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들이 유아 과학 활동 장면을 떠올리며 그린 그림(drawings)

        장정윤,강경미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11

        목적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들이 유아 과학 활동 장면을 떠올리며 그린 그림 분석과, 그림에 대한 면담을 통해 유아과학교육에서가르칠 교육 내용 및 방법에 대한 방향을 잡는 데에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하여 A시 소재 4년제 대학교 유아교육과 34명을 대상으로 유아과학교육 수업 시간에 유아 과학 활동 장면 그리기를실시한 뒤 그 중 9명의 학생들과 면담을 실시하였다. 예비유아교사들이 그린 그림(drawings)의 내용은 유아과학교육 내용에 따라분류하여 경향을 살펴보았으며, 면담 자료는 반복해서 읽으며 주요 키워드와 주요 내용을 토대로 범주화하였다. 결과 본 연구에서 예비유아교사들이 그린 그림을 분석한 결과, ‘식물을 가꾸고 관찰하기’, ‘동물을 기르고 관찰하기’ 장면이 가장많이 나타났으며, ‘선생님과 함께 실험하기’, ‘놀이 안에서 과학하기’, ‘야외학습에서 동식물 경험하기’는 상대적으로 적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예비유아교사들이 유아 과학 활동에 대해 ‘동식물’, ‘생명과 자연환경’ 관련 주제나, 실내에서 이루어지는 과학 활동 유형에 편중된 생각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면담을 통해 예비유아교사들이 과학과 관련된 부정적 경험과 정서를 가지고 있으며, 심적으로 불편해하고 어려워하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결론 유아과학교육 시간에 교수자가 과학교육의 내용을 보다 다양하게 구성하고, 예비유아교사들과 함께 관련 과학 활동들을 직접체험해보는 과정이 필요함을 알게 한다. 또한, 그들의 과학에 대한 무관심과 과학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도 함께 낮추어 줄 필요가있음을 시사하는 바이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drawings and interview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on early childhood science activities and to orient them on the educational contents and methods to be taught in early childhood science education. Methods For this purpose, 34 students from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t a 4-year university located in City A were asked to draw scenes of early childhood science activities during an early childhood science education class, and then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9 of them. The content of the drawings drawn by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a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content of early childhood science education to examine trends, and the interview data was read repeatedly and categorized based on major keywords and main content. Results In this study,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drawings were analyzed and found that the most common scenes were ‘growing and observing plants’ and ‘raising and observing animals’. But ‘experimenting with the teacher’, ‘doing science in play’, ‘experiencing plants and animals in outdoor learning’ were relatively rare. Through these research results, it was found that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have biased ideas about early childhood science activities, topics related to ‘animals and plants’, ‘life and the natural environment’, and the types of science activities that take place indoors. The interviews also revealed that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have negative experiences and feelings related to science, which makes them feel uncomfortable and have difficulty with science. Conclusion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for instructors to reflect more diverse contents of science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science education courses and to experience science activities directly with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addition, this suggests that there is a need to reduc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ndifference to science and their vague fear of science.

      • KCI등재

        Fuzzy Monte Carlo simulation을 이용한 물리 사면 모델 기반의 상주지역 산사태 취약성 분석

        장정윤,박혁진,Jang, Jung Yoon,Park, Hyuck Jin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17 자원환경지질 Vol.50 No.3

        정량적인 산사태 취약성 분석 중 물리 모델 기반의 분석(physically based approach)은 산사태의 발생 메커니즘 과정을 고려할 수 있는 장점으로 인해 다양한 취약성 분석기법 중 가장 효과적인 기법으로 알려져 있다. 물리 모델 분석은 사면의 지형학적 및 지질공학적 특성과 관련된 입력 자료들을 활용하는데, 현장으로부터 지질공학적 특성을 획득하는 과정에서 지반의 공간적 변동성과 복잡한 지질조건으로 인해 불확실성이 발생하며 이는 부정확한 결과를 초래한다. 따라서 이러한 불확실성을 정량화하기 위하여 확률론적 기법이 활용되어 왔다. 그러나 확률론적 분석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입력변수의 확률특성은 현장 조사나 실험에서의 수량 제약으로 인하여 정확하게 파악하기 힘들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원인으로 인해 발생하는 불확실성을 다루기 위하여 퍼지집합이론(fuzzy set theory)을 활용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퍼지집합이론과 몬테카를로기법(Monte Carlo simulation)을 결합한 분석기법을 제안하였고 이를 실제 산사태가 발생한 연구지역에 적용하여 적정성을 파악하였다. 이를 위하여 1998년 8월 대규모의 산사태가 발생한 경상북도 상주시 일대를 연구지역으로 선정하고 산사태 취약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퍼지몬테카를로기법(Fuzzy Monte Carlo simulation)의 예측 정확도 비교를 위해, 기존의 확률론적 기법인 몬테카를로기법(Monte Carlo simulation)과 안전율 수행 결과와 비교분석 하였다. 그 결과 퍼지몬테카를로기법(Fuzzy Monte Carlo simulation)이 다른 기법에 비해 가장 좋은 예측의 정확도를 보였다. Physically based landslide susceptibility analysis has been recognized as an effective analysis method because it can consider the mechanism of landslide occurrence. The physically based analysis used the slope geometry and geotechnical properties of slope materials as input. However, when the physically based approach is adopted in regional scale area, the uncertainties were involved in the analysis procedure due to spatial variation and complex geological conditions, which causes inaccurate analysis results. Therefore, probabilistic method have been used to quantify these uncertainties. However, the uncertainties caused by lack of information are not dealt with the probabilistic analysis. Therefore, fuzzy set theory was adopted in this study because the fuzzy set theory is more effective to deal with uncertainties caused by lack of information. In addition, the vertex method and Monte Carlo simulation are coupled with the fuzzy approach. The proposed approach was used to evaluate the landslide susceptibility for a regional study area. In order to compare the analysis results of the proposed approach, Monte Carlo simulation as the probabilistic analysis and the deterministic analysis are used to analyze the landslide susceptibility for same study area. We found that Fuzzy Monte Carlo simulation showed the better prediction accuracy than the probabilistic analysis and the deterministic analysis.

      • KCI등재

        이라크 전쟁 속 미국 여군의 전형적인 유형 연구: 베네딕트의 모래 여왕

        장정윤 서울대학교 미국학연구소 2022 미국학 Vol.45 No.2

        This study explores how the female soldiers dispatched to the war in Iraq are represented in Helen Benedict’s novel Sand Queen (2012). There are three American female soldiers—Third Eye, Yvette and Kate—who symbolize typical figures of female soldiers. First, Third Eye, who showcases 'female masculinity' by acting like a man, undertakes the prostitute role that strengthens the sense of homogeneity and raises the morale of the male soldiers. Second, Yvette is the strangeness that must be excluded from the military. Third Eye and Yvette symbolize either 'non-existence' or 'the prostitute' constructed through strong masculinity. The difference between these two soldiers and Kate is that she has changed from 'the militarized femininity' that forces the female soldier to be effeminate to a monster with a twisted body. Kate's monstrous body implies that in order for a woman to enter the army, she must face how her femininity can be applied towards military morale and masculinity.

      • KCI등재

        초기 코로나19 위기 동안 청소년의 성별과 신체활동 수준에 따른 스트레스와 심리적 상태의 관계

        장정윤 한국발육발달학회 2021 한국발육발달학회지 Vol.29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relationships of adolescents’ stress and psychological state by gender and physical activity level during the early COVID19 crisis. Data were collected from 1977 middle school students through an online survey.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As a resul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gender, physical activity level, COVID19 stress, loneliness, anxiety, depression.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COVID19 stress, loneliness, anxiety, depression by gender, physical activity level. The e ffects of COVID19 stress between loneliness, anxiety and depression was strong in boys and s trenuous physical activity level. Therefore, given the gender and level of physical activity of adolescents, there is a need for a multifaceted approach to develop a program that enable adolescents to enjoyably engage in physical activities.

      • KCI등재

        상대평가 시대의 질투와 시기 그리고 ‘보통의 삶’의 가능성- 한국 드라마 <치즈인더트랩> 연구

        장정윤 대중서사학회 2017 대중서사연구 Vol.23 No.2

        이 논문은 상대평가에 의해 뽑히거나 아니면 뽑히지 않는 극한의 경쟁 체제 속에서 청년들이 느끼는 질투와 시기 감정의 특징을 살펴보고, 질투와 시기로부터 벗어날 수 없다면 이 감정을 통해 사회에 적응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려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이 논문은 웹툰 <치즈인더트랩>을 각색하여 2016년에 TV 드라마로 방영된 <치즈인더트랩>을 분석한다. 이 드라마는 캠퍼스 로맨스를 표방하지만, 그 이면에는 상대 평가로 끊임없이 경쟁하고 질투와 시기심을 느끼는 다양한 인물들이 등장하고 있다. 김상철, 유정, 홍설이 느끼는 시기와 질투 감정은 두 가지 감정 양상을 보여준다. 우선, 김상철이 느끼는 시기심은 자신보다 우월한 것을 뛰어넘어보도록 자극하는 감정이 아니라, 현실 속에서 낙담하게 만드는 감정이다. 김상철이 느끼는 시기심은 상대평가 체제 속에서 ‘보통의 삶’을 꿈꾸기조차 힘들어진 냉혹한 현실을 드러낸다. 한편, 경제적 배경이 너무 다른 유정과 홍설은 서로를 통해 시기와 질투 감정을 느끼고, 또한 주위 사람들의 감정을 이해하게 되면서 점차 자기 자신과 타인이 처한 상황을 알아가게 된다. 이 논문은 시기와 질투 감정이 경쟁에만 매달리게 만드는 현대 한국 사회에서 피할 수 없는 대표 감정으로 규정하고 이 감정이 개인들에게 허세, 낙담, 분노, 무감각으로 나타나는 상황을 분석하려고 한다.

      • KCI등재

        근대 여성음악가 김메리에 대한 기초연구- 1950년대까지의 음악활동을 중심으로

        장정윤 한국예술종합학교 한국예술연구소 2021 한국예술연구 Vol.- No.32

        This paper is a fundamental study on Mary Chesik Kim Joh (1906-2005), a female musician who had studied abroad in early modern Korea, and deals with her musical activities until the 1950s. She is recognized as an early female musician who composed as well as wrote the lyrics of well-known children’s song called School Bell, but there is no research on her activities or works yet. So this study starts by the work of ascertaining related events and figures in her retrospective autobiography School Bell Ding-ding-dong (1996). In addition to newspapers and magazines, details were cross-checked with information in her autobiography, and based on newly discovered primary sources such as a copy of her visa and personal documents submitted when she went aborad and the records from universities and archives in the U.S., this paper seeks to document basic biographical information such as real name and birth date and examine her various musical activities like composing, writing lyrics, musical performances and music education in detail. 본 논문은 초기 음악유학을 경험한 여성음악가 김메리(1906-2005)에 대한 기초연구로 1950년대까지의 음악활동을 다룬다. 김메리는 <학교종>을 작사·작곡한 초기 여성작곡가로 인식되고 있음에도 아직까지 연구되지 않았기에 본 연구는 회고형식으로 서술된 김메리의 자서전 『학교종이 땡땡땡』(1996)을 바탕으로 관련된 사건과 인물을 확인하는 작업에서 출발한다. 신문기사와 잡지 외에 김메리가 미국 입국 시 제출했던 문서 및 비자 그리고 미국 대학과 아카이브에 보관되어있는 기록 등 새롭게 발굴한 1차 자료를 기반으로 자서전의 정보들을 비교·대조하여 구체적인 내용들을 확인해보았으며, 김메리의 본명과 출생년도와 같은 기본정보를 확인하고, 작곡, 작사, 연주, 교육 등 다양한 음악활동을 구체적으로 파악해 본다.

      • KCI등재

        무용영화 <댄싱 베토벤>에 관한 고찰

        장정윤 영남춤학회 2021 영남춤학회誌 Vol.9 No.3

        <Dancing Beethoven> as a dance film provides objective information about the procedure of getting a dance piece reborn as a movie. The procedure of film making shows Bejar’s view of art and Beethoven’s musicality, In Bejart’s Dance piece <The 9th Symphony> and Beethoven’s <Symphony no.9, “Choral”>, there finds the rhythmic sense, contrast(death and revival, sky and earth), theatricality and transcendent willpower. which were embodied and actualized in the film. Bejart’s view of art is inspired by reincarnation, for example the death and rebirth of life, which is sublimed as circular angle and movement pattern as well as the circular design on the stage floor expressing the iterative structure. The film <Dancing Beethoven> intends to constitute several events and daily living projected into the screen. The format of narration that inspire the audience’s imagination between the observer’s objective standpoint and producer’s subjective viewpoints, is considered as unique intention of the film. <Dancing Beethoven> produces the spectacular scenes by collaboration of Switzerland Ballet Lausanne, Tokyo Ballet, Zubin Metha’s directing Israel Philharmonic Orchestra. The film leaves a touching impression in accordance with the communication of inside and outside of stages as well as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senses and recognition of dancers and artists. 무용영화 <댄싱 베토벤>은 베자르의 무용작품 《제9번 교향곡》(1964)이 영화로 재탄생하기까지의 과정과 결과에 대한 객관적인 정보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공연의 기록이나 역사적인 자료를 제공하였다. 영화는 모리스 베자르의 예술관, 베토벤의 음악성, 음악과 무용의 조화, 무용수 등 참여자들의 제작 태도를 보여주었다. 영상매체를 통한 무용작품《제9번 교향곡》은 베토벤 <교향곡 제9번, ‘합창’>과의 예술협력에 의해 리듬감, 죽음과 부활의 대조, 하늘과 땅의 합일, 인간 본연의 존재, 초월적 의지력 등을 찾아볼 수 있게 하였다. 영화라는 또 다른 스케일의 구조 속에서 베자르의 무용이 형상화되고 구체적으로 드러나게 된 것이다. <댄싱 베토벤>에는 영화의 기록을 위한 9개월의 연습 기간과 제작과정, 다양한 등장인물의 준비과정 등에 나타난 여러 사건과 일상적인 모습들이 화면으로 구성되었다. 영화 속의 대사와 담화형식은 객관적인 관찰자의 입장과 주관적인 제작자의 관점을 교차시켜 관객의 상상력을 자극하는 역할을 하였고, 춤의 예술성을 인간 존재의 삶 속으로 끌어들이고자 한 영화의 고유한 의도로서 구성되었다. 영화 관객은 예술가와 예술 그리고 작품에 대해 알아 가면서 무용수와 예술가가 겪는 무대 안과 밖의 교류, 인식과 감각 사이의 교류에 대해 경험하고 감동한다. <댄싱 베토벤>의 제작을 위해 스위스 베자르 발레 로잔, 일본 도쿄발레단, 주빈 메타의 이스라엘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와 합창단이 협업하였고, 그 결과 무용공연으로 탄생하는 베토벤의 ‘합창’은 스펙터클한 무용의 압도적인 광경을 연출하였다.

      • KCI등재후보

        무용하는 신체에 관한 철학적 고찰

        장정윤 韓國舞踊敎育學會 2004 韓國舞踊敎育學會誌 Vol.15 No.1

        Perception must be the fundamental both of reflective thinking by Merleau-Ponty and of aesthetic experience in dance. By perceptive action, we reflect the sense experience. The thesis comprehends that perception is the essence of phenomenon that is foundation of signified existence of dance. By perception, the visible phenomenon of dance, the invisible-essential foundation and the relation between the visible and the invisible can be clarified. The thesis discusses about the realization of the visible and the invisible through choreographers' creative processes with their dancers' bodies. The creative process utilizing variously the dimensional bodies by different choreographers are discussed for the construction of dance ontology. Furthermore the discussions are summarized as follows: 1)The thesis discusses the lived experience basing on the conception of sense and perception by Merleau-Ponty, explores the dancer's body through existence of dance basing on the intentionality of experience, and comprehends the phenomenon and substance of dance basing on immediate experience, consciousness and consciousness- world. 2)The visible in dance means phenomenon, that is time, space, interacting force and physicality, on the other hand, the invisible means the significance of expressive movement, inner landscape and aesthetic contents. 3)Historically dancers' bodies utilized by choreographers are considered to be the bodies as media, cognitive subject, expressive purpose, image and activity itself. The dancer's body accomplishes the pure substance of dance and dance-ontology in cooperation with dance's imaginative and symbolic function.

      • KCI등재

        Impact of a Geometric Correction for Proximal Flow Constraint on the Assessment of Mitral Regurgitation Severity Using the Proximal Flow Convergence Method

        장정윤,강준원,양동현,이사민,선병주,김대희,송종민,강덕현,송재관 한국심초음파학회 2018 Journal of Cardiovascular Imaging (J Cardiovasc Im Vol.26 No.1

        Background: Overestimation of the severity of mitral regurgitation (MR) by the proximal isovelocity surface area (PISA)method has been reported. We sought to test whether angle correction (AC) of the constrained flow field is helpful to eliminateoverestimation in patients with eccentric MR. Methods: In a total of 33 patients with MR due to prolapse or flail mitral valve, both echocardiography and cardiac magneticresonance image (CMR) were performed to calculate regurgitant volume (RV). In addition to RV by conventional PISA (RVPISA),convergence angle (α) was measured from 2-dimensional Doppler color flow maps and RV was corrected by multiplying byα/180 (RVAC). RV measured by CMR (RVCMR) was used as a gold standard, which was calculated by the difference between totalstroke volume measured by planimetry of the short axis slices and aortic stroke volume by phase-contrast image. Results: The correlation between RVCMR and RV by echocardiography was modest [RVCMR vs. RVPISA (r = 0.712, p < 0.001)and RVCMR vs. RVAC (r = 0.766, p < 0.001)]. However, RVPISA showed significant overestimation (RVPISA - RVCMR = 50.6 ± 40.6mL vs. RVAC - RVCMR = 7.7 ± 23.4 mL, p < 0.001). The overall accuracy of RVPISA for diagnosis of severe MR, defined as RV ≥ 60mL, was 57.6% (19/33), whereas it increased to 84.8% (28/33) by using RVAC (p = 0.028). Conclusion: Conventional PISA method tends to provide falsely large RV in patients with eccentric MR and a simple geometricAC of the proximal constraint flow largely eliminates overestim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