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ISCIESCOPUS

        Development of multispectral imaging algorithm for detection of frass on mature red tomatoes

        Yang, Chun-Chieh,Kim, Moon S.,Millner, Patricia,Chao, Kuanglin,Cho, Byoung-Kwan,Mo, Changyeun,Lee, Hoyoung,Chan, Diane E. Elsevier 2014 Postharvest biology and technology Vol.93 No.-

        In this research, a multispectral fluorescence-based imaging algorithm was developed to detect frass contamination on mature Campari tomatoes. Tomato images were acquired using a hyperspectral fluorescence line-scan imaging system with violet LED excitation, then analyzed for wavelength selection. The fluorescence intensities at five wavelengths, 515 nm, 640 nm, 664 nm, 690 nm, and 724 nm, were used to compute three simple ratio functions to detect frass contamination. The contamination spots were created on the tomato surfaces using four low-concentration frass dilutions. The algorithms detected over 99% of the 0.2 kg/L and 0.1 kg/L frass contamination spots and successfully differentiated these spots from tomato skin surfaces, stem scars, and stems. However, differentiation of the 0.05 kg/L and 0.02 kg/L frass contamination spots was more difficult. Adjusting the algorithm to successfully detect 95% of the 0.05 kg/L spots also resulted in false-positive pixel detections occurring on 28% of the tomatoes.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a simple multispectral fluorescence imaging algorithm based on violet LED excitation could be useful for rapid postharvest detection of frass contamination on tomatoes in processing lines. (C) 2014 Published by Elsevier B.V.

      • KCI등재

        Analysis of Microbiological Contamination in Cultivation and Distribution Stage of Melon

        Kyeong-Hun Park,Hye-Jeong Yun,Won-Il Kim,Jun-Won Kang,Patricia D. Millner,Shirley A. Micallef,Byeong-Seok Kim 한국토양비료학회 2013 한국토양비료학회지 Vol.46 No.6

        재배단계와 유통단계에서 멜론의 미생물 위해요소를 조사하기 위하여 전북 익산과 충남 논산에 위치한 멜론 재배지에서 토양과 관개수, 식물체를 채집하였다. 수원시에 위치한 대형마트, 농산물시장, 재래시장으로부터 유통되는 멜론과 시판종자를 채집하여 위생지표세균 3종 (총호기성균, Coliform, E. coli)과 병원성 미생물 4종 (B. cereus, L. monocytogenes, Salmonella spp., S. aureus)을 분석하였다. 멜론 재배과정 중 총호기성균과 대장균군은 각각 0.43~6.65, 0.67~2.91 log CFU g<SUP>-1</SUP> 수준으로 검출되었다. Bacillus cereus는 익산지역의 토양과 멜론 잎에서 각각 2.95, 0.73 log CFUg<SUP>-1</SUP>으로 검출되었고, 논산지역의 토양에서 3.16 log CFU g<SUP>-1</SUP> 로 검출되었다. 농산물시장, 대형마트, 전통시장에서 멜론의 총호기성균은 각각 4.82, 3.94와 3.99 log CFU g<SUP>-1</SUP>로 확인되었다. 유통중인 멜론에서 대장균군은 0.09~0.49 log CFUg<SUP>-1</SUP> 범위였으며, 판매장소에 따라 총호기성균과 대장균군 수준에 유의적인 차이가 나지 않았다. 모든 시료에서 Listeria monocytognes, Salmonells spp., Staphylococcus aureus는 검출되지 않았다. 멜론 종자의 총호기성균은 0.33~3.34 log CFU g<SUP>-1</SUP> 수준이었다. 관개수, 토양, 가축분뇨와 수확후 처리를 포함한 다양한 농업 활동이 미생물오염의 잠재적인 원인이기 때문에 토양, 물 과 농자재에 대한 위생관리와 모니터링이 안전한 멜론 생산을 위하여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microbial contamination of melons in Korea. A total of 123 samples including melon fruits, leaves, seeds, soils, and irrigation water were collected from farms and markets to detect total aerobic bacteria, coliform, Escherichia coli, and pathogenic bacteria such as Bacillus cereus, Listeria monocytogenes, Salmonella spp., and Staphylococcus aureus. Samples were collected from Iksan and Nonsan farms to monitor bacterial levels on pre-market melons. The total aerobic and coliform bacteria on melon cultivation were between 0.43 and 6.65 log CFU g<SUP>-1</SUP>, and 0.67 and 2.91 log CFU g<SUP>-1</SUP>, respectively. Bacillus cereus, a fecal coliform, was detected in soils and melon leaves from Iksan farm at 2.95, 0.73 log CFU g<SUP>-1</SUP>, respectively, and in soils from Nonsan farm at 3.16 log CFU g<SUP>-1</SUP>. Market melon samples were collected to assay bacterial load on melon being sold to consumers. The contamination levels of total aerobic bacteria in agricultural markets, big-box retailers, and traditional markets were 4.82, 3.94, 3.99 log CFU g<SUP>-1</SUP>, respectively. The numbers of coliform in melon on the markets ranged from 0.09 to 0.49 log CFU g<SUP>-1</SUP>. Listeria monocytogenes, Salmonella spp., and Staphylococcus aureus were not detected in any samples. The count of total aerobic bacteria on melon seeds ranged from 0.33 to 3.34 log CFU g<SUP>-1</SUP>. This study found that irrigation water, soil, manure and various farm work activities including post-harvest processes were latent sources of microbial contamina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hygienic management and monitoring of soil, water, and agricultural material should be performed to reduce microbial contamination in melon production.

      • KCI등재

        Analysis of Microbiological Contamination in Cultivation and Distribution Stage of Melon

        Park, Kyeong-Hun,Yun, Hye-Jeong,Kim, Won-Il,Kang, Jun-Won,Millner, Patricia D.,Micallef, Shirley A.,Kim, Byeong-Seok 한국토양비료학회 2013 한국토양비료학회지 Vol.46 No.6

        배단계와 유통단계에서 멜론의 미생물 위해요소를 조사하기 위하여 전북 익산과 충남 논산에 위치한 멜론 재배지에서 토양과 관개수, 식물체를 채집하였다. 수원시에 위치한 대형마트, 농산물시장, 재래시장으로부터 유통되는 멜론과 시판종자를 채집하여 위생지표세균 3종 (총호기성균, Coliform, E. coli)과 병원성 미생물 4종 (B. cereus, L. monocytogenes, Salmonella spp., S. aureus)을 분석하였다. 멜론 재배과정 중 총호기성균과 대장균군은 각각 0.43~6.65, 0.67~2.91 log CFU $g^{-1}$ 수준으로 검출되었다. Bacillus cereus는 익산지역의 토양과 멜론 잎에서 각각 2.95, 0.73 log CFU $g^{-1}$으로 검출되었고, 논산지역의 토양에서 3.16 log CFU $g^{-1}$로 검출되었다. 농산물시장, 대형마트, 전통시장에서 멜론의 총호기성균은 각각 4.82, 3.94와 3.99 log CFU $g^{-1}$로 확인되었다. 유통중인 멜론에서 대장균군은 0.09~0.49 log CFU $g^{-1}$ 범위였으며, 판매장소에 따라 총호기성균과 대장균군 수준에 유의적인 차이가 나지 않았다. 모든 시료에서 Listeria monocytognes, Salmonells spp., Staphylococcus aureus는 검출되지 않았다. 멜론 종자의 총호기성균은 0.33~3.34 log CFU $g^{-1}$ 수준이었다. 관개수, 토양, 가축분뇨와 수확후 처리를 포함한 다양한 농업 활동이 미생물오염의 잠재적인 원인이기 때문에 토양, 물과 농자재에 대한 위생관리와 모니터링이 안전한 멜론 생산을 위하여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