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충청남도 기초자치단체 교육경비보조금 제도의 특성 분석

        이병도 공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8703

        This study aims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by analyzing the educational expenses subsidy system and the status of support operated by 15 basic local governments in Chungcheongnamdo. To this end, the contents of ordinances created and enforced by basic local governments, organizations operating them, and procedures for operation were analyzed. Subsequently, from 2017 to 2020, educational expenses supported by 15 basic local governments in Chungcheongnamdo were classified by type, project type, and school level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In addition, cases in which Cheongyanggun, Buyeogun, and Seocheongun, which are restricted from supporting educational expenses due to poor financial conditions, were analyzed. In particular, it was intended to clarify how these three basic local governments are subsidizing educational expenses through their own scholarships. In order to achieve this research problem, the contents of the studie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ix of the basic local governments in Chungcheongnamdo support various educational epenses by expanding the scope of subsidized projects reflecting regional characteristics. The subsidized reference amount ranges from 3% or more to 6%. The members who deliberate on educational expenses are insufficient to collect various opinions, find educational expenses projects, and evaluate performance due to the high proportion of ex officio and work-related persons. In addition, there is a lot of work burden due to complicated settlement procedures and documents. There is not enough consultation between basic local governments that support educational expenses,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schools that operate them. Second, the size of the total educational expenses subsidy depends on the meal expenses and free tuition that are greatly affected by the number of students in the jurisdiction. In addition, educational expenses that help students' educational activities are decreasing as the amount of support per student by basic local governments is greatly affected by whether or not large-scale educational environment improvement costs are reflected. The amount of support per student appears to be more affected by financial autonomy rates than financial independence rates. Due to the high proportion of meal expenses and free tuition, local governments in urban areas with a large number of students have a higher ratio of education expenses among local taxes and final budgets than local governments in county areas. Third, Buyeogun, Cheongyanggun, and Seocheongun, which are restricted from educational expenses among basic local governments in Chungcheongnamdo, invest a large budget every year to increase their assets, and expand scholarship projects. As a result, education expenses supported through ordinances subsidizing education expenses are rather decreasing. The expansion of educational expenses that basic local governments do not go through deliberation and resolution by local councils hinders the efficiency, transparency, and soundness of budget management. The conclusions obtained from the analysis and discussion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ix basic local governments among the basic local governments in Chungcheongnamdo provide various educational expenses by expanding and reflecting the scope of subsidized projects reflected in the Regulations on Support for Educational Expenses of Local governments. Two local governments with a subsidy standard of 3% and seven local governments that stipulate the maximum (within a few percent) are restricted from operating educational expenses subsidi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aise the subsidy standard amount so that education expenses can be expanded, and to revise the ordinance to the minimum regulation (more than a few percent) of the upper limit standard. The members of the Education Expense Review Committee are restricted from collecting various opinions, finding educational expenses projects, and evaluating performance due to the high proportion of ex officio and work-related people, so improvement is needed. In the settlement procedure, measures should be prepared to reduce the burden on faculty members. In particular, rather than formally proceeding with the consultation process in the process of applying for educational expenses, it is necessary to form a consultative body with the Office of Education and unit schools to ensure practical and sufficient consultation on project evaluation and introduction of new projects. Second, the amount of support per student varies greatly depending on how much educational expenses subsidies from Chungcheongnamdo local governments reflect the cost of improving the educational environment, which is large in size. It is necessary to support the budget related to the improvement of the educational environment by utilizing the budget of the Office of Education, and to focus on the types of projects that benefit various schools and students. It was analyzed that educational expenses subsidies per student were more affected by financial autonomy rates, which is the combined ratio of self-income and independent resources, rather than financial independence rates, which is the ratio of self-income to the total account revenue of local governments. Therefore, in order to expand educational expenses subsidies, the central government needs to improve the system and introduce policies so that the financial autonomy rates of basic local governments is balanced. Third, the total size of educational expenses subsidies from Chungcheongnamdo local governments varies depending on the number of students in the jurisdiction, depending on the amount of meal expenses and free education expenses that are almost mandatory. Local governments in urban areas with a large number of students in the jurisdiction provide a larger amount of educational expenses subsidies than local governments in county areas with a small number of students, but the ratio is not high compared to local taxes or the final budget. This is especially true of educational expenses under the Education Expense Subsidy Ordinance than the total educational expenses subsidy. Therefore, in Chungcheongnamdo, where free meals are provided from kindergartens to high school students, it is necessary to revise the current school meal-related ordinance to provide mandatory educational budgets, and to revise the ordinance to focus on business types closely related to school and students' direct educational activities. In addition, as analyzed in this study, educational expenses directly supported by the Office of Education, not by unit schools, are gradually increasing, and this method of educational expenses support can serve as a positive alternative for various schools and students to benefit from educational expens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this and establish a legal basis for direct support to the Office of Education by revising the current Regulations on Educational Expense Assistance of Local Governments and the Education Expense Assistance Ordinance operated by each local government. Fourth, three basic local governments in Chungcheongnamdo, which are restricted from educational expenses assistance, contribute a large budget to their own scholarships every year to increase their total assets, expanding various scholarship projects, including education environment improvement. For this reason, educational expenses subsidies under the Education Expense Assistance Ordinance are rather decreasing. Increasing educational expenses and expanding projects through scholarships that do not go through deliberation and resolution by local councils hinders the efficiency, transparency, and soundness of basic local government budget operation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policy to restrict educational expenses subsidies, which does not contribute to improving the financial conditions of basic local governments, but rather limits educational investment by basic local governments. Research on education expense subsidies so far mainly includes institutional issues of education expense subsidies, securing education expenses, decision processes and determinants, effectiveness of the system, equity and fairness analysis of education expense subsidies. Research on the specific system operation status, support status, and effectiveness of each local government has not been activated. In the future, individual and in-depth studies are needed for basic local governments across the country on the operation of the education expense subsidy system, trends in the size and change of support, improvement of project types, and analysis of project performance. In particular, research on the size and effectiveness of education expenses directly supported by the Office of Education, not by unit schools, needs to be expanded to basic local governments nationwide.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expand research nationwide on the trend of gradually increasing assets and expanding scholarship projects with the characteristics of educational expenses by operating scholarships created by local governments that are restricted from subsidizing educational expenses. Through this, an accurate analysis should be made on the effectiveness of the government's policy to restrict education expenses. 이 연구에서는 교육경비보조제도의 의미, 목적, 관련 법규 등을 파악하고, 충청남도 15개 기초자치단체의 교육경비보조금 제도 운영을 분석하여 그 특성을 찾아내고, 최근 4년간(2017〜2020년) 충청남도 15개 기초자치단체의 교육경비보조금을 종류별, 기초자치단체별, 사업유형별, 학교급별로 특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재정 여건이 열악하여 교육경비보조에 제한을 받는 3개 기초자치단체의 교육경비보조금 운영을 분석하고, 이들 기초자치단체가 자체 출연 장학 법인을 통하여 교육경비를 어떻게 보조하고 있는가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 연구의 연구문제는 충청남도 기초자치단체의 교육경비보조금 제도의 운영 특성은 어떠한가?, 충청남도 기초자치단체의 교육경비보조금 지원 특성은 어떠한가?, 교육경비 보조 제한을 받는 충청남도 기초자치단체의 교육경비 지원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가? 이렇게 세 가지이며, 충청남도교육청이 작성한 연도별 교육경비 확보 현황, 지방교육재정알리미, 지방재정365, 교육통계서비스, 충청남도재정정보공개시스템, 국세청 홈택스, 기초자치단체별 결산서를 활용하였다. 이 연구에서 분석하고 논의한 결과로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충청남도 기초자치단체 중에서 6개 기초자치단체는 지역 특성을 반영하여「지방자치단체의 교육경비 보조에 관한 규정」에 반영된 보조사업의 범위를 확대·반영하여 다양한 교육경비를 지원한다. 보조기준액이 3% 수준인 2개 기초자치단체와 최대치(몇 퍼센트 이내)를 규정한 7개 기초자치단체에서는 교육경비보조금 운영에 제한을 받는다. 따라서 교육경비가 확대될 수 있도록 보조기준액을 높이고, 상한 기준을 최소치 규정(몇 퍼센트 이상)으로 조례를 개정할 필요가 있다. 교육경비심의위원회 위원은 당연직 및 업무 관련자 비율이 높아 다양한 의견 수렴, 교육경비 사업 발굴, 성과 평가 등에 제한을 받으므로 개선이 필요하다. 정산 절차에서는 교직원의 업무 부담을 경감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특히 교육경비 신청과정에서 형식적으로 협의 절차를 진행하기보다는 교육청 및 단위 학교와 함께 협의체를 구성하여 사업 평가와 신규 사업 도입 및 기존사업 추진 여부 등에 대하여 실질적이고 충분한 협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충청남도 기초자치단체의 교육경비보조금은 사업 규모가 큰 교육환경개선 비용을 얼마나 반영하는지에 따라 학생1인당 지원액이 크게 달라진다. 교육청 예산을 활용하여 교육환경개선과 관련한 예산을 지원하고, 교육경비보조금은 여러 학교와 학생들에게 혜택이 돌아가는 사업 유형에 집중하여 지원할 필요가 있다. 학생1인당 교육경비보조금은 자치단체의 일반회계 세입 총액에서 자체수입이 차지하는 비율인 재정자립도보다는 자체수입과 자주재원을 합한 비율인 재정자주도의 영향을 더 받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교육경비보조금을 확대하기 위해서는 기초자치단체의 재정자주도가 균형있게 유지되도록 중앙정부가 제도 개선과 정책도입을 해야할 필요가 있다. 셋째, 충청남도 기초자치단체의 교육경비보조금은 관내 학생수에 따라 거의 의무적으로 지원하는 급식경비와 무상교육경비 액수에 따라 전체 규모가 달라진다. 관내 학생수가 많은 시지역 기초자치단체는 학생수가 적은 군지역 기초자치단체에 비해 많은 액수의 교육경비보조금을 지원하지만 지방세 또는 최종 예산과 비교한 해당 비율은 높지 않다. 특히 전체 교육경비보조금보다 교육경비보조 조례에 의한 교육경비는 더욱 그러하다. 따라서 유치원부터 고등학생까지 무상급식이 실시되는 충청남도 상황에서 급식경비는 현행 급식관련 조례를 개정하여 의무적인 교육예산으로 지원하고, 교육경비보조금은 학교와 학생들의 직접적인 교육활동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사업 유형으로 집중하여 지원하면서 지원액도 일정액을 확보할 수 있도록 조례 개정을 추진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이 연구에서 분석한 바와 같이 최근 단위 학교가 아니라 교육지원청에 직접 지원되는 교육경비가 점차 늘어나는 추세인데, 이러한 방식의 교육경비 지원이 여러 학교와 학생들이 교육경비의 혜택을 받을 수 있는 긍정적인 대안으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이에 대한 효과성을 분석하여 현행 「지방자치단체의 교육경비 보조에 관한 규정」과 각 기초자치단체가 운영하는 교육경비보조 조례를 개정하여 교육지원청에 직접 지원하는 것에 대한 법률적 근거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넷째, 충청남도 기초자치단체 중에서 교육경비보조에 제한을 받는 군지역 3개 기초자치단체는 자체 출연한 장학회에 매년 많은 예산을 출연하여 총자산액을 늘리면서, 교육환경개선 시설사업을 포함한 교육경비 지원과 비슷한 각종 장학사업을 확대하고 있다. 이 때문에 교육경비보조 조례에 의한 교육경비보조금은 오히려 줄어드는 추세이다. 기초자치단체가 지방의회의 심의와 의결을 거치지 않는 장학회를 통하여 교육경비를 늘리고 사업을 확대하는 것은 기초자치단체 예산 운영의 효율성, 투명성, 건전재정성 등에 저해된다. 따라서 기초자치단체의 재정여건 개선에 기여하지 못하고, 오히려 기초자치단체의 교육투자를 제한하는 결과를 초래하는 교육경비보조 제한 방침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

      • 지방의제 21과 지속가능발전위원회의 관계모형에 관한 연구

        성기원 공주대학교 산업과학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701

        Environmentally Sound and Sustainable Development(ESSD) for 21 century was adopted as a basic principle for national governance at UN Conference on Environment and Development(UNCED) in 1992, Rio, Brazil Since 1995, Local Agenda 21 has been promoted in Korea for sustainable development balanced and harmonized social inclusion, economic development and environmental conservation. As the establishment of the Law of Sustainable Development on July 3, 2007, the regional commission on sustainable development will be established in near days at a regional governmen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1. to define the concept of Local Agenda 21 and Sustainable Development, and search its process and present status through considering the previous studies and the related documents; 2. to analyze the cases of the establishment and its governance system of Local Agenda 21 Council(LAC) and Commission on Sustainable Development(CSD) and; 3.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LAC and CSD based on the above definition and analysis, and then to suggest the best model for Chungcheongnam-do reviewing strong and weak points of each organization. In order to achieve these aims, a geographical area is limited to Chungcheongnam-do. From November 5 to 15, 2007, the personal paper interviews was promoted for local government officials, academic experts and LA21 activists in Chuncheongnam-do, and then total 15 interviewed results are adopted in this thesis. The questionnaire using AHP tool is consisted of 5 criteria for the realization of LA21 and SD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LAC and CSD: 1. the professionalism of its members 2. the integration of various professional areas 3. advices and deliberation about policy, institution and planning 4. implementation 5. evaluation And also, through reviewing other area cases already established LAC and CSD in Korea it is constituted of the comparison of 4 cases on relationship between LAC and CSD: 1. a co-existence and independence model 2. an integrated model centered on CSD 3. an integrated model centered on LAC 4. an integrated model balanced equally LAC and CSD The outcom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1) as an initiative of the establishment of LAC and CSD, the realization of Sustainable Development is regarded of the most important thing among 3 groups: LA21 activists(2.105/34.123 score), academic experts(2.627/33.302 score), and local government officials(4.026/32.980 score) 2) as the most proper model among models of LAC and CSD for local governments, LA21 activists and academics selected an integrated model centered on LAC. However, local government officials chose an integrated model centered on CSD. Totally, no. 1 is an integrated model centered on LAC. 3) For regional governments, an integrated model centered on CSD is selected of no. 1 by LA21 activists and academics, but an integrated model centered on LAC by local government officials. Totally, no. 1 is an integrated model centered on CSD. Through this study, I will conclude as following: 1) the most important thing is to realize a Sustainable Development for the establishment of LAC and CSD in Chungcheongnam-do. 2) we should consider not only the professional policy advices and deliberation by academics but also the public participation in policy evaluation and feedback process when CSD is established as a institutional structure of Chuncheongnam-do government. 3) establishing a CSD in Chungcheongnam-do government, it is important to cooperate with LAC which can be a channel of public participation and implementation, and a base to cooperate and network with the existed local LA21. Further, we need to consider to integrate two bodies and operate it. 1992년 브라질 리우에서 개최된 유엔환경과 개발에 관한 회의에서 국제사회는 21세기에 환경적으로 건전하고 지속가능한 발전(ESSD)를 국가운영의 기본지침으로 선택할 것을 결의 하였다. 우리나라는 사회통합, 경제발전, 환경보전의 조화와 균형을 이루는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1995년부터 지방의제 21을 추진하였으며, 2007년 7월 3일 지속가능발전기본법의 제정으로 광역자치단체는 행정기구로 지속가능발전위원회 설립을 앞두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① 선행 연구 및 관련문헌의 고찰을 통하여 지속가능발전의 발달 과정과 개념, 지방의제 21의 이념과 현황을 탐색하고, ② 지방의제 21 추진기구와 지속가능발전위원회의 설치 및 운영 사례 등을 분석하였으며, ③ 이를 토대로 지방의제 21과 지속가능발전위원회의 사이의 관계모형을 분석하고, 이들의 장단점을 점검하면서 충청남도에 적합한 모델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 대상 지역은 연구자의 연구 목적에 적합한 충청남도로 선정 하였다. 본 조사는 2007년 11월 5일부터 11월 15일까지 충청남도 및 기초자치단체에 설치된 지방의제 21 추진기구의 실무자와 관계전문가, 공무원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한 직접 면접 방식으로 실시하였으며, 15명의 설문지가 분석에 이용되었다. 설문지는 AHP 기법을 활용하여 연구자의 연구목적에 맞게 지방의제 21과 지속가능발전위원회의 설치 목적인 지속가능발전의 실현과 기능으로 위원구성의 전문성, 위원구성의 통합성, 정책과 제도·계획의 자문 및 심의, 실천 및 평가의 5개의 평가기준과 국내에 두 기구가 설립된 사례조사를 통해 분석된 독립적 양립형, 지속가능위원회 중심 통합형, 지방의제 21 중심 통합형, 동등위상 통합형의 4개의 관계모형 간 쌍대 비교하는 것으로 구성 되었다 이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평가기준에서 지방의제 21과 지속가능발전위원회 설립 요인 중 지속가능발전의 실현을 지방의제 21 실무자(2.105/34.123점), 전문가(2.627/33.302점), 공무원(4.026/32.980점) 세 집단 모두가 가장 중요하게 판단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 되었다. 2) 기초 자치단체의 지방의제 21과 지속가능발전위원회 관계모형 중 가장 적합한 모델로 지방의제 21 실무자와 전문가 집단은 지방의제 21 중심 통합형 모델을 1순위로 선택 하였다. 공무원집단은 지속가능발전위원회 중심 통합형 모델을 1순위로 선택한 것으로 분석되었으나 세 집단 의사결정 총합결과는 지방의제 21 중심 통합형 모델이 1순위로 나타났다. 3) 광역 자치단체인 충청남도의 지방의제 21과 지속가능발전위원회 관계모형 중 가장 적합한 모델로 지방의제 21 실무자과 전문가 집단은 지속가능발전위원회 중심 통합형 모델을 1순위로 선택 하였다. 공무원집단은 지방의제 21 중심 통합형 모델을 1순위로 선택한 것으로 분석되었으나 세 집단 의사결정 총합결과는 지속가능발전위원회 중심 통합형 모델이 1순위로 나타났다. 이 연구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1) 충청남도에서 지방의제 21과 지속가능발전위원회 설립 운영 시 가장 중요한 요인은 지속가능발전의 실현임을 파악 할 수 있었다. 2) 충청남도의 행정기구로서 지속가능발전위원회 설립 시 고려해야 될 사항으로 소수 전문가 중심의 정책자문 및 심의뿐만 아니라 정책의 평가 ·환류의 과정에 도민의 참여가 보장되는 통합성도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3) 충청남도의 지속가능발전위원회 설립 시 도민 참여와 실천기능, 그리고 시군 지방의제 21과의 협력과 네트워크 형성이라는 측면에서 지방의제 21 추진기구와의 협력이 중요하며, 좀 더 적극적인 방안으로는 두 기구의 통합 설치 운영을 검토 할 필요가 있다.

      • 박물관 뮤지엄샵 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 충청남도 공립박물관을 중심으로

        이재순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87

        시대가 발전하고 연극, 스포츠, 영화 등 다양한 문화생활이 등장하면서 박물관을 찾던 사람들이 박물관을 찾기 않게 되었다.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해서 박물관은 다양한 서비스의 제공과 홍보, 마케팅의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고, 박물관의 변화와 함께 뮤지엄샵도 발전해왔다. 오늘날 뮤지엄샵은 단순히 수익창출뿐만 아니라 박물관의 목적과 정체성을 실현하는 또 하나의 전시공간으로 발전하게 되었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많은 뮤지엄샵에서 그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고 있다. 특히 지방 공립박물관의 경우 뮤지엄샵의 운영과 문화상품을 하나의 사업으로 진행하기 쉽지 않으며, 박물관의 부속적인 운영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충청남도에서 가장 활발한 운영주체인 공립박물관의 뮤지엄샵 현황과 문제점을 살펴보고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먼저 문헌자료를 바탕으로 뮤지엄샵과 문화상품에 대해 이론적으로 살펴보았다. 이후 현장방문조사와 전화인터뷰, 인터넷 조사 등을 통해 국내 타 지역의 박물관 뮤지엄샵과 문화상품의 현황을 조사하고, 충청남도 공립박물관의 뮤지엄샵과 문화상품 현황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충청남도 공립박물관 뮤지엄샵의 문제점으로 위탁운영으로 인한 소규모 위탁운영업체의 상품 개발의 한계와 뮤지엄샵에 대한 박물관의 무관심, 열악한 뮤지엄샵 환경에 대해 제시하였다. 문화상품의 문제점으로 전문적인 상품개발 부서 및 인력의 부족, 소장품 및 전시와 연계가 낮은 상품, 상품 구성의 문제점을 제시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바탕으로 충청남도 공립박물관 뮤지엄샵에 대한 개선방안을 뮤지엄샵, 박물관, 지방자치단체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뮤지엄샵의 개선방안은 첫째 뮤지엄샵 환경개선의 필요성, 둘째 만족도 분석을 통한 서비스 확장, 셋째 상품 개발 및 기획의 필요성이다. 박물관에서의 개선방안은 첫째 대표 소장품을 특화시킨 상품의 변별력 확보, 둘째 기획전시를 통한 질적 향상, 셋째 적극적인 홍보 및 마케팅 전략 수립, 넷째 위탁운영 뮤지엄샵에 대한 박물관의 개입이다. 지방자치단체에서의 개선방안은 첫째 전문적인 개발인력 및 지원부서 설립, 둘째 문화상품 박람회 개최이다. 뮤지엄샵과 문화상품은 단순히 박물관의 부속시설이 아닌 박물관의 설립목적과 정체성을 품고 있는 중요한 요소이다. 이러한 충청남도 공립박물관의 뮤지엄샵과 문화상품이 제 역할을 다하기 위해서는 현재 나타나는 문제점을 보완하고 지속적으로 개선해 나가야할 필요가 있다. As the times evolved and various cultural life such as theatre, sports and film appeared, people who used to visit museums before did not visit them as before. In order to survive the competition, museums in the world felt the necessity of providing, promoting and marketing various products and services, and their museum shops have developed with the change of the museums. Today, museum shops in the world have developed into exhibition spaces that not only make profits but also realize the purpose and identity of museums. However, many museum shops in Korea have not followed this trend. In particular, local public museums are not easy to operate museum shops and sell cultural products as a business, and but remain at the level of ancillary facilities of museum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the museum shops of public museums in Chungcheongnam-do, which are most actively operated, and to suggest improvement plans. First, based on literature materials, museum shops and cultural goods were theoretically examined. Afterward, through the site visits, telephone interviews and internet surveys, the current status of museum shops and cultural products in other parts of Korea is investigated, and the museum shops and cultural products of Chungcheongnam-do Public Museums were examined. Based on this study, the problems of Chungcheongnam-do public museum shops were found to be the limitations of product development of small-scale outsourcing manufacturers, museum's indifference to the museum shops, and poor museum shop environment. The problems of their cultural goods were found to be the lack of professional product development departments and their manpower, and the products and their composition not related to the collection and exhibition of the museums. In this study, based on these problems, improvement plans for the museum shops in the Chungcheongnam-do public museums were suggested at the levels of museum shops, museums and local governments. The improvement plans for the museum shops include firstly the necessity of improving the environment of the museum shops, secondly the service expansion through the analysis of customers’ satisfaction, and thirdly the necessity of product development and planning. The improvement plans for the museums include firstly the development of unique products that show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representative collections, secondly the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exhibitions through specially planned exhibitions, thirdly, the establishment of positive promotion and marketing strategies, and fourthly, the engagement of the museums in the operation of subcontracting museum shops. The improvement plans for the local governments including firstly the establishment of support departments with professional personnel, and secondly the promotion of cultural product fairs. Museum shops and cultural goods are not just an accessory of museums, but important elements that represent the purpose and identity of the museums. In order for the museum shops and cultural products of the Chungcheongnam-do Public Museums to fulfill their roles, it is necessary to supplement the current problems and to continuously improve them.

      • 지역갈등해소를 위한 갈등관리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 : 충청남도를 중심으로

        이경용 배재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84

        In the Korean society, the voice of local residents has been raised about every policy set up by a local self-government chosen by themselves. Local residents endeavor to have their opinions and demands heard and reflected in the policy making processes, through which conflicts are deepened among such groups with different interests as the central government, local government, local resident, NGO, etc. It is very likely that such conflicts will take place and it is never an easy thing to find a solution which can satisfy every demand of the interest groups. Of course, conflicts may happen within any society. But, how conflicts are addressed will have a positive or negative effect on the society. It is why in recent days the importance is recognized for the conflicts to be settled by means of mutual dialogue, consultation, arbitration and mediation so as to reduce negative effects of the conflicts and why more attention is given to how to treat with social conflicts. At present, conflicts are continually surfaced between the central government and the Chungcheong region including South Chungcheong Province over the issue of the special law for Sejong City. In addition, conflicts are very likely to happen in relation with the project to restore the Geun River as part of project to restore the four major rivers in Korea and with the promotion of locally connected projects. There are other various potential or surfaced conflicts between Yesan County and Asan City in connection with the construction of a joint business place to turn livestock excretions into resources promoted by Yesan County, between different administrative districts in connection with the development of Dangjin Harbor, over the construction of a tidal power plant at Garorim Gulf by Seosan County, and over the compensation for the accident of oil spillage from the Hebei Spirit ship in the west coast. In such a situation, this study aims to search for a scheme to set up systems for addressing the conflicts rising in South Chungcheong Province after closely analyzing the actual condition of the local conflicts. To do that, the present author has analyzed various preceding researches, investigated diverse opinions, and considered similar cases for the purpose of identifying a good plan to control the conflicts. The following is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to set up systems for smoothly addressing local conflicts of such a kind. First, communications need be promoted to know and understand the conflicts and reaching a consensus should be activated. It requires the intensification of conflicts control education, the diversification of mutual understanding opportunities through communication, and the establishment of social consensus systems. Second, the functions of intermediate organizations for addressing the conflicts need be consolidated. It requires the cultivation of appropriate experts equipped with negotiation and conflicts settlement abilities, the endowment of practical authorities to conflicts mediation institutes (intermediate organizations), and the preparation of conflicts mediation systems in each relevant field. Third, systematic mechanisms to address the conflicts need be established and operational systems for the mechanisms need be constructed. It is urgent that there should be an exclusive organization to control the conflicts and such indices and manuals as to systematically handle the conflicts need be developed. However, before everything else, relevant laws and regulations need be established as soon as possible to control the conflicts, including local ordinances to address the conflicts in South Chungcheong Province. Fourth, all the conflicts cannot be controlled without mutual cooperation, dialogue, sacrifice and endeavor.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cooperation networks and integrated governance should be formed. Mutual confidence with a view to truly addressing the conflicts can be built only when a cooperation system for conflicts control organizations which have been imprudently set up is constructed, the representative and public aspects of the neglected civic groups are stressed, and different views of the conflicts are taken into consideration. 오늘날 우리사회는 민선지방자치의 시작 이후로 지방정부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정책에 있어서 지역주민의 발언권이 강화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지역주민들은 정책과정에 있어서 자신들의 의견 및 요구를 반영시키기 위해 노력하게 되었고, 이 과정에서 중앙정부, 지방정부, 지역주민, NGO단체 등 서로 다른 이해관계를 가지고 있는 집단들 간의 갈등이 심화되고 있다. 이러한 갈등은 그 발생 잠재력이 매우 크며, 이해관계자들의 요구를 모두 만족시키는 해결안을 찾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물론 갈등은 어느 사회에서나 발생할 수 있는 현상이지만, 갈등을 어떻게 관리하는 가에 따라 그 결과가 긍정적으로 나타나기도 하지만, 한편으로는 부정적으로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근래에는 갈등으로 인한 부정적인 면을 줄이고, 상호 대화·협의·중재·조정 등을 통한 갈등해결의 중요성이 인식되고 있으며, 갈등관리 분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현재 충청남도의 경우에는 「세종시 특별법」 관련 정부와 충청권과의 갈등이 계속되고 있으며, 4대강 살리기 사업의 일환인 「금강살리기」 사업의 보상 및 지역연계사업의 추진에 있어서 갈등의 소지가 다분하고, 예산군의 「가축분뇨공동자원화사업」장 건설에 따른 아산시와의 갈등, 「당진항 개발」에 따른 행정구역상의 갈등, 서산「가로림만 조력발전소」건설 관련 갈등, 서해안 「허베이스피리트호 유류유출」 사고에 따른 보상갈등 등 다양한 갈등이 내재·표면화 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충청남도의 갈등관리시스템 마련이 절실하며, 이에 대한 면밀한 실태분석 및 지역갈등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할 필요성에 의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다양한 선행연구 분석, 의견조사, 사례조사, 갈등관리방안 모색 등을 시도하였으며, 이를 통해 지역갈등해소를 위한 갈등관리시스템의 구축방안으로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지역갈등을 원만하게 해소하기 위해서는 첫째, 갈등에 대한 학습과 의사소통이 촉진되고 합의형성이 활성화되어야 한다. 이는 갈등관리 교육의 강화, 의사소통을 위한 공간의 다양화, 사회적 합의제도 마련 등이 수반되어야 한다. 둘째, 갈등관리를 위한 중간조직의 기능이 강화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협상능력 및 갈등해결(협상) 전문가 양성, 갈등조정기구(중간조직)에의 실질적 권한부여, 분야별 분쟁조정제도 마련이 선행되어야 한다. 셋째, 제도적 장치의 마련 및 운영시스템의 구축이 필요하다. 무엇보다도 갈등관리를 전담하는 기구가 있어야 할 것이며, 체계적인 갈등관리의 지표 및 매뉴얼이 개발되어야 한다. 그러나 이 모든 것은 갈등관리의 법률이 제정됨을 전제로 하는 것이므로, 갈등관리 법률의 조속한 제정이 요구되며, 충청남도 역시 빠른 시일 내에 갈등관리 관련 조례가 제정되어야 할 것이다. 넷째, 모든 갈등관리는 협력과 대화, 희생, 노력이 없이는 이루어 질 수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협력네트워크 및 통합거버넌스의 형성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무분별한 갈등관리 기구간의 협조체제가 구축되고, 소외되었던 시민사회의 대표성의 제고와 공공성 강화가 요청되고, 갈등에 대한 인식차이의 해소가 이루어 질 때 진정한 갈등해소를 위한 상호간의 신뢰는 구축될 수 있을 것이다.

      • 공공도서관 독서프로그램 실태분석 : 충청남도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한상수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84

        이 논문은 지역사회 독서문화를 진흥함에 있어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 공공도서관의 독서프로그램 운영현황과 실태를 조사·분석하여 주민들의 독서의욕 증진과 독서생활화에 기여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는데 바람직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연구문제는 첫째, 공공도서관에서의 독서프로그램 의의와 역할을 알아보기 위하여 독서프로그램의 정의, 역할 및 법적 근거 등 이론적 고찰을 하였다. 둘째, 공공도서관 독서프로그램의 운영 실태와 주민들의 참여 정도는 어떠한지 알아보기 위하여 충청남도 공공도서관 독서프로그램 관련 인프라(시설, 자료, 전문인력, 예산, 운영체제)와 독서프로그램 운영현황(참여자, 운영대상 및 기간, 비용, 수료자, 협력사업)을 조사·분석하였다. 셋째, 공공도서관 독서프로그램의 운영상 문제점은 무엇이며 그 개선방안은 어떤 것이 있는지 충청남도 공공도서관 독서프로그램의 장애요인과 선결과제를 조사·분석하여 그 대안을 모색하였다. 연구방법은 문헌연구, 자료조사 및 설문조사의 세 가지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먼저 공공도서관 독서프로그램과 관련하여 그 이론적 배경을 제시함과 더불어 독서프로그램 관련 인프라를 조사·분석하였다. 실증적 측면에서는 충청남도 소재 46개 전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독서프로그램 운영현황 및 실태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충청남도 공공도서관은 각종 인프라가 열악함에도 불구하고 독서문화 진흥과 관련된 활동 및 프로그램을 꾸준히 운영함으로써 지역사회 독서활동의 중심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많은 도서관들이 여전히 독서프로그램 운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전체적으로도 프로그램의 획일성, 일회성 및 운영대상의 다양성 부족 등 많은 문제점들이 발견되었다. 이러한 문제점들은 어디에 기인하고 있으며,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은 무엇인지를 알아보기 위해 충청남도 공공도서관 인프라와 독서프로그램 운영현황 간의 단순 OLS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회귀분석 결과 독서프로그램 운영과 관련하여 전문인력(사서)의 수, 독서프로그램 예산, 장서확보율, 도서관 운영주체, 봉사대상인구 수 등의 변수는 깊은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으나, 공간(건물연면적 확보율), 지역평생학습관 지정여부, 독서프로그램 운영담당자의 종류, 평생학습관 여부, 기관의 소재지, 기관장의 종류 등의 변수는 상관관계가 비교적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상관관계가 높은 변수를 중심으로 독서프로그램 활성화를 제한하는 요인들을 진단하고 이들의 극복방안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충청남도 공공도서관 독서프로그램의 공통적인 문제점으로는 기본적으로 인프라가 열악하다는 것이며, 둘째, 독서 활성화를 위한 활동들이 지역사회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하기에는 프로그램의 다양성, 지속성 및 운영대상의 다양성이 부족하다는 것이다. 셋째, 공공도서관이 단위 사업소 형태가 아닌 분관, 기타기관 예속 등의 체제로 운영되는 경우 최종 의사결정 권한과 독립된 예산권이 없으며, 기본적인 인프라도 불균형을 이루고 있다는 것이다. 넷째, 봉사대상인구 산정기준이 불합리 하다는 것과, 다섯째 공공도서관 독서프로그램이 외부와의 교류가 제한되어 있다는 것이다. 여섯째, 공공도서관 운영평가 지표가 불합리 하다는 것이다. 일곱째는 독서문화진흥 정책 추진시스템에 문제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의 해결방안으로는 첫째, 공공도서관 사서직 비율을 조정하고 정책담당자들에게 도서관과 사서의 가치를 충분히 설명하여 전문 인력을 확충해 나가야 한다. 둘째, 봉사대상인구수를 감안하는 등 서비스 수요에 따른 예산 배정방식을 도입하여 재정운영의 합리화를 도모해 나가야 한다. 셋째, 프로그램 전용공간이 부족한 경우 도서관의 역할 변화에 따라 활용도가 떨어지는 열람실 공간을 활용할 수 있다. 넷째, 자료 확충 예산을 안정적 균형적으로 확보하기 위해서는 자립도가 낮은 지역의 농산어촌 공공도서관의 경우는 중앙정부의 차원의 예산지원(국고보조금)이 필요하다. 다섯째, 제한된 자원을 가지고 있는 공공도서관에서 프로그램 운영의 다양성과 지속성은 양면성이 있는 문제이며 사전에 충분한 요구조사를 실시하고, 독서의 본질에 충실한 프로그램을 기획·운영해야 한다. 여섯째, 중앙관에 소속된 분관에게는 독립된 예산편성 및 집행권한을 부여하고, 복합기능 사업소에 소속되거나, 읍·면에 소속된 도서관의 경우는 독립된 사업소 형태로 운영체제를 개편하여 단위도서관 차원에서 독서진흥 사업 추진이 가능토록 해야 한다. 일곱째, 동일지역에 여러 개의 도서관이 있을 경우 봉사대상인구의 합리적인 산정기준을 마련하고, 인구밀도가 낮은 농산어촌 지역의 봉사대상인구 산정권역을 조정하여 실제 봉사권역과 일치하도록 해야 한다. 여덟째, 지역주민, 언론, 시민단체 등이 함께 참여하는 민·관 협력의 틀 안에서 독서프로그램을 개발·운영하는 것이 서로간의 한계를 보완하는 등 효과적이다. 아홉째, 소규모 공공도서관의 경우에도 도서관의 주요기능인 ‘도서관 및 독서관련프로그램 행사 현황’을 도서관 운영평가 지표에 포함하여 평가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확보해야 한다. 열째, 충청남도와 충청남도교육청의 사무분장과 정원운용 관련 자치법규를 개정하여 관련부서에 독서진흥업무를 분장하고 전문 인력을 배치하여 정책추진의 효율성을 제고해야 한다. 또한 학교도서관의 지도·감독은 학생들의 학력증진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충남교육청 교육국 산하의 학력증진과에 사무분장하고, 적정규모의 전문 인력을 배치하여야 한다. 독서프로그램은 도서관의 다양한 역할 중에서 가장 근본이 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공공도서관은 지역사회 독서문화 발전을 위해서 독서진흥의 목적에 부합하면서 지역사회의 관심과 요구를 반영한 독서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지속적으로 운영하여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tribute to developing and applying programs that motivate reading and develop reading habits for local people by researching and analyzing the operation of reading programs at public libraries that are playing key roles in promoting reading for local communities. The following steps were included: first, theoretical studies on the definition, roles, and legal support of reading programs to discuss the significance and roles of reading programs at public libraries.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library infrastructures (facilities, resources, professionals, budget, and operating systems) and reading programs (participants, targets and periods, costs, attendees, and cooperative projects) for public libraries were examined to discuss how they are operated and how many local people participate in them. Third, obstacles and improvement needs of reading programs at public libraries in Chungnam Province were researched and analyzed to discuss issues with operation and improvement possibilities with alternative plans. The methodologies were threefold: literature study, reference study, and survey. First, theoretical backgrounds were provided in relation to public libraries' reading programs and reading program infrastructures were examined and analyzed. For a substantial research, reading program operation and situations were examined for all 46 public libraries in Chungnam Province. It was found that public libraries in Chungnam Province constantly operate activities and programs to promote reading despite their lack of various infrastructures and are leading reading activities for their communities. However, many libraries are still having problems with operating reading programs and various problems have been found, including the problems with uniformity, non-sustainability, and lack of diversity among participants. In order to examine the causes and influential factors of these problems, simple OLS regression analysis had been done to the relationship between public library infrastructures and the reading program operation of Chungnam Province. the result showed that, certain variables, including the number of professional librarians, reading program budget, number of books, library operators, and number of volunteers, were strongly correlated with the operation of reading programs, whereas other variables, such as space (gross floor area of building), designation as a local lifelong learning center, types of reading program operators, existence of lifelong learning center, location, and leader, did not have a strong correlation.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the variables with strong correlation to identify factors that interfere with the revitalization of reading programs and discuss ways to overcome them. The common problems of reading programs at public libraries in Chungnam Province are: first, poor infrastructures. Second, reading programs lack diversity, sustainability, and diversity of operators to satisfy the various needs of local communities. Third, if public libraries are operated as annexes or affiliates, they do not have their own decision-making rights and independent budgets and their basic infrastructures are unbalanced. Fourth, the standards of selecting volunteers are irrational. Fifth, reading programs of public libraries have limited interaction with other resources. Sixth, the indexes of evaluating the operation of public libraries are irrational. Seventh, there are problems with the system that executes the reading culture promotion policies. This study suggests 8 measures to solve these problems. First, the number of librarians at public libraries should be increased and more professional librarians should be hired by recognizing the value of librarians to policy makers. Second, financial operation should be rationalized by introducing a new budgeting system based on service needs, such as the number of necessary volunteers. Third, library rooms that are not actively used may be used for reading programs if there are not enough rooms assigned for reading programs. Fourth, in order to ensure a stable and balanced supply of funding, public libraries in farm/mountain/fishery towns with high financial dependency would require national subsidies from the central government. Fifth, the diversity and sustainability of program operation at public libraries that have limited resources are dualistic problems and require sufficient preliminary research to understand needs to plan and operate programs that are focused on the essence of reading. Sixth, annexed libraries should be given independent budgeting and execution rights and libraries that are affiliated with community offices or Eup/Myeon offices should be separated into independent entities to be able to promote reading programs independently. Seventh, if there are several libraries in a town, there should be a reasonable standard of calculating the number of necessary volunteers. Also, the volunteer areas of farm/mountain/fishery towns with less population should be adjusted to match the actual volunteer areas. Eighth, developing and operating reading programs with the collaboration of civil and government sectors and local citizens, the press, and civil organizations would effectively overcome the limitations of each sector. Reading programs are offered to execute the most basic function of libraries. Public libraries should constantly develop and operate reading programs that are designed to promote reading and apply the interests and needs of local communities to develop the reading culture of local communities.

      • 지역 콘텐츠산업 스타트업 활성화 지원 방안 : 충청남도 콘텐츠산업을 중심으로

        김제곤 동국대학교 영상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83

        근래 들어 전 세계적으로 스타트업에 대한 관심이 뜨겁다. 스타트업 기업들의 제품과 서비스는 우리 일상의 풍경을 완전히 새롭게 바꾸고 있으며 기존 산업의 체계와 일자리까지 일시에 사라지게 할 정도로 영향력은 점점 커지고 있다. 콘텐츠산업 분야에서의 스타트업은 기존 산업 시스템의 견고한 장벽들, 가령 대기업 소유 플랫폼, 거대(레거시) 미디어, 다국적 자본과의 종속적이고 불공정한 관계로 인해 독자적 성장이 어려웠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역할로 주목받기도 한다. 한편, 우리 콘텐츠산업은 서울과 지역 간 격차가 심각한 상황이다. 수도권이 보유한 풍부한 자원을 갖지 못한 지역의 콘텐츠산업은 자체적인 생태계를 만들어내는 문제만으로도 버거운 상황이다. 정부와 지자체의 콘텐츠산업 육성 정책 방향이 서울과 수도권에 집중된 콘텐츠산업 자원을 파편적으로 지역에 끌어들이는 것이 아닌 기술과 투자가 성장을 견인하는 스타트업 혁신 생태계를 조성 및 활성화하는 방향으로 전략적 전환을 해야 하는 시점이 도래했다. 본 연구는 콘텐츠산업 생산자‧창작자가 스타트업을 통해 출발하고, 성장할 수 있는 정책 여건 및 현황을 살펴보고, 스타트업에 대한 투자-회수-재투자의 선순환 가치사슬이 지역 콘텐츠산업 현장에도 안착되어 유망한 콘텐츠 스타트업 창업이 활성화될 수 있는 지원정책의 제반 여건을 탐색하고 향후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2장에서 지역 콘텐츠산업의 육성 정책 변천과 지역별 현황을 살펴보고, 구체적 지역 사례로서 충청남도의 콘텐츠산업 현황을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중앙정부의 스타트업 육성 예산, 기반 인프라, 지원 사업, 금융지원 제도 등을 살펴보고, 지역 사례로서 충청남도의 스타트업 육성 여건 및 향후 기대되는 인프라 사업을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 4장에서는 충청남도 콘텐츠 스타트업 대상 설문조사를 통해 실제 지역에 기반을 두고 있는 콘텐츠 스타트업이 창업을 시작하여 투자 유치 단계에 이르기까지 정부와 지역의 어떠한 지원을 필요로 하는지, 현 지원정책의 문제점과 앞으로의 바람직한 방향성은 무엇인지에 대한 단서를 얻고자 하였다. Recently, startups have been given a lot of attention globally. Products and services of startup companies have given us a completely different daily perspective. Its influence has risen to a state where it compromises traditional business models and jobs. Startups in the Contents Business have been spotlighted for breaking down the high entrance barrier of platforms owned by conglomerates, legacy media, and multinational fundings that had limitations and forced subordination to unfairness. Meanwhile, there is a significant gap in the level of Content Business between Seoul and the other provinces. Unlike the capital city’s rich fundings in Content Business, the other Korean provinces find it difficult to sustain themselves. It has come to a state where other provinces adapting and importing partial fragments of Content Business developments in Seoul is simply not enough. Strategic changes to make growth and implementation in skills and investments of innovative startup models are currently required. This study examines the policies and the current state of starting and developing a Content Business startup that focuses on production and creation. It then searches and looks into policies that help outstanding Content Creation startups to develop and potentially reach the cycle of Investment-Asset recovery-Reinvestment. The second section of this study looks into the upbringing policies and provincial statuses of Content Creation businesses, focusing on the Chungcheongnam-do Province. In the third section, the study deals with the central government’s budget, infrastructure, and financial support for fostering startups. It then looks deeper into Chungcheongnam-do Province’s case and its conditions for upbringing startups and its future infrastructure businesses. Lastly, the fourth section of this study contains surveys of Chungcheongnam-do Province’s Content Business startups. The survey looks into the governmental and provincial support needed to start a province-based Content Business startup and to reach the stage of getting investments and running its activities. It also looks into the problems of current government support policies and aims to find keys to providing a desirable directional change to them.

      • 충청남도 보육시설의 운영평가에 관한 연구 : 소재지와 설립유형에 따른 비교

        주혜영 大田大學校 經營行政大學院 2001 국내석사

        RANK : 248671

        본 연구는 충청남도에 소재한 보육시설의 운영평가를 시설의 설립 유형별과 소재지별로 파악하여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충청남도의 보육시설의 설립 유형에 따라서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1-1. 보육시설의 유형에 따라 시설에서 종사하고 있는 종사자들의 현상태는 어떠한가? 1-2. 보육시설의 유형에 따라 지역사회와의 연계는 어떠한가? 1-3. 보육시설의 유형에 따라 평가요인별 질적수준은 어떠한가? 2. 충청남도의 보육시설의 소재지에 따라서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2-1. 보육시설의 소재지에 따라 시설에서 종사하고 있는 종사자들의 현상태는 어떠한가? 2-2. 보육시설의 소재지에 따라 지역사회와의 연계는 어떠한가? 2-3. 보육시설의 소재지에 따라 평가요인별 질적수준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시설 유형별로 국공립 보육시설 27개소, 개인이 운영하는 민간 보육시설 72개소, 법인이 운영하는 민간 보육시설 105개소로 총 204개소가 연구대상이 되었다. 또한 소재지별로 중·소도시에 소재한 보육시설 67개소, 농·어촌에 소재한 보육시설 140개소로 총 207개소가 연구대상이 되었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도구는 보육시설의 질적 수준을 분석하기 위한 것으로 임재택·조희숙·황해익(1996)의 연구로 만들어진 '영유아 보육프로그램 진단·평가척도'와 유희정(1997)의 '어린이집 설립유형에 따른 질적 수준분석', 이순형(1998)의 '보육시설의 환경 및 운영 평가와 정책 대안' 그리고 권영례(1999)의 '유치원 교육환경 평가 척도 개발'등 4개의 설문지를 바탕으로 만들어졌다. 본 척도는 영유아의 성장과 발달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전반적인 프로그램 운영의 질적수준을 각 보육시설의 장들이 자체 평가하도록 구성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충청남도에 위치한 보육기관의 설립유형별에 따른 항목들의 차이를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기관에서 종사하고 있는 종사자들의 자격소지의 여부에 대한 사항이다. 시설장의 경우에서 국공립과 민간 개인의 경우는 모두 80% 이상 높게 소지하고 있었으나 민간 법인의 경우는 절반도 안되는 시설에서 자격을 소지하고 있었다. 영유아 보육법 시행 규칙 별표 3에 따르면 영유아 100인 이상을 보육하는 시설에서는 간호사, 영양사, 취사부를 두도록 되어 있으나 간호사와 영양사는 모두 적게 소지하고 있었다. 그러나 취사부는 국공립, 민간 개인, 민간 법인이 모두 절반이 넘게 자격을 가지고 있었다. 둘째, 보육과 지역사회와의 연관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보육시설 수의 적절성을 묻는 질문에 민간개인 보육시설에서 보육시설이 보육수요에 비해 너무 많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또한 보육시설이 포괄적인 서비스를 펴는 센터이어야 하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세 집단 모두 비슷하게 그래야 한다고 응답하였다. 각 보육기관에서 원생 가족의 특성에 맞게 포괄적인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국공립과 민간 법인에서 30%정도가 실시하고 있다고 응답한 것에 반해 민간 개인은 1.4%만이 실시하고 있다고 응답하였다. 그리고 각각 시설 유형에서 생활보호 대상, 맞벌이 부부이 차지하는 비율에서 국공립이 각각 10%, 36%로 가장 낮았고 민간 개인이 12%, 52%로 가장 높았다. 마지막으로 보육기관에서의 포괄적인 운영 측면 즉, 보육시설의 실내 공간구성, 시설·설비, 교재·교구, 실외공간구성, 실외시설·설비, 건강·위생, 영양, 안전, 일과계획과 운영, 교사와 유아간의 상호작용, 교육과정 운영, 종사자, 운영관리, 평가, 가정 및 지역사회와의 연계 등 15가지의 항목에 따른 국공립, 민간 법인과 민간 개인간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이 항목들 중 통계적으로 의미있게 나온 항목은 실내공간 구성, 시설·설비, 교재·교구, 실외공간 구성, 실외시설·설비, 건강·위생, 영양, 교사와 유아간의 상호작용, 종사자, 운영관리 등 10가지의 항목이었다. 이들 중 민간 법인이 잘 되고 있다고 응답한 것은 실내공간 구성, 시설·설비, 실외공간 구성, 실외시설·설비, 건강·위생, 영양, 종사자, 운영관리 등의 8가지 항목이었고 민간 개인이 잘 되고 있다고 응답한 것은 교재·교구, 교사와 유아간의 상호작용 등 2가지 항목이었다. 그러나 국공립이 잘 되고 있다고 응답된 것이 하나도 없었다. 반면 민간 법인이 잘 되지 않는다고 응답한 것은 하나도 없었지만 민간 개인에서는 종사자, 운영관리 두 가지가 나왔다. 그러나 국공립에서는 잘 되지 않는다고 응답한 것은 실내공간 구성, 시설·설비, 교재·교구, 실외공간 구성, 실외시설·설비, 건강·위생, 영양, 교사와 유아간의 상호작용 등 8가지의 항목이었다. 따라서 통계적으로 유의있는 대부분의 항목에서 민간 법인이 잘 되고 있다고 응답하고 있는 반면 국공립은 잘 되지 않는다고 응답하였다. 2. 충청남도에 위치한 보육기관의 소재지별(중소도시, 농어촌)에 따른 항목들의 차이를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기관에서 종사하고 있는 종사자들의 자격소지의 여부에 대한 사항이다. 먼저 시설장의 경우를 보면 중소도시에서는 30%에 못 미치는 수가 자격을 가지고 있다고 응답한 반면 농어촌은 절반이상이 자격을 소지하고 있다고 응답하였다. 영유아 보육법 시행 규칙 별표 3에 따르면 영유아 100인 이상을 보육하는 시설에서는 간호사, 영양사, 취사부를 두도록 되어 있다. 간호사는 중소도시에서 원아 100인 이상인 곳이 2개소였는데 이 두 곳에서는 모두 자격있는 간호사를 채용하고 있었지만 농어촌은 원아 100인 이상인 곳은 16개소인데 반해 자격소지는 3개소로 상대적으로 적었다. 그리고 영양사의 경우에는 중·소도시에서는 2개소 중 1개소, 농어촌은 16개소 중 7개소에서 자격소지를 하였다. 취사부는 농어촌과 중소도시 모두 절반이 넘게 자격을 가지고 있었다. 둘째, 보육과 지역사회와는 어떠한 연관을 이루고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각 소재지에서 보육시설 수의 적절성을 묻는 질문에 중소도시에 소재한 보육시설에서 보육시설이 보육수요에 비해 너무 많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또한 보육시설이 포괄적인 서비스를 펴는 센터이어야 하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모두 비슷하게 그래야 한다고 응답하였고 각 보육기관에서 원생 가족의 특성에 맞게 포괄적인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두 소재지 모두 30% 정도로 비슷하게 그렇다고 하였다. 그리고 각각 소재지별에서 맞벌이 부부가 차지하는 비율에서 중소도시가 57%로 농어촌(40%)에 비해 높았다. 마지막으로 보육기관에 대한 포괄적인 운영 측면 즉, 보육시설의 실내 공간구성, 시설·설비, 교재·교구, 실외공간구성, 실외시설·설비, 건강·위생, 영양, 안전, 일과계획과 운영, 교사와 유아간의 상호작용, 교육과정 운영, 종사자, 운영관리, 평가, 가정 및 지역사회와의 연계 등 15가지의 항목을 살펴보았다. 이 항목들 중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항목은 종사자, 운영관리 등 2가지의 항목이었다. 이 두 항목 모두에서 농어촌이 잘되고 있다고 응답하였다.

      • 첨단문화산업 발전방안 : 충청남도를 중심으로

        손용진 단국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71

        충청남도는 전통적인 제조업을 중심으로 매년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나, 문화산업은 그에 비해 상당히 느리게 성장을 하고 있다. 성장속도가 느린 이유는 지역기반의 미비와 인력불균형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을 들 수 있다. 문화산업은 충청남도 전략산업으로 많은 정책수립과 지원을 하고 있으나, 문화산업 활성화에 많은 효과를 누리지 못하고 있다. 충남영상미디어센터 입주기업만 분석해 보아도, 지역기반을 두고 창업한 업체보다, 수도권 이전기업, 연구소만 설치한 기업, 이전계획을 가지고 사무실만 보유한 기업 등 아직 활발한 활동은 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올바른 문화산업정책을 제시하기 위하여, 국내·외 사례를 중심으로 지원정책분석, 충청남도의 현황분석 및 파악, 전문가그룹을 통한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충청남도 문화산업의 활성화방안을 제시하였다. 충청남도 문화산업 기반은 다음과 같다. 첨단문화산업 규모는 전국대비 최하위권이며, 문화산업 입지 계수 또한 2006년 통계청에 따르면, 16개시도 중 최하위 수준이다. 그러나 문화산업 창작인프라는 전국대비 평균이상으로 한해 7,529명의 인력을 양성하고 있다. 국가지정 문화재, 시도지정 문화재, 인구대비 공연예술 인적자원 등 전국대비 평균이상을 나타났으며, 충남지역 해양 관광객 규모는 전국 2위로 지역기반은 미비하나, 새로운 콘텐츠를 개발 및 연구 활동을 하기에는 매우 적합한 것으로 분석된다. 충남의 문화산업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첫째, 혁신인프라(지원기관) 적극 활용 및 시스템 구축, 둘째, 우수인력양성 및 수도권 고급인력 흡수환경 마련, 셋째, 문화산업 비즈니스 환경구축을 제시하였다. 먼저, 혁신인프라를 적극 활용하기 위해서는 충남영상미디어센터, 충남문화산업진흥원을 적극 활용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홍보가 필요하며, 많은 문화기업들이 집적화 단지에 입주할 수 있도록 환경을 만드는 것이 우선적으로 필요하다. 두 번째로, 우수인력양성 및 수도권 고급인력 흡수할 수 있는 환경 마련이 필요하다. 세부적으로 디지털콘텐츠 전문가 양성 시스템 상시화 및 실질적인 산학연 프로그램 개발, 정주환경 구축 등을 세부적으로 구축하여야 한다. 세 번째, 문화산업 비즈니스 환경구축을 들 수 있다. 문화산업 활성화를 위해서는 인적네트워크가 먼저 활발히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지역의 시장들이 제품을 믿고 구매할 수 있도록, 서비스 인증제를 두어 시장을 활성화시키는 기반구축 작업이 필요하다. 위의 3가지 과제를 중심으로 충청남도 지원기관이 제대로의 역할을 수행한다면, 충청남도 문화산업기반이 안정적으로 구축될 것이며, 그 기반 속에 콘텐츠개발 및 연구 활동 사업들이 활성화되어, 세계시장에 나갈 수 있는 글로벌 기업들이 만들어 질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는 문화관련 기업의 입장에서 문화콘텐츠 제작 기업들이 어떻게 하면, 성장할 수 있을까를 바탕에 두고, 연구하고 정리했다.

      • 소방행정의 발전방안 연구 : 충남 소방행정조직을 중심으로

        오경진 배재대학교 법무·행정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668

        The first fire administration, Chungcheongnam-do organization in order to provide an effective fire protection services to the citizens, must be carried out in three shifts for effectiveness in reality. Relocation of personnel for local forms and ensure the replacement workers, such as duty fireman, for lack of a dedicated Volunteer Fire Department personnel, and should ensure the long-term by sobangryeok based on a three-shift workers. Second, burns and should be a variety of addiction and post-traumatic same Veterans and National Merit Scholarship honors the establishment of a professional police and military ‧ hospital for treatment, such as stress syndrome. Third, expand the promotion should be conducted subject to the morale of the fire officials. Compliance with employment standards promoted by local officials and rank each garden, Daewoo officials should expand my scope and longevity promotion. Fourth, we need to ensure the excellent staff for the professional enhancement. Established the National Institute of fire departments and the special recruitment by function is needed manpower and research needed for the disaster site. Fifth, the installation of the fire training area for the fire environment, Chungcheongnam-do should be conducted customized training. Fire and public education targeted to persons with oil, railroads, aircraft, ships fire fighting training, investment collapsed, suffering an accident should be able to do such training. However, these alternatives are urgent but do primarily driven by the Act ‧ institutional improvements within the operating system of the current administrative structure fire, carried the front of the fire given the current central government funding trends and financial independence, Chungcheongnam-do, there are a bunch. Therefore, the minimum investment budget naeeoya find a policy of efficient administrative organization of the fire management plan to find the maximum effect. This study has limitations presented the problems and consequent improvement over the theoretical data to analyze the operating status of the fire administration, Chungcheongnam-do organization. The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the organization's future fire management plan will be able to offer an efficient administrative structure fire in the empirical analysis through the time series data for the corresponding sobangryeok operational and administrative organization of the fire disaster ‧ disaster. Key Words: fire administration, Chungcheongnam-do, disaster, Volunteer Fire Department personnel 우리나라는 消防行政政策을 企劃‧竪立하는 消防防災廳과 그 政策을 施行하는 각 시‧도 消防本部의 체계로 되었으나, 消防公務員의 任用權과 豫算편성이 각 市‧道知事에게 있어 消防行政의 中‧長期的인 정책수립과 시행의 限界性으로 消防의 本然의 目的達成이 어려운 실정이다. 이러한 二元的 構造는 地方自治團體를 상대로 超過勤務手當 未支給에 관한 訴訟과 人員確保 없는 3교대 실시, 消防公務員의 個人安全裝備 不足과 消防裝備 노후화로 인한 現場대응력의 저하로 公‧死傷者의 發生으로 直結되고 있으며, 이러한 消防人力 確保, 財政, 消防公務員 士氣振作 등의 消防行政의 問題點들을 많은 이들이 指摘하였다. 특히, 忠淸南道는 人口와 經濟力이 밀집된 都市地域과 工業團地 그리고 老人人口가 相對的으로 많은 農‧漁村地域에 적합한 消防行政을 施行해야 한다. 都市地域과 工業團地는 都市環境 변화에 따른 消防需要 증가가 빠르고, 농‧어촌 지역은 인구의 高齡化로 인한 消防需要가 潛在的이다. 이러한 地域的 特性에 적합한 消防行政의 運營을 위해서는 적합한 裝備보강 및 專門人力 확보와 地域的 消防環境 改善이 필요하다. 따라서 忠淸南道 消防行政組織이 道民에게 효율적인 消防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먼저, 현실에 적합한 實效性 있는 3교대를 실시해야 한다. 또한, 火傷과 각종 中毒 및 외상후스트레스증후군 등의 治療를 위한 전문병원의 설립과 軍‧警察과 동일한 報勳受惠 및 國家有功者 禮遇를 해야 한다. 그외 消防公務員의 士氣진작을 위한 昇進 대상을 확대 실시해야 한다. 地方公務員職級別 정원에 의한 昇進任用 基準을 준수하고, 대우공무원제와 근속승진 대상 범위를 확대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消防官의 전문성 强化를 위한 우수한 人力을 확보해야 한다. 國立消防大學과 硏究所를 설립하고 직능별 特別採用을 하여 災難現場에 필요한 人力과 硏究가 필요하다. 다섯째, 충청남도 消防 環境에 맞는 消防訓鍊場을 설치하여 맞춤형 훈련을 실시해야 한다. 消防關係人과 一般人을 대상으로 하는 敎育과 油類, 鐵道, 航空機, 선박 火災 鎭壓훈련, 崩壞埋沒, 수난사고 훈련 등을 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대안들은 현 消防行政組織의 運營體制 내에서 法‧制度的인 改善을 통해 우선적으로 추진해야할 시급한 과제이지만, 현재의 中央政府 消防豫算 지원 추세 및 忠淸南道 財政自立度를 감안 할 때 전면 실시는 무리가 있다. 따라서 최소한의 豫算을 投資하여 최대의 효과를 찾을 수 있는 消防行政組織의 효율적인 運營方案의 政策을 찾아내어야 한다. 주요어: 소방행정, 소방행정조직, 소방방재청, 충청남도

      • 特殊敎育 財政의 問題點과 改善方案 : 忠淸南道를 中心으로

        진중근 공주대학교 1996 국내석사

        RANK : 248653

        This study is to examine education finances as the case of Chungnam province, Which analyzed the actual status of the general education finances and the special education finances for the improvement.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ing. The frst, the education finances of Chungnam province have depended on mainl a national burden income- sum, the proportion of the burden which the general accounts burden cost and the special accounts burden cost in local autonomous entity is very lowered. It could know that what the rate of expansion in our local education finances to high by itself needs in urgent a basically reform of the education finances system as compared with developed countries which are more higher in the rate of education finances in local self- governing community. The second, the proportion that the special education budgets occuplies among education budgets is very low. Even the rate of the crippled among the total students in the register of school assumed 3% as the belowest. what the special education finances in Chungnam province is just average 0.43% show that the finances Is fixed less than the proportion of population. Theefore, a epochal expansion in the special education budgets needs. The third, even the number of students in the register of special school of Chungnam province are short a quorum to the statutory person. Those students have to go other's provillce to educate for there is no a crippled school except a menta disorder school. For this, the edilcational institiltion of Chungnam provillce has to carry out more expansive in the project of new investment wihtin special educatioll fnances. There is fxed poor in the operation funds of the education course to supporting in the dircet activity of students. So the fnances for improve the educational activity of students, investment-education-work, equipment, etc are more expensived. The fourth, the educational institution of Chungnam province should carry out an investment expansion of the special education course and supporting of a fixed amount which education undertaking of every kind for educational activities of the special class and the special class instruments, a morden and expansion of tacilities. They also were carried out purchase of learning materials and security of examine instruments of every kind and supporting of research study. In this situation, the special Education budgent of Chungnam province is fixed as much poorer finances less than the proportion of population, most of which is paid a fixed expenses of personnel expenses and an organization working expenses, etc. Therefore, it raises insure percentage of local education finances whis is accomplished autonomous support the special education budgets whlch suit the actual condition of local, finances of the special school(class) is accomplished as more actua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