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조종현의 동요 연구

        최명표 한국지역문학회 2016 한국지역문학연구 Vol.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children’s songs written by Jo Jong-hyeon who has been known as a poet of sijo. In fact, he also wrote children’s songs while engaged in creating sijo. For less than two years from 1929, he was actively involved in the juvenile literary movement releasing up to 100 or so children’s songs. Before studying his children’s songs, this author looked into the aspects of the juvenile literary movement which developed in Goheung, Jeollanam-do. Goheung is Jo Jong-hyeon’s hometown and is a village located in the south of the Korean Peninsula. The youths there took the initiative in enlightening the juveniles and teaching them how to write. Thanks to their aid, the juveniles in Goheung could realize their dream to be a juvenile writer submitting their own writing to the newspapers or juvenile magazines. The characteristics of Jo Jong-hyeon’s children’s songs are as follows: First, his children’s songs contain strong national consciousness. This seems to have originated from his background that he wrote sijo first which is the original form of poetry in Korea. Only with the fact that he established Hangul as the literary title at the step of releasing his own children’s songs and created ‘Hanmal’ corresponding to the colloquial title, we can readily see his strong national consciousness. Second, Jo Jong-hyeon’s children’s songs express the imagery of family distinctly. This is attributed to the biographical fact that he left home in his 10’s and wrote children’s songs around the 1930’s when colonial controversy became concretized. In the period, collapse in colonial economy led to family dismantlement prevalently, and Jo Jong-hyeon embodied this with parting or longing. The family’s suffering also reflects the miserable reality of colonized natives. Third, Jo Jong-hyeon contained the obstinate order of colonial society into 7․5jo. As Japan’s colonial ruling was systematized, 7․5jo introduced from Japan became used as the basic rhythm in new style poems, free verses, children’s songs, or popular songs. Through 7․5jo, Jo Jong-hyeon testified the scenes that our colonized juveniles’ consciousness of rhythm tended to become foreignized. His attempt was enough to exhibit the state of our colonized rhythm contrastively with the creation of sijo based on our traditional 4․4jo. Fourth, Jo Jong-hyeon emphasized the ethics of writing setting integrity of criticism forth. During the juvenile literary movement in the 1920-30’s, disputes regarding duplicated submission, imitation, plagiarism, or criticism often arose. With two critical writings of his own, Jo Jong-hyeon criticized the state of plagiarism severely by inserting the original and plagiarism both. His criticism developed as a way of revealing the person’s fault and also having juvenile writers study literatures. As shown above, Jo Jong-hyeon was involved in the juvenile literary movement actively and released a lot of children’s songs in rather a short period. In order to study the world of his literature profoundly, his children’s songs should be dealt with essentially. Also, it is needed to discover his works not yet found and involve tasks to arrange many of his pen names and bibliography. 이 글은 지금까지 시조시인으로 알려진 조종현의 동요 세계를 살핀 것이다. 사실 그는 시조를 쓰는 동안에 동요도 썼다. 그는 1929년부터 2년도 채 못 된 기간에 100여 편의 동요를 발표할 정도로 소년문예운동에 활발히 가담하였다. 이에 그의 동요를 연구하기에 앞서 전라남도 고흥 지역에서 전개되었던 소년문예운동의 양상을 살폈다. 고흥은 조종현의 고향으로, 한반도의 남단에 위치한 고장이다. 그곳의 청년들은 소년들의 계몽에 앞장서고 소년들의 문예 활동을 지도하였다. 청년들의 도움으로 고흥의 소년들은 신문과 소년잡지에 투고하며 소년문사의 꿈을 키웠다. 조종현의 동요에 나타난 특질은 아래와 같다. 첫째, 그의 동요에는 강한 민족의식이 함유되어 있다. 이것은 그가 민족의 고유한 시형식인 시조를 먼저 쓰기 시작한 이력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그가 동요를 발표하는 단계에서 한글을 문어적 명칭으로 상정하고, 구어적 명칭에 해당하는 ‘한말’을 창안한 것을 보더라도 민족의식의 투철한 정도를 헤아리기 어렵지 않다. 둘째, 조종현의 동요에는 가족 심상이 두드러지게 표현되어 있다. 이것은 그가 10대에 출가한 전기적 사실과 함께, 식민지의 모순이 구체화되던 1930년 전후에 동요를 썼던 바에 기인한다. 그 시절은 식민지 경제의 파탄으로 가족의 해체가 만연하던 때였고, 그것을 조종현은 이별과 그리움 등으로 형성화하였다. 가족의 고생은 식민지 원주민들의 비참한 현실을 반영한 것이기도 하다. 셋째, 조종현은 식민지 사회의 완강한 질서를 7․5조에 담았다. 일본에서 이입된 7․5조는 일제의 식민지 지배가 제도화되면서 신체시, 자유시, 동요, 유행가 등에서 기본 율조로 사용되었다. 조종현은 7․5조를 통해서 식민지 소년들의 율격의식이 외래화된 장면을 증언하고 있다. 그의 시도는 전통적인 4․4조에 기반한 시조의 창작과 대비되어 율격의 식민화된 상태를 보여주고도 남는다. 넷째, 조종현은 비평적 염결성을 앞세워 글쓰기의 윤리를 강조하였다. 1920-30년대의 소년문예운동 기간에는 중복 투고, 모작, 표절, 비난 등의 시비가 자주 일어났다. 조종현은 2편의 평문을 통해서 원작과 표절작의 텍스트를 동시에 게재하며 표절 사태를 힐난하였다. 그의 비평은 상대의 허물을 꾸짖는 동시에, 소년문사들을 계고하는 방식으로 전개되었다. 이와 같이 조종현은 소년문예운동에 적극적으로 참가하여 짧은 기간에 많은 동요작품을 발표했다. 그의 문학세계를 심층적으로 연구하기 위해서는 동요 연구가 필수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또 아직 발굴되지 않은 작품도 찾아보고, 다양한 필명과 서지 정리 등의 작업이 수반되어야 하겠다.

      • 문예의 영원성'에 대한 탐구 - 이익상의 비평론

        최명표 한국지역문학회 2018 한국지역문학연구 Vol.7 No.1

        This thesis is on the critique's world of Lee Ik-sang. He is the first critique and novelist from Jeollabukdo. The weight he carries within the Jeonbuk literary circle is immense as the writings for each genre in the province started. Without the study outcome regarding his critique, it would be impossible to describe the modern critique history in the Jeonbuk area. During his study in Japan as he began it at a later phase of his career, he joined organizations for anarchism and socialists, and upon his return, he participated for PASKYULA and KAPF as a promoter. His past made the modern literary circle of Korea to pay full attention to the enormous influence of him in the process of its establishment. While staying in Japan, Lee Ik-sang was active for Paeheo(literary society under the name of 'Ruins') member. The issues underlying in advance studies that do not recognize this fact have been resolved by the testimony of Paeheo member and a number of evidences. Nonetheless, Lee Ik-sang made endeavors to launch KAPF but there was no reason why he had to withdraw in the following year. On this matter, this article succinctly clarifies by pointing out the facts of his time of youth, half-compulsive separation from his Japanese wife, and his conviction in literature. Lee Ik-sang pioneered in structuring the critique's circle through various discussions before establishing the world of critiques. His characteristics in critique could be found in his emphasis to focus on intrinsic phase of literature while criticizing the literature circle of the time that was emerged on stereo-typed amusement with the neglect of colonial condition of his time. He brought out the master pieces of humans to writers and recommended to strive for ‘perpetuity of literature’. For his activities, the foundation to display the critiques on principle of art in its fullest in the later generations could be established. 이 논문은 이익상의 비평 세계를 탐구한 것이다. 그는 전라북도 출신의 최초 비평가이자 소설가이다. 그로부터 도내의 장르별 글쓰기가 비롯될 만큼, 그가 전북 문단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굉장하다. 그의 비평에 관한 연구 성과가 없이는 전북 지역의 근대비평사를 기술할 수 없을 정도이다. 그는 뒤늦게 떠난 일본 유학 중에 아나키즘과 사회주의 단체에 적을 두었으며, 공부를 마치고 돌아와서는 파스큘라(PASKYULA)와 카프(KAPF)의 발기인으로 참가했다. 이런 행적은 그가 한국의 근대문단이 형성되는 과정에 끼친 대단한 영향력에 주목하도록 만든다. 이익상은 체일 중에 󰡔폐허󰡕 동인으로 활동하였다. 이 사실을 불인정하는 선행연구가 지닌 문제점은 󰡔폐허󰡕 동인의 증언과 여러 증거에 의하여 쉬 해소되었다. 그러나 이익상이 카프의 출범에 공을 세웠으면서도 다음해에 탈회한 원인에 대해서는 밝혀진 바 없었다. 이에 대하여 본고에서는 그의 유년기 가난 체험과 일본인 부인과의 반강제적 이별 그리고 문학적 신념 등을 동원하여 명료하게 규명하였다. 이익상은 비평의 체계가 미처 세워지기 전에 다양한 논의를 통해 평단의 구축에 앞장섰다. 그의 비평적 특질은 식민지의 조건을 도외시한 채 관념유희에 몰두하던 당시의 문단을 비판하고 문학의 본질적 국면에 치중할 것을 강조한 점에서 찾아진다. 그는 작가들에게 인류의 명작들을 예거하면서 ‘문예의 영원성’을 추구하도록 권장하였다. 그의 활약으로 후대에 이르러 예술주의 비평이 본격적으로 전개될만한 밑바탕이 장만될 수 있었다.

      • 전북 지역 예술주의 비평의 계보

        최명표 한국지역문학회 2017 한국지역문학연구 Vol.6 No.2

        전북 지역의 근대 비평은 세 갈래로 전개되었다. 그것은 계급주의 비평, 예술지상주의 비평 그리고 중간파 비평이다. 세 가지 비평은 전북의 근대문학을 개척한 이익상의 평문에서 싹을 찾아볼 수 있다. 이익상은 카프 발기인이면서도 계급성을 외면하고 ‘생활을 위한 예술’을 주창하였다. 그것은 자신의 절실한 체험으로부터 우러난 것이라서 평문의 행간에 진지함으로 배어 있다. 그의 비평 중에서 사회적 현실을 중시하는 태도는 계급주의 비평으로 이어졌고, 생활 중심의 논리는 예술지상주의적 비평이 발아할 수 있는 토대가 되었다. 이익상의 뒤를 이은 유엽은 불교적 세계관에 입각하여 ‘무아몽중(無我夢中)의 시’를 제창한 시인이었다. 그는 보기 드물게 카프 비평이 위세를 떨치던 시기에 문학의 계급성을 정면에서 비판한 시론가이다. 그는 일본 유학 중에 프랑스의 데카당 문학을 수입했으면서도 시의 형식적 요소를 옹호하며 작품으로 구체화할 방도를 찾느라 고심하였다. 그는 낭만주의적 표현론에 입각하여 시인의 천재설을 인정하고 시의 우위를 수차 강조하였다. 그의 비평은 개인의 자유로운 감성의 표현을 엄호하는 탓에 계급주의적 비평과 충돌하였다. 김환태는 유엽의 예술지상주의 시론을 계승하여 순수예술의 보호에 앞장섰다. 그는 ‘예술지상주의자’를 자처하고 천진무구한 동심의 상태를 동경하였다. 그는 비평의 임무란 천재로서의 작가가 제작한 작품을 재구성하는 것으로 볼 정도로 절대적 순수와 주관을 옹호하였다. 매슈 아놀드와 월터 페이터 등의 영향을 받은 그의 실천비평은 전북 지역의 예술주의적 비평을 한 차원 상승시켜주었다. 이처럼 전북 지역의 예술주의 비평은 유엽, 김환태의 빼어난 활약에 힘입어 한국의 근대비평사에 당당히 설자리를 마련하였다. 특히 계급주의 비평이 횡행하던 평단에 맞서 예술주의를 꿋꿋이 전개함으로써, 해방 후에 평단의 주도권을 차지하도록 교량 역할을 수행한 공은 길이 높이 평가받아야 한다. Modern criticism in Jeonbuk developed into three branches: classical criticism, art-oriented criticism, and neutral criticism. The sprout of those three criticisms can be found in reviews written by Lee Ik-sang who pioneered modern literature in Jeonbuk. He, the initiator of KAPF, insisted on ‘art for the sake of living’ denying class stratification. It originated from his sincere experience, so it is melted in all the lines of his reviews seriously. In his criticism, the attitude of valuing reality in society led to criticism over classism, and his logic pursing life laid the foundation for sprouting art-oriented criticism. Lee Ik-sang is followed by Yu Yeop who is a poet advocating ‘the Poem of Anatta and Dream(無我夢中)’ grounded on the Buddhistic view of the world. He was one of the hardly found persons of poetic theory who criticized the classism of literature in front when KAPF’s criticism was dominant. Although he imported France’s decadent literature while studying in Japan, he was for the formal elements of poetry and tried to find ways to concretize them into works. Grounded on romantic expression theory, he admitted the idea of poets being geniuses and stressed the superiority of poetry repeatedly. His criticism conflicted with criticism over classism because it did cover each individual’s free expression of sentiment. Kim Hwan-tae succeeded to Yu Yeop’s art-oriented poetic theory and led the protection of pure art. He called himself as ‘an art-oriented person’ and longed for the innocent state of childhood. He supported absolute purity and subjectivity so much as he deemed that the mission of criticism is to reorganize works created by artists as geniuses. His practical criticism influenced by Matthew Arnold or Walter Pater did elevate criticism grounded on artism in Jeonbuk a level higher. As written above, criticism based on artism in Jeonbuk laid the spot where Korea’s history of modern criticism could stand solidly supported by the superb activity of Yu Yeop or Kim Hwan-tae. Particularly, its contribution to play roles as a bridge to let the circles of criticism to take the initiative after the emancipation by developing artism firmly confronting the circles in which criticism grounded on classism was prevalent should be evaluated long and high.

      • 전북 지역 소년문예지의 문학사회학적 연구

        최명표 한국지역문학회 2017 한국지역문학연구 Vol.6 No.1

        이 연구는 대일항쟁기 전라북도 지역의 소년문예지에 대한 문학사회학적 접근이다. 비록 관련 자료가 부실하여 연구의 진행을 저해할지라도, 제한된 자료를 통해 소정의 성과를 도출하려고 노력하였다. 연구자가 󰡔어린이󰡕, 󰡔신소년󰡕, 󰡔별나라󰡕, 󰡔아이생활󰡕 등을 자료로 활용하여 얻은 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소년문예지의 전북 도내의 지사나 분사의 운영 실태에 관하여 작은 성과를 얻어냈다. 지사는 지역적 영업 구역을 바탕으로 영업의 효율성을 추구하여 설치한다. 그러나 잡지의 지사는 특정 매체의 유통에 기여하는 것은 물론, 지역의 식자층을 끌어들이는 사랑방의 역할도 수행하였다. 둘째, 잡지의 독자는 󰡔어린이󰡕가 가장 많았다. 정기독자는 잡지사에서 공표한 명단 외에, 잡지사에서 주최한 각종 현상 모집에 참여한 이들을 독자로 파악하였다. 셋째, 독자들은 활발하게 자신의 의견을 우송하였다. 그것은 독자의 정당한 권리 행사였다. 독자들은 인사말, 축사, 독후감, 부탁, 고민 상담, 안부 주고받기 등의 여러 가지 방법으로 편집자에게 의사를 전달하였다. 넷째, 독자들은 성장 후에 다양한 경로로 나아갔다. 그들은 보통학교 훈도, 작가, 언론인, 관리, 관변인사 등으로 나눌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literary sociological approach to youth literary magazines in North Jeolla region during the period of Korean resistance against Japan. This researcher tried HIS/HER best to obtain a fixed amount of accomplishment from limited materials, even as the lack of related information slowed the progress of research. The results obtained by utilizing the materials on “Eorini (󰡔어린이󰡕),” “Sinsonyeon(󰡔신소년󰡕),” “Byeolnara(󰡔별나라󰡕),” and “Aisaenghwal(󰡔아이생활󰡕)” are as follows. First, a small accomplishment was made on the operation status of branches or subdivisions of youth literature magazines in North Jeolla province. Branches were established to pursue sales efficiency based on the local sales zone. But, branches of a magazine not only contributed to distributing a specific media but also played a role of reception room attracting highbrow audiences in the region. Second, of all magazines, “Eorini” had the biggest readership. Subscribers were obtained from the list announced by the magazine company, and readers were from those who participated in various contents hosted by the magazine company. Third, readers actively mailed in their opinions, claiming their just rights as reader. Readers communicated with editors through various ways, such as sending in greetings, congratulatory remarks and book reports, seeking advice for problems, and exchanging regards. Fourth, after growing up, readers moved on to various routes. Their paths can be classified into elementary school instructors, writers, journalists, administrators, and government officials.

      • KCI등재

        전정구의 초기 비평 연구

        최명표 현대문학이론학회 2019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77

        1985년 평론가로 데뷔한 이후 전정구의 비평적 특징은 창조적 비평이었다. 그것은 해체적 비평과 학술적 비평으로 구체화되었다. 전자는 당시에 유행하던 젊은 시인들의 시운동을 비평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전략적 글쓰기였다. 그는 후기산업사회로 들어선 한국 사회의 모순을 시화한 도시시, 해체시, 노동시, 연작시 등에 각별한 관심을 보였다. 그는 독자반응이론의 영향을 받아 시작품과 독자의 소통을 중시하고, 탈구조주의의 도움을 받은전복적 글쓰기로 의미를 ‘재창조’하고자 노력하였다. 그의 노력으로 과격한 실험시들이 재평가를 받게 되었고, 시운동에 함의된 시사적 의미가 드러났다. 그러나 전정구는 세기말에 접어들면서 해체적 비평과 결별하고 학술적 비평에 매진하였다. 그가 선회하게 된 배경은 원전주의자로서의 학자적 신념 때문이었다. 이 비평은 정전성을 최우위에 두는 까닭에, 의미의 상대성과 기표의 부유를 지향하는 종래의 비평과배치되었다. 전정구는 정본화 작업을 ‘재창조’의 과정으로 인식하고, 학술적 비평에 정력을쏟아 김소월 시의 원전비평가로 명성을 남겼다. 이와 같이 전정구의 초기 비평은 새로운글쓰기 형식을 모색하느라 고심한 흔적이 곳곳에 배어 있다.

      • KCI등재

        김환태 비평에서 동심의 심미화 과정

        최명표 현대문학이론학회 2018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75

        이 논문은 김환태의 비평적 기반을 이루고 있는 동심의 심미화 과정을 살핀 것이 다. 그의 비평에는 낭만주의적 속성이 즐비하다. 그 중에서도 동심은 그의 예술지상주의 비평을 단단히 지탱해주고, 한국근대비평사에 설자리를 마련해 준 심미적 성향이다. 동심은 향수와 함께 그의 심리적 저층부에 자리하고, 주요한 비평적 주장을 앞세울 적마다 논리를 후원하였다. 향수는 동심의 세계를 지향하는 주체의 심리적 방어기제이 다. 그의 비평에서 ‘순수’는 향수의 대상, 곧 동심의 비평적 표현이다. 김환태가 향수에 잠길수록 동심은 추상화되어 주관적 차원으로 편입된다. 이 지점이 그의 ‘순수비평’이 ‘인상주의 비평’으로 이름을 바꿔다는 찰나이다. 동심의 소지자로서의 어린이는 직관적 사고와 주관적 행동으로 일관한다. 그들은 물활론적 사고를 앞장세우고 세계에 대한 무지를 상상력으로 승화시킨다. 이 점에서 그들의 상상력은 ‘무관심적이다. 이것을 ‘주관적 보편성’으로 이름한 이는 칸트이다. 상상력에 기반한 어린이기의 심미적 충동은 천재성과 개성이 발휘된 ‘무목적적 합목적성’ 으로 승격되었다. 김환태는 ‘무관심적 만족’과 ‘몰이해적 관심’을 중시하여 동심에 기반한 자신의 주관적 비평에 객관성을 보전하려고 시도했다. 이와 같이 동심은 김환태 비평의 근원이자 보루이다. 그는 철저히 동심의 ‘순수’를 옹호하고 독자적인 비평세계를 구축하였다. 이 점에서 그의 ‘예술지상주의 비평’은 식민지시대의 강고한 질서와 맞서기에는 역부족이었다. 김환태의 비평은 식민 이전의 ‘순수’한 상태로 회귀하고 싶은 동심을 심미화해 가는 과정이었다.

      • 한윤이 동화의 폭력성 연구

        최명표 한국지역문학회 2015 한국지역문학연구 Vol.4 No.1

        이 논문은 한윤이의 동화에 나타난 폭력의 동화적 의미를 살펴본 것이다. 그녀는 기존 동화작가들이 삼가던 폭력과 끌어들여서 기성세대의 위선을 고발하는 심미적 장치로 배치하고 있다. 폭력은 동화 속에서 서사의 진행을 방해하거나 지연시키고, 인물을 괴롭혀서 주제의식이 도드라지도록 도와준다. 이처럼 그녀의 능란한 기교에 힘입어 사방에 편재하는 폭력의 구체적 양상이 폭로된다. 이 점만 보더라도 그녀의 작품들이 거둔 성과는 남다르다. 특히 「말집 이야기」는 그녀의 빼어난 문재를 남김없이 보여준 가작이다. 한윤이가 폭력에 관심을 쏟은 동기는 고향의 평화로움에 대한 향수에서 기인한다. 그녀가 진정으로 형상화하고 싶어 했던 공간은 유년기 추억을 훼손하는 폭력성이 사라진 세계이다. 이 점은 그녀의 작품에서 폭력이 벌어지는 장소가 시골이란 점과도 밀접하게 상관된다. 그녀는 동화라는 공간에서 자신의 어린 시절을 회상하며 심리적 평화를 얻는다. 동화는 그녀에게 행복했던 고향의 정서를 회억시켜주는 장르인 셈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violence found in Han Yun-i’s children’s stories from the perspective of children’s stories. She employed violence which had been hardly chosen by children’s story writers before and arranged it as an aesthetic device to report the older generation’s hypocrisy. Violence either interferes with or delays the development of a narration in a children’s story and helps reveal the theme by harassing the character. Empowered by her dexterous technique, the concrete aspects of violence prevalent all around get to be revealed. Only with this point, we can see that the result her works have produced is noteworthy. Especially, 「The Maljip Story」 is a masterpiece that shows her exquisite style of writing. Han Yun-i having interest in violence is attributed to her nostalgia about the peace in hometown. The space that she really wanted to embody was the world where violence that deteriorates her childhood memory has disappeared. This point is closely associated with the fact that the place where violence is unfolded in her work is a country. She finds psychological peace looking back on her childhood memory at the space of children’s stories. To her, children’s stories are a genre that allows her to recall the sentiment of hometown that made her happ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