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Elderly kidney transplant recipients have favorable outcomes but increased infection-related mortality

        임정훈,Lee Ga Young,Jeon Yena,Jung Hee-Yeon,Choi Ji Young,CHO, JANG-HEE,Park Sun Hee,김용림,Kim Hyung-Kee,Huh Seung,유은상,Won Dong Il,Kim Chan-Duck 대한신장학회 2022 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Vol.41 No.3

        Background: The number of elderly patients with end-stage kidney disease has been increasing, but the outcomes of kidney transplants (KT) remain poorly understood in elderly patients. Therefore, we evaluated the clinical outcomes of elderly KT recipients and analyzed the impact of elderly donors. Methods: This retrospective cohort study included patients who underwent KT between 2000 and 2019. KT recipient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according to a combination of recipient and donor age (≥60 or <60 years); elderly recipients: old-to-old (n = 46) and young-to-old (n = 83); young recipients: old-to-young (n = 98) and young-to-young (n = 796). We compared the risks of mortality, graft failure, and acute rejection between groups using Cox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incidence of delayed graft function, graft failure, and acute rejection was not different among groups. Annual mean tacrolimus trough level was not lower in elderly recipients than young recipients during 10-year follow-up. Mortality was significantly higher in elderly recipients (p = 0.001), particularly infection-related mortality (p < 0.001). In multivariable Cox regression analysis, old-toold and young-to-old groups had increased risk of mortality (adjusted hazard ratio [aHR], 2.89; 95% confidence interval [CI], 1.14– 7.32; p = 0.03; aHR, 3.06; 95% CI, 1.51–6.20; p = 0.002). However, graft failure and acute rejection risks were not increased in elderly recipients. Conclusion: In elderly recipients, graft survival and acute rejection-free survival were not inferior to those of young recipients. However, mortality, especially risk of infection-related death, was increased in elderly recipients. Thus, low immunosuppression intensity might help decrease mortality in elderly recipients.

      • 18–30세 사이에 발생하는 뇌경색의 특징, 다기관 레지스트리 연구

        장윤경,송태진,김용재,허지회,이경열,김영은,장민욱,조수진,강석윤 이화여자대학교 의과학연구소 2017 EMJ (Ewha medical journal) Vol.40 No.3

        Objectives: Although there have been several reports that described characteristics for young age stroke, information regarding very young age (18–30 years old) has been limited. We aimed to analyze demographic factors, stroke subtype, and 3-month outcome in acute ischemic stroke patient who have relatively very young age in multicenter stroke registry. Methods: We evaluated all 122 (7.1%) consecutive acute ischemic stroke (within 7 days after symptom onset) patients aged 18 to 30 from 17,144 patients who registered in multicenter prospective stroke registry, 1997 to 2012. Etiology was classified by Trial of Org 10172 in Acute Stroke Treatment criteria. Stroke severity was defined as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Stroke Scale (NIHSS) and stroke outcome was defined by modified Rankin scale (mRS) at 3 months after index stroke. Results: The mean age of all included patients was 25.1±3.7 years and 76 patients (62.2%) were male. The median NIHSS at admission was 4. Considering stroke subtype, 37 patients (30.3%) had stroke of other determined etiology (SOD), 37 (30.3%) had undetermined negative evaluation (UN) and 31 (25.4%) had cardioembolism (CE) were frequently noted. After adjusting age, sex and variables which had P<0.1 in univariable analysis (NIHSS and stroke subtype), CE stroke subtype (odds ratio, 4.68; 95% confidence interval, 1.42–15.48; P=0.011)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poor functional outcome (mRS≥3). Conclusion: In very young age ischemic stroke patients, SOD and UN stroke subtype were most common and CE stroke subtype was independently associated with poor discharge outcome.

      • 영양표시정착화사업(Ⅱ) : 식품참고량설정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Establishement of the Reference Amount in Foods

        김대병,장영미,김인복,이혜영,장재희,김보영,이정구,김창민,정해랑 식품의약품안전청 2000 식품의약품안전청 연보 Vol.4 No.-

        본 연구는 영양표시에서 1회분량 및 영양소함량표시의 기준으로 사용되는 "식픔창고량"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므로써 합리적이고 일관성있는 영양표시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코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미국 및 캐나다를 중심으로 제외국의 현황 및 식품참고량 설정방법을 조사 ·연구 하으며 제도도입 및 개선 방안을 강구하였파. 또한, 시판 제품의 영양료시현황 및 음료류 둥의 포장단위 등을 피악하여 식품참고량설정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코자 하였다. 앞으로 국민건강 ·영양조사자료의 체계적인 통계분석, 가공식품의 섭취량조사 등을 통하여 우리나라 국민의 1인 1회 섭취량자료의 축적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roject is to study on the reference amounts customarily consumed per eating occasion to improve the nutrition labelling standards. We Performed to study on the methodology to establish the reference amounts on the basis of the review on the advanced counITy's status. And we investigated the packaged unit ofprocessed foods. Further study is needed to establlsh the customarily consumed amount per eating occasionthrough the statistical analysis of nationwide food consumption data. Our results will be helpful information to improve nutrition labelling system in Korea.

      • SCOPUSKCI등재

        Original Articles : Clinical significance of occult hepatitis B virus infection in chronic hepatitis C patients

        ( Jae Young Jang ),( Soung Won Jeong ),( Sung Ran Cheon1 ),( Sae Hwan Lee1 ),( Sang Gyune Kim ),( Young Koog Cheon ),( Young Seok Kim1 ),( Young Deok Cho1 ),( Hong Soo Kim ),( So Young Jin ),( Yun Soo 대한간학회 2011 Clinical and Molecular Hepatology(대한간학회지) Vol.17 No.3

        Background/Aims: We investigated the frequency of occult hepatitis B virus (HBV) infection in anti-hepatitis C virus (HCV)-positive individuals and the effects of occult HBV infection on the severity of liver disease. Methods: Seventy-one hepatitis B virus surface-antigen (HBsAg)-negative patients were divided according to their HBV serological status into groups A (anti-HBc positive, anti-HBs negative; n=18), B (anti-HBc positive, anti-HBs positive; n=34), and C (anti-HBc negative, anti-HBs positive/negative; n=19), and by anti-HCV positivity (anti-HCV positive; n=32 vs. anti-HCV negative; n=39). Liver biopsy samples were taken, and HBV DNA was quantified by real-time PCR. Results: Intrahepatic HBV DNA was detected in 32.4% (23/71) of the entire cohort, and HBV DNA levels were invariably low in the different groups. Occult HBV infection was detected more frequently in the anti-HBc-positive patients. Intrahepatic HBV DNA was detected in 28.1% (9/32) of the anti-HCV-positive and 35.9% (14/39) of the anti-HCV-negative subjects. The HCV genotype did not affect the detection rate of intrahepatic HBV DNA. In anti-HCV-positive cases, occult HBV infection did not affect liver disease severity. Conclusions: Low levels of intrahepatic HBV DNA were detected frequently in both HBsAg-negative and anti-HCV-positive cases. However, the frequency of occult HBV infection was not affected by the presence of hepatitis C, and occult HBV infection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disease severity of hepatitis C. (Korean J Hepatol 2011;17:206-212)

      • SCIESCOPUS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내관지압이 슬관절 전치환술 받은 노인 환자의 오심, 구토 및 통증에 미치는 효과

        유제복 ( Je Bog Yoo ),장희정 ( Hee Jung Jang ),나은희 ( Eun Hee Na ),김선영 ( Sun Young Kim ),신동수 ( Dong Soo Shin ) 경희대학교 동서의학연구소 2011 동서간호학연구지 Vol.17 No.2

        지압은 수직압, 지속압, 조화압으로 경혈을 찾은 다음 치료하는 사람의 체중을 실어서 위에서 아래로 누르는 방법으로 어깨에 불필요한 힘을 뺀 상태에서 자연스럽게 상체의 체중을 손가락에 집중을 시켜 수직으로 경혈을 보통 3-4초 정도 지속적으로 눌러 주는것을 말한다(East-west nursing research institute, 2000; Kim, 1999). 내관지압의 오심· 구토 경감 효과를 검증한 연구를 살펴보면, Alsaid 등(1997)이 수술 후 오심· 구토 감소에 효과가 있다고 보고하였고, Ming 등(2002)은 기능적 내시경 부비동 수술에 지압이 효과가 있다고 하였으며, Apfel 등(1999)은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유방암 환자에게 지압이 오심과 구토에 유의한 차이가 있다고 보고하였다. Kim. 2003). Kim (2003)의 연구결과 내관지압이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폐암 환자의 오심· 구토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 결과, 실험군에서 제2일과 3일에 오심 정도를 감소시키는 효과를 검증한 바 있다. 수술 환자의 자가 통증 조절기 사용은 최근 널리 적용되고 있는 통증완화를 위한 방법으로 자가 통증 조절기는 통증 완화를 위한 치료 효과는 높지만 오심· 구토는 대부분의 수술 후 자가 통증 조절기를 사용하는 환자들이 경험하는 심각한 불편감으로, 자가 통증조절기(PCA) 사용을 중단하게 되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Lee, 2006). 수술 후 오심, 구토는 통증보다 더욱 힘든 것으로 보고되고 있어, 이를 경감시켜 주기 위한 다양한 간호중재 전략의 개발이 요구된다Song & Shin, 1988). 본 연구는 슬관절 수술 환자의 자가 통증 조절기 사용 후 오심· 구토의 완화를 위해 내관지압을 적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함으로써 비 침습적이고 독자적인 간호중재로서 발전시키기 위해 시도되었다. 본 연구 결과에서 내관지압 제공 후 24시간에 구토영역과 오심·구토 전체 영역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이는 Lee (2008)의 중이수술 대상자에게 손목밴드 내관지압을 적용한 결과 마취 종료후 24시간에 오심· 구토의 전체영역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는 결과와 일치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오심 영역은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못하여 Kim (2003)의 연구에서 항암화학요법주기 제2일 오심불편감이 실험군과 대조군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는 결과와 일치하지 않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는 대상자의 차이에 의한 것으로 수술 환자와 항암요법대상자의 차이에서 비롯된 것으로 본다. Shin (2002)의 연구에서는 지압교육실험군에서 항암화학요법제투여 2일, 3일, 4일, 5일째 오심· 구토 정도가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내관지압 제공 후 12시간에서 유의미하게 구토영역에서 감소를 나타내기 시작하였다. 이는 대상자가 다르기 때문으로 판단되며 항암요법을 실시하고 있는 대상자보다 고관절치환술 후자가통증조절기를 보유하고 있는 대상자의 오심· 구토 정도가 상대적으로 항암 환자보다 낮은 정도이기 때문으로 본다. Lee (2002)의 연구결과 오심 정도는 제3일째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나 구토정 도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와는 차이를 나타내었다. 역시 항암요법을 받는 난소암 환자가 대상자이기 때문에 대상자의 차이로 인한 결과라고 본다. 따라서 앞으로 연구 시에는 동일대상자에 대한 반복연구가 필요함을 시사할 뿐 아니라 최초 효과발현 시기에 대해 다양한 대상자별 반복연구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 내관지압 제공 후 24시간 시점에서 두 군 간의 오심· 구토 전체 점수는 유의미하게 낮았고 특히 구토 횟수, 구토불편감, 구토 양은 통계적으로 낮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그러나 Lee (2008)의 연구에서는 마취종료 후 24시간에 오심· 구토 전체 점수에서 유의미하게 차이가 났다는 결과와는 일치하였으나 세부 하위영역에서 유의미한 영역은 차이가 있다. 즉, Lee (2008)는 특히 오심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어 본 연구결과와 일치하지는 않았다. 이는 대상자의 수술의 심각성 정도에 따라 차이를 나타낸 것으로 보인다. Shin (2002)의 연구에서 항암화학요법을 받은 위암 환자에게 내관지압이 하위영역 구토 횟수 감소에 유의한 효과를 나타냈다는 결과와는 일치하였으며 Kim 등(2007)의 연구와도 일치하였다. 이는 지압 제공 후 12시간보다는 24시간에 효과가 큰 것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지압의 효과가 축적되어 나타나는 것이라 본다. Kwon(2011)의 결과 갑상선절제술 환자에게 손목밴드를 이용한 내관지압을 적용하였을 때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오심· 구토 점수가 감소하였다는 결과가 있었고 Kim 등(2010)의 결과에서는 시간에 따라 오심감소가 유의미하게 있었으므로 앞으로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오심· 구토의 감소효과를 계속해서 연구할 필요가 있다. Aidah 등(2002)의 연구결과 24-48시간에 구토의 부작용이 가장 심하게 나타난다는 연구결과가 있었는데 이때 지압을 통해 구토영역이 유의미하게 낮은 점수를 나타낸 것은 대조군은 구토의 부작용이 지속되지만 실험군은 지압의 효과로 구토의 부작용을 최소화하였기 때문이라 볼 수 있다. 그래서 본 연구의 실험군에서도 24시간에 가장 구토영역의 유의미하게 낮은 점수를 나타낸 것으로 본다. 본 연구결과는 24시간 시점에서 집중적으로 오심· 구토를 중재할 수 있는 간호 중재의 요구도가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증거라고 본다. 그러므로 앞으로는 내관(P6)지압을 24시간 이후 48시간에도 계속 적용한 후 오심· 구토 정도를 확인하는 반복 연구가 필요하다. 내관지압의 통증감소효과에 대한 가설을 세웠으나 본 연구결과 통증에는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음을 보였다. 지압이 통증 감소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와 일치하지 않는 것을 보였다. Ju (2010)의 연구결과 경혈지압마사지가 요통 환자의 통증감소에 효과적이었다고 보고하였으나 이는 8주간의 장시간을 두고 효과를 검증한 것이었다. Shin (2004)은 자궁 적출술 환자의 통증 자가조절교육과 함께 내관지압을 실시한 실험군에서 통증감소효과가 있었다고 보고한 것과도 일치하지 않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는 본 연구에서 이미 대상자 스스로 통증치료를 위해 PCEA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통증에 대해서는 스스로 조절을 하는 부분이 더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본다. 그러나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PCEA를 착용하고 있으므로 이를 통한 통증약물 사용량을 함께 측정함으로써 통증 정도를 좀 더 정확하고 광범위하게 측정하여 통증 정도의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본다. 이상에서 논의한 바와 같이 본 연구는 수술 후 자가 통증 조절기사용 환자의 오심 및 구토, 통증 완화에 지압을 이용한 간호중재가 부분적으로 오심· 구토 감소에 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을 검증하였으므로 임상에서 내관(P6)지압을 간호중재의 하나로서 적극 활용할 것을 제안한다. Purpose: Patient-controlled epidural analgesia (PCEA) is an effective method for controlling post surgical pain. However, it is associated with adverse drug reactions such as nausea and vomiting. In this, study we tested the effects of Nei-Guan (P6) acupressure on PCEA-associated nausea, vomiting, and pain in geriatric patients after total knee replacement arthroplasty (TKRA). Methods: Ninety-nine patients who had TKRA for the first time were randomly assigned to either, experiment group (n=50) or control groups (n=49). All patients received PCEA immediately after surgery, but acupressure on Nei-Guan (P6) point was applied to experiment group only. Ten minutes of finger acupressure on Nei-Guan (P6) acupressure point was applied twice with 15 minute-interval in the experiment group. The incidence of nausea, vomiting, and retching as well as pain intensity were assessed at 12 and 24 hours after surgery. Nausea, and vomiting were assessed by Index of Nausea, Vomiting and Retching (INVR) questionnaire. Pain intensity was measured with frequency of analgesics. Results: Vomiting both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wo groups at 12 hours (t=-2.18, p=0.03) and 24 hours (t=-2.64, p=0.01) after surgery. Total scores of nausea, vomiting and retching in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control group 24hours after surgery (t=- 2.18, p=0.03). However, pain was not different between two groups. Conclusion: Nei-Guan (P6) acupressure may be considered as an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 to decrease PCEA-associated nausea and vomiting in older patients after TKRA.

      • KCI등재
      • Buffer/CoFe/Cu/Co 샌드위치 박막의 자기저항 특성

        김희중,김미양,오미영,이장로,송은영,김경민 숙명여자대학교 자연과학연구소 1996 자연과학논문집 Vol.- No.7

        DC magnetron sputtering방법으로 Corning glass 기판위에 버퍼층을 Fe와 ??로 바꾸어가면서 보자력이 다른 ??와 Co를 이용하여 buffer/CoFe(35Å)/Cu(tÅ)/Cu(35Å)의 형태로 샌드위치 박막을 제작하고 자기저항비의 버퍼층 두께 및 비자성층 Cu층 두께, 자성층 두께 의존성을 조사하였다. 자기저항비와 포화 자기장(??)은 버퍼층의 두께가 두꺼워짐에 따라 증대하다가 극대치 3%를 보인 후 완만하게 감소하였다. NiFe, Fe버퍼층을 갖는 시료를 비교한 경우, 각각 CoFe층과 Co층 사이의 결합 자기장(??)은 큰 차이가 없었으나 NiFe버퍼층을 갖는 시료가 minor자기저항 곡선의 반가폭 ??는 감소하고 자기저항(MR) slope와 관련된 field senditivity(%/Oe)는 향상되었다. Buffer(tÅ)/CoFe(35Å)/Cu(50Å)/Co(35Å) sandwiches prepared by dc magnetron sputtering on a corning glass substrate using ?? and Co possess different coercivities. Dependence of magnetoresistance on the type and thickness of buffer layer, thickness of Cu and thickness of magnetic layer in buffer/CoFe/Cu/Co sandwiches were investigated. Magnetoresistance ratio and saturation field ?? increased as the thickness of buffer layer becomes thicker, then decreased smoothly after maximum value. Improved field sensitivity was realized by the use of ?? buffer layer.

      • Highly transparent poly(glycidyl methacrylate-co-acryloisobutyl POSS) for 100 μm-thick submicron patterns with an aspect ratio over 100

        Kim, Kwanghyun,Yu, Sunyoung,Kim, Sung-Wook,Kim, Taegeon,Kim, Sang-Min,Kang, Se-Young,Han, Seung Min,Jang, Ji-Hyun The Royal Society of Chemistry 2017 Chemical communications Vol.53 No.58

        <▼1><P>This is the first report on the fabrication of defect-free submicron structures with more than 100 μm thickness and an aspect ratio over 100.</P></▼1><▼2><P>This is the first report on the fabrication of defect-free submicron structures with more than 100 μm thickness and an aspect ratio over 100. Highly transparent poly(glycidyl methacrylate-<I>co</I>-acryloisobutyl POSS) (PGP) was synthesized <I>via</I> radical polymerization.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PGP submicron structure displayed a Young's modulus of 6.09 GPa and a hardness of 0.16 GPa, 4.2 and 8 times, respectively, than those of SU8 nanopatterns. These enhancements enable the utilization of ultrathick 2D-/3D-submicron structures as an ideal platform for 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 big data storage systems, energy devices, <I>etc.</I></P></▼2>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