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Paclitaxel 단일 요법에 완전 관해를 보인 저항성 임신성 융모막암 1 예

        조윤현(Yun Hyun Cho),김미경(Mi Kyung Kim),정상인(Sang In Jung),황종윤(Jong Yun Whang),조지형(Ji Hyung Cho),김영탁(Young Tak Kim),남주현(Joo Hyun Nam) 대한산부인과학회 2002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5 No.6

        High-risk gestational choriocarcinoma in patients who have failed primary chemotherapy is known to have a very poor prognosis. About 25% of high-risk metastatic choriocarcinoma become refractory to EMACO (etoposide, methotrexate, actinomycin D, cyclophosphamide and vincristine) and fail to achieve a complete remission. Currently, there is no standard salvage chemotherapeutic regimen for EMACO refractory choriocarcinoma. Paclitaxel, a taxane analog extracted from the bark of the western yew, has shown antitumor activity in a variety of cancers. However, there has been few case reports that described the effectiveness of paclitaxel to choriocarcinoma. We describe a 41-year old woman with refractory choriocarcinoma, who demonstrated dramatic response to paclitaxel treatment with a brief review of literature.

      • KCI등재후보

        C형 간염 바이러스 RNA 유무에 따른 지질, 인슐린저항성 및 대사증후군 지표 수준의 차이

        조성환(Sung-Hwan Cho),김윤진(Yun-Jin Kim),이상엽(Sang-Yeoup Lee),조병만(Byung-Mann Cho),황혜림(Hye-Lim Hwang),이유현(Yu-Hyeon Yi),조영혜(Young-Hye Cho),탁영진(Young-Jin Tak),정동욱(Dong-Wook Jeong),이승훈(Seung-Hun Lee),이정규(Jeong- 한국농촌의학 지역보건학회 2016 농촌의학·지역보건 Vol.41 No.4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 성인에서 ant-HCV 양성인 군에서 HCV RNA 유무에 따른 지질, 인슐린저항성 및 대사증후군의 지표 수준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2004년 1월 1일부터 2010년 12월 31일까지 부산의 일개 대학병원 건강증진센터를 방문하여 검사한 효소면역측정법에서 anti-HCV 양성인 수진자 중 RT-PCR을 시행한 성인 22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 중 HCV RNA가 양성인 사람이 85명, HCV RNA가 음성인 사람이 115명, HCV RNA의 음전이 확인된 사람이 22명이었다. 허리둘레, 체질량지수, 혈압과 총콜레스테롤, LDL 콜레스테롤, HDL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인슐린저항성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나이, 성별을 보정한 후 세 군간의 콜레스테롤, 대사적 지표, 인슐린저항성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HCV RNA 양성군에서 음성군 및 음전군과 비교하여 허리둘레, 체질량지수, 혈압, 중성지방, HDL 콜레스테롤, 인슐린저항성 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HCV RNA 양성군에서 음성군에 비해 총콜레스테롤과 LDL 콜레스테롤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다(186.24±37.63 vs 197.22±37.23 mg/dl (mean±SD), p=0.041, 111.66±34.06 vs 121.38±35.50 mg/dl (mean±SD), p=0.042). 나이, 성별을 보정한 뒤, HCV RNA 양성군과 음성군 간에 고콜레스테롤혈증과 LDL 콜레스테롤혈증의 교차비는 0.51(95% 신뢰구간 0.28-0.94, p=0.03), 0.46(95% 신뢰구간 0.24~0.87, p=0.02)이다. HCV RNA 양성군에서 음성군에 비해 고콜레스테롤혈증, LDL 콜레스테롤혈증의 유병률이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낮았으나, HCV RNA 음전군은 양성군에 비하여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C형 간염과 대사증후군의 관계를 보다 정확히 규명하기 위해서는 향후 보다 대규모 집단에서 전향적인 코호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Objectives: We compared the difference of lipid, insulin resistance and metabolic markers based on HCV RNA in Korean adults. Methods: This was a cross-sectional study of 222 subjects visited the health promotion center of Pusa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from 2004 to 2007. Subjects were anti-HCV antibody positive and were performed RT-PCR for HCV RNA. The HCV RNA (+) group were 85 subjects, HCV RNA (-) control group were 115 subjects, and the HCV RNA (-) but past positive group were 22 subjects. We performed anthropometry, anti-HCV, RT-PCR, plasma concentrations of insulin, total cholesterol, LDL-cholesterol, HDL-cholesterol, and triglyceride. Results: BMI, waist circumference, blood pressure, fasting plasma glucose, triglyceride, HDL cholesterol, insulin resistance such as HOMA-IR and QUICKI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HCV RNA positive and negative groups. The serum total cholesterol and LDL cholesterol level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HCV RNA positive group than in the negative group (186.24±37.63 vs 197.22±37.23 mg/dl, p=0.041, 111.66±34.06 vs 121.38±35.50 mg/dl, p=0.042). After adjusting age and sex, high total cholesterol (≥ 200mg/dl) (adjusted OR=0.51, 95%CI 0.28-0.94, p=0.03) and high LDL cholesterol (≥ 130mg/dl) (adjusted OR=0.46, 95%CI 0.24~0.87, p=0.02) were inversely associated with being HCV RNA positive (p<0.05). Conclusion: The serum total cholesterol and LDL-cholesterol level were significantly lower in HCV RNA (+) group than in HCV RNA (-) group, but not in HCV RNA (-) but past positive group. Prospective cohort studies are needed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HCV RNA and metabolic markers.

      • SCOPUSKCI등재

        Fabrication of Field-Emitter Arrays using the Mold Method for FED Applications

        Cho, Kyung-Jea,Ryu, Jeong-Tak,Kim, Yeon-Bo,Lee, Sang-Yun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2002 Transactions on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Vol.3 No.1

        The typical mold method for FED (field emission display) fabrication is used to form a gate electrode, a gate oxide layer, and emitter tip after fabrication of a mold shape using wet-etching of Si substrate. However, in this study, new mold method using a side wall space structure was developed to make sharp emitter tips with the gate electrode. In new method, gate oxide layer and gate electrode layer were deposited on a Si wafer by LPCVD (low pressure chemical vapor deposition), and then BPSG (Boro phosphor silicate glass) thin film was deposited. After then, the BPSG thin film was flowed into the mold at high temperature in order to form a sharp mold structure. TiN was deposited as an emitter tip on it. The unfinished device was bonded to a glass substrate by anodic bonding techniques. The Si wafer was etched from backside by KOH-deionized water solution. Finally, the sharp field emitter array with gate electrode on the glass substrate was formed.

      • KCI등재

        젊은 여성에서 발생한 초기 자궁내막암의 고용량 progestin의 치료효과

        조윤현 ( Yun Hyun Cho ),서대식 ( Dae Shik Suh ),지용일 ( Yong Il Ji ),김대연 ( Dae Yeon Kim ),김종혁 ( Jong Hyeok Kim ),김용만 ( Yong Man Kim ),김영탁 ( Young Tak Kim ),남주현 ( Joo Hyun Nam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7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0 No.3

        목적: 자궁내막암은 점차 증가하는 추세로 본 연구에서는 가임력을 요구하는 젊은 여성에 있어 보존적 치료 방법으로 고용량의 progestins의 치료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1998년 4월부터 2005년 10월까지 서울아산병원 울산대학교 산부인과교실에서 진단 및 치료를 받은 환자들 중 고용량의 progestins으로 보존적 치료를 시행한 1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치료 적응증, 치료 방법, 치료 평가 방법, 치료 기간, 재발 유무에 대한 조사를 하였다. 결과: megestrol acetate 80-160mg의 용량 혹은 medroxyprogesterone acetate 500-1,000 mg의 용량으로 호르몬 치료를 시행하였으며 7명 (70.0%)의 환자가 치료에 반응을 보였고 4명의 환자가 임신에 성공하였다. 3명의 환자가 근치적 자궁절제술을 시행 받았으며 모든 환자가 재발의 근거 없이 경과 관찰 중이다. 결론: 가임력을 원하는 초기 자궁내막암 환자에서 고용량의 progestins 치료는 정기적인 치료 평가와 적절한 경과 관찰 하에 일차적 치료로 이용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high dose progestins in young patients with early stage of endometrial cancer. Methods: Between April 1998 and December 2005, 10 women with early stage of endometrial carcinoma were treated with high dose progestins as primary therapy for the purpose of saving fertility. Results: They took 80~160 mg of megestrol acetate or 500~1,000 mg of medroxyprogesterone acetate per day, and then followed up with the endometrial curettages. Seven patients (70.0%) responded to the treatment. Three patients didn`t respond and so underwent hysterectomy as definite treatment. Four patients were able to become pregnant after completing treatment. No patients died of their disease. Conclusion: The majority of patients with well-differentiated endometrial adenocarcinoma who underwent conservative treatment with a progestational agent responded to the treatment. High-dose progestin therapy can be used as primary therapy in selected young women with early stage of endometrial carcinoma.

      • 선박운항 관점의 방충재 손상사례 분석을 통한 설계에의 제안

        조익순(Cho, Ik Soon),윤순환(Yun, Soon Hwan),김대근(Kim, Dae Geun),이형탁(Lee, Hyeong Tak),조장원(Cho, Jang Won) 한국연안방재학회 2019 한국연안방재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19 No.1

        선박의 접안 및 계류시 선체와 접안시설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방충재가 설치된다. 하지만, 선박 및 선박운항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부두설계 관점에서의 획일적인 설계 및 배치로 방충재가 손상되는 사례가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방충재 손상사례를 선박 및 선박운항 관점에서 분석하여 선박의 형상 및 구조특성, 평행 및 편심접안 방법에 따른 추가배치, 안전율 향상 등 방충재 설계에의 고려사항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후보

        베체트 장염과 단순성 궤양의 임상양상 비교

        정윤진 ( Yun Jin Chung ),박영대 ( Young Dae Park ),김상기 ( Sang Gi Kim ),정시욱 ( Si Wook Jung ),조창민 ( Chang Min Cho ),탁원영 ( Won Young Tak ),권영오 ( Young Oh Kweon ),김성국 ( Sung Kook Kim ),최용환 ( Yong Hwan Choi ),남언 대한내과학회 2007 대한내과학회지 Vol.73 No.6

        목적: 이번 연구는 베체트 장염과 베체트병의 진단기준을 만족하지 않는 단순성 궤양의 임상양상을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방법: 임상적으로 진단 기준과 상관없이 베체트 장염을 의심한 52명의 환자들의 의무 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대상 환자 중 27명(1군)은 국제 베체트병 연구 그룹(International Study Group for Behcet`s Disease)과 일본 베체트 연구회(Behcet`s disease Research Committee of Japan)에서 제시한 진단 기준을 모두 만족하였으며, 13명(2군)은 후자만 만족하였고, 두 기준을 모두 만족하지 않는 12명(3군)은 단순성 궤양으로 간주하였다. 내과적 치료에 대한 반응은 소화기 증상과 추적대장 내시경검사 소견으로 판단하였으며, 수술 치료를 한 경우에 수술률과 재수술률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대상 환자는 남자 27명, 여자 25명으로 남녀비는 1.08:1이였다. 장관 궤양 진단 당시의 평균 연령은 38.6±12.2세였으며 평균 추적관찰기간은 35.2±39.5개월이었다. 대장 내시경검사 소견에서 회장 말단에 위치한 변연에 발적이 있는 원형 또는 난원형의 얕은 단일 궤양이 가장 흔한 형태였으며, 각 군 간 대장 내시경검사 소견은 차이가 없었다. 평균 약물 치료 기간은 19.6±24.4개월이었으며, 소화기 증상을 기준으로 19명(44%), 추적대장 내시경검사 결과 10명(39%)가 완전관해에 도달하였다. 전체 대상자 중 11명(21.2%)이 수술 치료를 받았는데, 누적 수술률은 증상 발현 시점으로부터 2년에 9.9%, 5년에 17.1%, 10년에 40.5%였으며, 재수술률은 2년에 29.4%, 5년에 43.7%, 10년에 71.8%였다. 약물 치료반응, 누적 수술률 및 재수술률에 있어서 세 군 간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으나 베체트 장염에서 HLA-B51 양성률이 유의하게 높았다(p=0.005). 결론: 베체트 장염과 단순성 궤양은 임상양상에 있어서 차이점을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베체트병의 진단기준을 완전히 만족하지 않는 단순성 궤양 환자도 때로는 베체트 장염과 마찬가지로 치명적인 경과를 밟을 수 있다는 것을 염두에 두어야 하겠다. Background: This study was performed to compare the clinical outcomes of intestinal Behcet`s disease with a simple ulcer. Methods: We analyzed the medical records of 52 patients that were suspected as having intestinal Behcet`s disease. Of these patients, 27 patients (Group 1) met both the criteria of the International Study Group for Behcet`s Disease and the Behcet`s Disease Research Committee of Japan. Thirteen patients (Group 2) met only the latter criteria and the other patients (Group 3) did not meet any criteria. The efficacy of medical treatment was assessed by the presence of gastrointestinal symptoms and follow-up colonoscopic findings. Results: The mean age for patients with a diagnosis of an intestinal lesion was 38.6±12.2 years. The sex ratio was 1.08:1 (M:F) and the mean follow-up duration was 35.2±39.5 months. A single, smaller than 5 mm, round and shallow ulcer with an erythematous margin that was located at the leocecal area showed most typical colonoscopic features for intestinal Behcet`s disease.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clinical manifestations and colonoscopic findings among the three groups of patients. Nineteen (44%) patients achieved complere remission from a sumptomatic point of view and 10 (39%) patients were proved to be complete remission according to follow up colonoscopy after medical treatment. Eleven patients (21.2%) underwent surgery. The overall cumulative rates of a first surgery and re-surgery were 40.5% and 71.9% at 10 years. No statistical relationship was found in the response of medical treatment and the cumulative rate of surgery among the groups. Conclusions: The clinical course and outcomes of an intestinal simple ulcer are not different from that for intestinal Behcet`s disease. (Korean J Med 73:575-586, 2007)

      • SCIEKCI등재
      • KCI등재후보

        건강검진자에서 담낭 담석의 유병률과 위험인자

        정윤진 ( Yun Jin Chung ),박영대 ( Young Dae Park ),이호철 ( Ho Chul Lee ),조한진 ( Han Jin Cho ),박관식 ( Kwan Sik Park ),서은희 ( Eun Hee Seo ),전성우 ( Seung Woo Jeon ),조창민 ( Chang Min Cho ),탁원영 ( Won Young Tak ),권영오 ( 대한내과학회 2007 대한내과학회지 Vol.72 No.5

        목적: 담석은 담도계의 가장 흔한 질환으로서 최근 우리나라에서 콜레스테롤 담석의 비율이 증가하고 있으며 그 대표적인 위험인자로는 연령, 여성, 비만 등이 거론되고 있다. 본 연구는 건강검진자를 대상으로 최근 7년간의 담낭 담석의 연도별 유병률 및 위험인자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1997년부터 2004년까지 경북대학교 병원 건강검진센터를 방문한 36,314명을 대상으로 키와 몸무게를 측정하고 공복 혈당과 간기능 및 기본 지질 검사를 하였고 초음파 검사를 통해 담낭 담석을 진단하였다. 체질량 지수에 따라 저체중, 정상체중, 과다체중, 비만 집단으로 나누었고, 공복 혈당 수치는 미국 당뇨 협회에서 제시한 당뇨병의 진단 기준에 따라 분류하였고, 간기능 수치는 본원에서 사용하는 간기능 정상치를 참조하여 대상군을 나누었다. 지질 수치는 NCEP ATP III에 따라 분류하였다. 결과: 36,314명의 대상자 중 남자는 19,345명, 여자는 16,969명이었고, 이 중 40대과 50대가 대상자의 50% 이상을 차지하였다. 담석이 발견된 경우는 735명(2.0%)으로 이 중 남자는 387명(2.0%), 여자는 348명(2.1%)로 유병률에 있어서 성별간 의미있는 차이는 없었다. 연도별 유병률은 1998년 1.9%, 1999년 1.6%, 2000년 1.4%, 2001년 1.7%, 2002년 1.6%, 2003년 2.8% 그리고 2004년에는 2.7%였다. 단변량 분석을 시행한 결과, 연령, 체질량 지수, 공복 혈당, 총 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중성 지 방, AST가 담석의 유병률과 의미있는 상관관계를 보였다. 다중 로지스틱 회귀 분석에서 체질량 지수, 연령, 공복 혈당이 담석증의 독립적인 위험인자로 선정되었다. 결론: 건강검진자를 대상으로 한 담낭 담석의 위험인자로는 높은 체질량 지수, 연령의 증가, 높은 공복 혈당으로 나타났다. 각각의 위험인자는 서로 개별적이라기보다 담석에 대한 공통 병인을 가지고 있으며, 담낭 담석이 대사 증후군과 관련되어 있을 가능성이 크다고 생각되나, 이를 규명하기 위해서는 앞으로 일반 인구를 대상으로 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겠다. Background: Gallstone is the most common disease of the biliary system. Most cases of gallstone are asymptomatic and we incidentally found gallstones during a community health survey. Our study was designed to determine the prevalence and risk factors for gallstone in a population who underwent health screening. Methods: We enrolled a total of 36,314 persons who visited the health promotion center i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in Korea from 1998 to 2004. They had their gallbladder or biliary system examined with using ultrasonography. The body mass index and biochemical parameters from liver function tests, the lipid profiles and the fasting blood sugar were all measured. All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several groups and the particular prevalence for gallstone disease for each group was calculated. Chi-square tests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ssessed the risk factors for gallstone disease. Results: Among 36,314 persons, (19,345 males (53.3%) and 16,969 females (46.7%)), gallstone was found in 735 persons (2.0%). On univariate analysis, the risk factors for gallstone disease were age, body mass index, fasting blood sugar, total cholesterol, LDL-cholesterol, triglyceride and serum aspartate aminotransferase. On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risk factors were high body mass index, older age and high fasting blood sugar. Conclusions: The risk factors seem to show a common pathogenesis for gallstone disease. Although the relation between gallstone disease and metabolic syndrome has not been established, it appears to be associated with metabolic syndrome, but further study on a general population is required. (Korean J Med 72:480-490, 2007)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