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아이스크림 전문점의 브랜드 CI 컬러와 브랜드 이미지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박정숙,이준재 한국외식경영학회 2012 외식경영연구 Vol.15 No.1

        Our snacks at present are different those in past due to change in food culture and business marketing. Ice cream is a product which can be seen anywhere and there are more than several hundred different kind of ice cream. In order for an ice cream company to survive in a market full with a lot of competitors, ice cream has to have its own color (CI color) and image. Difference from others has been established as requirements not only for a person but also for a company and therefore, a company has to find out a way to represent its brand identity. Under severe competition, ice cream specialty companies having their own brands started to set up brand identity and image by renewing their stores and making new CI. Colors give effects to both body and mentality of a person and then, they help his thought.

      • KCI등재
      • KCI등재

        조선시대 한글편지 서예미의 변천사적 고찰

        박정숙 한국서예학회 2015 서예학연구 Vol.26 No.-

        본 연구는 조선시대 16세기부터 19세기까지 왕, 왕비, 상궁, 사대부 남성과 여성, 등 각계 각층의 450년간에 쓴 편지 400여편 중에서 서체사적 비교의 체계성이 있는 편지 64종 70여편을 선정하고 분석대상으로 삼았다. 분석방법은 조선시대 1500년대부터 1800년대 사이에 쓰여진 한글편지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제1단계로 편지별 문장의 장법적 특징을 분석하고, 제2단계로 편지별 어휘 및 음절을 추출하여 조형성을 분석하고, 제3단계로 편지별 문장의 종합적 서예미를 분석하는 등 3단계로 나누어 수행하였다. 한글편지 서체의 신분별 특징을 살펴보면, 왕들의 편지글씨는 1600년대의 정적으로 나타낸 선조와 1700년대의 숙종 1800년대의 활달한 대원군의 편지글씨에 이르기까지 장법의 변화가 크게 드러나지 않아 시기의 변화과정보다는 개인의 개성적 특성에 따른 서체적 특징을 찾아볼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왕비의 편지글씨는 대부분 배행 배자방법이나 문자의 결구 방법이 자유분방한 필체로 나타내었으나 1600년대 인목왕후의 편지 등에서 글자의 중심축을 중앙에 두는 배자 방법을 구사하였는데, 장렬왕후 편지부터는 세로줄을 맞추기 위해 노력한 모습이 엿보여서 한글 서체의 장법의 변화를 찾아볼 수 있으며, 1700년대 인현왕후 편지부터 1800년대 후기로 오면서 정돈되고 정형적인 궁체 유형의 자형과 장법이 구사 되었다. 특히 1840년대의 순원왕후의 궁체에 가까운 서체, 1890년대의 순명효황후의 유연한 궁체유형의 글씨가 대표적인 예라고 할 수 있다. 궁녀의 편지글씨는 1600,1700년대는 찾아보기 힘들고, 1800년대에 이르러 궁체 흘림의 완숙기를 이룬 것으로 나타난다. 남성의 편지글씨는 시기의 흐름에 관계없이 개성이 뚜렷한 필체로 썼고, 한자필체의 필의를 토대로 한글편지를 쓴 것으로 보여지며, 자모음의 획형을 생략화하여 연결성을 많이 살려 쓴 것으로 분석된다. 궁체의 필법을 살려 쓴 서체가 없으며 정자체로 쓴 편지를 찾아보기 힘들다. 여성의 편지글씨는 남성의 편지와 같이 각각의 개성이 잘 나타나지만 조형미가 남성편지보다 좀 더 높이 평가된다. 1500년대의 신천강씨나 이응태부인의 편지는 장법의 일관성이 나타나지 않지만, 1600년도의 배천조씨, 안동김씨의 편지에서 보면 점점 장법의 틀이 잡히면서 세로획 중심의 장법변화가 보이다가 1700년대 여흥민씨의 편지에서 완연한 궁체의 결구와 장법을 구사하여 궁체 흘림체의 서체와의 유사정도가 높이 나타난다. 한글편지의 신분별 우수서체는 군왕으로는 서선을 유연하고 힘차게 나타낸 효종 글씨(1652년)와 굵고 힘찬 서선표현과 대소조화를 이루어 연결성이 잘 나타난 대원군 글씨(1882년)가 있다. 왕비로는 정통적인 궁체의 특징을 잘 나타낸 순원왕후 글씨(1842년)와 굵고 부드러운 선으로 상하의 문자 사이를 자연스럽게 연결하여 아름답게 쓴 순명효황후(1897년)의 글씨가 있다. 궁녀의 편지로는 모두 궁체 흘림체로 각각의 개성미가 돋보이는 모법서체로 평가될 수 있다. 남성의 우수 편지서체로는 한자의 필의를 살려 활달하게 쓴 김정희 글씨(1818년)와 김정희의 부친 김노경의 편지 글씨(1791년)가 돋보인다. 여성의 우수 편지로는 굵은 선으로 자모획형을 간결하게 생략형으로 쓴 안동김씨 글씨(1697년)와 궁체 흘림체와 유사하게 쓴 여주이씨 글씨(1726년), 연결성을 자연스럽게 나타낸 여흥민씨 편지글씨(1735년)가 돋보인다. 이들은 한글서예 임모 자료로 활용할 가치가 큰 것으로 평가된다. 또한 조선시대 한글편지 서체는 조선시대 최고 명필들이 조화롭게 역동적으로 써내려간 서체로서, 고전적이면서도 전통적 조형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출판 ․ 광고 ․ 패션분야 등 현대 디자인 분야에서 활용하기에도 적합하며, 캘리그래피(calligraphy)와 같은 현대서체를 창작하거나 전통적인 서체를 응용할 때에도 그 유용 가치가 크다고 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컴퓨터용 서체인 한글폰트 개발에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컨텐츠를 제공하게 될 것이다. 또한 조선시대 한글편지의 서체적 변천사를 교재로 활용할 수 있으며, 한글편지의 서체와 변천적 특징은 초․중․고등학교 미술교과서의 서예단원 내용 편찬에 활용할 수 있고, 일반인들의 한글서체 교육에 활용할 수 있다. Among more than 400 letters written by all social standings of kings, queens, court ladies, noblemen and noblewomen for 450 years from 16th to 19th century Joseon, this study selects approximately 70 letters from 64 kinds which have systemicity in comparison of chirographic history and analyzes them. With the letters in Korean written from 1500s to 1800s of Joseon period as the analytical subject, this study analyzes; first, their sentence structure; second, their formativeness by extracting vocabularies and syllables from each letter and; third, their comprehensive calligraphic beauty in sentences of each letter. Taking a look into characteristics of letters written in Korean by the writer's social standings, the sentence structure in kings' letters does not greatly vary from static style of King Seonjo and King Sukjong in 1600s and 1700s to lively one of regent Heungseon in 1800s, which therefore is analyzed that calligraphic characteristics did not change over time but depended upon each king's personal traits. Queens' letters are indicated as liberal writing style in their arrangement of lines and of letters and formative principles in characters but Queen Inmok in 1600s put the characters at the center in her letter as adopted in Chinese characters; changes in sentence structure of Korean chirography are observed from Queen Jangnyeol's letter and; well-organized and formal court-style shape of characters and sentence structure was adopted and settled in late 1800s, starting from queen Inhyeon in 1700s. Queen Sunwon's characters in 1840s which were almost court-style one and flexible court-style characters of Empress Sunmyeong in 1890s can be representative examples. Court ladies' characters in letters are hardly found in 1600s or 1700s and their letters written in Korean seem to attain complete maturity of a cursive hand in court-style writing in 1800s. Men's characters in letters are of unique individuality regardless of time period. They seem to write letters in Korean based on brush stroke for Chinese characters and their characters are analyzed as having marked connectivity by omitting strokes of consonants and vowels. There is no chirography on which court style is applied and letters written in square style are hardly found. Women's characters in letters are also of unique individuality but their formative beauty is more highly appreciated than that of men. Letters written by Mrs. Sincheon Kang or Lee Eung-Tae's wife in 1500s do not demonstrate consistency of sentence structure but in letters of Mrs. Baecheon Jo and Andong Kim in 1600s, sentence structure is gradually settled and its change is observed that vertical strokes come to play a central role and; formative principles and sentence structure of complete court style is adopted in Mrs. Yeoheung Min's letter, which demonstrates significant similarity with the cursive hand in court-style writing. Outstanding calligraphy on letters written in Korean for each social standing includes that of King Hyojong (1652) which is of flexibility and vigor and that of regent Heungseon which is with thick and energetic expression and marked connectivity in harmony of big and small. Among queens' calligraphy, that of Queen Sunwon (1842) which well demonstrates orthodox traits of court style and that of Empress Sunmyeong which is of thick and soft strokes beautifully arranged between upper and lower characters through natural curves are considered eminent. Distinguished letters of court ladies can be evaluated as example calligraphy that are of the cursive hand in court-style writing with distinct individuality. Among men's letters, that of Kim Jeong-hee (1818) which is vigorously written with brush stroke for Chinese characters and that of Kim No-gyeong (1791), Kim Jeong-hee's father are impressive ones. Superb calligraphy of women's letters includes Mrs. Andong Kim (1697) whose characters are thick and concisely written by omitting strokes of consonants

      • KCI등재

        비후성 유문협착증 : 수술전 .후 초음파소견의 변화

        박정숙,한덕섭,오종섭,김민중,지주연,박병란,김세종,고강석,김병근 대한영상의학회 1993 대한영상의학회지 Vol.29 No.6

        The authors retrospectively analysed the ultrasonographic findings of 43 cases of surgically confirmed hypertrophic pyloric stenosis and their postoperative findings of sonograms taken at 1 month(n=40) or 3 months (n=5) after pyloromyotomy. In preoperative study, the thickened pyloric muscle was isoechoic or slight hypoechoic relative to liver on the midine longitudinal view and appeared as a "nonuniform acoustic ring" on the transverse view. The results of measurement in the all cases with hypertrophic pyloric stenosis were the pyloric muscle thickness 3.8mm, the pyloric diameter 14mm, the pyloric channel length 16mm, the pyloric muscle volume 2.21 ㎤ and the pyloric muscle index 0.57, respectively. It usually reguired 1 month after operation for the hypertrophied muscle to resolve in 36 of 40 patients, The normalized pyloric muscle appered more hypoechoic than that of adjacent hepatic parenchyma, and the nonuniform echogenicity of the pyloric muscle disappered. Five patients whose hypertrophied musle did not return to normal range on 1 month's follw-up sonogram were follwed-up 3 months later again, and we hace ascertained their resoluction in all of them. In concusion, the pre-operative sonographic findings of infantile hypertrophic pyloric stensis were different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from those of post-operative follow-up ultrasound exam. High-resolution real time sonography is a safe and accurate method for the diagnsis of hypertrophic pyloric stenosis and useful in postpyloromyotomy follow-up.follow-up.

      • KCI등재

        근대의 타자 혹은 근대의 주체: ‘소문’과 ‘상상’으로 구성된 여가수 윤심덕(1897-1926)

        박정숙 한국음악학학회 2019 음악학 Vol.27 No.2

        Shimdeok Yun (1897-1926), the first soprano with the phonograph recording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formation of Korea modern music. She was one of the ‘new woman’ who is characterized by forming her own identity and internalizing her self-consciousness with modern education and her experiences of studying abroad. Therefore she became the subject of ‘modernity’ that can be uttered in various ways. Nevertheless, she has been better known as a women in the gossip of love affairs and suicide, dramatized through novels, plays, movies, dramas and musicals. This is because a number of speculative magazines and newspaper articles have continuously reconstructed her as a dramatic figure who could be targeted and consumed. This situation remains the same during her life even after her death. Without sufficient and reliable sources to construct the narrative about her life (e.g., her own words or facts), the construction of the narrative, rumors, and the imaginative rumors produced by other people have been written and publicized as if they were tru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eal the illusions of the collective memory embodied in people, rather than inquire into the authenticity of the rumor. I will examine how Shimdeok Yun has been constructed in the discourse of dominant representations, imaginations, and numerous rumors. This will clarify the way that a gendered hierarchical order othernize a woman in the discourse of desire and power in Modern Korea. 윤심덕(1897-1926)은 우리나라 최초의 소프라노로, 최초의 레코드 가수로 알려진, 한국 근대 음악 형성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했던 인물이다. 또한 근대 교육과 유학 경험을 통해 자기 정체성을 스스로 형성해 나감으로써 자의식을 내면화했던 ‘신여성’으로, ‘근대’의 다양한 의미들을 발화시킨 주체이기도하다. 그럼에도 세간에는 소설, 연극, 영화, 드라마, 뮤지컬 등을 통해 극화된 연애사건과 정사(情死)의 여주인공으로 더 잘 알려져 있다. 그녀를 극적 소재로 대상화하여 소비하는 이러한 상황은 그녀가 살아생전 혹은 죽음 이후 그녀에 관한 수많은추측성 잡지글이나 신문기사들이 그녀를 재구성해 낸 방식의 반복이라 할 수 있다. 당사자의 직접적인 발언이나 사실 기록이 충분하지 않은 상황에서 그녀를 관찰하고 엿본 것을 말하는 식의 이야기 구성은 대부분 소문으로 상상되고, 상상된소문이 마치 사실처럼 기입되어 공론화되었다. 이 논문의 목적은 그 소문의 진위 여부를 따지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그녀에대한 지배적 표상들과 상상, 수많은 소문들이 그녀를 어떤 담론 안에서 어떻게구성해내는지 그 방식들을 살펴봄으로써 사람들에게 구체화된 집단 기억의 허상을 드러내보고자 한다. 그리하여 그 시대의 욕망과 권력의 담론 안에서, 성별화된위계질서를 바탕으로 한 여성을 타자화시키는 방식을 밝혀보고자 한다.

      • 순명효황후 언간체의 조형성 고찰

        박정숙 한국어정보학회 2011 한국어정보학 Vol.13 No.2

        조선왕조 마지막 임금인 순종의 정비 순명효황후(1872~1904)의 친필 언간체의 조형적 특징을 장법미-결구미-용필미 분석을 통하여 밝혀낸 것이다. 아울러 순명효황후의 언간체는 시어머니인 명성황후(1851~1895) 친필 언간체의 영향을 얼마나 받았는가를 탐색하기 위하여 두 황후의 편지글씨(언간체)를 모두 비교 분석하였다. 두 황후는 며느리와 시어머니 사이이며 같은 여흥 민씨이고 두 황후 모두 33세, 45세의 젊은 나이에 세상을 떠난 황후였지만 일찍이 예술적 감각이 뛰어난 한글서간체를 남겼다. 즉 순명은 10편, 명성은 124편의 아름다운 한글 서체의 언간을 남겼다. 이 중 각각 3편씩을 선정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순명효황후는 11세에 입궐하여 왕비로써 소양교육을 받으면서 한글 쓰기에 대한 시어머니인 명성황후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서로의 관계에서 한글언간체 형성에도 관계가 깊이 있으리라고 보고 두 언간체의 장법적-결구적-용필적 특징을 심층 분석하였다. 그 결과 두 언간은 기본적인 필법은 같으나 서풍적 필체의 특징은 다른 것으로 분석되었다. 즉 순명은 명성보다 정통 궁체의 필법에 맞게 썼으며, 유려하고 시원한 느낌의 한글흘림체의 언간으로 분석되었다. 이를 장법-결구법-용필법으로 나누어 특징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장법적 특징이 각각 다르다. 명성편지는 행수가 적고 배자를 자유분방하게 나타냈으나 순명의 장법은 행수가 많고 배자를 가지런하게 나타내었다. 둘째 결구법-용필법적 특징이 각각 다르다. 순명은 명성보다 문자사이의 연결선을 굵고 힘차게 나타냈으나, 명성은 순명보다 부드럽게 나타내어 역동적인 맛이 없어 보인다. 순명은 명성 언간체 보다 강하고-곧고-유려하게 표현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이 같은 시대, 같은 장소, 같은 신분, 같은 교육, 같은 가문 등으로 직접적으로 명성황후의 영향을 받은 순명효황후의 언간체는 명성보다 더 조형미가 돋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것은 명성보다 더 어린 나이에 들어와 궁중의 법도를 익히며 궁체를 익혔을 것으로 추정되며, 서로의 직접적인 수직관계에서 답습하는 것이 아닌 향상적인 관계로 발전했다는 점에서 높이 평가되는 언간체 형성의 본보기라고 말 할 수 있다. 앞으로 또한 장렬왕후(1624~1688), 인선왕후(1618~1674), 명성왕후(1642~1683), 인현왕후(1667~1701)등 거의 한 시대에 살았던 왕후들의 글씨가 비슷한 서풍을 지니고 있는 것과 같은 맥락이며, 앞으로의 연구과제는 비슷한 그 시대의 서풍을 분석하여 조선조 왕후들의 언간체에서 언간이 지니는 예술적 가치를 학문으로 승화시킬 수 있는 계기가 되기를 고대해 본다.

      • KCI등재

        남자 대학생의 심리사회적 성숙도와 피임 자기효능감이 성적 자기주장에 미치는 융복합적 영향

        박정숙,김보미,권영은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16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4 No.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relationships among psycho-social maturity, self-efficacy for contraceptive, and sexual assertiveness to see which factors influence sexual assertiveness in male university students. Data were collected from 200 male university students in A city from July 1 to 30, 2015.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found among Psycho-Social Maturity, Self-efficacy for Contraceptive, and Sexual Assertiveness. Meaningful variables that influenced Sexual Assertiveness were Self-efficacy for Contraceptive and Psycho-Social Maturity, and the total explanation power was 33%. In conclusion, development of sex education program to in 본 연구는 남자 대학생의 심리사회적 성숙도와 피임 자기효능감, 성적 자기주장의 관계를 확인하고 남자 대학생의 성적 자기주장에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연구이다. 자료 수집은 A시 소재의 2개 대학에 재학 중인 남자 대학생 200명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2015년 7월 1일부터 7월 30일까지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WIN 22.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상관관계, 다중회귀분석을 하였다. 연구 결과, 심리사회적 성숙도와 피임 자기효능감, 성적 자기주장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대상자의 성적 자기주장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변수는 피임 자기효능감과 심리사회적 성숙도였고, 전체 설명력은 33%이었다. 따라서 성적 자기주장에 미치는 요인을 바탕으로 남자 대학생의 성적 자기주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성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