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A) public space generated design study for a new station complex

        류근영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32319

        The term ‘public’ seems to have very ambiguous meaning, and nobody can clearly explain that meaning. In other words, due to the various and ambiguous meaning, the term ‘public space’ can be understoo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situation. Based on this fact,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hed new light on the notion of public space today through the KTX Suseo station complex project. To achieve this purpose, the characteristic of public space in station complex is examined through the case study of the Seoul Station Complex, and then the design experiment of Les Halles architectural competition is identified to frame design study hypothesis. Based on design study hypothesis, the situation and condition that should be based on a public area or surface are proposed through the design project rather than the physical public space. It does not imply the uselessness of physical public space, but it is experimented the evolved public space in the contemporary era. The more complex our society, the more public space should be transformed, evolved and adapted, and design study for generating public space in this thesis can give a new direction for the new evolved public space.

      • Design for privacy in public space : Keeping your own personal space among others

        Kwangmin Cho Graduate School of UNIST 2016 국내석사

        RANK : 232319

        To become the personalized society, public space has been an important role in satisfying people's expectations. Diverse users have used public space for their purpose. However, every user has been not satisfied with public space in terms of privacy. Also, public space has been expanded by users. In order to design public space, public design seems to need a framework and guideline for users. Based on the current situation, this research focused on figuring out the relationship privacy and diverse public spaces. One of the outstanding features of it is that this study was focusing the main problem of public space in order to develop better public space for users. This study will provide to better well-being in public space and help public design to develop long-lasting public space in terms of privacy. Also, this knowledge will be applied in academicals field and practical public design field. In order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public space and privacy,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to define the term of public space and privacy, and to classify public space. This was followed by mixed-methods (semi-structured interview and questionnaire) with 40 participants. Trough out literature, privacy consisted of eight elements; Freedom of expression, Safety, Freedom from judgement, Fewer crowds, Anonymity, Solitude, Comfort, and No noise and public space was classified to four types; Pleasure zone, Active zone, Serious zone, and Gentle zone. In user research, four types of public space related to different elements of privacy. Based on the results, expert focus group workshop for developing a guideline was conducted to three experts who were designer, architect, and psychologist. The conclusion which can be led by this study of guidelines are these: 1) To strength the elements of freedom of expression, safety, and freedom from judgment in Pleasure zone, there were total 18 guidelines, 2) To consider the elements of safety, fewer crowds, and comfort in Active zone, there were all 16 guidelines, 3) There were total 14 guidelines in order to improve privacy about anonymity, and solitude in Serious zone, and 4) To protect user’s privacy in Gentle zone, there were total 17 guidelines. The findings might be contributed public design field to use design guidelines that reflects the relationship privacy and types of space. It is expected not only to improve user satisfaction but also to provide sustainable public space for urban city.

      • Semi-closed or Fully-open? : comfortable public space in Tripoli Metropolitan area

        Assalahi, Aya Ahmed 서울시립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32319

        Public spaces in Tripoli Metropolitan Area have witnessed a host of problems in abundance, distribution, and type. Those are results of cumulative causes. Even though semi-closed type of public space works as a modifier for local climate in hot areas and provides comfortable environment for its occupancies, it has been overlooked in Tripoli Metropolitan Area. This study drew three dimensions of comfort in public space: climatic, physical, and psychological. Then compared semi-closed public space versus fully-open public space, by collecting general opinion from four locations in city center. This comparison showed the effect of the microclimate on public welfare. Positively, semi-closed public space was able to provide better microclimate than fully-open public space. Thereafter this climatic comfort presented better environment, which was distinguished in the physical comfort clearer than in the psychological comfort. Keywords: Public space, semi-closed public space, Tripoli Metropolitan Area, comfort 트리폴리 대도시권의 공공 장소(영역)는 수, 분포 및 유형 측면에서 문제에 직면했다. 이러한 결과는 누적된 원인에서 기인한다. 반폐쇄형 공공 장소가 더운 지역의 기후 조절 관리자로서 역할을 하고 점유자에게는 쾌적한 환경을 제공해 주는 데도, 트리폴리 대도시권에서는 이를 간과해 왔다. 본 연구에서는 공공 장소 쾌적성의 세 가지 요소인 기후적, 물리적 및 심리적 요소를 도출했다. 그런 다음 도심 내 네 군데 장소에서 일반 대중의 의견을 취합하여 반폐쇄형 공공 장소와 완전 개방형 공공 장소를 비교했다. 비교 분석 결과 미기후(좁은 지역의 기후)가 공공 복지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확실히 반폐쇄형 공공 장소가 완전 개방형 공공 장소에 비해 더 나은 미기후를 제공할 수 있었다. 나아가 이러한 기후 쾌적성은 환경의 쾌적성으로 이어졌는데, 심리적 쾌적성보다는 물리적 쾌적성에서 이와 같은 차이가 더욱 두드러졌다. 주요 용어: 공공 장소, 반폐쇄형 공공 장소, 트리폴리 대도시권, 쾌적성

      • Study of securing private area in the narrow back alley public space : focused on the back alley in CBD, Yangon, Myanmar

        Khin Moe Pyayt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2019 국내석사

        RANK : 232318

        Alleys, public space between building, have many potentials for various activities with adequate spaces. It is a space where human interaction occurred and community experienced can acquired. Those alley areas which has negative perspective has been turned to a space with better environment quality for the community to spend more time in the alley. As a result of alley regeneration process, the increase in the spatial quality of back alley public space could bring more public users to the alleys resulting a disturbance of personal space of the resid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to propose a design solution , how the personal space of the resident is disturbed regarding to effect of regenerated alley in Yangon which has width and length 6.86m x 152.4 m based on the human visual perspective in terms of visual privacy and to propose a design strategy considering both privacy of the resident and the public space area of the alley. Based on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alley space, this research focused on how privacy and public space are related. The main idea of this research is figure out affective human visual privacy of resident and to propose a design solution which can enhance the coexistence of the public and private space. In order to understand the human visual perspective in the alley area, one of the alleys in Yangon, Central Business district was analyzed based on two criteria_ the visual distance range and the visual limit angle. As a research method, first the research on visual perspective situation from the point of the alley users and how it is affecting the privacy of the resident. Secondly, different design strategies of protecting privacy of residents are being applied and how the public space area of the alley is affected. Among the different design strategies, folding method has been chosen to apply to the back alley public space. As the back alley in the CBD has the unique characteristics in length, width and height, the potential of the folding is a preferable solution for achieving the private space for the public space in the narrow and long back alley while protecting the visual privacy disturbance from the users of the public space. From the analysis of the different design strategies of visual privacy and public, a proposal of a protective design strategy is be provided as a conclusion. The conclusion which can be led by this design strategies are 1) to strength the privacy level of the resident 2) To provide an alley public space 3) To provide better privacy level in terms of visual perspective and 4) to provide privacy design strategies for the resident while having a better control of human interaction. This thesis able to aid designing alleys for privacy protection. 건물 사이의 공공 공간인 골목은 적절한 공간을 가진 다양한 활동에 대한 많은 잠재력이 있습니다.골목은 인간의 상호작용이 일어나는 곳이며, 경험이 풍부한 지역사회를 얻을 수 있는 공간입니다. 부정적인 관점이었던 골목은 지역 사회가 더 많은 시간을 보낼 수 있도록 더 우수한 환경의 공간으로 바뀌었습니다. 골목을 재생하는 과정에서 뒷골목 공공 공간의 공간적 질적 향상으로 인해 일반 이용자들이 더 많이 몰리면서 주민의 개인공간이 교란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시각적인 프라이버시 측면에서 인간의 시각적인 관점에서 6.86m x 152.4m의 넓이와 길이를 가진 양곤의 재생골목의 효과에 대해 거주자의 개인공간이 어떻게 방해받고 있는지를 분석하고 설계 해결책을 제안하는 것이다. 그 골목의 주민과 공공 공간 이 연구는 골목 공간의 현재 상황을 바탕으로 사생활과 공공 공간의 연관성에 초점을 맞췄다. 본 연구의 핵심은 거주자의 인간적 시각적 프라이버시를 찾아내고 공공과 민간 공간의 공존을 강화할 수 있는 설계 해결책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 골목길에서 인간의 시각적인 관점을 이해하기 위해, 중앙 비즈니스 지역인 양곤의 골목 중 하나는 시각 거리 범위와 시각 한계 각도의 두 가지 기준에 따라 분석되었습니다. 연구방법으로 우선 골목 이용자의 시각적인 관점 상황과 그것이 거주자의 사생활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봅니다. 둘째, 주민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하기 위한 다양한 설계 전략과 골목의 공공 공간 구역이 어떻게 영향을 받는지에 대한 것입니다. 시각적인 사생활과 공공의 다양한 설계 전략에 대한 분석으로부터, 보호 설계 전략의 제안이 결론으로 제시될 것입니다. 다양한 디자인 전략 가운데 뒷골목 공공 공간에 적용할 수 있는 접이식 방식이 채택됐다. 도심 뒷골목은 길이, 너비, 높이 등 독특한 특성을 가지고 있어 좁은 뒷골목과 긴 뒷골목에서 공공 공간의 사적인 공간을 확보하고 공공공간 사용자들로부터 시각적인 프라이버시 장애를 보호하기 위한 바람직한 해결책이다. 이러한 설계 전략에 의해 주도 된 결론은 1) 거주자의 프라이버시 수준을 강화하는 것 2) 골목 공공 공간을 제공하는 것 3) 시각적인 관점에서 더 나은 프라이버시 수준을 제공하는 것 4) 거주자를 위한 프라이버시 설계 전략을 제공하는 동시에 인간 상호작용을 더 잘 제어할 수 있습니다. 이 연구는 사생활 보호를 위한 골목을 설계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 실내공개공지 도입을 위한 초대형 업무시설 1층 공공공간 연구 : 공간구문론을 활용한 뉴욕시 실내공개공지와 서울시 실내 공공공간 사례를 중심으로

        김정우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32317

        Privately owned public spaces (POPS) are public spaces in private areas that provide citizens with resting areas and walking environments in the city. The importance of POPS in urban space is increasing and encouraged by the government. However,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Building Ordinance and District Unit Plan Standards only suggest POPS types restricted to the exterior of buildings. Since 1991, when POPS were institutionalized, their number has increased quantitatively due to obligations to install them; however, the actual utilization of the spaces has been limited due to careless installation. It is, therefore, necessary to suggest countermeasures to improve these outdoor POPS and introduce new types of POPS. Other countries have already adopted indoor POPS systems,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living conditions of urban citizens with numerous indoor activities. These spaces provide citizens with resting and pedestrian areas on the ground floors of commercial and office buildings. Indoor POPS refers to enclosed, indoor open spaces that pedestrians can freely access and use without restriction. These spaces, installed on the ground floors of commercial and office buildings, represent a new type of public space. Moreover, as an intermediary space for the private interests of building owners and the public, they may provide a solution to the current limitations of outdoor POPS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evaluation index for indoor POPS to secure the publicness of urban public spaces and to introduce an indoor POPS system in Korea. To do so, highly used indoor POPS in New York City were analyzed using Visibility Graph Analysis, a type of space syntax theory. As a result, a quantitative publicness index for indoor POPS and indoor public space was developed. To develop the index, ten cases of indoor POPS in New York City were analyzed by evaluating their publicness, which is physical accessibility and visual connectivity (openness). The characteristics of frequently used indoor POPS were also considered. The developed evaluation tools were also used to analyze the publicness of indoor public spaces of office buildings in Korea.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New York City’s indoor POPS are installed in places with high accessibility and openness compared to other public spaces on the first floor of the buildings. The evaluation of the accessibility and openness of the space corresponds to the standards for installing indoor POPS in New York City. Second, cases with a high accessibility index possessed a greater number of entrances, and cases with a high visual openness index were primarily composed of glass. Third, among the ten cases of New York City indoor POPS, atrium types were highly utilized and their evaluation index was high, whereas linear types were less utilized and their evaluation index was low. Fourth, by applying the developed evaluation index to assess the publicness of the atrium spaces of the six office buildings in Seoul, a significant correlation was derived between the accessibility evaluation and the atrium pedestrian flow rate, which verifies the effectiveness of the developed evaluation index. Fifth, by evaluating the publicness of indoor public space, it was proved that the indoor public space in Korea was as public as the indoor POPS in New York City. This research proves, therefore, that the public spaces of office buildings in Korea can feasibly be used as indoor POPS. 공개공지(Privately Owned Public Spaces)란 사적인 영역 내 공적인 공간으로 시민의 휴식과 보행을 위해서 공공에 제공되는 공공공간이다. 이처럼 공개공지는 도시 내 필수적인 공공공간으로써 도시공간에서의 중요도는 증가하고 있으며 적극적인 설치가 권장되고 있다. 한편, 현재 서울시 건축조례와 지구단위계획 수립기준에서 제시하고 있는 공개공지 유형은 모두 건물 외부에 국한되는 한계를 가진다. 공개공지가 제도화된 1991년 이후 의무조성으로 인한 양적인 증가는 있어왔지만 형식적인 설치로 인해 공개공지의 실제 활용도는 매우 저하되어왔다. 이에 따른 실외공개공지의 한계를 개선할 수 있는 새로운 공개공지 유형 제시와 대책 마련이 필요한 시점이다. 반면 외국의 경우 이미 실내 활동이 높은 도시민의 생활을 고려하여 실내공개공지 제도를 도입하고 업무시설의 저층부를 시민에게 보행과 휴식공간으로 제공하고 있다. 이와 같은 실내공개공지란 ‘건폐된’ 공개공지로 보행자가 통제를 받지 않고 자유롭게 접근하고 이용할 수 있도록 개방된 옥내공간을 일컫는다. 이처럼 업무시설 저층부에 위치하는 실내공개공지는 건축주의 사익과 대중을 위한 공익의 매개 공간으로써 새로운 유형의 공공공간을 제시하고 현 실외공개공지 한계점에 대한 해결방안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도시 공공공간의 공공성 확보를 위하여 공공공간의 공공성 평가지표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공개공지 제도가 활성화된 뉴욕시의 실내공개공지를 대상으로 공간구문론의 일종인 가시성 그래프 분석(Visibility Graph Analysis)을 활용하여 공공공간의 공공성을 분석한 후, 실내공개공지 및 공공공간의 공공성을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지표를 개발하였다. 뉴욕시 이용도가 높은 실내공개공지와 이용도가 낮은 실내공개공지를 분류하여 공공공간의 공공성을 접근성과 개방성의 틀로 분석하였고, 이용도가 높은 실내공개공지의 특성을 도출하였다. 또한, 개발된 공공성 평가지표를 국내 초대형 업무시설의 공공공간에 적용하여 업무시설 공공공간의 공공성 평가를 통해 실내공개공지로의 활용 가능성을 도출하였다. 연구를 종합하여 정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뉴욕시 실내공개공지는 1층 내 그 외 공공공간과 비교 시 접근성과 개방성이 높은 곳에 설치되어 있음을 VGA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설치된 실내공개공지의 접근성과 개방성은 뉴욕시 실내공개공지 설치기준에 상응하였다. 둘째, 접근성 높은 실내공개공지 계획 특성으로는 출입구의 개소가 많았으며, 개방성이 높은 실내공개공지의 경우에는 공간 내 유리벽의 비율이 높았다. 셋째, 최종 평가지표가 높은 뉴욕시 실내공개공지는 이용도가 높은 아트리움 유형이었으며, 최종 평가지표가 낮은 실내공개공지는 이용도가 낮은 선형 유형의 공개공지임을 확인하였다. 넷째, 개발된 평가지표를 서울시 업무시설 공공공간의 아트리움 공간에 대입하여 공공성을 평가한 결과, 접근성 평가지표와 관찰조사를 통한 통행량 사이에 유의미한 상관성을 나타났으며,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 개발된 평가지표를 검증할 수 있었다. 다섯째, 해당 평가지표를 적용하여 분석한 결과, 국내 초대형 업무시설의 실내 공공공간은 활성화된 뉴욕시 실내공개공지만큼의 공공성을 나타내었으며, 실내공개공지로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 (The) guidelines for creating privately owned public space in Baku, Azerbaijan

        Rahimova, Vusala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32316

        POPS (privately owned public space) have begun to achieve quantitative success since their introduction in many parts of the world. However, they are still unpopular in developing countries such as Azerbaijan. To ensure a successful privately owned public space, this study will be conducted using detailed POPS models from developed countries. This thesis will try to develop an applicable guideline for privately owned public space. Creating a guideline to privately owned public space for Baku will generally guide public and private sectors and help them to interact together and gain mutual benefits. It is important to explore the phenomenon of how space affects publicity managed by the private sector, since public spaces are necessary for all citizens and, therefore, must be publicly accessible to all. Private management of public space can also improve the quality of public space and attract more people, an example when a designer places garden furniture or a hedge. These new boundaries can lead to the exclusion of people living or passing near public space, but who cannot use it because they feel that these spaces are the owner's personal space. It seems necessary to know this is a public space and it’s easy and allowed for anyone to enter and use this public space. To conduct this study, guidelines developed by other countries were used as a baseline and important points in these guidelines were considered in the preparation of the expert survey. For the analysis, comparative statistical and descriptive analysis was used and significant variables were considered as important factors in the proposed POPS guidelines for Azerbaijan. Results showed that Size and Configuration, Access and Location, Public Seating and Amenities and Shade items are most applicable for implementation in Azerbaijan. These results can be used as minimum indicators for the development of privately owned public space guidelines in Baku. 공개 공지(POPS: privately owned public space)는 전세계 여러 도시에서 도입되어 환경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하여 왔다. 그러나 개발도상국가인 아제르바이잔에서는 아직도 공개 공지 개념이 생소하기 때문에 공개 공지를 성공적으로 도입하기 위하여 이 연구에서는 세계 각국의 성공적인 공개 공지 모델을 연구하였다. 특히 아제르바이잔 바쿠(Baku)시에 적용 가능한 공개 공지 가이드라인을 개발하기 위하여 공공 및 민간 부문이 함께 협력하여 상호 이익을 얻는 것이 필요하다. 공공 공간은 시민들에게 꼭 필요한 공간이기 때문에 민간 부문에서 어떻게 모든 시민들에게 접근 가능한 공간을 운영할 수 있을지 그 방안을 연구할 필요가 있다. 공공 공간의 민간위탁운영 방안도 공공 공간의 질을 향상시키고 많은 시민들이 이 공간을 이용하도록 독려하는 수단이 된다. 경계 지역의 공간은 그 건물에 근무하는 사람이나 지나가는 사람들이 사유공간으로 인식하여 공간 이용을 저해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공개 공지가 공공공간임을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여 이 공간 이용을 증진시킬 필요가 있다. 이 연구에서는 외국에서 개발된 공개 공지 가이드라인을 기반으로 하여 아제르바이잔 바쿠시에 적용가능한 요소들을 도출하여 전문가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결과는 통계분석을 통하여 아제르바이잔에 적용가능한 공개공지 가이드라인에 포함시킬 중요한 항목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 공개공지의 크기와 형태, 접근성과 위치, 벤치와 기타 어메니티 요소, 햇빛가림장치 등이 공개공지를 아제르바이잔에 도입할 경우 가장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할 요소로 나타났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바쿠시에 적용가능한 공개공지 가이드라인 마련을 위한 최소한의 지표들이 제시되었으며, 이러한 지표를 활용하여 작성한 공개공지 가이드라인 초안이 부록에 제시되어 있다.

      • Environmental design of teen space in public libraries for youth activity

        이경연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2023 국내석사

        RANK : 232316

        빠르게 변화하는 사회경제적 환경 속에서 청소년들의 가치관, 지식, 사고체계 등은 끊임없이 도전받고 있다. 하지만 한국의 청소년은 그들의 창의성과 자율성에 기초하는 능동적인 삶의 실현과 건전한 민주 시민으로 역량을 강화하기보다 입시 중심의 교육제도 속에서 성장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학업과 미래에 대한 스트레스와 긴장감에 지쳐가는 청소년들의 회복과 균형 잡힌 성장을 위해서는 청소년들이 주도적으로 개인의 관심사와 문화적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사회환경이 필요하다. 최근에는 청소년의 전인적 성장을 위해 지역사회 교육·문화의 거점인 공공도서관의 역할이 강조되고 있다. 특히, 미래 사회구성원으로서 청소년들이 갖추어야 할 핵심 역량으로 자기 주도성, 창의성, 비판적 사고력, 협력이 떠오름에 따라, 도서관을 중심으로 청소년기의 특성과 요구를 반영한 창조적 환경을 제공하고 있다. 이는 공공도서관의 청소년 서비스 활성화와 청소년의 여가 및 활동공간으로서 공공도서관의 역할 확대의 기회로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건전한 여가와 개인 역량 강화에 기여하는 공공도서관 청소년 전용공간 환경계획의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째, 사례조사를 통해 국내외 도서관의 청소년 전용공간의 특징과 청소년활동을 파악하였다. 둘째,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청소년활동공간 환경계획요소를 도출하였다. 셋째, 설문조사를 통하여 공공도서관 청소년 이용자의 여가 및 공공도서관 이용행태와 청소년활동을 위한 공공도서관 청소년 전용공간 환경계획요소에 대한 중요도를 조사하였다. 이와 같은 조사 결과를 통해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지역사회 내 조성된 사회기반시설에 청소년활동을 위한 새로운 역할을 부여하여 청소년이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는 공간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 청소년이 선호하는 공간적 특징으로 나타난 ‘편안한 공간’, ‘친구와 함께하는 공간’, ‘간섭(방해)받지 않고 자유로운 공간’, ‘스트레스 해소가 가능한 공간’, ‘조용한 공간’, ‘무료 이용 공간’, ‘집에서 가까운 공간’, ‘간단한 식음료 섭취가 가능한 공간’, ‘소규모로 분리된 공간’을 고려하여 청소년에게 매력적인 공간을 구현해야 한다. 둘째, 도서관 청소년 전용공간 경험에 따라 도서관 만족도와 이용 목적 등 전반적인 도서관 이용행태에 특징적인 차이가 나타났다. 청소년 전용공간 조성으로 인하여 도서관이 ‘학습을 위한 정적인 장소’에서 ‘원하는 활동을 선택할 수 있는 장소, 나를 위한 장소’로 인식의 전환이 나타났음을 알 수 있다. 청소년들이 자유롭게 원하는 활동을 하고 편하게 머물 수 있는 도서관 환경이 조성을 위해서는 도서관 일부를 청소년에게 할당하는 청소년 전용공간이 계획되어야 한다. 셋째, 도서관이 보유한 다양한 정보자원을 활용해 능동적으로 개인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청소년 전용공간을 계획해야 한다. 청소년들은 도서관에서 학업을 위한 학습활동과 함께 창작활동 및 문화프로그램 참여를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청소년에게 개인학습과 독서를 강조하는 환경보다 자율적으로 활동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면 청소년들의 도서관 이용 활성화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넷째, 청소년활동 지원을 위한 공공도서관 청소년 전용공간 조성에 중요한 환경계획요인은 ‘정서 지원 계획’, ‘쾌적성 유지 계획’, ‘창의성 자극 계획’, ‘영역성 계획’, ‘안전사고 예방 계획’, ‘학습 지원 계획’, ‘개방감 계획’, ‘가구 계획’, ‘여가 지원 계획’, ‘프라이버시 계획’의 10가지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이 중에서 청소년활동 지원 측면에서 공공도서관 청소년 전용공간 인식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쾌적성 유지 계획’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공공도서관 청소년 전용공간 계획 시 ‘쾌적성 유지 계획’을 우선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원활한 네트워크 환경과 쾌적한 공기의 질, 청소년이 이용하기에 충분한 운영시간, 청결하고 위생적인 환경을 우선으로 유지하고 확보해야 한다. 다섯째, 선호하는 청소년활동 유형에 따라 공공도서관 청소년 전용공간 조성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계획요인이 다르게 나타난 것을 통하여 청소년활동 특성에 따른 환경계획이 필요한 것을 알 수 있다. “창작·문화 추구형”의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계획요인은 모든 활동에 공통으로 영향력을 갖는 ‘쾌적성 유지 계획’만이 나타남에 따라 쾌적한 도서관 환경이 무엇보다도 우선시 되어야 할 것이다. “학습·진로 추구형”의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계획요인은 ‘개방감 계획’, ‘창의성 자극 계획’, ‘가구 계획’, ‘정서 지원 계획’이 나타났다. 즉 숙제, 시험공부 등 개인학습에 집중할 수 있는 영역과 친구와 소통하거나 휴식을 위한 영역을 구분하여 함께 조성할 필요가 있다. “오락·휴식 추구형”의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계획요인은 ‘안전사고 예방 계획’, ‘학습 지원 계획’, ‘영역성 계획’이 나타났다. 따라서 청소년의 가진 에너지와 특별한 요구를 수용하고 즉각적으로 반응하는 도서관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본 연구는 청소년이 안전하고 쾌적한 환경에서 창의적으로 다양한 체험과 활동을 통해 전인적 성장을 도모하는 장소로서 공공도서관을 주목하였다. 청소년을 도서관으로 이끌기 위해서는 그들의 요구와 취향을 고려한 전용공간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 도출한 환경계획요인을 바탕으로 청소년의 의견을 반영한 공간을 조성한다면, 청소년들에게 도서관은 청소년을 환영하는 곳이며 마음껏 활동할 수 있는 장소라는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In a rapidly evolving socio-economic environment, the values, knowledge, and thinking systems of youths are continuously challenged. However, in Korea, the education system primarily focuses on entrance exams rather than fostering an active and creative life that enhances their autonomy and develops their capabilities as responsible democratic citizens. Given this context, there is a need for a social environment that allows adolescents to actively pursue their individual interests and meet their cultural needs, promoting their balanced growth and recovery from the stress and pressure associated with studies and future prospects. Public libraries, as the foundations of community education and culture, have recently been recognized for their crucial role in the holistic development of youth. With self-direction, creativity, critical thinking, and collaboration emerging as essential competencies for young individuals as future members of society, libraries provide a creative environment that caters to the unique characteristics and needs of adolescence. This represents a significant opportunity to revitalize youth services in public libraries and expand their role as spaces for leisure and activities among young peopl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n environmental design direction for teen spaces within public libraries that contribute to the healthy leisure and personal capacity building of youths. To achieve this goal, the study was conducted using the following approach. Firstly, the characteristics of teen spaces and youth activities in domestic and international libraries were examined through case studies. Secondly, environmental design elements for youth activity spaces were derived based on an analysis of previous studies. Lastly, a surve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importance of environmental design elements for teen spaces within public libraries, considering youth activities, leisure, and the usage patterns of youth library users.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investigation, several conclusions can be drawn. Firstly, there is a need to assign a new role to the social infrastructure within the community, providing a space for youth to freely utilize. In order to create an appealing space for teenagers, spatial characteristics such as a “comfortable space,” “space with friends,” “space without interference,” “space to relieve stress,” “quiet space,” “space close to home,” “cost-free space,” and “space to consume simple food and beverages” should be considered. Secondly, noticeable differences show in overall library usage behavior, including library satisfaction and purpose of use, based on the experience of the library's teen space. It is evident that the creation of a teen space transforms the library from a static learning environment into a place where individuals can choose activities that align with their personal preferences. To foster an environment where young people can freely engage in activities and feel comfortable, it is necessary to plan a youth-only space (Teen space) within the library that allocates dedicated areas for young individuals. Thirdly, it is crucial to design a teen space that actively enhances individual capabilities by utilizing the diverse information resources available within the library. Teenagers express a desire to participate in creative activities, cultural programs, and learning activities related to their studies within the library. Therefore, creating an environment that encourages autonomy and engagement, rather than solely focusing on individual study and reading, is expected to promote the utilization of libraries by teens. Fourthly, the significant environmental design factors for the creation of teen spaces in public libraries to support youth activities can be classified into 10 factors: “emotional support,” “amenity,” “creativity,” “territoriality,” “safety,” “learning support,” “openness,” “furniture diversity,” “leisure support,” and “privacy.” Among these factors, “amenity” have the greatest influence on the perception of teen spaces in terms of supporting youth activities. Therefore, prioritizing a “amenity” when planning youth-only spaces in public libraries is crucial, including ensuring a smooth network environment, pleasant air quality, extended operating hours suitable for youth usage, and a clean and hygienic environment. Lastly, the appearance of different environmental design factors that affect the perception of creating dedicated spaces for youth in public libraries according to the preferred youth activity type highlights the need for tailored environmental design. For the “Creative and Culture preference type,” where the common factor influencing all activities is “amenity,” creating a pleasant library environment should be prioritized. The perception of the “Learning and Career preference type” is influenced by factors such as “openness,” “creativity,” "furniture diversity," and “emotional support,” indicating the need to allocate separate areas for personal study and communication with friends or relaxation. The perception of the “Recreation preference type,” is affected by factors like “safety,” “learning support,” and “territoriality,” underscoring the necessity to create a library environment that accommodates the energy and special needs of young individuals and provides immediate responses. Overall, this study recognizes public libraries as spaces where teenagers can cultivate holistic growth through diverse creative experiences and activities within a safe and pleasant environment. To attract teenagers to libraries, dedicated spaces that consider their needs and preferences are necessary. If a space reflecting the opinions of youth is created based on the environmental design factors derived from this study, it is anticipated that the library's image will transform into a welcoming place that embraces youth and encourages their active participation in various activities.

      • 지속가능한 공공공간 관리·운영을 위한 민간참여 방안 연구

        이승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32315

        현대 도시는 공공공간을 시민들에게 제공하여 삶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고 있다. 공공공간에 대한 시민들의 관심이 증가하면서 공공공간에 대한 시민들의 양적 공급과 질적 수준 향상에 대한 요구도 함께 증가하였다. 하지만 공공 주도적으로 이루어지는 공공공간의 공급은 일방적이고 획일적인 사후 관리로 시민들에게 외면당하고 방치되어졌다. 이처럼 공공 주도적으로 공공공간을 조성, 관리, 운영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고 판단하여, 민간참여에 대한 논의가 지속적으로 진행되며 민간이 공공공간을 관리·운영에 참여하도록 다양한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 하지만 아직 민간참여에 대한 필요성에 대한 인지에 그치고 있고, 공공주도의 소극적 민간참여로 단편적인 방편으로만 이루어진다. 그래서 보다 주도적인 민간참여 관리·운영 구조를 마련하기 위해 민간참여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분석하고, 문제점이 무엇인지 파악하고자 연구를 시작하였다. <제2장 이론적 고찰>에서 공공공간은 “공공의 편익(공공성)을 가진 누구나 이용(개방성)할 수 있으며 다양한 참여(활동성)가 일어날 수 있는 도시 내 모든 공간”으로 정의하였고, 분석대상을 도시공원, 도로 및 가로, 공개공지, 공공시설(도서관)으로 한정하였다. 이에 따라 공공공간 관리·운영과 관련된 근거 법제도를 고찰하여 4가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제3장 자치구 단위에서의 공공공간 관리·운영 실태분석 : 서울특별시 서초구를 대상으로>에서는 4가지 분석대상에 대한 서초구의 실태를 분석하였다. 또한, 2장의 시사점과 현황을 기반으로 관리·운영 주체적, 재원적, 제도적 측면을 분석의 틀로 정하였고, 이를 통해 자치구 단위에서 공공공간 관리·운영에 민간참여가 얼마나 이루어지고 있는지 살펴보고 3가지 측면에 대한 공공공간 관리·운영의 한계점을 도출하였다. 앞서 도출된 결과를 종합하여 결론에서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먼저, 주체적 측면은 공공의 관리·감독하에 지역에 대한 정보를 잘 알고 있는 지역 기반 사회적 기업, 단체에 우선적 기회를 제공하고, 일부 영리의 목적을 가진 민간(개인, 단체, 법인 등)에 대해 개방적인 시각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다음으로 재원적 측면은 민간참여, 민간주도적 프로그램을 확대하여야 하고 이에 대한 자치구의 규제사항을 최소화하여야 한다. 또한, 공공공간을 통해 발생하는 수익의 일정 비율을 직접 공공공간 관리·운영에 사용할 수 있는 선순환적 구조체계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제도적 측면은 자치구 조례 제정 또는 개정할 때 지역적 특성을 반영하여야 하고 공공공간이 지역에서 가지는 역할을 고려한 세부기준, 가이드라인 등 구체적인 사항을 규제하여야 함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개선방안을 토대로 분석대상별 국내 관리·운영 절차와 유사한 국외 사례를 바탕으로 관리·운영에 민간참여를 확대하여 공공공간의 자체적 관리·운영 구조를 마련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The modern city seeks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by providing public spaces to its citizens. As citizens' interest in public space increased, so did their demands for a quantitative supply of public spaces and an improvement in quality levels. However, the public-led supply of public spaces was sufficient in quantity, but was neglected by citizens through unilateral and uniform post-management. Judging that there is a limit to creating, managing and operating public spaces in a public-led manner, discussions on private sector's participation continue and various movements are being made to allow the private sector to participate in the management and operation of public spaces. Despite these attempts, however, public space management and operation is still under way. Therefore, it was assumed that private sector's participation should be expanded to achieve sustainable public space management&operation. So we started to analyze how private sector's participation was being done, and to figure out what the problem was. In <Chapter 2 Theoretical Review>. First, the term's theorem defined the concept of public space and the concept of role and the type of principal governing public space. The public spaces defined in this study were defined as "all spaces in the city that can be used (publicness) by anyone with public benefits (openness) and where various participation (activities) can occur." Next, we looked at ongoing research on public space management and operation systems and private participation through prior research. In addition, the analysis targets of this study were limited to City parks, Roads and Streets, Privately Owned Public Spaces (POPS), and Public facilities (library), and the basis system related to public space management and operation was considered and four implications were derived accordingly. <Chapter 3 Analysis of Public Space Management and Operation System in Self-Governing Districts : to the Seocho-gu, Seoul> analyzed the four analysis targets previously classified in Seocho-gu. Based on the implications and current status of Chapter 2, the principal, financial, and institutional aspects were designated as the framework of the analysis. Through this process, the private sector's participation in the management and operation of public spaces was investigated at the self-governing and the limits of public space management and operation were drawn on three aspects. The conclusion was that the results obtained were aggregated and the improvement measures were proposed. First, the principal aspect should provide a priority opportunity for social enterprises and organizations that are well informed of the region under public care and supervision. It also proposed that an open view of the private sector (individual, group, corporation, etc.) with some of the benefit objectives was necessary. Next, the financial aspect should expand private participation and private sector-led programs. And the regulations of the autonomous region should be minimized.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cyclical structural system in which a certain percentage of revenue generated through public spaces can be used directly for the management and operation of public spaces. Finally, the institutional aspects should reflect local characteristics in the enactment or revision of the self-governing districts ordinance. It was proposed that specific matters, such as detailed criteria and guidelines, should be regulated considering the role of public spaces in the region. It proposed the need to develop an internal management and operation structure of public spaces by expanding private participation in the management and operation of public spaces through cases similar to domestic management system.

      • 유비쿼터스환경에서 지능형 공간구조를 갖는 공공도서관에 관한 연구

        송인조 경기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32315

        This paper aims to understand the intelligent features inherent to the ubiquitous environment, to identify the possibility of public libraries that have an intelligent space system in a ubiquitous environment by applying the intelligent features to public libraries with modern concepts, and to find out characteristics of the intelligent space system by analyzing phenomena occurring in such a process. For achieving this purpose, the paper provides its descriptions through the following organization. First of all, this paper finds out orientations of public libraries in the ubiquitous age through the analysis of the characters and expectations of the public library in the modern sense. As for the methodology, this paper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ety and changes in the information structure in order to learn the meanings of the information society, and then analyzes the requirements of the public library in the modern sense, and the properties of the spaces of the public library. Second, in order to draw aspatial approach to the public library in the ubiquitous environment, this paper analyzes the features of the ubiquitous environment, and investigates the interface through the body, the technology that enables the user and the digital information to interact through the space in the ubiquitous environment. Through this process, this paper derives the features of the intelligent space system that contains the ubiquitous environment and a user-based approach to it. Lastly, presenting the methodology that can be applied to the space of the public library with the derive features of the intelligent space, and the user-based approach, this paper presents a picture of the public library in the ubiquitous age. To put in more detail the contents attained through such a process: First, it is examined what influence the information structure of modern society has on the social fundamentals through the social roles and historical meanings of information. Especially, it proves that the hyper-textual structure that is most important in the sense of modern information has the hierarchy-free, scope-free, and structure-free properties, and that such properties show clear differences from the predicative linear structure of classic information. Second, whereas the space system at the time when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architectural space system had the form of the predicative sentential structure appeared to have linear aspects resembling the information structure at that time, in the modern space system the characters of the modern information are changing into the form similar to the hyper-textual structure deviant from the power structure through the process where the meanings and structures of the existing information escape from the hierarchy, scopes, and structures. From these aspects, we learn that the hierarchy-free, scope-free, and structure-free information structure has much influence on the structures of the architectural space. Also, we realize that as the social expectations are changed with the diversity of information environments resulting from the diversification of informational media and the development of network technology, the new features that the modern library ought to have should extend its hitherto roles as a storage of information to more diverse functions as an informational hub, as a business supporting center, as a collaborator for its community, as a media center, as an educational facility, and as space for leisure and rest. Third, we can tell from the analysis of the ubiquitous environment that it shows properties of a non-hierarchical structure of information distribution, non-linear time, a hierarchy-free and structure-free relational structure of space. Also, the analysis presents the ways to interact with the digital space through actual access by the user’s body to the physical space as an approach coincided with such properties. This paper presents the interface with the techniques including haptic, multimodal, augmented reality, user access engine as parts ofthe ways, and explores the ways to make the space approach to the substantiality of computing through the study of distributed object computing as a technique for space computing. To predict the picture of the changed space system in the ubiquitous environment through the process so far, it will be an intelligent space system which can interact with the user and things by objectifying and informationalizing the elements of the physical space. Such an intelligent space system can appear as a distributed space system, as a nomadic space system, and as an extended spatio-temporal structure, and we understand that the creation of surplus spaces due to this enables the extension of the user’s space. Based on the results attained in thisway, we can present the features of the intelligent space system as the four extensive structures: 1) the informationalization of the physical space, 2) the movable structure of the user’s space, 3) the situation-conscious spacesystem, and 4) the non-linear spatio-temporal structure. Also, as the ways of reflecting these properties on the public library, this paper presents 1) intelligent spatial elements and intelligent things for the informationalization, 2) the sensitivity-recognitive mobile structure of space using the intelligent elevator and network as a way of the mobile structure of the user’s space, 3) the On-Off structure of space in accordance with the user’s access in order to realize a situation-recognitive structure of space, and the structure with the mix of the absolute and flexible arrangement structures, 4) amethodology with detailed themes through connective utilization between the physical and digital spaces in order to extend to the non-linear spatio-temporal structure. Furthermore, with some examples of using the detailed methodology and such properties that the intelligent space system in the ubiquitous environment has, this paper confirms that the user-centered space system through the diversified space system program is possible. Through the study of the intelligent space system with the public library that has the intelligent space system in the ubiquitous environment as its model, this paper presents a way of informatioalization based on the distributed object computing by establishing the physical structural elements of the architectural spaces as the entities of computing, and we learn that the intelligent space system built up in this methodology can appear as a space system containing diverse programs enabling an active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user and the things. We expect that such an intelligent space system will be realized soon, and the rate will be enhanced. 본 논문은 유비쿼터스 환경에 내재되어 있는 지능형속성들을 파악하고 현대적 개념의 공공도서관을 모형으로 하여 지능형속성들을 적용시킴으로써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지능형공간구조를 갖는 공공도서관의 가능성을 확인하고 이러한 과정에서 나타나는 현상들을 분석하여 지능형공간구조의 특성을 찾아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의 달성을 위하여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통하여 기술하였다. 우선, 현대적 의미의 공공도서관의 성격과 기대치의 분석을 통해서 유비쿼터스 시대의 공공도서관의 지향점을 파악한다. 방법으로는 정보의 사회적 의미를 알아보기 위하여 사회와 정보구조 변화의 관계성을 알아보았고, 다음으로 현대적 의미의 공공도서관의 요건을 분석하고, 현대공공도서관의 공간에서 나타나는 특성을 분석하였다. 두 번째로, 유비쿼터스 환경의 공공도서관의 공간적 접근방식을 도출하기 위하여 유비쿼터스 환경의 특성을 분석하고,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사용자와 디지털 정보가 공간을 통해 상호관계 하는 것을 가능케 하는 기술로써 신체를 통한 인터페이스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를 통해 유비쿼터스 환경이 내재하고 있는 지능형 공간구조의 속성과 사용자 접근방법을 도출해 내었다. 마지막으로, 앞에서 도출한 지능형 공간의 속성들과 사용자 접근방법을 통해 공공도서관 공간에 적용할 수 있는 방법론과 그러한 방법론을 통한 공간의 활용 방법을 제시함으로써 유비쿼터스 시대의 공공도서관의 모습을 제시하였다. 이 같은 과정을 통해 얻어진 내용들을 더 자세하게 서술하면, 첫째로 정보의 사회적 역할과 역사적인 의미를 통해 현대 사회가 가지고 있는 정보구조가 사회기반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알아보았는데, 특히 현대의 정보 의 의미에서 가장 중요한 하이퍼텍스트의 구조는 탈위계, 탈영역, 탈구조화 등의 성격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게 되었고 이러한 성격이 고전적 정보의 서술적 선형구조와는 확연한 차이를 보인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로 건축공간구조와 관련하여 정보가 서술적 문장구조의 형태를 취하던 당시의 공간구조는 그 당시의 정보구조를 닮아 선형적인 양상으로 나타나는 반면, 현대의 공간구조는 점차 현대 정보의 성격이 기존의 정보가 가지고 있던 의미와 구조가 새롭게 탈위계화, 탈영역화, 탈구조화 되는 과정을 통해서 권력적 구조에서 벗어난 하이퍼텍스트 구조와 유사한 형태로 변화하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러한 양상을 통해서 정보구조의 탈위계화, 탈영역화, 탈구조화가 건축공간의 구조에도 많은 영향을 미치 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게 되었다. 또한 정보매체의 다변화와 네트워크 기술의 발달을 통한 정보환경의 다양성을 통해서 사회적 기대치가 변화하면서 현대적 공공도서관이 갖추어야할 새로운 성격도 그동안의 정보의 저장고로서 역할에서 확장하여 정보의 허브로서, 비즈니스지원센터로서, 지역사회의 협력체로서, 미디어센터로서, 교육시설로서, 여가와 휴식의 공간으로서 등의 더욱 다양한 기능들로 확충되어야 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셋째로는 유비쿼터스 환경의 분석을 통해 유비쿼터스 환경이 비위계적인 정보유통 구조와 비선형적인 시간, 탈중심적이고 탈구조적인 관계적 공간구조로의 특성을 보인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또한 이러한 성격에 부합하는 접근 방법론의 제시로서 사용자의 신체를 통한 물리공간의 실제접근을 통해 디지털공간과 상호관계 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그 방법으로서는 햅틱과 멀티모달, 증강현실, 가상현실, 사용자접근엔진 등의 기술을 통한 인터페이스를 제시하였고, 공간 컴퓨팅을 위한 기술로서 분산객체컴퓨팅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공간을 컴퓨팅의 실체로 접근시킬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였다. 여기까지의 과정을 통해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공간구조의 변화의 모습을 예측하면, 유비쿼터스 환경의 공간구조는 물리공간 요소들을 객체화, 정보화함으로써 공간구조가 사용자와 사물과의 관계에서 능동적으로 상호관계를 할 수 있는 지능화공간구조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지능화공간구조는 분산형 공간구조로, 노마드적 공간구조로, 시공간의 확장구조로 나타날 수 있으며 이로 인한 잉여공간의 창출을 통해 사용자 공간의 확장이 가능하다는 것도 파악하게 되었다. 이렇게 얻어진 결과물들을 토대로 지능형공간구조의 특성을 1. 물리공간의 정보화, 2. 사용자공간 이동구조, 3. 상황인식형 공간구조, 4. 비선형적 시공간구조로 나누어서 크게 네 가지의 주제로 제시할 수 있었다. 또 이러한 특성을 공도서관에 반영하기 위한 방법으로 1. 물리공간의 정보화를 위해 지능형 공간요소와 지능형 사물을 통한 방법을 제시하였으며 2. 사용자공간 이동구조의 방법으로 지능형엘리베이터와 네트워크를 이용한 감성-인식적 공간이동구조를 제시하였고, 3. 상황인식형 공간구조를 구현하기 위해 사용자접근에 따른 공간의 On-Off구조와 절대적 배치공간에 유동적 배치공간의 혼합배치를 통한 구조의 제시를, 4. 선형적인 시공간구조로의 확장을 위해 물리공간과 디지털가상공간 사이의 연계활용을 통해, 각 주제별로 세분화 된 방법론을 제시할 수 있었다. 또한 이러한 유비쿼터스 환경의 지능형공간구조가 갖는 특성과 세분화 된 방법론의 활용 예를 통하여 다양화 된 공간구조 프로그램을 통한 사용자 중심형 공간구조가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렇게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지능형공간구조를 갖는 공공도서관을 모형으로 한 지 능형공간구조 연구는 건축공간의 물리적 구조요소들을 컴퓨팅의 실체로 자리매김하 여 분산객체컴퓨팅을 기반으로 한 정보화 방법을 제시할 수 있었고, 이러한 방법론을 통해 구축 되어진 지능형공간구조는 사용자 및 사물과의 능동적 상호관계가 가능하여 다양한 프로그램을 담는 공간구조로서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러한 지능형공간구조는 머지않아 실현될 것이며 그 속도는 점차 가속화 될 것으로 전망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