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서비스산업의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방법론 연구

        최진수,서희연,김미이,이영훈 대한산업공학회 2010 대한산업공학회 춘계학술대회논문집 Vol.2010 No.6

        국제적으로 지구온난화 관련 문제가 증가되면서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국제협약이 등장하고, 온실가스 발생량의 규제에 대한 논의가 진행되었다. 온실가스의 발생원과 발생현황을 보고하기 위해 IPCC 가이드라인과 GHG Protocol과 같은 표준 가이드라인이 개발되었으며, 이를 기반으로 에너지다소비형 산업의 특징을 반영한 가이드라인이 국가나 산업별로 개발되었다. 최근 IT기기의 사용 증가와 IDC(인터넷데이터센터) 운영으로 인한 서비스산업에서의 온실가스 배출 비중이 증가되면서 서비스산업의 온실가스 발생원과 발생현황 파악을 위한 가이드라인의 필요성도 점차 증가되고 있다. 본 논문은 온실가스 배출원의 소유, 통제의 경계가 불명확한 서비스산업의 특징을 반영한 서비스산업의 온실가스 인벤토리(온실가스 배출원을 규명하고 배출량을 산정하는 시스템) 구축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KCI등재

        담수산 새우 Macrobrachium japonicum(De Haan) 의 Zoea 유생기에 출현하는 동일영기군 속의 개체변이체에 대한 형태학적 고찰

        최진수 한국수산학회 1974 한국수산과학회지 Vol.7 No.3

        1. 辭育水槽에서 交尾, 抱卵시킨 親蝦로부터 孵化된 幼生을 循環式 二重水槽內에서 水溫26±0.3℃, Chlorioity 6.21∼6.45‰Cl., pH 8. ∼8.1, 照度 3,000 lux의 條件下에서 Artemia salina naupluis를 먹이로 給與하여 詞育했 다. 2. 同一令期群에서 出現하는 個體變異體(숙성이)와 標準型個體 사이의 形態時 差異를 比較하여 숙성이의 出現令期와 관련이 있는 第4令期로부터 第9令期의 各 附屬肢의 發生過程을 관찰한 결과, 本種에 있어서도 個體成長의 變異에 의한 숙성이가 出現하기 쉬운 令期(第5令期와 第7令期)가 存在하며 이 現象이 일어나게 되는 原因은 攝餌要因과 관련이 큰 것으로 보인다. 3. 同一令期群의 숙성이를 外形的인 形態學的 面으로 器官의 分化정도로써 標準型의 個休와 比較 調査한 결과 同一令期群에서 出現하는 숙성이의 各 附屬器官은 部分的으로는 令期가 發展된 個體의 特徵도 具備하지만 또 다른 面으로는 그 令期의 標準型의 特徵도 具備하고 있다. 그래서, 各 令期의 特微은 個體의 크기에 관계없이 同一令期의 特徵을 部分的으로나마 明確히 保有하고 있었다. 한편 本種에 있어서의 個體變異體는 한 令期를 完全히 飛躍省略하여그 다음 令期로 이행하는 것이 아니고 附屬器官의 分化速度가 部分的으로 異時性을 나타낼 따름이므로 完全한 skipping現象은 관찰할 수 없었다. 4. 幼生의 附屬器의 發生分化는 一過的으로 個體變異가 크지만 環境要因의 變動에 따라 安定性을 가지는 部分과 이와 反對로 變異의 感受性이 큰 두 部分으로 나눌 수 있으며 따라서 한 個體內의 各 附屬器의 分化, 發生은 部位에 따라 異時性을 가지고 있는 것 같다. 5. 各 令期의 規定은 종래와 같이 脫皮後의 1個體의 全體 附屬器의 變化된 共通的인 程度에 따라 定할 것이 아니라 前述한 環境要因의 變動에 대해서 極히 安定性을 띄는 附屬器官을 指漂로 하여 定하는 것이 타당할 것 같다. Adult female prawn, Macrobrachium japonicum, which used for this work were collected at the river Simanto, Shikoku in Japan, and removed in the laboratory. Newly hatched larvae from an adult reared in circulation-filtered aquaria, which is controlled under the conditions of water temperature 26±0.3℃, chlorinity 6.21-6.45‰ Cl, pH 8.0-8.1, Illumination 3000 lux, and fed on Artemia sauna nauplius sufficiently. For a period of rearing of zoea larvae, big individuals-individual varying bodies, comparing with standard bodies in the same aged individual group, are occasionally appeared from fifth zoea larva stage, and occurence of it be tempted to relate with the factor of trophic condition. This paper was dealt with a comparative morphological view on big individuals, comparing with standard type in the same aged group, to solve the problem on (1). the existence or nonexistence of stages which it is easier to occurence of big individuals, (2). the rate of development in several appendages of an individual, and (3). a happening of skipping whether it certainly occur or not, during newly hatched zoea larvae develop to post larva stage. The results of the above are as follow: (1). the stages which is easier to occur of big individuals are fifth and seventh stage in this species, (2). even same individual, development of several appendages differs more or less on the rate of growth in accordance with its parts, (3). Evidence which skipping phenomenon is occcred, during development through zoea larvae to post larvae, couldn't confirm.

      • KCI등재

        부합성을 이용한 표준화된 다항판별지수

        최진수,홍종선,Choi, Jin Soo,Hong, Chong Sun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016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Vol.27 No.1

        의학진단과 신용평가 등에서 삼항 이상 다항 범주의 결과로 예측되는 경우가 많다. 다항 범주의 문제에 대하여 부합성 (concordance)을 이용한 다섯 종류의 통계량이 제안되고 사용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통계량들은 범주의 뚜렷한 구분없이 표현되어 짝 (pairwise) 접근방법과 집단 (set) 접근방법을 사용하기 어렵고, 이 통계량들의 의미를 명확하게 파악할 수 없다. 따라서 통계량들의 비교분석이 가능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평가자료를 새롭게 표현하고, 이를 바탕으로 부합성을 재표현한다. 이 부합성을 이용하여 기존의 통계량들을 새롭게 정의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방법으로 다섯 가지 통계량들의 의미를 설명할 수 있으며 비교 분석이 가능하다. 다양한 자료를 생성하여 분석하여 이 통계량들의 특징을 탐색할 수 있으며 설명할 수 있다. There are many situations that the outcome for clinical decision and credit assessment should be predicted more than two categories. Five kinds of statistics which are used the concordance are proposed and used for these polytomous problems. However, these statistics are defined without exact distinction of categories, so that we have difficulty to use both the pair and set approaches and it is hard to understand the meanings of these statistics. Hence, it is not possible to compare and analyze them. In this paper, the polytomous confusion matrix is standardized and the concordance statistic can be represented based on the confusion matrix. The five kinds of statistics by using the concordance are defined. With the methods proposed in this paper, we could not only explain their meanings but also compare and analyze these statistics. Based on various data sets, properties of these five statistics are explored and explained.

      • 지방산 및 VOCs의 최소감지농도에 관한 연구

        최진수,한진석,공부주,홍석영,김선태,김한수 한국실내환경학회 2014 한국실내환경학회지 Vol.13 No.4

        This research determined the threshold value of 10 specified offensive odor substances based on the 3 point comparison sensory method. The panelist's thresholds were calculated by taking the arithmetic, geometric mean, and 50th percentile. Three methods of calculating the odor thresholds from the same data are compared. For 10 odor substances, the panelist's thresholds revealed a logarithmically normal distribution. The 50th percentile was the best method among the three methods of calculating the odor threshold from the 270 thresholds of 18 panels. As a result, the threshold values of individual odor substances, including i-valeric acid, n-valeric acid, n-butyric acid, and butyl acetate ranged between 0.0001~0.006 ppm, while the values of methyl ethyl ketone and toluene were relatively higher than that of other substances at 0.7107 ppm and 1.2139 ppm, respectively. The threshold values of the 10 specified odor substances were compared in Korea and overseas, which showe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sensory response varied by substance and nation.

      • KCI등재

        과학기술특성화대학(KAIST)을 중심으로한 R&E 집중연구가 과학고등학교 학생에게 미치는 영향

        최진수,김영민,이영주 한국과학교육학회 2019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9 No.6

        Research and Education(R&E) program has been emphasized for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since it can improve scientific research abilities and problem solving abilities because it provides scientific research experiences with professional research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R&E program on creative leader competency and science career orientation. For this study, 62 science high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from 78 science high school students participating in an R&E program. Pre and Post surveys of creative leader competency and science career orientation were administered to the students. The results showed that R&E program improved students’ creative leader competency in intellectual and affective characteristic. However, there are no differences in science career orientation because science high school students already had high science career orientation.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R&E 프로그램은 연구 중심의 자기주도적 학습을 통하여 과학영재 들이 과학적 탐구능력과 창의적인 문제해결 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도록 하며, 관심 분야 전문가와의 긴밀한 만남과 과학탐구 경험을 통해 과학자로서의 연구 태도와 품성 및 자질을 함양하고, 창의성을 계발 하도록 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R&E 프로그램의 교육적 효과로 미래 과학기술 인력의 질적 향상뿐만 아니라 과학자들의 교육참여를 유도 함으로써 교육 인력의 저변 확대를 통한 과학영재 교육의 질적 내실 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R&E 프로그램이 미래 과학기술 인력으로써 필요한 창의인재역량과 첨단과학기술 분야 진로 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KAIST 과학영재교육연구원의 R&E 프로그램에 참여한 D과학고등학교 1학년 학생 62명을 대상으로 집중연구 사전, 사후에 걸쳐 창의인재역량과 과학진로지향의 변화를 설문을 통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학생들은 R&E 프로그램 참여후 창의인재역량 중 인지적, 정의적 특성이 유의미하게 증가하였고, 사회적 특성에서는 유의한 변화가 없었으나 세부영역에서는 유의미한 증가를 확인하였다. 또한, 과학진로지향과 관련하여 과학학습, 과학진로에 대한 선호도, 과학진로에 대한 가치 인식 및 과학진로 정보의 필요성 항목에서 유의미한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R&E 프로그램의 교육적 효과를 보여줌으로써 대상과 지도목 표에 따른 R&E 프로그램 모델의 개선방안을 제안하고자 하며, 나아가 연구역량 교육 및 과학진로진학을 지도하는데 기초 자료로 활용할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