 집단이 번역 직책을 이용하여 권력 운용에 관여하고자 도모한 것이 청조의 불만을 야기하였다. 후왕박래(厚往薄來) 이념에 위배되고 뇌물을 받는 통사의 행위가 건륭제의 불만을 야기하기뿐만 아니라 조선통사의 통역능력이 낮아지는 경향도 존재했다. 따라서 통역을 담당한 통사의 역할은 점차 약화되었다. 서씨 통사 가문의 구체적인 번역 활동과 권력의 운영 과정을 전개해 나타냄으로써 조·청 관계를 살펴볼 수 있고 그 중에서의 통사 집단의 사회생활과 정치생존 방식도 느낄 수도 있다.

      • KCI등재

        习近平-金正恩时期的中朝关系

        리단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8 인문사회과학연구 Vol.19 No.1

        In February 2013, North Korea’s launched its third nuclear test, after which the relationship between China and DPRK has fallen into an unprecedented indifference and alienation. In terms of the nuclear test and other adventures of the DPRK, China stated its support for the denucleariz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through th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China has participated in and fulfilled the UN’s resolution on sanctions against the DPRK. In addition, the dislike of DPRK in the general public of China is rising. Some scholars even have proposed the cancellation of the alliance treaty between China and DPRK. However, under the circumstances of the sanction the international social community, the communication between China and DPRK continues quietly. The visits between the state officials and in techniques did not stop. The development of economy and trade is stable. And Progress has been made in the channel construction between China and DPRK. Therefore, this paper holds that during the period in which Xi Jinping and Kim Jeong-eun are in power, the relationship between China and DPRK showed the characteristics of alienation and contact. And the policy towards DPRK of China is limited support and limited opposition. For China, the contact with DPRK is necessary to control the crisis. On the one hand, China seeks for the denucleariz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On the other hand, China hopes this contact can prevent Kim Jeong-eun from creating tension and other taking behaviors. For the sake of the respective core interest, the contact and alienation between China and DPRK will continue within a short period of time. 2013年2月,朝鲜的第三次核试验使中国和朝鲜关系陷入空前的冷淡和疏远。对朝鲜进行核试验等冒险行为,中国通过外交部声明阐明了中国支持朝鲜半岛无核化的立场。在此背景下,本文从朝鲜第三次核试验之后中朝两国关系的发展现状着手,分析两国发展的特点进而探求两国关系的实质。因为中朝同盟本身所具有的不对称性,本文着重从中国的角度梳理了中朝新一代领导人执政之后的双边关系,本文研究结果如下:中国坚持朝鲜半岛无核化的原则更加明确,反对朝鲜的冒险行为的举措更加坚决,中国就朝核、导等威胁地区安全的行为保持了与国际社会的沟通,更加切实地履行联合国安理会的各项决议。中朝关系出现了疏远的动向,中国对朝鲜问题坚持了底线原则,对威胁地区安全、给中国核心利益带来负面影响的因素坚决反对和抵制;朝鲜作为中国的同盟国,在外部威胁和内部急需稳定的需求下,在核武路线似乎日趋接近顶峰,中朝两国的核心战略利益相左致使两国的政治外交关系出现了疏远迹象。但是,中国坚持朝鲜半岛和平稳定的立场没有变化,坚持半岛问题和平解决的立场没有发生变化。即中国反对朝鲜的冒险行为,坚持朝核问题的和平解决立场,呼吁有关各方采取冷静克制的态度,避免半岛局势的恶化。中朝关系在国际社会制裁局面下出现了冷淡和不谐之音。中国反对朝鲜进行核试验及其危及地区局势的冒险行为,参与了国际社会对朝鲜的制裁,履行联合国安理会的对朝制裁决议。但是,国际社会的制裁和中朝两国的交流并没有成正比,双方通过政府层面和部长级和特使级的交流保持了沟通,两国通过科技交流保持了稳定态势。这种接触对于中国而言,在一定的程度上防止朝鲜滑向不可预知的方向,有助于中国对朝鲜半岛危及的管理;对于朝鲜而言,坚持和中国的接触与沟通无疑是其保持体制生存所需,这种需求既是政治层面的需求,也是经济层面的需求。中朝两国的疏远和接触因两国核心利益所需在短时间内将会持续

      • KCI등재

        社会转型期中国女性的社会地位研究 - 以女性就业为中心

        李丹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12 동북아 문화연구 Vol.1 No.33

        Since China's reform and opening-up strategy, especially with China's socialist marketing economic promotion and development, it is increasing the market mechanism in the allocation of labor resources. These make female employees face with market economy system to provide free employment and career development opportunities, but also make them is facing the huge pressure of competition. Therewith some female researchers think the space is relatively narrow for female obtaining employment because of market economy mechanism. Women are closed to “marginalization”. The female researchers proposed many constructive suggestions to how to improve women's social status. In this paper, the author analyses the present situation of the current women employment, how to affect women's employment system and cultural factors. From 1990 to 2010, for this 20 years, the gender employment unbalance is expanding. The employment rate decline mainly reflected in women. In addition, it is declining obviously for young female employment rate, and increasing for old women's employment rate. From the profession distribution, the women proportion reduces in the first industry, increases in the second and the third industry. But professional structure in non mainstreaming status. This paper, the author analyzes the impact of female employment social environment from the social system and cultural aspects. It discusses the countermeasures on how to promote women's employment from the legislation, policies and constructing gender equality.

      • KCI등재

        “中韩战略合作伙伴关系”的特征及课题辨析

        李丹 대한중국학회 2013 중국학 Vol.44 No.-

        이 논문은 한중관계의 국제 전략적 환경에서 출발하여 한중 전략적 동반자관계의 내실화 추진 방안을 탐구하였다. 한중 수교 20년 이후 양국은 경제, 정치외교, 군사안보 등 영역에서의 협력은 거대한 성과를 거두었다. 양국의 경제관계는 여전히 경제발전의 불균형과 같은 제약요인이 존재하고 있으나 경제무역, 투자 등 영역에서의 협력은 심화되고 있다. 정치영역에서의 협력은 고위급간의 빈번한 방문과 이러한 방문의 정례화 내지는 국제무대에서의 공조와 같은 성과를 이루었다. 군사영역에서의 협력은 성과가 있었으나 여전히 낮은 단계에 머물고 있다. 중국의 부상에 따른 지역역학 관계의 변화, 북한에 대한 한중 양국의 인식차이는 전략적 차원에서 한중 관계에 소극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한국은 한반도 문제의 당사자로서 특히 ‘강한 당선자’로서 전략적 차원에서 북한을 접근할 필요가 있으며, 정책의 선택에서 변화된 중국과 미국의 힘의 균형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중국은 한중 관계의 발전을 위하여 북한의 개혁, 개방과 같은 체제 변화의 유도와 국제사회로의 복귀를 적극 권장해야 할 것이다. 本文从中韩双边关系所处的国际战略环境出发,探讨了如何实现中韩战略合作伙伴关系的平稳发展,如何在地区局势中发挥建设性作用的问题。20多年中韩关系发展的特征可概括为:"经济热"、"外交温"、"安全冷",从经济的角度而言,双方在经济贸易、投资等全方位的合作取得了进展,虽然有经济发展结构不均衡、贸易逆差等消极因素的制约,但是这些掩盖不了自建交以来中韩经济关系取的成就。中韩政治关系表现为高层互访频繁实现了机制话,双方在国际舞台的合作范围扩大、内容多样; 军事关系虽然取得了一些进展,但是,两国在军事安全领域的合作处于低级阶段,落后于政治外交、经济、文化领域的合作。中国崛起环境下地区结构的特征及韩国的认知、对朝鲜问题的认识差异成为影响中韩关系的消极要因。今后,为确保中韩关系的健康发展,首先,中国发挥"中、朝、韩三边关系"中的主轴作用,促动朝鲜从传统社会主义体制的转化,实现朝鲜重返国际社会。韩国作为朝鲜半岛问题的当事者,尤其是强势当事者,从战略角度出发审视南北关系,政策选择应充分考虑到中美之间国力正在缩小的事实,要充分考虑到中美关系的复合性,不仅要考虑应对中美竞争的战略框架,还要设定中美合作背景下的对策。

      • KCI등재

        “中韩战略合作伙伴关系”的特征及课题辨析

        李丹 대한중국학회 2013 중국학 Vol.44 No.-

        이 논문은 한중관계의 국제 전략적 환경에서 출발하여 한중 전략적 동반자관계의 내실화 추진 방안을 탐구하였다. 한중 수교 20년 이후 양 국은 경제, 정치외교, 군사안보 등 영역에서의 협력은 거대한 성과를 거 두었다. 양국의 경제관계는 여전히 경제발전의 불균형과 같은 제약요인 이 존재하고 있으나 경제무역, 투자 등 영역에서의 협력은 심화되고 있 다. 정치영역에서의 협력은 고위급간의 빈번한 방문과 이러한 방문의 정례화 내지는 국제무대에서의 공조와 같은 성과를 이루었다. 군사영역 에서의 협력은 성과가 있었으나 여전히 낮은 단계에 머물고 있다. 중국 의 부상에 따른 지역역학 관계의 변화, 북한에 대한 한중 양국의 인식 차이는 전략적 차원에서 한중 관계에 소극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한 국은 한반도 문제의 당사자로서 특히 ‘강한 당선자’로서 전략적 차원에 서 북한을 접근할 필요가 있으며, 정책의 선택에서 변화된 중국과 미국 의 힘의 균형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중국은 한중 관계의 발전을 위하 여 북한의 개혁, 개방과 같은 체제 변화의 유도와 국제사회로의 복귀를 적극 권장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중국외교 3.0: 시진핑 시기의 변화와 지속

        리단 대한중국학회 2018 중국학 Vol.64 No.-

        이 연구는 중국의 국제질서에 대한 검토를 바탕으로 시진핑 시기 중국의 외교정책데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중국 외교의 ‘변화’와 ‘지속’이라는 측면을 밝히고자 하였다. 전체적으로 시진핑 시기의 중국은 대외적으로 소위 핵심이익과 관련된 의제를 제외하고는 기본적으로 저비용의 안정적인 국제관계를 지향해 가야 하는 입장에 있다. 따라서 큰 틀에서 중국은 기존 지도부시기와의 연속성을 보여주고 있으나 조정적 국면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즉 시진핑 시기는 과거 어느 시기보다도 강한 자신감으로 피동적 대응에서 선명하고 적극적인 태세로 전환하였다. 이것은 우선 외교목표 설정의 명확성에서 나타났다. 시진핑 시기의 중국은 인류문명공동체와 신형국제관계 구축을 내세워 ‘중국 특색의 대국외교’를 제기 및 전개하고 있다. 둘째는 기존의 상호신뢰 강조에 비해 공동이익을 강조하였다. 셋째, ‘적극적인 유위관(積極的有爲觀)’ 즉 역할론 강조이다. 향후 중국의 이러한 ‘분발외교’는 주변국가와의 ‘친(親), 성(誠), 혜(惠), 용(容)’의 신뢰여부, 일대일로를 비롯한 글로벌 전략에서 강대국과의 이익의 조화여부 및 역내 문제에 대한 적절한 대응이 관건이 될 것이다. This paper analyzed Chinese diplomacy policies in Xi Jinping Era(Xi Era), and revealed the continuities and changes from the perspective of China’s order view. In general, excepting core interests China pursues stable international relations in Xi Era. China’s diplomacy framework shows obvious inheritance. Meanwhile notable changes have also taken place. From passive adaptation in the past to positive coping, China’s diplomacy now looks more confident. Its specific performance is as follows. First, diplomatic objectives are clearer. China actively promotes diplomacy with Chinese characteristics with the community of human destiny and new international relations. Second, China emphasizes the common interests among countries in its foreign strategy. Third, China emphasizes the role of China in a more positive view of “taking the initiative”(有为观). What role China will play in the international system in the future will depend on that if China can build strategic mutual trust with its neighboring countries in terms of “kindness”(亲), “sincerity”(诚), “benefit”(惠) and “tolerance”(容), and whether China can reconcile with the interests of the major powers in the region, and how to effectively deal with regional hot issues, etc.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