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홍선희(Hong, Seon-Hui) 한국노어노문학회 2016 노어노문학 Vol.28 No.4
본 연구는 직시표현 중 공간직시어인 тут, здесь, там을 중심으로 하여, 그 의미적, 화용적 전이현상을 살펴보았다. 공간이라는 대상은 인간이 가장 쉽게 구체적으로 인식할 수 있기 때문에, 우리는 공간직시어를 사용하여 추상적인 개념인 시간과 명제에 대한 화자의 감정적 평가를 은유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이때 변수 [화자로부터의 ±가까움, ±멈]이 의미 확장의 기본적 연결고리로 사용된다. 그러나 동의어로 고려되는 тут와 здесь는 의미적 확장 과정에서 다소 다른 양상을 보인다. тут는 здесь에 비해 시간적 상황적 의미로 더 많이 전이되어 사용될 뿐만 아니라, здесь와 달리 담화소사로까지 확장되어 작용한다. 본 연구는 тут, здесь, там의 의미 및 사용을 살펴보면서, тут와 здесь의 차이를 다음과 같이 확인하였다. 즉, тут는 화자가 상황 내부에서 자신의 시공간을 바라보는 것을 의미하는 반면, здесь는 화자가 객관적 외부적 위치에서 자신이 있는 현재 공간을 인식하는 것을 내포하는 바,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тут는 청자를 포함한 지시상황과 화자를 연결하는 심리적 작용소로 기능하는 반면 здесь는 지시상황 및 화자를 구분해내고 상황에 대한 화자의 중립적 위치를 지니게 된다는 것이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тут와 здесь의 의미 확장 및 담화소사로서의 사용도 이러한 특성과 관련 있음을 살펴볼 수 있었다.
홍선희(Hong Seon-hui) 한국노어노문학회 2020 노어노문학 Vol.32 No.4
본 논문은 색채어의 전이적 의미와 그 속에 내재되어 있는 가치평가적인 측면을 살펴보았다. 색채어는 색의 스펙트럼과 관련된 물리현상을 나타내면서, 동시에 그 외의 다른 의미로 확장되어 사용되기도 하며, 이와 연관된 평가적인 의미도 내포하게 된다. 이는 객관적인 물리현상인 색 속성, 그리고 색이 지시하는 원형에 대해 인간의 감정적, 연상적 측면이 개입하기 때문이다. 이때 색채어는 일정한 가치평가적 의미로 확장될 수도 있고, 혹은 그 색의 원형에서 비롯한 새로운 속성만을 나타내기도 한다. 예컨대 белый, красный의 ‘좋은’이라는 전이적 의미와 чёрный의 ‘나쁜’의 전이적 의미는 이미 가치평가적인 의미를 획득한 것으로 보이고, зелёный가 ‘미성숙한’, ‘친환경적인’이라는 의미로, серый가 ‘흔한, 재능 없는’의 의미, голубой가 ‘빛나는’, ‘비현실적인’의 의미로 쓰이는 경우는 아직 일정한 가치평가는 없지만, 이 색의 원형적인 지시체에 대한 일정한 감정적 평가가 내포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처럼 색채어의 전이적 의미는 현재 은어에서도 계속 새롭게 확장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예를 들면 белый는 긍정적 가치에서 비롯한 ‘질 좋은’을 의미하고, 부사형태 фиолетово는 ‘관심 없다’는 의미를 지닌다. 새롭게 등장한 이러한 의미 역시 색의 원형적 지시체에 대한 인간의 주관적 평가에서 비롯되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색채어가 일차적인 색 속성의 의미뿐만 아니라, 색에 대한 일정한 주관적인 평가를 바탕으로 하여 가치평가적인 의미로 전이되고 있고, 이러한 과정은 은어에서 여전히 진행되고 있음을 예시를 통해 살펴보고자 했다.
홍선희(Hong Seon-Hui) 한국노어노문학회 2018 노어노문학 Vol.30 No.2
본 논문에서는 의미 확장에서 발생하는 은유 및 환유를 중심으로 동사 및 명사를 살펴보았다. 동사의 의미 확장은 동사 그 자체의 의미가 확장하던가 혹은 이와 결합하는 지시체부류의 변화로 인해 발생한다. 동사 자체의 의미확장의 경우, 유사성의 은유, 인접성의 환유 등을 통해 다의적으로 확장된다. 그리고 동사와 결합하는 명사가 추상적인 성격을 지닐 때, 그 동사는 구체적인 동작이 아닌 사고의 과정으로 은유적으로 사용된다. 반면 환유는 원의소는 간직된 채, 변별적 의소가 더 강하게 전면으로 나오면서 발생하는 의미의 포커스 이동으로 설명되기 때문에, 문장에서 태의 변화는 환유적으로 고려된다. 반면 명사에서는 지시적 의미와 함축적 의미를 기준으로 하여, 은유적으로 지시대상을 확장하는 측면과, 지시적 의미에서 함축적 의미로 전이되는 측면에서 몇몇 어휘들을 살펴보았다. 이때 은유는 유사성을 근거로 한 만큼, 원의미와 파생의미 간에 연상적으로 유사성을 찾아내야 하며, 지시적 의미에서 함축적 의미로의 전이에서는 추상적 측면으로의 전이가 발생하면서, 동시에 그 가치적 특성을 부여받기도 한다. 이처럼 의미확장 혹은 변형에서 인식의 부담을 줄이기 위해 사용된 은유 및 환유적 기제는 우리가 어휘의 다의성을 쉽게 이해하고 적절히 사용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홍선희(Hong, Seon Hui) 경북대학교 러시아-유라시아 연구소 2021 러시아유라시아연구 Vol.5 No.-
This paper attempted to examine language play in terms of form and meaning. Language play is a kind of verbal means that gives a comedy effect based on intentionality and anomaly. And it is usually based on polysemy or similar pronunciation. However, Language play should not be studied separately in form or meaning of words. Although language has the arbitrality, speakers have an intention to reduce the cognitive load, by giving a certain motivation between form and meaning, which is particularly well evident in secondary nomination. In particular, the motivation between form and meaning of words are well revealed in the language play, in secondary nominations, including borrowing words. Therefore, it is necessary not to study separately language play in terms of form or meaning, but to examine it in the both aspect. Examining the motivation of the form and meaning of language is helpful in the study of cognitive language procedures such as metaphors and metonymy, and this study is expected to become the basis of these studies.
홍선희(Hong Seon-hui) 한국노어노문학회 2013 노어노문학 Vol.25 No.2
본 연구에서는 가정법의 기본의미를 정하고, 그 외 다른 의미는 기본의미와 연관 지어 유형화하려고 시도했다. 비현실성과 연관되는 가정법의 의미를 주관적인 것과 객관적인 것으로 나누어, 주관적 비현실성의 기본 의미는 원망의미로, 객관적 비현실성의 기본의미는 가설의미로 규정했다. 원망의미는 화자의 바램 표현으로서, 화자의 의지와 의도 등 심리적 상태와 연관된다. 또한 원망의미는 비현실성과 현실성의 공동영역에 위치하므로, 가정법으로 표현된 명제의 실현 잠재성이 표현된다. 반면 가설의미는 가정법으로 표현된 명제에 대한 화자의 객관적 추측이 드러나며, 이 때 화자는 어떠한 개입도 하지 않는다. 이 두 가지 의미를 통사적으로, 다시 말해서 어순의 도치나 억양, 다른 양상소사와 소사 бы의 결합 가능성, 그리고 필연성이나 확신성을 나타내는 부사와 함께 쓰일 가능성에 의해 서로 구분될 수 있다. 원망의미는 화용적 측면에서 촉구의미로 확장된다. 무언가를 바라는 화자의 심리적 상태가 화자나 청자에 대한 사역성과 결합한다면 명령행위와 동일한 발화수반효력을 지니게 된다. 그래서 가정법은 명령법에 비해 좀 더 공손한 완화적 효과를 지니면서, 촉구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단문에서 구분되는 이 두 가지 의미는 복문에서도 각각 확장되어 사용된다. 원망의미는 지시주체의 의지, 의도와 관계되면서 목적의미와 연관되며, 가설의미는 지시주체에게 알려져 있지 않는 객관적 현실을 나타낸다는 점에서 간접성의 표지가 된다.
홍선희(Hong Seon-hui) 한국노어노문학회 2021 노어노문학 Vol.33 No.4
색의 속성은 빛의 프리즘을 통한 물리적 현상으로서, 사람들은 시각적으로 동일하게 색을 지각하지만, 실제로 색은 매우 주관적인 속성을 지니고 있다. 특히 색을 인지하고 어휘화하며 속성을 부여하는 측면에서 이러한 주관성은 두드러지는데, 그 예로 파란색과 하늘색을 들 수 있다. 영어를 비롯한 몇몇 유럽어에서 파란색과 하늘색의 어휘는 차별화되지 않는 반면, 러시아어는 한국어와 마찬가지로 파란색과 하늘색에 대한 상이한 어휘를 사용한다. 그렇다면 분명히 이 두 가지 색은 언중들에게도 상이한 지각적 특성과 그에 따른 주관적 평가를 지님에 분명하다. 본 논문은 어두운 파란색의 색 표지인 синий와 밝은 파란색의 색 표지인 голубой의 의미적 차이를 살펴보았다. 이 두 색은 시각적으로는 비슷하지만, 전이적 의미에서는 다른 평가를 가진다. голубой는 밝음, 고귀함, 바람직함 등의 긍정적인 뉘앙스를 가지지만, синий는 부정적인 의미의 관용구에서 사용되거나, 구어에서는 ‘술에 취한’의 의미로 사용된다. 이러한 차이는 이 두 색상에서의 빛의 유무와 관련이 된다. синий는 빛이 없는 어두운 색을 지시하는 반면 голубой는 빛이 있는 하늘색을 의미하기 때문에, 빛이 가지는 긍정적 속성을 의미에 포함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색 의미의 차이는 그 색이 대표적으로 지시하는 자연대상과의 연관성에서 비롯한다. синий는 물을 그 원형적 지시대상으로 삼고 있는 반면 голубой는 하늘의 색을 우선적으로 지시한다. 따라서 물과 하늘이 지니는 속성이 어휘의 의미에 그대로 반영되면서, 은유적, 환유적 작용에 의해 새로운 의미로 전이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의미적 차이는 번역에서, 특히 관용구를 차용할 때 러시아어 어휘를 선택하는 기준이 될 것이다.
홍선희(Hong, Seon Hui) 한국노어노문학회 2014 노어노문학 Vol.26 No.1
오랜 세월을 거치면서 남성/여성의 직업, 취미, 생활습관, 사회경제 제도 등을 바탕으로 한 일정한 성 스테레오타입이 만들어졌다. 이러한 성 스테레오타입은 우리의 의식에도, 또한 언어에도 자연스럽게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과거의 남성중심주의 사회에서 비롯된 성 스테레오타입에 의하면. 남성은 지배적, 능동적인 긍정적 특성을, 여성은 수동적, 감정적인 부정적 특성을 가지는 것으로 묘사된다. 언어가 세계를 규정한다는 측면에서 이러한 비대칭적인 성 스테레오타입은 언어에서도 자연스럽게 표현된다. 비록 현대사회에서 여성들의 입지가 강화되고 페미니즘 운동의 영향으로 많은 성적 비대칭이 사라지고 있지만, 그래도 여전히 언어에서는 부정적 여성상이 남아있다. 본 논문은 새로운 현상이 가장 빨리 반영되면서 동시에 규범성도 어느 정도 유지되는 대중매체 언어에서 이러한 성 스테레오타입의 표현을 살펴보았다. 여성은 약하고 수다스럽고 지적 능력이 떨어지는 반면, 남성은 논리적이고 사회활동을 잘 한다는 스테레오타입은 동물을 통한 비유적 언어수단에서, 그리고 баба로 대표되는 여성의 비유적 표현에서도 여전히 나타난다. 게다가 문법적 여성형 명사가 지니는 부정적 뉘앙스는 여성형 명사의 사용이 비규범적인 것으로 여겨지게 했다. 이러한 특성은 직업 명칭의 사용에서도 나타난다. 러시아가 자본주의 체제로 전환하면서 새로운 직업이 생겨나게 되었고, 이에 따른 새로운 직업의 명칭은 외국어에서 차용됨과 동시에, 이 남성형 명사에서 여성형 명사도 자연스럽게 파생되었다. 그러나 남성형 직업명칭 명사가 규범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신조어 직업명칭에서 여성형 명사는 그 능력보다는 외모, 떨어지는 지력 등을 나타내는 형용사와 함께 쓰여 여전히 여성형에 대한 부정적 뉘앙스를 지닌다. 남성/여성의 발화에서도 이러한 스테레오타입은 여전히 발화 전략으로 기능한다. 본 논문에서는 발화동사와 직접화법의 사용정도, 논쟁성을 지니는 소사 же의 사용정도를 살펴보고, 상대방의 이해를 구하는 여성의 발화전략, 남성의 우위 선점적 발화전략을 연결시켜 보았다. 그러나 소통에서는 성뿐만 아니라 나이, 직업, 교육 등의 변수에 따라, 그리고 해당 문맥에 따라 그에 알맞은 수단이 선택된다. 따라서 이러한 변수와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는 것이 차후 필요할 것이다. The study investigates the gender specific uses based on gender stereotypes in the material of Russian mass media texts. Previous studies shedded light on the gender-stereotypes, according that, men are more active and dominant whereas women are more passive and dependent on men. Although in the last years the positions of women are uprising in society and economics, such negative stereotypes about women are still remains in language. This paper attempts to describe the gender asymmetric expressions and to correlate them with the differences between male"s and female"s pragmatic communitive strategy. Firstly, this paper presents the metaphoric use of the word БАБА meaning "women" and the word ЛИСА implying "slyness" and finds out the gender asymmetric use of language. БАБА designates a week, passive male, and ЛИСА implies slyness only for male, whereas for female, it presents the similarity between female"s and fox"s appearance. Secondly, it is known that the morphological feminine forms have the negative meaning nuances. The study describes the use of the feminine grammatical words meaning the professions and their negative nuances. Finally, it presents the differences between male"s and female"s communitive strategy, examining the frequency of speech verb ГОВОРИТЬ and the particle же. The paper attests these communitive strategy: Men prefers to be the upper position rather than women, while women assure their speech by using the evidential means like direct speech and speech verbs.
왕휘휘(Wang, Hui-Hui),홍관선(Hong, Kwan-Seon)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18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 No.3
A large number of idle old industrial land is the witness to the social development process, while the profound historical and cultural background as well as rich industrial heritage are its own values. Due to the construction and renovation of urban space, the old industrial area was blindly pushed over for reconstruction, which cut off the public memory identity and place context while the memory of the old industrial area was being erased. Therefore, this research will adopt place memory to connect people with space. In addition, there are three parts in the main body of this article. The first part is the theoretical part, which introduces the research purpose, research method and research scope. The second part is the theoretical investigation, which concludes the concept, characteristics, memory and place memory of the old industry and industrial heritage, and analyzes the basic memory elements in the place memory, as well as summarizing the principles of industrial heritage reproduction design based on place memory. The third part is case analysis that dissects three typical cases of urban industrial heritage, and discusses how the regeneration based on place memory is used in industrial heritage. Finally, it concludes the expression of place memory in the industrial heritage, which can serve as reference for the resurrection of the industrial a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