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식품 패키지에 나타난 언어의 분석을 통한 진정성 마케팅 연구 -라면패키지 사례-

        장정윤,황조혜 한국외식경영학회 2019 외식경영연구 Vol.22 No.3

        This study examined the usage of authenticity languages in food package according to the five authenticity dimensions and the differences of authenticity languages shown in two types of korean ramen(high-priced/low-pric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uthenticity of languages of ramen packages were manifested by various characteristics. The naturalness was expressed natural ingredients, sincere food and unprocessed food. The originality was described products sold continuously with history and tradition. The exceptionality was depicted special food beyond convenience. The reference was elaborated recall memories and linkage between subjects and human relations. The influence was shown eco-friendliness and public interest. The high-priced ramen packages contained the languages representing natural, healthier, differentiated, and high-class food despite of unhealthy perception of instant noodles. The languages of the low-priced ramen delivered the meaning of comfort or healing food and happiness as a familiar food. 본 연구는 Gilmore & Pine(2007)의 진정성 이론의 5가지 차원(자연성, 독창성, 특별함, 연관성, 영향력)에 입각하여, 첫째, 라면 패키지언어에서 진정성이 어떠한 양상으로 나타나는지, 둘째, 제품의 가격에 따라 각 차원별 진정성이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는가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자연성은 자연의 식재료 사용, 실제 존재하는 음식명, 제조과정, 좋은 원재료 사용, 직접 만든 정성스러운 조리방법, 국내산 식재료의 사용, 국물의 풍미 표현으로 나타났다. 독창성은 제품이 유래한 지역명, 최초성, 요리의 정통성, 요리의 고유성으로 나타났다. 특별함은 면의 식감에 대한 관능적 품질, 개별성, 전문성, 편의성, 우수성으로 나타났다. 연관성은 과거․추억․회상, 실제의 음식과 연계(유사성), 인간관계의 대상 연계, 진심․정성으로 나타났다. 영향력은 친환경과 공익으로 나타났다. 고가라면은 라면이라는 간편식을 섭취하지만, 천연의 자연 재료들을 사용하여 정성을 다하고 기본을 지킨 제조과정을 추구함으로써, 조금 더 건강한, 차별화 및 고급화된 음식의 본질적 의미에 충실한 제품을 선호하고, 자신들의 미각적 수준을 특정 전문가 그룹과 동일시함에서 즐거움을 찾는 소비자들을 타깃으로 한 것으로 해석된다. 저가라면은 업계의 선구자격인 제품으로, 믿을 수 있는 국내산 식재료의 신뢰를 추구하고, 제품의 편의성을 중요시하는 소비자들을 타깃으로 하며, 누구에게나 해당되는 대중적․집단적 소속감에 연결하여, 라면이 우리 일상에서 쉽게 접하는 친근한 식품임과 동시에 편안함, 위로, 행복감 등을 기대하는 컴포트 푸드나 힐링 푸드로서의 의미로 해석된다. 다양해진 소비자 취향의 변화로 새롭고 이색적인 제품들의 경쟁이 치열한 식품시장에서, 마케팅 실무자들은 판매하고자 하는 제품의 특성 및 장점을 잘 나타낼 수 있는 적합한 진정성 영역들을 적절하게 매칭하여 조합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세분화된 소비자 계층에 맞는 세분화된 패키지 언어를 사용해야 할 필요가 있다.

      • 무용미학의 제문제들에 관한 고찰(2)

        張禎允 東亞大學校 1995 東亞論叢 Vol.32 No.-

        This paper issues on the aesthetics of Modern Dance 1900's~1980's Chapter 2 deals with fundamental inquires beared by modern dance, dancer, choreographer and dance production as well as dance criticism. I also discussed in the chapter dance theories in regard with general aesthetics of dance theories by Rudolf von Laban, John Martin and Sunsanne K.Langer. Analysing the terms dervied from their thoughts such as aesthetic consciousness, aesthetic judgement and aesthetic medium, I found out the various aesthetic view points implied in modern dance. Those conceptual problems and problems of aesthetic viewpoints of modern dance are concerning to contemporary dance styles and their using of dance movements. The aesthetic elements of dance movements by Isadora Duncan, Doris Humphrey, Martha Graham and Hose Limon were examined. Aesthetic viewpoint after 1950's were analysed in the dance of Alwin Nikolai and Merce Cunningham. Terminological problems of 'expression' and 'meaning' in the dance after 1950's were resolved and analysed in the phenomenological explanation by Sondre Fraleigh. In spite of all attempts to deny the expressive dance movements, to exclude the dance technique and to replace with the usual pedestrain movements, post-modern dance approved that dance must be realised by dance movements so that to be apprehended as a new dance. Modern dances of 1900's ~1980's are considered to demand the specific body quality to dance, and to show transforming process of creativity.

      • KCI등재

        정서·행동장애학생이 참여한 봉사학습 프로그램 분석

        장정윤,이영선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3 특수교육 Vol.12 No.1

        본 연구는 정서·행동장애학생이 참여한 봉사학습 프로그램과 관련하여 이루어진 국외 문헌들을 종합적으로 검토한 후, 봉사학습의 단계와 필수요소를 분석하고 재구성하여 정서·행동장애학생들에게 의미 있는 봉사학습의 단계와 요소들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정서·행동장애학생이 참여한 봉사학습 프로그램과 관련된 11편의 국외 문헌들을 분석 자료로 활용하여 저자(발표연도), 연구 참여자, 연구 유형, 프로그램 내용, 평가 방법, 연구 결과를 중심으로 1차 분석 하였다. 2차 분석은 정서·행동장애학생이 참여한 봉사학습 프로그램에 대한 단계 및 요소별 심층 분석으로서, 활동 계획·준비, 활동 실행, 활동 평가, 수료의 4단계와 지역사회 요구탐색, 개인적인 흥미와의 연관성, 교육과정과의 연관성, 봉사학습 준비교육, 진행과정 모니터링, 지속적, 정기적 시행, 다양한 협력자들의 참여, 반성적 성찰, 활동 후 평가, 성취에 대한 자축과 격려의 10단계를 적용하여 총 8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분석결과, 8편의 연구에서 지속적·정기적 시행, 활동 후 평가, 반성적 성찰, 봉사학습 준비교육요소 순으로 많이 포함하고 있었고, 개인적 흥미와의 연관성과 진행과정 모니터링요소는 비교적 낮은 포함률을 보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정서·행동장애학생들을 위한 봉사학습프로그램의 개발 및 활용과 관련하여 논의가 이루어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wo folds: (1) to review and analyze overseas research on service-learning programs for students with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EBD) and (2) to suggest meaningful stages and elements of service-learning programs for students with EBD. For this study, 11 research on service-learning programs for EBD students were chosen and analyzed on authors(year), participants, type of research, program contents, evaluation design, results. Secondary analysis is focused on the 4 stages(planning and preparation, implementing the activity, evaluation, ceremony) and 10 elements(search for community needs, connection to personal interest, link to curriculum, preparing students for service-learning, progress monitoring, regular and ongoing implementation, partnership, reflection, program evaluation after implementation, celebration) of implementing service-learning programs for EBD. The elements most frequently discussed were (a) regular and ongoing implementation, (b) program evaluation after implementation, (c) reflection, and (d) preparing students for service-learning. Least mentioned were (a) connection to personal interest and (b) progress monitoring. From the result of the analysis, implications and discussions for further studies and practice were conducted.

      • 모던댄스에 보이는 東洋的 思惟

        張禎允 東亞大學校附設스포츠科學硏究所 1991 스포츠科學硏究論文集 Vol.9 No.-

        Ideational approach of modern of modern dance to the Orient was considered to affect its movement principles, aesthetics and choreographic process. The purpose of this was to eliminate those thematic ideas of modern dance, apprehending about modern dance-concepts, media and methodologies better than any other dance forms. The study discusses four themes of ideational approach of modern dance since 1900's to the Orient. First, spiritual experience and self-awareness through dancing bodies. Second, thinking procedure and its structure appropriated to Zen ideas. Third, acceptance of oriental martial arts for the development of attitudes and techniques. Fourth, the idea of mysticism translated into the relationship of human spirit, body and mind.

      • KCI등재

        워드 임베딩을 활용한 ‘여군’ 이미지 분석: 2014-2019년 기사 말뭉치를 중심으로

        장정윤 육군사관학교 화랑대연구소 2022 한국군사학논집 Vol.78 No.1

        본 연구는 언론 미디어에서 재현된 여군에 대한 인식과 이미지를 구체적으로 살펴보기 위해2014년에서 2019년까지의 대표 중앙일간지 가운데 ‘여군’ 키워드가 출현한 기사 말뭉치를 워드 임베딩 기법을 활용한 데이터 분석을 수행하였다. 임베딩 데이터의 군집화 양상을 바탕으로 4개(방송이슈(A), 성폭력이슈(B), 군 내 역할이슈(C), 기타이슈(D))의 유형을 분류하고, 유형별 이미지 분석을 위해 핵심 키워드 분석을 진행하였다. A-D형의 이미지 유형을 다룬 기사들의 공통점은 언론 미디어에서 그려지는 여군의 이미지들이 실제 여군의 모습과 그들의 전문성을 정립하는 방향보다는 사회에서 기대하는 여군의 이미지를 재생산하는 방식으로 소비되고 있다는 점이다. 결론적으로, 신문 기사를 통해 생산되는 A-D형 이슈에서의 여군 이미지 분석을 통해, 여전히 사회에 퍼져있는 여군의 왜곡된 이미지와 인식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죽음을 통한 자아 성찰 연구 : 존 밀턴(John Milton)의 「리시다스」"Lycidas"를 중심으로

        장정윤 숙명여자대학교 지역학연구소 1999 지역학논집 = Research Institute of Regional Studies Vol.3 No.-

        「리시다스」는 바로 이런 상투적인 진실을 너무나 자연스럽게 시적으로 표현하고 있다는 점에서 문학적인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즉 리시다스의 죽음속에서 시인의 삶을 구체화시킨다는 주제를 인간이 맺고 있는 관계뿐만 아니라, 자연 속에서도 찾아볼 수 있었던 것이다. 낮의 아름다움과 생기를 밤의 평화와 여유있는 시간을 통해 얻을 수 있는 것이라는 점을 강조하였고, 태양의 일몰을 바라보면서 일출의 장엄함과 새로운 내일에 대한 희망을 표현하였다. 또한 물에서도 죽음의 바다에서 세례, 혹은 양수를 의미하는 탄생의 물을 동시에 표현하여 모든 것에서 죽음과 삶이 매우 밀접하게 연경되어 있고, 죽음을 통해 삶이 가치 있게 된다는 주제를 보여준다. 결국 「리시다스」에서 보여주는 인생은 죽음을 기다리는 과정이다. 이때 우리는 그 기다림을 단지 허무하게 생각할 것인가 아니면 죽음을 극복하여 얻게 될 기쁨을 생각할 것인가에 대한 선택을 해야 한다. 릴케는 죽음을 ‘극복 한다’는 말은 ‘넘어 선다’것을 의미한다고 보았다. 그러나 이때 잊지 말아야 할 것은 “우리는 넘어서는 것을 지탱하고 넘어선 쪽에서 삶이 존재하고, 그 속에서는 인간들이 느낄 수 있는 기쁨이 보상으로 남아있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한 작품인 것이다.

      • KCI우수등재

        이산화탄소 환경 내 공동 열분해를 통한 나노 철 산화물 기반 금속 바이오차 제조 및 Cr(VI) 흡착 연구

        장정윤,김선준 한국자원공학회 2022 한국자원공학회지 Vol.59 No.2

        This study explored the effects of blending nano iron (III) oxides (NIO) with coffee grounds (CG) in a pyrolytic process under a CO2 environment on the generation of syngas (H2 and CO) and biochar properties regarding the removal of Cr(VI) from aqueous solutions. CG and NIO were physically mixed; CG was mass maintained at 1 g while NIO was added. Based on the mass ratio, the resulting solution was named NICG1(NIO/CG ratio=1:1). Compared with the generation amounts of syngas (0.37 mole% H2 & 0.28 mole% CO) at 650°C from single pyrolysis of CG, co-pyrolysis with NIO-based additives resulted in increased production of syngas, with the measured concentrations of H2 and CO reaching 0.99 mole% and 0.86 mole% at the same temperature, respectively. During the pH effect experiments, NICG1 demonstrated the highest removal efficiency under acidic conditions with pH = 2. Adsorption kinetic experiments demonstrated that the pseudo-second-order rate model was suitable for assessing the removal of Cr(VI) by NICG1. Furthermore, the removal of Cr(VI) using NICG1 fitted well with the Freundlich isothernm adsorption model (R2 = 0.9807). In conclusion, co-pyrolysis of blending nano iron(III) oxide and coffee grounds can be considered an efficient resource for simultaneously producing syngas (H2 and CO) as a fuel (energy resource) and metal-biochar as an adsorbent. 본 연구는 이산화탄소 환경에서 금속 나노 철 산화물(NIO)과 커피찌꺼기(CG)의 혼합 열분해 공정에 대한 합성 가스(H2 & CO) 생성에 미치는 영향 및 제조된 금속 바이오차(NICG1)의 수용액 내 6가크롬 제거에 대해 조사하였다. 650°C에서 CG의 단독 열분해는 0.37 mole% H2와 0.28 mole% CO의합성 가스 생성을 보였고, NIO를 첨가한 공동 열분해를 통해 합성 가스의 생성량이 증가하였으며, NICG1의 동일한 온도에서 측정된 H2및 CO 농도는 0.99, 0.86 mole%였다. 흡착 실험 결과, NICG1 은 pH 2의 산성조건에서 가장 높은 제거 효율을 보였으며 유사 2차 속도 모델에 의한 6가 크롬 제거에 적합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또한 NICG1을 사용한 6가 크롬 제거는 Freundlich Isothernm 흡착모델(R2 =0.9807)에 더 적합하였다. 결론적으로 폐자원인 커피찌꺼기와 나노 철 산화물의 co-pyrolysis를 통해 연료자원인 합성 가스(H2와 CO)와 흡착제인 금속 바이오차를 동시에 생성할 수있어 커피찌거기의 활용에 대한 높은 평가를 받을 수 있다.

      • 용인 지역 산사태 취약성 분석을 통한 Bayesian 기법과 Fuzzyrelationship 기법의 적용성 비교

        장정윤,이정현,박혁진 대한지질공학회 2016 대한지질공학회 학술발표회논문집 Vol.2016 No.1

        산사태는 인명 및 재산피해 뿐만 아니라 범국가적 차원의 피해를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효과적인 예측 및 예방이 필수적이다. 그러나 산사태는 다양한 인자들의 복합적인 매커니즘을 통해 발생하며, 따라서 다양한 인자들과 산사태 발생과의 상관관계를 파악하여 산사태 발생가능성을 분석하는 것이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다양한 통계적 분석기법들이 산사태 취약성 분석에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법들은 장단점이 각각 다르고 적용되는 연구지역의 특성에 따라 각각 다른 예측 정확도를 보이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분석 기법들의 장단점과 적용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동일한 연구지역에 대해 여러 분석 방법을 적용하여 비교분석을 수행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Bayesian 기법인 우도비 기법과 Weight of evidence (WOE) 기법, 그리고 fuzzyrelationship 기법을 이용하여 산사태 유발 인자를 고려한 취약성 분석을 수행하고, 세 기법의 적용성을 비교하였다. Bayesian theory를 기반으로한 우도비와 weight of evidence 기법은 사전/사후 확률을 통하여 산사태와 유발인자 사이의 상관관계를 정량화하는 기법으로 우도비는 주어진 조건에서 산사태가 발생할 가능성을 확률로 표현한다. 따라서 각 인자들의 어떤 class에서 산사태가 가장 많이 발생했는지를 산정한다. 반면 WOE는 우도비에 자연로그를 취한 값으로 인자에 대해 산사태가 발생할확률 W+, 인자에 대해 산사태가 미발생할 확률 W-로 나누어 가중치를 산정하는 방법인데 기존의WOE 가중치 부여 방법은 W+가 가장 높은 인자만 고려하고 다른 인자들은 산사태 발생에 고려되지 못한다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기존의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하나의 인자의 발생확률과 그 외 인자의 미발생 확률을 더하여 가중치를 산정하는 기법을 사용하였다. 또한 fuzzy relationship 기법의 경우산사태의 복잡한 매커니즘에 의한 불확실성을 정량화하기 위해 fuzzy similarity method인 cosineamplitude method를 이용하여 각각의 산사태 유발 인자에 대한 fuzzy membership value를 산정하였다. 또한 fuzzy operation의 하나인 CP (Cartesian product) operation과 MAX operation을 사용하여 공간자료의 중첩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들 기법의 적용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2011년 7월 집중호우로 산사태가 발생한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모현면 일대를 연구지역으로 선정하였고, 산사태 발생위치 36개소에대한 산사태현황도를 작성하였다. 또한 분석에 필요한 입력자료의 경우 산사태 유발요인으로 SPI, TWI, 경급, 영급, 임상밀도, 임상종류, 사면경사, 경사방향, 곡률, 암종, 유효토심, 단층, 배수 총 13개의 인자를 선정하고 수치지형도, 지질도, 토양도, 임상도, 토지이용도 등으로부터 데이터베이스와 주제도를 구축하였으며 이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산사태 취약성 분석 결과의 정확성을 판단하기 위해 AUC(Area Under Curve) 검증을 활용한 결과 우도비와 WOE는 각각 91.82%과 90.40%, fuzzy relationship 기법은 91.45%의 예측 정확도를 보였다.

      • KCI등재

        대학생의 대상관계수준이 데이트폭력 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 집착행동의 매개효과

        장정윤,강지현 한국상담학회 2017 상담학연구 Vol.18 No.1

        The aims of this study are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object relation level on the dating violence, and to verify mediating effect of the clinging behaviors. The data for the analysis were collected from 658 male and female students of four universities located in Seoul, Gangwon-do, Daegu and Gyeongsangbuk-do. The psychological tests used in this research included the following: OR-Inventory, CTS-2 and the clinging behavior scale survey. The results of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difference in the level of dating violence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wasn’t significant, but the difference in the object relationship levels and clinging behavior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was partially significant. Secon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ere observed between the object relation level, the dating violence and the clinging behavior. Third, the main effect of the object relation level for the dating violence was significant. Fourth, the clinging behaviors mediated partl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bject relation level and dating violence, and these partial mediating effects were also proven equally between general university students and those whose levels of violent behavior are above average in dating violence. Based on the results,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were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대상관계수준, 데이트폭력 가해행동, 집착행동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집착행동이 대상관계수준과 데이트폭력 가해행동 간 관계에서 매개적 역할을 하는지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강원도, 대구 및 경상북도에 소재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 658명을 대상으로 대상관계 척도, 갈등관리 척도(CTS-2), 집착행동 척도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데이트폭력 가해행동의 수준에서는 남녀 대학생의 차이가 유의미하지 않았고, 대상관계수준과 집착행동에서는 부분적으로 성차가 유의미하였다. 둘째, 대상관계수준 점수와 데이트폭력 가해행동간, 대상관계수준 점수와 집착행동간, 집착행동과 데이트폭력 가해행동간 모두 유의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셋째, 데이트폭력 가행행동에 대한 대상관계 수준의 주효과가 유의미하였다. 넷째, 집착행동은 대상관계수준과 데이트폭력 가해행동의 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러한 부분매개효과는 일반대학생과 데이트폭력 가해행동이 평균수준 이상으로 보이는 대상에게서 동일하게 입증되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논의 및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