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신라 촌락문서의 計烟과 孔烟 : 中國ㆍ日本의 戶等制, 年齡等級制와의 비교검토를 중심으로

        윤선태 한국고대사학회 2001 韓國古代史硏究 Vol.21 No.-

        This study aims to reveal the system of levying taxes on the village, with Kyeyon(計烟) and Kongyo˘n (孔烟) in Silla Village Register(新羅村落文書 SVR). The SVR was completed in the 4th year of King Hyoso(695 A.D.), and taking a census of the village subordinated to the royal household. Among the various details of the SVR, the item of the population is the most important for studying the tax system in the Unified Silla. The population of each village is compiled every three years, widely classified in two categories, household (烟) and heads (人). I inferred the item of the population was connected with the imposition of each village section, through a comparative study on the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documents in the Tang (唐) and Ancient Japan. The summation of Kyeyon was a total volume of tax which each village must burden. It was calculated with number of Kongyo˘n by the state for the use of finance statistic. On the other hand, Kongyo˘n was household to pay tax. It was divided by the state into Kudungho(九等戶), nine grade of household, for drawing a distinction of levies between households. I think the criterion of the distinction of Kudungho is labor for household, such as head of a(丁), semi-adults (助子) , slaves(奴婢), and so forth, which constitute the basis of tax system in the Unified Silla. Kongyo˘n is widely classified in three types. The first is blood relative family. The second is a household that the state units each poor family in order to levy tax. The third is a household that a wealthy family subordinates a few subject family(上烟) to oneself. At that time, the greater part of Kongyo˘n in the village was the subject family and the lowest grade household (下下烟). Like this, the financial structure of the royal household in the Unified Silla was based on ruling village system of levying tax by the heads and household. But in the end of the unified silla. tax-collection on the basis of heads and household broke up and was restructed into the developed system of Choncho(田租), that is levying tax according to land productivity connected to acreage.

      • KCI등재

        雁鴨池 出土 門號木簡 과 新羅 東宮의 警備

        윤선태 한국고대사학회 2006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44

        The Wooden Tablets which show the name of the gates excavated at Anapji and guard system of the Crown Prince's Palace in Silla 이 글에서는 일본의 고대목간 중 '門號'가 묵서된 목간들의 형태와 서식을 참조하여, 이를 안압지 출토 문호목간의 용도와 성격을 규명하는 하나의 기준으로 활용해보았다. 우선 <안압지 186번목간>의 人名에 追記된 '在'와 '西宮門號木簡'의 人名에 기록된 '合點(Check mark)'을 비교하여, 이 '在'가 신라에서도 고대일본처럼 각 궁문의 경비 근무를 勘檢한 후에 근무를 서고 '있었던(在)' 사실을 인명 아래에 추기한 표시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안압지 186번목간>은 고대일본의 문호목간과 서식뿐만 아니라, 목간의 제작과 폐기에 이르는, 목간의 일생(Life-cycle) 자체가 유사하였을 가능성이 있다. 즉 신라에서도 애초 경비 인원을 궁문 별로 계획하고, 이를 문 별로 배치한 인원을 목간에 기록한 다음, 그날그날 근무의 실재여부를 직접 검사한 뒤, 근무를 서고 "있었던(在)" 경비원의 이름 아래에 감검자가 "在"를 추기하였고, 이후 이 목간을 경비원의 食米 청구 등에 활용했을 가능성을 상정해볼 수 있다. 이러한 분석을 토대로 신라 동궁의 구조와 경비시스템을 검토하였다. 경비 인원으로 1~2명이 배치된 점이나, 고대일본 문호목간의 폐기과정에 유념할 때, 안압지 문호목간에 보이는 大門이나 開義門은 왕궁의 시설이라기보다는 안압지 인근의 월지궁, 즉 신라 동궁의 시설일 가능성이 높다. 한편 동궁은 진골귀족의 저택과 안압지 문호목간을 참고로 할 때, 四方門이 있는 外垣과 重門이 있는 內垣을 갖춘 구조였던 것으로 추론된다. 경비근무 감검자의 순시코스로 볼 때, 동궁 내부에는 서쪽에 隅宮이 있고, 그 동쪽에 閣宮이 있었다고 생각된다. 끝으로 동궁의 경비를 위해 궁문의 개폐에 사용했던 신라의 자물쇠와 열쇠를 검토하였다. 안압지 출토 문자자료에 보이는 '鎰'과 '金'은 '자물쇠'와 '열쇠'를 뜻하는 신라식 造字와 이두표기로 이해되며, <안압지 213번 목간>은 열쇠부찰(Key holder)임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馬韓의 辰王과 신분고국

        尹善泰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2001 百濟硏究 Vol.34 No.-

        마한의 통합은 비록 백제에 의해 완수되지만, 그 통합의 최초 움직임은 목지국의 辰王에서 비롯되었다. 《三國志》 韓傳은 바로 그 진왕의 역사다. 《三國史記》에 의하더라도 초기 백제는 馬韓王 에 臣屬되어 있었다. 결국 편년에 문제가 있을 뿐, 《삼국사기》도 《삼국기》 한전도 서로 상반된 역사상을 전해주고 있는 것은 아니다. 본고에서는 《삼국지》 한전과 《삼국사기》 백제본기를 서로 보완적으로 활용하여 진왕 이해에 한 발짝 더 다가서려 하였다. 245년 魏의 濊貊 토벌은 단순히 관구검의 高句麗 침공을 후원한다는 의미만 가지고 있지 않았다. 이 토벌이 韓의 那계 등 수십국의 歸附로 귀결된 것에서 잘 알수 있듯이, 中國 郡縣의 韓에 대한 통제는 예맥 지역과 밀접히 연관되어 있었다. B.C. 75년 이후 領西濊 지역은 樂浪郡이 지배하고 있었다. 이를 통해 낙랑군은 辰韓과 직접 교통하였고, 이 길은 적어도 125년까지는 유지되었다. 낙랑군과 진한 사이의 이 교통로는 염사착이 낙랑군에 귀부해간 것에서 알 수 있듯이, 韓 사회의 통합을 가로막는 분열의 길로 작용하고 있었다. 이러한 점에서 桓靈之末(A.D. 146∼189) 이후 韓·濊의 강성은 韓 사회의 통합에 새로운 轉機를 마련한 분수령이었다. 마한 북부지역에서는 신분고국이 낙랑군을 대신하여 영서예 지역을 장악하여 진한 및 변한의 狗邪國 등과 교통하였다. 마한 중부지역에서는 目支國이 신분고국에 밀려 내려온 伯濟國을 받아들이고, 辰·弁韓 12국을 臣屬시키는 등 급속히 권력을 확대하여 갔다. 마한 남부의 臣雲新國과 변한의 安邪國 등도 서로 교통하며 성장하고 있었다. 특히 목지국은 대방군↔목지국↔신운신국↔안야국의 海路 및 신분고국↔진왕에 속한 진·변한 12국↔구야국의 陸路 등을 연결하는 중간 지대를 세력권으로 장악함으로써, 삼한의 대국인 신운신국, 안야국, 신분고국, 구야국 등에 상당한 The Account of Eastern Barbarians(東夷傳) in the Samgukji(三國志) is the oldest, most systematic source concerning three-Hans(三韓) society. The part of the Samgukji concerning three-Hans in the 3rd century records the existence of king by the name of Chin-Wang(辰王). However the interpretations of Chin-Wang have been varied, and no authoritative conclusion has been reached. In the present paper, I investigate the historical character of his figure. First, during the 2nd century, chieftain called Sinji(臣智) came into existence as the result of combination and subjugation between tribal communities in three-Hans society. The Sinji in each region organized central political principality, such as Mokji-guk(目支國), Sinbungo-guk(신분고국), Sinunsin-guk(臣雲新國), located in Ma-Han(馬韓), Guya-guk(狗邪國), Anya-guk(安邪國), located in Byeon-Han(弁韓). Next, in the beginning of the 3rd century, Sinji of Mokji-guk conclued close relationships with the other chieftains of principalities, over which he establishe himself as paramount chieftain. By balancing the interests of these principalities, at length he became a king, Chin-Wang. However, the basis of Chin-Wang s kingship was very weak, so he was always unable to bring these principalities under his authority. On the disruption-policy of Wei(魏) dynasty in China, he soon disappeared during the latter half of the 3rd century. Chin-Wang s historical character is very complicated and difficult to figure out, but the actual existence of Chin-Wang can not be refuted, and he should be historically evaluated as an important historical precedent to the formation of Paekche(百濟), the ancient Korean state.

      • KCI등재

        呑虛 스님의 求道過程과 人材養成

        윤선태 한국불교학회 2013 韓國佛敎學 Vol.66 No.-

        탄허 스님은 儒者로서 출발해 道敎에서 道를 구하다 1934년 스물둘 약관의 나이에 불교에 귀의하였다. 당시 쇄도하던 신학문 대신에, 청년 탄허는 기존의 전통 사상을 선택했다. 탄허는 보천교의 핵심간부였던 부친의 영향으로 서세동점의 현실 속에서도 우리의 전통 사상을 무기력한 ‘未開’의 존재로 바라보지 않았다. 이러한 탄허의 인식은 그에게 유교를 가르쳐준 간재 田愚의 제자 이극종을 만나면서 더욱 강화되었다. 이들을 통해 탄허 스님은 인간과 세상을 일이관지하는 ‘근본’을 추구하는 정신을 체득하였다. 전통 계승의 길을 택하고, 스승 한암을 찾아간 청년 탄허는 상원사의 승려수련소에서 7년 동안 ‘履歷’에 매진한 끝에 마침내 불교를 통해 노장사상을 풀고 삼교회통을 자득하였다. 한암은 일제가 덧씌운 心田 개발의 외피를 뚫고 제자에게 조선후기 불교계의 성취를 전수하였고, 또 탄허는 이를 통해 戒·定·慧 三學의 전통을 이어받았다. 한암의 정신을 계승하고, 『新華嚴經論』의 완역불사가 싹트고, 유·도·불의 회통까지 자득했던, 그 최고의 순간들이 모두 상원사 수련소에서 이루어졌다. 탄허 스님이 이후 ‘교육불사’를 왜 그토록 강조했는지는 자명하다. 탄허에게 교육은 가장 큰 기쁨이었고 ‘道’와 조우한 순간이었다. 탄허 스님의 교화활동은 사실 ‘인재양성’이라는 이 하나의 말로 집약될 수 있을 정도로, 그는 후진을 길러내는 교육에 온정신을 쏟아 부었다. 그는 자신의 방대한 역경사업조차도 “모두 인재양성을 위한 履歷本을 역주한 것이라며,” 승려교육의 교재개발 목적에서 비롯되었음을 밝히고 있다. 탄허가 승려교육을 강조하였던 직접적 계기는 해방 이후 불교계에 불어 닥친 ‘사찰정화운동’과 밀접히 관련되어 있다. 정화운동으로 대처승들을 교단에서 몰아냈지만 數的으로 극히 적은 비구승이 전국의 사찰을 접수, 관리함에 따라 승려 수의 절대부족이라는 문제에 봉착하게 된다. 더욱이 당시 교단은 승려의 질 저하를 전혀 고려하지 않은 채 자질이 떨어지는 무뢰배들도 승려로 받아들였다. 이는 결국 불교계 전반에 걸쳐 수행 풍토의 파탄을 가져왔다. 탄허 스님이 승려 교육과 후진 양성, 그리고 譯經을 통해 승려들을 가르칠 교재 개발에 그토록 몰두했던 것도 바로 이러한 당시 불교계에 대한 현실인식에 기초한 것이었다. 불교의 근본정신을 되찾기 위한 탄허의 개혁의지는 대처승을 몰아내는 정화운동에 그치지 않았고, 오대산 및 영은사수도원의 설립으로 이어진다. 이들 수도원에서 탄허 스님은 계·정·혜 삼학을 강조했던 스승 한암의 전통을 계승해, 교육을 ‘結社’의 차원으로 승화시켰다. 탄허의 삼교회통 정신은 간단히 말해 삼교가 모두 통한다는 것이다. 탄허 스님은 삼교에서 공히 말한 ‘자각’의 힘을 설파하였다. 인간은 누구나 창의적이며 각자 다양한 지능을 타고나지만, 정작 근대의 교육은 우리의 다양한 지능을 인정하지 않고 학습 능력에 국한된 지능만을 강조해 창의성을 위축시키고 있다. 예측할 수 없는 미래에 대처할 수 있는 방법은 ‘자각’, 즉 타고난 소질과 개인의 열정으로 ‘스스로 배우려는’ 자각의 힘을 열어가는 것이다. 그게 바로 창의성이며, 교육의 근본으로 돌아가는 것이다. 탄허는 그렇게 한암에게 교육받았고, 또 다시 제자들에게 돌려주었다. 자각의 힘을 일깨워주는 것 그것이 교육이고, 탄허가 우 ... Tanheo was a Confucian at the beginning, seeked truth in Daoism, and in 1934 turned to Buddhism at twenty-two. In stead of a new learning of the time, he made a choice of a traditional thought of the past. With the influence of his father, a main executive of the Bocheongyo, he did not considered the Korean traditional thought as a uncivilized one. Such a recognition became strengthened by meeting Yi Geukjong, a disciple of Jeon Wu. Through them, Tanheo acquired the mind seeking a 'basic' penetrating a human being and a world. By meeting teacher Hanam, Tanheo studied at Sangwonsa monk training center for seven years, mastered Lao-Zhuang thought among Confucianism, Daoism and Buddhism, and finally acquired the communication of the three teachings. Hanam transferred the achievement of the late Joseon Buddhism to his disciples, and Tanheo succeeded the tradition of three learnings, gye (戒), jeong (定), and hye (慧), from his teacher. All the works, including the blossoming of the translation of the New Avatamska Sutra Theory, were done at Sangwonsa monk raining center. It is obvious why Tanheo so emphasized the 'education of a Buddhist service' To him education was a biggest pleasure and a moment of meeting with 'truth'. The enlightenment activity of Tanheo was just a 'nurture of a talent', and he therefore concentrated all his energy on the education for the younger generation. He even confessed that his work for the sutra translation is to make teaching materials for the education of monks. The reason he stressed the education for monks is related to the 'purification movement of Buddhist temple' executed after the liberation. As a result of the purification movement, married monks were removed from the Buddhist Order. However, the order faced the difficulty that a small number of monks had to manage all the Buddhist temples. For the reason, the order of the time accepted a ruffian as a monk, and the result was the declining of the quality of monk. Such a situation brought the breakdown of ascetic climate in Buddhist order. The momentum Tanheo immersed himself in the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 for monks through the translation of sutra came from the recognition of reality of the time in Buddhist Order. His will for reform to regain the basic spirit of Buddhism made him to establish the Odaesan and Yeongeunsa schools. At the schools Tanheo succeeded the tradition of teacher Hanam who stressed the three learnings. Tanheo's spirit of the communication of three teachings is that they communicate each other. It is to realize the strength of self-awareness. Human beings were born with creativity and various intelligence, but the modern education is not allowed to acknowledge them and emphasizes study intelligence only. As a result, creativity was annihilated. The way to deal with the unforeseeable future is to cultivate the strength of self-awareness 'learning by oneself' with a native talent and individual passion. It is exactly creativity and returning to the basic of education. Tanheo was educated by his teacher in such a way, and he taught his disciples in the same one. The only one he stressed was education, which is to cultivate the strength of self-awareness.

      • KCI등재
      • KCI등재

        한국 고대 木簡 및 金石文에 보이는 固有漢字의 양상과 구성 원리

        윤선태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2020 東洋學 Vol.0 No.80

        In ancient Korean society, where Chinese characters were accepted and studied, they understood the Six principles of Chinese character formation(六書). Compound-ideograms(會意字), the method of creating new characters by combining the meanings of existing Chinese characters was found to be the earliest in the creation of unique characters and the most generalized composition principle. It is thought that our first case of unique characters, ‘Warehouse 椋’, was made with the same principle. After the unification of the Three Kingdoms, Silla produced more unique characters in the process of maturing Chinese characters. One axis is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Compound ideograms, such as 䢘, , and 鎰, while the other is Combining-two-letters(合字), new unique Chinese characters, such as 忄吏, 畓, 畠, and , which were created by the calligraphy habit of combining two letters and pasting them together in line with the development of document administration since the Three Kingdoms Period. This shows that most of new Hanzi characters made in ancient Korea were created from the principles of Compound-ideograms and Combining-two-letters. Finally, through a new interpretation of the ‘咊’ found in the wooden document No. 17 excavated at the Wolseong moat in Gyeongju, it was emphasized that the letter ‘咊’ was unique character to the meaning of ‘engraving 咊(seop)’, which was used until the Joseon Dynasty through Goryeo, and that the date of its creation could be traced back to Silla in the 6th to the early 7th century. I also suggested that the letter “口” is a semantics with the meaning of engraving and pecking, and that the letter “禾” is sound of seop. This shows that ‘engraving 咊(seop)’ was created from the principle of Phono-semantic-compounds(形聲字). 漢字를 수용 학습했던 한국 고대사회에서는 한자 형성의 여섯 가지 원리, 즉 六書를 이해하고 있었다. 이로인해 기존 한자의 뜻을 조합해 새로운 글자를 만드는 會意字 방식이 고유한자 생성에서 가장 일찍 등장하고, 가장 일반화된 구성 원리로 확인된다. 우리 최초의 고유한자 사례인 ‘창고 椋’자도 會意의 원리로 만들어졌다고 생각된다. 삼국통일 이후 신라에서는 한자문화의 성숙과정에서 더욱 많은 고유한자들이 생성된다. 그 한 축은 최초의 ‘椋’과 같은 ‘䢘’, ‘’, ‘鎰’ 등 會意字의 증가이며, 다른 한 축은 이미 삼국시대부터 文書行政의 발달과 궤를 같이하여 合字의 書寫慣行에서 생성된 ‘忄吏’, ‘畓’, ‘畠’, ‘ ’ 등과 같은 고유한자들이다. 이를 통해 한국고대 고유한자의 대부분은 會意와 合字의 원리로 생성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다만 會意字의 부류들은 글자의 각 변을 구성하는 두 글자가 상용어휘가 아니며, 의도적으로 글자들을 선택하여 조합했거나 글자의 일부 획을 없애는 등의 방식으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그것이 생성된 시기의 문화적 기초가 사라지면 그 글자 역시 생명력을 유지하기 어려운 측면을 강하게 띠었다. 지명에 쓰였던 탓으로 ‘䢘’는고유명사 속에서 예외적으로 생명을 이어갔지만, 나머지 글자들 특히 ‘椋’, ‘鎰’처럼 중국 한자에서 똑같은 자형이 다른 뜻으로 그대로 사용되고 있는 글자들은 그 쓰임새가 지속될 수 없었다. 이로 인해 고대나 고려를 하한으로 글자로서의 생명력이 소진되었다. 한편 合字란 “연속되는 둘 또는 그 이상의 한자를 수직이나 수평 방향으로 한 글자처럼 합쳐 쓴 것”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畓’자는 ‘水+田’을 합한 글자라는 점에서 會意字의 범주에 포함될 수도 있지만, 앞의 椋, 䢘, , 鎰 등의 부류들과는 성격을 달리한다. 상용어휘의 합자에서 훈과 음을 가진 완벽한 한 글자로생성되었기 때문에, 또 문자 속에 두 글자의 모습을 그대로 갖고 있어서 글자의 생명력도 끊어지지 않고 현재까지 지속되었다. 끝으로 월성해자 출토 <목간17호>에서 확인되는 ‘咊’자를 묵서 내용의 새로운 해석을 통해, 이 ‘咊’자가 고려를 거쳐 조선시대까지 사용되었던 ‘새길 섭(석)’의 뜻을 지닌 고유한자이며, 그 생성 시점이 6세기~7세기 전반의 신라로 소급될 수 있음을 강조하였다. 또 이 글자의 ‘口’는 새기다, 쪼다(啄)의 뜻을 가진 의미부이며, 禾는 의미와 관계없이 아로새긴다는 뜻에 해당되는 우리 고유의 음만을 표현하기 위해 결합시킨 形聲字가 아닐까 제안해보았다.

      • KCI등재

        新羅 東宮의 位置와 ‘東宮官’機構

        윤선태 신라사학회 2019 新羅史學報 Vol.0 No.46

        This paper examines the location of the crown-prince palace(Donggung東宮), as well as government offices belonging to the crown-prince (Donggungkwan 東宮官) in Silla dynasty. Among the Samguksagi’s records that describe the period before the 19th year of King Munmu’s reign(679), no information about the location of the crown-prince palace can be found. For the first time, the crown-prince palace was built in Silla in 679. Donggunga and Donggungkwan were installed in the 11th year of King Gyeongdeok’s reign(752). In general, the crown-prince palace was recognized as just the Imhaejeon(臨海殿) that were located on the west side of the Anapji(雁鴨池) which was excavated a lot of relics related to the crown-prince and government offices to Donngungkwan including Donggungah(東宮衙), Setaek(洗宅), Woljijeon(月池典), Woljiackjeon(月池嶽典), Yongwangjeon(龍王典) etc. Anapji was Wolji(月池) in Silla dynasty, so Woljijeon and Woljiackjeon was recognized as a Anapji Administration Department. But Anapji and Imhaejeon is too big for the crown-prince palace of Goryeo and Joseon dynasty. So Anapji and Imhaejeon is not the crown-prince palace of Silla. The archaeological site of the Silla capital on east side of Wolji is where has been excavated since 2007 in Gyeongju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many ruins of buildings built from pre-middle period to the latter period of Silla are concentrated in the area. The location of the site is directly connected with Wolji at west side of the site. large buildings, the palace-wall, and East gate of palace appeared in the site. Therefore It is estimated that the crown-prince palace of Silla is not Anapji and Imhaejeon on west side of Wolji but the archaeological site of the Silla capital on east side of Wolji. 현재 학계에서는 안압지와 그 서편의 임해전 건물군 일대를 신라의 동궁으로 보고 있지만, 고려 및 조선시대의 동궁들과 비교해볼 때 신라 동궁의 규모가 너무나도 크다. 또 동궁 관할의 임해전에 와서 왕이 群臣에게 향연을 베푼다는 것도 납득하기 어렵다. 이로 인해 ‘동궁’을 태자궁이 아니라 ‘동쪽의 궁’으로 보는 수정안이 나왔다. 그러나 애장왕 5년 ‘임해전’과 ‘동궁 만수방’이 병칭되는 기사나 월지 출토 ‘太子’ 및 ‘東宮官’ 관련 문자자료로 볼 때, 신라의 동궁은 임해전 일대의 월지궁과 독립되면서도 월지 인근에 존재하였을 가능성이 높다. 2007년 11월 이후 발굴이 진행되고 있는 월지 동편 유적에서 월지의 동쪽 호안을 따라 남북으로 긴 宮墻이 95미터 이상 노출되었고, 동단 끝으로 발굴이 더욱 확대되면서 남북대로에 맞닿아 있는 ‘동문지’로 추정되는 유구도 추가로 확인되었다. 이 월지 동편의 宮墻에서 동문지까지가 하나의 독립된 공간으로 구분되었음을 명확히 알 수 있다. 더욱이 이 월지 동편 유적은 궁장의 중간에 가설된 門들을 통해 월지와도 분명히 소통 연결되는 공간이라는 점에서, 앞서 신라 동궁의 입지조건들과도 상당히 부합된다. 월지 동편의 발굴 상황은 안압지 출토 門號木簡에 기록된 동궁의 궁문이나 내부구조와도 일치한다. 월지 동편 유적의 ‘동문지’는 문호목간의 ‘東門’이며, 그 서쪽 1호 담장지인 宮墻에 가설된 ‘3호 건물지’는 ‘開義門’으로 추정된다. ‘모퉁이 궁’이라는 뜻의 ‘隅宮’은 1호 담당지의 서편, 즉 1호 건물지가 있는 공간이라고 생각된다. 그곳의 발굴이 확대되면 우궁의 북쪽과 서쪽에 外垣과 그 각각에 隅宮의 北門과 西門이 노출될 것으로 기대된다. 隅宮은 그 내부 1호 건물지가 동향이라는 점에서, 월지 동북편의 모퉁이 空地를 활용한 동궁의 부속 공간이었다고 생각된다. 월지의 서편 건물지는 ‘임해전’으로 잘 알 수 있듯이, 왕궁의 後苑인 월지에 건설된 남북축선을 고려한 매우 권위적이며 의례적인 건물군이다. 이러한 임해전과 월지의 영역은 왕의 공간이며, 그곳을 궁장(또는 苑墻)으로 차단하고 왕궁의 동단 끝에 다시 태자의 공간으로서 동궁이 별도로 건설되었다. 이때 동궁에는 태자를 위해 작지만 독립된 정원시설까지 기획될 정도로 동궁(태자궁)의 격조와 장엄에 상당한 신경을 썼다. 신라의 ‘東宮官’은 예하 관부의 구성과 기능으로 볼 때, 당에서 태자를 보좌하던 관청들을 묶어 ‘東宮官’이라고 통칭하였던 사례와 정확히 일치한다. 또 당의 동궁관 예하 관부가 동궁 내에 모두 존재하지 않았듯이 신라의 동궁관 관청들도 모두 동궁 내에 있지 않았다. 인왕동 왕경유적의 ‘東宮洗宅’처럼 하대에 들어 태자의 文翰機構가 확대되면서 동궁 밖에도 동궁관 관청이 늘어났다. 한편 月池典과 月池嶽典이 내성이 아니라 동궁관 예하인 것은 龍王典과 관련이 있다. 용왕제가 왕실의 영속을 비는 제사로서, 용왕이 만파식적을 내려준 바다를 표상하는 월지(안압지)에서 태자가 거행하였기 때문에, 월지를 관리했던 관청들과 용왕제를 담당했던 관청이 함께 동궁관 예하에 편성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 KCI등재

        羅州 伏岩里 出土 百濟木簡의 判讀과 用途 分析 -7세기 초 백제의 지방지배와 관련하여-

        윤선태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2012 百濟硏究 Vol.56 No.-

        The wooden tablets of Bogam-ri site are relics of Baekje made out about 610A.D. Being produced in local society, let many scholars research this wooden tablets. It's time to review the results of my research. Tablet no.2 has a few vague letters, but it is clear that it has the letter ‘丁’,‘中’, ‘小’ and ‘兄’, ‘婦’, ‘妹’. That must be a important material which can give clue to investigate the composition of Household Register in Baekje society. Because the name of relatives and the age rank were written on that. Tablet no.5 has contents that the people, the cow, and the land to cultivate of a household. Baekje Household Register was composed of that many factors. Tablet no.3, no.4, no.10, and no.12 are important. The administration-system and the way of labor mobilization can be studied through those. The people of ‘半那’ and ‘軍那’ under the control of ‘豆肹城’ were mobilized and worked. There are some difficulties to examine those tablet. To understand its contents and usage, it is necessary to clear how it was used in document administration in local societies. 복암리 목간은 백제의 중앙 도성이 아닌 지방사회에서 발굴된 최초의 사례이며, 목간의 묵서에도 종래의 문헌자료에서는 확인되지 않는 백제의 戶파악방식, 농업경영(量田 및 단위생산량), 그리고 ‘郡-城’의 행정체계에 관한 매우 획기적인내용들이 기록되어 있어, 그 의의가 자못 크다. 복암리 목간에 대한 본고의 분석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복암리 <목간11>에 기록된 ‘庚午年’은 610년으로 추정되며, 내용상 호구파악이나 군-성의 행정 관련 문서목간들이 대부분이어서, 복암리 목간은 7세기 초에 백제 지방관부가 작성한 목간으로 이해된다. 둘째, 복암리 목간을 통해 백제의 ‘戶籍’과 기층사회의 존재양태를 이해할 수 있는 기초가 마련되었다. <목간2>와 <목간5>를 통해 백제 戶籍의 서식도 어느 정도 복원이 가능하게 되었다. 백제의 戶는 복합세대로 구성되었고, 세대별로 독립기술되었다. 그 각각에 中口, 小口 등 그 예하 子女가 남녀 구별 없이 나이순으로 기술되었다고 추정된다. 이는 현존하는 西魏의 大統 13년(A.D.547) 戶籍이나 日本의 西海道戶籍(A.D.702)과 서식이 매우 유사하다. 결국 西魏 계열의 서해도호적기재양식은 7세기말 망명한 백제계 지식인들에 의해 고대일본에 전파되었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생각된다. 셋째, 복암리 목간을 통해 백제의 郡-城 지방행정체계를 검토할 수 있는 기초가 마련되었다. <목간4>의 ‘郡佐’나 <목간10>의 ‘郡得分’처럼, 복암리 목간에는 백제의 ‘군-성’ 행정과 관련된 목간이 여러 개 확인된다. 또 ‘軍那’가 기록된 荷札과‘半那人’들의 역역편성 관련 문서목간 등이 확인되고 있어, 목간이 출토된 복암리 지역, 즉 豆肹城이 7세기 초 당시 군나, 반나 등을 예하에 거느린 郡置였던 것으로 짐작된다. 복암리 목간을 전후한 시기 영산강 유역 지역권력의 변화과정을 추론하면 다음과 같다. 영산강 유역은 반남고분군으로 상징되듯이 전통적으로 ‘半那’가 지역권력의 정점에 있었다. 백제는 6세기 이후 영산강유역으로 세력을 뻗치면서, 반나의 기존 세력을 약화시킬 목적으로 현재 다시면 복암리 일대인 ‘豆肹’ 지역의 세력을 후원하였다. 복암리고분군은 이를 상징한다. 이후 백제의 중앙집권제 하에서 豆肹城은 郡으로써 영산강 유역의 半那, 軍那, 布賢(發羅) 등의 각 城을 관할하였다. 이러한 郡-城의 행정관계는 唐이 帶方州를 설치하였던 도독부 시절에도 지속되었다. 한편 신라는 백제를 멸망시키고 영산강 유역의 기존 권력구조를 약화시키기 위해, 백제 때 눌려 지냈던 반나 지역을 군으로 승격하고, 두힐은 현으로 강등하여 발라군의 예하로 편성하였다. 이때 두힐이 기존에 관할하던 군나도 분리하여 무안군으로 소속시켰다. 이를 통해 백제 때 두힐 지역을 중심으로 하는 영산강 유역의 지역권력구조는 신라에 의해 완벽히해체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