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초·중학교 SW교육 심화과정을 위한 가상현실 프로그래밍 모듈 개발

        안성훈 한국창의정보문화학회 2019 창의정보문화연구 Vol.5 No.1

        In this paper, virtual reality programming modules were developed for software education advanced courses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And the effectiveness of the developed module was also analyzed. As the result, virtual reality programming module developed in this study was proven to be suitable for software education advanced courses required after basic coding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In particular,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very helpful for the information gifted education program which is carried out in 2,920 gifted education institutions nationwide. Also,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suitable for STEM education. 본 논문에서는 SW교육의 심화교육으로 가상현실 프로그래밍 교육을 초․중등학교 수준에 맞추어 적용할 수 있는 모듈을 개발하고 해당 모듈의 적용 가능성 및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본 논문에서 제시한 가상현실 프로그래밍 모듈은 문제해결과 학습몰입에서 모두 유의미한 향상을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가상현실 프로그래밍 모듈은 일선 초․중학교에서 기초적인 코딩의 개념과 알고리즘 이해 교육을 벗어나 심화교육으로 적용될 가능성이 충분한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전국 2,920개의 영재교육기관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정보영재교육에 활용 될 경우 정보영재교육의 수준을 높여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가상현실 프로그래밍 교육은 과학, 예술, 건축 등 다양한 분야와 융합교육이 가능해 학생들에게 다양한 흥미를 제공해주고 종합적인 분석력과 창의력을 길러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후보

        대장내시경으로 진단된 대장 폴립의 분류와 용종절제술에 관한 연구

        황재석,안성훈 啓明大學校 醫科大學 1992 계명의대학술지 Vol.11 No.1

        In Korea colonic polyps are increased in number, because of development of economic state, increased number of the aged group and health care. Among colonic polyps adenomatous polyps are highly potential to colonic carcinoma. Most polyps produce no symptoms and remain undetected clinically. Stool occult blood may be found in less than 5% of patients with colonic polyps. Colonoscopy or double contrast bariam study are used for deteciton of colonic polyps. Colonoscopy is the most significant diagnostic and therapeutic application because it can diagnoses and remove potentially precancerous adenomatous polyps. I detected 46 patients with colonic polyps and polypectomy was performed in most cases of polyps. 46 patients were consisted with 32 males and 14 females. Most patients are over 5th decades in 47%, next in 3rd and 4th decades. Polyps are located most frequently in left side colon in 69.1%, 27.9% in rectum, 25% in sigmoid colon. Polyps are less than 1cm in 51.4%. Polyps are classified as adenomatous polyps in 62.3% , hyperplastic polyps in 15.1% and inflammatory polyps in 15.1%. After polypectomy, in 5 cases, bleeding occurred, but stopped by electrocauterization.

      • KCI등재

        지방자치단체를 당사자로 하는 소송에 관한 법률 제정을 위한 시론

        안성훈,조경국 중앙법학회 2019 中央法學 Vol.21 No.3

        현재 지방자치단체는 소송수행 사무에 큰 제약을 받고 있다. 첫째, 지방자치단체는 행정소송에 관하여 법무부장관의 포괄적인 지휘를 받는다. 둘째, 민사소송과 당사자소송의 경우 국가나 상법상 회사 등이 비교적 자유롭게 소속 직원에게 소송수행을 할 수 있는 것과 달리 지방자치단체는 소속 직원에게 소송수행을 하게 할 방법이 매우 한정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제약이 타당한가? 지방자치단체의 소송에 대한 국가의 지휘권은 행정과 소송사무의 통일적 처리를 목적으로 하지만 거기에는 우등한 상급기관이 열등한 하급기관을 지휘·통제하겠다는 전제가 숨어있다. 그러나 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서로 소송전략이 충돌하기도 하고, 대립하는 당사자로서 싸우기도 한다는 점에서 상하의 관계라고 할 수 없다. 국가의 소송지휘는, 전자의 경우에는 행정적 간섭이며, 후자의 경우에는 이해충돌이 된다. 또한 지방자치제도는 지방자치단체 고유의 의사결정권한을 보장하고 있으며, 지방자치단체의 소송역량 또한 발전하였다. 그렇다면 지방자치단체의 소송에 대한 국가의 지휘권은 타당성이 적다. 한편, 국가는 국가를 당사자로 하는 소송에 관한 법률에 따라 자유롭게 소속 직원을 소송수행자로 지정할 수 있고, 민간 회사 등의 경우 지배인이나 사내변호사를 활용하여 비교적 자유롭게 소속 직원을 소송수행자로 활용할 수 있다. 그런데 지방자치단체는 오로지 민사소송법의 예외 규정이 아니면 소속 직원을 소송수행자로 활용할 수가 없다. 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지역적 제한 및 사무배분이 다를 뿐 행정권한을 행사한다는 점, 각자 헌법과 법률상의 조직근거를 갖는다는 점, 독립된 법인격을 가진다는 점에서 같고, 특히 소송에 임해서는 각자가 동등한 당사자가 될 수 있으므로, 소송수행자 지정 권한에 있어 이들을 다르게 취급할 이유가 없다. 그럼에도 지방자치단체는 국가의 지위는 고사하고 민간 회사의 지위보다 못한 대우를 받고 있는데, 이는 국가에 대하여 불합리한 차별취급이다. 이러한 상황은 해석으로 극복되기는 어려워 보인다. 그러므로 지방자치단체를 당사자로 하는 소송에 관한 법률(가제)을 제정하는 방식으로 해결되어야 한다. 그 내용으로 지방자치단체장이 소속 직원을 소송수행자로 지정하되 적어도 한 명 이상은 변호사 자격을 갖춘 직원을 포함한다. 그리고 사무의 종류를 불문하고 지방자치단체에 대한 법무부장관의 소송지휘권을 일괄삭제하되, 예외적으로 국가적으로 통일적 사무처리가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일정분야의 업무에 관해서만 소송지휘 등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을 두면 지방자치단체의 자율성과 국가행정의 통일성 모두가 확보될 수 있을 것이다. Currently, local governments are heavily constrained by their litigant practices. First, local governments are under comprehensive control of the Minister of Justice in respect of administrative litigation. Second, whereas the central government or the company can designate their employees as litigation performers in the case of civil and party suits, the local governments have very limited methods to make their employees perform litigations. But is this restriction reasonable? The central government's authority over administrative litigation by local governments is aimed at uniformly handling administrative and litigant affairs, but there is a premise that superior institutions will command and control inferior institutions. However,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are not in a high-level and low-level relationship with each other. Also, litigation strategies clash and fight as opposing parties. The central government's directions in litigation are administrative interference in the former, and conflict of interest in the latter. In addition, the local autonomy guarantees the decision-making authority unique to local governments, and the litigation capacity of local governments has also developed. If so, the central government's command over local governments' lawsuits is less valid.Meanwhile, the central government is free to designate its employees as litigation performers under the Act on Litigation to Which the State is a Party, and in the case of private companies, its employees can be used as litigation performers relatively freely by using managers or in-house lawyers. Local governments, however, cannot use their employees as litigation performers unless they comply with the exception of the Civil Procedure Act. There is no reason to treat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differently in their power to appoint litigation performer, as they have separate legal basis, and have independent legal status, especially since each can be an equal party in a lawsuit. Nevertheless, local governments are treated less than the status of private companies, let alone the status of the central government, which is unreasonable discrimination against the central government. This situation seems difficult to overcome by interpretation. Therefore, it should be resolved by enacting a law, tentatively named, the Act on Litigation to Which the Local Government is a Party. In this regard, the head of a local government shall have his or her employees as litigation performers, but at least one of them shall include those who are qualified as lawyers. In addition, the Act also excluded the general authority for the directions of the Minister of Justice in relation to the litigation concerned. And only exceptional cases can be ordered when it comes to certain areas of work that are deemed necessary for a unified office handling by the central government. This would ensure both the autonomy of local governments and the unity of state administration.

      • KCI등재

        Controlling Gas Permeability of a Graft Copolymer Membrane Using Solvent Vapor Treatment

        안성훈,김종학,김상진,노동규,이형근,정범석 한국고분자학회 2014 Macromolecular Research Vol.22 No.2

        A strategy is reported that combines assembled nanostructures and solvent vapor treatment to manipulatethe gas permeability of graft copolymer membranes. The VC-g-POEM graft copolymer consists of poly(vinyl chloride)(PVC) main chains and poly(oxyethylene methacrylate) (POEM) side chains, and was synthesized via atomtransfer radical polymerization (ATRP). When the PVC-g-POEM membrane was treated with a good solvent vaporsuch as acetone, the CO2 permeability increased from 107 to 145 Barrer (1 Barrer=10-10 cm3(STP)·cm·cm-2·s-1·cmHg-1),which is approximately a 36% improvement compared to an untreated sample. However, the permeability was significantlyreduced from 107 to 45 and 38 Barrer upon being treated with a selective (methanol) or poor solvent (hexane). The structure-property relation of the solvent-vapor-treated membranes was investigated using transmissionelectron microscopy (TEM) and small-angle X-ray scattering (SAXS) analysis.

      • KCI등재후보

        교육용 콘텐츠를 활용한 수업의 효과 분석

        안성훈,고대곤,박혜영 한국콘텐츠학회 2005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5 No.6

        The importance of ICT is being emphasized in this information-oriented society. In the 7th curriculum, it is necessary to use ICT more than 10% in teaching every subjects to keep pace with this trend. The distinctive feature of the curriculum lies in the introduction of various gradations and levels of the individual students. In this paper, by designing and applying the teaching idea based on educational contents, we analyzed how it has an effect on achieving of studies. A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e found that teaching based on educational contents made students the meaningful increasement of interest in the controlled group and according to the increasement of the achievement in studying, the improvement of teaching are confirmed. 오늘날 우리가 살고 있는 정보사회는 정보통신기술의 중요성이 매우 강조되고 있다. 이런 시대의 흐름에 부응하여 단계형 수준별 교육과정을 처음으로 도입한 7차 교육과정에서도 모든 국민 공통 기본 교과의 수업에서 정보통신기술 활용 수준을 10%이상으로 설정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교육용 콘텐츠 활용한 수업안을 설계해 적용함으로써 교육용 콘텐츠를 활용 수업이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인터넷과 멀티미디어 동영상 자료 등의 교육용 콘텐츠 활용 수업은 실험집단의 의미 있는 흥미도 증가를 가져왔으며, 학업성취도 향상에 따른 수업의 효과 증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