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특집. 일기와 다양한 근대] : 윤치호의 "죽음"과 장례문화 인식 - 『윤치호 일기』를 중심으로 -

        ( Juljan Biontino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5 民族文化硏究 Vol.66 No.-

        윤치호(1864-1945)는 널리 알려진 역사 인물이다. 윤치호가 당시 평균보다 오래산 윤치호의 삶이 길어지면서 그는 부인 2명과 사별하였고, 많은 가족, 친척, 친구, 지인의 죽음에 대해 애통하기도 했다. 윤치호 자신이 1945년 12월 6일 뇌출혈로 인해 81년간의 삶을 마쳤을 때, 그는 조선 말기, 대한 제국의 흥망, 일제 강점기의 전부와 한반도의 광복, 해방 공간을 모두 경험하고, 약 60년에 걸쳐 이러한 경험과 자신의 내면세계까지 일기에 자세하게 수록한 인물이었다. 조선 왕족과 가까운 사이를 유지하며 명성황후의 암살과 장례식·제사를 경험하고, 고종과 순종의 죽음과 국장도 경험했고 이런 사건들에 대한 기록 역시 남겼다. 게다가, 일본 총독부의 한국 장례식, 무덤 문화에 관한 개입을 목격했고, 양화진 외국인 묘지와 기타 근대적 공동묘지에 대해도 알고 있었으며, 기타 동시대의 역사적 인물의 죽음과 장례에 대해도 언급했다. 그런 한편으로 그는 일본의 대한(對韓) 정책은 “오래 끌었던 나라의 죽음”의 원인으로 인식하며, 1901년에 “틀림없이 조선은 정치적으로, 지식적으로 완전히 죽어버렸다”라고 애통했다. 본 연구는 윤치호는 이러한 여러 가지 차원의 죽음에 대한 언급을 바탕으로, 그의 죽음과 장례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고자 한다. 그래서 필립 아리에스(Philippe Aries, 1914-1984)의 대표적 죽음 관련 연구로부터 본격적으로 진행되기 시작한 “죽음”의 역사성 연구에 공헌하려고 한다. 윤치호 일기를 통해, 조선 근대화의 갈림길에 썬 윤치호가, 커다란 시대적 변화 속에서, 삶의 끝으로 불변성 강한 “죽음”에 대해 어떻게 인식한지 알아볼 시도이다. 또한 “죽음”에 불변성이 있더라도, 장례 문화는 시대 배경에 따라 당연히 바뀔 것이다. 윤지호가 기독교와 일제 통제로 인해 바꿔가는 장례문화에 대한 인식을 추구함으로써 근대화를 늘우선한 윤치호의 조선 전통문화와의 대립에 대해도 엿 볼 수 있을 것이다. 결과적으로 보면, 윤치호가 젊은 시절부터 조선을 지옥으로 생각했음을 일기에서 알 수 있는데, 조선이 곧 지옥이라면 사후에야 갈 수 있는 하늘은 이 조선의 대안이었다. 나이 많은 윤치호 개인에게도 죽음은 곧 더 행복한 세계의 구상이었다. 서양과 달리 기독교가 지배이념이 아니었던 조선에서, 기독교는 줄곧 윤치호에게 조선의 상태를 분석하는 틀과 문명에 대한 인식적 기반을 제공했다. 윤치호가 친일적인 행동을 보이면서 백인에 대해 부정적으로 평가하고 황인의 해방을 기리던 시기에도 영어로 일기 쓰는 관습을 못했던 것처럼, 그는 기독교적 인식을 포기하지 못했고, 그의 우민관도 극복하지 못했다. Without doubt, Yun Ch``i-ho (1864-1945) is one of the most well known and controversial figures in modern Korean history. His diaries, covering a huge span of his eventful life, give witness of the thoughts and feelings of a man who struggled between Confucianism and Christianity, Korean nationalism and Japanese collaboration. When Yun himself passed away during the morning of December 6, 1945, he had not only witnessed the end of the Korean Empire and the entire colonial period, but also had parted from three wives and many other family members and friends. In this age of huge transformations in Korea, Yun was also a firsthand witness to such prominent deaths and funerals as those of Queen Min and King Kojong and personally had to struggle with the Japanese meddling to reform Korean burial practices. Although Yun``s views on death and burials can by no means be considered representative for the lot of Koreans during the colonial period, his concerns on death and burials will not only help to trace how death had an impact on his singular life and his changing attitudes. This paper also aims to provide insights into how a modern conception of death became a constant in an ever changing everyday.

      • KCI등재

        Utsunomiya Tokuma (MP, 1906-2000) and the Abduction Case of Kim Tae-jung (1973) : Pushing Toward Policy Change in Japanese-Korean Relations

        Juljan Biontino 한국일본학회 2021 日本學報 Vol.- No.127

        본 연구는 동아시아에 있어서의 냉전에 관한 개념과 그 대안을 논의할 때 우쓰노미야 토쿠마(宇都宮徳間, 1906-2000)라는 정치인의 사상과 행동을 볼 필요가 있다고 주장한다. 우쓰노미야는 한일관계가 가장 어려운 시기인 1973 년 김대중 사건 전후 당시에 핵심적인 인물이었다. 게다가 일본 자민당 속에 주류 당파를 비난한 평화주의자로 군축을 위해 활 동했지만 1992 년부터 점점 더 많이 망각된 사람이었다. 1978 년 마침내 자민당과 이당하 고 현역한 동안 자민당 비판을 끝없이 했으나 일본 민주주의의 문제점을 지적했기 때문에 오늘날 일본 정치계 입장에서도, 김대중 사건 후부터 날카롭게 대한민국 정부, 박정희정 권, 전두환정권을 비난하고 북한과의 좋은 관계 맺도록 했으니 대한민국 입장에서도 기억 하기 쉽지 않은 사람이다. 우쓰노미야 토쿠마는 3.1 운동을 진압한 조선군사령관 우쓰노미야 타로 (1861-1922)의 아들이었고 그와 정반대의 길을 나갔지만, 아버지한테 아시아주의적 사상을 받아드리고, 전후 일본의 미국, 한국과 대만을 동맹으로 한 외교정치보다 군대주의가 아닌 중국과 북 한과도 평화적, 호감적 관계를 맺도록 활동했다. 그래서 일본에 있어서 김대중의 제일 확 고한 지지자가 되었다. 이시바시 단잔 (石橋湛, 1884-1973)과 함께 소일본주의를 입각하여 1950 년대말부터 중국과의 관계 회복에 노력하여, 김대중 사건이후부터 당시 대한민국 정 권을 실망하고 대신에 북한과의 화해를 찾는 길로 나가 김일성과 회담도 6 번이나마 했다. 이처럼 활동한 우쓰노미야 토쿠마는 “양심적 일본 정치인”으로 평가되어 왔기 때문에 더욱 깊이 있는 평가가 없는 것으로 보이며 그의 사상과 행동에 대한 비평이 특히 중국 에 관련해서 늘 긍정적이다. 그의 한반도에 관련한 행동은 아직 큰 관심을 받지 못하고, 늘 긍정적으로 평가 받기 때문에 그는 망각되어 간다. 우쓰노미야의 한반도에 있어서의 의미를 고찰하고 그에 대한 더욱 포괄적인 평가가 필요한데, 본 연구는 그의 전후 동아 시아 외교정치에 있어서의 역할을 생각하는데 그 첫걸음이 되고 싶다. The present study asserts that the thinking and actions of the politician Tokuma Utsunomiya (1906-2000)is worth taking a look when discussing the Cold War in East Asia, for he worked toward an alternative diplomacy to render the Cold War meaningless in the region. Utsunomiya was a critical figure in the 1973 kidnapping of Kim Tae-jung when South Korea and Japan were in the most strained relations. Furthermore, he acted as a pacifist for disarmament and criticized the mainstream members of the Liberal Democratic Party (LDP), Japan's ruling party to which he belonged himself until 1978. From then, Utsunomiya continuously denounced the party while continuing to work actively as a politician. He fell out with South Korea, chastising the Park Chung-hee administration as well as the Chun Doo-hwan administration after the Kim Tae-jung kidnapping incident and from then attempted to build an amicable relationship with North Korea. Tokuma Utsunomiya was the son of Utsunomiya Taro (1861-1922), the then-commander of the Japanese army in Korea, who cracked down on the March 1st Movement. As son of a military man, Utsunomiya chose a completely different career than his father albeit taking in his Asianist thought. Tokuma became a devout pacifist and negated Japan's alliances with militarist countries such as South Korea and Taiwan and opted for normalization with China and North Korea. Against this backdrop, he stayed the strongest supporter of Kim Tae-jung in Japan, and in the aftermath of the kidnapping had a distinguished role in the movement to spare Kim Tae-jung from imprisonment and death sentence. “Turning to the North to help the South”, he had six meetings with Kim Il-sung to find a way to reconcile with North Korea. The fact that Tokuma Utsunomiya has been recognized as a “conscientious Japanese politician” can be attributed to the absence of an in-depth assessment. As his efforts regarding China and the Korean peninsula are yet to catch much attention and have been always positively appraised, he is being buried in oblivion. With a close look into the significance of Utsunomiya’s actions regarding the Korean peninsula along with a comprehensive evaluation of his political life, this study serves as the first step to delve into his role in diplomatic politics in the post-war era.

      • KCI등재

        南山의 二元的 神社 體制 確立: 朝鮮神宮의 建立과 京城神社의 對應

        비온티노유리안(Biontino Juljan) 역사교육연구회 2017 역사교육 Vol.144 No.-

        This study tries to show that the relationship of Shinto Shrines on Namsan in Seoul played out as a twofold shrine system. It is to be shown which changes occurred on Namsan during this process, and what this change meant to the Korean populace. In 1897, Namsan daesingung was established by settlers and was changed to Gyeongseong sinsa after Korea was put under Japanese rule. Joseon singung, a high-ranking government shrine, was inaugurated in 1925. As a reaction to this, Gyeongseong sinsa opted for expansion via satellite shrines, all being either representations of important Shinto gods, or such helpful in loyality education. In time, Namsan and its Shinto facilities became the symbol of assimilation and Hwangguk sinminhwa policies in Korea. But Gyeongseong sinsa and Joseon singung had different approaches in winning over the Koreans for the Japanese cause. Whilst Joseon singung had to rely on measures of forced attendance, Gyeongseong sinsa used its autumn festival parade to win over Koreans culturally. Thus the shrine relations worked out in a twofold system of competition and co-existence. This way, Namsan was appropriated by Japan to become a place where Korean worshippers’ identity was challenged to be aligned with the identity as Japanese.

      • KCI등재

        구미 한국사 개설서에 나타난 3 · 1운동상

        비온티노 유리안(Biontino Juljan) 역사교육연구회 2019 歷史敎育 Vol.151 No.-

        This paper is a review and analysis of descriptions of the March First Movement in Western language introductions to Korean history from the 1950s up to the 2010s, including introductions of East Asian History. Due to the fact that there is only few genuine Western research on the March First Movement, many non-Korean scholars refer to such books to learn about Korean history and the Movement in general. Also, such books are widely used as textbooks for introductory classes to Korean History at university level, especially in classes of the Korean Studies curriculum. Next to translations from mostly outdated Korean textbooks, introductions to Korean history originally written in Europe or the U.S. tend to downplay the role of the Movement. No textbook offers a really wholesome introduction to the Movement that would include all nuances of its importance or the Korean discourse on the movement over time. This is, however, not because of lacking perceptions about the Movement, but rather due to the limitations of the medium itself. Introductions to history need to be precise and all-encompassing at a handable amount of pages. This is why the March First Movement can easily be overread. At the cententary of the Movement, this gives rise to the question of how to position it properly in the entirety of Korean history.

      • KCI등재

        한말 시기 조선에서 서양인이 본 동학운동“습격자”인가 “개혁자”인가?

        비온티노 유리안(Juljan Biontino) 동학학회 2013 동학학보 Vol.0 No.28

        In Korean Historiography, the Donghak Movement remains in the center of scholarly attention, and also non-korean scholars of East Asian History have become aware of pending issues in research about Donghak. One remaining central issue is the very basic issue of how to name the movement. Was it only a rather premodern uprising, or a full-fledged peasant movement? A peasant war? Even a revolution? The question about the name is intrinsically linked to a definition of the movement’s character. What started as Jeon Bong-juns attack on the magistrate in Gobu in early January 1894 is now widely considered as the main trigger that lead to the outbreak of the First Sino-Japanese War of 1894-1895. At that time, many foreigners lived and worked in Korea, and thus first-handedly witnessed the “Donghaks“ and their movement. There is a rich body of material available by the European-American foreign “Westerner” community that lived in Korea at the time of the Donghak movement or shortly thereafter. Some of the foreigners wrote about their experiences in memoirs, letters or diaries, others published works about Korea that followed a certain scholarly standard. One the one hand, especially the missionaries in Korea, be it the Anglicans, the French Catholics, or the American Presbyterians, had a special interest in the religious character of the Donghaks. Others, be it reporters or travelers, also made up their opinion about recent events. Even though the historical source material is sparse, the foreign ministers to Seoul and their staff also had their opinions and concerns about the movement. In this paper, I used the aforementioned material to find a differentiated and encompassing Western View of the Donghak movement. As a result, it can be shown that the foreigner’s accounts share several fixed images about the “Donghaks”. Foremost, most Westerners wondered how people can be as folly to believe to be invulnerable against bullets. Still, there are ruptures in the overall picture as well – some tended to interpret the Donghaks as marauders, fanatics and rebels, while others where quite early able to see the reformist character of the movement. 본고는 동학운동이 진행되었던 당시 한반도에 살았거나 다른 일로 인해 한반도와 관계있었던 서양인의 자료를 바탕으로, 그들이 바라본 동학운동에 대한 연구이다. 서양인은 동학의 본질과 성격에 대해 어떻게 파악하였는지라는 문제의식으로, 오늘의 동학운동 명칭 이슈에 새로운 시야를 열릴 수 있는 기대로 진행되었다. 서양인의 5개 그룹은, 기자, 선교사, 학자, 외교관, 여행가로 나누어 분석해 보았다. 서양인이 커다란 움직임의 시대에 대해 잘 알아 볼 수 있는 자료를 많이 남겼음에도 불구하고 이 자료는 그동안 관심을 받지 못했다. 이러한 자료를 분석하는 과정에서 흥미로운 일화와 왜곡되지 않은 동학에 관한 언급을 찾아낼 수 있었다. 당시 선교사들은 동학에 대해 종교로써 관심이 있었다. 또 여행가로서 이사벨라 버드 비숍과 몇 명의 서양인들은 동학에 대한 소문에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해석을 하면서 동학에 대한 새로운 생각을 펼칠 수 있게 되었다.

      • KCI등재

        한말 시기 조선에서 서양인이 본 동학운동- “습격자”인가 “개혁자”인가?

        비온티노 유리안(Juljan Biontino) 동학학회 2013 동학학보 Vol.0 No.27

        In Korean Historiography, the Donghak Movement remains in the center of scholarly attention, and also non-korean scholars of East Asian History have become aware of pending issues in research about Donghak. One remaining central issue is the very basic issue of how to name the movement. Was it only a rather premodern uprising, or a full-fledged peasant movement? A peasant war? Even a revolution? The question about the name is intrinsically linked to a definition of the movement's character. What started as Jeon Bong-juns attack on the magistrate in Gobu in early January 1894 is now widely considered as the main trigger that lead to the outbreak of the First Sino-Japanese War of 1894-1895. At that time, many foreigners lived and worked in Korea, and thus first-handedly witnessed the “Donghaks“and their movement. There is a rich body of material available by the European-American foreign “Westerner” community that lived in Korea at the time of the Donghak movement or shortly thereafter. Some of the foreigners wrote about their experiences in memoirs, letters or diaries, others published works about Korea that followed a certain scholarly standard. One the one hand, especially the missionaries in Korea, be it the Anglicans, the French Catholics, or the American Presbyterians, had a special interest in the religious character of the Donghaks. Others, be it reporters or travelers, also made up their opinion about recent events. Even though the historical source material is sparse, the foreign ministers to Seoul and their staff also had their opinions and concerns about the movement. In this paper, I used the aforementioned material to find a differentiated and encompassing Western View of the Donghak movement. As a result, it can be shown that the foreigner's accounts share several fixed images about the “Donghaks”. Foremost, most Westerners wondered how people can be as folly to believe to be invulnerable against bullets. Still, there are ruptures in the overall picture as well – some tended to interpret the Donghaks as marauders, fanatics and rebels, while others where quite early able to see the reformist character of the movement. 이 글은 동학운동이 진행되었던 당시 한반도에 살았거나 다른 일로 인해 한반도와 관계가 있었던 서양인의 자료를 바탕으로, 그들이 바라본 동학운동에 대한 연구이다. 즉, 이 논문은 서양인이 동학의 본질과 성격에 대해 어떻게 인식했는지에 대한 문제의식에서, 오늘의 동학운동의 명칭이나 이슈에 대해 새로운 시야가 열릴 수있었으면 하는 바람에서 진행되었다. 당시 서양인의 5개 그룹을 기자, 선교사, 학자,외교관, 여행가로 나누어 분석해 보았다. 그동안 서양인이 당대 동학운동에 대해 커다란 움직임이었음을 잘 알 수 있는 자료를 많이 남겼음에도 불구하고 이 자료들은 주목을 받지 못했었다. 본고는 이러한 자료를 발굴하고 분석하는 과정에서 흥미로운 일화와 왜곡되지않은 동학운동에 관한 언급을 찾아낼 수 있었다. 당시 선교사들은 동학에 대해 종교로써 관심이 있었다. 또 여행가로서 이사벨라 버드 비숍과 몇 명의 서양인들은 동학운동에 대한 소문에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해석을 하면서 동학에 대한 새로운 생각을 펼쳐보인 것은 의미있는 지적이라 할 수 있다.

      • 독일(인)의 동아시아 인식

        비온티노 유리안 동의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2 인간과 문화 연구 Vol.20 No.-

        본고는 지역연구사적 문화사적 시각으로 독일(인)의 동아시아 인식을 알아보고자 하는 시도에서 비롯되었다. 동아시아의 여러 나라들과 일상적 접촉이 없는 일반 독일인이 동아시아에 대한 인식이 거의 없다는 점에서 독일의 동아시아 각국(일본, 중국, 한국과 북한)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고, 독일(인)의 동아시아 인식에 대한 연구의 역할과 한류의 영향에 대해 소개한다. The main aim of this paper is to show that despite of a lenghty history of German – East Asian relations, there is no special view on East Asia in present Germany. German perspectives on the East Asian countries, such as Japan, China, South and North Korea will be explained from a japanologist perspective and a cultural history approach. Afterwards it is shown which East Asia discourses can be found in the field of East Asian Area Studies in Germany. It is to see that these Area studies are taking the lead in forming a German perspective on East Asia. This is supplemented by an overview of how the „Korean wave“ came to Germany and which role it plays in fostering a German understanding of East Asi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