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Extended-C 컴파일러에서 중간 언어 TUP의 해석기 설계 및 구현

        李俊東,元裕憲 弘益大學校 科學技術硏究所 1993 科學技術硏究論文集 Vol.3 No.-

        One of the methods of compiler construction is to design an abstract machine and to implement it's interpreter which simulates the abstract machine code compiled from the source program. As using this method, you can make higher portable compiler. In this study, I designed and implemented the TUP code interpreter as a abstract machine of a intermediate language TUP. TUP code interpreter can execute the TUP code generated from front-end without making compiler's back-end. so, it doesn't need a machine dependent back-end. By using the machine-independent abstract machine, you can use the compiler abstractly without a machine dependency and it plays a part to make portability of compiler higher. Actually, TUP code interpreter implemented from MIPS RS 2000 and it moved into SUN SPARC 10. As a result, it was possible to execute TUP code interpreter without any special modification. Also, TUP code interpreter can be used as a tool to test a front-end when you develop a compiler and it has some debugging function.

      • 중간 언어 RTL의 실행 환경

        李俊東,元裕憲 弘益大學校 科學技術硏究所 1994 科學技術硏究論文集 Vol.5 No.-

        In compiler construction, an intermediate language is very important, because most of the work of the compiler is done on an intermediate representation. In this paper, we introduce intermediate language RTL and design RTL interpreter that simulates it's excution environments. The RTL is a compact language with operations so elementary that every machine has them, thus ensuring that every RTL program corresponds to some machine program. Also it works well for code optimization. It's interpreter help you understand it's operation. To enhance portability and performance of a compiler. we need more reseach of intermediate language, and the RTL is good sample for future works.

      • 합병증이 동반된 Meckel씨 게실 2례 보고

        정병욱,박동일,이준희,서정욱,원유홍,김웅,신현종,권영무 동국대학교 경주대학 1996 東國論集 Vol.15 No.-

        합병증이 동반된 Meckel씨 게실을 가진 환자의 치료에 대한 필요성은 과정이 문제이다. 하지만 우연히 만나는 게실의 처치는 논란 중이다. 부수적인 게실 절제술(incidental diverticulectomy)의 제안자는 증상이 있는 게실의 외과적 처치는 중요한 이환 및 사망률은 지적한다. 이를 반대하는 사람들은 전 생애를 통해 합병증의 위험성이 낮게 나타나므로 필요가 없다고한다. 게실의 예방적 제거는 개복술시 우연히 발견 될 때 시행한다. 이는 남아있는 게실이 나중에 합병증을 일으키는 것보다 술후 합병증의 위험성이 매우 적음을 알 수 있다. 저자들은 합병증이 동반된 Meckel씨 게실 2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더불어 보고하는 바이다. The necessity for therapy with complicated Meckel's diverticular is a matter of course.However, management of the incidentally encountered diverticulum is controversial. Proponents of incidental diverticulectomy point to the significant morbidity and mortality rates of surgical treatment of symptomatic divenicular. Other authors base their opposition to incidental diveniculectomy on the low risk of complications developing during lifetime. Prophyillctic removal of the diveniculum is indicated when it is found incidentally at laparotomy, because there are few postoperative complications and the risk exists that the remaining diverticulum may be the cause of later complication. The 2 cases of complicated Meckel's diverticulum are reported with a brief review of literature.

      • 비기능성 부신피질암 1례

        하달봉,이경섭,손형규,이준희,원유홍,김동훈,장태정 동국대학교 경주대학 1996 東國論集 Vol.15 No.-

        비기능성 부신피질암은 발생 빈도가 극히 드문 악성 종양이며, 내분비학적 임상증상이 없어 주로 복부 종물에 의해 우연히 발견된다. 그래서 대부분 종양의 크기가 거대하고 전이로 진행된 경우가 흔하며, 절제술만으로는 치유 불가능한 경우가 많아 예후가 불량한다. 최근 저자들은 약 10년간 간헐적인 좌측 측복통과 흉부 압박감으로 내원하여, 이학적 검사 및 방사선학적 검사상 복부 종물이 확인되고 생화학적 검사에서 비기능성으로 판명된 52세 남자 환자에서 근치적 신절제술을 시행하여 병리조직검사상 비기능성 부신피질암으로 진단되었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Nonfunctioning adrenocortical carcinoma is extremely rare, which is diagnosed most often in older man because of mass effect. Most tumors are discovered too late for curative resection, and advanced tumors are associated with a poor prognosis. Herein we report on a 52-year-old man with nonfunctioning adrenocortical carcinoma, treated by radical nephrectomy.

      • KCI등재후보

        호중구감소증 환자에서의 기관-기관지 아스페르길루스증 1예

        권재철,송명준,김기조,오유경,김성용,박선희,최수미,이동건,이석,신완식,김춘추 대한감염학회 2004 감염과 화학요법 Vol.36 No.1

        저자들은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 환자에서 항암치료 후 호중구감소증이 지속되는 상태에서 침습성 아스페르길루스증의 드문 형태인 치명적인 아스페르길루스 기관기관지염을 경험하고 문헌고찰과 함께 증례를 보고하는 바이다. Tracheobronchial aspergillosis is an uncommon clinical form of invasive aspergillosis, particularly found in patients with AIDS and in lung transplant recipients than in other immunocompromised patients. The rapidity of the disease progression can result in fatal airway obstruction in a short period of time that the patient may need emergency tracheostomy without knowing the cause of the obstruction. We describe a case of fatal tracheobronchial aspergillosis which developed in a 43-year-old female patient with acute lymphoblastic leukemia. Dyspnea and stridor developed on the 20th day after 2nd consolidation chemotherapy, which was during the prolonged neutropenic period. Airway narrowing was observed on the computed tomograph scan of neck and emergency tracheostomy was performed. Infiltration with aspergillus hyphae was found in the tracheal ring and bronchial mucosa. Despite the use of amphotericin B, the patient died of bleeding and airway obstruction.

      • 전산유체해석을 이용한 자동차용 AQS 시스템의 유로구조 설계

        최종필,김병희,최우석,김시동,민준원,유승을 한국공작기계학회 2009 한국공작기계학회 춘계학술대회논문집 Vol.2009 No.-

        In recent years, concern among car users about air quality inside car cabins has been steadily increasing. A vehicle exhaust gases such as carbon monoxide(CO) and nitrogen oxides(NOx) entering the cabin not only reduce the quality of experience for everyone in the car, but are also harmful to the health. Therefore, an air quality sensor(AQS) system which can perform this function is issued. In this paper, the design of channel structure for automotive AQS system was studied by computational fluid dynamic analysis according to the design parameters such as the number of air inlet, membrane porosity and permeability. Form simulation results, the AQS system was developed and the performance test was conducted.

      • 쿠싱증후군 환자에서 당 대사 이상 정도에 따른 인슐린 감수성과 인슐린 저항성의 변화

        정인경,김성훈,정재훈,민용기,이명식,이문규,유형준,안규정,노정현,김동준,김광원 대한내분비학회 2003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Vol.18 No.4

        연구배경 당질 코르티코이드는 당 대사에 매우 중요한 호르몬으로 내인성 당질 코르티코이드 과다상태인 쿠싱증후군에서는 말초조직에서 인슐린 저항이 증가하고 이를 보상하고자 인슐린 분비의 증가로 고인슐린혈증이 동반된다고 보고되고 있다. 하지만 생체 내에서와 달리 시험관내에서는 췌도세포에 당질 코르티코이드를 장시간 처리하면, 인슐린 분비 및 생합성이직접적으로 억제됨이 확인된 바 있어 쿠싱증후군 환자에서 당뇨병의 원인으로는 아마도 말초조직에서 증가된 인슐린 저항성 뿐 아니라 이를 충분히 보상하지 못하는 췌장에서의 인슐린 분비 저하가 같이 동반되어있지 않을까 하는 가설을 세우게 되었고, 아직까지 당질코르티코이드가 당대사 이상을 일으키는 기전에 대해 쿠싱증후군을 당대사 정도에 따라 인슐린 감수성과 분비능을 분석한 연구는 없었기에 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삼성서울병원에서 쿠싱증후군으로 진단 받은 환자 1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에 대한 대조군으로는 쿠싱증후군 환자와 같은 성별 그리고 체질량지수를 갖은 15명의 건강한 성인을 대상으로 비교 하였다 쿠싱증후군 환자를 대상으로 경구당부하 검사를 통해 당대사 정도를 정상군, 내당능장애군, 그리고 당뇨병군으로 나눈 후 정맥 당부하 검사를 시행하여 각군의 인슐린 저항성과 인슐린 분비능의 지표를 비교하고, 수술 후 쿠싱증후군이 완치된 상태에서 수술 전후의 당대사 지표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결과: 1) 쿠싱증후군 환자 중 정상인은 20%, 내당능 장애는 27%, 그리고 당뇨병은 53%였다. 체질량지수, 나이, 그리고 발병 기간은 세 군간에 의미 있는 차이가 없었으나, 24시간 소변검사의 코르티솔 농도는 당뇨병군에서 의미있게 높았다. 2) 정맥당부하 검사 결과, 인슐린 감수성 지표인 Sl는쿠싱증추린」서 1.58±0.10[×10^(-4)(min^(-1)(μU/mL)^(-1)]로 정상 대조군의 3.37±0.49[×10^(-4)(min^(-1)(μU/mL)^(-1)]에 비해 의미있게 낮았으나(P=0.024), 쿠싱증후군 환자 중 NGT, IGT, DM 군간에 서로 통계적인 차이는 없었다. 3) SG는 정상 대조군과 쿠싱증후군 환자간에는 의미있는 차이가 없었고, 쿠싱 증후군에 있어서 당대사가 악화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의미있는 차이는 없었다. 4) 인슐린 분비능의 지표인 AIRg는 정상인에 비해 전체 쿠싱증후군 환자의 경우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의미있는 차이는 없었다. 하지만 쿠싱증후군 환자중에서 당대사 상태에 따라 NGT군은 1299 (1297∼1310)(mu/g/min ×10^(-2))로 정상 대조군(368.9±98.6[mu/g/min ×10^(-2)]) 보다도 의미있게 높았고, DM군{202.2 (91.1~371.4) [mu/g/min ×10^(-2)}은 NGT군에 비해 의미있게 낮았다(P=0.0031). 5) 15명중 현재 완치 상태에 있는 6명에 대해 수술전과 후로 비교하였다. 수술 전 당대사 상태가 1명은정상, 1명은 내당능 장애, 그리고 4명은 당뇨병이었으나 수술 후 시행한 경구 당부하 검사상 모두 정상 당대사 상태를 보였다. 6) 수술 후 완치된 환자 6명에 있어 인슐린 감수성지표인 Sl는 수술전에 중앙값이 1.22[×10^(-4)(min^(-1)(μU/mL)^(-1)]로 대조군에 비해 의미있게 감고』어 있었으나(p.0.05), 수술후 10.95 [×10^(-4)(min^(-1)(μU/mL)^(-1)]로 정상 수준으로 회복되었고(P=0.0022), 인슐린 분비능을 나타내는 AIRg [mu/g/min ×10^(-2)] 값도 정상수준으로 회복되었다. 특히 인슐린 분비능의 회복양상은 혈당농도에 따라 판이하게 나타나서, 정상과 내당능장애 상태에 있던 2명은 수술전에 1201 [mu/g/min ×10^(-2)]로 증가되어 있던 AIRg 값이 수술 후 정상 수준으로 감소하였고, 수술 전에 당뇨병 상태에 있던 4명의 경우 245.9 [mu/g/min ×10^(-2)]로 인슐린 분비능이 감고il어 있었는데 이들은 수술 후 모두 정상 수준으로 증가되었다 (P=0.0286). 결론: 쿠싱증후군 환자에서 당대사 이상은 80%로 높은 유병률을 보였다. 모든 쿠싱증후군환자에서 인슐린 감수성은 정상인에 비해 저하되어 있어 말초조직의 인슐린 저항이 선행됨을 시사하며, 인슐린 분비능은 당대사의 정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는데, 정상 당대사군에서는 인슐린의 저항성을 극복할 만큼 정상 대조군보다 더 많은 양의 인슐린 분비를 하다가 고코르티솔혈증이 심할수록 인슐린 분비능의 감소로 당뇨병으로 진행됨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런 인슐린 저항성과 인슐린 분비장애는 수술 후 다시 회복되는 가역적인변화를 보였다. Background: Glucocorticoid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control of carbohydrate metabolism. Patients with Cushing's syndrome have been reported to have an increased incidence of carbohydrate intolerance due to peripheral insulin resistance and hyperinsulinemia, although the exact incidence and nature of this disorder have remained unclear. Few results have been published about insulin resistance and insulin secretion according to the level of glucose concentration, or about the reversibility of such defects in patients with Cushing's syndrome. Methods: To assess the effect of glucocorticoid on the insulin sensitivity and insulin secretion in Cushing's syndrome, 15 patients with Cushing's syndrome were classified into 3 groups (normal glucose tolerance: NGT, impaired glucose tolerance: IGT, diabetes: DM) according to the degree of glucose tolerance based on the oral glucose tolerance test (OGTT). Insulin modified, frequently sampled, intravenous glucose tolerance test (FSIGT) was performed before and after curative surgery on these patients and on 15 healthy control subjects. Data were evaluated by non-parametric statistical analysis. Results: 1) Among the 15 patients with Cushing's syndrome, 3 (20%) were NGT, 4 (27%) IGT, and 8 (53%) DM, based on OGTT. Twenty-four hour urinary free cortisol (UFC)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DM group. 2) Insulin sensitivity index (SI) of Cushing's syndrome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p=0.0024), but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three Cushing's syndrome groups of NGT, IGT and DM. 3) Glucose mediated glucose disposal (SG) (Ed- confirm this abbreviation; it does not seem to match the definition) of Cushing's syndrom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of the control group. 4) Insulin secretion (AIRg) of Cushing's syndrome tended to be high, but it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of control. However, according to the level of glucose concentration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AlRg among the three Cushing's syndrome groups p=0.0031); AIRg of DM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NGT. 5) After surgical treatment, parameters of insulin sensitivity and insulin secretion were normalized in 6 cured patients; 1 with NGT, 1 with IGT, and 4 with DM, preoperatively. Median SI of all 6 patients was significantly improved up to the normal range postoperatively p=0.0022). Median AIRg of these 6 patients was balanced around that of normal control postoperatively p=0.0286). Conclusion: Eighty percent of patients with Cushing's syndrome had abnormality of carbohydrate metabolism. Insulin sensitivity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Cushing's syndrome. Insulin secre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only in the NGT and IGT groups of Cushing's syndrome. As the hypercortisolemia is exacerbated, insulin secretion is significantly decreased and causes DM, suggesting that glucocorticoid has a direct or indirect toxic effect on the pancreatic beta cell (J Kor SOC Endocrinol 18:392-403, 2003).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