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문주왕의 웅진천도와 수촌리 고분군 조영세력

        강종원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2021 百濟硏究 Vol.73 No.-

        This paper reviewed the background of transfer of the capital to Woongjin by King Munju after the fall of Hanseong in 475 focusing on local power who constructed ancient tombs in Suchonli. It is understood that the ancient tombs in Suchonli were built from the end of the 4th century to the middle of the 5th century. At that time, Baekje continued to experience the national crisis due to the conflict over succession to the throne and the split of public sentiment internally, and the southward extension of Goguryeo externally. In order to break through this situation, Baekje established friendly relations between neighboring countries including Japan, and made efforts to prevent breakaway of influential local powers and to secure their human and material support. Suchonli tombs were constructed during that period when tombs were built to bury luxurious items in each region. It can be assumed that the influential group who built Suchonli tombs was the actual dominant forces with the economic and military basis in the middle stream area of the GeumGang. As for the local influence in Suchonli, it can be compared to the power of Baek clan which rose as a new political influence after the transfer of the capital to Woongjin. Baekje relocated its capital to Woongjin in October 476. The capital transfer aimed to rebuild the nation from the fall of Hanseong by Goguryeo’s invasion, the death of King Gaero and the existing threat of Goguryeo. Woongjin was not only a strategic foothold safe from Goguryeo’s military threats but had economic fundamentals and an advantage of major transportation point of waterway and inland route also. By the way, the transfer of the capital might have caused conflict of interests of various aristocrats in the process of discussion given that it could cause a change of political influence. Nevertheless, the reason why King Munju was able to appoint Woongjin to be a new capital could be attributed to the active cooperation of the Suchonli forces and their relative independence from the interests of the central aristocrats. However, I regard the background of placing the royal palace in Gongsanseong, not Euidang area where the Suchonli influential forces were located as not only its military stronghold but its position in favor of water transportation and the fact that proper infrastructure was equipped for the dispatched head of duty officers to manage provincial administration in the late period of Hanseong also. 본고는 475년 한성 함락 이후 문주왕이 웅진으로 천도한 배경을 수촌리고분군 조영세력을 중심으로 검토한 것이다. 수촌리고분군은 4세기 말에서 5세기 중반에 조영된 것으로 파악된다. 당시 백제는 대내적으로 왕위계승 분쟁과 민심의 분열, 대외적으로 고구려의 남진으로 인한 국가적 위기상황이 지속되었다. 백제는 이러한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왜를 비롯한 주변국가들과 우호관계를 맺고, 각 지역에 존재하는 유력한 재지세력의 이탈 방지와 인적·물적 지원을 확보하고자 노력하였다. 이 시기에 각 지역에서는 위세품을 부장한 고분군이 조영되었는데, 수촌리고분군도 그러한 흐름 속에서 형성되었다. 수촌리고분군 조영세력은 경제적·군사적 기반을 가진 금강 중류지역의 실질적인 지배세력이었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수촌리세력은 웅진천도 이후 신진 정치세력으로 등장하고 있는 백씨세력에 비정할 수 있다. 백제는 475년 10월 웅진으로 천도하였다. 천도 배경은 고구려의 침략으로 인한 한성의 함락과 개로왕의 죽음, 그리고 상존하는 고구려의 위협으로부터 벗어나 국가를 재건하기 위한 목적이었다. 웅진은 고구려의 군사적 위협으로부터 안전한 전략적 거점이었을 뿐만 아니라 경제적 기반을 갖추고 있었으며, 수로 및 내륙교통로의 요지라는 이점이 있었다. 그렇지만 천도는 정치세력의 변동을 초래할 수 있다는 점에서 논의과정에서 다양한 귀족세력들의 이해관계가 상충되었을 것이다. 그럼에도 문주왕이 웅진을 왕도를 정할 수 있었던 것은 수촌리세력의 적극적인 협조와 중앙귀족세력들의 이해관계에서 수촌리세력이 비교적 자유로웠기 때문이었다고 할 수 있다. 다만 왕성이 수촌리세력의 재지기반이었던 의당지역이 아닌 공산성에 두어진 배경은 군사적 요충지일 뿐만 아니라 수로교통에 유리한 입지적 위치, 그리고 한성후기에 도사가 파견되어 행정기능을 담당했던 곳으로 일정한 시설이 갖추어져 있었기 때문이 아니었을까 한다.

      • 식이를 통한 다환성 방향족 탄화수소 노출 평가

        강종원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충북대학교 의학연구소 2003 忠北醫大學術誌 Vol.13 No.2

        연구목적: 요중 다환성 방향족 탄화수소(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 PAH) 대사물질을 활용하여 PAH 함량이 높은 대표적인 식품(food item) 세 가지와 세 가주 수준의 섭취량에 대해 이들 식품을 특정량 섭취하였을 경우 PAH 흡수량이 얼마나 증가하는가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비흡연자인 자원자 25명을 모집하여 PAH가 많이 포함되어 있으면서 여러 사람이 많이 섭취하는 식품항목 3개(닭튀김, 햄버거, 돼지고기 구이)을 3개 양으로 구분하여 1일간 섭취하도록 하였다. DNA를 얻기 위해 정맥혈 3ml을 채혈하였고 PCR-RFLP법으로 CYP1A1, CYP2E1, GSTM1, GSTT1 유전자 유형 판정하였다. 채뇨는 조사기간 2일째부터 매일 아침 첫 소변을 30-50cc 받아 HPLC로 1-OHP, 2-naphthol농도를 측정, creatinine으로 보정하였다. 식품섭취 및 섭취량 별로 요중 1-OHP 농도가 변화하는가 분석하였고 성별 및 CYP1A1, CYP2E1, GSTM1, GSTT1 유전자 유형에 따라 식품섭취에 의한 요중 1-OHP 농도가 영향을 받는가 분석하였다. 결과: 요중 2-naphthol 농도는 식품 섭취에 영향을 받지 않았으나 요중 1-OHP 농도는 일부 식품 섭취에 따라 농도가 증가하여 식이를 통한 PAH 노출을 반영하는 지표로 활용될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닭튀김을 섭취할 경우 하루 1/4마리를 섭취하면 요중 1-OHP 농도가 0.9 nmol/mol creatinine 증가하고 2/4마리인 경우 28.4 nmol/mol creatinine 증가하며 3/4 마리인 경우 32.2 nmol/mol creatinine 증가하였고 3/4마리인 경우 유의하였다. 햄버거의 경우 하루 2개, 3개를 각각 섭취할 경우 요중 1-OHP 농도가 각각 26.4 nmol/mol creatinine, 24.1 nmol/mol creatinine 증가하였고 역시 유의하였다. 식품 섭취에 따른 요중 1-OHP 농도 증가는 성별 및 일부 이물질(xenobiotics) 대사 효소의 유전자유형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식품에 포함된 발암성 PAHs와 pyrene이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므로 요중 1-OHP 농도는 식품을 통한 발암물질의 섭취를 반영하는 지표로 판단된다. Purpose : This study was proposed to evaluate the PAH exposure from PAH rich food according to intake amount. Urinary 1-hydroxypyrene and 2-naphthol concentration were used as PAH exposure marker. Materials and Methods : Twenty five non-smoking volunteers were examinded. Questionnaires on dietary intake history, passive smoking were used. All volunteers ate three food items (fride chicken, hamburger, roasted pork) with one day intervals at three different amount. For the analysis of the genotype of xenobiotics metabolizing enzymes (CYP1A1, CYP2E1, GSTM1, GSTT1), venous blood samples were collected and PCR- RFLP or multiplex PCR method were applied. The morning first urine samples were collected everyday during 18 consecutive days. Urniary concentrations of 2-naphthol and 1-OHP were mesured by HPLC and then adjusted by urinary creatinine concentration. Results : The results revealed that food intake had no effect on urinary 2-naphthol concentration. But urinary 1-OHP concentration were affected by diet intake. Fried chicken and hamburger intake increased urinary excretion of 1-OHP, which implied that urinary 1-OHP concentration might be used as dietary PAH exposure marker. The increase after intake of PAH containing food was affected by some genotypes of xenobiotics metabolizing enzymes. Conclusion : It is known that there is strong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carcinogenic PAHs content and pyrene. Urinary 1-OHP concentration can be applied as carcinogenic PAH intake amount indicator.

      • KCI등재

        백제 무왕대의 정국변화와 미륵사 조영

        강종원 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 2016 백제문화 Vol.0 No.54

        The written content of『Samkykyusa』, the King Mu dynasty and <Saribongangi> shows that Mireuksa was constructed during the King Mu dynasty. Both of the references, however, show discrepancies concerning who the founder of Mireuksa was and the timing of the construction. In order to rationally interpret the record, enough review and understanding about context in the historical situation is required. Until now, 『Samkykyusa』 King Mu has been at the core of the argument in exposing the Mireuksa construction problem. However, as <Saribongangi> had been excavated from the west stone pagoda at the site of Mireuksa <Saribongangi>, the new factors that the founder of Mireuksa Queen SaTak existed and the construction time of Mireuksa was in 40th year of King Mu has been confirmed. However, it is clear that 『Samkykyusa』 King Mu dynasty reflects part of the historical fact. The Iksan region was King Mu's foundation of growth and political infrastructure. Thus, we could confirm that King Mu had stabilized the kingdom through managing Iksan and Mireuksa had been constructed in the process. However, after King Mu's enthronement, he could not afford to construct a large-scale temple because of many political issues. Also, the person who announced the establishment of Mireuksa was Queen SunHwa. Therefore, the group which led the beginning of Mireuksa made a political relationship through marriage with King Mu and the power group was a restraining group who represented Queen SunHwa in Iksan and helped King Mu's enthronement. Moreover, there was active cooperation with Buddhists. Considering the archaeological data and the content of 『Samkykyusa』 King Mu dynasty, the time of foundation was presumed to be started since right after King Mu had been enthroned as king. Being excavated <Saribongangi> from west stone pagoda, Queen SunHwa and Empress Sa were identified as the main founders of the construction and the west stone pagoda construction time was verified that constructed took place before and after the 40th year of the King Mu period. Because of that, the issues, the founder and construction time of Mireuksa, have been controversial. Presuming Han's family with Empress Sa as the center of Mireuksa foundation, we could make the assumption that the Iksan region was the Sa family's power base. However, Queen Sa's region was seen as the Sa family's political power base, it is very difficult to understand the fact that Mireuksa was constructed by Queen Sa after she returned to the palace in 31st year of the King Mu dynasty. In particular, the point that the foundation of Mireuksa had started from an early era of King Mu has been identified through archeological records and relics, roof-tiles, and InJangWa. Therefore, confirming that Mireuksa had been founded by Queen Sa or Queen Sa's power group who lived in the late of King Mu's era could be controversial. Rebuilding Mireuksa in the later period of the King Mu dynasty was closely related with the political state of the time. There was reorganization of power forces in the political process of the re-emergence of Sa family power in 28th year, the returning Queen Sa in 33rd year, and the installation of the Crown Prince in the 33rd year of the King Mu Dynasty. In that process, the Iksan local forces had been weakened. Also, Mireuksa had been founded by Queen from Iksan and the symbolic character of Mireuksa, spiritual sanctuary of Iksan local power, had been tarnished by the rebuilding by the new Queen and Sa family power. Although there was King Mu at the center, he was deflected from a leading role. In the background factors of the Sa power paying attention to building Mireuksa, there was disassembling of Iksan power group and the political aims of monopolization of the Sa power after King Uija’s death. 『三國遺事』 무왕조와 <舍利奉安記>의 내용은 무왕대 미륵사가 조영된 사실을 말해 준다. 그런데 이들 두 자료는 미륵사 창건 주체와 시기 등에 있어서 상이한 내용을 보여주고 있다. 이들 자료를 합리적으로 해석하기 위해서는 당시의 역사적 상황에 대한 충분한 검토와 이해가 필요하다. 그 동안 미륵사의 조영 문제를 밝히는데 있어 『三國遺事』 무왕조가 논거의 핵심이었는데, 미륵사지 서탑에서 <舍利奉安記>가 출토됨으로써 미륵사의 조영주체로 沙乇왕후의 존재, 조영시기도 무왕 40년이라는 새로운 사실이 확인되었다. 그렇지만 『三國遺事』 무왕조가 일정부분 역사적 실상을 반영하고 있다는 점은 분명하다. 익산지역은 무왕의 성장지이자 정치적 기반이었다. 그로 인해 무왕은 익산경영을 통해 왕권을 안정화시켰으며, 그 과정에서 미륵사가 창건된 것으로 이해되었다. 그런데 무왕은 즉위후 많은 정치적 현안으로 인해 바로 익산에 대규모 사찰을 조영할 여유가 없었다. 또한 미륵사의 창건을 발원한 것도 선화왕비였다. 따라서 미륵사의 초창을 주도한 세력은 무왕과의 혼인을 통해 정치적 관계를 맺고 그의 즉위를 도왔던 선화왕비로 상징되는 익산지역 재지세력이었으며, 그 지역 불교세력의 적극적인 협력이 있었던 것으로 이해된다. 창건 시기는 고고학적인 자료와 『三國遺事』 무왕조의 내용 등으로 볼 때 무왕이 왕위에 오른 직후부터 시작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런데 미륵사지 서탑에서 <舍利奉安記>가 출토됨으로써 조영 주체로 선화왕비 이외에 사씨왕후가 확인되었으며, 서탑의 조영시기도 무왕 40년을 전후한 시기로 드러났다. 그로 인해 미륵사 창건 주체 및 시기에 대한 논란이 제기되었다. 미륵사의 창건 주체를 사씨왕후를 중심으로 한 사씨세력으로 보고, 익산지역을 사씨의 세력기반이었을 것으로 추정하는 견해가 그것이다. 그렇지만 무왕 31년 사비환궁이 이루어진 이후에 사씨왕후에 의해 미륵사가 조영되었다는 사실은 사씨의 정치적 기반이 사비지역이었다는 점으로 볼 때 이해하기 곤란하다. 특히 미륵사의 창건이 무왕 초기부터 시작되었다는 점은 인장와 등 고고학 자료를 통해 확인되었다. 따라서 무왕 후반기에 재등장한 사씨왕후나 그 세력에 의해 전적으로 미륵사가 창건되었다고 보는 것은 문제가 있다. 무왕 후반기 미륵사의 중창은 당시의 정치상황의 변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무왕 28년 사씨세력의 재등장, 31년 사비로의 환궁, 33년 의자의 태자 책봉 등의 정치적 변동과정에서 세력의 재편이 이루어졌는데, 이 과정에서 익산지역 재지세력의 약화를 초래하였다. 그와 함께 익산세력 출신 왕비의 발원으로 창건되고 익산 재지세력의 정신적 구심점이었던 미륵사는 사씨세력과 새로운 왕후에 의해 중창됨으로써 그 상징적 성격이 변질되었다. 비록 그 중심에 무왕이 존재하고 있었지만 그는 주도적인 역할에서 한 발 비껴나 있었다. 사씨세력이 미륵사의 중영에 관심을 가진 배경에는 익산세력의 해체와 함께 의자왕대, 나아가 의자왕 사후 사씨세력의 권력 독점이라는 정치적 목적이 내재되어 있었던 것으로 이해된다.

      • 정보문화시대의 지향점 : 연기(緣起) 패러다임 불교과학철학을 위한 사색 Ⅰ An Speculation for Philosophy of Science in Buddism

        강종원 동국대학교 불교대학 1998 東國思想 Vol.29 No.-

        During the last thirty years and expecially in the last decade, scholars of futurology and sociologists tried to interpret modern civilization and the mass come off with expectation on new advents. Although few scholars tried to elucidate their own opinion, they agree only to some aspects of representative phenomena. The majority limits themselves on facts and descriptions, without supplying valuable and meaningful answers. Therefore, this paper investigates the problems caused by Informational Culture, and looks for alternative solutions in the context of Buddhist Philosophy. The main problem dealt with in this paper is primarily the relation between 'relativism' and 'organism'. Since the formulation of the theory of relativity in modern physics, the so-called 'plurality of truth' became a motto in the 20th century. From the 'deconstruction' of post-modernism in philosophy to 'hippism' in the sociology, people have pondered along what is called "relativism". In Bosnia and other local war, we know how dangerous the aspect of unlimited relativity is. And relativity without criterion concerning individual ethics appeared as a sad enjoyment. Meanwhile, although relativism has grown, what is called 'organism' appeared as a opposite theory. After Whitehead called his own philosophy "the philosophy of organism", the development of molecular biology, artificial life, the theory of chaos and so on made the concept of organism to be more prominent. Although the vitality and freedom of the individual may seem seductive, it is not without problems. Hence the relation between organity and relativity can be compared with step brothers who live in the same age. As a matter of fact, the modality of the clash is easily discovered here and there, especially in Korean society. This investigation, therefore, is an attempt to try to find out the possibility both of harmonization and contradiction between organity and relativity from a Buddhist point of view, with particular reference to the theory of dependent co-arising, i. e., Prati ̄tya-samutpa ̄da.

      • KCI등재

        백제연구소 40년의 연구성과와 과제

        강종원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2020 百濟硏究 Vol.71 No.-

        이 글은 백제연구소가 법정 연구소가 된지 40주년을 맞아 그 동안의 연구 성과를 종합적으로 정리하고, 향후 연구소의 효율적인 운영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것이다. 백제연구소는 백제사 연구를 목적으로 출발하여 학제간 연구를 통해 연구 분야를 다양화시키고, 동아시아로 연구범위를 확대시켜 국제적인 학문교류를 위해 노력하였다. 이 과정에서 연구논문집인 『百濟硏究』70집을 비롯해 백제연구총서 13권, 학술연구총서 14권, 기타 4권 등을 발간하였다. 그리고 학술활동으로 66회의 공개강좌, 11회의국내 학술회의, 22회의 국제학술회의, 23회의 자료윤독회, 기타 6회의 초청강연회와 학술회의 등을 개최하였다. 이를 통해 백제연구소는 백제사 연구자들에게 다양한 연구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백제사 연구의 토대를 마련하였으며, 각종 학술회의를 통해 연구자들의 연구역량 제고와 연구의 저변을 넓히는데 일조하였다. 또한 학제간 연구, 국제교류 등 다방면에서 많은 성과를 이루었다. 특히 1970년대 백제사 전공자가 많지 않았던 시기에 백제사에 대한 관심을 높이는데 크게 기여하였으며, 이후 백제사 연구자 배출에도 일정부분 영향을 주었다. 현재 많은 연구기관에서 기관의 설립목적에 따라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백제연구소의 활동은 오히려 위축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환경변화 속에서 백제연구소의 기능과 역할을 재정립하기 위해 모색할 수 있는 몇 가지 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summary is for reviewing the research achievements comprehensively and identifying effective operational policies marking 40th anniversary of Baekje Research Institute as a legal agency. Being started with the aim of studying Baekje history, Baekje Research Institute has diversified the research areas through interdisciplinary research and expanded research scope into the East Asia region for the international academic exchange. Meanwhile, it published Baekje Research(『百濟硏究』) 70 editions which are the collection of research papers, 14 books of the academic study series and 4 other books. In addition, it held 66 academic open lectures, 11 local academic conferences, 22 international academic conferences, 23 research material reading sessions and 6 other special guest lectures and academic conferences. So, Baekje Research Institute could lay the foundation for Baekje history study by providing various materials to the researchers and contributed to expand the research base and strengthen the researchers’ capabilities through a lot of academic conferences. Furthermore, interdisciplinary study and international exchanges are also the fruitful results in various areas. In particular, it greatly attributed to bring attention to Baekje history despite the small number of relevant specialists in 1970s and have had an influence in part on producing Baekje history researchers. Currently diverse studies are being conducted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establishment of the institutions but the activities of the Baekje Research Institute are weakening. Amid these environmental changes, several ways for redefining the function and role of the Baekje Research Institute are suggested in this summa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