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후복막강내 발생한 Castleman병 1례

        남성진,이동욱,박찬규,정시욱,김추성,조성래,구본천,양사규,이일웅,박정자 慶北大學校 醫科大學 1997 慶北醫大誌 Vol.38 No.2

        Castleman' s disease is a rare, reactive lymphoid proliferation of unknown cause and pathogenesis. Depending on histololgic findings, it has been divided into two distinct histologic subtypes that include hyaline-vascular type(90%) and plasmacell type(10%). This disease occurs most commonly in mediastinal lymph nodes and cervical lymph nodes, inguinal lymph nodes respectively. But occurs rarely in retroperitoneum. We report a case of hyaline-vascular type asymptomatic Castleman' s disease of the retroperitoneum in a 47-year-old man.

      • 당뇨병과 동반된 화농성 간농양의 임상상 및 예후인자

        오은숙,강무일,이원영,오기원,임동준,이소영,이정민,고승현,김성래,안유배,손현식,윤건호,차봉연,이광우,손호영,강성구 대한당뇨병학회 2000 임상당뇨병 Vol.1 No.1

        연구배경: 감염질환은 혈관질환과 함께 당뇨병의 중요한 사망원인의 하나이며, 혈당조절이 불량할수록 감염 빈도가 증가됨은 잘 알려져 있다. 간농양의 발생이 있어서도 당뇨병은 중요한 기저질환 중의 하나이다. 일반적으로 간농양의 가장 흔한 원인균은 Escherichi coli라고 알려져 있으나, 최근 당뇨병을 가진 간농양 환자에서 Klesiella pneumoniae의 검출이 증가되고 있다. 또 최근 연구에 의하면 K.pneumonie가 간농양의 가장 흔한 원인균이며, K. pneumoniae에 의한 간농양은 K.pneumoniae 이외의 균주에 의한 간농양보다 당뇨병과 밀접히 관련되어 있다고 보고된 바 있다. 이에 저자들은 간농양 환자를 대상으로 당뇨병환자의 빈도를 알아보고, 그 원인균 및 특징을 비당뇨병 환자들의 경우와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방법: 1992년 1월부터 1999년 6월까지 방사선학적 검사 혹은 수술에 의해 간농양이 확인되거나, 경피적 천자나 수술을 통한 배농액 배양, 혹은 혈액 검사에서 원인균이 증명된 182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임상고찰을 실시하였다. 결과: 화농성 농양을 가진 167명의 환자(남:94명, 여:73명)중 당뇨병을 가진 환자는 54명 (남:30명, 여:24명)으로 32.3%를 차지하였다. 환자의 평균나이는 당뇨군에서 62.1 ± 13.4세, 비당뇨군에서는 55.1 ±15.5세로 당뇨군에서 높았으며(p=0.0021), 남녀간의 평균나이 비교 시 두 군 모두 여성의 나이가 의미있게 높았다. 비당뇨군에 비하여 당뇨군의 경우 저알부민혈증의 빈도와 aspartate transaminase가 증가되어있었다. 원인균주는 K. pneumoniae (당뇨군54%, 비당뇨군 39.1%), E. coli(당뇨군 17.5%, 비당뇨군 18.8%), Pseudomonas aeruginosa, Streptococcus viridans, Enterococcus 순이었으며 두 군간의 의미는 차이는 없었으나 K. pneumoniae의 경우 다른 균종에 비해 단독감염의 빈도가 높았다(82.8%). 사망률은 당뇨군에서 16.7%, 비당뇨군에서 7.1%로 당뇨군에서 의미있게 높았으며(p=0.019), 당뇨군에서의 사망환자는 모두 패혈증이 동반되어 있었다. 당뇨환자의 사망군은 생존군에 비해 당뇨병 이환기간이 길고 혼합감염의 빈도가 높았다(p=0.046). 검사실 소견에서는 총 빌리루빈 및 알카리성 포스파타제의 증가가 관찰되어 있었다. 결론: E. coli가 간농양의 주된 원인균이라는 기존 보고와는 달리 당뇨군과 비당뇨군 모두 K. pneumoniae가 간농양의 주된 원인균이었다. 또한 당뇨 유병기간이 길고 당뇨조절이 불량한 환자에서 혼합감염이며 총 빌리루빈 및 알카리성 포스파타제의 증가등과 같은 위험인자가 존재할 경우 사망률이 증가될 수 있으므로 이들 군에서는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Background: Liver abscesses are commonly associated with underlying disease, particularly diabete mellitus. The number of the liver abscesses caused by Klebslella pneumoniae in diabetic patient has been increased in Korea nowaday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larify the clinical presentation and prognostic factors of pyogenic liver abscesses, especially in diabetic patients and to determine the proportion of K. pneunomiae as a pathogen in liver abscess in Korea. Methods: Medical records of 167 patients treated for pyogenic liver abscess from January, 1992 through June, 1999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in detail. Major Pathogenic organism, clinical manifestations, prognostic factors, the importance of diabetes mellilus as an underlying disease and its effect on clinical features and prognosis were analyzed. Results: Among 167 cases of pyogenic liver abscess, underlying diabetes mellitus was present in 32.3%. The mean age of patients was 62.7 13.4 years in diabetic liver abscess group and 55.1 15.5 years in non-diabetic liver abscess group. Most liver abscesses were cryptogenic in origin or secondary to the billary tree diseases. The clinical presentations among the two group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When compared to patients without diabetes, patients with diabetes had significantly higher proportions of hypoalbuminemia and elevated aspartate transaminase level. The most common organism of the pyogenic abscess was K. pneumoniae in both groups. Percutaneous drainage of the abscess with appropriate antibiotics was the most commonly used therapeutic modality in liver abscess. The mortality rate of diabetic liver abscess is 16.1 % and 7.1% in nondiabetic liver abscess. Complications, especially septicemla, were found more frequently in patients with diabetes than in patients without diabetes (64.8% vs 28.3%, septicemia : 31.5% vs 9.7%). The factors influencing mortality in the diabetic liver abscess were disease duration, mixed infection, presence of septicemia, elevated bilirubin and alkaline phosphatase. Conclusions: In contrast to prior report that the E. coli was the most common pathogen in liver abscess, we found that K. pneumoniae was the most common organism cultured in liver abscess. Diabetic patients have more complications and higher mortality than patients without diabetes. Early detection and proper treatment are needed to improve the outcome for diabetic patient with liver abscess.

      • SCOPUSKCI등재

        경북 성주지역 장수노인의 계절별 식품섭취 상태

        백지원(Ji-Won Baek),구보경(Bo-Kyung Koo),김규종(Kyu-Jong Kim),이연경(Yeon-Kyung Lee),이성국(Sung-Kook Lee),이혜성(Hye-Sung Le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0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29 No.4

        본 연구는 우리나라 장수노인들의 식품섭취상태를 분석 평가하고 건강한 장수를 위한 식생활 지침의 설정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수행되었다. 연구 대상은 경상북도 성주군에 거주하는 85세 이상 고령노인 중에서 일상 생활에 문제가 없는 224명이었으며 이들을 대상으로 반복 24시간 회상법을 이용하여 1년간 4회의 계절별 식품 섭취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계절별 식품군별 섭취량에 있어서 남자노인은 감자류의 섭취량이 여름철에 유의적으로 높고, 버섯류의 섭취량이 가을철에 유의하게 높은 것을 제외하고는 모든 식품군의 섭취량에 있어 계절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여자노인의 경우 곡류, 당류, 두류, 채소류, 과일류, 조미료류, 음료 및 주류, 육류, 우유류, 어패류의 섭취량이 겨울철에 유의하게 높았으며, 종실류, 해조류, 난류의 섭취량은 계절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조사 대상자들의 연평균 1일 총 식품 섭취량은 594.4±186.1 g이었으며 이 중에서 513.5±161.2 g(86.4%)는 식물성 식품군으로부터 섭취하였고 79.3±56.7 g(13.3%)는 동물성 식품군으로부터 섭취하였다. 섭취량이 가장 높았던 식품군은 곡류였으며그 다음이 채소류, 과일류, 어패류, 음료 및 주류, 조미료류, 두류, 육류, 우유류, 감자류 등의 순이었다. 장수 노인대상자들의 음식별 섭취빈도는 밥류에 있어서는 쌀밥의 섭취비율이 80.1~89.2%로 가장 높았으며 국과 찌개류에서는 쇠고기국, 된장국, 된장찌개의 섭취 비율이 높았다. 어육류 식품의 경우 조기구이의 섭취비율(9.4~12.7%)이 높았으며, 해조류 식품의 경우 김구이의 섭취비율(7.4~20.5%)이 높았고, 각 계절마다 계절식품의 섭취비율이 높았다. 김치류의 경우 배추김치의 섭취비율이 4계절 모두 70%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일품요리류는 손쉽게 조리할 수 있는 라면과 국수의 섭취비율이 높았다.<br/> 본 연구의 결과에서 경북 성주지역 장수 노인들의 계절별 식품 섭취량에 있어 겨울철의 식품 섭취량이 다른계절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으며, 남자노인보다는 여자노인이 식품섭취에 계절에 의한 영향을 더욱더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장수 노인들은 가공식품보다는 계절마다 제철에 생산되는 자연 식품의 섭취비율이 높았다. 전반적으로 장수노인들은 소식의 경향을 보였으며 이와 같은 소식습관과 신선한 식물성 식품들의 일상 섭취가 건강한 장수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도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imate food intakes of the long-lived elderly and to obtain the data for establishing dietary guidelines that may be recommended for the general population for the sake of longevity.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224 elderly people of age over 85 years living in Kyungpook Sung-Ju area who have no problem in daily living. The food consumption survey was carried out seasonally by the repeated 24-hr recall method for one year. The subject group for this study was composed of 58 males and 166 females, the average age being 87 years old. Food intakes of the winter were more than any other seasons. The mean daily total food intake per capita was 594.4 g, 513.5 g (86.4%) from plant foods and 79.3 g (13.3%) from animal foods. The sequence of high intakes of food groups were cereals, vegetables, fruits, fishes, legumes and meats. Boiled white rice, beef soup, soybean paste soup, soybean paste stew, broiled yellow croaker, kimchi, ra myon and broiled noodles were consumed most frequently. In conclusion, the subjects consumed much more plants foods than animal foods and consumed more natural and seasonal foods than processed foods and also showed food habits of eating small meals. Dietary habits of eating small meals containing abundant amount of fresh plant foods might partially contribute to the longevity of the subjects.

      • SCOPUSKCI등재
      • 진주담치 濃縮엑스분의 製造 및 利用

        李應昊,具在根,車庸準,文聖勳 釜山水産大學校 1983 釜山水産大學 硏究報告 Vol.23 No.2

        진주담치 乾製品, 製造時 副産物로 생성되는 엑스분을 食品加工用 中間素材로서의 이용가능성을 검토하고자 진주담치 濃縮엑스분을 製造하였으며 그 製品의 化學成分 및 重金屬含量을 分析하였다. 그리고 용도개발 實驗을 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진주담치를 98℃에서 20分間 蒸煮하여 生成된 엑스분을 93℃에서 4時間 동안 이중솥에서 paste狀으로 될 때까지 濃縮한 결과 製品의 수율은 5.8%였으며, 製品의 水分含量은 42.8%였고, 乾物量 基準으로 粗蛋白質은 32.7%, 글리코겐은 4.8%, 무기질은 31.6%였다. 그리고 pH는 5.16, VBN은 67mg/100mg이었다. 2. 濃縮엑스분 製品의 遊離 아미노산 含量은 全엑스분 室素의 71.4%를 차지하였으며, glycine, arginine, alanine, phenylalanine, lysine, tyrosine, histidine, methionine 및 leucine의 9종의 아미노酸이 總아미노酸의 89.6%를 차지하였다. 3. 용도개발 목적으로 인스탄트 면류 조미수우프 및 크림수우프를 만들어 市販 수우프류를 對照製品으로 官能檢査한 결과 거의 손색이 없었으며 패류 특유의 시원한 맛이 있었다. 그리고 重金屬 含量도 극미량으로 진주담치 濃縮엑스분 製品은 食品衛生上의 安全性이나 營養面에 있어서 손색이 없고 天然香味를 지닌 우수한 食品加工用 中間素材로 利用가능하다는 結論을 얻었다. In order to utilize extracts which are produced as a by-product when dried sea mussel products are processed, concentrated extracts of sea mussel was prepared and its chemical composition, quality stability and effective methods of its utilization are examined. 1. After the sea mussel was steamed at 98℃ for 20min, extracts was concentrated as a paste state in a double jacketed cooker at 93℃ for 4 hrs. 2. The yield of concentrated extracts of sea mussel was 5.8%, and the content crude protein was 32.7%, glycogen 4.8%, minerals 31.6%, VBN 66.87mg % and heavy metals (Pb, Cd, Hg, Cu, Zn) were trace in content. 3. The content of total free amino acids of the product was 71.4% of total extractive nitrogen and the abundant contents of amino acid in the product were glycine, arginine, alanine, phenylalanine, lysine, tyrosine, histidine, methionine, leucine. Judging from sensory evaluation, the instant noodle soup and cream soup made from concentrated extracts of sea mussel were not inferior to the control which purchased on the market.

      • 폐암에서 CYFRA 21-1과 다른 종양표지자의 진단적 의의

        이상구,이호현,전병철,김성자,이영현,김문연,하경임 동국대학교 경주대학 1996 東國論集 Vol.15 No.-

        폐암의 확실한 조직학적 진단이 어려울 경우 종양표지자의 검사가 보조적인 진단 수단이 되고, 조기 진단이나 경과 관찰에 이용되고 있다. 이에 저자는 CYFRA 21-1이 폐암의 종양표지자로서 효용성이 있는지 판정하고, CYFRA 21-1과 다른 폐암 종양표지자인 SCC Ag, CEA, NSE의 폐암의 조직학적 유형에 따른 민감도와 특이도를 비교하였다. 그리고 병기 진행에 따른 CYFRA 21-1치의 증가 여부를 관찰하고, 4가지 종양표지자를 동시에 측정하였을 때의 진단적 효용성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는 1994년 12월부터 1995년 11월까지 동국대학병원에 입원한 폐암 환자 40명과 양성 폐질환 환자 4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편평상피세포암 21명, 선암 10명, 소세포암 7명, 대세포암 2명이었다. 혈청 CYFRA 21-1의 cytokeratin 19 분절에 대한 쥐의 두 가지 단일 클론항체(KS 19-1과 BM 19-21)를 이용하는 RIA방법으로 측정하였다. CEA는 MEIA 방법으로, SCC 항원과 NSE는 RIA로 측정 하였다. 1. CYFRA 21-1의 혈중 농도는 폐암군 22.08±43.00ng/mL, 양성 폐질환군 1.14±1.04ng/mL로 폐암군에서 양성 폐질환군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 폐암환자군에서 55%의 양성율을 보였고, SCC 항원 30%, CEA 44.7%, NSE 54.5%의 양성율을 나타내 CYFRA 21-1이 가장 높은 양성율을 보였다. 2.CYFRA 21-1은 비소세포암군 23.79±44.49ng/mL, 소세포암군 13.90±33.57ng/mL로 양군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폐암환자군에서 민감도와 특이도는 CYFRA 21-1 55.0%와 96.7%, SCC항원 30.0%와 96.4%, CEA 42.5%와 92.8%, NSE 36.4%, 76.9%로 CYFRA 21-1에서 가장 높은 민감도와 특이도를 보였다. 폐암의 조직학적 유형에 따른 민감도는 편평상피세포암에서 CYFRA 21-1이 61.9%로 CYFRA 21-1의 민감도가 가장 높았고, 선암에서는 CEA가 88.8%로, 소세포암에서는 NSE가 85.7%로 가장 민감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3. 비소세포암군에서 CYFRA 21-1치는 병기가 진행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4. 폐암환자에서 단일 종양표지자를 측정하는 것 보다 동시에 여러 종양표지자를 측정하는 것이 특이도는 떨어지나 민감도는 80.0%로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확도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양성 표지나 수에 따른 비교분석시 폐암의 상대 예측도는 두 표지자 양성인 경우가 76.5%, 3가지 표지자와 4가지 모든 표지자에서 양성으로 나온 경우는 100%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CYFRA 21-1은 새로운 폐암의 종양표지자로 기존의 종양표지자 보다 민감도가 높고 비소세포암 특히, 편평상피세포암에 유용한 표지자로 사료되며, 폐암이 의심되는 환자에서 단일 종양 표지자를 측정하는 것 보다 수종의 종양표지자를 동시에 측정하는 것이 진단에 더욱 도움이 되리라 생각된다. Background: Cytokeratin 19 is a subunit of cytokeratin intermediate filament expressed in simple epithelia and their malignant counterparts. A fragment of cytokeratin subunit 19 can be measured in serum with a immunoradiometric assay using two mouse MoAb KS 19-1 and BM 19-21. Thus this cytokeratin 19 fragment is referred to as CYFRA 21-1. The aims of this study are to evaluate the clinical utility of CYFRA 21-1 in the diagnosis of lung cancer and to compare the diagnostic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CYFRA 21-1 with those of CEA, SCC Ag, NSE according to histological type of lung cancer. Methods: In 40 patients with lung cancer(21 with squamous cell carcinoma, 10 with adenocarcinoma, 7 with small cell carcinoma, 2 with large cell carcinoma) and 40 patients with non-malignant lung disease, serum CYFRA 21-1 was measured by solid-phase immunoradiometric assay(CIS Bio International, France). Serum NSE and SCC Ag were measured by immunoradiometric assay, and CEA was measured by microparticle enzyme immunoassay. Results: 1) The mean value of CYFRA 21-1 was 22.08±43.00ng/mL in the lung cancer and 1.11±1.04ng/mL in me non-malignant lung disease group(P<O.O5). 2) Using the cut-off value of 3.3ng/mL,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CYFRA 21-1 were 55.0%, 96.7% in the lung cancer. The sensitivity of CYFRA 21.1 was 61.9% in squamous cell carcinoma 3) The level of CYFRA 21-1 was increasing tendency with the progression of stage in non-small cell carcinoma but statistically not significant. 4)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four tumor markers revealed increased sensitivity to 50.0% in lung cancer. As the number of positive markers was increased, the relative possibility of lung cancer was also increased. If two markers were positive, it increased to 76.5% and three markers were positive, it increased to 100%.5 Conclusions: CYFRA 21-1 is a useful serum marker for patients with lung cancer, especially in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lung. The simultaneous measurement of CYFRA 21-1, CEA. SCC Ag and NSE would provide additional information for the diagnosis of lung cancer, especially in patients with high risk group of lung cancer.

      • 2-Azetidinone 유도체의 합성

        이채호,조성동,이만구 圓光大學校 基礎自然科學硏究所 1987 基礎科學硏究誌 Vol.6 No.1

        Synthesis of N-benzyl-2-azetidinone derivatives from αmethyl and a-benzyl N-benzylasparate is described. a-Methyl and a-benzyl N-benzylasparate were cyclized to 1-benzyl-4-methoxycarbonyl-2-azetidinone and 1-benzyl-4-benzyloxycarbonyl-2-azetidinone by employing phase transfer catalyst. The substitutents of the resulting monocyclic β-lactams were converted to hydroxymethyl, methoxymethyl and mesyloxymethyl groups.

      • 특발성 확장성 심근증 환자의 임상적 소견의 관찰 : 남녀 성별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Comparison of Sex difference

        이광희,김철현,최태명,이성우,김성구,권영주,변재호 순천향의학연구소 1996 Journal of Soonchunhyang Medical Science Vol.2 No.1

        특발성 확장성 심근증에 대한 진단 및 연구는 이전에 주로 관혈적인 좌심실조영술이나 부검에 의해 이루어져 연구가 많이 않았으나 최근 심초음파도의 보편적인 이용으로 진단이 용이하여 이에 대한 임상적 연구가 증가되고 있다. 그러나 남녀 성별에 따른 임상적 소견의 차이에 대한보고는 많지 않았다. 대상 및 방법 : 특발성 확장성 심근증으로 진단받은 환자 68명(남자 37명, 여자 31명)을 대상으로 임상적 소견과 심전도 및 심초음파 검사소견등을 남녀간에 비교 분석하였다. 결 과 1. 유병기간은 여자가 남자보다 유의하게 길었고(p<0.05), 호흡곤란, 심계항진 및 심부전의 빈도는 여자에서 더 많은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2. 심초음파도상 좌심실 이완기말 내경계수, 심실중격 두께 계수, 좌심실 후벽 계수, 좌심방 내경 계수는 여자가 남자보다 유의하게 컸으나(p<0.01), 분획단축(fractional shorting)은 양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3. 심전도상 QRS 기간이 여자가 남자보다 긴 경향이 있었으나(p<0.08) 기타 소견은 양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 론 : 특별성 확장성 심근증의 임상적 소견 및 검사 소견의 성별에 따른 분석에서 여자에서 질병의 정도가 더 심한 것으로 나타나는 소견이 있었으나 추후에 더 많은 연구및 원인 분석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Background : Idiopathic dilated cardiomyopathy(IDC) is a well recognized condition both clinically and morphologically. Despite the relatively frequency of this condition, few studies focusing on sex difference have been reported. Method : A total of 68 patients with IDC(37 men, 31 women)were studied retrospectively. Certain clinical and laboratory findings were analyzed and compared between men and women. Results 1. The women had a significantly(p<0.05) longer mean duration of chronic congestive heart failure than men. 2. Of the echocardiographic findings, index of left ventricular end-diastolic diameter, interventricular septal thickness, left ventricular posterior wall thicknes and left atrial dimension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women than in men. 3. Duration of QRS complex in ECG was longer in women(p<0.08) conclusion Some of clinical and laboratory findins are more advanced phase in women in IDC.

      • 우리 나라 租稅制度의 所得再分配 效果

        李常英,李俊求 서울大學校經濟硏究所 1996 經濟論集 Vol.35 No.2

        우리 나라 조세제도의 부담분배에 관한 최근의 연구는 조세부담의 누진성이 점차 강화되는 방향으로 변화되고 있다는 분석결과를 제시하여 우리의 관심을 끌고 있다. 본 논문은 이와 같은 연구결과가 과연 현실을 정확하게 반영하고 있는지 다시 한번 그 결론의 타당성을 검증할 필요가 있다는 데서 그 출발점을 찾고 있다. 기존 연구가 갖는 방법론상의 문제점을 보완하고 새로운 시각에서 우리 나라의 조세제도가 부담분배의 측면에서 갖고 있는 성격을 분석하려는 것이 이 논문의 주안점이다. 본 연구는 대우경제 연구소에서 수집한 『1993년도 한국가구 패널조사』의 통계자료를 분석의 기초로 삼는다는 점에서 기존의 연구와 차이를 갖고 있다. 이 자료는 전국가구를 모집단으로 하여 표본조사한 미시자료라는 점에서 기존의 연구가 기초하고 있는 자료들에 비해 상대적인 장점을 갖고 있다. 또한 본연구는 탈세가 이루어지고 있는 사실을 명백히 고려에 넣었다는 점에서도 기존의 연구와 큰 차이를 보인다. 우리 사회에서 탈세가 광범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 사실인데도 기존의 연구들은 이를 전혀 고려에 넣지 않았고, 그 결과 우리 나라 조세제도가 갖는 부담분배의 누진성을 과장해서 평가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실제의 부담분배가 기존의 연구에서 밝혀진 것보다 훨씬 더 역진적이라는 분석결과를 제시하고 있다.

      • SCOPUSKCI등재

        졸 - 겔법에 의한 다공성 알루미나 미분체 제조에 관한 연구 : 2 . 물과 알콕시드의 비가 알루미나 미분체의 결정화 공정에 미치는 영향 2 . The Effect of [ H2O ] / [ Al - alkoxide ]on The Crystallization Mechanism of As - Prepared Particles

        이성원,박형상,윤호성,황운연,구기갑,유승준,김용렬,이정운 한국화학공학회 2001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HWAHAK KONGHA Vol.39 No.2

        알루미늄 알콕시드의 반응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혼합용매와 입자제조 과정에서의 응집을 방지하기 위한 분산제로 HPC를 첨가하는 방법에 의하여 구형의 다공성 알루미나 미분체를 제조하였으며, XRD, FT-IR 및 TG-DTA 분석을 통하여 공정변수로 선정한 물과 알루미늄 알콕시드의 비가 제조된 미분체의 결정화 공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축중합 반응에 첨가된 물과 Al-알콕시드의 비는 제조된 미분체 및 하소 공정을 거친 미분체의 결정구조에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H₂O]/[ASB]의 비가 증가할수록 제조된 미분체는 비정질의 Al(OH)₃로부터 점진적으로 AlO(OH)의 화학조성을 갖는 의사-보헤마이트로 결정성이 바뀌었다. 그리고 건조 공정을 거친 미분체의 결정성이 좋을수록 δ와 θ-Al₂O₃는 저온에서 생성되었으나, α-Al₂O₃는 고온에서 생성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Al^(3+)이온의 결정 내에서의 배위체 변화와 관계됨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H₂O]/[ASB]=2의 조건에서 제조된 입자는 다른 시료와 달리 600℃에서 η-Al₂O₃로 1,100℃에서 α-Al₂O₃2로 상전이 되었다. Spherical porous alumina particles were prepared by mixed solvent to control the reaction rate of Al-alkoxide and the particle shape with hydroxy-propyl cellulose(HPC). HPC was used as a dispersant to prevent aggregation during the formation of particles. The effect of [H₂O]/[ASB] ratio on the crystallization reactions of as-prepared particles was studied by XRD, FT-IR, and TG-DTA analysis. The mole ratio of water and Al-alkoxide added in the condensation reaction had an important effect on the crystal structure of as-prepared particles and the calcined particles. As the [H₂O]/[ASB] ratio increase, the crystal structure of as-prepared particles was continuously varied from amorphous Al(OH)₃ to pseudo-boehmite with chemical composition of AIO(OH). The samples which have higher crystallinite after drying process were transformed into the δ- and θ-Al₂O₃ at lower calcination temperature, but these sample were transformed into α-Al₂O₃ at higher calcination temperature. This result was thought to be the transformation of the coordination number of Al^(3+) ion in the crystal structure. The particles prepared by [H₂O]/[ASB]=2 condition crystallized to α-Al₂O₃at 600℃ and converted to η-Al₂O₃at 1,100℃ without intermediate pha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