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다문화국제혁신학교 운영 사례 연구: 희망초등학교를 중심으로

        김은정 경인교육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다문화국제혁신학교 중 한 곳인 희망초등학교의 다문화국제혁신학교 운영 과정에서 나타나는 현상을 자세히 관찰하고 기술함으로써 다문화국제혁신학교 운영 과정에 어떠한 모습과 특징, 문제점이 있는지 밝히고자 한다. 나아가 다문화국제혁신학교의 발전 방향을 도출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다문화국제혁신학교 운영 과정의 모습과 특징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은 어떠한가? 둘째, 다문화국제혁신학교 교육과정 운영 내용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은 어떠한가? 셋째, 희망초 다문화국제혁신학교 운영의 발전 방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다문화국제혁신학교 지정 및 운영 과정에 대한 문서수집, 참여관찰, 심층면담 등을 토대로 한 질적 사례 연구 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참여관찰 자료, 코딩자료, 공문, 주제와 관련된 연구 자료 등의 대조를 통한 삼각검증법(trianglulation)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희망초등학교의 다문화국제혁신학교 운영 모습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과 특징이 있다. 첫째, 하향식 교육정책의 도입으로 인해 다문화국제혁신학교의 도입 필요성이나 정확한 내용 없이 다문화국제혁신학교가 운영되다보니 도입 초기에 학교의 불안을 초래했다. 둘째, 공동체 구성원 간에 합의된 내용이 여러 차례 회의에 부쳐지고 결론이 바뀌는 비민주적인 방식으로 운영되는 면이 있었다. 셋째, 희망초등학교의 특성상 승진을 준비하는 교사들이 많아서 비혁신적이라고 느끼는 부분이 있어도 적극적으로 의견을 개진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 넷째, 다문화국제혁신학교 운영에 관한 준비기가 없다보니 초기 1년의 시간 동안 여러 프로그램들이 난립한 가운데 교육의 효과성에 대해서 관리자와 교사가 다른 해석을 내놓고 있었다. 다섯째, 희망초등학교의 다문화국제혁신학교가 보다 혁신적으로 운영되기 위해서는 교육공동체간의 공감과 사업에 대한 체계화가 필요하다는 인식이 많았다. 시행과정의 문제점에도 불구하고 교사들은 희망초등학교에서 실시하는 다문화국제혁신 교육내용에 대해 다음과 같이 인식하고 있었다. 첫째, 중국어수업, 베트남어 수업, 수학중국어병행수업, 방과 후 한국어교실 등의 언어지원으로 의사소통능력이 향상되었으며 다문화학생들의 자존감 회복에 많은 도움이 되고 있다. 둘째, 방과 후 학력향상교실에 대한 만족도가 매우 높았으며, 수업협력강사지원, 한국어협력강사지원으로 수업 중 학습부진아 지도가 효율적으로 되어 전반적으로 수업분위기가 많이 안정되었다는 것이다. 셋째, 한국전통문화체험(예절, 음식, 의상, 놀이 등)과 다문화체험, 다문화독서 등을 포함한 다문화교육과정재구성으로 학생들의 다문화감수성이 향상되었다는 것이다. 넷째, 국제이해교육과 다양한 언어교육으로 학생들을 글로벌시대에 맞춘 세계시민으로 기르는데 한 걸음 다가섰다고 인식하였다. 앞으로 희망초등학교의 다문화국제혁신학교가 더 효과적인 방향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첫째, 민주적이고 꾸준한 협의과정을 통해 희망초등학교만의 다문화교육과정 만들기가 필요하다는 점, 둘째, 다문화학생 뿐만 아니라 일반학생들에게도 충분한 혜택이 돌아가도록 교육내용을 다양화해야 한다는 점, 셋째, 언어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랭귀지스쿨이나 충분한 인력과 예산 등의 실질적인 지원이 요구된다고 하였다.

      • 경기도 초등 혁신학교와 일반학교에서의 학교혁신풍토와 교실수업형태 간의 관계 비교 분석

        송영범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혁신학교와 일반학교의 학교혁신풍토와 교실수업형태에 초점을 두고, 혁신학교와 일반학교의 학교혁신풍토와 교실수업형태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 그러한 차이가 혁신학교와 일반학교에서 학교혁신풍토와 교실수업형태에 어떠한 변화의 차이를 보여 왔는지를 종단적으로 확인해 보았다. 그리고 학교혁신풍토와 교실수업형태 간의 종단적 관계에 대해서도 분석해 보았다. 본 연구를 통해 혁신학교와 일반학교의 학교혁신풍토와 교실수업형태에 대한 현 실태를 명확히 파악하고, 학교유형에 따라 바람직한 학교혁신과 공교육 개선을 위해 추진해 나아가야 할 학교혁신풍토의 조성과 교실수업형태의 적용에 대한 논의점과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혁신학교와 일반학교의 학교혁신풍토와 교실수업형태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둘째, 혁신학교와 일반학교의 학교혁신풍토와 교실수업형태는 어떠한 변화를 보여 왔는가? 셋째, 학교혁신풍토와 교실수업형태 간의 종단적 관계는 어떠한가? 이러한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경기도교육연구원이 2012년부터 실시한 경기교육종단연구(GEPS) 1~3차년도(2012~2014년) 초등학교 교사 데이터를 사용하여, 3년간의 혁신학교와 일반학교의 학교혁신풍토와 교실수업형태에 대한 횡단 및 종단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경기교육종단연구의 학교운영 일반 영역의 학교혁신풍토 변인과 교수학습 활동 영역의 교실수업형태 변인을 중심으로 본 연구의 연구 문제 해결을 위해 다음과 같은 절차에 따라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째, 각각의 변인들을 학교 유형별 1~3차년도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존재하는지 𝘵검증을 통해 확인하였다. 둘째, 각각의 변인들이 학교 유형별 및 학교 유형(혁신학교=1, 일반학교=0)에 따라 3년간 어떠한 변화가 발생하였는지, 비조건모형 및 조건모형으로 분석하였다. 그리고 각각의 분석에서 어떠한 변인이 유의한 변화를 보였는지를 잠재성장모형(Latent Growth Modeling: LGM)을 통해 확인해 보았다. 셋째, 학교혁신풍토와 교실수업형태의 종단적 관계에 대해서도 잠재성장모형을 통해 확인하였다. 자료의 처리 및 분석은 SPSS 24.0 및 Amos 24.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결측치에 대한 추정방법으로는 완전정보최대우도법(Full Information Maximum Likelihood: FIML)을 사용하였다. 잠재성장모형의 모형적합도를 판단하기 위한 절대적합지수로는 𝜒2와 RMSEA 값을, 그리고 증분적합지수로는 TLI, CFI, IFI 값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연구 문제와 관련하여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혁신학교와 일반학교의 학교혁신풍토의 경우, 1~3차년도 모두 혁신학교의 학교혁신풍토가 일반학교에 비해 유의한 수준에서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혁신학교와 일반학교의 학습자 중심 수업형태의 경우, 1, 2차년도는 혁신학교와 일반학교 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3차년도에는 혁신학교의 학습자 중심 수업형태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혁신학교와 일반학교의 교수자 중심 수업형태의 경우, 1, 2차년도에는 일반학교의 교수자 중심 수업형태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3차년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넷째, 혁신학교와 일반학교의 학교혁신풍토의 변화에 대한 비조건모형 분석결과, 학교혁신풍토의 초기값은 혁신학교와 일반학교 모두 1~3차년도를 거치며 초기값의 차이가 유의수준 .001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변화율의 경우에는 일반학교의 변화율에서만 유의수준 .001에서 부적 변화를 보였다. 다섯째, 혁신학교와 일반학교의 학교혁신풍토의 변화를 조건모형을 통해 학교 유형을 반영하여 분석한 결과, 학교혁신풍토의 초기값이 .256으로 유의수준 .05에서 혁신학교의 초기값이 일반학교의 초기값보다 유의하게 높은 수준을 확인하였다. 변화율의 경우에는 유의한 변화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혁신학교와 일반학교의 교수자 중심 수업형태의 변화에 대한 비조건모형 분석결과, 교수자 중심 수업형태의 초기값은 혁신학교와 일반학교 모두 1~3차년도를 거치며 유의수준 .001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변화율의 경우에는 일반학교의 변화율에서만 유의수준 .01에서 부적 변화가 나타났다. 일곱째, 혁신학교와 일반학교의 교수자 중심 수업형태의 변화를 조건모형을 통해 학교유형을 반영하여 분석한 결과, 교수자 중심 수업형태의 초기값이 -.255로 유의수준 .001에서 혁신학교의 초기값이 일반학교의 초기값에 비해 낮은 수준임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변화율의 경우에는 .133으로 유의수준 .01에서 부적 변화를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여덟째, 혁신학교와 일반학교의 학습자 중심 수업형태의 변화에 대한 비조건모형 분석결과, 학습자 중심 수업형태의 초기값은 혁신학교와 일반학교 모두 1~3차년도를 거치며 유의수준 .001에서 차이가 존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변화율의 경우에는 일반학교의 변화율에서만 유의수준 .05에서 부적 변화가 존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아홉째, 혁신학교와 일반학교의 학습자 중심 수업형태의 변화를 조건모형을 통해 학교유형을 반영하여 분석한 결과, 학습자 중심 수업형태의 초기값과 변화율 모두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열 번째, 학교혁신풍토와 교실수업형태 간의 종단적 관계를 분석한 결과, 학교혁신풍토와 학습자 중심 수업형태 간의 종단적 관계의 경우, 학교혁신풍토의 변화율 변인에서 3차년도 학습자 중심 수업형태로의 경로 추정치가 β=1.019, p=.001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논의 및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혁신풍토의 차이분석 결과, 혁신학교의 학교혁신풍토가 일반학교에 비해 1~3차년도 모두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혁신학교의 민주성 가치를 중심으로 다른 가치를 함께 비교 분석해 봄으로써 학교혁신풍토를 증진시키는데 있어 혁신학교의 어떠한 가치가 주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탐색해 볼 필요가 있다. 둘째, 교수자 중심 수업형태의 차이분석 결과, 1, 2차년도에서는 일반학교의 교수자 중심 수업형태가 높았으나, 3차년도에는 혁신학교와 일반학교 간 차이가 없어진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혁신학교의 경우 1차년도에서 3차년도로 시간이 경과하면서 교수자 중심 수업형태의 평균이 비슷한 수준을 보였으나, 일반학교의 경우에는 1차년도에서 3차년도로 갈수록 교수자 중심 수업형태의 평균이 낮아졌기 때문이다. 따라서 어떠한 이유에서 일반학교의 교수자 중심 수업형태의 평균이 낮아졌는지에 대해 살펴볼 필요가 있다. 셋째, 학습자 중심 수업형태의 차이분석 결과, 3차년도에서만 혁신학교의 학습자 중심 수업형태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학생의 배움 중심 수업과 학습자 중심 수업을 지향하는 혁신학교의 가치가 반영된 결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학습자 중심 수업형태에 대한 다양한 안내와 연수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 넷째, 학교혁신풍토의 변화를 비조건모형으로 확인한 결과, 일반학교의 변화율을 통해 학교혁신풍토가 저하되는 경향이 있음을 종단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따라서 어떠한 원인이 일반학교의 학교혁신풍토를 저하시키는지 보다 실제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 활용한 경기교육종단연구의 학교풍토 설문 구성의 두 요인인 혁신풍토와 창조적 반응에 포함된 각각의 문항들에 대한 면밀한 검토가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연구는 일반학교의 학교혁신풍토를 개선할 수 있는 원인을 찾아내는데 참고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다섯째, 학교혁신풍토의 변화를 조건모형으로 확인한 결과, 초기값을 통해 혁신학교가 일반학교에 비해 지속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수준임을 확인하였다. 이는 혁신학교가 운영 초기단계에서부터 학교혁신을 위한 교사들의 공감대 확산과 운영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형성되어 있었다는 것으로, 본 연구의 차이분석과 비조건모형 분석에서도 동일한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혁신학교의 학교혁신풍토가 지속적으로 높은 수준을 유지하게 해주는 요인이 무엇인지, 그리고, 이를 일반화하기 위한 실제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여섯째, 교수자 중심 수업형태의 변화를 비조건모형으로 확인한 결과, 변화율을 통해 일반학교에서의 교수자 중심 수업형태의 감소 경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일반학교가 학습자 중심 수업형태에서도 감소하는 경향성이 나타났음을 참고해 볼 때, 일반학교의 학습자 중심 수업형태와 교수자 중심 수업형태가 모두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다는 점에서 일반학교의 교실수업 전반에 대한 진단이 필요하다. 일곱째, 교수자 중심 수업형태의 변화를 조건모형으로 확인한 결과, 혁신학교의 교수자 중심 수업형태가 일반학교의 교수자 중심 수업형태에 비해 높은 증가율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횡단적 차이분석과 종단적 비조건모형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봤을 때, 일반학교의 교수자 중심 수업형태가 혁신학교의 교수자 중심 수업형태보다 높은 감소율을 지니고 있음으로 인해 나타난 결과임을 알 수 있다. 여덟째, 학습자 중심 수업형태의 변화를 비조건모형으로 확인한 결과, 일반학교에서 변화율을 통해 학습자 중심 수업형태의 감소 경향이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3차년도 학습자 중심 수업형태의 차이분석과 동일한 결과로, 일반학교에서 학습자 중심 수업형태가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에 대한 원인분석이 필요하다. 이는 앞선 교수자 중심 수업형태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난 부분으로, 일반학교의 교실수업형태 전반에 대한 진단과 함께 최근의 혁신학교의 확산, 학생인권조례의 도입, 교권침해사례의 증가 등 변화하는 학교환경과 관련한 다각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아홉째, 학교혁신풍토와 학습자 중심 수업형태 간의 종단적 관계 분석에서, 학습자 중심 수업형태의 변화 결과에 학교혁신풍토의 변화가 영향을 주고 있음을 종단적 관계 분석을 통해 통계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학습자 중심 수업형태를 증가시키기 위한 변인으로 학교혁신풍토 변인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학교유형에 적합한 학교혁신과 공교육 개선의 바람직한 방향을 찾기 위함이었다. 이를 위해 혁신학교와 일반학교의 학교혁신풍토와 교실수업형태의 차이와 변화, 관계를 횡단 및 종단 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본 연구를 토대로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혁신풍토의 개념에 대한 명확한 정의가 정립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메타분석 등의 문헌연구를 통해 학교조직에서의 혁신풍토로서 학교혁신풍토에 대한 명확한 개념을 정립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학교혁신풍토가 혁신학교에서 지속적으로 높은 수준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어떠한 요인이 그러한 유지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는지, 학교혁신풍토를 혁신학교의 가치(민주성, 윤리성, 전문성, 창의성)나 중심과제(민주적 학교문화, 윤리적 생활공동체, 전문적 학습공동체, 창의적 교육과정)와 연결지어 탐색해 볼 필요가 있다. 셋째, 학교혁신풍토가 일반학교에서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설정한 학교혁신풍토 설문 변인의 두 가지 요인인 혁신풍토와 창조적 반응의 개별 문항들에 대한 면밀한 검토가 필요하다. 이러한 분석은 일반학교의 학교혁신풍토를 개선할 수 있는 원인을 파악하는데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 넷째, 교실수업형태(교수자 중심 수업, 학습자 중심 수업)의 전반적인 침체 현상이 일반학교에서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현상에 영향을 주는 원인에 대한 탐색과 그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 특히, 혁신학교의 확산, 학생인권조례의 도입, 교권침해사례의 증가 등 최근의 교육환경의 변화가 그러한 부분에 영향을 주고 있는지 등에 대한 다각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다섯째, 교실수업형태 중 학습자 중심 수업형태가 혁신학교에서 보다 적극적으로 이뤄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학습자 중심 수업형태가 교수자 중심 수업형태보다 어떠한 부분에서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는지 그에 대한 연구로서 학교효과성의 다양한 측정 요인들과 교실수업형태의 두 가지 유형을 관련지어 탐색해 볼 필요가 있다. [주제어] 혁신학교, 학교혁신풍토, 교실수업형태(교수자 중심 수업형태, 학습자 중심 수업형태), 잠재성장모형(비조건모형, 조건모형)

      • 일반학교와 혁신학교의 교육과정 비교

        김은수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2009년 9월 최초로 지정된 경기도 초등 혁신 학교 7개교와 7개 혁신학교의 근거리에 위치한 규모가 비슷한 일반학교 7개교를 대상으로 ‘혁신학교에서 학교교육과정의 성격은 어떠한가, 일반학교와 혁신학교의 교육과정은 어떠한 차이점을 갖고 있는가, 혁신학교 교육과정이 일반학교 교육과정에 줄 수 있는 시사점은 무엇인가’ 의 연구문제로 설정하여 교육과정을 비교분석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문헌고찰과 학교 교육과정 문서 분석, 일반학교와 혁신학교 교육과정 담당자와 심층 면담 방법을 병행하였으며 학교 교육과정 분석시에는 교육학 석사학위 소지자인 동료 연구자에게 연구자가 수집한 자료 분석을 제시하고 조언을 구했다. 2장에서는 혁신학교 교육과정의 성격을 규명하기 위해 혁신학교의 개념과 배경을 탐구하였고 혁신학교의 교육과정의 편성의 특징에 관한 문헌 연구를 하였으며 이에서 도출된 시사점을 바탕으로 일반학교와 혁신학교의 교육과정 분석의 틀을 교과 재구성 실태와 탄력적 시간 운영 실태로 정하여 분석하였다. 일반학교와 혁신학교 교육과정 실태를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학교와 혁신학교 교과 내용 재구성 실태는 혁신학교는 체험학습 중심형, 문화예술 등 주기 집중 프로그램형, 주제 중심 통합학습형으로 교과 내용을 재구성하여 학교 교육과정에 반영하고 있었으며 일반학교에서는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교과 시수 20% 증감으로 인한 재구성 방향만 제시되어 있었다. 둘째, 일반학교와 혁신학교의 탄력적 교육과정 운영 실태는 혁신학교에서는 교육활동을 위해 모든 학교가 블록타임제를 운영하고 있었으며 7개교 중 2개교는 부분적으로 운영하였고 5개교는 전일을 블록타임제로 운영하는 반면, 일반학교에서는 블록타임제를 구체적으로 제시한 경우는 7개교 중 1개교만 제시하였다. 주기 집중형 프로그램은 혁신학교에서는 창의적 체험활동 시간을 주로 학기말에 집중 배치하여 3~5일을 체험 위주의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는 것으로 제시되었다. 체험 프로그램의 내용은 생태문화 체험, 계절에 맞는 계절 체험, 문화 예술 교육 등 주로 활동 시간이 긴 체험 과제를 선정하여 운영하고 있었다. 4학기제는 대규모 학교 1개교에서 운영하였는데 4학기제는 교육과정을 분기단위로 재구성하여 평가와 피드백을 통해 개별 학습관리를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상의 일반학교와 혁신학교의 교육과정을 비교한 결과 일반학교에서는 교과 시수 증감을 국가 정책으로 받아드려 대부분 교육과정에 반영하고 있었으나 그 외에 구체적인 교육과정 재구성 방향이 제시되지 않고 있었으며 혁신학교는 학교 특색을 살리는 교육과정 재구성 방향이 제시되어 있었다. 또한 탄력적 시간 운영면에서도 혁신학교의 경우 교과 재구성과 수업방법의 변화를 통해 탄력적 시간 운영을 하고 있었으나 일반학교의 경우 교과 재구성 방향이 구체적이지 않다보니 탄력적 시간 운영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다. 본 연구의 논의 점으로는 혁신학교 교육과정은 일반학교 교육과정에 파급효과를 가져야한다는 관점으로 보았을 때 다음과 같은 논의 점을 갖는다. 첫째, 혁신학교와 일반학교의 교사와의 인식의 차이를 줄이는 노력이 필요하다. 둘째, 혁신학교 간 교육과정 재구성의 차별성을 가져야 한다. 셋째, 혁신학교는 지속가능한 학교혁신의 가능성을 보여주어야 한다.

      • 학교의 혁신적인 변화를 경험한 교사들의 ‘교사행위자성(teacher agency)’ 탐구

        박세경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03

        이 연구는 학교혁신의 현장에서 교사들이 성장했다고 느끼는 변화의 양상과 변화된 환경에서의 적응 전략을 교사행위자성(teacher agency)의 개념으로 분석하고 행위자성의 형성을 촉진하는 환경적 요인을 찾아 더 많은 교사가 교사행위자성을 발휘하고 교육행위를 발전・유지할 수 있는 교육환경을 조성할 수 있도록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다음의 두 가지 연구 문제를 설정하여 질적연구를 진행하였다. 첫째, 교사들은 혁신적 학교 환경에서 어떤 발전적 변화를 경험하였는가? 둘째, 교사들은 일반적 학교 환경에서 발전적 변화 행위를 어떻게 이어나가고 있는가? 셋째, 혁신적인 학교 환경과 일반적인 학교 환경에서 교사들은 어떠한 과정으로 행위자성을 구축하거나 발휘하는가? 연구자는 혁신적인 학교에서 근무하며 성장한 경험이 있고 이후의 변화된 근무 환경에서도 변화 발전된 교육행위를 실천하고자 하는 의지를 보이는 7명의 중등학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면담하고, 면담자료를 행위자성의 생태학적 접근 모델과 행위자성 형성 모델(Leijen et al., 2020)을 이론 틀로 하여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을 통해 우선 혁신적 학교 환경과 일반적 학교 환경의 특징을 추출하여 분류하고, 행위자성을 포착할 수 있는 구체적인 행위들을 각 환경에 따라 구분하였다. 최종적으로는 교사들이 각각 다른 환경에서 여러 요인들의 영향을 받으며 행위자성을 형성하고 구체적 행위에 이르는 과정을 행위자성 이론의 틀로 해석하여 재구성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면담에서 밝힌 참여자의 경험과 교육적 열망 등을 참고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참여 교사들은 혁신적인 학교에서 발전적 변화를 경험하였지만, 그러한 발전된 교육행위가 이후 일반적인 학교 환경에서는 전반적으로 위축 또는 포기되었다. 둘째, 행위자성의 생태학적 개념모델과 형성모델은 교사들의 실재적 행위 과정을 논리적으로 적합하게 설명해 주었다. 행위자성은 환경적 조건을 개인의 통시적 경험에 비추고 미래 목표를 고려하며 특정한 의도 또는 동기를 갖고 인식·해석·결정하여 행동하도록 안내하였다. 이에 따라 교사들은 자신들의 행위를 능동적으로 선택하였다. 셋째, 혁신적인 학교에서는 주로 교사들이 교육행위를 변화 발전시키는 과정에서 행위자성이 형성되어 작용하였다. 넷째, 일반적인 학교에서는 교사들이 학교를 교육적 목적을 실현할 수 있는 환경으로 변화시키는 과정에서 주로 행위자성이 형성되어 작용하였다. 연구자는 위 연구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행위자성의 촉진 요인을 제시하였다. 첫째, 능동적 참여를 통한 협력적 집단지성의 경험이 행위자성의 형성과 발현을 촉진시킨다. 둘째, 교육토크를 통해 형성된 교사정체성이 행위자성의 형성과 발현을 촉진시킨다. 논의에서는 참여자들이 느끼는 영역별 실천유지의 정도를 통해 전문성 관련 문화를 조성하는 영역과 민주적 학교 문화를 조성하는 영역에서 주도적 실천이 어려움을 확인하였다. 이에 전문성 신장의 문화 조성을 위한 동기유발책과 혁신적인 학교 문화를 조성하기 위한 정책적 지원이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와 참여자의 면담에서 자주 등장했던 ‘교육활동 중심의 교사 직무’에 관하여 제언을 하였다. 첫째, 교사들이 일상적인 교육토크를 할 수 있는 환경적 지원이 필요하다. 교육토크는 교사들의 전문적 협력 과정이므로 교사 업무의 일부로 인식될 필요가 있다. 둘째, 학교에서는 교육활동이 최우선의 가치를 부여받아야 한다. 셋째, 현재의 교육 정책과 입시정책 속에서 학교는 과연 교사행위자성을 촉진시킬 수 있는 방향으로 변화할 수 있는가에 대해 돌아볼 필요가 있다.

      • 국내 혁신학교 연구들에 대한 종합 분석

        문혜림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최근 혁신학교의 많은 양적 확산이 진행됨에 따라 국내 혁신학교에 대한 연구들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그 동향과 내용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국내 혁신학교 관련 연구의 동향을 분석한다. 연구문제 2. 국내 혁신학교 연구에서 나타난 내용을 종합 분석한다. 이를 분석하기위해 현재까지 국내 혁신학교와 관련하여 이루어진 석·박사 학위 논문 및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 110편을 대상으로 문헌연구를 수행하였다. 먼저, 혁신학교 연구의 동향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혁신학교에 대한 연구는 계속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둘째, 교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이는 혁신학교 운영에 있어 가장 강력한 주체가 교사임을 나타낸다. 셋째, 질적연구, 양적연구, 문헌 연구, 혼합연구 방법의 순서로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으며, 혁신학교 운영 실태 파악에는 질적연구 방법이, 효과 검증에는 양적연구 방법이 많이 수행되었다. 넷째, 대부분의 연구 주제가 혁신학교의 효과와 실태에 대한 것이었다. 또한 혁신학교 시행 초반에는 많은 연구들이 혁신학교의 실태에 초점이 더욱 맞추어져 있었던 반면, 후반부로 갈수록 혁신학교의 효과에 대한 연구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혁신학교 관련 내용들을 종합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혁신학교 관련 연구들은 크게 실태와 효과에 관한 내용들이 대부분이었다. 둘째, 혁신학교 실태의 경우 민주적인 학교 운영을 실천하는 교장, 수업 역량 향상과 다양한 교과 내용 재구성을 위해 자발적으로 노력하는 교사, 이들과 함께 학생과 학부모가 학교 운영에 함께 참여하는 양상이 주로 나타났으며, 교육과정 및 교과 중심으로 조직 구조를 개편하여 교사들이 가르치는 일에 몰입할 수 있도록 하였고, 교무 보조 인력 등을 배치하여 행정업무 경감을 이루고자 하였다. 셋째, 혁신학교 효과의 경우 교사의 학교만족도는 대부분 높았으며 교사의 수업역량은 향상되는 경향이 나타났지만 직무만족도에 있어서는 다소 상반된 견해가 나타났으며 교사들의 자발적인 참여와 민주적인 의사소통이 반영된 관계 네트워크 안에서 또 다른 권력관계가 생기고 있다는 사실이 한계점으로 드러났다. 또한, 학생에게 나타난 혁신학교의 인지적 효과의 경우 긍정적 효과와 부정적 효과가 서로 대립되어 나타나 일관된 결론을 내릴 수 없었으나 정의적 효과의 경우 대부분의 학생들에게 긍정적인 결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의의를 밝히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혁신학교와 관련한 연구들의 미흡한 부분을 객관적으로 제시하고 연구의 중복을 피할 수 있도록 하여 앞으로 수행될 혁신학교에 관한 연구들이 나아가야할 방향을 모색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둘째, 국내 혁신학교와 관련하여 수행된 개별적인 연구 성과들을 전체적인 맥락 속에서 보다 포괄적으로 조망하여 혁신학교의 가치를 파악하고 시사점을 모색하여 혁신학교가 더욱 성공적인 학교 혁신 정책이 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교사 협력이 교사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서울지역 혁신학교와 일반학교 비교

        강경미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혁신학교와 일반학교의 교사협력과 교사효능감의 수준 차이를 알아보고 교사협력이 교사효능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의 목표 달성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혁신학교와 일반학교는 교사 협력에 있어 차이가 있는가? 둘째, 혁신학교와 일반학교는 교사 효능감에 있어 차이가 있는가? 셋째, 혁신학교와 일반학교에서 교사 협력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해결을 위하여 설문지를 활용한 양적연구를 실시하였다. 기존의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설문지를 선정하였으며 서울특별시 교육청에 근무하고 있는 초등학교 교사들을 임의로 추출하여 온라인 설문을 진행한 후 327개의 유의미한 응답을 얻었다. SPSS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교사협력과 교사효능감의 수준 및 집단 간 차이를 확인하기 위한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고 t검증 결과를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교사협력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자는 서울시교육청 소속 혁신학교 교사들이 일반학교 교사들과 비교하여 교사협력과 효능감 수준에 있어 같거나 차이가 없을 것임을 가정하고 연구를 진행했으나 결과적으로 혁신학교 초등교사가 지각한 교사 협력 수준은 일반학교에 비해 몇 가지 하위 변인 별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 협력의 구체적인 하위변인으로는 일반학교와 비교하여 자율성 변인이 가장 높은 차이를 보였으며 그 다음으로는 책임감, 공동목적의식, 정보공유 요인 순으로 차이가 드러났다. 둘째, 혁신학교 초등교사가 지각한 교사 효능감 수준 역시 일반학교에 비해 두 가지 하위 변인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 요인 각각 모두 평균이 일반학교에 비해 높았으며 이중 가장 유의한 차이를 보인 요인은 창의적 체험활동 효능감과 교과지도 효능감이었다. 셋째, 교사협력과 교사효능감은 서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교사협력은 교사효능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다회귀분석 결과 교사 협력은 교사효능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고 교사협력 하위 변인 중에서는 책임감, 자율성, 정보공유가 영향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집단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혁신학교에서는 자율성, 일반학교에서는 책임감과 정보공유 요인이 교사효능감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앞서 기술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혁신학교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혁신의 주체인 교직원의 참여를 기반으로 학교 문화를 바꿀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지속적인 예산 지원 및 교사들의 효능감을 높여줄 방안을 꾸준히 고민해야 한다. 둘째, 일반학교에서도 교사 간 협력을 혁신학교 수준으로 높일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들을 마련해야 한다. 혁신학교가 일반학교보다 교사협력과 효능감이 높은 원인들을 엄밀하게 짚어보고 학교 혁신 문화를 확산할 수 있도록 정책적인 뒷받침이 필요하다. 셋째, 일반학교 교사들과 혁신학교에 새로 전입해 온 교사들이 혁신 교육에 대한 목표를 공유하고 의지를 갖고 참여할 수 있도록 자발적이고 적극적인 참여를 이끌어낼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지역 내 혁신학교가 일반학교와 비교하여 교사들이 더 높은 교사협력 수준과 교사효능감 수준을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교사 협력이 교사효능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이는 현재를 비롯한 향후에도 교사들의 교사효능감 신장을 위해서는 협력적인 풍토 조성이 중요함을 밝혀냈다는 점에 시사점을 준다. 따라서 학교 현장 및 교육지원청에서는 교사들이 자율적인 참여를 토대로 동료 교사들과 생활지도 및 학급 경영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고 증진할 수 있는 다양한 정책과 시도들을 해야 할 것이다.

      • 혁신학교 정책에 대한 학부모의 정책수용도 및 영향요인 연구 : 경기도 사례를 중심으로

        김남식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703

        혁신학교 정책을 둘러싼 논란은 시행된 지 10년이 지난 최근까지도 이어지고 있다. 특히, 혁신학교 정책의 목표가 학생의 학업성취도 향상과 거리가 있어 학력이 저하된다는 우려와 대학입시와의 연계성이 떨어진다는 비판이 대표적이다. 이에 더해 일부 혁신학교에서는 정책집행과정에서 학교구성원 간 갈등이 발생하고 있어, 혁신학교 정책이 학교구성원에게 얼마나 수용되고 있는지 확인할 필요가 있다. 정책에 대한 수용 정도가 낮다면 정책집행과정에서 논란과 갈등이 발생할 수 있고, 심한 경우 정책대상 집단의 정책불응과 저항이 나타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혁신학교 정책의 성과에 대한 논란 및 학교 내 갈등과 관련 있는 학부모가 정책을 얼마나 받아들이고 있는지 살펴보아야 한다. 학부모는 자녀교육에 실질적 책임이 있는 교육주체로, 학부모의 학교참여를 통해 학교혁신을 추진하는 혁신학교 정책의 중요한 정책대상 집단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학부모가 혁신학교 정책을 수용하는 수준을 확인하고, 어떠한 요인이 학부모의 정책수용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혁신학교에 대한 학부모의 정책수용도는 어느 수준인가? 둘째, 혁신학교 정책에 대한 학부모의 정책수용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은 무엇인가? 연구결과를 통해 현재 시행 중인 혁신학교 정책을 학부모의 관점에서 심층적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혁신학교 운영방식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자녀가 경기도 초·중등학교에 재학 중인 학부모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수합한 응답 중 323명의 응답을 활용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조사도구는 선행연구에서 개발한 문항을 연구자가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5.0 프로그램을 활용하였고, 분석방법으로는 빈도분석, 기술통계, 평균차이분석(t-검정과 일원분산분석), 교차분석(카이제곱검정), 상관분석,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차례로 수행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혁신학교에 대한 학부모의 정책수용도는 보통보다 높은 수준(M=3.53/5.00)으로 우려할 만한 수준은 아니었다. 한편, 학부모의 개인배경과 학교특성에 따라 응답자의 거주지역, 학교급, 학교유형 변인에서 정책수용도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모두 보통보다는 약간 높은 수준이었다. 구체적으로는 읍면지역에 위치하거나, 초등학교급이거나, 자녀가 혁신학교에 다니는 학부모의 정책수용도가 유의하게 높았다. 둘째, 혁신학교에 대한 학부모의 정책수용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일반학교와 구분되는 혁신학교의 ‘상대적 이점’ 특성, 혁신학교에서의 학부모의 실질적 참여 가능성을 의미하는 ‘시도가능성’ 특성, 새로운 아이디어에 대한 학부모의 개방성을 뜻하는 ‘개인의 혁신성’, ‘학교유형’, 학부모의 ‘학교참여도’이었다. 이중 상대적 이점이나 시도가능성 변인과 같이 학부모가 인식하는 혁신학교 특성의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다. 반면, 학교참여도는 부적인 방향의 영향을 미치고 있어, 자녀 학교에 참여하는 정도가 높을수록 정책수용도는 하락하는 것으로 보인다. 더불어, 혁신학교 정책의 의도가 정책대상 집단 내에서 다르게 수용되는가를 확인하기 위해, 혁신학교와 일반학교로 학교유형을 나누어 영향요인을 분석한 결과, 유의한 변인이 다르게 나타났다. 두 학교유형의 학부모 집단에서 공통적으로 유의한 변인은 ‘상대적 이점’, ‘개인의 혁신성’이다. 반면, ‘시도가능성’ 변인은 혁신학교 학부모 집단에서만, ‘정책이해도’, ‘학교급’ 변인은 일반학교 학부모 집단에서만 유의하여 정책수용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양상이 다름을 보여주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혁신학교 정책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부모가 일반학교와 대비되는 혁신학교의 상대적 이점을 명확히 인식하는 것이 혁신학교 정책을 수용하는 데 중요하기 때문에, 정책효과와 관련 있는 상대적 이점 측면에서의 적절한 정책조정이 필요할 수 있다. 둘째, 혁신학교가 현재 학부모의 실질적인 참여를 보장해주고 있는지와 관련하여 혁신학교 정책의 추진상황을 점검할 필요가 있다. 셋째, 혁신학교 정책의 집행과정에서 학교유형별 학부모 간 차이에 유의하여 혁신학교의 무리한 확산을 지양하고 혁신학교 정책의 내실을 기하는 방향으로 정책집행이 이루어져야 한다. The controversy over the effects of the innovative school policy has continued for 10 years since its implementation. In particular, there are some criticisms that the goal of the innovative school policy is not directly linked to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which may lead to a decline of academic performance, and that the policy has a lack of connectivity with students’ success on college entrance exams. Besides, as some of the innovative schools have conflicts in the schools, it is necessary to check how the policy is being accepted. If the level of acceptance on a policy is low, controversy and conflict may arise within its implementation, and in severe cases, noncompliance and resistance against the policy from the policy target group may occur. Especially, it is important to check how much parents, who are involved in the controversy and conflicts over the innovative schools, accept the policy, as parents are the agents responsible for their children’s education and being considered as an important target group of the innovative school policy that improves their schools through their participation,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level of parents’ acceptance of the innovative school policy and what factors affect parents' acceptance of the policy. Specific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at level is parents' policy acceptance of the innovative school policy? Second, what are the factors that influence parents' policy acceptance of the innovative school policy? The results of the study will give a critical understanding of the innovative school policy with a perspective of parents, and provide the implications for its implementation.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are the parents whose children attending elementary, junior high and high schools in Gyeonggi-do. Among the responses collected via the online survey, 323 responses were analyzed. The survey consisted of the items modified by the researcher from the preceding research. Descriptive statistics, t-tests, ANOVA, chi-square test, correlation statistic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o analyze the data through SPSS 25.0.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parents’ policy acceptance on the innovative school policy was somewhat higher than moderate level(m=3.53/5.00). Th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level of policy acceptance appeared in the region(city scale), school level, school type(the innovative school or the general). Specifically, the parents who were in the rural regions, elementary schools, and the innovative school type had higher policy acceptance levels than the others. Second, the factors affecting parents’ policy acceptance on the innovative school policy were the ‘relative advantage’ differentiated from the existing school policy, the ‘trialability’ meaning the possibility of parents’ actual involvement in the innovative schools, ‘individual innovativeness’ of the parents meaning the openness for new ideas, ‘school type’ where the parents belong, and ‘school participation level’. The perceived characteristics of innovation such as ‘relative advantage’ and ‘trialability’ had stronger effects on the policy acceptance level than the others, and it is noteworthy that ‘school participation level’ had negative effects on the policy acceptance. Additionally, according to the school type,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The variable ‘relative advantage’ and ‘individual innovativeness’ were the common factors influencing both school types’ parents. However, the variable ‘trialability’ was only affecting the innovative school type’s parents, and the variable ‘policy understanding level’ and ‘school level’ were significant only in the general school type’s parent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implications for the innovative school policy are derived as follows: First, because it is important for parents to recognize relative advantages of the innovative school policy in contrast to the existing policy, appropriate policy adjustments may be needed in terms of the relative advantages associated with policy effects. Second, it is necessary to check the progress of the innovative school policy implementation concerning whether the innovative schools currently guarantee the actual participation of parents. Third, the innovative school policy implementation should be carried out in a way that prevents excessive diffusion and ensures the quality of the innovative school policy, considering the differences between parents of different school types.

      • '무늬만 혁신학교'의 교직원회의 특징 탐색 : Y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이요셉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703

        공교육 정상화를 위한 학교혁신 운동은 2009년 경기도에서 ‘혁신학교’의 형태로 시작된 이후 2020년 현재 전국적으로 1900여 곳에 달할 정도로 확산되고 있다, 그러나, 혁신학교의 급속한 확산과 더불어 ‘무늬만 혁신학교’도 등장하였는데, 본 연구는 이에 주목하여, ‘무늬만 혁신학교’의 교직원회의 특징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연구자는 Y 초등학교를 대표적인 ‘무늬만 혁신학교’로 보고 교사 19명을 대상으로 이들이 가진 혁신학교에 대한 인식, 교직원회의 인식과 참여태도, 그리고 교직원회의 발전을 촉진하고, 저해하는 요소를 알아보고자 면담을 실시하였다.연구 참여자들은 Y 초등학교가 혁신학교로서 일과 행사가 많아 피곤하고, 예산이 많으며, 남들이 하는 것을 따라 하는 학교라고 인식하고 있었는데 이는 교사들이 혁신학교에 대한 비전이 형성되지 않고, 비자발적, 수동적인 자세로 근무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연구 참여자들은 Y 초등학교의 교직원회의가 형식주의, 회의 절차나 진행기술의 부족, 일부만 참여하고 결정하는 회의, 수직적이고 독단적인 의사결정 구조, 원활하지 않은 의사소통으로 인해 ‘비민주적’이라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민주적인 교직원회의를 위한 새로운 시도에 참여하면서도 ‘눈치’를 보며 변화와 순응 사이의 긴장 상태에 있었다.또한, 연구 참여자들은 ‘무늬만 혁신학교’ 발전의 촉진요소로 ‘무늬만 혁신학교’를 견인할 혁신리더교사 필요, 민주적인 교장․교감의 태도와 수평적인 의사결정 구조, 가치와 비전의 공유를 통한 혁신학교의 방향 설정, 표현의 자유 보장과 숙의적인 회의과정, 공동체 의식을 바탕으로 하는 친밀한 관계 형성, 민주적인 절차와 과정으로 진행되는 교직원회의 정착을 꼽았다. 본 연구를 통해 ‘무늬만 혁신학교’인 Y 초등학교 교사들의 변화 가능성을 볼 수 있었고, ‘무늬만 혁신학교’의 교직원회의 발전을 위해서는 학교 문화의 형성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 혁신학교 교사의 학년 교육과정 재구성 과정에 관한 사례연구 : 저해 요인 탐색을 중심으로

        이유진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혁신학교 교사의 학년 교육과정 재구성 경험을 탐색하여 지속 가능한 혁신을 위한 혁신학교의 과제를 성찰하는 데 있다. 본 연구의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혁신학교 교사의 학년 교육과정 재구성 과정과 특징은 무엇인가? 둘째, 혁신학교 교사의 학년 교육과정 재구성을 저해하는 요인은 무엇인가? 이를 해결하기 위해 같은 혁신학교에 근무하지만 서로 다른 학년에 소속된 교사 6인을 선정하여 질적 사례연구를 하였으며 자료 수집을 위해 연구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 동학년 협의회 비참여 관찰을 진행하였다. 연구자는 수집된 자료를 반복적으로 읽어가며 코딩과 범주화 작업을 진행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 혁신학교 교사의 학년 교육과정 재구성 과정은 ‘준비-계획-적용-확장’으로 범주화하여 나타낼 수 있었다. ‘준비’ 단계에서 교육 문서에 대한 비판적 이해를 바탕으로 동학년 교사와 공감대를 형성하고 주어진 교육과정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진다. ‘계획’ 단계에서는 준비 단계에서 얻은 이해를 바탕으로 동학년 및 학교 협의회를 반복하며 국가 수준 교육과정이 학년 수준 교육과정으로 변환된다. ‘적용’ 단계에서 교사들은 학년 교육과정 재구성 계획을 교사 개인 수준의 수업으로 실천하고, 실천에 대한 성찰과 다음 학년 교육과정을 위한 수정 및 보완을 하는 ‘확장’ 단계를 통해 교사들이 반성과 나눔 및 공동 검증을 통해 새로운 이해를 얻어 교사학습공동체를 경험하는 모습을 관찰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혁신학교 교사들의 학년 교육과정 재구성에 영향을 주는 저해 요인은 세 가지 범주로 구분할 수 있었다. 첫째, 교사들은 ‘파격의 부담감’으로 인해 새로운 관점에서 학년 교육과정을 재구성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교사들에게 전년도 교육과정은 완벽해 보이는 한 편의 신화(神話) 또는 중임제로 인해 익숙한 틀로 자리매김했기 때문이다. 둘째, 교사들은 ‘획일화에 대한 거부감’으로 인해 계획된 학년 교육과정을 수업으로 실행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같은 주제로 획일화된 교육과정은 학생과 교사의 다양성이 고려되지 않은 것으로 각 교실의 맥락에 적합하지 않기 때문이다. 셋째, 교사들은 ‘혁신의 고독함’으로 인해 학년 교육과정 재구성 과정에서 혼란을 겪고 있었다. 혁신학교는 교육의 혁신을 주도하는 학교로써 아무도 이들에게 무엇이 정답인지 가르쳐주지 않으면서, 모두가 이들에게 교육에 관한 정답을 요구하고 있었다. 게다가 혁신학교는 학년 교사의 자율성에 교육과정을 맡기고 있어서 학년 내 리더 교사가 부재하거나 교사 교육이 부재한 경우 교사들은 누구에게 물어볼 수도 없는 처지에 놓여 학년 교육과정 재구성 과정 전체에서 혼란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혁신학교를 주제로 한 기존의 연구들은 대부분 혁신학교를 일반화하기 위해 혁신학교의 성과 및 성과의 촉진 요인에만 주목하였다. 하지만 혁신학교는 교육적 성과만을 내기 위해 존재하는 곳이 아니다. 본 연구는 혁신학교의 일반화 정책이 추진되고 있는 지금, 혁신학교가 지속 가능한 혁신을 해나가기 위해서는 아직 해결해야 할 과제가 존재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 학교혁신 과정의 양가성 : 혁신학교 운영과정에 관한 문화기술적 사례연구

        유경훈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8703

        최근 들어 국내의 교육계에는 국가주도의 학교개혁이 아닌 단위학교가 주체가 된 상향식 학교개혁의 개념으로서 학교혁신이라는 용어가 대두되었고, 이와 함께 학교혁신의 대표적 모델로써 혁신학교가 높은 관심과 커다란 주목을 받게 되었다. 그리고 그에 따른 다양한 기대와 염려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현재까지의 학교혁신과 혁신학교에 대한 기존의 연구들은 과정보다는 성과나 현상에만 그 초점을 맞추거나 개념과 원리를 이야기하는 연구가 주를 이룬다. 학교혁신은 하나의 사건이 아닌 과정이기 때문에, 실제적인‘과정’과 그러한 과정 속에서 이루어지는 구성원들의 경험과 상호작용의 모습을 밝혀줄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위와 같은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단위학교에서 학교혁신은 어떠한 과정과 경험을 통해 운영되고 있는가에 본 연구의 초점을 맞추고, 혁신학교 중에서도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고등학교 급, 그리고 초창기 혁신학교모델로서 자발적 측면이 강한 ‘희망고등학교’를 본 연구의 참여지로 선정하여 참여관찰과 심층면담 중심의 문화기술적 사례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주요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로 구분 할 수 있다. 첫째, “희망고등학교 학교혁신의 과정은 어떠한가?” 이다. 이는 희망고등학교에서 학교혁신을 운영하는 과정을 살펴보기 위한 연구문제이다. 희망고의 구성원들은 이러한 과정 속에서 어떤 경험을 하고 있으며, 어떤 갈등이나 어려움을 겪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어떤 노력을 하고 있는지, 그리고 그러한 노력은 어떤 결과를 가져오게 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둘째, “희망고등학교 학교혁신 과정의 특징과 의미는 무엇인가?”이다. 이는 희망고등학교의 학교혁신 운영과정에서 나타난 특징을 밝히기 위한 연구문제로써, 희망고 학교혁신 과정은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그러한 특징은 희망고에서 어떠한 의미를 가지고 있고, 이러한 특징은 희망고의 학교혁신과 구성원들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위의 두 연구문제를 바탕으로 밝혀진 희망고의 학교혁신 운영과정과 그 운영과정의 특징에서 나타난 현상과 결과들을 바탕으로 이러한 특징이 학교혁신에 어떻게 작용하고 있는지를 여러 이론과 선행연구들을 통해서 해석하고 논의해보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Ⅱ장에서는 먼저 학교혁신에 대한 개념적 정리를 시도하였다. 먼저 학교혁신의 관점을 학교개혁의 관점에 관한 논의들과 함께 살펴보고, 학교혁신이 어떤 의미를 갖는지를 기존 선행논의들을 바탕으로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와 함께 본 연구의 참여지인 혁신학교가 어떤 특징을 갖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혁신학교는 어떠한 도입배경을 거쳐서, 어떤 영역을 중심으로 어떠한 개념에 입각해 운영되고 있는지를 정리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정리들을 바탕으로 학교혁신과 혁신학교에 대한 선행연구들을 검토하여, 학교혁신에 대한 선행연구들의 특징과 의의, 한계를 찾아내고, 이러한 한계점을 통해 본 연구의 의의를 정리해 보았다. Ⅲ장에서는 본 연구에서 수행된 문화 기술적 사례연구가 무엇인지를 먼저 살펴보고, 본 연구에서 수행한 자료수집과 자료분석 및 해석과정에 대해서 기술하였으며, 연구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어떠한 노력을 기울였는지를 기술하였다. 이와 함께 연구의 참여지인 희망고등학교에 대한 배경적 특징과 그에 대한 설명을 하고자 하였다. Ⅳ장에서는 희망고등학교의 학교혁신 운영과정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였다. 이에 대한 결과로 희망고등학교의 1년간 학교혁신 운영과정은 크게 교사와 학생, 학부모 차원으로 구분이 되어 여러 측면에 있어서 상호작용하며, 학교혁신을 이루어오고 있었는데, 이를 종합해보면, 기승전결의 4단계를 통해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희망고등학교의 학교혁신 운영과정은 크게 ‘기대와 우려의 시작’, ‘혁신 심어가기’, ‘예기치 못한 상처’, ‘불완전한 봉합’의 4단계를 거치는 모습으로 특징지어져 나타났으며, 교사와 학생, 학부모와 관련된 혁신의 모습으로 구분되어 정리될 수 있었다. 즉 희망고에서는 새로운 교사, 학생들과 기존 희망고 구성원들 간의 새로운 만남과 함께 가치공유를 통한 관계맺음이 시작된다. 그러한 관계맺음 속에서 희망고는 새로운 구성원들에게 기존의 자신들이 옳다고 믿어온 방식과 문화를 이식해나간다. 그러나 이러한 혁신의 이식 속에서 희망고의 구성원들은 완벽한 융화와 소통을 이루지 못한 채, 예기치 못한 상처와 갈등이 생겨나게 되고, 희망고의 구성원들은 이러한 상처를 치유하고 봉합하고자 노력한다. 그리고 이러한 노력은 결국 새살을 돋게도 하지만, 치유되지 않은 상태의 상처와 흉터로 남기도 한다. Ⅴ장에서는 희망고 학교혁신 운영과정의 특징과 그 의미에 대해서 분석해보았다. 희망고 학교혁신 운영과정은 ‘의도했던 작용의 모습과 의도하지 않았던 반작용이 갈등하고 공존’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 희망고의 구성원들은 학교혁신 운영과정 속에서 기존의 학교교육과 학교구조를 혁신하기 위해 많은 힘을 쏟아오고 있었다. 이러한 학교혁신을 구현하기 위한 구성원들의 노력은 구성원들이 의도했던 작용의 모습과 의도하지 못했던 반작용의 모습이 서로 완전히 분리되어 각각의 형태로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학교혁신의 과정에서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공존하고 있었다. 이러한 희망고 학교혁신 운영과정의 특징은 교육목표 측면에서는 ‘전인적 성장’과 ‘입시교육’으로, 교사역할 측면에서는 ‘헌신’과 ‘희생’으로, 권한부여 측면에서는 ‘자율’과 ‘사유화’로, 그리고 공동체 측면에서는 ‘참여’와 ‘회피’로 각각 특징지어져 나타났다. Ⅵ장에서는 위에서 밝혀진 특징을 ‘양가성’의 개념으로 해석하고 논의해 보았다. 결과적으로 희망고의 학교혁신 과정은 보다 긍정적인 결과를 얻기 위하여, 양가성의 특징 속 두 개의 상반되거나 모순된 가치 사이에서 ‘조율’해가고 두 가치를 ‘융화’해가는 과정이었다. 작용과 반작용이 함께 공존할 수 있도록 양가성의 상반된 두 가치 모두를 이해하고, 이러한 두 가치를 조율하고 조화시키려는 노력이야 말로, 학교개혁을 보다 지속가능하게도, 순간적 성공에 불과하게도 만드는 중요한 원리로 작용할 수 있는 것이다. 하나의 가치만을 바라보는 개혁은 결국 강한 저항을 불러오고, 반작용에 의한 한계에 부딪힐 수밖에 없다. 학교개혁이 보다 성공적인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긍정적 작용은 항상 반작용의 측면도 함께 공존하다는 양가성에 대한 이해가 우선시 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즉 서로 다른 두 가치가 함께 공존하는 학교개혁의 양가성을 이해하고, 두 가치 사이에서의‘조율’과 ‘융화’의 노력이 반드시 필요할 것이다. Recently, as the term of school innovation has been on the rise as the concept of school-based bottom-up school reform, not state-dominated in the domestic educational world, innovation schools have received a high attention and profile as the major model of domestic school innovation. There are various expectations and concerns over that, but the existing researches on the school innovation and innovation schools up to now have mostly focused on only performance and phenomenon rather than process, or talked about concept and principle. School innovation is not an incident but a process, so we need researches investigating the actual ‘process’ and members’ experiences and interaction occurring in the process. Based on this critical mind, in this study I focused on the process and experience through which school innovation is operated among innovation schools. I selected the high school level which the precedent studies have rarely handled and ‘Huimang High School’ with strong spontaneity as the early school model as the participant location for this study, and conducted ethnographic case study focused on participant observation and in-depth interviewing. The main subjects for inquiry may be classified into two: First, “what is the process of school innovation in Huimang High School(HHS)?”, which is a subject for inquiry to investigate the process of managing school innovation in HHS; I tried to examine what experience the school members have in what process, what conflicts and difficulties they suffer, what efforts they make to solve these problems, and what results those efforts bring. Second, “what is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 of HHS?”, which is a subject for inquiry to find out characteristics appeared in the process of school innovation management of HHS; I tried to explore what characteristics the process of school innovation has, what meaning those characteristics have in the school, and what influences these characteristics have on the school innovation and the members. And through various theories and precedent studies I tried to interpret and discuss about how these characteristics work on the school innovation, on the basis of the management process of HHS based on these two subjects and on the basis of phenomena and results appeared in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nagement process. For this, I attempted conceptual arrangement of school innovation first, in chapter II. At first, I examined the school innovation point of view with discussions about school reform point of view, and investigated what meaning the school innovation has, on the basis of the precedent discussions. And to find out what characteristics the innovation school, subject for this study, has, I arranged: through what introduction background, focusing on what domain and on the basis of what concept, the innovation schools is operated. Lastly, based on this arrangement, I reviewed precedent studies on the school innovation and innovation schools, found out characteristics,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precedent studies on the school innovation, and arranged the importance of this study through these limitations. In chapter III, first I investigated what the ethnographic case study carried out in this study is, described data collection for this study and data analyses, and explained background characteristics of HHS, the participant location for this study. In chapter IV, I attempted analysis of the process of school innovation management in HH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one-year process of school innovation management of HHS was largely classified into teachers, students and parents levels, interacting in many ways and making school innovation. To sum up these, I could find out those were conducted in 4 steps: introduction, development, turn, and conclusion. The one-year process appeared as the innovations relevant to teachers, students and parents. The process of this school innovation management in HHS showed 4 steps: ‘beginning of expectations and concerns’, ‘implanting innovation’, ‘unexpected injury’, and ‘imperfect stapling’. In other words, in HHS, formation of relationship between new teachers and students and the old members of the school begins through sharing values along with new meeting. In this formation of relationship, the school starts to implant method and culture that they have believed in as right in the new members. But during this implanting of innovation, the school members don’t make perfect harmony and communication, unexpected injuries and conflicts occur, and the members make an effort to cure and staple these injuries. These efforts eventually make granulation tissue come up, but remain as an unhealed scar or unsolved assignment. In chapter V, I analyzed characteristics and its meaning of the process of school innovation management in HHS. The process of school innovation management has a characteristic of ‘conflict and coexistence of action and reaction’. The school members have given their best to innovate the existing school education and structure in the process of school innovation management. These efforts of members to realize school innovation was not that action intended by members and reaction unintended by members were totally split and occurred in the separate forms, but they coexisted giving and taking influence each other during school innovation. These characteristics of the process of school innovation management in HHS appeared as ‘whole-person growth’ and ‘education for entrance examination’ in terms of educational purpose, as ‘commitment’ and ‘sacrifice’ in terms of teachers’ role, as ‘autonomy’ and ‘privatization’ in terms of authorization, and as ‘participation’ and ‘evasion’ in terms of community. In chapter VI, I interpreted characteristics revealed in the above as the concept of ‘ambivalence’ and discussed. Consequently, the process of school innovation in HHS was the processes of ‘adjusting’ and ‘harmonizing’ two values directly-opposed and contradictory in the characteristics of ambivalence, to get more positive results. Only the efforts to understand both two contradictory values of ambivalence, and to adjust and harmonize these two values so that the action and reaction can coexist are able to work as the important principle that school innovation can be more sustainable or just temporary success. The innovation aiming at only one value eventually cannot help causing strong resistance and facing limitation by reaction. In oder to get more successful results in school innovation, understanding ambivalence that the positive action always coexists with reaction should be a priority. In other words, efforts to understand ambivalence of school innovation that two values coexist and to ‘adjust’ and ‘harmonize’ two values are needed at any cos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