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 Review of Research on Early Childhood Teacher Beliefs and Practice

        Kyee Yum Kwon 한국유아교육학회 2010 INTERNATIONAL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Vol.16 No.1

        Since beliefs play a critical role in defining tasks, selecting strategies, and taking actions, the research on teacher beliefs and practice has brought many meaningful implications for teacher education. Reviewing research on early childhood teacher beliefs and practice, which has been mainly published in the U. S. within the past two decades or so, this article aims to explicate the general flow and issues in the limited body of literature. It covers four strands of research; (1) early childhood teachers‘ beliefs and practices regarding constructivism and/or child-centered approaches, (2) research on developmentally appropriate practice, (3) early childhood teachers‘ classroom management related perspectives and practices, and (4) predictable/influential factors of beliefs and practices. Then, the article outlines some concerns that have emerged from the review.

      • RISS 인기논문 KCI등재

        제4차 산업혁명 시대의 교육과 유아교사의 역할

        권귀염(Kwon, Kyee-Yu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4

        본 논문은 제4차 산업혁명으로 일컫는 미래 변화 예측에 따라 새롭게 변화, 강조 되어야 할 유아교사의 역할에 대해 고찰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제4차 산업혁명의 특징과 그에 따른 교육적 변화 방향을 모색해 보았다. 구체적 내용으로는 미래 인재에게 요구되는 핵심 역량으로 창의적 문제해결 역량, 윤리적 인성의 정서 역량, 소통과 협력의 사회적 교류 역량, 자기 주도적 생애학습 역량의 네 가지를 제시하였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시대의 교육 목적/목표, 교육과정, 교육 내용, 교수-학습 방법, 교육 평가가 나아갈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교육 전반의 변화에 따라 새롭게 변화하거나 강조되어야 하는 미래 사회의 유아교사 역할로는 놀이의 관찰/지원자, 탐색과 비판적 사고의 촉진자, 학급 운영의 참여/조정자를 제시하고 각 역할 수행에 필요한 구체적인 실천 방안으로 놀이시간과 환경의 확보 및 관찰, 유아 흥미 중심의 프로젝트 시도 및 고차적 사고기능 촉진 발문, 유아의 참여권을 보장하는 학급 운영이 필요함을 논하였다. This paper aims to discuss expected rol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t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For the purpose, characteristics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were reviewed, then the direction of educational changes was considered. Specifically, four essential competencies required to the future men of distinguished talent were suggested. The competencies are creative problem-solving competency, emotional competency with moral personality, social interchange competency based on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abilities, and self-initiative lifelong learning competency. In addition, the paper deals with desirable changes of educational paradigm, including educational goals, curriculum, content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evaluation Based on the educational changes, expected and/or highlighted rol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t the new era are considered. According to the roles, which are 1)observing and supporting children s play, 2)fostering children s exploration and critical thinking, and 3)participating and coordinating classroom operation with children, some practical suggestions are made

      • KCI등재

        한 어린이집 교사와 어린이들의 교실 담화 분석

        권귀염(Kwon, Kyee yum) 한국어린이교육문화비평학회 2013 영유아교육과정연구 Vol.3 No.1

        본 연구는 교수-학습 행위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교사와 어린이들의 언어적 상호작용, 즉 교실 담화를 Bakhtin의 대화론 및 Lindfors의 탐문의 개념을 적용하여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햇살어 린이집 교사인 박교사와 슬기반 어린이들 간에 이루어진 일련의‘아기에 대한 이야기’가 대화의 성격, 교사의 역할, 어린이들의 참여와 반응 등을 중심으로 분석되었다. 분석 결과 박교사의 탐문 초대로 시작된 이야기는 열린 탐문의 형태를 유지하기도 하였으며 교사가 특정한 틀을 가진 활동 마무리를 계획하면서 권위적인 담화의 형태를 띠기도 하는 등 복합적인 성격을 보였다. 교사는 어린 이들에게 생각을 드러내고 감정을 공유하도록 하며 자신도 함께 즐기는 모습도 보인 반면 탐문 행위의 참여자로서 자신을 표현하고 이해를 공동구성해 나가지는 않았다. 따라서 교사와 유아가 함께 하는 진정한 협력적 탐문의 분위기가 형성되는 데는 미흡함이 있었다. 유아들 역시 교사의 초대에 반응하여 자신의 생각을 드러내면서도 권위적 담화가 이루어질 때는 그에 맞는 형식의 대답을 하는 변화를 보였다. Since the interaction between a teacher and students is the core of teaching and learning, this study aimed to analyze a set of interactions between a child-care teacher and the classroom children by applying Bakhtin’s dialogism and Lindfors’s concept of inquiry. The series of interactions regarding baby, which was constructed by a child-care teacher Park and her classroom children, was analyzed in terms of its characteristics, teacher roles in the interactions, and children’s participation and responses to the teacher’s utterance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the interactions were started by inviting children to the teacher’s inquiry about baby, and at the starting point, it could be considered as an open-ended inquiry. When the teacher pushed the children to reach a predetermined event by her, however,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scourse was changed from an inquiry to an authoritative discourse. Showing such complex nature of the interactions, the teacher sometimes encouraged the children to express their ideas and feelings, but sometimes tried to lead them to give her expected answers. She was accepting children’s suggestions as well as forcing her directions. In general, the teacher enjoyed sharing children’s thoughts and experiences and tried to make the interactions an enjoyable and meaningful inquiry. Nevertheless, it was difficult to consider the series of interactions as an collaborative inquiry, because the teacher did not really participate in the interactions. She rarely expressed her own thoughts and feelings. Rather than becoming a co-member of the inquiry and constructing knowledge together, she did mainly play the role of a guider of the children’s inquiry.

      • KCI등재후보

        유아용 편견 검사 도구 분석

        권귀염 ( Kwon Kyee-yum ),방유선 ( Bang Yoo-seon ) 한국아동교육학회 2021 아동교육 Vol.30 No.2

        본 연구는 국내 유아교육 분야에서 반견견 교육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주로 사용하는 유아용 편견 검사 도구들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유아용 편견 검사 도구를 사용한 연구 총 114편을 정리하여 분석 대상 도구를 선정하였다. 선정된 도구들은 장애 관련 도구 ASK(1996)와 PSSHP(1983), 성역할 관련 도구인 SERLI(1978), 외모/체형 관련 도구 VCL(1972)과 여러 편견 영역 검사에서 주로 사용된 양미현(1999)의 질문지이다. 편견 관련 이론에 근거하여 해당 도구들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분석 대상 도구들이 20-50년 전 개발되어 과거의 관점을 반영하고 있어 오늘날 사용하기에는 시대·문화적으로 적절하지 못한 측면이 있었다. 둘째, 편견의 범주 구분 및 다루고 있는 편견의 내용적 폭과 깊이가 너무 일반적이어서 다면적 차원을 포함하지 못하였다. 셋째, 다양한 편견의 차원과 표출 수준을 반영하지 못하고 일부 차원 및 표출 수준에 대한 질문만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의 의미를 해석하여 편견 검사 도구 개발에 시사하는 바를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bias examination scales for young children, which have been popularly applied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Korean. In order to select target scales for this study, total 114 studies were reviewed. The selected scales for this study were ASK and PSSHP, which examine disability related prejudice, SERLI, which inspects children’s perceptions on gender roles and stereotypes, VCL, the checklist style scale of appearance related issues, and the most popular one for testing multiple bias topics, Yang(1999)’s questionnaire. Based on diverse theories of human bias, these five scales were analyzed,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selected scales were developed 20 to 50 years ago. Due to old-fashioned perspectives on the biased groups, the scales were problematic and inappropriate for using comtemporary era. Second, the scales categorized biased group of people too broadly, and rarely examined diverse details of prejudice. Third, the scales covered some limited aspects of bias and expression levels. Based on the interpretation of the results, implications regarding the development of bias examination scales were discussed.

      • KCI등재

        유아교사들의 수업비평 경험

        권귀염(Kwon, Kyee-Yum),김현미(Kim, Hyun-M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17

        This study explored early childhood teachers experiences of criticism of classroom instruction. 6 teachers w ho experienced the process of criticism of classroom instruction in a graduate course in C university participated in the study. Data w ere collected through individual intervie w s w ith the teachers. As results of the data analysis, several findings w ere emerged. The participants initially thought the criticism of classroom instruction as a kind of evaluation process. By experiencing the process of the criticism of classroom instruction, ho w ever, they ackno w ledged it as interpreting and understanding w ays of classroom activities. It also w orked for their vie w s on children positively. The burden they had to have w as time devoting to transcribe classroom activities as w ell as opening their classrooms to other teachers. W riting criticism w as another difficulty for them. They felt to hard to look for alternatives of classroom activities, but highly valued the part. Since the criticism of classroom instruction w as valuable to cultivate the participants expertise, it w as suggested to develop diverse and convenient w ays of criticism of classroom instruction. 본 연구는 수업비평을 접하고 수행해 본 유아교사들의 경험을 탐색하였다. C 대 학원 수업을 통해 수업비평을 경험한 6명의 교사들과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 참여교사들은 수업비평 과정을 통해 수업을 평가적 관점에서 보는 것 에서 벗어날 수 있었으며, 수업비평을 수업 이해와 해석의 한 방법으로 인식하게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수업에 대한 관점의 변화는 유아를 바라보는 인식 변화에도 긍정적으로 작용하였다. 그러나 많은 시간과 노력을 요하는 전사 및 비평 과정과 자신의 의견을 정리해서 드러내야 하는 비평적 글쓰기는 유아교사들에게 큰 부담으로 다가오기도 하였다. 수업의 대안점을 찾는 것 역시 그 중요성을 강조하면서도 쉽지 않은 작업임을 이야기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수업비평의 장점을 살리고 유아교육기관의 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 수업비평의 적용 방법 개발과 개선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질적 연구 경험의 재방문

        권기염(Kyee Yum Kwon)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1 유아교육학논집 Vol.15 No.2

        이 글은 본 연구자가 수행했던 한 질적 연구의 경험을 재방문하여 연구 주제의 도출과 연구 설계, 수행과 분석 및 최종적 글쓰기까지의 세부적 단계를 반성함으로써 각 단계에서 경험한 고민과 갈등, 그를 통한 배움을 공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질적 연구에 대한 관심과 연구 성과의 발표가 증가하고 있는 현 상황에서 이런 한 개인의 경험에 기반한 내러티브를 통해 질적 연구의 과정에서 겪게 되는 여러 고민에 대한 담론의 장을 열기를 기대해 본다. 본문은 일인칭 내러티브의 형식으로, 1)연구주제의 도출과 발전, 2)선행연구의 고찰, 3)탐색연구와 예비조사, 4)참여자의 선정과 협의, 5)연구 실행의 과정, 마지막으로 6)자료의 분석, 논의, 제안이라는 주제에 따라 연구의 경험을 소개하였다. 또한 질적 연구의 전체적 과정을 반성함으로써 질적 연구자가 되는 것의 개인적 의미를 서술하였다. By revisiting a qualitative study I experienced, this paper aims to delineate each step of the research process from developing the topic to writing the final report. Also, it aims to share the difficulties, struggles, dilemmas I experienced in the process as well as the insights from the experience. Considering the increasing interests in qualitative research within the field of education I hope this personal narrative would help to provoke diverse discussions about methodological issues, processes, ethics, dilemmas and ideas related with qualitative research. The narrative consists of my experiences and reflections by the order of 1)developing the research topic, 2)reviewing literature, 3)an exploratory study and pilots, 4)selecting the participants and negotiating with them, 5)collecting the data, and 6)analysis, discussion, and suggestions. Reflecting the whole process of the study, I addressed personal meanings of being a qualitative researcher.

      • KCI등재

        흥미에 대한 이해와 실천 : 유아교사들의 오해와 혼란, 그리고 갈등

        권귀염 ( Kyee Yum Kwon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5 유아교육연구 Vol.35 No.2

        This study aims to explore how early childhood teachers understand the conception of children’s interest, and how their understandings are reflected in their classroom practices. Thre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a child-care center in G metropolitan area participated in this study. To collect data, the researcher conducted two times of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and a group interview with them. In addition, the participant teachers’ classroom practices were observed about 12 times. The result of data analysis shows that the teachers regarded interest as curiosity and thought it in connection with excitement and enjoyment. At the same time, they pointed out some important educational values of children’s interest. It seems that they have multi- layered understandings about interest. Also, they confessed some difficulties in applying children’s real interest into their classroom practices. The teachers thought of reflecting children’s interest as somewhat different from facilitating learning. Separating children’s interest from learning, the participant teachers considered interest the means of learning and tried to arouse children’s interest in pre-planned activities. In order to do so, the teachers often used some specific strategies such as making up-coming activities confidential, inserting funny elements in activities, and partially integrating children’s wishes into activities. These results suggest the necessity of providing pre/in-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ith diverse opportunities to understand more detailed conceptions about interest and expanding discussions about the ways of connecting interest with learning. 본 연구는 아동중심 교육의 핵심적 요소라고 할 수 있는 ‘흥미’에 대해 유아교사들이 어떻게 생각하고 있으며 교실 실천에 흥미를 반영하는 방식은 어떠한지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G광역시의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교사 3명이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연구의 자료는 심층면담과 교실관찰을 통해 수집되었다. 연구 결과 참여교사들은 흥미를 단순한 관심이나 즐거움으로 여기면서도, 진정한 흥미를 구분하고 가치의 측면에서 보다 깊이 있는 이해를 보이는 등 복합적인 모습을 보였다. 또한 유아들의 진정한 흥미를 교육실천에 반영하는 것의 어려움을 토로하며, 학습과 흥미를 분리해서 바라보았다. 따라서 흥미는 학습목표 달성을 위해 사용하는 수단으로 간주되었고 이러한 인식은 그들의 교실 실천에도 그대로 반영되어 특정 전략들을 사용하여 재미와 즐거움의 차원에서 유아들의 흥미를 심어주려 애쓰고 있음을 알수 있었다.

      • KCI등재

        유아 인권교육을 위한 고민

        권귀염(Kwon, Kyee-Yum) 경성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5 인문학논총 Vol.39 No.-

        다양한 인권적 이슈들이 부각됨에 따라 유아교육 현장에서 인권교육이 시행되고 인권 친화적 환경이 마련되어야 할 필요가 강조되고 있다. 영유아기의 발달적 특성의 측면에서도 유아인권교육은 반드시 필요하다. 그러나 유아교육 현장의 인권 상황은 긍정적이지 못하며 교사들의 인권의식 역시 부족함이 많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유아교육에서의 인권교육은 단순히 인권을 내용으로 한 프로그램 도입으로의 접근이 아니라 인권감수성을 바탕으로 한 인권의 실천, 태도, 가치 확립을 지향하는 인권을 통한 교육이 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교사들의 아동관 및 실천행위에 대한 점검과 반성, 인권적 관점에서 하루 일과를 바라보고 변화시키고자 하는 노력 등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This paper aims to explore what should be first considered for children’s human rights education. Reflecting diverse social changes and frequent child abuse accidents, it is urgent to implement human rights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and to build child-rights friendly environment. However, the conditions of early childhood institutions in terms of teacher’s and children’s human rights are not positive. Teachers’ perception on child rights is limited. In this condition, before developing and implementing human rights education programs for teachers and young children, we need to focus on establishing educational environments which teachers and children respect each others’ needs and rights. Teachers’ sensitivity to human rights is another key to successfully plant human rights education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need to make effort to examine their views on children as well as everyday practices.

      • KCI등재
      • KCI등재

        돌봄과 유아 교사 전문성

        김현미 ( Kim Hyun Mi ),권귀염 ( Kwon Kyee Yum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6 아동교육 Vol.25 No.3

        본 연구는 돌봄에 대한 정확한 개념과 오해들을 살펴보고 대상연령의 특성이라는 측면을 벗어나 보다 포괄적이고 본질적인 측면에서의 돌봄과 유아교육과의 연관성을 탐색해 보기 위해 돌봄을 교육의 본질, 포스트모더니즘의 영향, 유아기의 도덕성과 사회성이라는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또한 유아교사 전문성의 한 측면으로서 돌봄의 가치를 논하고, 귀 기울임의 습관화, 교사의 힘 내려놓기, 교육과정 재구성 전문가 되기, 교실 공동체 형성하기, 반성적 사고 지속하기를 통해 유아교사가 돌봄 실천 전문가로서 거듭날 수 있도록 구체적이고 현실적인 돌봄 실천 행위를 제언하였다. 이를 통해 돌봄이 유아교사 전문성의 일부분이라는 당위적 주장을 넘어, 돌봄의 특성을 심도 있게 이해하고 가르침과 돌봄의 이분법적 사고를 지양하는 가운데 돌봄 공동체를 추구하는 방향에 대한 논의를확대하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explores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caring as an important factor of early childhood teachers`` professionalism. Beyond children``s age-related aspect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his study discusses diverse connecting points of caring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such as the nature of education, influences from post-modernism, and the characteristics of children``s moral and social development. Revealing the values of caring, it also investigates the reasons of why caring should be an important factor of early childhood teachers`` professionalism. In the last part of this study, specific ways of nurturing caring specialt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re suggested. Although our field considers caring as a take for granted factor of early childhood teachers`` professionalism, it is necessary to deepen understanding about the characteristics of caring and to avoid the dichotomized thoughts about caring and teaching. In addition, building a caring community should be highlighted in the fiel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