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의도 표현의 문어 장르별 실현 양상 연구 : 문형 ‘-려고 하-’‘-고자 하-’‘-기로 하-’를 중심으로 -

        김예슬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905

        본 연구는 의도표현 중 사용 빈도수가 높은 문형 ‘-기로 하-’, ‘-고자 하-’, ‘-려고 하-’가 문어 장르별로 활용되는 양상에 대해 고찰하고자 하였다. 장르는 공동체에서 통용되는 문화의 영향을 받는다. 목표 언어의 문화 맥락에 익숙하지 않은 L2학습자들을 위해 장르와 문형의 상관관계에 대한 체계를 세울 수 있다면 이는 의미 있는 학습전략이 될 것으로 보인다. 본고가 살펴보고자 했던 연구 문제는 크게 세 가지이다. 첫째, 문형 ‘-기로 하-’, ‘-고자 하-’, ‘-려고 하-’의 장르 선호도를 밝히고자 했다. 둘째, 장르마다 실현되는 문형의 담화 기능을 밝히고자 했다. 셋째, 문형의 담화 기능과 형태 특성과의 상관관계를 밝히고자 했다. 특히 위 문형은 서법과 양태를 내포한 어미가 결합하면서 다양한 담화 기능을 파생시킨다. 주목할 점은, 장르별로 활용되는 문형의 담화 기능에 차이가 있다는 점이다. 덧붙여 문형의 담화 기능 중 일부는 정형화된 형태 특성을 갖는다는 점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장르와 문형의 상관관계를 담화 기능과 형태 특성이라는 언어적 특질에 초점을 맞추어 분석을 시도했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문형 ‘-기로 하-‘는 신문기사와 신문논설장르(사설 및 칼럼)에서 가장 높게 추출되었고 문형 ‘-고자 하–‘는 학술논문에서, 문형 ‘-려고 하다’는 수필에서 고 빈도로 추출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곧 문형이 장르의 영향을 받는 다는 것을 방증하는 결과로서 화자가 장르 특성에 따라 선택적으로 의도 표현을 사용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장르에 내포된 의미 자질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내용을 유추할 수 있었다. ① 문형 ‘-기로 하-’는 세 문형 중 [문어성][공식성]에 대한 의미 자질에 대해 가장 높은 선호도를 갖으며 문형 ‘-려고 하-’는 [문어성][비공식성]에 대한 의미 자질에 대해 가장 높은 선호도를 갖는다. 덧붙여 문형‘-고자 하-’은 [문어성][공식성]과 [문어성][비공식성]이라는 의미자질이 문형의 특성을 결정짓는 변별자질이 되지 않는다. ② 문형 ‘-기로 하-’는 [문어성][정보성]이라는 의미 자질에 문형 ’-려고 하-’는 [문어성][이야기성]이라는 의미 자질에 대해 높은 선호도를 보인다. 또한 [문어성][논증성]은 문형들을 변별시키는 의미자질이 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두 번째, 장르마다 실현되는 문형의 담화 기능에 차이가 있다. 세 번째, 문형의 담화기능 중 일부는 정형화된 형태특성을 갖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① 정보전달의 기능은 문형 ‘-기로 하-’에 과거시제가 결합하는 형태로 예외 없이 나타났다. 이는 문형 ‘-기로 하-’에 과거시제가 결합하면 객관성을 담보한 명제를 전달한다는 통사·의미가 작용한 것으로 파악되며 이와 같은 이유로 문형 ‘-기로 하-’는 [정보성]을 내포하는 장르에서 고빈도로 활용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② 전개되는 내용을 미리 알리는 기능은 세 문형에서 공통적으로 추출된 기능으로 두 가지의 형태적 특성을 갖는다. 첫째 일인칭 주어와 공기하며 둘째 ‘-ㄴ다’의 현재형과 결합한다는 점이다. 특히 문형 ‘-고자 하-’는 검토 결과 일인칭 주어와의 공기성이 매우 높았다. 이 때문에 전개되는 내용을 미리 알리는 기능에서 타 문형보다 상대적으로 더 높이 활용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③ 제안을 하는 기능은 청유형으로 실현되었다. 이는 통사 특성 상 문형 ‘-기로 하-’에만 결합이 가능한 조건인데 신문기사를 제외한 모든 장르에서 활용되면서 문형 ‘-기로 하-’의 변별적 기능으로 작용하였다. ④ 덧붙여, 문형’-려고 하-’는 어미와의 결합관계가 세 문형 중 가장 자유로웠다. 그 결과 작가의 논의를 전략적으로 전달하는 효과를 파생시켰다. 따라서 작가의 주관적인 견해가 서술되는 신문사설 및 칼럼장르, 수필장르에서 다양한 담화 기능을 보여주었다. This research aimed to study the aspect of sentence structures ‘-기로 하-’,‘-고자 하-’,‘-려고 하-’ which are repeated with high frequency during expression of intention in the genre of literary language. A system of interrelation between genre and sentence structure in language would be a meaningful learning strategy for L2 learners that are not used to target language and cultural contest. There are three large research questions this article wanted to examine. First, to determine genre preference of the sentence structures ‘-기로 하-’, ‘-고자 하-’, ‘-려고 하-’. Second, to determine the conversational function that are realized in different genre of sentence structures. Third, to determine the correlation between formative characteristics and conversational function of sentence structures. The combination of ending of a word that connotes mood and aspect with sentence structures above especially derives various conversational functions. One thing to take notice of is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conversational function in the usage of sentence structure differing by genre. In addition, part of the conversational function of sentence structure has a standardized formative characteristic. Thus, this research attempted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genre and sentences structure with the focus of conversational function and formative characteristics. The conclusion of this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sentence structure ‘-기로 하-‘ was highly extracted from genre of news articles and new editorials, ‘-고자 하–‘ from genre of academic thesis, and ‘-려고 하다-’ in high frequency from genre of essays. This result, therefore, supports that sentence structure is affected by genre and writers selectively use expression of intention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genre. With the foundation of semantic features contained in genres, following information can be inferred. ① The sentence structure ‘-기로 하-’has the highest preference in semantic features of [literary characteristic][formulaic characteristic] and ‘-려고 하-’has the highest preference in semantic features of [literary characteristic][unformulaic characteristic]. Additionally, the sentence structure ‘-고자 하-’ does not contain differentiative features that determinethe nature of sematic features between [literary characteristic][formulaic characteristic] and [literary characteristic][unformulaic characteristic]. ② The sentence structure ‘-기로 하-‘ shows high preference of sematic feature in [literary characteristic][informative characteristic] and sentence structure ‘-려고 하-’ in [literary characteristic][conversational characteristic]. Also, [literary characteristic][demonstrative characteristic] can be seen as a semantic feature that distinguish does not sentence structures. Second, it can be shown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conversational function that are expressed in different genre of sentence structures. Third, it can be shown that some parts of the conversational function in sentence structure have a standardized formative characteristic.. ① The function in information delivery appeared with no exception in the shape of combining sentence structure ‘-기로 하-’ with past tense. It can be analyzed when sentence structure‘-기로 하-’ and past tense combined, the syntax and definition worked to deliver propositional context that guarantees objectivity. For such reason, it can be shown that sentence structure ‘-기로 하-’ is used in high frequency in genre that contains informative characteristics. ② The function to portray content in advanceis a function that is extracted from all three sentence structures in common with two types of morphological function. First, it collocates withfirst-person subject and second, that ‘-는다’ combines with present tense. Especiallysince the result of examination of sentence structure ‘-고자 하-’ showed a very high collocation function with first-person subject, it was verified that thefunction to portray contentsin advancewas relatively used more highly compared to other sentence structures. ③ Propositional functions were expressed in suggestive form. This is a condition that is only possible combined with sentence structure ‘-기로 하-’ due to its characteristic of syntax. This was used in all genre with the exception of new articles acting as distinctive feature of sentence structure ‘-기로 하-’. ④ In addition, the sentence structure ‘-려고 하-’ showed the most unconstrained combination relationship with the ending of words. This derived effect of delivering writer’s discussion strategically. Therefore, it showed a various conversational functions in editorials where writer’s subjective point of view is narrated as well as column genre and essay genre.

      • Larry King Live에 나타난 제도적 상호작용 분석 : 질문의 다양성과 대화 구조

        이승희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2001 국내석사

        RANK : 2586

        본 논문은 질문의 다양성과 대화 구조를 통해 Larry King Live에 나타난 제도적 상호작용을 대화 분석의 구조적 관점에서 고찰하고자 한다. 질문의 다양한 사용과 대화 구조를 조직해 나가는 방법을 Larry King Live에 나타난 제도성과 관련하여 분석함으로써, 본 논문은 질문에 대한 언어학적 연구와 대화적 행위가 특정 상호작용의 맥락에 의해 결정된다는 사회언어학적 연구에 기여하고자 한다.질문의 다양성은 구조적 관점에서 그 언어적 형태와 의사소통적 기능을 바탕으로 하여 분석하였다. 언어적 형태는 크게 의문문과 비의문문의 두 범주로 분류하였는데 통계적 분석의 결과 의문문의 형태가 많이 사용된다는 것이 나타났다. 의사소통적 기능은 크게 정보 추구의 기능과 상호작용 관계 및 말투의 처리 기능의 두 범주로 분류하였다. 정보 추구의 기능은 다시 지시적, 규정적, 의사소통적 질문의 세 범주로 나누었으며, 상호작용 관계 및 말투의 처리 기능은 상호작용 관계 처리의 기능과 말투의 표현 기능으로 나누었다. 통계적 분석의 결과에 따르면 Larry King Live 진행자에 의해 발화된 질문은 대부분이 정보 추구의 기능을 수행하는 반면 초대자들에 의해 발화된 질문은 대부분이 상호작용 관계 및 말투의 처리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제도적 역할과 질문의 특정 기능 사용은 제도성 수행에 의해 비롯된 것이라 할 수 있다. 또한 통계적 분석의 결과 질문의 언어적 형태와 의사소통적 기능간에도 밀접한 상호 관계가 있음이 나타났다. Larry King Live의 제도성은 이러한 질문의 사용 뿐 아니라 대화 구조의 조직에서도 나타난다. 곧 대화자들은 언어적으로는 질문과 답을 사용하고 또한 대화 The present thesis presents an analysis of institutional interaction on Larry King Live in terms of the use of questions and the organization of conversation structure from a sequential perspective within the framework of conversation analysis. By analyzing these two in relation to the interactants’ management of institutional orientation toward Larry King Live, this thesis contributes both to the linguistic study of questions and to the sociolinguistic study of conversational activity as dependent upon interactional and sequential contexts, both of which are essentially interrelated.The identification of questions is accomplished on the basis of their linguistic forms and communicative functions from a structural perspective. Linguistic forms of questions are classified into two major categories of interrogative syntactic forms and non-interrogative forms. Quantificational analysis reveals that interactants on Larry King Live overwhelmingly employ interrogative syntactic form as a resource for producing and interpreting questions. Communicative functions of questions are classified into two major categories: elicitation of information and of management of interactional relationship and expressive style. The function of elicitation of information is subcategorized into referential questions, regulative questions, and communicative questions; the function of management of interactional relationship and expressive style is subcategorized into management of interactional relationship and representation of expressive style. Quantificational analysis reveals that the majority of questions produced by the show host carry the function of elicitation of information, especially referential questions, while those produced by the show guest(s) carry the function of management of interactional relationship and expressive style. The correspondence between linguistic form and communicative function of questions is substantiated by the quantificational analysis. The or

      • 고전을 활용한 웹툰 창작 연구론 : 웹툰 <심봉사전>을 중심으로

        서강용 국립순천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570

        이 논문의 목적은 고전 서사를 웹툰으로 재해석하는 과정을 탐구하여, 이를 통해 새로운 스토리텔링 방식과 가치 창출에 대한 통찰을 제공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고전 서사와 디지털미디어의 융합, 고전 서사의 스토리텔링 변용의 유형, 해외고전을 활용한 웹툰 사례와 <심청전>을 활용한 본인 작품 <심봉사전>을 분석하여, 고전 서사를 활용한 스토리텔링의 일반적 요소와 외부적 요소의 형태를 확인하는 데 있다. 웹툰의 스토리텔링은 무의식구조로 나열되는 것이 아닌, 일정한 형식과 단락을 갖추고 있다. 이는 고전 서사를 변용한 웹툰 역시 마찬가지이며, 시나리오를 효과적으로 진행하기 위해서는 스토리텔링의 이론적 연구와 실용적 적용이 병행되어야 한다. 또한 원전의 예상 가능한 전개는 구현이 아닌 재현으로서의 의미만을 가질 수 있기에, 매체 변환, 시대 상황, 상호작용에 의한 소통 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사유를 바탕으로 고전을 활용한 웹툰이 어떻게 재해석 되는지, 어떤 스토리텔링을 가지는지에 분석하였고 통시에, 원전의 캐릭터, 모티프, 문장과 같은 세부적인 요소들을 활용한 디테일한 변화방법에 관한 분석이 이루어졌다. 결론적으로, 고전 서사를 웹툰으로 재해석하는 과정에서 외부적인 요소가 중요하게 작용한다는 것에 대해 확인하였다. 또한, 이러한 변형과 적용은 단순히 원작을 디지털 미디어로 옮기는 것이 아니라, 원작의 문화적, 사회적 맥락을 이해하고 이를 현대적인 맥락으로 재해석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이를 통해, 고전 서사를 웹툰으로 재해석하는 것은 새로운 스토리텔링 방식을 창출하고, 독자들에게 새로운 가치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는 고전 서사를 웹툰으로 재해석하는 방법론을 제시하며, 웹툰 작가들이 고전 서사를 효과적으로 활용한 독창적인 작품을 창출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기를 기대해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