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경막 내 colistimethate 투여로 치료한 다제 내성 cinetobacter baumannii 뇌실염

        홍유아,유진홍,김진진,모은영,안건희,정희경,김진석,이현정,정미향,윤승배 대한감염학회 2009 감염과 화학요법 Vol.41 No.4

        Acinetobacter species is a non-fermentative aerobic gram-negative coccobacillus that is an important pathogen found in nosocomial infections. Recently, multi-drug resistant Acinetobacter baumannii (MDR-AB) infections have been increasing and pose a serious problem. Most such infections present as bacteremia, pneumonia, or a wound infection; however, CNS infections are very rare. We herein present a case of ventriculitis caused by MDR-AB in a 37-year old man after a neurosurgical intervention. The patient was successfully treated with intrathecal colistimethate.

      • KCI등재

        정신분열병에 대한 리스페리돈의 효과 및 안정성

        이민수,김용구,김영훈,연병길,오병훈,윤도준,윤진상,이철,정희연,강병조,김광수,김동언,김명정,김상훈,김희철,나철,노승호,민경준,박기창,박두병,백기청,백인호,손봉기,손진욱,양병환,양창국,우행원,이정호,이종범,이홍식,임기영,전태연,정영조,정영철,정인과,정인원,지익성,채정호,한상익,한선호,한진희,서광윤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8 신경정신의학 Vol.37 No.1

        연구목적 : 본 시험의 목적은 임상시험 시작전에 연구자들을 대상으로 PANSS Workshop을 통하여 PANSS, ESRS에 대한 국내에서의 표준화 작업을 구축하고 새로운 정신병 치료제인 리스페리돈의 효과와 안정성을 재확인하여 리스페리돈 사용에 대한 적정화를 이루는데 있다. 연구방법 : 1996년 4월부터 1996년 9월까지 국내 39개 대학병원 정신과에 입원중인 혹은 증상이 악화되어 입원하는 정신분열병 환자 377명을 대상으로 다시설 개방 연구를 시행하였다. 1주일간의 약물 배설기간을 가진후, 리스페리돈을 8주간 투여하였고, 기준점, 1주, 2주, 4주, 그리고 8주후에 평가되었다. 용량은 제1일에는 리스페리돈 1mg씩 1일 2회, 제2일에는 2mg씩 1일 2회, 제3∼7일에는 3mg씩 1일 2회 투여하였다. 이후 환자의 임상상태에 따라 임의로 증량할 수 있으며, 최대 일일 16mg을 초과하지 않도록 하였다. 추체외로 증상을 조절하기 위한 투약을 허용하였다. 임상증상 및 부작용의 평가는 PANSS(Positive and Negative Syndrome Scale), CGI(Clinical Global Impression) 그리고 ESRS(Extrapyramidal Symptom Rating Scale)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 377명중 343명(91%)이 8주간의 연구를 완결하였다. 치료 종결시점인 8주후 PANSS 총점수가 20% 이상 호전된 경우를 약물 반응군으로 정의할때, 약물반응군은 81.3%였다. 리스페리돈에 반응하는 예측인자로는 발병연령, 이전의 입원 횟수, 유병기간이 관련 있었다. 리스페리돈은 1주후부터 PANSS양성, 음성, 및 일반정신병리 점수상에 유의한 호전을 보여 효과가 빨랐다. CGI의 경우도 기준점에 비해 1주후부터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ESRS의 경우, 파킨슨 평가점수는 기준점과 비교해 투여 1주, 2주, 4주후 유의하게 증가되었다가 8주후 기준점과 차이가 없었다. Dystonia 평가점수는 1주후만 유의한 증가를 보였으며, dyskinesia 평가점수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혈압, 맥박수의 생명징후 및 일반 혈액학 검사, 생화학적 검사, 심전도 검사에서 유의한 변화는 없었다. 결 론 : 이상의 다시설 개방 임상 연구를 통해 리스페리돈은 정신분열병 환자에서 양성증상뿐만 아니라 음성증상 및 전반적인 증상에도 효과적인 것으로 사료된다. 보다 명확한 평가를 위해서는 다른 항정신병약물과의 이중맹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며, 또한 장기적 치료에 대한 평가도 함께 이루어져야 하겠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icacy and safety of risperidone in the treatment of Korean schizophrenic patients. Method : This multicenter open study included 377 schizophrenic patients drawn from 39 university hospitals. After a wash-out period of 1 week, the schizophrenic patients were treated with risperidone for 8 weeks and evaluated at 5 points ; at baseline, and 1, 2, 4 and 8 weeks of treatment. The dose was increased from 2mg/day(1mg twice daily) to 6mg/day(3mg twice daily) during the first week and adjusted to a maximum of 16mg/day over the next 7 weeks according to the patient's clinical response. Medication to control extrapyramidal symptoms was permitted. The psychiatric and neurological status of the patients was assessed by PANSS, CGI, and ESRS scales. Results : 343(91%) of 377 patients completed the 8-week trial period. Clinical improvement, as defined by a 20% or more reduction in total PANSS score at end point, was shown by 81.3% of patients. The predictors of response to risperidone were associated older age, shorter duration of illness, fewer previous hospitalization. Risperidone had rapid onset of action ; a significant decrease of the total PANSS and three PANSS factor(positive, negative, general), and CGI was already noticed at the end of first week. For the ESRS, parkinsonism rating scor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until week 4 comparing with baseline. Dystonia rating scor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until week 1, and dyskinesia rating scores were not significantly changed during the study. Laboratory parameters including vital sign, EKG, hematological, and biochemical values showed no significant changes during the trial. Conclusions : This study suggests that risperidone is generally safe and effective against both the positive and negative symptoms in our group of patients.

      • 배 유과 가공제품의 품질 특성 및 저장 중 생균수 변화

        민진홍, 현세희1, 나광출, 이종수, 김하근 배재대학교 자연과학연구소 2012 自然科學論文集 Vol.23 No.1

        To develop the functional pear fruitlet product, we prepared dried pear fruitlet and fermented pear fruitlet, respectively. Then we investigated their general characteristics, and viable cell number changes during the storage at room temperature. We also determined preference for their tastes. Dried pear fruitlet contained more ash and crude proteins as well as minerals than fermented pear fruitlet. However fermented pear fruitlet contained higher amount of edible fiber than dried pear fruitlet. Fungi were not detected from dried pear fruitlet during the storage experiment at room temperature. Numbers of bacteria from dried pear fruitlet were increased from 1.1☓105/g at the beginning to2.6☓106/g at the last day of experiment. When we determined change of fungi number during the storage of fermented pear fruitlet, we cannot detect fungi at the beginning but we detected 4.4☓102/g of fungi at the last day of storage experiment. Bacteria from fermented pear fruitlet were detected at around 1.0☓109/g during the storage periods. Preference for fermented pear fruitlet was superior to dried one.

      • KCI등재후보

        진행된 HIV 감염 환자에서 십이지장의 미란성 병변으로 발현한 Mycobacterium genavense 감염 1예

        진상만,박종선,김홍빈,오명돈,최강원,김희연,국윤호,김남중 대한감염학회 2007 감염과 화학요법 Vol.39 No.4

        Mycobacterium genauense는 최근에 알려진 미코박테륨으로서, 식욕 부진, 체중 감소, 설사, 림프절 병증 등 파종성 Myocobacterium avium-intracellulare complex 감염과 유사한 임상상을 보이며, 위장관 침범을 잘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아직 국내에서 증례는 보고된 바가 없다. 저자들은 진행된 HIV 감염 환자에서 십이지장의 미란성 병변으로 발현한 Mycobacterium genavense 감염 1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환자는 상복부 동통과 발열, 설사로 내원하였다. 십이지장의 미란성 병변에서 시행한 조직검사에서 항산균이 가득 차있는 거품세포가 관찰되었으며, 이 검체에서 16S rRNA 유전자의 중합연쇄반응 검사를 시행하여 Mycobacterium genavense를 확인하였다. Mycobacterium genavense, first identified in 1990, is known as a pathogen that mimics disseminated Myocobacterium avium-intracellulare complex (MAC) infection with particular propensity for the gastrointestinal tract. In Korea, no case with the organism has been reported. Herein we report a case of Mycobacterium genavense infection that manifested with erosive lesion of duodenum in a patient with acquired immune deficiency syndrome. The patient presented with epigastric pain and fever, diarrhea. Duodenal biopsy showed histiocytic infiltration with numerous acid-fast bacilli. Identification of the mycobacterial isolate by the polymerase chain reaction restriction analysis of 16S rRNA gene revealed Mycobacterium genavense.

      • 반복치료로 호전된 호산구성 폐렴 유사 폐흡충증 1예

        박세진,김희규,김봉준,이천우,옥철호,정만홍 고신대학교 의과대학 2010 고신대학교 의과대학 학술지 Vol.25 No.2

        우리나라에서 인기 있는 게장등의 섭취로2) 성인뿐만 아니라 소아에서도 지속적으로 보고되고 있는 폐흡충증은 다양한 임상양상을 보일 수 있다. 저자들은 방사선 소견상 만성 호산구성 폐렴과 유사하였고, 반복적인 치료로 호전된 폐흡충증 1예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Paragonimiasis mostly occurs by ingestion of raw or undercooked freshwater crabs or crayfish. Recently, re-emergence of paragonimiasis is reported because of ingestion of raw food such as freshwater fish and Gejang (marinated raw crabs). As the radiological features as well as the laboratory findings are similar to those of chronic eosinophilic pneumonia, the diagnosis of pulmonary paragonimiasis is often difficult and delayed. A 43 year-old female was visited our hospital for migrating and new developing consolidative lung lesions and peripheral blood eosinophilia. The eosinophil profile of leukocyte was 32% (absolute count 2,690 /mm3). Histologic finding was organizing pneumonia pattern with severe infiltration of eosinophils. Parasite specific antibody IgG forParagonimus westermani was positive (titer:0.61, normal range<0.20). After treatment with praziquantel (75mg/Kg once a day for 2days), the chest x-ray was clearly resolved. Follow-up study showed right pleural effusion, newly developed focal infiltration, and several nodules. After retreatment, we couldn't find any recurrent evidence.

      • 운동 유발성 횡문근 융해를 동반한 요로결석 2례

        허진,최원혁,조진혁,함영희,홍정범,정성규,김현,허동 고신대학교 의과대학 2010 고신대학교 의과대학 학술지 Vol.25 No.2

        Two men were admitted to hospital with flank pain, hematuria, which was diagnosised as ureteral stone. Elevation of 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without typical pattern of toxic hepatitis was observed. Careful history taking, several laboratory tests, abdominal and pelvis computered tomography was done. Findings from theses examinations supported the clinical diagnosis of ureteral stone complicated of exercised induced rabdomyolysis. Early recognization of rhabdomyolysis in clinical setting is important, because clinical manifestations have ranged from asymtomatic elevation of creatine kinase to acute renal failure which is a life threating medical emergency. Authors report two cases of exercised induced rhabdomyolysis initially admittied as ureteral stone managed with hydration

      • KCI등재

        삼환계 항우울제(Dothiepin)가 우울증 환자의 수면에 미치는 영향 : 수면 다원 검사에 의한 연구 A Polysomnographic Study

        홍승철,한진희,이성필,방승규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8 신경정신의학 Vol.37 No.4

        우울증환자군에서 삼환계 항우울제인 dothiepin 투여 후의 수면이 변화양성을 알아보며, 치료 후의 호전정도를 예측할 수 있는 치료 전과 치료 후의 수면변인을 조사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수면상태는 수면다원검사를 실시하여 평가하였고, 우울증상의 심각도와 임상양상의 정도는 Hamilton 우울척도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연구대상은 최소 14일 이상 약물을 투여 받지 않은 우울증 환자 16명(남자 7명, 여자 9명, 연령분포 23∼64세)으로 구성되었다. 수면다원검사는 약물을 투여하기 전과 약물투여 후 1주와 3주에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항우울제 투여 1주와 3주 후 수면 연속성은 기준수면에 비하여 총수면 시간이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수면잠재기는 단축되었으며, 수면도중 각성시간은 감소하였고, 수면효율은 증가되었다. 2) 항우울제 투여 1주와 3주 후 수면구조에서는 기준수면에 비하여 2단계 수면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3) 항우울제 투여 1주와 3주 후 급속안구운동 수면은 기준수면에 비하여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급속안구운동 수면잠재기는 증가하였다. 4) 항우울제 투여 1주 후와 3주 후의 수면을 비교시 수면잠재기가 3주에 유의하게 감소된 외에는 수면 변인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5) 우울증상의 평가를 위하여 약물투여 1주 후와 3주 후에 시행한 Hamilton 우울척도 점수는 약물투여 전에 비하여 줄어들어 우울증상이 호전됨을 나타내었다. 6) 항우울제 투여 3주 후 치료반응이 좋았던 군의 수면특징은 기준수면에서 수면도중 각성시간이 증가된 경향을 나타내었고, 약물투여 1주 후의 수면에서는 4단계 수면의 양이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볼 때, 우울증환자에서 삼환계 항우울제인 dothiepin 투여 후의 수면변화는 치료초기에 나타났다. 기준수면에서 각성기간의 증가와 1주 후의 수면에서 4단계 수면의 감소는 약물치료에 좋은 반응과 관련된 수면변인으로 생각되었다. Objectives :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1) sleep changes after antidepressant (dothiepin) treatment, and 2) sleep variables which seem to be associated with clinical response in the depressed patients. Methods : The subjects consisted of 16 patients who fullfilled the criteria for major depression by the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4th edition). Their sleep was recorded using polysomnography at the baseline and after one week and three weeks of dothiepin treatment. All subjects were further interviewed using Hamilton Rating Scale for Depression (HRSD) to rate the severity of their depression. High response to the drug was defined as a reduction of more than 50% of the HRSD score. Results :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Depressed patients after dothiepin treatment showed more total sleep time(p=0.019), shorter sleep latency(p=0.05), less awake time(p=0.033), more sleep efficiency(p=0.018), more stage 2 sleep(p=0.002), less REM time(p=0.000), and longer REM sleep latency(p=0.004) than before treatment. 2)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sleep variables between those who received 1 week and 3 weeks of dothiepin treatment except for the shortening of sleep latency after 3 weeks(p<0.05). 3) Depressive symptom scores on HRSD were reduced after 1 week and 3 weeks of dothiepin treatment as compared with the baseline. 4) High responders showed a tendency of increased wake time(p=0.054), while their stage 4 sleep decreased after 1 week of dothiepin treatment as compared with the low responders(p=0.0136). Conclusion : These results suggest that sleep of the depressed patients after dothiepin treatment tends to be normalized and sleep changes seem to appear early in the treatment phase. In addition, clinical response might be associated with greater wake time at the baseline and lesser stage 4 sleep after 1 week of dothiepin treatment.

      • KCI등재

        身體 微細畸形 및 産科的 合倂症과 精神分裂症의 家族歷

        홍경수,주연호,김용식,신철진,강웅구,이중서,정희연,주은정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6 신경정신의학 Vol.35 No.4

        저자들은 정신분열병의 일부에서는 태생기 동안 유전 외적인 환경적 요인이 크게 작용할 것이라는 가정 하에 형제 정신분열병 환자군(남 15. 여 7)과 산발성 정신분열병 환자군(남 16, 여 7) 및 정상 대조군(남 16, 여 7)을 대상으로 가족력에 따른 산과적 합병증과 신체 미세 기형을 비교하였다. 산과적 합병증은 Lewis 척도를 이용하여 연구 대상의 어머니와 면담하여 평가하였고 신체미세기형은 Waldrop 척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산과적 합병증 및 신체 미세기형과 가족력에에 따라 발병 연령 등의 임상 양상들이 차이를 보이는지 비교함으로써 정신분열병을 좀 더 동질적인 아형으로 나눌 수 있는지를 검토하였다. 1) 형제 환자군, 산발성 환자군 및 정상 대조군의 세균에서 산과적 합병증의 개개의 항목 및 전체 점수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신체 미세기형의 경우 입의 미세기 형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그 외에 각 부위별 점수 및 전체 점수에서는 세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대부분의 신체 미세기형 세부 항목 및 전체점수에서 산발성 환자군이 형제 환자군에 비해 높은 신체 미세기형의 점수를 보이는 경향이 있었다. 2) 산과적 합병증의 전체 점수와 신체 미세기형의 전체 점수 사이에 상호 연관성을 찾아볼 수 없었다. 3) 발병연령·정신병리·약물에 대한 반응·병전 기능수준·지연성 운동장애 유무 등의 임상 양상들을 비교하였을때 산발성 환자군과 형제 환자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4) 산과적 합병증 및 신체 미세기형과 임상 양상들을 비교하였을 때, 형제 환자군에서 분만시간과 회복시 전반적 기능수준간에, 산발성 환자군에서 산과적 합병증의 전체 점수와 발병 연령간에 상관관계가 있었으나 전체적으로 일관된 결과가 도출되지는 못하였다. 위와 같은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산과적 합병증이나 신체 미세기형이 정신분열병의 원인을 밝히는데 유익한 도구가 될 수는 있지만, 가족력 유무에 따라 정신분열병을 보다 동질적인 아형으로 구분하기 힘들다고 생각되었다. In order to test the hypothesis that familial schizophrenics have fewer chances of receiving organic insults during the fetal neural development than sporadic schizophrenics, the authors compared obstetric complications, minor physical anomalies, and other clinical features in sibling schizophrenics, sporadic schizophrenics and controls. Obstetric complications were evaluated by the scale of Lewis, and minor physical anomalies were measured by the Waldrop scale. Sporadic schizophrenics had a significantly higher Waldrop score for mouth than sibling schizophrenics. Although there was some tendency of higher total scores for minor physical anomalies in sporadic schizophrenics,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obstetric complications and the other minor physical anomalies among three groups.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obstetric complications and minor physical anomalies. The clinical features such as age of onset, psychopathology, response to drugs, premorbid functioning, and tardive dyskinesia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sibling and sporadic scizophrenics. In conclusion, while the obstetric complications and minor physical anomalies were suggested to be useful in the search for the cause of schizophrenia, it was difficult to categorize schizophrenics into more homogeneous groups according to family history of schizophrenia using the parameter of obstetric complications and/ or minor physical anomalies.

      • KCI등재

        정신병적 증상이 동반된 기면병 1예

        홍승철,송정민,정종현,권용실,한진희,이성필 大韓神經精神醫學會 2003 신경정신의학 Vol.42 No.5

        Narcolepsy is a sleep disorder characterized by excessive daytime sleepiness, cataplexy, sleep paralysis, hypnagogic hallucinations and disrupted nocturnal sleep. We report a patient with a diagnosis of schizophrenia who was subsequently diagnosed as narcolepsy. A case of a 22-year-old woman with concomitant narcolepsy and psychotic symptoms was discussed from a perspective of the diagnosis and therapeutic challenges, particularly on pharmcological treatment dealing with issues raised by their coexistence.

      • 장중첩증을 동반한 맹장 지방종 1예

        홍의실,나병규,김민옥,유일영,채지영,채희복,윤세진,이상전,송형근,박길선,정현용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의학연구소 2002 충남의대잡지 Vol.29 No.2

        대장 지방종은 주로 우측 결장에 호발하고 특히 회맹판 부위와 맹장 부위에 호발한다. 또한 50~60대에 빈도가 높고 증상이 있는 환자에서 장중첩증이 높게는 40~50%에서 보고되고 있어 성인 장중첩증의 원인으로 중요한 비중을 차지한다. 특히 성인 장중첩증 및 장폐쇄의 중요 원인인 악성 종양과 임상 양상이 유사하여 감별진단이 중요하다. 저자들은 반복적인 복통을 주소로 내원한 환자에서 맹장의 4×5㎝의 점막하 지방종이 말단 회장부위와 반복적인 장중첩중이 발생했던 1례를 부분 절제술로 치료하여 양호한 임상 경과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Lipomas are one of the most common benign nonepithelial tumors of the colon which are often detected incidentally by radiologic investigation or on operation. These tumors are usually without specific symptoms. Colonic lipomas occur most often in the right colon, particularly in the ileocecal valve and the cecum. Most patients are asymptomatic. but tumors larger than 2 cm tend to produce a change in bowel habit. abdominal pain. rectorrhagia and complications including luminal obstruction or intestinal intussusception. Diagnosis can be made by colonoscopy abdominal CT. MRI, or barium enema. We report a case of lipoma of the cecum that originated in the submucosa and presented as a intussusception in a 50-year-old woman with a brief review of the litera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