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Van-der Waals Heterojunction based Light-Triggered Ternary Device and Inverter

        강준,박진홍 한국진공학회 2021 한국진공학회 학술발표회초록집 Vol.2021 No.2

        Here, we report the light-induced negative differential transconductance (L-NDT) phenomenon in graphene/tungsten diselenide (WSe<sub>2</sub>) type I heterojunction, where the photoinduced drain current in an MVL device unusually decreases in a specific bias region with increasing gate voltage under illumination. Because a MVL device operating on the basis of this L-NDT phenomenon exhibits an abnormal ID-VG characteristic curve with two VTH, using this MVL device, we finally implement a ternary inverter circuit handling three stable logical states.

      • KCI우수등재
      • Esaki-diode in vdW heterostructure and its application to negative differential resistance oscillator

        강준,박진홍 한국진공학회 2021 한국진공학회 학술발표회초록집 Vol.2021 No.2

        Here, we study lateral-type NDR devices based on the Esaki diode scheme, which combine vdW materials. Also, we designed the non-attenuating oscillators based on the NDR phenomenon, which compensates for the oscillation loss caused by the series resistance with a positive value, subsequently enabling the zero damping of oscillating signal. We then discuss how the NDR device characteristics affect the performance of the non-attenuating oscillator circuit. Finally, we demonstrate the feasibility of lateral vdW NDR device toward the non-attenuating oscillator circuits.

      • 論說文의 讀解指導方法에 關한 硏究

        姜俊哲 부산여자대학 1996 釜山女子專門大學 論文集 Vol.18 No.-

        This study, on the basis of text analysis theory and schema theory and using the traditional methods of teaching reading comprehension, aims to set up a new method of teaching reading comprehension and tries to relate it with learning strategies and writing. In oder to establish the new method, a teaching model of reading comprehension of common essays is developed by adopting the general model of the learning process as a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y. Then the features of assertative essays are analyzed and a model of teaching reading comprehension of assertive essays is constructed. The stages of reading comprehension are consisted of five, which are goal, diagnosis instruction, development and assessment. This study shows that these can be divided into prereading, while-reading, post-reading stage and a vriety of teaching strategies are provided for each stage.

      • 夢遊錄系 小說의 心理的 考察

        姜俊哲 부산여자대학 1982 釜山女子專門大學 論文集 Vol.4 No.-

        본고는 幻夢小說의 構造를 文學史的으로 考察하려는 論文의 一部로서 幻夢小說 中 夢遊錄 系 小說의 構造를 心理的 則面에서 考察하려는 데 그 目的이 있다. 여기서 ‘幻夢小說’ 이라는 用語에 대해 약간의 설명을 붙이지 않을 수 없다. 그것은 이 런 명칭이 보편화된 것도 아니고 하나의 장르도 아니며, 또 하나의 類型으로서도 불확실하 기 때문이다. 鄭鉒東박사는 幻夢小說을 幻想類와 夢遊錄類로 二大別하고 다음과 같이 개념 을 규정했다. 幻想類는 직접 꿈의 세계를 그린 것은 아니지만 실지로는 꿈의 세계를 그린 것과 같은 것 이다. 곧 道佛思想을 바탕으로 人生은 運命的이며 모든 富貴榮華는 無常한 幻想의 세계에 지나지 않음을 말하는 작품이며「九雲夢」,「玉樓夢」등이 이에 속하는 것이다. 좀 더 부연하면 幻想類에는 幻生 모티브가 있다는 것이 夢遊錄類와 다른 점이다. 그리고 주 제에 있어 現世를 참된 세계가 아닌 夢中의 세계, 幻覺의 세계라고 보는 인생관을 취급한 작품이다. 그리고 夢遊錄類는 직접 주인공의 夢中事를 취급한 것으로 元昊의 「元生夢遊錄」, 沈義의 「大觀齊夢遊錄」, 柳泳의「壽聖宮夢遊緣」, 失名民의「江都夢遊錄」, 「泗水夢 遊鐵」······ 中略······등이 있다. 이와같은 幻夢小說을 硏究한 論文들은 상당히 많으나 이것들을 心理的 측면에서 고찰한 것은 드문 것 같다. 이제 그 중요한 업적들을 추려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몽유소설 계통 으로는 張德順교수가 1959년 東方學志에 발표한「夢遊緣小考」를 비롯하여 李家源 교수 의「夢遊錄作者小考」, 金錫夏교수의「夢遊錄系小說의 理想國形態」,黃測江교수의「林 悌와 元生夢遊錄」, 車溶柱교수의 「 金山寺夢遊錄考」,「夢遊錄과 夢字類小說의 同異에 대한 考察」, 徐大錫교수의「夢遊緣의 장르적 性格과 文學史的 意義」둥이 있고, 幻想小 說 계통으로는 車溶柱교수의「夢字類小說의 構成上의 變異樣相에 대하여」와 成賢慶교수 의「李朝夢字類小說硏究」등이 있다.

      • 꿈敍事樣式의 額子에 관한 硏究

        姜俊哲 부산여자대학 1987 釜山女子專門大學 論文集 Vol.9 No.-

        꿈서사양식의 현저한 敍述構造上의 특징의 하나는 願子形式이다. 본고는 이러한 액자구조가 꿈서사양식에서 어떤 樣相으로 나타나며, 그것이 일반 額子小說과 어떤 차이가 있는가를 고찰함으로써 꿈敍事양식의 構造的 特徵의 一端을 밝히려 했다. 이제 이상에서 논의한 바를 요약하여 결론으로 삼고자 한다. 額子의 樣相은 다음과 같다. 꿈체험담은 첫째, 도입액자는 대체로 간단하며 내부이야기를 위한 동기를 부여하지 못하고 있다. 둘째, 일반 액자소설들은 외부액자에서 내부액자로 넘어갈 때 서술자나 시점이 바뀌는 것이 대부분인데 꿈체험담은 서술자가 작가인 1 인칭인 .나’로서 변화가 없다. 따라서 認證題子的성질을 띄고 있다. 셋째, 외부액자는 내부액자의 신뢰성 확보를 위한 의도나 목적이 弱化되어 나타났다. 그것은 내부이야기가 꿈이라고 전제하기 때문이다. 넷째, 기록자의 의도가 꿈의 예언적 기능을 증명하려는 데 있다. 다섯째, 꿈체험담의 액자형식은 기록화 과정에서 자연적으로 발생한 것으로 예술적 의도는 없다. 꿈說話는 첫째, 敍述者는 대개 숨은 작가로 3인칭 全知的 視點에서 서술된다. 둘째, 꿈체험담과 마찬가지로 서술자의 변화가 없다. 셋째, 도입액자와 종결액자가 자세하고 비교적 길다는 것이 꿈체험담과 다른 점이다. 넷째, 도입액자는 내부액자의 동기부여기능을 한다. 따라서 目的題子의 기능을 수행하며, 종결액자는 내부액자를 否定하는 관계에 있어 변증법적 발전을 한다. 그리고 종결액자는 主題를 내포하고 있어 중요한 기능을 한다. 다섯째, 외부액자는 주제를 드러내기 위한 문학적 장치로 이용한 것이다. 그리고 꿈체험담과의 차이점은 도입액자가 구체적이고 자세하며 종결액자도 비교적 길다고 했는데, 그 이유는 내부액자의 신뢰성 확보에도 약간의 이유가 있겠지만 내부 이야기의 근거(동기)를 제시하여 사건을 因果的으로 구성하려는 작가의 허구적 의도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서술자가 ‘나’와 ‘그’로 차이를 드러낸다. 그리고 꿈체험담의 ‘나’는 의도적이기 때문이 아니고 체험담이기 때문이다. 꿈小說 中 夢遊傳奇小說은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 도입액자와 내부액자의 경계가 애매한 작품이 더러 있는데 非夢似夢이라는 수법을 쓴 것으로 꿈모티프의 변형이다. 둘째, 도입액자는 내부액자의 동기부여 기능을 하는데 그것은 꿈說話와 같다. 종결액자의 기능 역시 꿈說話와 같다. 셋째, 서술자는 내외부액자를 통해서 변화가 없으며 전지적 작가가 서술자이다. 꿈說話와의 차이점은 題子化의 기교가 발전했다는 것으로 非夢似夢의 手法을 들 수 있다. 說話보다 小說이 기교가 더욱 필요함을 알 수 있게 한다. 다음 夢遊小說의 특징은, 첫째, 내부액자가 외부액자보다 빈약한 소설이 나타났다. <睡鄭記〉나 〈浮碧夢遊錄〉퉁이 그렇다. 둘째, 종결액자가 생략되어 開放額子가 나타났다. <元生>. <江都>. <皮生〉동 사회비판적 소설에 나타났는데 이것들은 모두 未解決型에 속한다. 셋째, 종결액자의 기능이 현저히 약화된 소설이 나타났다. <琴生>, <鍾川>, <泗水〉등으로 불완전해결형의 작품들이다. 넷째, 내부액자의 人物들이 歷뽀上 實存했던 人物틀의 怨塊들이다. 몽유소설의 두드러진 특정 혹은 변화는 꿈說話나 夢遊傳奇小說이 閒鎭額子이며 외부액자가 重心이었는데 비해 종결액자가 약화되다가 생략되어 開放額子가 나타나며 내부이야기가 重心이 된다는 점이다. 이는 커다란 변화로서 朝鮮中期 이후의 역사적 변화와 관계되는 것으로 내부이야기인 社會와 歷史문제에 주제를 두기 때문이다. 夢幻小說은 첫째, 도입액자가 예술적 의도나 目的을 위해 진술되고 있으며 액자의 내용이 다른 장르와 거꾸로 된 것이 나타난다. 즉 타 장르가 ‘현실-초현실-현실’인데 비해 ‘초현실-현실-초현실’로 반대로 되어 있는 것이다. 이것은 적강구조의 영향이라고 보아진다. 둘째, <雲英傳>과 같은 二重題子構造가 동장하여 技巧가 더욱 발전함을 알 수 있다. 이상으로 보아 후대로 올수록 액자화의 기교가 발전함을 알 수 있다. 일반액자소설과의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액자소설은 -次元의 이야기인데 꿈서사양식은 二次元의 이야기이다. 둘째, 일반액자소설은 외부액자와 내부액자의 서술자가 다른 것이 보통인데 꿈서사양식 敍述者의 변화가 없는 경우가 많다. 셋째, 일반액자는 외부액자의 기능이 내부액자의 신뢰성 확보에 있는데 비해 꿈서사양식은 動機敏與의 기능을 수행한다. 그러므로 目的願額子 性格을 띤다. 넷째, 일반액자소설이 내부액자에 중심을 두는데 비해 꿈서사양식은 外部額子에 중심을 두는 작품들이 많다. 後代에 오면 內部額子에 중점을 두는 작품들이 나타나기도 한다. 다섯째, 내부액자의 성격이 일반액자소설은 現實的, 經驗的 世界인데 비해 꿈敍事樣式는 超現實的, 超經騎的 世界가 많다. 여섯째, 일반액자소설이 說話의 採錄과정에서 발생했는데 비해 꿈서사양식의 액자형식은 꿈體驗譚의 記錄과정에서 발생했다고 볼 수 있다 일곱째, 꿈서사양식은 외부액자를 제거하면 내부액자는 이야기가 독립성을 잃게 되는 경우가 많은데 일반액자소설은 독립성이 유지되는 것이 보통이다. 여넓째, 꿈서사양식은 導入額子 內部額子 終結額子의 관계가 변증법적 발전을 하는 관계인데 일반액자소설은 내부액자의 선뢰성 확보나 目的 陳述의 기능과 그 마무리 역할을 하는 게 대부분이다. 아홉째, 꿈서사양식의 액자는 어떤 황당무계한 이야기도 담을 수 있고 萬意를 통해서 어떤 위험한 내용도 담을 수 있는 편리함이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