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중 판타지드라마 특징 비교 연구 : 2005년 이후를 중심으로

        정지현 동국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23

        電視劇與那個時代的社會、文化、政治、經濟有著緊密的連結,因此能透過 電視劇理解在其世代生活的人們的思想、觀念等各種部份,加上在電視劇或電 影裡,最受觀眾歡迎的作品除了要有高度的完成性外,也必須要與其時代觀眾們 正經歷的社會心理有所結合。 韓劇從2010年代開始,快速地出現了新的電視劇類型,並引起了許多話題,我們稱之爲‘幻想劇’。幻想劇描述超現實的人物與事件,主角的靈魂穿越時空或 互相交換,亦或具有超能力等爲其主要內容。 以中國的幻想劇來看,因爲迷信這樣的理由,出現鬼神的戲劇是不能被播放 的,而外星人或具有超能力的人物也只能在兒童戲劇裡出現。但矛盾的是,韓國 幻想劇「來自星星的你」(2013)描述的是400年前來到地球的外星人都敏俊與 韓流大明星千頌依之間,像奇蹟一樣展開的浪漫愛情故事,卻能在中國有著很高 的人氣。 本論文想了解爲何最近的幻想劇能得到觀眾的喜愛,因此選定了韓、中幻想 劇爲研究對象,並照各個素材來做區分,除此之外,本論文也將提及到其他的戲 劇類型。電視裡的戲劇用文字與影像的結合所完成,具有極藝術的特性,因此本 文將分析並研究戲劇的劇本與影像。 在幻想劇中,以其登場的神話與傳說、道教故事、佛教文學與故事、離魂 故事等這樣的順序,來把握韓、中兩國流行及代表的幻想劇之淵源是從何處開 始的。再者,與浪漫愛情結合,以武俠敘事式的展開,道佛世界觀的表現及西方 幻想劇構造的層面來分析幻想劇的體裁與敘事構造,透過才子佳人的要素、作 家的故事力量、文學作品的再創造、理想的男女現象(代理滿足的類型)等,來 看韓國與中國幻想劇有著人氣的各個要素。 最後一章將歸納研究結果及結論、研究的限制,並以提案來做結尾。與 韓、中幻想劇有關的研究依舊不足,希望能透過本論文,對韓、中幻想劇的研究 能有所幫助。

      • 한·중 가족 드라마에 나타난 고부 갈등 비교와 문화적응의 의미

        유우희 부산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23

        韓國電視居<媳婦的全盛時代>自2007年在韓國上映以來,在韓國獲得了較高收得視率,也由此成為了韓國家庭電視居中的成功作之壹。而中國電視居<婆婆來了>自2011年上映後,同樣在中國掀起了收視熱潮,並成為中國家庭電視居中裏不得不提的作品。 <媳婦的全盛時代>主要描寫了豬腳店婆媳三代之間的矛盾和糾葛以及和解,表現了韓國現代社會家中的的各種矛盾和溫暖的家族愛。全居風格溫暖幽默,對婆媳矛盾的分析鞭辟入裡,是對韓國婆媳矛盾真實反映和升華。而<婆婆來了>這部以八零後小夫妻為中心的電視劇,講述了城市媳婦與鄉下婆婆間針鋒相對的故 事,其中關於婆媳矛盾的描寫更是壹針見血,直中中國當代婆媳們的心裡要害。 本文以<媳婦的全盛時代>和<婆婆來了>為中心,將分析的重心集中於兩部電視居中出現的婆媳矛盾以及產生這種矛盾的內面化原因,並在此基礎上揭示了婆媳矛盾在文化適應方面的價值及意義。 本文第二章主要介紹了家族的概念以及中韓婆媳關系的變遷及發展。本文第三章借由分析電視劇中的臺詞、橋段,主要分析比較了兩部電視居中的婆媳矛盾。本文第四章主要對中韓婆媳矛盾進行了比較,並且深入分析了產生這種差別的原因。分析結果如下。 首先,從權力構造上產生的婆媳矛盾來看,在韓國,比起婆婆對家庭主導權的幹涉,因為繁重的家務勞動而引起的婆媳矛盾占大多數,大多數的韓國婆婆們掌握著家庭經濟主導權,並在此基礎上指使兒媳婦去完成大量的家務勞動。與之相反,在中國,特別是婆媳共居的情況下,相對於兒媳婦,婆婆則負擔了多數的家 務勞動。 其次,在中國因為生活習慣、生活方式等產生的婆媳矛盾很多;但是韓國方面,在雙方生活習慣與生活方式出現差異時,多數情況下兒媳婦會對婆婆做出讓步,也由此減少了這方面的婆媳矛盾。產生這種差異的原因主要有兩點。第壹,中國地域寬闊,因此不同地方成長起來的婆媳在各個方面都會產生較大的差異;第 二,1979年中國實行獨生子女政策,在這種環境下成長起來的中國青年,比起韓國青年更加不會照顧他人感受,與考慮他人的想法,因此婚後也更容易與婆婆產生矛盾。 最後,中韓兩國在角色構造層面上產生的婆媳矛盾的頻度差異不大。韓國方面,產生婆媳矛盾的原因主要是由於婆婆對於兒媳婦在履行妻子和兒媳婦這兩個角色的義務時期待過大;中國方面,產生婆媳矛盾的原因主要是由於婆婆對於兒媳婦在履行妻子這個角色的義務時期待過大。 本文第五章則是對前三章的總結和梳理,同時將本文得出的結論進行全面地概括和总结。

      • 한·중 궁정(宮廷) 소재 드라마의 음악 비교 연구

        석군염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2023 국내박사

        RANK : 232318

        한국 드라마는 예술적 표현에서 높은 수준을 자랑하고, 특히 궁정(宮廷) 소재 드라마에서는 편집, 제작, 배우 캐스팅, 후반부 제작을 막론하고 정교하고 우수한 수준을 보여주고 있다. 줄거리와 화면뿐만 아니라 음악적 사용도 극을 살리는 데 적지 않은 역할을 한다. 음악은 소리 요소로서 환경적인 분위기를 띄우거나 부분적인 상황을 연출하는 데 있어 모두 돋보이는 효과를 창출할 수 있다. 음악적 표현에 있어 한국과 중국의 드라마는 차이가 크다. 한국 드라마와 중국 드라마를 비교한 논문과 저서에서, 음악에 대하여 다른 원인을 찾아낸 진일보한 분석과 사고가 매우 적다. 한국 드라마와 중국 드라마 음악이 다른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고, 그에 따른 차이도 천태만상이다. 국가제도에 따른 차이도 있고, 문화계승에 따른 차이도 있으며, 관리제도로 인한 차이도 있는데, 이런 차이가 생기는 원인은 모두 객관적으로 존재하는 것들이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최근 수십 년 동안의 한중 드라마를 매개로 하여 한중 드라마의 음악 표현의 차이점을 살펴보고, 음악의 예술적 가치와 상업적 가치, 오리지널 사운드트랙(Original Soundtrack)과 모델화 창작, 줄거리, 주제와의 적합도, 전통과 현대의 표현 등 한중 양국의 드라마 제작자들의 음악적 이해와 활용상의 차이를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기초로 하여 양국의 드라마 음악 창작자들은 역사에 얽매이지 않고 성공 경험을 받아들여 대담하게 창조하도록 격려하고, 현대 과학기술 수단을 과감히 사용하여 고대 전통음악과 현대음악을 연결하며, 새로운 예술 표현 형식을 창조함으로써 양국 영상 문화 산업의 더 나은 발전을 힘껏 추진해야 할 것이다. Korean drama has a high artistic level in its artistic expression, especially in the royal theme of TV series, regardless of the editing, filming, actor selection, post-production show excellent production level of Korean drama. In addition to the plot and screen, the use of a large number of music to foil the plot has played a non-negligible role. Music as a sound element, regardless of rendering the atmosphere or local plot display, can produce a good contrast effect. In the music performance, the difference between Chinese and Korean TV series is big. In the papers and books that compare Korean dramas and Chinese television drama, there are few further analyses and reflections on music for different reasons. There are many reasons for the differences between Korean Chinese television drama and Korean music. There are differences brought about by national system, cultural heritage and management system, the reasons for these differences are objective. Based on this, this study takes Chinese and Korean TV series in recent decades as the starting point, to explore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the musical performance of Chinese and Korean TV series, and to deeply analyze the differences in the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of music between Chinese and Korean TV producers, it includes music art value and commercial value, original music and pattern creation, consistency with plot, theme, traditional and modern performance and so on. On this basis, TV drama music creators of the two countries are encouraged to be unconstrained by history, to absorb successful experiences and make bold innovations, and to dare to use modern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means to connect ancient traditional music with modern music, to create new forms of artistic expression and vigorously promote the better development of the film and television culture industry in the two countries.

      • 한중 드라마에 재현된 전문직 여성의 딜레마 : <미스티>(한국)와 <逆流而上的你>(중국)의 비교를 중심으로

        GAO YUAN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32287

        이 논문은 한국 드라마 <미스티>(2018.2.2.~2018.3.14.방영)와 중국 드라마 <逆流而上的你(물을 거슬러 올라가는 당신)>(2019.2.12.~2019.3.10.방영)을 대상으로 드라마에 재현된 21세기 여성의 딜레마에 대해서 고찰하고 한중 여성이 당면한 문제적 현실에 대한 드라마적 재현 양상에 대해서 논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통적으로 한국과 중국 등 아시아국가에는 유가 사상이 문화적 배경으로 자리 잡고 있기 때문에 남존여비라는 의식이 성 역할에도 지배적인 영향을 미쳤다. 시대의 변화에 따라 여성상은 바뀌었지만 여전히 기층문화에서는 이러한 인식의 잔재가 남아있다. 드라마는 실생활의 현실적 양상에 기반하고 있는 동시에 당대의 문제적 사회현상과 핵심 문제를 다룸으로써 문화적 공존에 대한 토의 구조를 제안하기도 한다. 한국 드라마 <미스티>와 중국 드라마 <逆流而上的你(물을 거슬러 올라가는 당신)> 는 현대 한국과 중국의 여성들이 직장 생활을 하면서 직면하고 있는 일련의 문제들과 어려움들을 생생하게 보여주는 한편, 여성인물이 직장생활에서 부딪치는 정체성의 충돌과 직업, 재현된 사회의 문제를 재현한다는 점에서, 이러한 취지에 부합한다. 이 논문에서는 전문직 여성이 주인공으로 등장하는 한국과 중국의 드라마 두 편을 택하여, 여주인공이 안고 있는 직장 딜레마, 생활가정 딜레마, 인간관계의 딜레마라는 세 가지 차원에서 해당 문제에 대해 접근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는다. 이때 한국과 중국 드라마의 서사와 여주인공의 인물 분석에 주목함으로써, 전문직 여성이 당면하는 딜레마의 양상, 해결과 극복 과정, 그에 제한 사회의 대응의 차이를 고찰해 보고자 한다. 제2장에서 한국 드라마 <미스티>와 중국 드라마 <물을 거슬러 올라가는 당신> 두 드라마의 주요내용을 먼저 설명하고 두 드라마의 여주인공(한국 드라마 <미스티>의 여주인공 고혜란과 중국 드라마 <물을 거슬러 올라가는 당신>의 여주인공 유애)의 이미지를 분석했다. 드라마에 재현된 인물형상, 인물관계, 성장배경, 가정생활 그리고 사업 활동에 대해서 정리 비교하고 그 속에서 전문직 여성의 딜레마를 반영하는 모순점을 찾아냈다. 제3장에서는 주로 전문직 여성에 대해서 드라마 속에 반영된 직장과 생활의 딜레마를 고찰하고 분석했다. 드라마에서 재현된 전문직 여성의 “젠더”의 딜레마, “성공”의 딜레마 그리고 “관계”의 딜레마 세 가지를 통해 드라마 속 여주인공이 전문직 여성으로서 겪는 딜레마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드라마에 반영된 실제 사회현상을 고찰하고 분석한다. 첫째, “젠더”의 딜레마를 통해 전문직 여성의 외모, 고학력 그리고 가정과 전문직의 양립 등 문제를 반영한다. 둘째, “성공”의 딜레마를 통해 성공여성이 당면한 어려움, 성공여성의 표준, 성공한 여성에 대한 사회적 시각과 편견 그리고 "성공"이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분석하고 설명한다. 셋째, “관계”의 딜레마를 통해 동료관계, 부부 관계에 대해서 전문직 여성의 선택과 당면한 문제점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양 국가의 드라마 속 인물을 통해서 한국과 중국의 전문직 여성의 딜레마에 대한 비교 분석을 수행하되, 그러한 드라마적 상상력을 공감 가능한 것으로 만드는 사회, 문화적, 전통적 배경을 아울러 탐색했다.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전문직 여성을 다룬 보다 다양한 드라마 텍스트를 분석하고, 사회적 변화 요소를 역동적으로 고려한다면, 한국과 중국의 여성의 사회적 성취에 대한 사회적 상상력의 추이를 보다 정밀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based on the characters in Korean TV series “Misty” (2018.2.2~2018.3.14) and Chinese TV series “Unbeatable You” (2019.2.12~2019.3.10), explores the situation that women are in a dilemma in the 21st Century and discusses the issues both Korean and Chinese women are facing with in daily life. Traditionally in Asian countries like South Korea and China, the incorrect idea of female inferiority is still affecting people's minds since Confucianism is in the leading position in their literature. With the change of the times, the position of women in the society has been changed, but there are still remnants of this understanding in the grassroots culture. Based on the realistic form of real life, The TV series puts forward the discussion structure of cultural coexistence by combining social phenomena and core issues of contemporary issues. The Korean TV series “Misty” and the Chinese TV series “Unbeatable You” reflect a series of problems and difficulties faced by modern Korean and Chinese women in their workplace. In this paper, two TV series with professional women as the protagonists from South Korea and China are selected to consider relevant issues from the perspectives of the heroine's workplace dilemma, life and family dilemma, interpersonal relationship dilemma and so on. In the meantime, We might as well focus on the narrative and character analysis of Korean and Chinese TV dramas to examine the dilemmas faced by professional women, the process of solving and overcoming them, and the differences in limiting social responses. In the 2nd chapter, the main contents of the Korean TV series “Misty” and the Chinese TV series “Unbeatable You” are introduced firstly, as well as the analysis of heroines in two TV series. Sorts out and compares the characters' personalities, relationships, growth background, family life and career activities in the TV series, and finds out the contradictory points reflecting the dilemma of professional women. The 3rd chapter mainly investigates and analyzes the dilemma of career and life of professional women reflected in TV series. Through the “gender” dilemma, “success” dilemma and “relationship” dilemma of professional women presented in the TV series, analyzes the dilemma experienced by the heroine of the TV series as a professional woman, and the actual social phenomenon reflected in the TV series. First, through the “gender” dilemma,reflects the professional women's appearance, high education and family career coexistence issues. Second, through the dilemma of “success”, analyzes and indicates the difficulties faced by successful women, the standards of successful women, the social perception and prejudice against successful women and the negative impact of “success”. Thirdly, through the dilemma of "relationship", professional women's choices and problems can be reflec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agues and couples. This paper attempts to compare and analyze the dilemma of Korean and Chinese professional women through the characters in TV series of the two countries, which is of great significance.

      • 한국 드라마 산업이 중국 드라마 산업 발전에 미치는 효과 연구

        조성옥 신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32286

        세계화 시대를 맞아 세계 각국에서 경제·문화 분야의 교류가 빈번해지고 있다. 한국의 문화 소프트파워는 국제사회에서 주요한 자산이 되었다. 특히 한국 드라마는 한국 문화산업 발전의 기관차 역할을 하고 있다. 한국 드라마 산업과 한국 정부의 문화산업 정책은 중국 문화산업의 발전을 위해서 참고할 만 충분한 가치가 있다. 본 논문은 문화산업의 관점에서 한국 드라마에 대한 구체적인 분석과 연구를 진행한다. 먼저 한국 드라마의 발전 과정과 정부의 정책 및 특징을 분석한다. 다음으로는 중국의 드라마 산업에 대한 구체적인 실태를 연구한다. 그리고 한중 드라마 산업의 특징과 정부의 지원 정책에 대한 비교를 통해 중국 드라마의 발전에 대해 몇 가지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논문은 네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장 서론에서는 연구 배경·방법 및 필요성을 소개하고, 중국학자들의 한국 드라마 연구 성과를 정리하여 본문의 연구 목적·내용 및 기본 방향을 명확히 하였다. 제2장에서는 한국 드라마가 발전한 정치 경제적 배경과 한국 드라마의 발전 과정과 문화산업 정책을 소개하고, 한국 드라마의 콘텐츠의 문화적 특징과 한국 드라마의 산업화 운영을 분석하였다. 제3장에서는 중국 드라마의 발전 과정과 현황을 소개한다, 각 정책 시행 당시의 역사와 관련 문서 연구를 바탕으로 중국 드라마의 발전 과정과 문화산업 정책을 설명하고, 중국 드라마의 특징과 산업의 현황을 분석하고, 중국 드라마 산업이 대면한 과제를 설명하였다. 제4장에서는 주로 한중 드라마 산업을 비교하고, 각 특징과 문화산업 정책·문화 측면을 구체적으로 분석하여 중국 드라마의 발전을 위한 몇 가지 제안을 하였다. 제5장은 결론 부분으로 전체 논문을 정리하고 향후 전망을 제시하였다. 결론적으로 비교분석과 연구를 통해 한국 드라마 문화산업의 발전정책은 참고할 가치가 있으며, 중국 문화산업은 아직 많은 방면의 노력이 필요하며, 중국 문화산업의 발전을 위해서는 국가 차원의 협력과 개혁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중국의 국정을 보면 중국 문화산업의 발전은 아직 초기 단계이다, 한국에 비해 정책적 지원이 미흡하고, 수급이 불균형하며, 정책 효과가 충분히 발휘되지 않아, 드라마 산업 발전에 제약이 많이 있다. 또한 중국 드라마 산업 매출액은 상당하지만, 주로 국내 거대 소비 시장에 의존하고 있으며, 홍보와 영향력 등 ‘소프트 파워’에서 세계적으로 유명한 네임밸류가 형성되지 않았다, 주제 파급력, 리메이트 드라마 등으로 인해, 중국 드라마가 가지고 있는 대중 문화적 함의가 부족하다. 그래서, 입법 및 규정을 강화해야 하고 중국 드라마의 적합한 제작 모델을 모색해야 한다, 중국은 시나리오 창작과 작가의 대우를 중시해야 하고, 중국의 전통문화와 결합하여, 새롭고 중국만의 창조적인 문화 만들어야 한다. In the era of globalization, exchanges in economic and cultural fields are becoming more frequent in countries around the world. Korea's cultural soft power has become a major asset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n particular, Korean dramas serve as a locomotive for the development of the Korean cultural industry. The Korean drama industry and the Korean government's cultural industry policy are worth referring to for the development of the Chinese cultural industry. This paper conducts specific analysis and research on Korean drama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ultural industry. First, the development process of Korean dramas and the government's policies and characteristics are analyzed. Next, we study the specific situation of the drama industry in China. In addition, I would like to present some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Chinese dramas by compa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Chinese drama industry and the government's support policy. This paper consists of four parts. In the introduction of Chapter 1, the background, method, and necessity of research were introduced, and the research purpose, content, and basic direction of the text were clarified by summarizing the research results of Korean dramas by Chinese scholars. Chapter 2 introduces the political and economic background of Korean dramas, the development process of Korean dramas, and cultural industry policies, and analyzes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Korean dramas and the industrialization operation of Korean dramas. Chapter 3 introduces the development process and status of Chinese dramas, explains the development process of Chinese dramas and cultural industry policies based on the history of each policy implementation,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Chinese dramas and the current status of industries, and explains the tasks faced by the Chinese drama industry. Chapter 4 mainly compares the Korean-Chinese drama industry, analyzes each characteristic and cultural industry policy and cultural aspects in detail, and makes several suggestions for the development of Chinese dramas. Chapter 5 summarizes the entire paper as a conclusion part and presents future prospects. In conclusion,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and research, it was found that the development policy of the Korean drama culture industry is worth referring to, the Chinese culture industry still needs many efforts, and national cooperation and reform are needed for the development of the Chinese culture industry. According to China's state affairs, the development of the Chinese cultural industry is still in its early stages. Compared to Korea, policy support is insufficient, supply and demand is imbalanced, and policy effects are not sufficiently exhibited, so there are many restrictions on the development of the drama industry. In addition, although sales in the Chinese drama industry are significant, it relies mainly on the domestic consumer market, and world-famous name values such as "soft power" such as promotion and influence have not been formed, and Chinese dramas lack popular cultural implications. Therefore, legislation and regulations should be strengthened and appropriate production models for Chinese dramas should be sought, China should value screenplay creation and the treatment of writers, and should create a new and unique creative culture in combination with China's traditional culture.

      • 한국어 종결상 보조동사와 중국어 대응 표현 대조 연구 : '-어 놓다, -어 버리다, -어 내다'를 중심으로

        Pang, Meiling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32219

        本论文研究了韩国语终结相补助动词‘-어 놓다’, ‘-어 버리다’, ‘-어 내다’与中国语的对应样式和在这些对应样式中出现的规律,以及其原因。因为韩国语和中国语处于两个语系,因此两语言在很多方面存在着差异。韩国语中与‘相’相关的表达很丰富,但中国语中的相关研究却不然。也就是说中国语的相并不像韩国语这般丰富。并且,中国语补语和韩国语的补助动词有着类似的作用,在意味方面也有很多共同点。本研究本着考察韩国语终结相与中国语的对应关系,及其规律的宗旨进行了考察。 韩国语的终结相包括几种,本研究以保留性终结相,完成性终结相,消去性终结相为对象,本着研究这些终结相与中国语的对应样式的目的进行了研究。为了研究日常生活的口语,本研究中应用103篇电视剧台词台本构成的韩中并列语料库展开了相关研究。两者的对应主要以韩国语终结相和中国语补语的对应为主,此外也有少量的对应中国语副词,短句,或者惯用表达的情况。本研究进行了以上对应样式的分类,并以以下顺序进行了研究。 본 논문은 한국어 종결상 보종동사인 '-어 놓다', '-어 버리다', '-어 내다'와 중국어 대응 양상을 살펴보았다. 한국어와 중국어는 다른 어족에 속하기 때문에 많은 면에서 차이가 나타난다. 한국어는 상 표시가 발달되어있다고 인증되어 왔지만 중국어에서는 학자들의 상과 시제가 있는가 없는가 하는 논의가 분분하다. 중국어 상이 한국어처럼 발달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또한, 중국어의 보어는 한국어 보조동사와 비슷한 기능을 수행하기도 하고 의미적으로도 공통점을 가지기도 한다. 한국어 종결상 보조동사와 중국어의 대응관계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그 규칙과 원인이 무엇인지 하는 고려에서 본 여구를 진행하게 되었다. 한국어 종결상을 나타내는 보조동사는 여러 가지가 있으나 본 연구는 보유성 종결상인 '-어 놓다', 완수성 종결상인 '-어 내다', 소거성 종결상인 '-어 버리다'를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여 이들은 중국어 표현과의 대응 양상을 연구하는 데에 목적을 둔다. 일상생활 구의의 특성을 살펴보는 연구로서 본 연구는 드라마 103편의 발화 대분으로 한중병렬말뭉치를 구축하여 한중 대응 연구를 진행하였다. 대응 양상으로는 한국어 보조동사는 주로 중국어 보어와 대응되는데 구나 부사, 그리고 대응 표지가 없는 영대응의 경우도 있다. 본 연구는 연구 대상과 대응되는 중국어를 분류하여 각각 대응관계에서 나타나는 규칙이나 대응 원인을 알아보았다.

      • 한국과 중국 드라마 시청자의 PPL인식과 태도에 관한 연구 : ‘태양의 후예’를 중심으로

        곽효염 동국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31998

        TV drama have become an indispensable part of daily entertainment of the masses. The Korean tide also continues to affect the mainland China. The recent TV drama “Descendants of the Sun” receives high popularity not only in Korea, but also in China, Japan, southeast Asia, and even at overseas. A new high of ratings also let us witness the power and charm of Korean TV drama again. It is not a rare thing to implant advertising in Korean TV drama. Compared with the traditional television advertising, this kind of advertisement closely links the characters, plots and advertising products together, which bypasses the psychological defense mechanism of the audience and indirectly conveys the product information. Although there exists some disadvantages in this kind of advertising form, advertisements has attracted the attention of many scholars by virtue of its unique advertising effect and market potential in the past ten years. Aiming at the PPL in the TV drama “Descendants of the Sun”, this article carries out an investigation on Chinese and Korean college students through questionnaires from the perspective of TV drama and the audience’s characteristics, so as to understand the attitude towards PPL of college students in two different countries and its effects on psychological retort. The result of research question 1: there exist differences in attitudes and psychological resort on PPL advertisement in TV drama “Descendants of the Sun” of college students in China and South Korean. The result of research question 2: Chinese college students tend to form a positive attitude to the advertising form of PPL in the TV drama if they are fond of the narration of the story, the attention of the product or brand. South Korean college students will have a positive attitude to the PPL advertising forms in TV drama if the television has a high work completion degree and the product has more attention. The result of research question 3: if Chinese college students have a higher attention to the viewing time, the narration of the story and the TV drama, their psychological retort degree will be lower. On the contrary, only narrative can have an impact on psychological retort of Korean college students. The higher the narrative is, the stronger psychological retort is. Based on the survey results of the questionnaires, the article reveals that Chinese and South Korean college students have different cognition to PPL because of the differences in life and cultural environment. Chinese college students have lower brand recognition to TV drama, who may not timely find out the advertisements implanted in TV drama. On the contrary, the advertisements that frequently occur in the TV drama are known by Korean college students. When advertisements suddenly occur in the development of the plot, it will seriously damage the plot details and make the audience disgusted with it. In addition, the main plot of “Descendants of the Sun” is the love story between a soldier and a doctor. In China, the daily life of soldiers is unknown to most people, but in South Korea, every adult male should serve in the army, and most people are very familiar to their military life. From the perspective of plot, it is much less attractive to Korean students, but provides enough freshness to Chinese college students.

      • 중국 내 한국 TV드라마의 인기요인 및 지속방안 연구 : ‘지우링허우’(90後)세대 여성 시청자 심층면접을 중심으로

        오민서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15887

        중국 내 한국 TV드라마의 인기요인 및 지속방안 연구 : ‘지우링허우’(90後)세대 여성 시청자 심층면접을 중심으로 1992년 한중수교 이후부터 현재까지 한국과 중국은 경제적, 정치적, 사회적으로 큰 영향을 주고받으며 서로 밀접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 한중간의 문화 교류는 양국의 우호 관계를 유지하는데 큰 역할을 하고 있으며, 특히 한국 TV드라마는 중국 내 한류 현상을 성공적으로 이끌어 오고 있다. 먼저, 1997년 한국 TV드라마 <사랑이 뭐길래>와 <별은 내 가슴에>가 큰 인기를 끌며 중국 내 한국 TV드라마가 성공적으로 진출하게 되었고, 2005년 드라마 <대장금>이 중국 내 열풍을 일으키며 한국 TV드라마 뿐 아니라 한국의 문화를 알리게 된 계기가 되었다. 또한, 2014년에 방영된 드라마 <별에서 온 그대>와 2016년에 방영된 <태양의 후예>가 <대장금>이후 큰 신드롬을 불러일으키며 한국 TV드라마는 중국의 대중문화에 다시 한 번 큰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이처럼 한국 TV드라마는 과거부터 현재까지 한중양국의 문화교류 촉진에 큰 영향력을 끼치고 있으며 문화 산업 이외 관련 산업도 함께 발전시켜 국내 경제에도 큰 이바지를 하고 있다. 따라서 앞으로도 양질의 한국 드라마 콘텐츠를 생산해 중국 내 한국 TV드라마의 인기현상을 지속시킬 필요성이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과거부터 현재까지 중국 내에서 인기 있었던 한국 TV드라마를 시기별로 살펴보고 중국 내 한국 TV드라마의 인기요인과 인기 지속방안을 살펴보았다. 특히, 한중수교를 맺은 1990년대를 시작으로 2000년대, 2010년대부터 현재까지로 나누어 그 시기 중국으로 수출된 한국 TV드라마를 소개하고, 당시 사회적, 역사적 상황에 따른 중국 내 한국 TV드라마 수용맥락을 살펴보았다. 또한, 과거부터 지금까지 중국 내에서 한국 TV드라마가 인기를 끌 수 있었던 여러 가지 요인에 대해 짚어보았고, 실제 한국 TV드라마를 즐겨 시청하며 앞으로도 시청 가능성이 큰 중국인을 대상으로 직접 인터뷰하여 앞으로도 중국 내 한국 TV드라마의 인기를 지속시킬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제시하고자 하였다. A Study on the Keys to the Popularities and Sustainable Measures of Korean TV drama in China : Focused on In-depth Interview with women viewers born from 1990 Since the establishment of diplomatic relation between Korea and China in 1992, Korea and China have been affecting each other largely economically, politically and socially and have been maintaining a close relationship. Under such circumstances, cultural exchange between Korea and China has been playing a significant role in maintaining a friendly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countries and especially, Korean TV draws has been leading the Korean wave within China successfully. Firstly, the Korean dramas “What is love” and “Star in my heart” became largely popular in China, allowed successful entry of Korean TV dramas into China and in 2005, as “Daejanggum” became very popular in China, it became an opportunity to advertise not only Korean dramas, but also Korean culture. Moreover, “My love from another star” broadcasted in 2014 and “Descendants of the Sun” broadcasted in 2016 brought a big syndrome after “Daejanggum” and Korean TV dramas made another big impact on the popular culture of China. As such, Korean TV dramas have a big influence on the promotion of cultural exchange between the two countries from the past to the present and related industries other than cultural industries have been developed together to contribute to the domestic economy. Therefore, going forward, by producing Korean drama contents of quality and quantity, sustaining the popularity effect of Korean TV dramas within China is necessary. Accordingly, this research looks into Korean TV dramas which were popular in China from the past to the present for each period and elements of popularity and measures to sustain popularity of the Korean TV dramas within China. Especially, by dividing into 1990s when the diplomatic relation between Korean and China began as a start, 2000s and from 2010s to the present, we looked into acceptance of Korean TV dramas within China in the context of the social and historical circumstances at the time. Moreover, we went through the various elements which made the Korean TV dramas popular in China from the past to the present and by directly interviewing Chinese people who are highly likely to enjoy watching Korean TV dramas in reality, intended to propose measures to sustain popularity of Korean TV dramas in China.

      • 웹소설의 드라마 제작 성공요인 연구 : 한·중 웹소설 드라마 사례비교를 중심으로

        관운사 건국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15886

        본 연구는 웹소설 드라마 성공요인에 대하여 연구하고, 원작이 있는 한국과 중국의 드라마 흥행 성공요인을 도출, 비교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한국의 <김비서가 왜그럴까>, 중국의 <향밀침침신여상>을 대상으로 사례연구, 한국과 중국 시청자 총 2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례분석을 통하여 중국은 캐릭터의 내면적 조건과 긴 드라마 분량을 활용해 웹소설과 동일한 시간, 순서로 서사 진행, 충분한 분량 확보, 동영상 플랫폼을 통한 드라마 제공을 성공요인으로 도출하였다. 한국은 배우의 외형적 조건 및 웹소설 캐릭터와의 외형적 조건의 일치성, 웹소설과 동일한 서사에 조연 캐릭터 활용, 영상효과를 통한 볼거리 등 드라마 차별성, 시청자와의 활발한 소통, TV 다수 채널 및 동영상 플랫폼을 통한 드라마 제공을 성공요인으로 도출하였다. 둘째, 설문조사 분석을 통하여 공통적인 성공요인으로 ‘원작(웹소설)’의 화제성, 기존에 가지고 있던 인지도(재미)로 인해 웹소설 드라마 작품을 시청한다는 응답을 통하여 웹소설이 가진 인지도를 도출하였다. 반면 양국의 차이점을 바탕으로 보면, 시청자 요소에 대하여 한국은 내용 및 캐릭터 몰입이 성공요인이라고 보며, 중국은 시청자와의 소통을 성공요인으로 보았다. 또한, 환경요소는 한국은 시청할 수 있는 플랫폼이 TV의 다양한 채널, 온라인 동영상 플랫폼, 동영상 다시보기 앱 등으로 많다는 점이 성공요인으로 나타났으나 중국은 플랫폼은 많지 않으나 대부분의 드라마를 온라인 동영상 플랫폼에 제공하여 시청자가 쉽게 드라마에 접근할 수 있는 것이 성공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점을 통하여 한국과 중국의 웹소설 드라마 성공요인에는 공통점과 차이점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으며, 나날이 증가하고 있는 양국 웹소설 드라마 시장에서 드라마가 성공하기 위해서는 앞서 도출한 성공요인을 고려한 드라마 제작이 필요하다고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the success factors of dramas based on web novels that have recently become popular in Korea and China. To this end, this study conducted a case study on "What's Wrong with Secretary Kim" in Korea and "Spicy Acupuncture Women's Statue" in China. This study sampled a total of 250 Korean and Chinese viewers for empirical analysis and then conducted a survey. Through this, this study deriv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he success factors of Chinese web novel-based dramas were related to narrative progression in the same time and order as web novels, securing sufficient amount, and drama production through video platforms by utilizing the character's inner conditions and long drama volumes. The success factors of Korean web novel-based Dreama included the actor's external conditions and external conditions with web novel characters, the use of supporting characters in the same narrative as web novels, active communication with viewers, and drama production through TV channels and video platforms. Secon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urvey, the popularity of the original work (web novel) and the existing recognition (fun) were suggested as common success factors for Korean and Chinese dramas. On the other hand, Korean dramas show drama content and character immersion, but Chinese dramas value communication with viewers, which was evaluated as different success factors for dramas in the two countries.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environmental factors, the fact that there are many platforms available to watch is the success factor of Korean dramas, while the easy accessibility to dramas is the success factor of Chinese dramas. Thus, it was confirmed that there are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in the success factors of web novel dramatization between Korea and China. This study suggests that in order for dramas to succeed in the increasing web novel dramatization market in both countries, it is necessary to produce dramas considering the success factors derived abov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