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후(戰後) 한국영화에 재현된 일을 통해 변화하는 여성의 정체성 – 영화 <자매의 화원>을 중심으로

        강나영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8 人文硏究 Vol.- No.83

        This study will look at the works of women and their historical meanings in the movie. For this purpose, The analysis shows how female characters in the late 1950s movie A Sister’s Garden develop their identity through their work. It also analyzes how the aspects are represented and what they mean. Sister’s Garden asks contemporary women what work and job means and represented a clear sense of self in work through female characters. In particular, the film follows classical style norms, but gives special meaning to her labor by varying or violating norms at a point related to the main character’s work. This works to delay the operation of patriarchal ideology to control women’s work. In this process, the planning of governing ideology exposes gaps and consequently its logical justification is questioned. Therefore, her changing identity through her work functions as a small but meaningful struggle. 본 연구의 목적은 영화에서 재현된 여성의 노동과 그 역사적 의미를 살피는 것이다. 이를 위해 1950년대 후반의 영화 <자매의 화원>(1959, 신상옥) 속 여성 캐릭터가 일을 통해 자신의 정체성을 어떻게 형성해 나가는지 또 그 양상은 어떻게 재현되며, 그 의미는 무엇인지 분석한다. 이 과정에서 무엇보다 영화 형식의 차원에서 시각적 이미지들에 주목한다. 이는 서사 구조에서 작동하는 지배 이데올로기에 온전히 포섭되지 않는 개별적인 노동주체로서 여성의 정체성을 발견하기 위함이다. <자매의 화원>은 당대 여성에게 일과 직업이 어떠한 의미와 가치를 지니는지를 질문함과 동시에 여성 캐릭터를 통해 여성 스스로 일에 대한 명확한 자기의식을 표출한다. 특히 영화는 고전적 스타일의 규범을 준수하지만 주인공 정희의 일과 관련된 지점에서 그를 변주하거나 위반하면서 그녀의 노동에 특별한 의미를 부여한다. 때문에 정희를 표현하는 미장센, 프레임 구성, 그녀의 행위들은 여성의 노동을 폄하하고, 통제하려는 가부장적 지배 이데올로기의 작동을 지연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 과정에서 지배 이데올로기의 기획은 틈새를 노출하고, 결과적으로 그것의 논리적 당위는 의심 받게 된다. 따라서 일을 통해 변화해가는 그녀의 정체성은 소규모이지만 의미 있는 투쟁의 장으로서 기능한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Solid-State NMR Study on Phosphorus Species in Phosphorus-modified ZSM-5 Zeolite

        강나영,박용기,김철 대한화학회 2018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Vol.39 No.10

        Chemical changes of phosphorus-modified ZSM-5 zeolite in calcining and steaming processes were studied using solid-state magic angle spinning nuclear magnetic resonance techniques. 1H???31P cross-polarization magic angle spinning and 31P?27Al rotational-echo double resonance signals of calcined and steamed P-ZSM-5 zeolites were measured and analyzed. Results showed that the average distance between phosphorus and hydrogens in phosphorus compounds was increased while the average distance between aluminum and phosphorus was decreased after the steaming process. Aluminum attached to highly condensed phosphates was protected in the zeolite framework during the steaming process.

      • KCI등재

        심폐소생술금지 결정 시점에서의 임상적 특성: 일개 종합병원 종양내과 사망한 암환자를 대상으로

        강나영,박정윤,Kang, Na Young,Park, Jeong Yun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2016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Vol.19 No.1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심폐소생술금지 지시에 동의한 시점에서 말기암환자의 임상적 특성을 확인하기 위한 후향적 서술조사 연구이다. 방법: A 종합병원 종양내과에서 2013년 1월부터 12월까지 사망한 환자 중에서 DNR 지시에 동의한 197명을 대상으로 전자의무기록을 조사하였다. 조사 내용은 입원 당시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임상적 특성, DNR 지시에 동의한 시점에서의 대상자의 상태를 활력징후, 의식상태, 시행 중인 치료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대상자의 평균 나이는 58.7세였고, 남자가 121명(61.4%)이었고, 소화기계 암환자가 94명(47.7%)으로 가장 많이 포함되었다. 대상자의 평균 재원기간은 19.61일이었고, DNR 지시에 동의서를 작성한 시점은 입원일로부터 평균 12.95일이었으며, 사망까지 이른 시간은 평균 6.66일이었다. DNR 동의시점에서 대상자의 66.0%가 호흡기계부전을 가지고 있었으며, 불안정한 활력징후를 147명(74.6%)에서 보였으며, 의식수준의 변화가 있는 91명(46.2%)에서 있었다. DNR 동의서 작성 당시 대상자의 의식 상태는 명료 53.8% (106명), 기면 20.8% (41명), 혼돈 16.8% (33명), 혼수 8.6% (17명)이었다. 결론: 대부분 DNR 결정과 관련된 설명이나 의사 결정 시기에서 환자의 의식수준, 활력증후, 산소포화도가 불안정한 상태였으며, 대부분 위중한 상태 또는 환자의 판단능력이 상실된 시점에서 이루어지면서 환자의 참여가 제한되었다. 말기암환자의 자율성 향상 및 적절한 치료 중단 시점을 규정하기 위한 제도적인 장치 마련이 시급하다.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clinical characteristics of oncologic patients at a point when they signed their do-not-resuscitate (DNR) orders. Methods: From January through December 2014, we retrospectively analyzed the records of 197 patients who passed away after agreeing to a DNR order in the hemato-oncology department of a tertiary hospital. Results: Of all, 121 patients (61.4%) were male and 76 (38.6%) were female, and their average age was 58.7 years. Ninety-four patients (47.7%) had gastrointestinal cancer. The ECOG performance status at admission was grade 3 in 76 patients (36.5%) and grade 4 in 11 (5.6%). The patients' mean hospital stay was 20 days. The mean duration from the admission to DNR decision was 13 days, and the mean duration from DNR decision to death was seven days. Conclusion: Study results indicate that a decision on signing or refusing a DNR order was made by medical staff mostly based on the opinions of patients' guardians rather than the patients themselves. This suggests that patients' own wishes are not well respected. Thus, it is urgent to establish institutional devices to enhance cancer patients' autonomy regarding DNR and to define an adequate timing for withdrawal of treatments.

      • KCI등재

        텔레비전 드라마의 서사구조와 시청률 변화 추이의 관련성 분석 -<낭만닥터 김사부>를 중심으로-

        강나영 한국영상제작기술학회 2017 영상기술연구 Vol.- No.27

        Among the features of the drama, repetition and cliffhanger are often disparaged as clichés. However, these elements are in fact essential for drama and narratives are based on them. The unique features of drama are designed to capture audience ratings. In other words, the narrative structure of television dramas and viewer ratings are in an interactive relationship. In this aspect, it is noteworthy that the narrative structure of the SBS drama Romantic Dr. Kim Sabu and the trend of audience ratings change correspondingly Romantic Dr. Kim Sabu wisely utilizes discontinuity and segmentation between episodes, which is an inevitable condition that must be accompanied when the drama, dramaturgy, is aired in the medium of television which has a tightly organized time schedule. This paper deals with Romantic Dr. Kim Sabu as an appropriate example to show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arrative structure and audience ratings. It analyzes the narrative structure of the Romantic Dr. Kim Sabu in detail and reveals how the narrative structure correlates with audience ratings. Through this, the present study tries to reconsider the importance of the aesthetic element of narrative structure, which has been regarded irrelevant to the audience ratings.

      • KCI등재

        하녀의 본질적 욕망, ‘돈’의 등가물로서 ‘담배’의 의미: 김기영의 <하녀>에 재현된 식모와 가사노동을 중심으로

        강나영 한양대학교 현대영화연구소 2020 현대영화연구 Vol.16 No.4

        This study analyzes the underlying meaning of ‘cigarette’, which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mise-en-scènes in Kim Ki-young’s The Housemaid (Hanyeo). The insatiable desire of the young maid in the film is not simply to elevate her social status or to satisfy sexual appetite, but to eventually earn more money. The Housemaid tacitly expresses the maid’s desire with cigarette throughout the whole narrative. Some production elements in this film such as shots from the maid’s point-of-view and various camera angle and movements clearly show that she consistently craves a cigarette. Maid’s obsessive pursuit of cigarettes is tightly related to her desire for money. The current study specifically points out that the reason why the young maid was obsessed with money is another female character, Kyung-hee, and more precisely her economic power. In addition, it is worthy to note that the maid’s efforts—as a female worker—to accumulate wealth and move up in social class are eventually replaced with her improper lust and greed. The maid’s avaricious drive to earn wealth, originated in the jealousy of Kyung-hee, leads her to a tragic ending, which serves as a kind of punishment in the narrative of the film. This paper further notices that the young maid is objectified as a disloyal being since she makes money by taking care of household chores which is taken for granted as a non-paying job. 본 연구는 김기영의 <하녀> 속 중요 미장센 중의 하나인 ‘담배’의 의미를 분석한다. 영화 속 하녀의 욕망은 계급 상승, 혹은 성적인 것으로의 귀결이 아니라 ‘돈’을 ‘더 많이’ 버는 것이며, 이를 보여주는 것이 바로 하녀의 ‘담배’이다. 영화가 구성하는 하녀의 시점 쇼트와 카메라의 움직임은 그녀가 원하는 것이 ‘담배’임을 명백히 보여주고 있으며, 하녀에게 있어서 ‘담배’는 ‘돈’의 등가물이기 때문이다. 이를 분석하는 과정에서 본 연구는 하녀가 ‘돈’에 대한 욕망을 품게 된 이유는 바로 ‘경희’, 더 정확히는 그녀의 경제력이라는 점을 살핀다. 여기에 결과적으로 여성으로서 노동을 통해 경제적 능력을 지니게 되는 일을 불온한 것으로, 특히 성적인 불온함으로 치환하여 죽음으로서 서사적 처단을 내리는 점에 주목하고, 무엇보다 하녀는 대가를 지불하지 않는 것이 당연시되는 가사노동을 통해 돈을 번다는 점에서 더욱 불온한 존재로서 대상화 되었음을 드러낼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