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서울시 버스 준공영제 도입에 관한 연구: 정치적 관리의 관점을 중심으로
송현진,이정욱,조윤직 서울대학교 한국행정연구소 2017 행정논총 Vol.55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political management has been applied to the introduction of the Quasi-public Bus Operating System in Seoul, South Korea. While several previous reforms of the bus system in Seoul experienced failures, the reform in 2004 under Mayor Myungbak Lee was successful. The current research evaluates political management in the reform process based on Mark Moore (1995)’s framework that emphasizes the strategic management perspective. While existing studies mainly focus on evaluation of policy and recommendations for policy improvement, this research seeks to provide managerial guidance by focusing on the active roles of policy managers. According to the analysis, among the five strategies of political management proposed by Moore (1995), ‘Entrepreneurial Advocacy,’ ‘Managing Policy Development,’ and ‘Negotiation,’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adoption of the Quasi-public Bus Operating System. This research provides practical implications based on the analysis to public managers seeking to adopt new policies. 본 연구의 목적은 민선 3기 서울시 버스 준공영제 사례를 분석하여 다양한 의사결정자와 정치적 동원 과정이 필요한 혁신적인 정책을 성공적으로 도입하는데 있어 어떻게 정치적 관리가 이루어졌는지를 밝히는데 있다. 서울시 버스 문제는 90년대 초반부터 역대 서울시장들의 개입 시도에도 불구하고 번번이 실패하다가 이명박 시장 재임 시절인 2004년 7월 극적인 개편에 성공하였다. 지금까지 버스 준공영제에 관한 대부분의 연구는 주로 정책성과에 대한 평가와 개선방안에 초점을 맞추었고, 도입 과정에 주목한 최근의 연구들도 정치환경 및 정책환경 등 환경적 요인을 중심으로 논의를 진행하고 있다. 본 연구는 서울시 버스 준공영제의 도입과정을 분석함에 있어 정책관리자의 주도적 역할에 초점을 두는 정치적 관리 관점을 활용하였다. Moore(1995)가 제시한 정치적 관리전략의 분석틀을 본 사례에 적용하여 분석한 결과, 정치적 관리의 다섯 가지 전략 중에서 기업가적 옹호, 정책개발관리, 협상이 서울시 버스 준공영제 정책의 도입에 중요한 역할을 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서울시 버스 준공영제에 대한 기존 논의를 조직화하여 해당 사례에 대한 입체적인 이해를 돕는 동시에, Moore의 정치적 관리에서 고려된 각 요소를 소개함으로써 정책관리자들이 향후 서울시 버스 준공영제와 같은 대규모의 제도를 도입하고 개편하는데 있어서 실천적 함의를 제공한다.
감정노동이 사회복지사의 행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송현진,조윤직 서울대학교 한국행정연구소 2016 행정논총 Vol.54 No.3
This research seeks to examine how emotional labor affects the attitudes and behaviors of social workers, including burnout, turnover intention,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Playing the role of the street-level bureaucrat, social workers conduct emotional labor in their daily routine. Although many scholars and practitioners acknowledge its harmful effects, the social welfare service itself inevitably accompanies emotional labor to some extent. This research examines how the two strategies of emotional labor, surface acting and deep acting, affect four attitudes and behaviors of social workers. In addition, it also analyzes the effects of organizational support, including institutional and affective support, which may offset the negative influence of emotional labor. The regression analysis of survey data from 246 social workers reveals that surface acting increases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whereas deep acting enhances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In addition, the analysis also demonstrates that affective organizational support alleviates the negative effects of surface acting on burnout. 본 연구는 감정노동이 조직 구성원의 태도와 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조직지원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고객서비스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감정노동 수행에 대한 요구가 증가했고, 공공부문에서 정책집행을 담당하는 일선관료들도 정책고객인 국민들의 기대에 부응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상당한 정도의 감정노동을 수행하고 있다. 본 연구는 감정노동의 수행전략을 크게 자신의 진짜 감정을 숨기고 말, 표정, 몸짓을 바꾸는 표면행위와 인지적 노력을 통해 적절한 감정을 느낄 수 있도록 노력하는 내면행위로 나누고, 이들 전략을 수행할 때 각 전략이 사회복지사의 태도와 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이와 더불어 사회복지사가 소속된 조직이 제공하는 제도적, 정서적 지원의 영향력을 함께 검증하였다. 연구 질문에 답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사회복지사 246명의 응답을 바탕으로 회귀분석을 수행한 결과, 표면행위는 소진과 이직의도에 부정적인 영향력을 증가시킨 반면, 내면행위는 소진과 이직의도는 증가시키지 않고, 조직시민행동을 높이는 결과를 보였다. 한편, 사회복지사의 서비스 제공 노력에 대해 조직이 제도적 지원을 수행하거나, 조직 내 동료 및 상사가 정서적 지원을 제공하는 경우, 이는 사회복지사의 태도 및 행동에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특히 조직의 정서적 지원은 소진을 증가시키는 표면행위의 부정적 영향력을 완화하는 조절효과를 나타냈다. 이는 감정노동 수행이 불가피한 상황에서 감정노동으로 인한 부정적인 영향력을 상쇄시키기 위한 조직의 지원이 어떠한 측면에서 제공되어야 하는지에 관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북한 영웅정치의 변화와 그 요인 연구: 역사적 제도주의 분석
송현진 북한대학원대학교 심연북한연구소 2022 현대북한연구 Vol.2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lucidate the historical process and factors contributing to the formation of, continuation of, and changes in North Korea’s heroic politics. To this end, an integrated approach based on historical institutionalism is used to analyze the effect that structures-institutions-actors have on each respective period of North Korea’s heroic politic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heroic politics can be classified by period: 1945~1966 can be termed the formative period of heroic politics, 1967~1994 a transition period, 1995~2011 a strengthening period, and 2012~2021 an adjustment period. Second, though there were certain elements of change, namely, to the function of heroic politics and the addition of institutions, the basic institutional identity and essence remain unchanged and show path dependence. On a whole, institutional changes were introduced through the addition of certain elements to existing features, and partial elements of transition and adjustment were also evident. Structural factors (war, division, etc.) contributed to the formation of institutions like the Suryong (supreme leader) system, planned economy, collectivism, and Juche ideology. Within this institutional context, heroic politics has undergone change through the interests and choices of actors like the supreme leader and the successor. This research aims to explain the changes and continuity in North Korea’s heroic politics in diachronic fashion, while providing an integrated analysis of the factors contributing to this phenomenon. It is particularly meaningful in that it confirms that heroic politics is an important mechanism within the North Korean socialist system. 본 연구의 목적은 북한 영웅정치의 변화과정을 탐색하고, 이에 영향을준 요인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역사적 제도주의를 바탕으로 북한영웅정치를 시대별로 나누어 구조-제도-행위자 요인의 통합적 접근으로분석한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1945년부터 1966년까지는 영웅정치의 형성기, 1967년부터 1994년까지는 전환기, 1995년부터 2011년까지는 영웅정치 강화기였고, 2012년부터 2021년까지는 조정기에 있다. 둘째, 영웅정치는 기능 변경, 제도 추가 등의 변화는 있었지만, 제도의기본 정체성과 본질은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 전체적으로는 기존 구성요소에 일부 요소가 추가되어 제도가 변화하는 형태를 유지하였고, 부분적으로전환과 조정의 모습을 보였다. 한반도를 둘러싼 전쟁, 분단 등의 구조적요인으로 북한은 수령체제, 계획경제, 집단주의, 주체사상 등의 제도를만들어 냈다. 이러한 제도적 맥락에 따라 최고지도자와 후계자라는 행위자의 이해관계와 선택 등으로 영웅정치가 변화하고 있다. 본 연구는 북한의영웅정치 연구에서 통시적으로 변화와 지속을 밝히고 그 요인의 통합적분석을 시도했다. 무엇보다 영웅정치가 북한 사회주의 체제를 움직이는중요한 메커니즘 중 하나임을 확인했다는 점에서 유의미하다.
북한 여성의 삶을 역사화하기: 북한 여성사 연구의 동향과 과제
송현진 북한대학원대학교 심연북한연구소 2023 현대북한연구 Vol.26 No.2
이 글은 그동안 국내 학계에서 이루어진 북한 여성사 연구 동향을 주제별로 살펴보고, 성과와 한계, 앞으로의 과제를 밝혔다. 북한 여성사 연구는한국전쟁과 여성 경험, 여성의 노동과 직업 생활, 국가와 모성·재생산, 여성의 섹슈얼리티, 시대별 여성의 삶, 여성 교육과 조직 생활, 여성 지도자와 인물, 남북한 여성사 비교 등의 주제로 이루어졌다. 연구 방법적으로는 여성의 구술사와 담론 분석으로 연구가 진행되었다. 북한 학계를 중심으로 다양한 학문의 장에서 북한 여성사 연구 성과물이 나오고 있는 점은성과라 할 수 있다. 하지만 북한 여성사 연구가 전체적인 편수도 적고주제 또한 다양하지 못한 점, 북한 여성사 연구의 이론과 방법론이 빈약한점, 제약된 연구 자료를 가지고 북한 여성사 전체를 이해해야 한다는 점, 여성주의 관점에 기초한 북한 여성사 연구가 나오고 있지만, 아직은 충분하지 않다는 점은 한계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북한 여성사 연구는 연구주제를 보다 확대하고 이론과 연구 방법을 더욱 정교화해야 하며, 북한여성 연구에서 여성사 연구가 한 분과로 안착할 필요가 있다. 이 글은북한 여성사 연구의 성장을 위한 시론적 논의로, 앞으로 북한 여성사 연구의 방향을 모색하는 기초자료의 역할을 했다는 점에서 유의미하다.
박사과정을 경험한 북한이탈여성들의 학습참여 동기 및 의미에 관한 연구
송현진,조현정 남북하나재단 2021 연구총서 Vol.-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henomenological investigation of the motivation and meaning of learning participation of North Korean refugee women who have undergone a doctoral course. To this end, a research analysis framework was developed as the learning participation motivation type suggested by Houl, and Mustakas'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was applied. Firs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on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learning, first, their learning orientation began in North Korea. Second, their goal orientation is to overcome economic and psychological difficulties with courage, persistence, and will through various learning experiences and create their own ‘roadmap’ . Third, their activity orientation is to get the energy they need to study through various activities, and to plan for the future by doing both activities and studies. Next, the meaning of their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learning is as follows. First, it is a journey of reflection towards the goal. Through self-discipline and reflection, they comfort themselves, reorganize their goals, and choose a life that makes them happy. Second, it is an acknowledgment and struggle for the 'different starting line’ in life. As a North Korean defector, I thought I was lacking, and I thought that I had to endure and persevere 40 death’ to Ш that deficiency. Third, studying is a never-ending journey. They re-established their values through participation in learning, changed the quality of life through study, and evaluated human life as an ’intangible asset’ of learning rather than judging it in terms of money.
송현진,조윤직 한국국정관리학회 2014 현대사회와 행정 Vol.24 No.2
조직 내 유리천장의 존재가 조직구성원들에게 전반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끼친다는 것은 여러 연구들을 통해 실증되어 왔다(장수덕 장영, 2007; 정재명, 2010b). 유리천장이 존재할 경우 차별의 대상은 핵심부서와 중요 직책에서 업무를 배당받지 못하거나, 승진에서의 불이익을 받게 된다(박혜영 정재명, 2009). 그 결과 유리천장을 인식한 개인은 불공정한 결정으로 인해 좌절을 느끼거나, 상관 및 조직에 대한 신뢰가 낮아지며(정재명, 2010b) 직무불만족 등의 소극적인 반응은 물론 결근, 이직, 보복 등의 적극적인 반응을 보이게 된다(나풍운, 1999). 이는 결과적으로 여성을 비롯한 다양한 인력의 활용 증대를 통한 조직의 생산성 향상 측면에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김상묵 박천오 강제상, 2000). 본 연구는 여성과 소수인종에 대한 유리천장을 대상으로 하여 유리천장 지각의 전반적인 영향력과 함께 특정 그룹에 따라 그 영향력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분석하였다. 미국의 실적시스템 보호위원회(U.S. Merit Systems Protection Board)에서 미국 연방정부 공무원 11,538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직업발전설문(2007 Career Advancement Survey) 데이터를 가지고 실증분석을 한 결과, 유리천장의 지각은 승진열망에는 유의미한 양(+)의 영향을 미치는 반면 직무만족에는 유의미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 나아가 유리천장 지각의 효과는 때로 차별의 당사자인 여성과 소수인종에게 집중되어 나타났다. 승진열망의 경우 여성이 남성에 비해, 소수인종이 백인에 비해 더 높은 수준의 승진열망을 보였고, 직무만족도의 경우 유리천장을 인지한 여성이 남성에 비해 직무만족도가 유의미하게 낮음을 확인하였다.
뉴스 수용자 파편화와 분극화 현상에 대한 네트워크 추론분석: 네트워크 필터링 기법의 영향력을 중심으로
송현진 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 2023 언론정보연구 Vol.60 No.2
A growing trends in diversification and fragmentation of digital media environment and the way in which news audiences receive news from various digital intermediaries has many practical and normative implications. Yet extant studies on such “audience fragmentation” has suffered from many methodological problems, including a) its overreliance on descriptive analysis of audience network, b) ignoring the implications of various methodological choices in the construction of audience network data, and c) a lack of thorough evaluation of the relative performances of audience fragmentation metrics. In this research, I explore methodological and theoretical implications of different network filtering techniques in the construction of audience exposure network, while seek to critically evaluate the relative performances of audience fragmentation measures. Based on multiple nationally representative surveys of media users in Korea from 2020 to 2021, I found that different network filtering techniques have a systematic impact on the construction of audience network data, therefore impacting the degree of fragmentation and polarization of news audiences. As expected, unfiltered network and DFRD method have shown the less fragmentation tendencies whereas backbone extraction method produced most fragmented audience network, while the choices of specific metrics measuring audience fragmentation or audience polarization have nontrivial implications for the conclusions that can be drawn from such data. 최근의 언론환경은 매체 다변화와 콘텐츠 다각화로 대변될 수 있다. 급변하는 사회 속에서 다양성의 제고는 경험적으로나 규범적으로 많은 함의를 가지나, 기존의 수용자 파편화 현상에 대한 연구들은 주로 기술적 네트워크 분석에 그치는 등 많은 한계를 가지고 있었다. 본 연구는 매체 및 채널 이용 패턴의 분극화와 파편화에 대한 기존 연구의 방법론적 맹점을 살펴보고, 국내외 최신 논의를 반영하여 수용자 중복 네트워크를 필터링하는 필터링 기법이 어떠한 체계적 영향력을 가져올 수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했다. 국내 상황에서 네트워크 필터링 기법이 수용자 파편화/분극화 양상과 그 변화 정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에 대한 방법론적 연구가 시급한 상황에서, 국내 미디어 사용자들의수용자 파편화/분극화 양상과 그 변화 정도를 엄밀한 네트워크 방법론에 근거하여 체계적으로 탐구하고, 나아가 서로 다른 필터링 기법의 영향력을 체계적으로 탐구하였다. 또한, 공간모형에 기반한 공간상 최적점을 추정하는 이상점 추론 기법을 활용하여 정파성에 기반한 수용자 중복 네트워크의 파편화와 분화 연구와의 접점을 살펴보고, 나아가채널 간 동시 노출 네트워크의 무작위성을 통제하는 서로 다른 필터링 기법이 이상점추론을 통해 도출된 수용자 중복 네트워크상의 채널 및 매체의 정파성에 기반한 네트워크의 파편화와 분화 정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네트워크 필터링 기법은 예상대로 수용자 중복 네트워크의 파편화와 분극화 정도를 해석하는 데 있어 체계적인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체로 필터링을 거치지 않는 네트워크와DFRD기법이 가장 파편화되지 않은 결과를, 반면 백본 추출 방법이 가장 파편화된 네트워크를 보여주는 것을 확인했다. 나아가, 수용자 네트워크의 파편화 정도를 나타내주는 지수들의 성격 및 퍼포먼스를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본 연구는 구체적인 필터링 기법 및 지수들의 선택에 따라 네트워크 파편화 및 분극화에 대한 결론이 서로 달라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