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맥후작(麥後作) 황도(黃芩)의 시비량(施肥量)에 따른 수량성(收量性)

        박규철,권병선,박홍재 한국약용작물학회 1997 한국약용작물학회지 Vol.5 No.4

        남부지방(南部地方)에서 황금(黃芩)의 맥후작(麥後作) 직파재배시 적정(直播栽培時 適定) 시비량(施肥量)을 구명(究明)하여 재배기술(栽培技術)을 개선(改善), 보완(補完)하고 수량(收量)을 증대(增大)시켜 안정생산(安定生産)에 기여(寄與)하고자 여천(麗川) 재래종(在來種)을 공시(供試)하여 실시(實施)한 시험결과(試驗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무비구(無肥區)(N-P2O5-K2O = 0 - 0 - 0kg/10a)의 개화기(開花期) 7월(月) 20일(日)에 비하여 모든 시비구(施肥區)가 7월(月) 21일(日)~23일(日)로 1~2일(日) 늦게 개화(開花)하였다. 2. 생육형질(生育形質)인 경장(莖長), 경태(莖太), 분지수(分枝數), 주근장(主根長), 주근경(主根徑) 생경엽중(生莖葉重), 건경엽동(乾莖葉重)은 무비구(無肥區)에 비하여 모든 시비구(施肥區) 양호(良好)하였으나 다비구(多肥區)(N-P2O5-K2O = 12-18-12kg/10a) 3. 수량형질(收量形質)인 건근중(乾根重)은 무비구(無肥區)보다 모든 시비구(施肥區)가 양호(良好)하였으나 그 중에서 중비구(中肥區)(N-P2O5-K2O = 9-13.5-9kg/10a)에서 10a당 건근중(乾根重)이 178kg으로 무비구(無肥區)의 126kg에 비(比)하여 41%가 증수(增收)되었고 표준시비구(標準施肥區)(N-P2O5-K2O = 6-9-6kg/10a)의 167kg에 비해서는 7%가 증수(增收)되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effect of various fertilizer levels on the growth and yield of Scutellaria baicalensis Georg cultivated after the barley in the southern coastal areas of Korea under the non-mulching condition by direct sowing culture. The flowering date of medium dressing plot (N : P2O5 : K2O=9 : 13.5 : 9 kg/10a) and heavy dression plot (N : P2O5 : K2O=12 : 18 : 12kg/l0a) were July 23. The flowering date of the medium and the heavy dressing plot was delayed by 3days compared with that of non-fertilizing plot. The growth characteristics such as stem length, diameter of main stem, number of branch per plant, main root length, main root thickness and dry weight of stem leaves were more increased at medium dressing plot than that of other fertilizer levels. The root dry weight of in Scutellaria baicalensis Georg cultivated after barley was highest at the fertilizing plot of N, P2O5 : K2O = 9 : 13.5 : 9kg/10a. The dried-root yield was 178kg in medium dressing plot, 167kg in standard dressing pot, and 126kg in non-dressing plot. The dried-root yield of medium dressing plot was 7% and 41% higher than that of standard dressing pot and non-dressing control plot, respectively.

      • KCI등재

        한 자동차 회사의 남성 사무직 근로자에서 직무스트레스와 우울, 불안 및 스트레스 증상과의 관련성

        박규철,이경종,박재범,민경복,이규원 大韓産業醫學會 2008 대한직업환경의학회지 Vol.20 No.3

        목적: 직무스트레스와 관련성이 있는 우울증,불안 장애 등의 정신과적 질병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한 자동차 회사의 남성 사무직 근로자를 대상으로 우울,불안 및 스트레스 증상의 수준을 파악하고 직무스트레스와 우울,불안,스트레스 증상과의 관련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연구 대상자 286명을 설문조사하였다. 직무스트레스 수준과 우울,불안,스트레스 증상을 평가하기 위해 한국인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Korean Occupational Stress Scale; KOSS)와 우울,불안,스트레스 측정도구(Depression Anxiety Stress Scale; DASS)를 사용 하였다. 설문지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평가하였고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하여 한국인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의 8개 영역에 걸쳐 우울,불안 및 스트레스 증상과의 관련성을 살펴보았다. 결과: 연구 대상자에서 우울,불안 및 스트레스 증상이 있는 경우는 각각 57.7%,37.7%, 42.2%였으며,심각 하거나 매우 심각한 우울,불안 및 스트레스 증상을 보이는 경우도 각각 19.6%, 4.8%,8.0%로 조사되었다. 직무스트레스의 총점수가 높은 군에서 우울,불안 및 스트 레스 증상의 발생 비차비는 각각 4.93(95% C.I. = 2.38∼10.24),2.70(95% C.I.=1.58∼5.11). 3.53 (95% C.I.=1.90∼6.56)이었다. 직무스트레스 요인 중 조직체계가 우울 증상의 발생과 관련성이 가장 높았으며 (OR=4.83, 95% C.I.=2.43∼9.58), 직무요구도는 불안 및 스트레스 증상의 발생과 관련성이 높았다(OR=3.21, 95% C.I.=1.77-5.85; OR=4.66, 95% C.I.=2.53∼8.58). 결론: 자동차 회사의 남성 사무직 근로자에서 직무스트레스가 높은 군이 낮은 군에 비해서 우울,불안 및 스트레스 증상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았다. 직무요구도와 조직 체계에 대한 개선을 통해 우울,불안 및 스트레스 증상의 발생을 감소시킬 필요가 있다. Objective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occupational stress and depression, anxiety, and stress symptoms among white-collar male workers in an automotive company. Methods: A cross-sectional study involving 286 white-collar male workers was conducted with the Korean Occupational Stress Scales (KOSS) and Depression Anxiety Stress Scales (DASS) questionnaire. Results: According to the DASS cut-off value (≥78 percentile scores), the prevalence of depression, anxiety and stress system was 57.7%, 37.7% and 42.2%, respectively. B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organizational system was the factor most strongly associated with depression (OR=4.83, 95% C.I.=2.43-9.58), while job demand was strongly associated with anxiety (OR=3.21, 95% C.I.= 1.77-5.85) and stress (OR=4.66, 95% C.I.=2.53-8.58). Conclusions: Occupational stress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depression, anxiety, and stress symptoms among white-collar male workers in an automotive company. A prospective study is warranted to delineate the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job stress and psychiatric disorders.

      • KCI등재

        호메로스의 『오뒤세이아』에 나타난 오뒤세우스의 생존 리더십: 소포클레스의 『아이아스』와 연관하여

        박규철 인문예술학회 2023 인문과 예술 Vol.- No.15

        호메로스의 『오뒤세이아』에 나타난 오뒤세우스는 10년간에 걸쳐 진행된 트로이 전쟁의 영웅이다. 10년간의 바다에서의 방랑을 끝내고 조묵으로 무사히 돌아간 유일한 생존자다. 나아가 108명의 구혼자들 중, 음유시인 페미오스와 전령 메돈만을 살려 둔 채, 나머지 모두를 죽이고 왕권을 되찾았던 아티카의 왕이다. 본 논문은 오뒤세우스의 생존 리더십을 호메로스의 『일리아스』와 『오뒤세이아』 그리고 소포클레스의 『아이아스』 등을 통해 분석한 글이다. 오뒤세우스의 생존 리더십은 다음 세 가지 측면, 즉 ‘위기극복 리더십’, ‘설득 리더십’ 그리고 ‘실천 리더십’의 관점에서 조명될 수 있다. (1) 위기극복 리더십: 오뒤세우스는 제반 위기 상황에서 오뒤세우스가 사용했던 다양한 지적 능력과 윤리적 태도 등이 분석되었다. 그리하여 생존 리더십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가 로고스와 절제임이 언급되었다. (2) 설득 리더십에서는 공동체의 갈등과 분열을 중재하고 화합시킬 수 있는 오뒤세우스의 능력이 분석되었다. (3) 실천 리더십에서는 귀향 후 오뒤세우스가 왕으로서의 자기정체성을 어떻게 회복하는가가 분석되었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필자는 오뒤세우스의 생존 리더십이 현대 서바이벌 리더십의 원형임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지상 기동 무기 체계에 장착된 미사일 경고 레이더의 간섭에 대한 연구

        박규철,홍성용,Park, Gyu-Churl,Hong, Sung-Yong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 2008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Vol.11 No.2

        Cooperation between the GVWS within a few hundred meters has forced MWRs equipped to have service ranges in such a short ranges as well as the limited numbers of channels are available. This kind of situation often produces the frequency interferences between MWRs due to the easy uses of the common and adjacent frequencies between them. Current work provides the details of the frequency interferences and the possible degrees of detections. It is also described that the effective distances for the operation between the GVWS are investigated when they use the common and the adjacent frequencies each other with the factors as the frequency intervals and the antenna arrangement angles.

      • KCI등재

        아프락시아 문제에 관한 아르케실라오스의 논증전략과 방어논증 - to eulogon 개념을 중심으로 한 행위 가능성 탐구와 연관하여

        박규철 한국동서철학회 2024 동서철학연구 Vol.0 No.111

        As Arcesilaus developed his unique philosophy of skepticism, the Stoics strongly criticized Arcesilaus, citing the Apraxia problem, or the problem of the impossibility of action. Accordingly, Arcesilaus constructed his own defense argument by criticizing the Stoics' concepts of assent and kataleptic impression. At this time, the principle he presupposed was the suspension of judgment, and the new concept he proposed was ‘to eulogon’. Arcesilaus's response to the Apraxia problem was twofold: The first answer was that human actions are made up of impressions and impulses, and that they are like instinctive actions. In particular, he excluded the concept of consent, which the Stoics cherished, from the theory of action. Accordingly, the Stoics criticized Arcesilaus's theory of behavior on the grounds that it did not contain the unique meaning of human behavior which differentiates it from animal behavior. The second answer was that human actions are carried out by to eulogon, which makes a happy life for humans possible.. In particular, to eulogon was shown to be a device that can rationally explain human behavior, as well as a new device that allowed skeptics to fuse skeptical principles and skeptical behavior. Through these two answers, Arcesilaus was able to defend his skepticism from the persistent attacks of the Stoics without damaging the first principle of skepticism, the epoche.

      • KCI등재

        카르네아데스는 과연 판단유보의 원리를 망각하였는가? -카르네아데스에 대한 섹스투스 엠피리쿠스의 비판과섹스투스 엠피리쿠스의 비판에 대한 재-비판을 중심으로-

        박규철 동국대학교 동서사상연구소 2018 철학·사상·문화 Vol.0 No.28

        Carneades, the founder of the New-Academy, has a remarkable position in the history of academy scepticism. His school has the following three characteristics. First, Carneades pursued the truth for life. In particular, he acknowledged the convincing impression(pithane phantasia) for the possibility of daily life. Second, the uniqueness of the Carneades’ philosophy can be summarized in three ways. (1) The Carneades is ‘a mitigated skeptic’ that emphasizes the ‘the convincing impression’. (2) Carneades expanded the scepticism of inquiry into epistemology, natural philosophy, ethics, and theology. (3) Carneades criticized the theory of God in the Stoics. Third, Carneades understood the principle of suspension of judgement as the first principle of scepticism in two dimensions. On the one hand he explored the ability to act against the problem of apraxia(the argument of inaction) of the Stoics, and on the other hand, against their dogmatism, when the former is emphasized, the principle of suspension of judgement should be limitedly accepted. If the latter is emphasized, the principle of suspension of judgement should be emphasized consistently. In conclusion, Carneades innovated the academy scepticism and attempted to balance both theory and practice. In this respect, his scepticism is called a new philosophy. 신-아카데미 학파의 창시자인 카르네아데스는 아카데미 회의주의의 역사에서 주목할 만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그의 신-아카데미에는 크게 다음과 같은 3가지 특징이 있다. 첫째, 카르네아데스는 평생 진리를 추구하였다. 특히, 그는 일상적 삶의 가능성을 위해 개연적 감각표상을 인정하였다. 둘째, 카르네아데스 철학의 고유성은 다음 3가지로 정리 가능하다. (1) 카르네아데스는 ‘개연적 감각표상’을 강조하는 ‘완화된 회의주의자’다. (2) 카르네아데스는 회의주의의 탐구 영역을 인식론, 자연철학, 윤리학, 그리고 신학 등으로 확장하였다. (3) 카르네아데스는 스토아 학파의 독단론을 비판하였다. 셋째, 카르네아데스는 회의주의의 제1원리인 판단유보를 이원적으로 이해하였다. 그는 한편으로는 반회의주의자들의 행위불가 논증에 맞서, 행위 가능성의 근거를 천착하였고, 다른 한 편으로는 당대의 독단주의자들에 맞서 그들의 독단주의를 비판하였는데, 전자를 강조하게 되면, 판단유보의 원리는 제한적으로 수용되어야 하고, 후자를 강조하게 되면, 판단유보의 원리는 지속적으로 강조되어야하기 때문이다. 결론적으로, 카르네아데스는 아카데미 회의주의를 혁신시켰으며, 이론과 실천 양 측면에서 균형을 맞추고자 시도하였다. 이런 점에서 그의 회의주의는 새로운 철학이라 불릴만하다.

      • KCI등재

        8-9세기 이슬람 철학의 칼라암(Kalām) 개념에 대한 비판적 탐구

        박규철 대동철학회 2012 大同哲學 Vol.61 No.-

        김요한의 논문 “8-9세기 이슬람의 신학적 철학으로서 Kalām에 관한 연구”은 이슬람 합리주의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 논문이다. 이 논문에서 그는 이슬람 합리주의의 극한 지점인 12세기로 향하지 않고 그 시작 지점인 8-9세기에 주목한다. ‘무타질라 학파’로 대표되는 초기 이슬람 합리주의를 탐구하는 그의 논문은 그리스 철학을 경원시하던 이슬람 사회가 철학과 조우하게 되면서 얻었던 다양한 효과들을 칼람 개념을 중심으로 상세하게 분석한다. 나아가 이슬람 신앙과 이슬람 철학, 나아가 신앙과 철학의 관계를 총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 해주는 방법의 틀 또한 제공해준다. 하지만 이러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그의 논문에는 몇 가지 단점들이 존재한다. 그것을 3가지로 언급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김요한은 논문의 거의 대부분을 유비와 관련된 개념의 변천사 혹은 유비와 관련된 논리적 방법론 탐구에 할애하고 있다. 그러다보니 논문 안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할 형이상학적 주제들, 예를 들어 ‘신인동형론’(anthropomorphism)과 같은 문제에 대해서는 충분한 설명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것은 논문의 약점 중의 하나이다. 둘째, 김요한은 개념과 논리로 신의 본성을 파악할 수 있다고 전제 하에서 무타질라 학파의 칼람 논의를 구성하고 있다. 하지만 이것은 8-9세기 초기 이슬람 합리주의 연구에서는 유의미하나 이슬람 사회 전체를 놓고 이야기할 때는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는 것이다. 왜냐하면 이슬람 사회는 개념과 논리로 신의 본성을 파악하는 것 자체를 거부하는 오래된 전통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셋째, 김요한은 아리스토텔레스 철학과의 연관성 하에서 이슬람 철학과 그리스 철학의 연속성에 주목한다. 하지만 그는 연속성에 치우친 나머지 그 불연속성, 즉 그리스 철학과 차별화되는 이슬람 철학의 고유한 특성을 보여주는 데는 인색하다. 이는 이 논문의 아킬레스건이기도 하다. 결론적으로, 이슬람 철학은 그리스 철학과 연속하면서도 불연속하는 관계에 있다. 보편학을 추구한다는 점에서는 그리스 철학과 연속성의 관계에 있으나, 이슬람 공동체가 종교적 체험과 신비를 강조한다는 점에서는 그리스 철학과 불연속하는 관계에 있는 것이다. 김요한의 논문은 전자의 측면에 집중한 논문이다. 이제 그 후자의 측면, 즉 불연속성 측면에서 조명된 이슬람 철학 연구를 기대해 본다. 아마도 수피즘은 그 주된 대상이 될 것이다. This article proves to be a result of professional investigation contributing to studying on Islamic rationalism and also remarks on the period between the eighth and ninth century which would be an early period for rationalism, rather than its florescence in the twelfth century in Islamic philosophy. Investigating an early Islamic rationalism represented as ‘a theological school of Mu’tazilah’, the author attempts to sharply categorise and analyse, focusing on the concept of Kalām, a variety of effects derived from the meetings of Islamic and Greek philosophy. In addition he sheds light on the way to approach and to systematically understand active interaction between theology and philosophy of Islamic society in the Middle Ages. Despite these contributing factors, there could be still room for criticism. Firstly due to the fact that the author seems to allocate most of the contents in this article to a transitional history of concepts related to analogy and logical methodology, the essay loses sight on metaphysical themes, such as ‘anthropomorphism’ which should be significantly dealt with. Secondly, his argument on Kalām of the School of Mu’tazilah fully relies on the presupposition that the nature of God can be known by concepts and logical methods. Although this premise must have been a significant topic on Islamic rationalism in the specific period from the eighth to ninth century, it has been bitterly controversial on a general understanding of Islamic philosophy and society. Last but not least, this article pays considerable attention to continuity between Islamic and Greek philosophy only under the consistent impact of Aristotelianism. His partial approach necessarily results in a lack of revealing the essential feature of Islamic philosophy contrast to Greek one. This factor could be an Achilles’ heel. In sum, Islamic philosophy lies at the meddling place to be commensurable and incommensurable with Greek one. Arabic core ideas could be enough to share with Greek thoughts in pursuing the universal knowledge, on one hand, at the same time, both of them could be hardly common in that Islamic community had been strongly affected by its own faith relating to religious experience and mystery, on the other hand. Considering on both sides of speculative and cultic milieu in Greek culture, the article is only to emphasise the former, or theoretical and logical aspect, rather than the latter which played a crucial role in forming ancient Greek philosophy. For further studying on Islamic philosophy accessing to the mysterious and cosmological, Sufism should be excavated on the preferential bas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