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경상남도 지역아동센터의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 지원유무에 따른 급식운영 및 영양·위생관리 비교 연구

        이미숙 창원대학교 2019 국내박사

        RANK : 2943

        In this study, we tried to compare the differences on the support status of the Center for Children's Food Service Management (hereinafter refer to as “CCFSM”) by survey on the food service operation, nutrition and hygiene management of the Community Child Centers in Gyeongnam Province. At the same time, we intended to provide the results, which were obtained by comparative verification between the survey on the actual conditions and the analysis of microbiological quality and Adenosine triphosphate(ATP) test on knives, cutting boards, food trays and rubber gloves at the site, as a basis to find ways to improve food service management of the Community Child Centers. According to the survey of the Community Child Centers responding, we were able to find that overall management of food service operation, nutrition, and hygiene management were performed properly at the Community Child Centers those got supported by CCFSM than those unsupported. In addition, there was a high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hygiene areas and a high level of performance at the response areas throughout the Community Child Centers responded. The performance of nutrition management was lower than hygiene management so, to perform better nutrition management, the support for education on nutrition and training programs is required to raise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managers in the facilities. Most food service managers of the Community Child Centers considered hygiene management very important and performed it very well. In particular, in the areas related to operation such as proper operating time, fast food service and on-time meal and in all parts of the hygiene management were properly executed. Responded facilities were indicated the environmental improvement such as portion size, the comfort of a food service, pleasant dining environment, etc. and adequate facilities & equipment installation as the subjects to be solved with a priority so, the ways to support those matters should be sought.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s above, it showed the overall management of food service management, nutrition, and hygiene management is operating properly in the supported facilities and we could find that the continued support of CCFSM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Community Child Centers. Thus, we aimed to verify the hygiene level of the facilities to ensure that the hygiene management is performed properly at the site as well by conducting microbiological analysis on-site. We estimated the suitability of the on-site hygiene level of the Community Child Centers by verifying through microbiological analysis and ATP(Adenosine triphosphate) test of the food contact surfaces of the cooking tools at the facilities. To perform microbiological quality analysis of the facilities, we examined 10 of the Community Child Centers those are registered in CCFSM of Gyeongnam and allowed us to visit. On the results of this investigation, microbiological quality analysis of the food contact surfaces for knives, cutting boards, food trays was assessed as suitable all in general bacteria, E. coli/coliform bacteria and for cooking rubber gloves of 9 facilities was assessed as suitable in general bacteria and in E. coli/coliform bacteria, those were not detected. From these results, we found the hygiene management on the food contact surfaces of most of the Community Child Centers was being controlled in an appropriate level. However, the ATP test might be estimated to be relatively acceptable for knives, cutting boards, and food trays but it was estimated as unsuitable for the cooking rubber gloves which indicated that specific training such as disinfection, storage, proper replacement cycles and separate use of gloves according to its purpose should be carried out to improve hygiene of rubber gloves. As shown in the above, it was thought that the overall management of food service operation, nutrition and hygiene of the Community Child Centers supported by CCFSM was higher than those unsupported, and that it showed the support of CCFSM affected the improvement of the food management level. It was verified that the hygiene management status was appropriate from the on-site test results of hygiene management status of the food contact surfaces at 10 Community Child Centers supported by CCFSM.

      • 주민자치센터 운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서울특별시 사례를 중심으로

        이정미 서울시립대학교 2005 국내석사

        RANK : 2940

        주민자치센터는 지방적 수준에서 시민참여·주민참여의 하나로 참여민주주의를 확대하고 시민의 권능을 강화시키는 주민자치의 제도적 장치로써, 로컬거버넌스의 구심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주민자치센터의 운영성과를 평가하고 그 성과의 차이를 가져오는 원인 및 어떠한 요소가 운영성과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를 분석함으로써 보다 발전적인 주민자치센터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는 판단 하에 시작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 시점에서 주민자치센터가 도시지역을 중심으로 어느 정도 운영성과를 이루어 가고 있는지를 객관적으로 평가하고 운영성과의 변화를 유발하는 영향요인을 찾아내어 직접관련 지워봄으로써 주민자치센터의 개선방안을 나름대로 모색하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 이를 위해 주민자치센터 운영성과의 예측모형을 기본분석의 틀로 선택하여 모형에서 제시하는 영향변수들이 주민자치센터 운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한지 9개의 가설을 설정하여 검증하려고 하였다. 본 연구는 주민자치센터 운영성과의 측정변수를 '환경 및 시설요인', '프로그램운영 조직관리요인', '인적요인' 3가지를 측정변수로 선정하였으며, 하부변수로는 9개의 세부측정변수를 선정하여 각각의 측정변수 별로 설문문항을 구성하여 주민자치센터 운영성과 측정에 관한 설문조사를 리커트 7점 척도로 실시하였다. 이렇게 취득한 설문결과는 빈도분석, 신뢰성분석, 인구통계학적·사회경제학적 분석, 다중회귀분석, t검정, 분산분석 등의 기술통계적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주민자치센터 운영성과 및 영향요인을 분석하였다. 그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 될 수 있다. 첫째, 성동구, 중랑구, 강동구청에 3개의 210부씩, 총 630부를 설문응답지를 배부하여 총539부를 회수하여 응답조사 하였다. 둘째, 측정문항의 신뢰도 분석결과, 모형에 설정된 9개의 독립변수의 알파값은 모두 0.80이상이고, 3개 요인별 알파값은 0.67이상으로 측정되어 9개의 독립변수와 3개 영향요인의 내적 일관성은 대단히 높아 동일한 개념으로 측정문항의 신뢰성이 인정되었다 셋째, '환경 및 시설요인' '프로그램운영 조직관리요인', '인적요인'별 주민자치센터 운영성과에 미치는 영향력은 다중회귀분석 결과 모두 유의한 것으로 검정되어 주민자치센터 운영성과에 영향을 미친다고 보여지며, 따라서 9개의 가설은 모두 인정되었다. 넷째, '환경 및 시설요인', '프로그램운영 조직관리요인', '인적요인' 중에서는 '프로그램운영 조직관리요인'의 영향력이 가장 큰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그 다음으로는 '인적요인'의 영향력이 컸고, '시설의 이용성'은 상대적으로 영향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지역별로는 '환경 및 시설요인', '프로그램운영 조직관리요인', '인적요인'에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분석을 통해 얻은 주민자치센터 운영개선을 위한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설환경관리', '시설의 접근도', '시설설비 및 편리성'을 변수로 하는 '환경 및 시설요인'은 주민자치센터 운영성과에 영향을 미치며, 주민자치센터 시설제반 환경관리가 우수할수록 주민자치센터 운영성과에 미치는 영향력은 크다. 둘째, '행정적·재정적 지원', '프로그램운영', '운영관리'를 변수로 하는 '프로그램운영 조직관리요인'은 주민자치센터 운영성과에 영향을 미치며, 주민자치센터의 운영성과를 제고하기 위해서는 '행정적·재정적 지원'이 무엇보다 가장 중요하다는 것이 분석결과이다. 셋째, 분석결과, '주민자치위원의 역량', '직원의 전문성', '자원봉사자의 적극성'을 변수하는 '인적요인'은 주민자치센터 운영성과에 영향을 미치며, '인적요인' 중 '직원의 전문성'이 가장 영향력을 크다는 점을 고려할 때. 인적요인의 측면에서 아직까지는 주민자치위원이나 자원봉사자 보다는 전담실무자들의 적극적인 노력과 참여에 의해 주민자치센터가 이끌어져 나간다는 측면이 강한 것을 잘 알 수 있다. 넷째, '환경 및 시설요인', '프로그램운영 조직관리요인', '인적요인' 중 주민자치센터 운영성과에 미치는 영향력은 '프로그램운영 조직관리요인'이 가장 크다는 분석결과를 고려할 때, 주민자치센터 운영성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프로그램운영 조직관리요인'을 가장 효과적으로 하는 것이 적합하다고 판단된다. 다섯째, 성별·연령별 분석결과 남성보다는 여성이 81.6%로서 구성비가 높으며, 연령별로는 40대가 32.5%로 가장 많았으나, 60대 이상의 집단이 현행 주민자치센터 운영성과에 가장 긍정적인 평가를 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통해 주민자치센터를 성공적 운영과 성과를 제고하고 개선하기 위한 함의로써 다음의 정책들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첫째, 주민자치센터는 여러 다양한 계층이 이용에 편리하도록 시설 설비 및 환경관리에 최선의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둘째, 조직운영 관리측면에서 주민자치센터의 운영성과를 제고하기 위해서는 안정적이고 적정한 수준의 정부의 행정적·재정적 지원이 중요하다. 셋째, 변화하는 수요와 욕구에 따라 지역의 인구적, 공간적, 사회 문화적 특성에 따라 지역사회 네트워크를 이용한 다양하고 특화된 프로그램 운영 및 공간활용의 유연성이 확보되어져야 한다. 넷째, 주민자치위원의 민주적 선출과 , 주민자치센터 중추적인 역할자로서 각계각층의 의사를 반영할 수 있고, 지역사회의 제반 환경에 관심을 가진 영향력 있는 위원회의 구성과 적극적인 봉사를 유도하도록 하여야 한다. 다섯째, 주민자치센터 전담실무자의 인력확충과 다양한 전문교육을 통해 실무능력 및 전문성을 제고하고 향후 민간단체운동가들과 같은 전문 인력을 확보해야 한다. 여섯째, 자원봉사자의 인적확보와 교육 및 인센티브 등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시스템을 운영하여야 하며, 자원봉사자의 자발적 참여를 유도하도록 적극적인 홍보가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는 공간적 범위로 서울시를 한정하였으며, 많은 독립변수가 존재하지만 연구문제를 명확히 밝힐 수 있는 변수나 측정자료에 대한 한계가 있었음을 밝혀둔다. 앞으로의 과제는 진정한 주민자치와 로컬거버넌스의 중심체로서 주민자치센터가 어떻게 변화하여야 할지 좀 더 관심을 갖고 연구해 보아야 할 것으로 본다. 주요어 : 주민자치센터, 로컬거버넌스, 운영성과 Community centers, a form of citizen participation and resident participation from local standards, can be considered as the center of local governance as an institutional mechanism of resident autonomy that expands participatory democracy and strengthens authority of citizens. This study was conducted under the decision that a discussion regarding a more developed community center is needed through evaluation of its management results, by analyzing the effect of causes that result in differences in the results, and by determining what factors affect its management result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jectively evaluate the level of management results of community centers within the city region at this current point of time, and to find influencing factors that induce differences in management results and form a direct relationship between them, thereby determining ways for improving community centers.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a forecast model of management results of community centers was selected as the framework for basic analysis, and whether the effect of the influencing variables presented in the model on management results of community centers are significant was evaluated by using 9 hypotheses. In this study, “facility and environmental factors”, “organization administration management factors”, and “human factors” were selected as measurement variables of management results of community centers, and as sub-variables, 9 detailed measurement variables were selected after which a questionnaire study was conducted. The results were then analyz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analysis of variance to analyze manageability and influencing factors of community center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can be summarized as below. First, 21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each district office of Sungdonggu, Jungranggu, and Gangdonggu. Of the total 630 questionnaires, 539 were used for analysis. Second, reliability analysis of measurement inquiries showed a high level of internal consistency among the 9 independent variables and 3 influencing factors. Therefore, reliability of the measurement inquiries was recognized. Third, based 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effect of “facility environment factors”, “Organization administration management factors”, and “human factor” were all shown to be significant. Therefore a conclusion can be made that they affect management results of community centers, and all 9 hypotheses were proven. Fourth, among “facility and environmental factors”, “Organization administration management factors” and “human factors”,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effect of “organization administration management factors” was most significant. The next most significant was “human factors” with effect of “facility usability” being the relatively insignificant. Fifth, effect of “facility and environmental factors”, “organization administration management factors” and “human factors” did not display any regional differences.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in the spatial limits of Seoul, and although many independent variables exist, limitations in variables that can precisely reveal the research problem and also in measurement data existed. The subject of future study is to have a heightened level of interest to determine how community centers need to change as the center of local governance and as a true form resident autonomy Key Word : Community Centers, Local Governance, Performance

      • 어린이집 조직문화가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교사 학습공동체 참여 수준의 매개효과

        정수진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937

        본 연구는 어린이집 조직문화와 교사효능감, 교사 학습공동체의 경향과 교사의 일반적 배경 및 학습공동체 참여 방식에 따른 각 변인의 차이, 세 변인 간 상관 관계를 살펴보고, 어린이집 조직문화가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사 학습공동체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 경기 등에 위치한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교사 475명이다. 어린이집 조직문화를 측정하기 위해 Quinn과 Mcgrath(1985), 서인덕(1986), 이석열(1997)의 학교 조직문화 유형 도구를 바탕으로 개발한 서영란(2006)의 학교조직문화 척도를 유아교육기관에 적합하도록 수정한 박민우(2012)의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교사 학습공동체 참여 수준을 측정하기 위해 이석열(2018)이 개발하고 이윤주(2021)가 수정한 교사의 전문학습공동체 진단척도를 연구 도구로 사용하였다. 교사효능감을 측정하기 위해 Riggs와 Enochs(1990)가 개발한 교사의 과학 교수 효능감 측정도구(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Instrument: STEBI)를 신혜영(2004)이 번안 및 수정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각 측정 변인들의 기술 통계치를 산출하고, 교사의 일반적 배경 및 학습공동체 참여 방식에 따라 변인 간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ANOVA 검증을 실시하였다. 측정 변인 간의 상관관계는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을 사용해 산출하였다. 마지막으로 어린이집 조직문화가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사 학습공동체가 매개변인의 역할을 하는지 검증하기 위하여 Baron과 Kenny(1986)가 제안한 매개효과 검증 절차에 따라 3단계 매개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매개변인의 통계적 유의성을 직접적으로 검증하기 위하여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측정변인의 일반적 경향을 살펴본 결과 본 연구대상 교사는 체계적인 절차 속에서도 진취적이고 효율을 중시하며 협력이 기반이 되는 어린이집 조직문화에 대해 보통 수준보다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어린이집 조직문화 하위요인별로는 개발문화에 대한 인식이 가장 높았으며 위계문화, 합리문화, 집단문화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사 학습공동체 참여 수준과 교사효능감에 대한 인식 역시 보통보다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의 일반적 배경, 교사 학습공동체 참여 방식에 따른 측정 변인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어린이집 조직문화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교사효능감은 교사의 경력, 기관 유형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는데, 7년 이상의 경력을 가지거나 직장 어린이집에 다닐 때 교사효능감을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 학습공동체 참여 수준은 35세 이상에서 40세 미만의 연령이거나 2, 3년제 전문대학을 졸업하고 직장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교사일 때와 원내 참여 방식으로 교사 학습공동체에 참여한 경우 높게 나타났다. 셋째, 어린이집 조직문화, 교사 학습공동체 참여 수준, 교사효능감 간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 어린이집 조직문화, 교사 학습공동체 참여 수준, 교사효능감의 세 변인 모두 전체와 하위요인 간 정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넷째, 어린이집 조직문화가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사 학습공동체 참여 수준이 부분 매개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교사가 자기 개발과 구성원 간의 협력을 중시하고 체계적이고 효율성을 강조하는 어린이집의 조직문화를 높이 인식하고 있을수록 교사 학습공동체 참여 수준이 높아지고 이는 교사효능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결론적으로, 어린이집 조직문화는 교사효능감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교사 학습공동체의 매개역할을 통해서 교사효능감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교사효능감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어린이집은 교사의 혁신성과 도전을 지원하고 구성원 간의 신뢰를 바탕으로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업무처리 방식을 형성해야 하며, 더불어 교사 학습공동체의 참여 수준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 This study would examine the tendencies of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daycare centers, teacher efficacy, and teacher learning community, the differences among variables, and correlations among the three variables according to the general background of teachers and their participation method in teacher learning community and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teacher learning community in the impact of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daycare centers on teacher efficacy. The research subjects are 475 teachers working at daycare centers. To measure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daycare centers, this study employed measurement ‘s tool by Park (2012) that modified School Organizational Culture Scale (Seo, 2006)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which was developed based on the School Organizational Culture Type Tools by Quinn & Mcgrath (1985), Seo (1986), and Lee (1997) and employed the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PLC) Scale for teachers developed by Lee (2018) and modified by Lee (2021) as a research tool to measure teachers’ participation level in teacher learning community. This study employed the tool adapted and modified by Shin (2004) based on the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Instrument(STEBI) developed by Riggs & Enochs(1990) to measure teacher efficacy. With the collected data, the descriptive statistics of each measurement variable were drawn out, and an ANOVA test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differences among the variables according to the general background of teachers and the method of their participation in a teacher learning community. The correlations among the measurement variables were calculated, using Pearson’s product-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 Lastly, to check if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would serve as a mediator in the impact of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daycare centers on teacher efficacy, a three-step mediation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according to procedures for testing the mediating effect proposed by Baron & Kenny(1986), and a Sobel test was conducted to directly test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mediator variabl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general trend of measurement variables, the teachers of this study emphasized self-development and cooperation among members and perceived the systematic and efficient organizational culture of daycare centers higher than usual.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general trend of measurement variables, the teachers of this study valued enterprise, efficiency, and perceived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daycare centers on which cooperation was based higher than usual even in the systematic procedure. By sub-factors of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daycare centers, the perception of developmental culture was the highest, followed by hierarchical culture, rational culture, and group culture. In addition, the teachers’ participation level in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and awareness of teacher efficacy were also higher than the average. Second, as a result of an examination of the differences in the measurement variables according to the general background of teachers and the method of their participation in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daycare center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acher efficacy according to the teacher’s experience and institution type, and they had high awareness of teacher efficacy when they had more than seven years of experience or were working at a workplace daycare center. Teachers’ participation level in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was high when the teachers were over 35 and under 40, or graduated from college and were working at a workplace daycare center, and when they participated in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by participation in the institution. Third, as a result of an analysis of the correlations among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daycare centers, teachers’ participation level in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and teacher efficacy, all three variables, including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daycare centers, teachers’ participation level in teacher learning community, and teacher efficacy had positively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the whole and the sub-factors. Fourth, in the impact of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daycare centers on teacher efficacy, teachers’ participation level in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other words, the higher the teacher perceives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daycare centers that values self-development and cooperation among members and emphasizes systematic and efficiency, the higher the level of participation in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which means that teacher efficacy can be improved. In conclusion,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daycare centers directly affects teacher efficacy and indirectly affects teacher efficacy through the mediating role of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teacher efficacy, daycare centers should support teachers' innovation and challenges, form systematic and efficient work handling methods based on trust among members, and increase the level of participation of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 지역아동센터 아동이 인식한 서비스 도움정도가 센터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종단 연구

        김민영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923

        his thesis conducted a longitudinal study on influence of service care recognized by children at community child center on center satisfaction. Beginning as after-school study room, community child center is the representative child welfare facilities used by about 100,000 children at the moment but it is pointed out that the centers have poor service level comparing to their sizes in spite of advantage of easy use by children because the facilities are located throughout areas. Meantime, according to increasing necessity of protecting children after school, respective departments provide varied care service. In the flow of competition and cooperation with other services, it is necessary to raise service level in order for community child centers to be continuously operated. It is required that service evaluation has to take precedence in order to improve service level of community child centers. User's satisfaction is one of representative criteria to measure service quality, and this study investigated influence on service satisfaction out of influential factors on satisfaction from the aspect of program evaluation. To this end, the study utilized 3 years panel data of children using community child centers in 2016 and the subjects were 760 children of the 4th grade elementary school based on the 1st year. In order to verify influence between service care degree of community child centers and center satisfaction panel,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with application of random effects model. Major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general characteristics of research subjects showed that rate of women was a little higher and that near poverty groups were the most as for domestic economy level. Second, service care level from the aspect of emotional support gradually increased according to flow of time and service care level from the aspect of protection was generally measured higher than other items. Third, it was found that center satisfaction was improved if service care level recognized by children at community child centers became higher according to flow of time. Also, according to confirmation results on influence of care degree on center satisfaction as per service item, it was found that center satisfaction increased if care level of protection service and emotional service was higher. On the other hand, care degree of service connected to education, culture and community did not have significant center satisfaction. Fourth, as for influence of other variables on center satisfaction, center satisfaction was higher in women and long-term use period. On the other hand, it was found that school credit or domestic economy level did not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center satisfaction. Based on the above results, a proposal was suggested to get qualitative improvement of service at community child centers. In order to raise users satisfaction level, it is necessary for a community child center to more strengthen case management such as consultation about children and family-based intervention and to concentrate on support to daily life of children. For this, it is required to render more support of manpower and budget, to reflect desire and necessity of children using the center and then, to develop a characterization model. This study has a meaning that it verified service influence on satisfaction of community child centers pursuant to program framework and it confirmed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supplied by the center and then, it provided basic data for operation direction of community child centers. 본 논문은 지역아동센터 아동이 인식한 서비스 도움정도가 센터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종단적으로 연구하였다. 지역아동센터는 방과후 공부방에서 시작되어 현재 약 10만명의 아동이 이용하는 대표적인 아동복지시설로 지역 곳곳에 위치하여 아동이 이용하기 쉽다는 이점이 있으나 규모에 비해 서비스 수준이 낮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한편 방과후 아동 보호의 필요성이 증대됨에 따라 각 부처에서는 각기 다른 돌봄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런 타 서비스와의 경쟁과 협력의 흐름 속에서 지역아동센터가 지속 운영되기 위하여 서비스 수준을 제고할 필요가 있다. 지역아동센터 서비스 질적 수준 향상을 하기 위해서는 서비스 평가가 우선되어야 한다. 이용자 만족도는 서비스 질을 측정하는 대표적인 기준 중에 하나로 본 연구에서는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중 프로그램 평가 측면에서 서비스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2016년 지역아동센터 이용아동 패널조사 3개년 자료를 활용하였고 1차년도 기준 초등학교 4학년 아동 76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지역아동센터 서비스 도움정도와 센터 만족도간의 영향력을 검증하기 위해 확률효과모형을 적용하여 패널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징은 여성의 비율이 다소 높았고 가정경제수준은 차상위 계층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서지원 측면의 서비스 도움정도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점차 상승하였으며 보호 측면 서비스 도움정도는 다른 항목들보다 전반적으로 높게 측정되었다. 셋째, 시간의 흐름에 따라 아동이 인식한 지역아동센터 서비스 도움정도가 높을수록 센터 만족도가 향상되는 결과가 나타났다. 서비스 항목별로 센터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 보호 서비스와 정서지원 서비스 도움정도가 높을수록 센터 만족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교육, 문화, 지역사회연계 측면의 서비스 도움정도는 센터 만족도에 유의하지 않았다. 넷째, 기타변수의 센터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면, 여성일수록, 센터 이용기간이 길수록 센터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반면, 학교성적, 가정 경제수준은 센터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를 토대로 지역아동센터 서비스 질적 향상을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이용자 만족도 수준을 높이기 위해서는 지역아동센터에서 센터 아동에 대한 상담이나 가족개입 등의 사례관리를 좀 더 강화하고 아동의 일상생활 지원 등에 집중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현재 인력과 예산 지원이 요구되며 더 나아가 이용아동의 욕구와 필요성을 반영하여 서비스를 지원하고 특성화 모델을 개발해야 한다. 본 연구는 지역아동센터 만족도에 대한 프로그램 영역 틀에 따른 서비스 영향력을 검증함으로써 센터에서 제공하는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확인하고 지역아동센터 운영방향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데 의의를 지닌다.

      • 자원복지(봉사)단체협의회·종합센터 기능인지에 관한 연구 : 京畿道31곳 시·군 中心으로

        정윤지 강남대학교 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923

        본 연구는 1996년 경기도용역사업에 의해 강남대학교 사회복지대학의 김영호 교수를 연구위원장으로 하는 연구팀에 의하여 "자원복지(봉사)센터 설치 및 운영에 관한 연구"를 기초로 경기도 시·군에 자원봉사센터·협의회 모형이 세워졌고 현재 운영중이다. 이러한 전개 과정 속에 31곳 시·군의 실무자들은 이 모형에 대한 기능이 실무자들에게 어떻게 이해되고 있으며 또 종합자원봉사센터로만 운영하자는 주장이 있어 실무자들의 혼선 등이 문제가 되면서 실무자들의 협의회·센터의 기능인식을 알아보고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첫째 자원봉사센터 설치 및 시행과정에서 성과중심으로 급속히 이루어져 정확한 이해 없이 시작되었다. 이것을 관할 부서에서 기초교육 및 공청회와 토론 위에 이루어졌더라면 그 기초가 튼튼했으리라 생각된다. 둘째 비전문가 및 봉사의 경험이 없는 실무자의 업무로 지역사회 자원봉사의 발전이 더디고 있다. 물론 예산이 없다는 이유로 이런 현상이 나타나지만 자원봉사센터의 발전을 기대하려면 전문적(사회복지사) 직원과 그에 상응하는 처우부터 개선하여 활성화를 가져오게 해야 한다. 셋째 31곳 시·군 중 시·군 직영체제로 활동하는 센터는 협의회 구성을 번거로워 하고 있다. 사회단체 지원법 통과이후 많은 단체들이 신고에 의해 등록이 되고 또한 프로그램을 공모 출품하여 지원을 받을 수 있는 새로운 길이 열렸다. 수많은 NGO, NPO등의 단체를 연계할 수 있는 전문매개체로서의 역할은 복지(봉사)센터가 해야하며 단체를 규합할 수 있는 힘이 협의회인 것이다. 일본의 예를 보더라도 협의회는 기본이며 협의회 기능이 전문분과별로 나뉘어져 그 영역이 확대되고 있다. 우리의 시작은 모든 단체 구분 없이 규합하고 있지만 반드시 전문분야별로 협의회가 구성되고 그 협의체가 그 지역사회 전체 협의회에 회원으로서 조직적이고 체계적인, 전문적인 자원복지(봉사)의 발전을 이루는 것이다. 물론 센터·협의회 운영가운데 역할의 중복, 기능발휘의 걸림돌, 책임권한 소재 불분명 등의 이유는 철저하게 규명해야한다. 덧붙여 협의회가 운영하는 센터의 모델에 대해 거부반응이 있는 이유로 두 가지 점을 유의할 필요가 있다. 하나는 자원봉사단체의 성격에 관한 논란이 계속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고 다른 하나는 개인 자원봉사자의 증가 추세와 관련된 점이다. 넷째 이 조사를 통해서 심도 있는 자원복지(봉사)철학 교육의 필요성과 협의회를 구성하는데 있어서 지역사회의 상황을 개관적으로 파악하는 것은 중요한 관건이다. 31곳 시·군의 경우 도시형, 농가형, 도시·농가형등 다양한 환경에 그 처한 위치가 다 다르다. 그러므로 각 지역사회는 자원복지(봉사)의 철학을 이해하여 모든 사람들이 참여할 수 있는 토대로 그 기초를 다져나가야 할 것이다.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based on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Volunteer Community Center" by the research team with Professor Young-Ho Kim, Social Welfare College, Kangnam University as chairman requ ested according to the Kyonggi Province Service Project in 1996. Thereafter, models of volunteer community center and council have been established and in operation in cities and guns of Kyonggi Province. So this study is to find the understanding of workers about the models in 31 places of cities and guns of Kyonggi Province, to investigate the recognition of workers about the function of the center and council of volunteer organizations and to offer measures to solve related problems since problems such as confusion among workers have occurred owing to assertions that the centers should be operated as general volunteer community centers. First,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the volunteer community centers started without the accurate understanding of workers about the centers because this project was carried out rapidly only by focus on achievements. If this project had been carried out based on the basic education, public hearings and discussions about the center, its foundation would have been strong. Second, the development of the community volunteer service is slow because of the service of non-experts or inexperienced workers. Of course, this phenomenon blames the lack of budget, but the development of the volunteer center needs the specialized workers(Authorized Social Welfare Administrators) and proper treatments to them for its activation. Third, the centers, which are directly operated by city or gun, are reluctant to the establishment of council. After Social Association Support law was in enforcement, lots of organizations registered for this purpose, and a new way is opened to the support through the recruiting and submitting of programs. The volunteer community center should play a role of special medium to link with other numerous organizations such as NGO and NPO. The strength to consolidate such organizations is the council. Take, for instance, Japan. In Japan the council is basic. The function of council is divided into special sections and its area is being expanded. We started including all organizations, but the coucil must be composed by special area and make systematic and organized development of volunteer welfare(service) as a member of all organizations in the community. Of course, the role overlapping, hinderance to function and inconspicuous obligation and responsibility of the center and the association should be thoroughly clarified. In addition, this study draws attention to two reasons why there are rejecting reactions to the model of the center operated by the council: One is the continuation of controversy over the nature of the volunteer community center, and the other is the increase of individual volunteers. Fourth, this study had found that in-depth education about volunteer welfare(service) is needed and that the objective understanding of the condition of community is the key to the establishment of the council of volunteer organizations. As regards 31 cities and guns of Kyonggi Province, their positions are various such as urban type, rural type and urban-rural type. Therefore, each community should understand the philosophy of volunteer welfare(service) and solidify its foundation so that all people participate in its activities.

      • Effects of Multidisciplinary Health Promotion Program on Health Behaviors and Dietary Quality among Children in Community Childcare Center

        김예린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911

        최근 조손가정, 다문화가정, 한부모 가정 등과 같은 경제적 취약 계층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이 계층의 소아청소년은 가정에서의 보호 및 지도보다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여 이를 해결하는 경우가 많다. 지역아동센터는 소아청소년기에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신체적, 정신적 발달에 도움을 주고자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고 알려져 있으나 지역아동센터의 상황 상 프로그램의 자율적인 선택이나 지속적인 운영이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지역아동센터에서 진행되는 프로그램은 대부분 학습지도에 초점이 맞춰져 있어 이들 기관을 이용하는 소아청소년의 신체적, 정신적 발달 증진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다양화되고 전문적인 교육 및 활동 프로그램의 운영이 부족하다. 지역아동센터에서 진행된 선행연구의 대부분은 식행동 평가 등 단순 조사 위주로 이루어져 있으며 중장기적인 교육의 효과를 조사한 연구는 드문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소아청소년을 대상으로 12개월 간 영양, 운동, 심리 교육을 포함한 다학제적 교육을 진행한 후 건강 행동, 식사의 질 변화 등의 교육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경기도 일부 지역의 지역아동센터 7곳을 이용하는 소아청소년 (7-17세) 88명이 모집되었으며, 영양, 운동, 심리 각 분야의 전문가들이 지역아동센터를 직접 방문하여 12개월 간 다학제적 교육을 총 12회 진행하였다. 교육 진행 전후 신체 전반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하여 신체계측 및 생화학적 검사를 진행하였고, 섭취량, 식사의 질, 식행동 변화, 신체활동 시간, 심리정서적 요인 등을 조사하였다. 지역아동센터에서의 전반적인 교육 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그룹을 나누지 않고 교육을 진행하였으나 교육 참여율에 따른 교육의 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High participation group (HPG)와 Low participation group (LPG)으로 나누었다. 모든 분석은 SPSS 프로그램 (ver 23.0)을 이용하였다. 지역아동센터에서 12개월 간 다학제적 교육을 진행한 후 교육 참여율에 따라 대상자들의 운동과 심리 요인은 그룹 별 초기 데이터 비교 시, 각 그룹 내 교육 전후 데이터 비교 시 모두 거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하지만 영양과 관련된 섭취량, KDRI 대비 섭취율, NAR, MAR 등은 각 그룹 내 교육 전후 데이터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참여율에 따른 그룹과 교육 전후의 차이를 모두 고려하여 비교해보면, 섭취량, 열량 영양소, KDRI 대비 섭취율, NAR, MAR이 유의한 차이를 나타낸다. 본 연구를 통하여 지역아동센터에서의 다학제적 교육은 신체활동이나 심리정서적 요인보다는 영양 관련 요인의 개선에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소아청소년의 전반적인 건강증진을 위하여 다양화되고 전문화된 교육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교육 참여율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의 접근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지역아동센터 이용 소아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보다 보완된 프로그램 적용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Recently, the economically vulnerable families, such as grandparents and grandson, multicultural, and single-parent families, have steadily increased. Children and adolescents of vulnerable families often solve this problem by using community childcare centers rather than protecting and guiding them at home. Although community childcare centers are known to operate various programs to help develop various physical and mental conditions that can occur in childhood and adolescents. However, it is difficult to select or operate programs autonomously or continuously due to the situation of community childcare centers. In addition, most programs at community childcare centers focus on learning guidance, which lacks the operation of diversified and professional education and activity programs that can help promote the physical and mental development of children and adolescents using these institutions. Most of the previous studies conducted at community childcare centers are based on simple surveys such as food and behavior evaluations, and research on the effects of mid- to long-term education is rare. Therefore, this study was to identify health behaviors and dietary quality among children and adolescents who use community childcare centers and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multidisciplinary education during the 12-month by the education participation ratio. A total of 88 children and teenagers (7-17 years old) who use 7 community childcare center in some parts of Gyeonggi Province were recruited, and experts from various fields of nutrition, exercise and psychology visited the community childcare centers and conducted a total of 12 multidisciplinary education for 12 months. The anthropometric and biochemical measurements were conducted to examine changes in the overall body, and the amount of intake, dietary quality, dietary behavior, physical activity time, psychological and emotional factors were investigated pre and post-education. Although education was conducted without groups to look at the overall education effects of community childcare centers, it was divided into high partition ratio group (HPG) and low participation ratio group (LPG) to look at the effects of education participation ratio. All analyses used the SPSS Program (ver 23.0). After 12 months of multidisciplinary education at the community childcare centers, the subjects' exercise and psychological factors, depending on education participation ratio, showed little significant difference in both the baseline data comparison of each group, and the pre- and post-education data of each group. However, nutrition-related intake, intake rate versus KDRI, NAR and MAR were able to identify significant differences in pre- and post-education data within each group. In addition, considering the differences between groups according to the participation rate and before and after training, the intake rate, NAR and MARs compared to the intake amount, calorific nutrient, and KDRI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Through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multidisciplinary education at community childcare centers affects the improvement of nutrition-related factors rather than physical activity or psychological emotional factors. Therefore, diverse and specialized education is required for the overall health promotion of children and adolescents using community childcare centers, as well as access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the education participation ratio.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believed that a more complimentary program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using community childcare centers will be needed.

      • 농촌지역 커뮤니티시설의 최적 규모 설정을 위한 요인 분석

        황성기 충북대학교 2018 국내박사

        RANK : 2911

        To analyze main factors of size planning of community facilities that were created as part of development of a rural area, the present condition of factors deciding size of community facilities was analyzed, factors that influence size planning by the type of community facility were drawn with Delphi anaysis, and major factors for optimum size planning were checked with ANP analysis. 1.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present condition of size planning factors of community facilities show that facilities have been generally planned as multi-purpose and multi-functional facilities. And on the basis of the purpose of facilities, their functions and organization, and their operation programs, facilities are classified into residential community-centered, agritourism- centered, and residential community/agritourism-combined ones. 2. The method of size planning of community facilities has not been established. Therefore, every size planning has used different size calculation methods and factors. And in case of using direct calculation formula, a calculation method based on the area of a community hall has been used without considering its type. 3. Using Delphi analysis, major factors that could affect size planning of community facilities were drawn on 26 residential community-centered facilities, 28 agritourism-centered facilities, and 30 residential community/agritourism -combined facilities. And the factors tended not to be applied well for size planning of community facilities. 4. The Delphi analysis show that the most influential factors for residential community-centered facilities were local residents’ opinions and planned budgets (project costs). As for agritourism-centered and residential community/ agritourism-combined facilitie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was planned budgets (project cost). 5.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NP analysis, the most important thing for optimum size planning of residential community-centered facilities was to check village population and the number of households (utilization ratio). And as for agritourism-centered facilities and residential community/agritourism-combined facilities, consideration of local residents’ will of participation was most important. 6. When planning size of community facilities, the influential level of the factors were different by the purpose of facilities, their space organization and functions, and their operation programs, and etc. Nevertheles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was planned budgets (project costs) at every facility. Therefore, optimum size planning was a try to match limited conditions such as planned budgets, rather than applying various factors. 7. Major factors and their importance for optimum size planning could be different by the purpose of facilities, their space organization and functions, their operation programs, and etc. 8. Proposed a model that can be applied in the planning of community facility scale, and developed and applied an evaluation model.

      • 주민센터 설계공모 기획단계의 사용자 참여설계 정착에 관한 연구- 공공건축 사용자 참여설계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

        이병희 연세대학교 공학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911

        Community centers function as fundamental administrative institutions located in close proximity to the local community, serving as representative public spaces that contribute to the administrative convenience of residents and the formation of a community. According to the definition of public space, the community center requires a philosophy and values that emphasize publicness in a changing society, focusing on welfare and the enhancement of administrative services, as well as contributions to the formation of a resident community. Typically, the establishment of community centers involves a collaborative process during the planning stage, including design competitions and pre-competition project plans. At this stage, various institutional devices ensure the participation of users in the planning phase. Despite its importance and necessity, tracing the implementation of the planning process and user participation in past design competition cases for community centers is a challenging task. This study aimed to derive factors that activate user participation design based on precedents that introduced user participation design to create a public architecture environment from the consumer's perspective. The study analyzed the current status of community center design competitions and proposed improvement measures applicable to the planning stage. The study focused on the analysis of the performance of design competition planning tasks made mandatory by the "Architectural Service Industry Promotion Act" amendment starting from December 19, 2019, targeting Seoul community centers. To identify factors that activate user participation design, the study analyzed cases such as 'Gusan-dong Library Village,' 'Mobile Community Center Space Improvement Project,' and 'Green Smart Future School' as precedents. The analysis indicated that activating factors of user participation design for community centers include the upward opinion-gathering method of 'Gusan-dong Library Village,' the proactiveness of resident participation from planning to operation, the clear procedure establishment and sophisticated performance management through the presentation of manuals and guidelines in the 'Mobile Community Center Space Improvement Project,' and the cultivation of planning experts and high user participation rates in 'Green Smart Future School.' Based on these identified factors, the study suggests ways to apply them to enhance user participation design. Firstly, this study proposes improvements in the laws and regulations related to design competitions and planning tasks. The current guidelines, such as the "Architectural Planning Task Guidelines," "Pre-review Task Guidelines for Public Architecture Project Plans," "Guidelines for the Operation of Architectural Design Competitions," and "Guidelines for the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of Design, Basic Design, etc.," under the "Architectural Service Industry Promotion Act Enforcement Decree," have ambiguous content related to planning, user participation, etc. The study recommends direct and clear improvements to these regulations. Secondly, this study suggests creating an environment conducive to user participation. This includes improving the awareness and capabilities of those responsible for planning tasks, strengthening capacity, and obligating private sector experts. Additionally, this study proposes the expansion of operations of local public architecture support centers, enhancing user capabilities through the uniqueness of community center spaces, considering the convenience of user participation in a smart mobile environment, providing incentives for participating users, and introducing a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through post-project monitoring.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erms of its emphasis on practical alternatives through empirical analysis, focusing on ways to establish user participation design in the planning stage of community center design competitions. Even though there are needs for subsequent research in areas not covered in this paper, such as the establishment of detailed evaluation indicators for performance management and criteria for training public architecture planning experts, this study has an importance that suggests specific answers for accommodating user participation in the establishment of community centers. As a result, this study aims to further research studies about community centers in terms of user participation. 오늘날 주민센터는 지역사회의 근거리에 위치한 기초 행정기관이자 공동체 공간으로써 주민의 행정 편의와 공동체 형성에 기여하는 대표적인 공공공간으로 기능하고 있다. 공공공간의 정의에 따르면 주민센터는 복지 및 행정서비스 향상, 주민 공동체 형성에 대한 기여 등 변화하는 사회에서의 공공성과 주민 요구의 충족이라는 철학과 가치를 필요로 한다. 일반적으로 주민센터 공간의 조성은 설계공모와 설계공모 이전의 사업계획을 통해 기획단계라는 협업과정을 거치며, 이 단계에서는 여러 제도적 장치를 통해 기획 단계의 사용자의 참여가 보장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주민센터 건립 과정에서 사용차 참여의 중요성 및 필요성에도 불구하고 과거 주민센터의 설계공모 사례에서 기획 절차의 이행과 이에 따른 사용자 참여의 흔적을 찾아보기란 매우 어려운 현실이다. 본 연구에서는 수요자 관점의 공공건축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사용자 참여설계를 도입한 선행 사례에서 사용자 참여설계 활성화 요인을 도출하고, 주민센터 설계공모의 현황을 분석해 기획단계에 적용할 수 있는 개선방안을 제시했다. 연구의 대상은「건축서비스산업 진흥법」개정에 따라 2019년 12월 19일부터 의무화된 설계공모 기획업무의 수행 현황에 대해 서울시 주민센터를 대상으로 분석했으며, 사용자 참여설계 활성화 요인을 도출하기 위해 ‘구산동도서관마을’, ‘찾아가는 동주민센터 공간개선사업’, ‘그린스마트 미래학교’ 사례를 선례로 분석했다. 분석 결과, ‘구산동도서관마을’의 상향식 의견수렴 방식과 기획부터 운영에 이르는 주민 참여의 적극성, ‘찾아가는 동주민센터 공간개선사업’의 매뉴얼과 가이드라인 제시를 통한 명확한 절차 수립과 고도화된 성과관리, ‘그린스마트 미래학교’의 기획 전문가 양성과 사용자의 높은 참여율이 주민센터를 비롯한 공공건축이 추구해야 할 사용자 참여설계 활성화 요인으로 도출됐다. 이를 바탕으로 도출된 활성화 요인의 적용 방안을 제언한다. 첫 번째, 설계공모와 기획업무 관련 법 제도의 개선이다. 현재 「건축기획 업무 수행지침」,「공공건축 사업계획서 사전검토 업무지침」,「건축 설계공모 운영지침」,「설계공모, 기본설계 등의 시행 및 설계의 경제성 등 검토에 관한 지침」,「건축서비스산업 진흥법 시행령」의 기획, 사용자 참여 등에 대한 모호한 내용의 관련 규정을 직접적이고 명확한 요구의 개선안으로 제언했한다. 두 번째, 사용자의 참여환경을 조성하는 방안이다. 기획 업무에 대한 업무 담당자의 인식개선, 역량강화, 민간전문가 용역발주 의무화를 제언한다. 또한 지역 공공건축 지원센터의 확대 운영, 주민센터 공간의 특수성을 활용한 사용자 역량 강화와 스마트 모바일 환경을 활용한 사용자 참여 편의성 고려, 참여 사용자에 대한 인센티브 부여 제도, 그리고 사업 완료 후 모니터링을 통한 성과관리 체계 도입을 제언한다. 본 연구는 주민센터 설계공모의 기획 단계에서 사용자 참여설계가 정착될 수 있는 방안에 중점을 두고 실증적 분석을 통해 현실적인 대안을 제시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향후 본 논문에서 다루지 못한 성과관리 측면에서의 세부 평가지표 수립 및 공공건축 기획 전문가 양성 운영기준 마련과 같은 실질적인 방안에 대한 후속 연구의 필요성이 있으며, 본 연구가 후속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되는 것을 목적하는 바이다.

      • (An) analysis on difference of community attachment based on resident's urban entertainment center use : focused on Yeongdeungpo-gu residents using Times Square

        이희준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2017 국내석사

        RANK : 2911

        Recently in the Urban Planning field, studies have pointed that community attachment of residents can effect private participation, resident participation and lead to active community. As a result, many studies are attempting to find the factors affecting community attachment. While studies about community attachment were more active in the field of culture and tourism,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urban entertainment center as an influence factor of community attachment in the urban planning field.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difference of community attachment based on urban entertainment use pattern and residential distance.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resident's use pattern of Urban Entertainment Center, such as use frequency, use time, amount of consumption, visiting companion, and the residential distance from Urban Entertainment Center’s effect on the resident's community attachment. Thus, a survey on Times Square use pattern and community attachment was conducted on the residents of Yeongdeungpo-gu to analyze the difference of community attachment of each group. This research has it’s state of purpose on analyzing the difference of community attachment of the residents according to urban entertainment center use pattern and residential distance. For the method of the study, a theoretical study on community attachment influence factors and urban entertainment center use pattern were carried out to extract the elements and measurement scales of each factors, followed by actual survey on the residents of Yeongdeungpo-gu residents for statistical analysis. The study area was selected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Times Square, a representative urban entertainment center in Yeongdeungpo-gu, Seoul, to measure the difference of community attachment and urban entertainment center use pattern between residents of the two selected sites, Yeongdeungpo-dong and Daerim 2nd-dong, which has different residential distance from Times Square. The survey was conducted for 4 days during 7th to 10th of December, 2016. A total of 178 copies were collected and 9 copies were excluded due to missing information or insincere response. As a result, 169 copies were used in the analysis process. 83 copies were collected from Yeongdeungpo-dong(site A), and 86 copies from Daerim 2nd-dong(site B). Statistical analysis was processed via SPSS 23.0 statistical analysis program, and analysis of variance(t-test, one-way ANOVA), cross analysis(chi-square test), and clustering method was used to compare the community attachment and urban entertainment center use pattern of each group.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of the survey, several different patterns of community attachment and urban entertainment center use patterns were observed between the residents of two different sites. First, difference in resident’s use pattern of Times Square was observed. Clustering method was used to classify the residents into small groups regarding their use pattern of each facility. As a result, three different groups were formed, based on facility usage. Group 1 consists of 38 residents who take advantage of Times Square's shopping facilities such as clothing stores, discount stores, dining, beverage stores, therefore. was named as ‘Shopping group’. Group 2 consists of 69 residents that show low usage of every Times Square facilities, therefore, was named as ‘low-use group’. Group 3 consists of 49 residents who take advantage of Times Square's Entertainment and leisure facilities such as dining, beverage, theater, book store, therefore, was named as ‘leisure and entertainment group’. Second, difference of community attachment of residents were observed between groups of residents showing different use patterns in frequency of use, means of transportation, and use frequency of facilities. Residents showing high monthly usage frequency marked higher points on community attachment, especially on dependance and social friendship. ‘Shopping group(Group1)’ and ‘Leisure and entertainment group(group3)’, which consists of residents who have high usage of Times Square facilities, showed higher social attachment than group 2 which has low usage of Times Square facilities. Finally, social attachment and Times Square use patterns of the two sites selected according to residential distance, Yeongdeungpo-dong and Daerim 2nd-dong, showed difference. Results shows that the number of monthly visits to Times Square of Yeongdeungpo-dong residents(3.11) was approximately twice the number of monthly visits of Daerim 2-dong residents(1.67). Also, the difference of community attachment between the two site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Yeongdeungpo-dong residents showed higher community attachment than the residents of Daerim 2nd-dong. The interpretation of the statistic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number of Times Square users of both sites were 156(92.3%) out of 169. Also, The number of residents who visits Times Square more than twice in a month were 97(57.4%). Due to these results, it can be interpreted that Times Square occupies a reasonable amount of proportion in the daily lives of Yeongdeungpo-dong and Daerim 2nd-dong residents. Second,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of community attachment of residents, dependance was revealed highest among the components of community attachment. It can be interpreted that Times Square supplies various benefits to the residents of Yeongdeungpo-dong and Daerim 2nd-dong residents. Third, according to the cluster analysis result of residents by use frequency of facilities in the Times Square, the two groups that take advantage of the facilities in Times Square, ‘Shopping group(group1)’ and ‘Leisure and entertainment group(group3)’, were consisted of 87(55.7%) residents out of 156. It can be interpreted that many of the residents of Yeoungdeungpo-dong and Daerim 2nd-dong visits Times Square with a certain purpose. Also, together with the result that shows ‘dependance’ was the highest component among the community attachment of site residents, it can be inferred that Times Square is an influence factor to resident’s community attachment. Forth,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residents who visits Times square more than four times in a month showed high community attachment especially in ‘dependance’ and ‘social friendship’. It can be inferred that Time Square functions as an influence factor to ‘dependance’ and ‘social friendship’ of the residents. Also, Yeongdeungpo-dong(site A) residents showed approximately twice more number of monthly visits to Times Square than Daerim 2nd-dong(site B) residents. Yeongdeungpo-dong residents also showed higher sense of community attachment than Daerim 2nd-dong residents. It can be inferred that Urban Entertainment Center acts as an influence factor to resident’s community attachment, and it’s influence is stronger when residential distance is closer. For these reasons, it can be concluded that Urban Entertainment Center is an effective influence factor to the resident's community attachment. The limi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patial extent of the study was limited only to Yeongdeungpo-gu. Second, the influence factor of community attachment was limited to residential distance. Third, the potential influence factor was selected as urban entertainment center, which is not a generalized facility. Therefore, future studies should consider those as follows. First, the target number of urban entertainment centers should be expanded to more than two or three. Second, the spatial extent should be expanded to a range larger than ‘Gu’, which is a scale of administrative district in Korea, similar to ‘borough.’ 최근 도시계획 분야에서 거주민들의 지역사회 애착도가 지역의 민간도시사업 참여, 주민참여, 커뮤니티 활성화 등 지역사회 발전에 유의미한 영향을 준다는 연구 결과들이 밝혀지면서 지역사회 애착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지역사회 애착도에 관한 기존 연구들은 지역축제 등의 문화관광 분야에서 주로 이루어졌으나, 본 연구에서는 보다 도시계획적인 요소인 도심형 복합상업시설을 지역사회 애착도의 영향요인으로 주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도심형복합상업시설의 이용에 따른 지역사회 애착도를 분석하기 위하여 도심형 복합상업시설(Urban Entertainment Center:U.E.C)의 이용빈도, 이용시간, 지출금액, 방문행태 등의 이용행태와 도심형 복합상업시설로 부터의 거주거리 등의 거주특성에 따라 지역사회 애착도가 다를 것이라는 연구 질문에서 출발하였다. 영등포구 지역 주민들을 대상으로 도심형 복합상업시설인 타임스퀘어 이용행태와 거주 특성에 따라 지역 사회 애착도가 어떻게 다른지 분석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도심형 복합상업시설로부터의 거주거리와 이용행태에 따른 거주민들의 지역사회 애착도 차이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지역사회 애착도 영향요인, 도심형 복합상업시설 이용행태 등의 관련 연구들의 문헌고찰을 통해 분석 단위, 측정 항목 및 설문 조사 항목을 선정하였다. 공간적 범위로는 타임스퀘어가 위치한 서울특별시 영등포구로 한정하였으며, 영등포구는 2009년 개점 이후로 지금까지도 국내를 대표하는 도심형 복합상업시설인 타임스퀘어가 입지한 곳이기 때문에 조사의 대상지로 선정하였다. 영등포구 내에서 거리에 따른 이용행태와 지역사회 애착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영등포구 영등포동과 영등포구 대림2동 지역을 대상지로 선정하여 거주민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설문조사는 2016년 12월 7일부터 2016년 12월 10일 까지 총 4일간 진행하여 178부의 설문을 확보하였다. 이 과정에서 9부의 결측지를 제외하여 영등포동에서 83부, 대림2동에서 86부, 총 168부의 유효 응답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통계분석은 SPSS 23.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독립표본 t-검정, 일원표본 ANOVA분석 등의 분산분석과 카이제곱검정을 통한 교차분석과 타임스퀘어 시설의 이용빈도에 따른 집단을 나누기 위한 군집분석을 실시하여 집단 간 평균을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거주민들의 타임스퀘어 이용 행태에는 타임스퀘어를 이용하는 시설의 빈도에 따른 집단 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군집분석에 의해 타임스퀘어를 이용하는 거주민들을 3가지 군집으로 나누어짐을 확인했다. 1집단은 총 38명으로 구성된 그룹으로, 타임스퀘어의 모든 시설 이용빈도가 비교적 높으며, 특히 의류, 할인매장, 음식점, 음료매장 등 쇼핑목적이 높은 비중을 보이는 집단으로 ‘쇼핑목적군’으로 명명하였다. 2집단은 총 69명으로 구성된 그룹으로, 타임스퀘어의 모든 시설물의 이용빈도가 비교적 낮아 ‘낮은이용빈도군’으로 명명하였다. 3집단은 총 49명으로 구성된 그룹으로 타임스퀘어의 모든 시설 이용빈도가 비교적 높으며, 특히 서점, 음식점, 음료매장, 영화관 등 휴식 및 엔터테인먼트 목적이 높은 비중을 보이는 집단으로 ‘휴식 및 엔터테인먼트군’으로 명명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둘째, 거주민들의 월 평균 이용빈도, 교통수단, 주로 이용하는 시설의 이용빈도에 따라 지역사회 애착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타임스퀘어 월평균 이용빈도가 높은 집단일수록 지역사회 애착도의 하위 요인 중 의존성과 사회적 친분의 점수가 높았으며, 타임스퀘어의 전체적인 시설의 이용빈도가 비교적 높은 ‘쇼핑목적군(군집1)’과 ‘휴식 및 엔터테인먼트군(군집3)’이 타임스퀘어의 전체적인 시설의 이용빈도가 비교적 낮은 낮은 ‘낮은이용빈도군(군집2)’에 비해 지역사회 애착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타임스퀘어로부터 거주거리가 다른 두 대상지인 영등포동과 대림2동 거주민들의 타임스퀘어 이용행태와 영등포구에 대한 지역사회 애착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등포동의 거주민들이 대림2동 거주민들보다 약 2배 높은 월 평균 이용빈도를 보였으며 두 대상지간 지역사회 애착도의 차이에서는 영등포동의 거주민들의 지역사회 애착도 점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의 통계분석 결과가 의미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상지 전체 거주민 중 타임스퀘어를 이용하는 거주민은 전체 169명 중 156명(92.3%)이며, 타임스퀘어를 월 평균 2회 이상 이용하는 거주민은 전체 중 97명(57.4%)으로 나타나, 타임스퀘어는 대상지 거주민들의 삶에 큰 부분을 차지한다고 볼 수 있다. 둘째, 대상지 거주민들의 지역사회 애착도를 분석한 결과, 지역사회 애착도 하위요인 중 의존성이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낸 점으로 미루어 볼 때, 타임스퀘어는 거주민들에게 기능적 편익을 제공한다고 추론할 수 있다. 셋째, 타임스퀘어 시설의 이용빈도에 따른 군집 분석 결과 전체적인 시설의 이용빈도가 높으며 쇼핑 과 엔터테인먼트 시설의 이용빈도가 비교적 높은 ‘쇼핑목적군(1군집)’과 ‘휴식 및 엔터테인먼트군(3군집)’이 전체 156명 중 87명(55.7%)로 나타나 타임스퀘어를 이용하는 거주민들은 특정한 목적을 가지고 방문한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는 지역사회 애착도의 하위요인 중 ‘의존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며 대상지 거주민들의 지역사회 애착도 점수 중 의존성이 가장 높은 점수를 보인 결과와 함께 비추어 봤을 때, 타임스퀘어는 거주민들의 지역사회 애착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임을 추론할 수 있다. 넷째, 타임스퀘어의 월 평균 방문 빈도가 4회 이상인 거주민들은 지역사회 애착도의 하위 요인 중 의존성과 친분성에서 비교적 높은 점수를 보인 결과를 통해 추론해 볼 때, 타임스퀘어가 거주민들의 지역사회 애착도 중 의존성과 사회적 친분에 영향을 주는 요인임을 유추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타임스퀘어로부터의 거주거리가 가까운 영등포동 대상지 거주민들이 대림 2동 거주민보다 높은 타임스퀘어 이용 빈도를 보이며, 지역사회 애착도 또한 더 높게 나타난다는 점으로 미루어 볼 때, 도심형 복합상업시설인 타임스퀘어는 거주민들의 지역사회 애착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며, 거주거리가 가까울 때 그 영향이 더 크다고 해석할 수 있다. 본 연구의 한계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영등포구 만을 대상으로 한정하였다는 점이다. 둘째, 거주거리라는 한정된 요인으로 애착도를 분석하는 한계를 갖는다. 셋째, 도심형 복합상업시설이라는 일반화되지 않는 시설을 대상으로 조사하는 한계를 갖는다. 따라서, 향후연구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2~3개 이상의 도심형 복합상업시설을 대상으로 연구할 필요가 있다. 둘째, 구 단위를 넘어서 애착도의 확대성을 조사할 필요가 있다. 셋째. 변수를 확대하여 애착도의 심리적인 부분까지 연구할 필요가 있다.

      • 지역아동센터에서의 문화적 경험에 관한 연구

        김용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911

        지역아동센터는 빈곤아동에 대한 민간차원의 자생적 개입 노력의 결실인 공부방에 뿌리를 두고 있다는 점에서 지역사회의 주요 아동복지 기관으로 거듭날 수 있다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고 여겨진다. 2004년 법제화와 정부지원 이후 지역아동센터는 개소수의 증가에 있어서 빠른 성장을 보이고 있으나 취약한 재정 구조와 그에 따른 제한적인 서비스 등의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즉, 잠재력은 있으나 여전히 기능면에서 안정화 되었다고 보기는 어려운 상황인 것이다. 이러한 배경하에서 본 연구는 문화기술적 접근을 통하여 지역아동센터에서의 문화적 경험을 탐구하여, 지역아동센터 현장을 구체적으로 담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관련 선행연구의 주류가 되었던 양적연구가 아닌 질적연구인 문화기술적 접근을 취하였다. 지역아동센터에서의 문화를 탐색하고자 연구의 관심은 센터 내부로 모아졌고, 포괄적인 개념인 ‘문화’ 역시 아동, 실무자, 보호자라는 지역아동센터의 주요 구성원들의 상호작용, 그러한 상호작용에 대해 구성원들이 갖는 의미를 가리키는 것으로 어느 정도 한정되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이루고자 서울 소재의 한 지역아동센터(‘D센터’)에서 참여관찰과 면접을 진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반복된 검토를 통하여 유의미한 주제를 형성하는 범주로 나뉘었고, 이 과정을 거쳐 ‘D센터’의 문화(문화적 주제)가 발견되었다. ‘D센터’의 문화를 발견하기까지의 과정은 다음과 같다. 수집된 자료는 우선 아동들이 ‘D센터’에 오게 되는 과정과 센터 안에서의 좌절에 대한 경험과 상호작용의 의미찾기로 크게 나눌 수 있었다. 성인보호자의 부족을 경험하는 저소득 빈곤가정 아동이 주로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게 되는 현실적 상황 속에서 ‘D센터' 역시 빈곤가정 아동이 이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들 가정에게 ‘D센터’는 아동을 맡길 수 있는 곳, 아동이 갈수 있는 곳이 된다. 그러나 이러한 현실적 필요 외에도, 아동과 보호자는 센터에 대해 기대를 갖는다. 아동의 센터 이용이 시작되면서 센터 실무자의 기대 역시 나타나게 되는데, 구성원별로 센터에 대한 기대는 어느 정도의 차이를 보인다. 아동의 경우 센터는 친구와 선생님을 만날 수 있는 곳, 재미있게 놀 수 있는 곳이 된다. 반면 보호자와 실무자는 아동들이 센터에서 학과학습을 보충할 수 있기를 기대하는 경향이 컸다. 이러한 기대의 차이로 인해 센터에서는 아동을 이끌려는 실무자들과 그러한 이끎을 잘 따르지 못하는 아동들의 모습이 보이기도 한다. 보호자 역시 학과 학습의 보충이라는 기대가 채워지지 않을 경우, 아동의 센터 이용을 중지시키기도 한다. 한편, 재정 부족(그로 인한 인력 부족, 제한적인 프로그램의 제공 등)은 기대 차이로 인한 어려움을 가중시킨다. 인력 부족으로 인해 실무자들은 아동에 대해 개별적인 관심을 쏟기가 어려워지고, 제공되는 프로그램(대부분 학과학습) 역시 아동들의 개별적 필요와 욕구가 충분히 반영되지 못한 채 획일적으로 제공된다. 이 과정에서 실무자들은 그러한 프로그램을 아동들이 잘 따르지 못하는 것이 어쩔 수 없음을 인식하면서도 따라주지 못하는 아동을 대할 때 어려움을 느낀다. 동시에 아동의 입장이 충분히 반영된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없는 현실적 여건에 대해서도 좌절하게 된다. 한편, 아동은 센터의 현실적 여건으로 인한 어려움을 직접 경험함에도 아동들에게 센터는 이미 친구들을 만나 함께 놀 수 있는 곳으로써 의미를 갖는다. 그리고 실무자의 마음을 읽으면서, 즉 실무자들이 센터에서 아동들을 이끌려는 것이 자신들을 위한 마음에서 비롯된 것임을 알고 실무자와의 상호작용에서 의미를 찾는다. 이에 반해 실무자들은 센터의 현실적 여건으로 인한 제한에 더 많은 어려움을 경험한다. 그러나 일을 통한 보람 속에서 의미를 찾기 시작하고 더 나아가 아동과 상호작용을 하면서, 서로의 마음을 읽고 신뢰를 쌓아가는 것을 통해 역시 센터에 대한 의미를 찾을 수 있게 된다. 즉, 센터 안에서 상호작용을 통해 구성원들 간의 마음이 이어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보호자 또한 ‘공부’가 학과 학습일 뿐 아니라 다양한 만남과 체험을 포함하는 폭넓은 개념임을 받아들일 때 센터에서 이루어지는 상호작용과 마음이 이어지는 것에 대한 의미를 발견하게 된다. 이처럼 상호작용을 통한 ‘푸른 마음잇기’(‘푸른’ 아동을 중심으로 ‘마음이 이어지고 있음’을 나타내기 위해 도출된 문화적 주제 개념)는 ‘D센터’ 일상의 전반에 걸쳐 발견되는 문화가 된다. 한편, 본 연구의 주된 관심은 센터 ‘안’이지만 구성원들은 센터 안과 밖 모두 에 속한다는 점에서 밖에서 본 센터가 조망되었다. 지역아동센터라는 복지 기관의 이용은 이들이 낙인감으로 이어질 수 있는 빈곤, 가정의 결손이라는 사회적으로 선망되지 않는 상황에 놓여 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 낙인감은 보다 복잡한 형태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D센터’의 일상을 들여다봄으로써 지역아동센터라는 아동복지 서비스가 제공되는 현장을 실제로 접하며 그곳에서 어떠한 경험과 문화가 형성되고 있는지를 탐구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선행연구를 통해 조사된 실태조사 결과가 사실 자료로써 뿐 아니라 구체적 현장에 담긴 자료로써 제시되고 있기 때문이다. 즉, 재정 부족 등 현재 지역아동센터가 직면하고 있는 문제들이 실제로 현장에서 어떻게 구체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지를 탐색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그러나 본 연구는 제한적인 자료수집과 자료 해석 과정에서 아동에 대한 충분한 이해의 어려움 등으로 인한 한계점 역시 지니고 있다. 이에 풍부한 자료수집과 자료를 심층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후속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Community Child Care Center is originated from ‘Gongbubang’ built up in the nonofficial area for the children in poverty. For this reason, it is thought that Community Child Care Center can work as the main child welfare service provider in community. Although the number of Community Child Care Center has increased rapidly after being legislated in 2004, it is still pointed out that Community Child Care Center can't be the main welfare service provider for children yet because some difficulties such as financial problem etc are still found with the Center. With this background information, this study aims at exploring the cultural experiences in the Community Child Care Center ethnographically. That is, this study employs ethnography to inquire “what really happens in the Community Child Care Center”. The study is focused on the ‘inside’ of the Community Child Care Center for exploring cultural experiences ‘in’ the Center. And the ‘culture of the Center’ is restricted to indicate “how the Center members interact one another” and “what the interaction means to the each member of the Center.” Participant observation and interview were conducted in a Community Child Care Center in Seoul(‘Center D’). The data collected from ‘Center D’ was reviewed several times for finding the themes to be categorized. In further analyzing the sub-themes, the main theme followed to be found. The process of finding themes and the themes found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data collected in ‘Center D’ can be classified as “meeting ‘Center D’” and “the experiences of being in ‘Center D’.” It is usual that children in poverty mostly use Community Child Care Center. In poor families, the guardians of the children(parents, mostly) need to make money for living so the children are likely to be in self care while the guardians(parents) are at work. In this situation, ‘Center D’ is the place the children of poor families can stay instead of being in self care. Besides the practical reason mentioned above, ‘Center D’ means more than that to the Center members. The each member of ‘Center D’ - the Children, the Guardians(parents) of the children and the Staff of ‘Center D’(the Staff of ‘Center D’ appear after the children start to use the Center) - has different expectation on ‘Center D’. For the Children, it is most desirable to play with friends and to talk to the Staff. On the other hand, the Guardians(parents) of the children and the Staff of ‘Center D’ want the children to learn school subjects in the Center because the Children have only a few opportunities to learn the school subjects except in the Center. Because ‘Center D’ has the financial difficulty, the diverse expectations of the Center members can not always be met. Actually, the Children's desire to play with friends is usually restrained by the Staff and the children are usually directed to study their school subjects. And for the Guardians(parents), some of them make their children leave ‘Center D’ if they think that ‘Center D’ is not good at directing their children to learn their lessons. Meanwhile, the Staff of ‘Center D’ have mixed feelings about the situation mentioned above. They are frustrated with the children when their directions are not easily followed by the children. But at the same time, the Staff think it is understandable that the children want to have more fun while they stay in the Center. And they also realize that the children need to be directed individually(that is, appropriate to each child's need and wish). But it can hardly be allowed to direct the children appropriately for the financial difficulties and the want of staff etc. Sometimes the children of ‘Center D’ experience difficulties and their expectations on the Center are frustrated. But it seems that the children don't ‘much’ care about that. ‘Center D’ is good enough for the children because they can meet, talk to and play with friends and the Staff in the Center. And while they interact with the Staff of ‘Center D’, they become to understand why the Staff direct and even scold them to learn more. Every direction done by the Staff is actually for the children not for the Staff. On the other hand, ‘Center D’ becomes to represent much to the Staff while they find the fruits of their work. When the Staff and the Children interact with each other in ‘Center D’, they read each other's minds and experience ‘togetherness heart to heart’. And for the Guardians(parents) of the children, they also take parts in the ‘experience of togetherness’ when they realize that their children can learn more than the school subjects in the Center. As mentioned above, the members of ‘Center D’ sometimes experience difficulties because they have different expectations on the Center and because of the condition of the Center, those expectations can not be always met. However, ‘Center D’ is so important to every member of the Center because the members experience ‘togetherness heart to heart’ in the Center. Therefore, “experience of togetherness (heart to heart)” is the culture of ‘Center D’ and the main theme derived from this study. Although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inside’ of ‘Center D’, the Center needs to be viewed from the outside because the Center members are not only in the Center but also in the outside. In viewing ‘Center D’ from the outside, ‘welfare stigma’ becomes noticeable. Because most people except the Center members are likely to regard ‘Center D’ as nothing but a welfare service provider. Actually, there is a few events to imply that the Children might have welfare stigma. But when the members are in the Center, welfare stigma is the issue that hardly become aware of. The welfare stigma issue in ‘Center D’ is rather complicated. The Children might have welfare stigma even if they don't express it directly. On the other hand, even if they have welfare stigma, ‘Center D’ is still important to them. This study is meaningful because it tries to find out the actual condition of Community Child Care Center by looking into every day of the Center. The data and research related Community Child Care Center accumulated become real and concrete in this study since this study reflects the every day of the Center. But there are limitations in collecting data and interpreting the data collected and it makes this study deficient. Therefore, the following studies need to be improved to contribute more in the field of child welfa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