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多孔質 媒質에서 이산화탄소 하이드레이트 生成 및 解離에 관한 實驗的 硏究

        安泰雄,강주명,李在瀅 한국자원공학회 2004 한국자원공학회지 Vol.41 No.3

        이산화탄소를 하이드레이트 상태로 안전하게 지하지질구조에 저장하기 위해서는 실제 자연 다공질 매질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인자들을 고려한 하이드레이트 형성 및 평형 조건에 대한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 지금까지 하이드레이트 관련 연구는 메탄 하이드레이트에 집중되어 있었고 자연 다공질 매질이 아닌 공동에서의 연구가 주를 이루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자연 다공질 매질에서의 실험을 수행하였다. 등적 실험 방법으로 하이드레이트 형성 및 해리 실험을 수행하여 초기함수율과 공극크기가 이산화탄소 하이드레이트 형성 및 평형 조건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초기함수율이 형성 조건에 미치는 영향은 온도 약 273∼274K 범위를 기준으로 이상에서는 초기함수율이 증가할수록 낮은 형성 온도가 요구되는 것을 확인하였고, 이하에서는 영향을 무시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평형 조건에 대한 영향은 무시할 수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형성 조건에 미치는 공극크기의 영향은 작을수록 낮은 형성 온도가 요구되는 가능성을 발견하였고, 평형 조건에 미치는 영향은 무시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의 실험 결과는 이산화탄소의 지하지질구조 저장 시 목표 저장 지점 설정 등의 기초 자료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For safe subterranean disposal of CO2 in hydrate,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formation and equilibrium condition of CO2 hydrate, and factors affecting them in natural porous media. Previous studies on hydrate have been focused on hydrate of methane and the bulk test. In this study, experiments were conducted using three kinds of Berea sandstone with absolute permeability 9, 28 and 110 md. Isochoric operation was applied to examine the effects of initial saturation and pore size on hydrate formation and equilibrium condition. The experiments show that lower formation temperature is required with increasing initial saturation above 274K, while the effect of initial saturation is negligible below 273K. Though limited experiments have been conducted, lower formation temperature is required with decreasing pore size. However, there is no effect of initial saturation and pore size on equilibrium condition. This study can be useful data for permanent subterranean disposal of CO2 in the future.

      • 염화마그네슘과 견운모를 이용한 응집제 개발 연구

        안태웅,최희정,이승목 한국공업화학회 2015 한국공업화학회 연구논문 초록집 Vol.2015 No.0

        본 연구는 무기응집제인 염화마그네슘과 점토광물인 견운모의 비울과 pH가 미세조류 응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염화마그네슘과 견운모를 1:1, 1:2, 1:3, 1:4, 1:5, 1:6의 각각의 비율로 80°C의 온도에서 12시간 가열 교반하여 제작하였다. 1L의 비커에 미세조류를 100mL 넣은 후 비율에 따른 응집제를 투여한 후 다양한 pH를 조절하여 미세조류 효율을 실험하였다. 실험결과 염화마그네슘과 견운모의 비율 1:2와 pH5에서 78%의 미세조류 응집효율을 나타내어 가장효율이 높았다.

      • 습지를 이용한 오수처리에서 생촉매 담체가 오염물질 제거에 미치는 영향

        안태웅,( Prabuddha Gupta ),최철호,이승목 한국공업화학회 2014 한국공업화학회 연구논문 초록집 Vol.2014 No.1

        습지를 이용한 생활하수 처리 기술은 친환경적일 뿐만 아니라 적은 시설비와 관리 비용으로 인해 운영비 절감의 효과가 큰 공법이다. Pilot 규모의 수조를 제작한 후 사등분하여 1조는 control, 2, 3, 4조에는 각각 수생식물(물 칸나), biochar, 자갈을 각각 다른 비율로 넣은 후 7일간 펌프를 이용하여 순환 시키면서 Turbidity, T-N, T-P, COD, TDS를 측정하여 영양물질 처리 효과를 검토하였다. TDS의 경우 수조 3에서 13%의 가장 큰 감소율을 보였으며, Turbidity는 99%의 감소율을 보였고 T-N의 경우 수조 3이 96%의 가장 큰 감소율을 보였다. T-P의 경우 수조 2에서 68%의 감소율을 보였고 COD의 경우 수조 3에서 86%의 가장 큰 감소를 볼 수 있었다. 실험 결과로 보아 실험의 모든 항목에서 biochar, 수생식물을 심은 수조에서 평균 69%의 우수한 제거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 이 시스탬을 실용화하게 되면 국내 오수처리 시설을 보다 경제적이고 실용적으로 발전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후보

        Effect of Hot-brine Temperature on Hydrate Dissociation Behavior in Methane Hydrate-bearing Sediments

        안태웅,박창협,이재형,이호영,강주명 한국자원공학회 2011 Geosystem engineering Vol.14 No.3

        The dissociation behavior in methane hydratebearing sediments was experimentally analyzed by changing temperature of hot-brine ranged from 16.3 to 42.0 Celsius. The experimental apparatus was designed to demonstrate an idealized one-dimensional dissociation phenomenon. The movement of dissociation front was directly measured from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during dissociation. The dissociation front advanced faster with increasing injection temperature. The normalized speed of dissociation front could imply the probable zone to be dissociated by injecting unit pore volume of hot-brine in hydrate reservoir, and was linearly correlated with the temperature-driving force.

      • KCI등재

        타액선 종양 세포주의 증식, 이동 및 침습에 제 2형 트랜스글루타민아제가 미치는 영향

        안태웅,이종헌 대한구강악안면병리학회 2021 대한구강악안면병리학회지 Vol.45 No.2

        Salivary gland adenocarcinoma(AdCa NOS) is one of the major causes of mortality among malignant salivary gland tumors. New therapeutic measure are needed to improve the outcome for patients with AdCa NOS because current therapy does not significantly improve survival rates. Transglutaminase 2(TGase 2) was implicated in forming cross-linked protein polymer, apoptosis and matrix interaction. And also TGase 2 expression is up-regulated in proliferation, migration, invasion, and metastasis of cancer cells. shRNA which has emerged as an effective method to target specific genes for silencing has provided new opportunities for cancer therapy. But there has been rarely reported using shRNA-TGase 2 transfection in AdCa NOS.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specific inhibition of TGase 2 mRNA and protein expression by siRNA transfection of TGase 2 through RT-PCR and immunoslot blotting, and to study proliferation, migration and invasion assay of SGT cell line from AdCa NOS. Cell cycle analysis showed that the downregulation of shRNA-TGase 2 caused the accumulation of cells in the sub-G0/G1 phase. In migration assay, suppressing shRNA-TGase 2 inhibited the capacity of the cells to migrate compared to parental cells. In invasion assay, cells transfected with shRNA-TGase 2 decreased in invasion when compared to SGT and vector transfected cells. shRNA-TGase 2 expressing plasmids efficiently downregulated TGase 2 mRNA and TGase 2 protein expression. It suggested that the shRNA-TGase 2 targeting system against TGase 2 could have a therapeutic potentiality for malignant salivary gland tumors, especially in inhibiting and/or preventing cancer cell proliferation, migration and invasion.

      • KCI등재

        발포기술을 이용한 폐 LCD유리 여재의 수질정화능력 평가

        안태웅,오종민,최이송 대한상하수도학회 2010 상하수도학회지 Vol.24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process Waste-LCD(Liquid Crystal Display), to widely increase specific surface-area by foaming agent in the process of reprocessing and to use as a substrate of water treatment which is increased the ability of biological treatment, as well as to control non-point source pollutants produced by surface run off during rainfall with using this substrate, and to improve water quality of public watershed as developing substrate for water treatment to be able to purify second treated water which is exhausted at the wastewater treatment plant. The average removal efficiency of Waste-LCD that using the foaming technology was SS 71.2%, BOD 55.7%, COD 58.4%, T-N 29.5% and T-P was 50.3%. Almost Media, early stage showed low removal efficiency of SS and BOD. However, it became high when the microorganism adhered the Media. The variation of SS removal efficiency was high by inflow concentration of SS. The reason for the Media 4 showed high SS removal efficiency is that it has wide specific surface-area, and also it has a pore. All in all, it shows floating matter treatment ability not only inside but it also works outside of the substrate.

      • KCI등재

        임플란트 표면에서 배양된 정상인 조골세포의 증식 및 분화에 미치는 니코틴의 영향

        안태웅,이종헌 대한구강악안면병리학회 2018 대한구강악안면병리학회지 Vol.42 No.5

        Nicotine of tobacco component has a controversial impact in the clinical outcome of dental implants. Although numerous nicotine effects on bone healing around implants have been presented, it is rarely reported in vitro study about normal human osteoblast(NHost) from oral and maxillofacial area at the surface of implants.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nicotine on the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response of NHost to plasmatic and salivary levels of nicotine reported in smokers at the surface of screw-type plasma-sprayed titanium implants. NHosts were seeded on the surface of titanium implants and cultured for 21 days in α-MEM supplemented with 10% FBS, 50mg/ml ascorbic acid, 5mM β-glycerophosphate and 100nM dexamethasone. Seeded implants were exposed to various nicotine concentration(0.05-0.5mg/ml) from 1 to 21 days, and characterized for cell morphology, proliferation, differentiation, alkaline phosphatase(ALP) activity and ionized calcium concentration(Cai) of medium. Continuous exposure to higher nicotine concentration(above 0.3mg/ml) induced a dose- and time-dependent vacuolation of the cytoplasm, and a tendency to detach from the implant surface. 0.05mg/ml(lower nicotine concentration) did not cause significant effects in the cell proliferation and ALP activity. 0.1-0.2mg/ml caused evident dose-dependent effects in increased cell proliferation, ALP activity and earlier onset of matrix mineralization at levels up to 0.2mg/ml, while a dose-dependent inhibitory effect at 0.3-0.5mg/ml. Cai concentration of control group was decreased at 14 days. Increased Cai concentration at 0.1-0.2mg/ml, decreased Cai concentration at 0.3mg/ml and no change at 0.5mg/ml during the culture period were seen. It suggested that nicotine concentration could paly an role in modulating NHost activity as a contributing factor associated with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of NHost at the surface of implants.

      • 통합환경관리제도 운영을 위한 수질오염물질 저감계수에 관한 연구

        안태웅 ( Ahn Taeung ),김병수 ( Kim Byeongsoo ),강지현 ( Kang Jihyeon ),장민식 ( Jang Minsik ),김영란 ( Kim Younglan ),손대희 ( Son Daehee ) 한국물환경학회 2020 한국물환경학회·대한상하수도학회 공동 춘계학술발표회 Vol.2020 No.-

        통합환경허가 시 환경 목표 또는 환경이 수용 가능한 수준까지 배출을 허용하는 환경 맞춤형 허가배출기준 설정을 위해서는 환경의 질 목표수준, 사업장 주변의 오염현황 및 기타 오염물질의 확산·희석에 대한 모델링 방식 등에 대한 명확한 기준에 대한 설정이 필요한 실정이다. 수질오염물질의 허가배출기준에 대한 적용성 검토 부분에서 수질오염물질 저감계수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수질오염물질 배출영향분석 프로그램에 적용중인 저감계수는 간접배출 사업장에서 공공폐수처리시설 또는 공공하수처리시설에 배수설비를 통하여 폐수를 유입하는 경우에 총 오염도 산정 시 필요한 저감 배출농도를 구하기 위해 사용하는 계수이다. 통합환경관리를 시행중인 EU 국가 중에서 영국은 H1 프로그램을 적용하고 있는데 저감계수를 사용하고 있다. 영국환경청의 화학물질 조사 프로그램 연구 결과를 토대로 저감계수를 매년 업데이트 하고 있으며, 저감계수 산정 시 28개의 조사대상 공공폐수처리시설을 선정하여 유입수와 방류수를 분석하여 수질분석 결과를 토대로 제거효율을 산정한 후 저감계수를 도출하고 있다. 현재 통합환경허가를 시행중인 우리나라는 영국 H1의 저감계수를 그대로 「배출영향분석의 방법 및 결과서의 작성 등에 관한 규정 별표 11」에 반영하여 적용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실정에 맞는 저감계수를 도출하기 위하여 공공하수 및 공공폐수 처리시설을 선정하여 현장조사를 수행한 결과를 토대로 국내에 적용 가능한 저감계수를 산정하고자 하였다. 공공처리시설의 조사대상지점 선정기준은 산업폐수 연계처리율이 높고 시설 용량이 500 m3/일 이상인 시설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현장조사는 12개소를 수행하였다. 조사시기는 조사대상지점별로 분기별 1회, 유입수 및 방류수를 분석하였으며, 분석항목은 수질오염물질 배출영향분석 대상항목인 40종(구리, 크롬, 니켈 등 중금속, 유기화합물, 시안 등)이였다. J 공공하수처리시설의 현장조사 결과, 1차 조사에서는 불소, 수은, 아연, 바륨, 용해성철, 용해성망간, 폼알데하이드, 구리 등 분기별 조사 결과가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G 공공하수처리시설의 현장조사 수행 결과, 불소, 구리, 수은, 크롬, 아연, 바륨, 용해성철, 용해성망간, 니켈, 폼알데하이드 10종이 검출되어 저감계수를 산정하였다. 전체 조사대상지점의 유입수와 방류수 농도를 통해 제거효율을 산정하고 저감계수를 도출하였다. 향후에는 조사대상지점의 표본 수를 늘리고 영국의 저감계수와 해외 선진국의 처리수준 등을 비교 검토하여 저감계수 산정 결과의 신뢰성을 높여 국내에 적용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된다.

      • 통합환경관리제도 운영을 위한 수질오염물질 저감계수에 관한 연구

        안태웅 ( Ahn Taeung ),김병수 ( Kim Byeongsoo ),강지현 ( Kang Jihyeon ),장민식 ( Jang Minsik ),김영란 ( Kim Younglan ),손대희 ( Son Daehee ) 한국물환경학회 2020 한국물환경학회·대한상하수도학회 공동 춘계학술발표회 Vol.2020 No.-

        통합환경허가 시 환경 목표 또는 환경이 수용 가능한 수준까지 배출을 허용하는 환경 맞춤형 허가배출기준 설정을 위해서는 환경의 질 목표수준, 사업장 주변의 오염현황 및 기타 오염물질의 확산·희석에 대한 모델링 방식 등에 대한 명확한 기준에 대한 설정이 필요한 실정이다. 수질오염물질의 허가배출기준에 대한 적용성 검토 부분에서 수질오염물질 저감계수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수질오염물질 배출영향분석 프로그램에 적용중인 저감계수는 간접배출 사업장에서 공공폐수처리시설 또는 공공하수처리시설에 배수설비를 통하여 폐수를 유입하는 경우에 총 오염도 산정 시 필요한 저감 배출농도를 구하기 위해 사용하는 계수이다. 통합환경관리를 시행중인 EU 국가 중에서 영국은 H1 프로그램을 적용하고 있는데 저감계수를 사용하고 있다. 영국환경청의 화학물질 조사 프로그램 연구 결과를 토대로 저감계수를 매년 업데이트 하고 있으며, 저감계수 산정 시 28개의 조사대상 공공폐수처리시설을 선정하여 유입수와 방류수를 분석하여 수질분석 결과를 토대로 제거효율을 산정한 후 저감계수를 도출하고 있다. 현재 통합환경허가를 시행중인 우리나라는 영국 H1의 저감계수를 그대로 「배출영향분석의 방법 및 결과서의 작성 등에 관한 규정 별표 11」에 반영하여 적용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실정에 맞는 저감계수를 도출하기 위하여 공공하수 및 공공폐수 처리시설을 선정하여 현장조사를 수행한 결과를 토대로 국내에 적용 가능한 저감계수를 산정하고자 하였다. 공공처리시설의 조사대상지점 선정기준은 산업폐수 연계처리율이 높고 시설 용량이 500 m3/일 이상인 시설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현장조사는 12개소를 수행하였다. 조사시기는 조사대상지점별로 분기별 1회, 유입수 및 방류수를 분석하였으며, 분석항목은 수질오염물질 배출영향분석 대상항목인 40종(구리, 크롬, 니켈 등 중금속, 유기화합물, 시안 등)이였다. J 공공하수처리시설의 현장조사 결과, 1차 조사에서는 불소, 수은, 아연, 바륨, 용해성철, 용해성망간, 폼알데하이드, 구리 등 분기별 조사 결과가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G 공공하수처리시설의 현장조사 수행 결과, 불소, 구리, 수은, 크롬, 아연, 바륨, 용해성철, 용해성망간, 니켈, 폼알데하이드 10종이 검출되어 저감계수를 산정하였다. 전체 조사대상지점의 유입수와 방류수 농도를 통해 제거효율을 산정하고 저감계수를 도출하였다. 향후에는 조사대상지점의 표본 수를 늘리고 영국의 저감계수와 해외 선진국의 처리수준 등을 비교 검토하여 저감계수 산정 결과의 신뢰성을 높여 국내에 적용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된다.

      • 통합환경관리제도 운영을 위한 수질오염물질 저감계수에 관한 연구

        안태웅 ( Ahn Taeung ),김병수 ( Kim Byeongsoo ),강지현 ( Kang Jihyeon ),장민식 ( Jang Minsik ),김영란 ( Kim Younglan ),손대희 ( Son Daehee ) 한국물환경학회 2020 한국물환경학회·대한상하수도학회 공동 춘계학술발표회 Vol.2020 No.-

        통합환경허가 시 환경 목표 또는 환경이 수용 가능한 수준까지 배출을 허용하는 환경 맞춤형 허가배출기준 설정을 위해서는 환경의 질 목표수준, 사업장 주변의 오염현황 및 기타 오염물질의 확산·희석에 대한 모델링 방식 등에 대한 명확한 기준에 대한 설정이 필요한 실정이다. 수질오염물질의 허가배출기준에 대한 적용성 검토 부분에서 수질오염물질 저감계수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수질오염물질 배출영향분석 프로그램에 적용중인 저감계수는 간접배출 사업장에서 공공폐수처리시설 또는 공공하수처리시설에 배수설비를 통하여 폐수를 유입하는 경우에 총 오염도 산정 시 필요한 저감 배출농도를 구하기 위해 사용하는 계수이다. 통합환경관리를 시행중인 EU 국가 중에서 영국은 H1 프로그램을 적용하고 있는데 저감계수를 사용하고 있다. 영국환경청의 화학물질 조사 프로그램 연구 결과를 토대로 저감계수를 매년 업데이트 하고 있으며, 저감계수 산정 시 28개의 조사대상 공공폐수처리시설을 선정하여 유입수와 방류수를 분석하여 수질분석 결과를 토대로 제거효율을 산정한 후 저감계수를 도출하고 있다. 현재 통합환경허가를 시행중인 우리나라는 영국 H1의 저감계수를 그대로 「배출영향분석의 방법 및 결과서의 작성 등에 관한 규정 별표 11」에 반영하여 적용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실정에 맞는 저감계수를 도출하기 위하여 공공하수 및 공공폐수 처리시설을 선정하여 현장조사를 수행한 결과를 토대로 국내에 적용 가능한 저감계수를 산정하고자 하였다. 공공처리시설의 조사대상지점 선정기준은 산업폐수 연계처리율이 높고 시설 용량이 500 m3/일 이상인 시설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현장조사는 12개소를 수행하였다. 조사시기는 조사대상지점별로 분기별 1회, 유입수 및 방류수를 분석하였으며, 분석항목은 수질오염물질 배출영향분석 대상항목인 40종(구리, 크롬, 니켈 등 중금속, 유기화합물, 시안 등)이였다. J 공공하수처리시설의 현장조사 결과, 1차 조사에서는 불소, 수은, 아연, 바륨, 용해성철, 용해성망간, 폼알데하이드, 구리 등 분기별 조사 결과가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G 공공하수처리시설의 현장조사 수행 결과, 불소, 구리, 수은, 크롬, 아연, 바륨, 용해성철, 용해성망간, 니켈, 폼알데하이드 10종이 검출되어 저감계수를 산정하였다. 전체 조사대상지점의 유입수와 방류수 농도를 통해 제거효율을 산정하고 저감계수를 도출하였다. 향후에는 조사대상지점의 표본 수를 늘리고 영국의 저감계수와 해외 선진국의 처리수준 등을 비교 검토하여 저감계수 산정 결과의 신뢰성을 높여 국내에 적용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