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中國) 역대(歷代) 도망시가(悼亡詩歌)의 사회문화적(社會文化的) 배경과 문학예술적(文學藝術的) 특징 연구

        주기 ( Ju Gi-pyeong ) 한국중국어문학회 2018 中國文學 Vol.96 No.-

        悼亡詩是個用詩歌形式來悼念先亡夫妻的一種文學藝術樣式。中國悼亡詩有很悠久的來源, 先秦以前在 《詩經》中已經出現了悼念死亡的詩歌, 其悼念的對象各不同。但在漢代以前的詩歌中, 除了漢武帝的 《秋風辭》、《李夫人歌》、《落葉哀蝉曲》以外、難以找到類似悼亡詩的詩, 眞正的悼亡詩可以說到西晋孫楚 《除婦服詩》、番岳 《悼亡詩》3首以后才開始。魏晋南北朝悼亡詩形式和敍述方式上的主要特點是, 一, 寫出寂寞荒凉的居處和墓地。二, 寫出亡者的遺物。三, 組詩的趨勢。這樣敍述方式表明魏晋南北朝悼亡詩的對於漢代的繼承。 唐宋悼亡詩只不繼承前代的典型, 而再加上自己時代的固有特色。一, 贊美亡妻的美貌和品德。二, 寫留下的子女。三, 寫夢境的方式。 明淸時期悼亡詩在詩人和作品數量方面有了起飛的發展, 繼承了以前時期悼亡詩的典型, 只止於沿襲魏晋南北朝和唐宋時期傳統, 在風格和敍述方式上沒做出自己時代的固有特色。這成爲明淸悼亡詩墮落了缺少眞情的例行性悼念詩的主要原因。明淸時期悼亡詩的主要特點是, 一, 典型性和例行性的强化。二, 沒有寫子女。三, 女性悼亡詩人的增加和悼亡詩范圍的擴大。

      • KCI등재

        중국(中國) 고전시(古典詩)의 사회적 토대 강화방안 ―국내 출간 중국(中國) 고전시선집(古典詩選集)을 중심으로

        주기 한국중국어문학회 2012 中國文學 Vol.70 No.-

        本論文是以中國古典詩的社會土臺强化爲目的, 而以其具體的一個方案檢討了旣在韓國出版的各種中國古典詩選集的類型和詳細內容, 幷且據各種詩選集的類型考慮了能改善的地方. 然後關於爲了社會土臺强化向來要出版的中國古典詩選集應有?樣的指向, 還有應重點補完在?個部門, 提出了個人的觀點和方法. 中國古典詩選集大別爲三個類型; `時代選集`, `詩人選集`以及`主題選集`. 許多旣在韓國出版的中國古典詩選集有了重複出刊,疏略題目等等的毛病, 也沒有選詩的明確標準. 本論文闡明了這樣現狀的原因在於大衆性和專門性之間的一個模糊, 而這倒爲因不能充分地牽引一般大衆的要求, 最後導致不能完善和强化中國古典詩的社會土臺的結果. 所以本論又文闡明了向來要出版的中國古典詩選集應以據類型分別水平和保障系統性學習爲指向, 這樣以後才中國古典詩的社會土臺强化能實現. 眞正社會土臺的强化就是廣範`知性讀者`的形成, 也就是被這些人對於中國古典詩廣範推動更新的愛好和要求的.

      • KCI등재

        南朝 民歌의 형성과 전승의 양상 연구 —〈吳聲歌曲〉을 중심으로

        주기 한국중국어문학회 2019 中國文學 Vol.100 No.-

        In order to examine the formation and tradition of folk songs in the Southern Dynasty(南朝), this study divides folk songs of 〈WuSungGeQu(吳聲歌曲)〉 in the 〈YueFuSiJi(樂府詩集)〉 into the folk song of civil origins and the folk song of literate origins. I compared the origins, outlines, and aspects of borrowing, with the focus on the folk songs that borrowed by the other class. In the folk song of a literary person who borrowed the folk song of civil origin, the original song often changes in the contents. Especially, instead of ‘female speaker’ used in civil folk songs, it is mainly focused on ‘observer point of view’ to portray the beautiful and sexy figure of the woman, which is a variation of folk songs according to their emotions and preferences. On the other hand, in the general folk song borrowing the folk of literate origins, the original contents and narrative method are followed without modification. This can be attributed to the class situation according to the order of that time. 본고에서는 남조 민가의 형성과 전승의 양상을 고찰해보기 위해 《악부시집》에 수록되어있는 〈오성가곡〉의 민가를 ‘민간 기원의 민가’와 ‘문인귀족 기원의 민가’로 구분하여, 다른 계층에서 이를 차용한 민가를 중심으로 그 기원과 개략적인 내용 및 그 차용의 양상을 비교해보았다. 민간 기원 민가를 차용한 문인귀족의 민가에서는 내용에 있어 원곡의 변용이 자주나타난다. 특히 민간의 민가에서 사용되고 있는 ‘여성화자’ 대신 주로 ‘관찰자적 시점’을 차용하여 여인의 아름답고 농염한 모습을 집중 묘사하였으니, 이는 자신들의 정서와 취향에 따라민가를 변용시킨 것이라 할 수 있다. 반면 문인귀족 기원 민가를 차용한 일반 민가에서는 이에 대한 변용 없이 원곡의 내용과 서술방식을 그대로 답습하고 있다. 이는 당시의 신분질서에 따른 계급적 상황에서 기인한 것이라 할 수 있다.

      • KCI등재

        陸游詩詞比較硏究

        주기 한국중국어문학회 2015 中國文學 Vol.84 No.-

        . 육유는 남송의 대표적인 우국시인으로서 詞에서 있어서도 송대 다른 사인들과 구분되는 고유한 성취를 나타내고 있다. 본고에서는 송대 사대부들에 있어서의 사에 대한 견해를 바탕으로 육유의 詞觀을 고찰하고 144수의 육유의 사 전체를 대상으로 주제의 분포와 표현 방식 및 형식상의 특징들을 시와의 비교를 통해 고찰하였다. 육유의 사관은 당시 송대 사대부들의 이중적인 입장과 태도를 기본적으로 반영하고 있으며 시와 사에 대한 인식차가 존재하고 있었다. 다만 육유는 사에서도 시와 같은 기능과 역할을 기대하였던 까닭에 그의 사에서는 내재된 본능적 욕망과 문인사대부로서의 사명의식이 혼재되어 나타나는 모순된 양상을 보이고 있다.

      • KCI등재

        南朝 民間樂府에 나타난 고대 중국 민간의 사랑 - 〈吳聲歌曲〉을 중심으로

        주기 한국중국어문학회 2020 中國文學 Vol.102 No.-

        본고에서는 《악부시집⋅청상곡사》에 수록된 남조의 민가 중 〈吳聲歌曲〉을 중심으로 민간에서의 사랑의 내용과 방식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사랑의 단계를 ‘사랑의 시작’과 ‘사랑의 결실’, ‘사랑의 파국’의 세 단계로 구분하였으며 각 단계별로 민가에 나타난 사랑의내용과 방식이 문인귀족의 애정시와 어떤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오성가곡〉에서는 문인애정시에서와는 달리 사랑의 시작 단계와 결실 단계에서 여성 주도의 대담하고 적극적인 구애와 격정적인 사랑의 행위가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사랑의 파국 단계에서도 비록 변심한 임일지라도 임의 미래를 축원하는 문인 애정시와 달리, 〈오성가곡〉에서는 임에 대한 비난과 저주가 나타나고 있으며 외부의 억압이나 폭력으로 인한 파국의 상황이 나타나 있다. In order to examine the content and method of love among the populace in the Southern Dynasty (南朝), In this study divided love folk songs of 〈WuSungGeQu(吳聲歌曲)〉 in the 〈YueFuSiJi(樂府詩 集)〉 into three kinds folk song according to the stage of love; The beginning of love, The realization of love, The breaking of love, and contrasted it with the love poems of Literati. In the love folk songs of 〈WuSungGeQu(吳聲歌曲)〉, At the stage of the beginning and realization of love, The bold and aggressive courtship and passionate affection of women is prominent. and it is unlike passive common women in the love poems of Literati. In the love folk songs, at the stage of the breaking of love, there is a reprehension and curses of lover, and appeared a circumstances of breaking due to external oppression and violence. it is unlike common women are blessing the future of lover even if forsake her in the love poems of Literati.

      • KCI등재

        한국 대학에서의 중국고전시가 교육방법

        주기 한국중국어문학회 2012 中國文學 Vol.72 No.-

        本考的目的是爲了在韓國大學內探討有效的中國古典詩歌敎育方法。 在本考中, 首先槪括了韓國中學的漢文敎育課程、 漢文課的地位、 漢文課本內漢詩分量等, 而且考察了這樣中學的漢文敎育的在大學中國古典詩歌敎育的影響。 韓國中學漢文敎育的重點原在于培養字句了解能力和鑑賞古典詩歌的兩方面。 可是由于成爲自由課、 萎縮學習分量、 針對高大等現實的限制, 只處于培養字句了解能力的階段, 沒達到鑑賞古典詩歌的方面。 所以大學中國古典詩歌敎育也受了那個影響, 沒進向更高級的、 專門的以爲文學學習的中國古典詩歌敎育。 所以在本考中首先提起了大學的中國古典詩歌敎育不但應該培養字句了解能力和鑑賞古典詩歌, 而且把能寫古典詩歌應該作爲?的目標。 然後爲了達到那個目標, 提示了能考慮的幾個具體的實行方案。

      • KCI등재

        韓.中 悼亡詩의 서술방식과 상징체계

        朱基平(Ju, Gi-pyoung) 대동한문학회 2010 大東漢文學 Vol.32 No.-

        悼亡詩는 哀悼詩의 한 유형으로 아내를 애도의 대상으로 한 시이다. 중국의 경우 西晉代 潘岳의 가 가장 최초의 작품인데, 이후 애도시의 주된 제재로서 오랜 기간 지속적으로 지어져왔다. 오랜 한문화의 경험을 지니고 있는 우리 또한 역대 많은 시문집들 속에 悼亡詩가 산재되어 전해지고 있는데, 본고에서는 같은 한자문화권인 한국과 중국의 도망시를作詩현황과 서술방식 및 상징체계를 중심으로 상호간의 공통성과 차별성을 비교 고찰해 보았다. 悼亡詩의 역대 作詩현황에 있어, 중국의 경우 盛唐 이전까지 거의 미미한 수준에 불과하였고, 중당 이후 사회의 변화에 따른 문인들의 애정관의변화에 따라 상대적으로 활발한 창작이 이루어지기 시작했다. 이후 송대를 거쳐 청대에 이르기까지 비록 지속적으로 쓰여지기는 하였으나 전시기적으로 보아 悼亡詩에 대한 인식의 전환이나 창작 상황의 커다란 변화는 없었다. 이에 비해 우리의 경우 고려 후기부터 조선조에 이르기까지 각종의 시문집에서 많은 悼亡詩들이 산견되며 중국과는 달리 하나의 관습적양식이자 문학적 전통으로 자리 잡아 왔다. 悼亡詩의 서술방식은 ‘悲嘆, 鎭魂, 稱揚의 결합’과 ‘長篇化와 連作化’, ‘遺品의 媒介化’, ‘幻影과 幻聽의 차용’을 중심으로 비교해 보았는데, 이를 통해 韓中 悼亡詩들이 기본적으로 비탄의 정서를 위주로 하며 여기에 亡者에 대한 稱揚과 鎭魂을 결합시키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다만 중국의 경우 상대적으로 일관된 비탄의 정서가 두드러지게 나타나며, 칭양과 진혼의 방식및 내용에 있어서 우리와는 약간씩의 차이가 있었다. 아울러 長篇化와 連作化, 遺品의 媒介化와 幻影과 幻聽의 차용은 다른 哀悼詩들에 비해 悼亡 詩에서 두드러진 특징으로서, 韓中 도망시의 공통된 서술방식이었음을 알수 있었다. 悼亡詩의 상징체계는 ‘죽음의 形象’, ‘亡者와 作者의 形象’, ‘저승의 形象’으로 나누어 살펴보았으며, 이를 통해 韓中 悼亡詩가 서술방식뿐만 아니라 세부적인 표현 방법이나 차용된 이미지 등에서 많은 유사성이 있음을 알수 있었다. The ‘Condolatory poem(悼亡詩)’ is a poem which express husband’s deep sorrow over the death of his wife. This style of literature has its origin in China, the XiJin(西晉) dynasty, Pan-yue(潘岳). The similar literary tradition has been preserved in Korea. And there are more ‘Condolatory poem(悼亡詩)’ in a traditional anthology of Korea than in China. But it is similar to that of China in the many literal presentation. In this essesy, I compared the Korean ‘Condolatory poem’ with the Chinese's in a formula of description and symbols's aspect. In a formula of description, classified into four groups which are ‘Combination of grief, console and praise’, ‘Trend of long and reiterated works’, ‘making a relics as Intermediation’, ‘use of a phantom and hallucination’. On the foundation of grief, many Condolatory poem of Korea and China were combined with console and praise for a dead person. but A trend of consistent grief is more strong in China than Korea relatively, and there are a little unlike in a contents of console and praise also. The remaining three groups are similar in the literal description In a literal symbols,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which are ‘Symbol of Death’, ‘Symbol of dead person and writer’, ‘Symbol of after life’. In this three groups, most Condolatory poem of Korea and China represent similar trend and description. In conclusion, Condolatory poem of Korea and China have similar literary tradition in a formula of description and symbols, although they have a little difference in other aspect

      • KCI등재

        《십초시(十抄詩)》소재 조당(曹唐) 유선시(游仙詩)의 의의와 가치

        주기 영남중국어문학회 2012 중국어문학 Vol.0 No.61

        曹唐是?唐, 以其遊仙詩聞名. 現在小遊仙詩九十八首和大遊仙詩十七首傳在《全唐詩》裏. 韓國高麗時代編纂的《十抄詩》裏也有曹唐詩十首, 其中八首是沒在《全唐詩》裏的佚詩.用這些佚詩我們可以闡明曹唐遊仙詩的大體規模和特色, 所以這本具有?重要的文籍上意義和價値. 我在本考裏分析了《十抄詩》裏的八首曹唐佚詩,而能明白了曹唐遊仙詩的特色; 曹唐遊仙詩創新了漢魏以來的中國遊仙詩的傳統, 而開闢了中國遊仙詩的新領域. 曹唐把神話故事作爲了他遊仙詩的主要題材, 開闢了以神話中心的敍述方式, 而且通過自己的想像改變了神話的原義. 他的這洋作法是在以前的遊仙詩裏不能看見的. 通過分析《十抄詩》裏的佚詩<再訪玉眞不遇>,我們能壹貫周到的構成了周穆王遊仙詩的內容結構. 通過<武帝將感西王母降>裏的疊字用例, 我們能發明了在曹唐遊仙詩疊字活用不是常見的壹般傾向,而是只在《全唐詩》常見的, 所以不能肯定曹唐遊仙詩善用疊字. 其外, 曹唐特別愛好西王母故事這壹件事實, 則說明他的詩?多受到晩唐艶麗風度的影響.

      • KCI등재

        진자앙(陳子昻) 종군시(從軍詩) 연구

        주기 ( Ju Gi-pyeong ) 한국중국어문학회 2017 中國文學 Vol.92 No.-

        陳子昻의 종군시는 총27수로서, 그의 대표작이라 할 수 있는 〈感遇詩〉 38수와 더불어 그가 주장했던 漢魏詩로의 복귀와 建安風骨의 부활을 잘 담아내고 있는 작품이다. 본고에서는 진자앙시의 위상과 가치에 대한 종합적인 판단과 당풍의 선구로서의 그의 시의 역할과 한계에 대한 보다 객관적인 평가를 목적으로, 그의 從軍詩를 대상으로 그 형식상의 특징과 내용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성당 변새시와의 계승 및 영향관계에 대해 살펴보았다. 진자앙의 종군시는 형식상 모두 오언고시로 이루어져 주로 기증이나 답신의 형식과 연작시의 방식을 사용하고 있으며, 그 내용은 주로 조정에 대한 비판과 변방 안정책의 제시, 향수와 병사들의 고통, 공업수립의 절망과 좌절로 이루어져 있다. 그의 종군시의 바탕이 되고 있는 공업수립의 지향은 개인적 영달이 목적이 아닌, 시대에 대한 사명감과 국가에 대한 책무의식에서 비롯된 것이었다. 따라서 비록 종군을 동일한 창작의 배경으로 하고 있으나 그 목적이 달랐던 성당 변새시와 비교하여 내용은 물론 형식과 서술 방식 등에 이르기까지 많은 부분에서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는 진자앙의 종군시와 변새시인들의 변새시 사이에 상호 긴밀한 영향관계나 계승성이 존재하지는 않음을 말해주는 것으로, 성당시인에 대한 진자앙의 영향성의 한계를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Chen ZhiYang(陳子昻)`s military poetry is a total of 27 poems, and it is a work that shows the return of the Han Wei poem and the resurrection of the JianAn ethos that he insisted on, as well as his famous poem the 〈Ganyu〉 a total of 38.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vide a comprehensive assessment of the status and value of his poetry and to provide a more objective assessment of the role and limitations of his poetry as a leader Cheng Tang`s poems. And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and contents of his poetry. Based on this, we examined the succession and influence relation with the Cheng Tang`s poems. All of the forms of the Chen ZhiYang(陳子昻)`s military poetry are composed of Five Words Old Poetry, mainly using the form of donation or reply and the method of the Serial poetry. The contents mainly consist of criticism about the court, despair and frustration about accomplishment of his desire, etc. Accomplishment of his desire was based on his sense of social duty and responsibility for the country, was not a purpose of personal desire. Therefore, although as a military poetry it is based on the same creation, it differs greatly in many aspects, from content to form and narrative method, compared with the Cheng Tang`s Frontier Poetry. And this implies that there is no close relationship or succession between the military poetry of Chen ZhiYang and the Side wall poems of Cheng Tang. It shows the limit of the influence of Chen ZhiYang on the poet of Cheng Tang.

      • KCI등재

        『유원총보(類苑叢寶)』에 나타난 중국 『유서(類書)』 전통의 한국적 계승과 수용 양상

        주기 ( Ju Gi Pyeong ) 한국사상사학회 2018 韓國思想史學 Vol.0 No.59

        『유원총보(類苑叢寶)』는 『지봉유설(芝峯類說)』에 이어 우리나라에서 편찬된 두 번째 주제별 유서(類書)로서, 중국의 대표적인 유서인 『사문유취(事文類聚)』를 바탕으로 『예문유취(藝文類聚)』, 『당유함(唐類函)』, 『천중기(天中記)』, 『산당사고(山堂肆考)』, 『운부군옥(韻府群玉)』 등 5종의 다른 유서들을 참고하여 편찬되었다. 『유원총보』는 기존 중국 유서의 편찬 기준을 따르면서도 우리의 처지와 실정에 따라 분류 항목과 세부 서술 방식을 변화시킴으로써 중국 유서 전통의 한국적 계승과 수용의 양상을 잘 보여준다. 『유원총보』는 조선의 양대 전란 이후 많은 서적들이 소실되고 새로이 책을 간행할 수 있는 여건이 여의치 못한 상황에서 문인들의 학습 참고용을 목적으로 하여 편찬되었다. 따라서 체제와 형식 및 내용의 서술 방식에 있어 유서 내용의 압축과 결합이라는 고유한 형태를 띠었으며, 『예문유취』와 같은 관찬유서(官撰類書)의 분류기준을 따르면서 관찬유서가 존재하지 않는 당시 현실을 극복하려 하였다. 다만 지나친 내용의 축약이나 잘못된 출전 및 내용의 인용 등은 한계로 지적할 수 있다. 『Yuwencongbo(類苑叢寶)』 is the second theme-related book compiled in Korea following 『Jibongyusel(芝峯類說)』. Based on the representative Chinese Yuse 『Samunyuqu(事文類聚)』, It was compiled with reference to five different kinds of books, such as 『Yemunyuqu(藝文類聚)』, 『Dangyuham(唐類函)』, 』Chenjunggi(天中記)』, 『Sandangsago(山堂肆考)』, 『Yunbugunok(韻府群玉)』. 『Yuwencongbo』 changed the classification and detailing method according to korean situation and circumstances even after following the standard of Chinese Yuse’s traditional writing. Therefore, it shows well the aspect of the Korean inheritance and acceptance of Chinese Yuse’s tradition. "A" is compiled for the purpose of learning reference of literary people in the situation where many books have been lost and new book is difficult to publish since two big war in Chosen dynasty. Therefore, in the description of the system, type, and contents, it has a unique form of compression and connection of the contents of Chinese Yuse. In addition, through trying to follow the standards of classification of Chinese official Yuse such as "Yemunyuqu", tried to overcome the difficulties of reality at the time when no official Yuse existed. However, excessive abbreviations of contents, incorrect sources and quotations of contents can be pointed out as disadvantages and limit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