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Adapting South Korean Television Formats to the US : A comparative analysis of Grandpas Over Flowers (꽃보다 할배) and its US adaptation Better Late Than Never

        Morant Diaz Alma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943

        Traditionally, South Korea had limited its format trade business only to Asian territories; but with the adaptation of the format of Grandpas Over Flowers (TvN) to the national American broadcasting channel NBC as Better Late Than Never, for the first time in the television history, a Korean format was exported to an occidental country. On this research, taking as starting point the interview of Michael Esser, head-writer of the adaptation of Yo Soy Betty la Fea in Germany, where he suggested that more than focusing on the cultures of each country, the “most important in the adaptation process is to find and define the universal needs of the format.” (in Esser, 2013); we make a comparative analysis of both programs, focusing on the “knowledge elements” of the Paper Format described by Moran (Moran & Malbon, 2006), to determine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two versions and through those results pin point the “universal needs” of the format Grandpas Over Flowers. As a result, being an open format, we depicted numerous differences between both formats in ways of structuring and showing their narratives, as well as the method of filming like camera-work or editing methods; however there are equivalences between the roles of the “grandpas” inside the group and, moreover, the basic elements of the format, that differentiate the show form other programs, have been maintained in the adaptation. We concluded that the numerous differences between both versions demonstrate the lack of influence that the Korean production companies still have in the Occidental format market and we try to make a recommendation to correct this. On the other hand, we also determined that the concept of four elder celebrities on a trip oversees with the company of a younger celebrity and the objective of showing a rout to communication between generations as the “universal needs” of the format. We consider that keeping these two elements unchanged, the format will be able to travel and adapt to any country and culture in the world because the difficulty of interaction between generations is common to any country around the world; therefore the program poses an example of interaction between both generations showing how despite their age, older people can also live their life to the fullest and learn from the younger generations. 한국의 TV포맷 수출은 한동안 아시아 지역 국가를 대상으로 제한되어 있다가 최근에는 미국과 유럽 등 서양으로 그 대상이 확대되었다. 본 연구가 다루고 있는 <꽃보다 할배> 포맷의 경우, 한국 예능 프로그램으로서는 최초로 미국의 대형 방송사 NBC에 수출되어 포맷 수출시장을 아시아권에서 세계 콘텐츠 강국인 미국으로까지 확장시켰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 하다. 특히 본 프로그램은 지난 2016년 8월에 <Better Late Than Never>의 이름으로 방송되었고, 동시간대 시청률 1위를 차지함으로서 앞으로서 한국 포맷의 수출에 긍정적인 기대를 갖게 한다. 일반적으로 성공적인 프로그램의 현지화를 위해서는 각 나라의 문화코드에 맞춰 완전히 새로운 프로그램이 제작되어야 한다는 입장(Moran) 이 여전히 유효하지만, 여러 사례를 통해 검증된 바 독일에서 현지화된 드라마 <Yo Soy Betty La Fea>의 메인 작가 Michael Esser가 말했듯이 ‘프로그램 현지화 과정에서는 포맷의 보편적인 필요성 (universal needs)을 찾는 것이 가장 핵심적인 과정’인 것으로 이야기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tvN <꽃보다 할배>와 <Better Late Than Never>를 컨셉, 플롯, 서사구조, 등장인물, 자막, 카메라-워크, 편집과 배경 음악 등 포맷의 핵심적 요소들을 비교분석함으로서 그 유사점과 차이점을 정리하며, 결과적으로 <꽃보다 할배>의 포맷의 ‘보편적인 필요성’을 도출해 내는 것을 연구의 일차적 목표로 삼았다. 연구 결과 서사구조, 자막, 카메라-워크, 편집과 배경 음악 등 각 요소에서 한국 프로그램과 미국 프로그램에는 크고작은 차이점들이 발견돼서 서양 포맷 마켓에서 한국 회사들이 아직 힘이 얻어야 된다고 생각 했지만, 그 포맷이 가지고 있는 ‘보편적 필요성’의 측면에서는 주요 캐릭터의 역할의 유사성, ‘할배 네 명과 젊은이가 함께하는 해외여행’이라는 메인 컨셉, 그리고 ‘젊은 세대와 구세대 사이의 소통방법을 드러내기’를 프로그램의 목적으로 삼는 등 공유점이 선명하다. 이것은 한편, 전 세계 어느 문화권에서도 소구 가능한 ‘신세대와 구세대의 소통’이라는 유니버설한 주제를 다룰 수 있는 포맷으로서의 경쟁력을 증명한 것으로 평가될 수 있을 것이며, 각 문화권에서의 디테일한 변화를 포함한 현지화는 ‘구세대와 함께 살아가는 방법’ 혹은 ‘세대간의 대립이 아닌 상호보완적 관계의 가능성’ 등으로 주제 자체의 확대 및 변용을 예측케하는, 진정한 의미의 현지화 가능성을 엿보게 해준다.

      • 부모와의 분화 수준 및 집으로부터의 지각된 거리와 심리적 대학생활 적응의 관계 : 부모와 비동거하는 대학생을 중심으로

        신연희 광운대학교 상담복지정책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943

        청소년기는 발달적 변화와 환경적 변화가 동시에 발생하는 시기이고, 사회적 성숙과 성인기의 준비단계인 청년기의 사회적 적응은 부모로부터의 심리적 독립과 함께 청년기에 수행해야할 중요한 발달과업 중의 하나로서 이 때 형성되는 적응양식은 일생동안 개인의 적응체계의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더욱이 가족으로부터 떨어져 사고하는 기회가 증가하므로 그 속에서 처음 겪게 되는 적응상이 문제에 대한 결정과 판단을 하는데 어려움을 많이 느끼게 된다. 특별히 집으로부터 떠나 생활하는 대학생들에게 있어서 부모와의 분화 수준과 집으로부터 지각된 거리는 그들의 정서적 또는 환경적 적응을 예언하는 중요한 변인으로 보여 진다. 이에 본 연구는 대학 재학 시기의 개인 내적 문제 해결과 관련하여, 특히 부모와의 관계성, 더 깊이 말하여 부모와의 분화 수준과 또 집으로부터 지각된 심리적 거리가 심리적 적응에 미칠 것으로 보고, 부모와 비동거하는 대학생들에 대하여 그들 부모와의 분화 수준 및 집에서부터 지각된 심리적 거리가 그들의 대학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과 지방에 소재하고 있는 4년제 대학에서 부모와 비(非)동거하는 남녀 대학생 734명이었다. 부모와의 분화 수준을 측정하기 위해 전연진(2002)이 개발한 원가족 분화경험 척도를 사용하였고, 지각된 집으로부터의 거리 측정은 부모가 있는 집으로부터의 거리가 얼마나 멀게 느껴지는가를 묻는 9점 척도 문항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대학생의 적응을 측정하기 위하여 Baker와 Siryk(1984)이 제작한 후 정은희(1993)가 번안하여 우영호(2008)가 사용한 대학생활적응 설문지(SACQ)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부모와 비동거하는 대학생의 부모와의 분화와 지각된 집으로부터의 거리는 대학 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검증을 위해 먼저, 부모와의 분화수준이 대학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상관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는 부모와 비동거하는 대학생의 부모와의 분화수준은 대학 생활 적응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 지각된 집으로부터의 지각된 거리가 부모와의 분화와 대학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상관과 단계적(stepwise)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상관분석에서는 지각된 심리적 거리와 대학 생활 적응은 부적인 상관을 나타내었다. 즉, 추가적으로 물리적 거리도 함께 조사되었는데, 물리적 거리가 대학 생활 전체 적응에 정적인 상관을 보이고 있었다. 즉, 거리가 멀수록 대학 생활 적응을 잘한다고 조사되었다. 지각된 집으로부터의 거리와 부모와의 분화가 대학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지각거리를 통제한 상태에서의 단계적 중다회귀분석 결과는 지각된 집으로부터의 거리와 부모와의 분화는 대학 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와 비동거하는 대학생의 성별에 따라 미치는 효과가 달라지는 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남학생 집단과 여학생 집단을 분리하여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남자대학생의 경우, 지각된 집으로부터의 거리와 부모와의 분화 두변인 모두 대학 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쳤지만, 부모와 비동거하는 여자대학생의 경우는 지각된 집으로부터의 거리보다 부모와의 분화가 더 크게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종합적으로, 부모와 비동거하는 대학생의 지각된 집으로부터의 거리와 부모와의 분화는 대학 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므로, 향후 부모와 비동거하는 대학생들의 대학 생활 적응에 효과적인 자원을 설정하는데 기초가 될 것이며, 나아가 관련된 상담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선행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The adolescence is the period which shows both the developmental changes and environmental changes. The social adaptation of the youth, the preparatory phase for social maturity and adulthood, is an important developmental task, along with the psychological independence from parents, that must be executed by the youth, and the adaptive style formed at this point in life can affect the individual adaptive system for life. Furthermore, the increase in the frequency of their opportunities to think, away from their family, makes it difficult for them to solve and make a decision on conflicts in adaptation that they experience for the first time. Particularly for college students who live away from home, the perceived distance from home and the degree of the separation from their parents seem to be important variables that can predict their emotional and environmental adaptation. Therefore, this study, in relation to the individual’s internal problem solving process during their college years, assumes that the relations between them and their parents, specifically, the degree of the separation from their parents and the perceived distance from home will affect their psychological adaptation, and aims to determine the effect of such a degree of the separation and the perceived distance from home on their adaptation to their college life. The study targeted 734 male and female students in four-year colleges, locate either in Seoul or the other regions, who do not live with their parents. To measure the degree of the separation from parents, the study used the distant family separation experience scale, developed by Jeon, Yeon Su (2002), and the perceived distance from home was measured in a nine-scale question that asks about the felt distance from where they are to the house in which their parents live. Also to measure the students’ adaptation, the study used the student adaptation college questionnaire (SACQ), which was first created by Baker and Siryk (1984), adapted by Jeong, Eun Hee (1993), and used by Woo, Yeong Ho (2008). The result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separation of the college students from their parents and the perceived distance from home affected their adaptation to college life. To verify the result, the study first conducted the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that determined the effect of the degree of the separation from their parents on the adaptation to college life. The result showed that the degree of the separation of their parents played a negative effect on their adaptation to college life. To determine the effect of the perceived distance from home on the degree of the separation from parents and the adaptation to college life, the study conducted the correlation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The result of the correlation analysis showed that the perceived distance was in a negative relation to the adaptation to college life. The study also examined the physical distance, which showed a positive relation to the overall adaptation to college life. In other words, the more the perceived distance from home is, the better they adapted to college life. The result of the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y which the effect of the perceived distance from home and the degree of the separation from their parents was evaluated showed that both variables affected the adaptation to college life. To determine whether the effect on the adaptation to college life changes by the sex of the students, the study divided the students into the male and female groups and conducted the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each of these groups. The result of the analysis showed that, for the male group, both variables affected the adaptation to college life; for female students, however, the separation from parents affected the adaptation to college life more than the perceived distance from home did. In conclusion, the perceived distance, and separation from parents, of the college students who do not live with parents affected the adaptation to college life. It is believed that the result of this study will be used as the basic data based on which effective resources for the adaptation to the college life of college students who do not live with parents, and furthermore, it will become preliminary data for the development of counseling programs concerning the adaptation to college life.

      • 『주홍색 연구』 각색과 매체 변환

        장아해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943

        본 논문은 매체 변환, 각색자, 시청자에 대해 중점을 둔 허천의 각색 이론에 기초하여 <분홍색 연구>에 대해 논의한다. 기존의 셜록 홈즈 각색 연구는 주로 각색 작품이 얼마만큼 원전을 잘 반영하고 있는지에 대해 논의했다. 본 논문은 각색에 초점을 두고 있을 뿐만 아니라 기존에 주요하게 다뤄지지 않았던 각색자와 시청자를 다룸으로 각색을 보는 시야를 넓히고자 한다. 본 논문의 제 2장에서는 텍스트인 『주홍색 연구』가 영상 매체인 <분홍색 연구>가 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밖에 없는 원전의 축소와 영상의 특징과 청각적인 요소에 대해 논의한다. 뿐만 아니라 매체 이동 과정에서도 여전히 유지되고 있는 주인공의 계급적, 인종적 특징에 대해 검토하며, 변화한 젠더의 위치에 대해 논의한다. 제 3장에서는 <분홍색 연구>의 제작자인 모팻과 게이티스가 『주홍색 연구』를 이해하고 재창조하는 과정을 다룬다. 이들은 21세기 시청자들의 시점에 맞추어 홈즈와 왓슨을 동시대로 불러온다. 그리고 원전에서는 드러나지 않았던 동성애에 대한 시선을 <분홍색 연구>에 첨가함으로써 섹슈얼리티를 바라보는 시대적 변화를 반영한다. 제 4장에서는 <분홍색 연구>의 시청자와 원전의 팬을 함께 다룬다. 모팻과 게이티스는 작품에 대한 선지식이 있는 시청자들의 반복적인 시청을 유도하기 위해 다양한 장치들을 드라마 전반에 숨겨둔다. 선지식이 없는 이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부가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상품도 생산한다. 또한 모든 시청자들이 작품을 공유할 수 있도록 온라인을 통해 시청자들과 소통하는 방식에 대해서 검토한다. 이를 통해 본 논문에서는 각색의 세 가지 중요성을 밝혀낸다. 원전과는 다른 매체로의 각색을 하는 경우, 원 매체와 변환 매체의 장점을 부각시켜 활용해야 한다는 것을 보여 준다. 그리고 각색자인 모팻과 게이티스가 원전을 창조적으로 각색한 것이 성공의 핵심 요소이다. 마지막으로 <분홍색 연구>의 시청자들이 작품에 반응하고 참여하는 방식 또한 각색에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Focusing on the media conversion, the adapter, and the TV audience, this thesis examines “A Study in Pink” based on Hutcheon’s theory of adaptation. Previous studies on the adaptation only deal with how well they modify the original text of Sherlock Holmes. This thesis, however, concentrates not only on the adaptation but also on the adapter and the TV audience, which have been less often examined. This thesis intends to broaden the idea of adaptation by embracing these important areas. Chapter Ⅱ of this study examines the changes when the novel was adapted for the drama. In the adaptation of A Study in Scarlet to “A Study in Pink,” cutting and narrowing of the original text inevitably happened. Chapter Ⅲ reveals how the adapters, Moffat and Gatiss, understand A Study in Scarlet, and how they recreate the text. Chapter Ⅳ discusses the fans of the original text and the TV audience of “A Study in Pink.” This chapter also examines the online world where the adapters allow the TV audience to interact with the show. This thesis points out three important aspects of the adaptation. First, the original text and the adaptation might have similarities, but they also have differences, and some elements are only highlighted in the adaptation because of the media conversion. Secondly, Moffat and Gatiss’s creative adaptation of the original text is a key factor in bringing the story successfully to a modern audience. Finally, since both the fans of the original text and the TV audience are important for the success of the adaptation, adapters provide multiple materials and online world for them.

      • 국가별 기후변화 적응정책과 총요소생산성간의 관계 연구 : 기후변화 패턴과 소득 수준을 중심으로

        박현용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943

        기후변화로 인해 전 지구적으로 심각한 피해가 나타나고 있는 등 우리 인류의 생존에 심각한 위협이 되고 있다. 지금 당장 온실가스 배출을 중지하더라도 향후 100년 동안 지구 평균 기온은 적어도 1℃이상 상승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지금 우리 인류는 온실가스 감축과 함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기후변화가 국가별 총생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특히 국가별 기후변화 적응능력이 기후변화로 인한 피해를 저감하고 총요소생산성으로 측정되는 국가총생산에 어떠한 기여를 하는지를 분석하였다. 동시에 국가들을 기후변화 강도와 소득수준으로 구분하여 국가유형별 기후변화의 영향과 적응정책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기후변화와 국가총생산간의 관계에 대한 모형(모형 1) 분석결과 기후변화 자체는 경제의 불확실성을 높여 국가총생산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온과 강수량 모두 총요소생산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하지만 국가들의 기후변화 적응능력을 고려한 모형(모형 3)을 분석한 결과 기후변화에 대한 적응능력을 높인 국가들은 기후변화로 인한 피해를 줄이고 더 나아가 기후변화를 이용해서 국가총생산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 세계적으로 가장 효과적인 기후변화 적응 정책 수단은 기대여명을 증가시키는 정책과 민간보험시장을 활성화 시키는 정책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책으로 분석되었다. 기후변화에 적응하기 위한 보건의료 서비스를 개선하는 것과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보험시장 등 금융시장을 활성화하는 정책이 효과적인 대응이라고 할 수 있다. 기후변화 강도에 따라 국가들을 네 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기후변화가 가장 심한 1그룹(Black Group)은 평균 기온이 상승할 때 국가총생산은 감소하였다. 효과적인 기후변화 적응정책은 기대여명 증가, 에너지 소비 절감 그리고 연구개발 인력양성 정책이었다. 2그룹(Red Group)도 평균 기온이 상승하면 총생산이 감소하였다. 효과적인 적응정책은 안정적인 식량공급, 의료보건 인력양성, 연구개발 인력양성 그리고 위생시설 공급확대 정책이었다. 3그룹(Yellow Group)은 최고 기온의 상승하면 총생산이 감소하였다. 의료보건 인력양성, 민간금융 활성화, 위생시설 공급확대, 안정적인 식량공급 그리고 연구개발 인력양성 정책이 효과적인 적응정책 수단이었다. 4그룹(Green Group)은 기후변화와 국가총생산간 유의미한 관련성이 없었다. 효과적인 적응정책은 기대여명 증가, 민간금융 활성화 그리고 의료보건 인력양성 정책이었다. 기후변화 정도가 크게 나타나는 국가들은 정부의 적극적인 개입이 효과적인 정책이었다. 반면 기후변화가 심하지 않은 국가들은 민간 부문을 중심으로 기후변화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효과적인 정책이었다. 국가별 소득수준에 따른 기후변화의 영향을 보면, 선진국의 경우 평균 기온이 상승할 때 국가총생산도 증가하였다. 높은 생활수준을 유지할 수 있는 안정적인 식량공급, 의료보건 서비스 확대 그리고 에너지의 안정적 공급 정책이 필요하였다. 중진국의 경우 기후변화와 총생산간 유의미한 관련성이 없었다. 기대여명 증가, 안정적 식량공급, 의료보건 인력양성, 연구개발 인력양성, 첨단산업 육성 등 다양한 정책이 기후변화에 효과적으로 적응하고 국가총생산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저개발국의 경우 평균 기온 상승은 국가총생산을 하락시켰다. 농업 중심의 산업구조로 인해 강수량 증가와 최고 기온 상승은 국가총생산을 증가시켰다. 저개발국은 기후변화 적응인프라가 부족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으로 기후변화 피해를 줄이고 총생산을 증가시키는데 효과적인 정책수단이 없었다. 본 연구결과 기후변화가 심한 국가는 적응능력이 단기간에 급격히 향상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온대와 한대 기후에서 기후변화가 크게 나타나고 있고, 이곳에 위치한 선진국들은 기후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하여 적응능력이 높아졌다. 이로 인해서 선진국과 저개발국간 적응능력의 격차가 더 커지게 되었다. 저개발국의 경우 취약한 기후변화 적응 인프라로 인해서 피해가 심화되고 있으며 전 지구적인 대응과 저개발국에 대한 인력지원과 인프라 구축 지원이 필요하다. 우리나라의 경우 기후변화가 상대적으로 심하지 않은 국가였으며 효과적인 적응정책은 기대여명 증가, 민간보험 활성화, 의료보건 인력양성, 연구개발 인력양성이었다. 특히 출산율 하락과 급격한 고령화를 맞이한 상황에서 민간보험 시장 활성화를 위한 지원과 기후변화를 산업으로 활성화할 수 있는 전문 인력양성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기존 취약성 평가 중심의 기후변화 적응연구를 적응능력과 적응정책 연구로 확대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후 연구에서는 기후변화 적응능력 평가 모형에 대한 검증, 기상재해가 국가총생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그리고 국가별 기후변화 적응능력 평가와 적응정책 방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Because of climate change, humanity is faced with a major crisis. Even if greenhouse gas emission stops right now, the average temperature of the earth is expected to rise at least 1 ℃ over the next 100 years. We human beings are in need of climate change adaptation efforts with greenhouse gas reduction. This study analyzes how climate change affects the national gross domestic product. In particular, it is focu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limate change and total factor productivity parameters in climate change adaptation capacity. At the same time, after separating the countries with climate change intensity and income levels, it analyzes the effects of impacts and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policy by the country type. Applying the analysis model 1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limate change and national GDP came to a result that climate change itself reduces the national gross domestic product by increasing the uncertainty of the economy. Both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have a negative impact on total factor productivity. However, applying model 3 which considers the climate change adaptation capabilities of the country showed that countries which are enhanced with national capacity to adapt to climate change are proved to reduce climate change damage and furthermore to increase the national gross domestic product by using climate change. Statistically the most effective climate change adaptation policies were to increase the life expectancy and to activate the private insurance market. In order to adapt to climate change effectively, countries should improve health care services and enable the insurance market to respond to climate change. The analysis divided countries into four types depending on the intensity of climate change. With group 1 (Black Group), the most severe climate change countries, the GDP decreased when the average temperature rose. For the group 1, effective climate change adaptation policies were increasing life expectancy, reducing energy consumption and training R&D human resources. With group 2 (Red Group), like group 1, the GDP decreased when the average temperature rose. For the group 2, effective adaptation policies were stable food supply, health care training, R&D workforce and sanitation supply expansion. In case of group 3 (Yellow Group) when the highest temperature rose, the GDP decreased. Health care workforce, private financial service activation, sanitation supply expansion, stable food supply and R&D workforce adjustment policy were effective policies for group 3. With group 4 (Green Group) there was no significant relevance between climate change and national GDP. For the group 4, effective adaptation policies were the increased life expectancy, health care workforce and private financial service activation. In case of the countries that climate change varies greatly, aggressive intervention policies worked effectively. On the other hand, where the climate change is not severe, it is effective to respond to climate change by focusing on the private sector. Considering the impact of climate change with national income in developed countries, the national GDP increased when the average temperature rose. Stable food supply by which can maintain the high standard of living, health care service expansion and policy of stable energy supply were necessary. In case of developing countries, there was no significant relevance between climate change and GDP. A variety of policies such as increasing life expectancy, stable food supply, training health care and R&D work force and developing high-tech industries have been proved effective to adapt to climate change and to increase the national GDP. For underdeveloped countries, the national GDP decreased when the average temperature rose. Because of the industrial structure centering on agriculture, the increase of rainfall and a rise in the highest temperature caused to increase the national GDP. There was no statistically effective policy for the underdeveloped countries to reduce the damage of climate change and to increase the national GDP because there was shortage of infrastructure to adapt climate change. As a result,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adaptive ability of the countries which have severe climate change are proved to improve fast in the short term. In particular, climate change appears largely in the Temperate Zone and the frigid zones. The developed countries which are located in the forementioned zones have became adaptable to climate change by responding actively. This caused to differ greatly the gap in ability of adaptation between the developed and the underdeveloped countries. In case of the underdeveloped countries, the damage of climate change is intensifying due to weak infrastructure. They need work force and financial support to train personnel and to build infrastructure. And this must be from the global response. In case of Korea where climate change was not severe, effective adaptation policies were increasing life expectancy, activating private insurance and training health care and R&D work force. In particular, considering Korea is becoming an aging society with the birth rate decline, it requires two things. First, the support to activate the private insurance market. Second, nurturing professional work force who can promote climate change ‘industr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respect that it expanded the scope of research of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The existing studies have focused on evaluation of weakness, however, this study extends the focus onto the adaptability and policies to climate change. In the subsequent studies, the following issues should be dealt with, such as verifying climate change adaptation assessment model, measuring the impact of meteorological disasters on national GDP, evaluating climate change adaptability by nations, studying on the policies of climate change adaptation.

      • 재한 중국인 유학생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희망의 매개효과

        유아신 우석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943

        1. 본 연구는 전라북도 지역 소재의 대학교에 재학중인 중국인 유학생 497명을 대상으로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희망의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주요 측정도구는 대학생용 문화적응 스트레스 척도, 희망 척도, 대학생활적응 척도를 사용하였다. 인구 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대학생활적응의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독립표본 t-test와 분산분석을 실시하였고 사후검정으로 Scheffe을 사용하였다. 연구 검증을 위해 연구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Process Macro를 통해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2.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 유학생의 대학생활적응은 나이, 체류기간, 신분, 한국어 능력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지만 성별에 따라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문화적응 스트레스, 희망, 대학생활적응을 구성하는 변수들 간에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적응 스트레스는 희망, 대학생활적응과 유의미한 부적 상관을 보였으나 희망과 대학생활적응은 유의미한 정적상관을 보였다. 셋째, 중국 유학생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희망의 부분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즉, 문화적응 스트레스는 희망을 매개로 하여 대학생활적응의 감소와 유의미한 관계를 맺고 있는 것을 뜻한다. 3. 이와 같은 본 연구의 결과는 중국인 유학생이 어느 부분에서 주된 스트레스를 받고 있는지 확인하여 스트레스 수준을 낮추고 보다 더 효율적인 대학생활을 할 수 있도록 적응 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개인이나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에 활용하고자 한다. 재한 중국 유학생뿐만 아니라 다른 나라에서 온 유학생들에게도 비슷한 현상이 일어날 수 있으므로 다양한 대상에게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1.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 of hop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cculturative stress and university life adaptation among 497 Chinese students based in Jeollabuk-do. Major measurement tools used acculturative stress scales, hope scales, and college life adaptation scales for college students.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analysis of variance were conducted to check if there were differences in university life adaptation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Scheffe was used as a follow-up test. Correlation among research variables was analyzed for research verification and the mediated effect was verified through Process Macro. 2.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djustment of Chinese students to university life in Korea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their age, length of stay, status, and Korean language ability,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the gender of Chinese students in Korea. Second, it was found to be significant among the variables that constitute cultural adaptation stress, hope and university life adaptation. The cultural adaptation stress showed a significant amulet correlation with hope, university student adaptation, and a significant amulet, but there was a significant static correlation between hope and university life adaptation. Third,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of hope was verifi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ultural adaptation stress and university life adaptation of Chinese students in Korea. This means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hope, the less impact cultural adaptation stress has on college life adaptation. In other words, cultural adaptation stress means having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the decrease in university life adaptation through hope. 3.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d to develop counseling programs that can help Chinese students in Korea experience major stress and improve their level of adaptation so that they can lower their stress levels and have a more efficient college life. It is meaningful that this study provided basic data that can be applied to various subjects as similar phenomena may occur not only for Chinese students in Korea but also for international students from other countries.

      • Development by Cumulative Adaptation of Riverside Slums in Phnom Penh : Exploring Linkages between Adaptation, Coping, and Development

        양재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943

        Adaptation is increasingly discussed in inter-disciplinary research, due to the global threats from climate change. The development literature suggests that adaptation is a possible strategy for sustainable development, terming as 'development by adaptation'. However, 'development by adaptation' has been relatively under-researched at household level. This thesis argues that it could be examined by exploring linkages between short term coping, adaptation and development at the household level. The purpose of the thesis is therefore to explore linkages between adaptation, coping, and development in order to unveil the process of development by adaptation at the household level, through the case study of Phnom Penh (the capital of Cambodia), riverside slum households and flooding. Two research questions were set. First, how do the riverside slum households of Phnom Penh cope with flood vulnerability? Second, how is the short-term coping of the households related to long-term adaptation and development? The thesis introduces the concept of‘development by cumulative adaptation’ to answer these research questions. The thesis applies mixed methods for analysis including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ethods, based on 119 questionnaire surveys and 26 interviews in the nine slum communities in Phnom Penh. Chapter 4 answers the first question by examining flood vulnerability and the actual coping strategies used in riverside slum households in Phnom Penh. Flood vulnerability and coping are analysed with respect to exposure, sensitivity, and adaptive capacity. The households are sensitive and exposed to multiple issues, including food shortages, disease, injuries, disrupted education, income decreases, insufficient money, the destruction of houses, lost belongings, damaged infrastructure, and negative impacts on social capital. Slum households attempt to cope with each type of exposure with limited capital. Chi-square tests of independence showed that changes in livelihoods have a significant relationship to certain coping strategies. This implies that successful coping is based on activeness, transformation, and social support from relatives, communities, and the government. Based on the results in Chapter 4, Chapter 5 investigates the process of development by adaptation at household level and the concept of ‘development by cumulative adaptation’. Unlike planned development at national level, households also need to face unexpected and unplanned development in their ordinary lives. In this sense, achieving successful coping, which would reduce exposure, reduce sensitivity, and increase adaptive capacity, is a key issue in reducing vulnerability at the household level. This successful coping has to take place not just once, but cumulatively so as to achieve adaptation in the long term. In other words, the process of development by adaptation is based on cumulative results of favourable coping over time. The concept of ‘development by cumulative adaptation’ allows us to understand the reasons why the slum households are failing to adapt in two ways. First, most households fall into constant trajectories of ‘underdevelopment by cumulative maladaptation’ with inactive and path-dependent coping and a lack of social support. The second point is that successful coping is rarely performed continually and sustainably. An example is the single case support from the government and NGOs, erosive coping, and non-persistent transformation. The thesis highlights successful cases, showing that collective action plays an important role in converting the downward trajectories into development by cumulative adaptation. First, unlike action taken by the government and NGOs, collective action is relatively common and sustainable in that communities can provide contextual support. Secondly, collective action can involve monitoring the erosive coping strategies of households. Thirdly, most of transformative measures tend to be informed or implemented by neighbours and communities in collective action. This thesis contributes to current adaptation and development debates in three ways. Firstly, it rediscovers the need for cumulative adaptation, countering a long indifference. Secondly, the study finds another factor of barriers to local adaptation actions. Lastly, the thesis provides policy implications for local development in slum communities in Cambodia and other urban slums in developing countries. 기후변화가 전세계적으로 주목 받음에 따라, 적응(adaptation)에 대한 학제 간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여러 발전학 연구들은 적응이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통로가 될 수 있다고 주장하며, 이러한 주장은 ‘적응에 의한 발전’이라 칭할 수 있다. 하지만 ‘적응에 의한 발전’ 이론은 미시적인 가구 스케일에서 연구된 바가 적다. 본 연구는 가구들의 단기적인 대처(coping), 장기적인 적응 및 발전의 관계를 탐구함으로써 이러한 한계를 극복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그러므로 본 석사학위논문은 캄보디아의 수도인 프놈펜의 강가 슬럼의 가구들과 홍수들을 사례로, 가구 차원에서의 ‘적응에 의한 발전’을 밝히는 것을 목표로 한다. 연구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논문은 두 가지 연구 질문을 채택한다. 첫째, 프놈펜의 강가 슬럼 가구들은 어떻게 슬럼 취약성에 대처하는가? 둘째, 가구들의 단기적인 대처는 장기적인 적응과 발전과 어떤 관계를 가지는가? 본 논문은 ‘누적적 적응에 의한 발전’이라는 개념을 제시함으로써 앞선 연구 질문에 답하고 있다. 논문은 양적, 질적 방법을 채택했으며, 연구 결과는 9곳의 프놈펜 강가 슬럼 공동체에서 진행된 119개의 설문과 26개의 인터뷰를 바탕으로 한다. 본문 4장은 슬럼에서의 홍수 취약성과 대처 방안들을 분석함으로써 첫 번째 연구 질문에 답하고 있다. 4장에서의 핵심 개념은 노출(exposure), 민감도(sensitivity), 그리고 적응능력(adaptive capacity)이다. 설문 결과, 슬럼 가구들은 식량난, 질병, 상해, 교육 중단, 소득 감소, 가용소득 부족, 주택 파괴, 재산 분실, 인프라 파괴, 사회 자본 손상 등 다양한 문제에 노출되고 민감하게 반응한다는 것이 나타났다. 또한, 슬럼 가구들은 이러한 문제들 마다 제한된 자본을 사용하여 다르게 대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카이제곱 독립성 검정은 슬럼 가구들의 생계 변화와 특정한 대체 방안들 사이에 유의미한 관계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는 성공적인 대처가 적극적인 대처, 혁신적인 대처(transformation), 그리고 친척, 지역 사회 및 정부의 원조에서 비롯됨을 암시한다. 4장의 결과를 바탕으로, 5장은 누적적 적응이라는 개념을 제시하고 ‘적응에 의한 발전’을 가구 차원에서 분석하였다. 국가 스케일에서의 계획적인 발전과는 달리, 가구들은 비계획적이고 예상치 못한 발전 문제들을 일상에서 직면해야 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성공적인 대처는 노출과 민감도를 줄이고 적응능력을 높여 취약성을 줄이는 것에 중요하다. 하지만 이러한 성공적인 대처가 장기적인 적응으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일회성으로 행해져서는 안되고 누적적으로 실천되어야 한다. 즉, 가계 차원에서 ‘적응에 의한 발전’은 성공적인 대처의 누적적인 결과로 해석될 수 있다. ‘누적적 적응에 의한 발전’ 개념은 왜 지금까지 슬럼 가구들이 적응에 실패하였는지를 두 가지 이유로 설명 가능케 한다. 첫째, 슬럼 주민들은 비활동적, 경로의존적인 대처와 사회 원조의 부족으로 인해 계속적으로 효과적인 대처에 실패했으며, 이는 누적적인 부적응(maladaptation)의 결과를 낳았다. 둘째, 슬럼 주민들의 성공적인 대처는 단발적이었으며 오래 지속되지 못했다. 이는 정부와 NGO들의 일회성의 원조와, 지속 가능하지 못한 대처 방안 등에서 잘 나타난다. 논문은 누적적 적응에 성공한 사례들 또한 제시한다. 연구 결과는 위 사례들에서 슬럼 공동체의 집합 행위(collective action)가 큰 역할을 하였다고 세 가지 측면에서 주장한다. 첫째, 정부와 NGO들의 원조와는 달리, 집합 행위는 지속적으로 상황에 맞는 지원을 제공할 수 있었다. 둘째, 효과적인 집합 행위는 지속 가능하지 못한 대처를 감시∙조정할 수 있었다. 셋째, 혁신적인 대처와 적응 방안은 공동체의 집합 행위를 통해 전파되고 이행되는 경향이 있었다. 본 논문은 최근 적응과 발전학 논의에 다음과 같은 측면에서 기여한다. 첫째, 본 연구는 오랫동안 주목 받지 못한 누적적 적응 개념의 필요성을 재발견한다. 둘째, 연구 결과는 왜 지역사회에서 적응에 실패하는지 새로운 관점을 제시한다. 셋째, 논문은 캄보디아와 다른 개발도상국 내 도시 슬럼의 지역 발전에 관련하여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 Assessing the Effectiveness of Zimbabwe’s Water Sector Framework In Addressing Climate Change Induced Impacts : Need For Adapting the Water Sector?

        Mazivarimwe, Lloyd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943

        기후 변화는 오늘날 인류가 맞이한 가장 위협적인 도전이다. 그 영향은 파괴적인 파급 효과와 함께 전분야를 아우르고 있지만 그 중에서도 수자원 부문만큼 영향을 받는 곳은 없다. 이 부문에서의 심각한 상황은 무엇보다도 수정 헌법 77조에서 보장하는, 식수와 충분한 식량에 대한 기본적이지만 근본적이라 할 수 있는 권리를 실현하는데 있어 난관이 된다. 잦은 가뭄으로 인해 이미 휘청거리고 있는 반건조 기후 국가 짐바브웨는 더욱 치명적인 기후 현상들을 겪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 때문에 UNFCCC의 조정 강령에 기반하여, 수질골격사업을 다시 생각하고, 재설계하며, 재측정하기 위한 중대한 평가 작업이 이루어져야 한다. 수질골격사업이 아직 기후 변화 문제가 전세계적 관심의 중심에 이르기 전에 고안되었다는 점을 고려하면, 이 평가 작업의 중요성을 더 강조할 수가 없다. 대부분의 수자원 법률과 정책들이 기후 변화의 영향을 충분히 또는 실질적으로 다루지 못하고 있다. 그러므로 사업의 효과성을 평가하는데 있어서 PCA와 수자원 부문에 관한 SADC 기후 전략을 고려함과 동시에 다른 국가들의 관할 내에 이루어지고 있는 기후 대응에 대한 노력들에 주목해야 한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수질골격사업의 한계와 권장되는 조정 접근법을 밝힌 뒤 짐바브웨가 기후 대응성을 어떻게 갖춰야 하는지에 대해 제안하고자 한다. Climate change is the most daunting challenge facing humanity today; its effects are cross-cutting and with devastating ripple effects, but no sector is more affected than water. This ferociousness presents difficulties to inter alia the realisation of the right enshrined in section 77 of the newly adopted Constitution, which provides for a basic yet fundamental right to potable water and sufficient food. Zimbabwe, a semi-arid country and already reeling from frequent droughts, is expected to continue experiencing even more crippling extreme weather events; hence imperative that critical evaluation is undertaken to rethink, remodel and recalibrate the sector in light of the UNFCCC adaptation thrust. Taking into account that the water framework was crafted at a time when climate change issues had not yet permeated the centre of global concerns, the importance of this assessment cannot be overstated. The bulk of the water laws and policies are not sufficiently, if at all capable of addressing climate change impacts. Therefore, assessing the capaciousness of the same demands that regard is had to the PCA, SADC Climate Strategy for the water sector as well as consideration of other jurisdictions’ adaptation efforts. In the final analysis, this research identifies the limitations of the sector, the architecture of a would-be adaptation framework and concludes by proffering recommendations of how Zimbabwe ought to adapt and build climate resilience.

      • Exploratory modeling of adaptation pathways to support decision-making for climate adaptation planning

        현정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943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should be able to analyze the climate impact of future scenarios, identify potential adaptation options, and identify questions that may be raised in the policy-making process. Despite the growing importance of climate adaptation, there are relatively fewer and smaller scale adaptation policies implemented in response to climate change. The reasons for the lack of implementation are that it is difficult to predict the future, there is not enough information to determine the optimal adaptation measure, and there is no clear evaluation method to make final decisions. Furthermore, various stakeholders are involved in climate change adaptation policy-making and substantial costs with immeasurable benefits are common for many adaptation policies. Nevertheless, to persuade and gain support from various stakeholders when setting up an adaptation plan, policy evaluation data that can make rational decisions are needed. Therefore, to effectively implement climate change adaptation policies, a clear understanding of the policy and objective evaluation must be the basis, but policies are established based on qualitative judgments, and quantitative judgments of policy effects are not made. The main goal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exploratory planning model that can identify optimal adaptation pathways that achieve relative cost-effectiveness and effective climate impact reduction. Optimal adaptation pathways are selected if greater future damages are adapted and costs are lowered. Adaptation pathways for reducing impacts from 2020~2100 were generated as 16 consecutive 5-year plans referencing Korea’s current adaptation planning period. At each 5-year planning time frame the scale for each adaptation measure was altered according to future impact level. To search for the optimal adaptation pathways, a machine-learning based evolutionary algorithm, the non-dominant alignment genetic algorithm (NSGA-II) was selected as the optimization method. This thesis first introduces the developed adaptation pathway model, which is then applied to two decision-making problems. The two decision-making issues are 1) setting strategic goals and 2) prioritizing implementation tasks. In the first model application case, various scenarios are explored by mediating the preference of decision makers instead of fixing constraints and adaptation goals to preset values. In this case, direct adaptation measures (reducing the number of mortalities from heat risk) and indirect adaptation measures (improving the outdoor heat environment) were applied to reduce the number of projected mortality from heat stress. To explore goal setting options, various budgets and impact mitigation approaches were evaluated. In the second case, the adaptation pathway model is modified to accommodate different future mitigation policy target scenarios (RCP 2.6 represents the 1.5°C temperature increase limit scenario, RCP 4.5 represents the 2°C temperature increase limit scenario, while RCP 8.5 is the highest emission scenario). The first application study found that after 2065, current adaptation strategies cannot reduce the impacts of heat mortality even with high budgets. A low budget limits adaptation for both ambitious and conservative goal settings while a higher budget did lead to greater adaptation but was not necessary for the conservative goal setting suggesting that efficient pairing of budget level based on the adaptation goal can be beneficial. Further, the longer the delay in investment toward adaptation results in irrecoverable reduction in adaptation. For the second application case, the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of green infrastructure-based adaptation technology was varied for reducing the impact of urban heat and flooding. When sorting the non-dominated optimized adaptation pathways according to sector prioritization, the most cost-efficient pathways were identified as optimal. The cost-efficiency was sensitive to future impact level and the cost trade-off of green infrastructure technologies. RCP 2.6 impacts were “too little” for current adaptation technologies to be cost-efficient relative to RCP 4.5 due to economies of scale. The increasing effects of green infrastructure-based technologies was difficult for the adaptation pathway model to consider under the RCP 2.6 scenario and resulted in under maladaptation before 2050 and over maladaptation after 2050. The effect of a social discount rate to green infrastructure-based adaptation was indirectly realized, where the cost subsidy provided additional resource to increase investment in non-green infrastructure technologies for the water sector. The overall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e need to consider multiple dimensions in planning for adaptation and proves the benefits of using exploratory modeling as a base for clearer decision-making under uncertainty. The overall findings in this study fills the gap between research on adaptation pathway modeling and decision-based adaptation planning support tools. The results of both cases can be referred to when applying the decision-making method for adaptation planning. 기후변화 적응은 미래에 가속화될 기상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다양한 시나리오에 따른 기후 영향을 현재 시점에서 분석하고, 잠재적인 적응 옵션을 확인하며, 정책 결정 과정에서 제기될 수 있는 의문들을 식별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기후적응의 중요성이 부각됨에도 불구하고, 실제로 이행된 적응정책은 상대적으로 적다. 이행 부족의 원인으로는 미래에 대한 예측이 어렵고, 이에 대비할 수 있는 최적의 대응책이 무엇인지를 판단하기 위한 정보가 부족하며, 판단할 수 있는 명확한 방법이 없다는 점을 들 수 있다. 기후변화 적응정책의 특성상 다양한 이해관계자가 관여되어 있고 막대한 비용이 소요된다. 그럼에도 적응계획을 세울 때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을 설득하고 지지를 얻기 위해서는 합리적으로 판단을 내릴 수 있는 정책평가 자료가 필요하다. 따라서 기후변화 적응정책을 효율적으로 이행하기 위해서는 정책에 대한 명확한 이해와 객관적인 평가가 바탕이 되어야 하지만 정성적인 판단으로 정책이 수립되고 있을 뿐, 정책 효과의 정량적인 판단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미래 피해에 따른 적응대책별 효과를 대입하는 탐색적 모델을 개발하여 적응계획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본 연구의 주요 목표는 상대적 비용 효율성과 효과적인 기후 영향 감소를 달성하는 최적의 적응경로의 파레토를 식별할 수 있는 탐색적 계획 모델을 개발하는 것이다. 적응경로는 16개의 연속된 5년단위의 계획 기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계획 기간별로 각 적응기술의 규모가 조정될수 있다. 우수한 적응경로는 미래의 기후영향을 더 적응하거나 비용을 낮추면 선택되도록 모델을 설계 하였다. 다양한 적응경로를 탐색하기 위해 다목적 최적화 방법으로 머신러닝 기반 진화 알고리즘인 비지배적 정렬 유전 알고리즘(NSGA-II)을 사용하였다. 먼저, 적응경로 모델을 소개하고 이를 두 가지 의사결정 문제에 적용한다. 두 가지 의사결정 문제는 1) 전략적 목표 설정과 2) 이행과제 우선순위 선정이다. 첫 번째 모델 적용 사례에서는 제약 조건 및 적응 목표를 사전 설정된 값으로 고정하는 대신 의사결정자의 선호도를 매개화 하여 다양한 시나리오를 탐구한다. 본 사례에서는 도시에서의 폭염 관련 상병자를 줄이기 위해 직접적인 적응대책(상병자 수 저감)과 간접적인 적응대책(옥외 열환경 개선)을 적용했다. 목표 설정 옵션을 탐구하기 위해, 다양한 예산 및 영향 감축 방식을 평가하였다. 두 번째 사례의 경우, 적응경로 모델을 수정하여 다른 미래 완화 정책 목표 시나리오(RCP 2.6은 1.5°C 증가 한계를 나타내고, RCP 4.5는 2°C 증가 한계를 나타내고, RCP 8.5는 가장 높은 배출 시나리오)에 따라 다부문 위험을 평가하였다. 도시 열과 홍수 영향을 줄이기 위해 그린인프라 기반 적응 기술의 효과를 확인하였다. 첫 번째 모델 적용 사례에서는 우수한 적응경로는 미래의 기후 영향에 적응할 수 있거나, 적응 비용이 적은 경우에 선택되도록 모델을 설계하였다. 특히, 의사결정자의 선호도(제약 조건 및 적응목표)에 따라 도시에서의 폭염 관련 상병자를 줄이기 위해 직접적인 적응 효과(상병자 수 저감)와 간접적인 적응대책(그린인프라를 통한 옥외 열 환경 개선)을 적용하여 RCP 4.5와 8.5 시나리오에서의 최적의 적응계획을 살펴보았다. 먼저, 예산이 높다고 해서 반드시 최적의 적응계획으로 이어지지 않았으며, 오히려 낮은 예산 조건에서 적응목표 설정에 따라 비교적 더 효율적인 적응계획이 도출되었다. RCP 8.5 시나리오에서는 현재의 적응 옵션 포트폴리오로는 2065년 이후의 영향에는 완전히 적응하기에 불충분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10년 이상 적응 행동을 지체하게 되면 이후에는 적응이 불가능하다. 마지막으로 그린인프라는 시간에 따라 적응 효과가 증폭되어, 증가하는 미래 영향을 저감하는 데에 효과적인 적응기술임이 검증되었다. 도시의 폭염과 홍수의 미래 영향을 줄이기 위해 그린인프라 기반 적응 기술의 효과와 효율성은 복합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부문 우선순위에 따라 비지배적 최적화된 적응 경로를 정렬할 때 가장 비용 효율적인 경로가 최적으로 식별되었다. 비용 효율성은 미래의 영향 수준과 그린인프라 기술의 비용 절충에 민감했다. RCP 2.6의 영향은 RCP 4.5에 비해 적기 때문에 규모의 경제로 인해 현재 적응 기술이 비용효율적이지 않아 적응을 덜 하게 되는 적응경로들이 최적화되는 결과가 나왔다. 그린인프라 기반 기술의 증가하는 효과는 적응 경로 모델이 RCP 2.6 시나리오에서 고려하기 어려웠으며 2050년 이전에는 과소적응, 2050년 이후에는 과잉 부적응을 초래했습니다. 그린인프라 기반 적응에 대한 사회적 할인율의 영향은 다음과 같습니다. 비용 보조금이 물 부문의 기술에 투자를 늘리기 위한 추가 자원을 제공하는 경우 간접적인 효과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적응을 위한 계획에서 다차원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고 불확실성 하에서 보다 명확한 의사 결정을 위한 기반으로 탐색적 모델링을 사용하는 이점을 보여한다. 이 연구의 전반적인 결과는 적응 경로 모델링에 대한 연구와 의사 결정 기반 적응 계획 지원 도구 간의 격차를 메웁니다. 두 경우의 결과는 적응계획을 위한 의사결정 방법을 적용할 때 참고할 수 있다.

      • Social adaptation and ethnic identity of Koryo-saram in the South Korea

        Olga,Nazarenko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942

        This study is devoted to the analysis of the living conditions of Russian-speaking Koreans from Russia and the CIS countries (Kazakhstan, Uzbekistan) living in South Korea, their problems in terms of psychological, social adaptation and ethnic identity.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understand and analyze how ethnic Koreans feel while living in their historical homeland, how experience in Korea affects their lives and ethnic identity and how they adapt to the new environment. To do this, I interviewed 20 Russian-speaking migrants from different social groups: descendants of repatriates, workers and students, analyzed the contents of the interview and found out the differences in the process of their adaptation. A result of the study, the motives were revealed, according to which representatives of different groups of Russian-speaking Koreans chose South Korea for living. General factors were also identified for the studied groups of Russian-speaking Koreans, which contribute an impediment to social adaptation. The study showed that a developed economy, a high level of comfort, stability and security of life in South Korea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adaptation process. The most common problems faced by Russian-speaking Koreans are related to poor knowledge of the Korean language and a sense of uncertainty. The results of the study revealed differences in the social adaptation of representatives of groups of students, workers and descendants of repatriates. These differences are caused by the motivation of their move to South Korea, the level of knowledge of the Korean language, living conditions, ways to solve problem situations, and communication within the group. The survey found that the descendants of repatriates have the greatest potential for successful adaptation, since their families preserved the Korean language, culture and customs during the years of forced emigration. They are more involved in the life of local Koreans than other two groups. The difficulty of social adaptation of workers and students lies in the fact that they come for a short period of time, their social circle is limited to the work colleges or the community of students. The social adaptation of workers consists in mastering the rules of behavior, establishing relationships with colleagues and superiors, learning the Korean language at the household level. Students living in a dormitory, as a rule, they do not encounter the real life of Korean society and they are not able to fully master the Korean culture, customs, traditions, which negatively affects their social adaptation.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identity of the studied groups, I can conclude about their signs of biculturalism (interest in the events of both countries, the observance of the traditions and holidays of both countries), which are manifested to varying degrees among the representatives of the groups. Representatives of a group of descendants of repatriates, brought up in Korean traditions, they are most socially adapted to the Korean environment and have a greater extent preserved their ethnic identity. The group of workers revealed a tendency to maintain the mono-identity of the country of former residence. The group of students is dominated by the mono-identity of the country of former residence, but there is a tendency towards bicultural identity. 본 연구는 한국에 거주하는 러시아와 CIS 국가 (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 에서 러시아어를 사용하는 고려사람들의 생활 조건, 심리적, 사회적 적응 및 종족적 정체성 측면에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고려사람들이 역사적 고국에 살면서 어떻게 느끼며, 한국에서의 경험이 삶과 종족적 정체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새로운 조건에 어떻게 적응하는지 이해하고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여러 사회 그룹에서 온 러시아어를 사용하는 20 명의 이민자들을 인터뷰했다. 분석 결과, 귀환 자와 그 후손이 성공적인 적응을 위한 가장 큰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고 결론 지을 수 있다. 왜냐하면 한국을 "역사적 고향"으로 인식 한 것은 수년간 강제 이주하는 동안 형성 되었기 때문에 그들의 가족은 한국어 지식, 문화, 관습을 보존하려고 한다. 또한 그들의 목표는 모국으로 귀국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반면, 근로자와 학생들은 짧은 기간 동안 오기 때문에 적응력이 떨어지고, 사회 관계는 같은 근로자나 학생으로 제한되며, 한국 문화와의 관계가 끊어져 있는 경우가 많다. 고려사람 대표의 사회적 정체성 분석은 한국 문화와 그들이 살았던 나라의 문화의 영향으로 종족적 정체성이 형성되었음을 보여준다. 귀환자의 후손은, 특히 2 세대의 후손은 예전 거주 국가 (러시아 또는 CIS 국가)의 문화뿐만 아니라 한국 문화 잘 알고 있으므로 이중문화 정체성을 나타낸다. 젊은 세대, 근로자와 학생들은 여전히 왔던 나라의 문화와 동일시한다. 그들이 자신을 현지 한국인과 동일시하지 않는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