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인테리어 디자이너를 위한 코워킹스페이스 디자인

        송이아 건국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32317

        2015년 이후 국내에서는 코워킹스페이스가 떠오르고 있다. 국내뿐 아니라 세계적 동향을 살펴보아도 코워킹스페이스의 수는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다. 코워킹스페이스 시장은 여러 사회적・경제적・기술의 발전의 배경을 발판 삼아 빠르게 커져갔고, 그에 따라 수많은 유사한 유형의 코워킹스페이스에 포화상태가 되었다. 이를 벗어나기 위해 직무 특화 코워킹스페이스가 새로운 또 하나의 새로운 유형으로 진화되고 있다. 직무특화형 코워킹스페이스는 기존의 코워킹스페이스와는 다른 이점을 가지고 있다. 단일의 직업군을 만족시키기 위해 사무공간뿐만이 아니라 직무를 수행하는 데 있어 필요한, 전문적인 공간 프로그램이나 인프라를 제공하며 그로 인한 같은 직업군의 사람들이 하나의 공간에서 시너지를 발휘하기에도 더욱 좋은 환경이 마련된다. 본 연구는 새로운 직무특화형 코워킹스페이스에 대한 이론 고찰을 통해 최신 경향을 알아보고 인테리어디자이너를 위한 공간 제안을 목적으로 한다. 인테리어디자인은 인간에 의해 점유되는 모든 것을 대상으로 여러 여건을 충족시키며 사용자를 위한 공간전반을 새롭게 디자인하는 활동으로 이를 위해 굉장히 광범위한 문제들과 현황들을 고려해야하는 복잡한 과정의 직무특성을 지닌다. 인테리어디자인 직무 프로세스의 연구를 통해 직무가 크게는 3가지, 분석단계, 종합단계, 평가단계로 나뉜다. 다시 세부적으로 45개로 이루어진 프로젝트 기획에서부터 시공단계의 안전관리까지 매우 다양하며 직무 프로세스를 가진다. 이를 이행하기 위해서는 여러 분야의 디자이너들과 협력업체 클라이언트와의 협업이 필수적인 직업군임을 알 수 있었다. 업무 공간의 기존 프로그램 연구와 인테리어디자이너 직무 프로세스를 통한 코워킹스페이스의 프로그램을 도출해 내고 이들을 위한 프로그램 별 공간 면적과 사무공간의 표준 면적을 산출하였다. 이 과정을 통해 일반적인 업무 공간과는 다르게 인테리어디자이너에게는 업무에 필요한 작업 공간과 사무 공간의 면적이 더 많을 뿐만 아니라 라이브러리나 실험실 같은 다양한 공간들이 필요하다는 점을 파악할 수 있었다. 연구를 통한 인테리어디자이너의 직무 특성화 프로그램을 바탕으로 설계 프로젝트를 진행하였다. 인테리어디자인 분야가 여러 다양한 사람들과 업체와의 협력이 필요한 직업군이기 때문에 시너지가 중요하다 판단하여 대상지 선정에서부터 공간의 디자인까지 코워킹스페이스의 특성화, 개별화 전략을 실행시켜 보았다. 본 프로젝트에서는 기존의 코워킹스페이스들에서 보이는 자신들만의 공간처럼 사용되는 오피스 공간이 아니라 개방성과 공유성의 정도를 높인 공간을 디자인하여 최소한의 오피스공간을 제외한특수목적 프로그램인 인테리어디자인 작업공간, 머테리얼 라이브러리, 이미지 라이브러리, 들을 모두 개방함으로서 시너지 효과를 더욱 증대시키고 접점공간을 늘리고자 하였다. 접점공간의 증대를 위한 ‘엮음’이라는 개념을 도입하여 인테리어디자이너와 방문객 사이 여러 터치포인트를 두어 설계하였다. 위와 같이 공간 프로그램의 특화는 코워킹스페이스의 차별화 전략으로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나타나듯 코워킹스페이스는 최근 특성화 되는 경향을 보이며 이러한 트렌드에 발맞춰 사용자의 유형이나 직업군에 맞게 개별화된 공간 전략과 설계가 필요하다고 판단되었다. Since 2015, coworking spaces have emerged in Korea. Not only domestic but also global trends show that the number of coworking spaces is increasing sharply. The coworking space market multiplied with various social, economic, and technological developments and became saturated with many similar types of coworking spaces. Under the circumstance, job-specific coworking spaces are evolving into a new kind. The job-specific coworking spaces have different advantages from conventional coworking spaces. To satisfy a single occupational group, it provides office space and a professional space program or infrastructure necessary to perform the job and a better environment for people of the same occupational group to exert synergy in a single space. This study intended to determine the latest trends through theoretical examination of a new job-specific coworking space and propose a space to interior designers. Interior design is an activity of creatively designing a living space beneficial to users by satisfying various conditions for everything occupied by people. It has a job characteristic composed of a complex process that needs to consider a wide range of issues and current conditions. This study divided the job of interior design primarily into three stages: analysis stage, comprehensive stage, and evaluation stage. It also divided these stages into 45 very diverse job processes, from project planning to safety management at the construction stage. This study found that collaboration with designers from various fields and partners’ clients is essential to implement this in this profession. This study reviewed existing programs for working space and derived programs for coworking space through the interior designer’s job process. It also calculated the space area for each program and the standard area of ​​the office space. Through this process, it was understood that interior designers need more workspace and office space required for work and various spaces such as libraries and laboratories, unlike ordinary workspaces. The design project was carried out based on the interior designer’s job specialization program derived through research. This project intended to further enhance the synergy effect and increase contact spaces by opening all infrastructure programs except for the minimum office space by designing a space with increased openness and sharing, instead of an office space used as private space as in existing coworking spaces. The design also intended to place several touch points between the interior designer and the visitor by introducing the concept, “We:Being”, to increase the contact space. As it was deemed that the interior design field is a job group that requires cooperation with various people and companies and synergy is essential accordingly, this project implemented a strategy that specializes and individualizes the coworking space from selecting the target site to the design of the space. An ordinary coworking space may not require this for the majority or by other types of coworking spaces. As shown in this study, coworking space tends to be characterized recently, and it should be explicitly individualized for the type of user or job group. Therefore, it is deemed necessary to develop spatial strategies and spatial designs individualized for every kind of coworking space in line with these trends.

      • 공간디자이너 직무의 개념과 특성분석에 관한 연구

        심은주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32287

        디자인은 시대적 표상이자 산물이기에 사회의 근간을 이루는 철학이나 기술 등과 함께 끊임없이 변화하는 속성을 지니고 있다. 산업혁명 이후 등장한 디자인이라는 영역은 포디즘의 시대를 지나면서 세분화되면서 전문화라는 장점을 가져왔으나 경직된 영역의 경계라는 단점 또한 지니게 되었다. 이렇게 단절된 영역으로서의 디자인에 또 다시 변화가 일어나고 있는데 이는 바로 융합적 현상이다. 융합은 전체론적인 사고로의 전환과 디지털 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2000년 이후 전 세계적으로 급격히 증가되고 있는 개념이다. 디자인의 융합은 조경과 건축이 융합되고 그래픽과 도시가 융합되는 영영적 융합과 함께 아날로그와 디지털의 세계가 융합되는 기술적 융합이 복합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기존의 단절된 디자인 영역의 한계를 뛰어넘는 작업으로 새로운 개념의 공간디자인을 만들었다. 공간디자인이라는 개념은 디자인 실무현장에서는 급격히 확산되고 있으나 학문적으로 정리되지 않은 상황이기에 기존 영역의 분류에 의해 교육받은 디자이너들에게 본인의 정체성과 업무 범위에 대한 혼란을 가져오고 있다. 본 논문은 공간디자인과 공간디자이너에 관한 연구이다. 공간디자인의 개념 정리와 함께 공간디자이너의 직무 개념과 특성을 이해하고 규명하여 실제로 공간디자이너들이 어떠한 일을 하고 어떠한 지식, 기술, 그리고 능력이 필요한지 고찰하고자 하는 목적을 지닌다. 이를 위해 사용된 연구의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연구방법인 이론고찰을 통해 공간디자인의 형성과정과 개념 그리고 디자이너의 프로세스를 이해하였다. 두 번째 연구방법은 사례분석인데 실무, 교육, 미국의 각 전문단체의 세 가지로 구분된다. 우선 디자인의 융합적 현상들을 이해하고자 유기성과 장소성을 중심으로 하는 공간디자인 사례들을 분석하고 융합적 교육 프로그램들을 정리하여 공간디자인의 새로움 패러다임과 특성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또한 전문화가 잘 발달되어 있는 미국의 도시디자인, 랜드스케이프디자인, 건축디자인, 실내디자인, 그리고 디자인 전반의 각 전문단체에서 규정해 놓은 디자이너의 필요지식, 기술 그리고 능력(KSA)을 정리하여 공간디자이너의 지식, 기술 그리고 능력 틀을 만들었다. 세 번째 연구방법은 공간디자이너 인터뷰이다. 공간디자이너의 직무를 이해하기 위한 국내의 대표적 공간프로젝트 사례 10개를 선정하여 담당 디자이너와의 면접을 통해 최종 연구 목적인 공간디자이너의 직무 개념. 특성 그리고 필요지식, 기술 그리고 능력을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공간디자인이라는 개념은 인간 자연 그리고 구축적 환경과의 관계 속에서 상대성과 맥락성을 중요시하여 도시디자인, 랜드스케이프디자인, 건축 디자인, 실내디자인, 그리고 일반디자인으로 세분화되어 있던 디자인의 영역들을 하나의 유기체와 같이 시스테믹한 관계로 간주한다. 따라서 영역간의 작업이 아니라 다영역적 작업을 지향하고 생태, 관계, 문화, 체험의 속성을 지니면서 도시의 커뮤니티, 시스템, 프로덕트, 콤포넌트의 차원들을 유기적으로 연계시키고 있다. 이러한 작업을 수행하는 공간디자이너들은 크게 공간 통합자, 공간 프로듀서, 공간 커뮤니케이터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었다. 공간디자이너의 필요지식, 기술, 그리고 능력의 경우 각 역할에 따라 각기 다른 역사이론, 디자인 방법, 시스템, 실무, 커뮤니케이션의 지식과 비언어적 표현의 기술, 언어적 표현의 기술, 정보처리의 기술, 디자인 사고의 기술, 협업의 기술이 있었으며 소통의 능력, 논리적 사고의 능력, 창의적 문제해결의 능력, 그리고 대인관계의 능력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다양한 영역들의 속성들이 혼재되어 있는 공간디자인의 개념을 정리하고 공간디자이너의 업무구조와 프로세스를 정리하여 공간디자인의 정체성 확립과 향후 디자인 교육의 방향에 기초적 연구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더 나아가 모든 분야에서 탈영역화가 거세게 일어나는 역동적인 시기에 국내 디자인계가 앞서 나갈 수 있도록 작지만 의미있는 이정표가 되기를 희망한다.

      • 테크니컬 디자이너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 분석

        이관용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32220

        현재 세계 의류시장에서 테크니컬 디자이너의 수요가 급증하고 있지만 전문성을 갖춘 인력을 구하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테크니컬 디자이너의 직무 수행을 위해 필요한 핵심 지식과 기술을 추출하여, 패션관련 학과의 교육과정이 이러한 핵심 지식과 기술의 교육을 얼마나 충족시키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테크니컬 디자이너로서의 전문성과 직업 가치관을 강화할 수 있는 교육과정의 구성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 방법은 다음과 같다. NCS를 참고해 추출한 테크니컬 디자이너의 핵심 지식과 기술의 키워드로는 도식화, 스타일, 실루엣, 장식, 치수측정, 패턴, 봉제, 원부자재, 테크니컬 패키지, 다림질, 제품 포장, 제품 선적, 영어 의사소통, 화상회의용 기자재 사용이 도출되었다. 이 키워드는 다시 패션디자인, 의류설계 및 구성, 의류생산관리 & 의류산업, 기타를 포함한 네 영역으로 범주화하였다. 서울시내 4년제 대학 16개의 패션관련 학과의 교과목은 인터넷 홈페이지를 통해 조사하였다. 조사한 교과목을 분석하기 위해 국가과학기술표준분류체계(2018-개정)를 참고해 섬유, 의상디자인, 의류설계 및 구성, 의류관리, 의류환경, 복식미학 & 문화사, 패션마케팅 & 소비자행동, 의류생산관리, 기타에 해당하는 9가지 분류영역을 구성하였다. 교과목을 분류한 결과는 테크니컬 디자이너가 가지고 있어야 할 핵심 지식 및 기술에 비추어 각 대학의 교육과정이 테크니컬 디자이너 양성에 적합한지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모든 교과목 영역이 테크니컬 디자이너에게 필요한 핵심 지식과 기술을 함양하는데 직·간접적인 도움이 됨을 알 수 있었다. 9개의 교과목 분류 영역 중 섬유와 의류환경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이 테크니컬 디자이너의 핵심 지식 및 기술 키워드와 직접적인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따라서 모든 영역의 과목을 개설한 A대와 F대는 물론,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영역의 과목들을 두루 보유하고 있는 F대는 다른 대학에 비해 전문적인 테크니컬 디자이너 양성을 위한 좋은 여건이 마련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대학에서는 테크니컬 디자이너 양성을 위해 다양한 과목, 특히 테크니컬 디자이너의 지식과 기술에 필요한 과목의 개설이 필요하다 판단된다. Abstract Curriculum Analysis for Technical Designer Training Lee Kwan Yong Department of Home Economics Graduate School of Korea University Even though the demand toward technical designers is increasing drastically in the global fashion market, it is difficult to hire personnel with professionalism. In this regard, this study aimed to examine how much the university curricula of departments related to fashion field satisfy key knowledge and skills necessary for the job performance of technical designer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I suggested the measures to organize the curriculum which can strengthen professionalism and occupational values of future technical designer. Research methods are as follows. Technical designers' key knowledge and skills were extracted by referring to NCS (National Competency Standard). Key knowledge and skills include flat sketch, style, silhouette, ornament, size measuring, pattern, sewing, fabrics & subsidiary materials, technical package, ironing, product packing, product shipment, communication in English, and using equipment for video conferences. These keywords were classified into four categories: fashion design, pattern making and composition, clothing production management and clothing industry, and miscellaneous others. The curricula of 16 departments related to fashion field at universities in Seoul were researched online. In order to analyze the curricula, nine categories - textiles, costume design, pattern making and composition, clothing management, clothing environment, dress aesthetics and cultural history, fashion marketing and consumer behavior, clothing production management, and miscellaneous others - were organized by referring to the 2018 Revised National Science & Technology Standard Classification System. The curriculum classification results were examined by reflecting on technical designers’ key knowledge and skills to analyze whether the university curricula were suitable for technical designer training As a result, all nine curriculum categories had direct or indirect assistance in training key knowledge and skills necessary for technical designers. Out of 9 curriculum categories, seven categories, excluding textiles and clothing environment, had direct correlation with technical designers’ key knowledge and skills. Therefore, two universities (A University and F University), which offered courses in all categories, and another one university (F University), which offered the courses of categories having direct relevance to technical designers’ key knowledge and skills, had a relatively suitable curricula for training professional technical designers compared with other universities. Overall, it is necessary to offer a variety of courses for training technical designers. Keywords: technical designer, technical design, job performance, curriculum analysis, train

      • 실내디자이너 직무 특성에 관한 연구 : 4-6년 차 실내디자이너를 중심으로

        김태남 건국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15935

        문화 수준의 향상, 기술의 발전, 건축 공간 스케일의 거대화, 경험적 삶에 대한 추구 등 다양한 변화로 공간 환경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실내디자인 분야는 더욱 발전하고 있다. 그러나 실내디자인이 기본적으로 건축, 디자인, 예술, 공예 등의 통합적 속성을 갖고 있을 뿐만 아니라 최근 발생된 광고, 마케팅, 디지털 미디어 등의 세분화된 전문 분야와의 협업이나 공간 복합화 등의 추세에 힘입어 그 융합적 디자인 패러다임은 어느 때보다 강해지고 있다. 따라서 전문가로서의 실내디자이너에게 기대하는 역할과 책임은 날로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실내디자이너는 이에 비해 그들의 직무 내용과 범위에 관한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특히 실무 현장의 최일선에서 활발하게 직무 활동을 펼치는 실내디자이너들의 직무에 대한 구체적 연구는 더욱 부족하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실내디자이너의 구체적인 직무 내용과 프로세스 특성과 직무 영역 내 능력 단위별 수행 빈도, 중요도, 난이도는 분석하고 이에 따른 상관관계를 정리하는 목적이 있다. 그러나 실내디자이너의 직무 특성은 실무 경력에 따라 편차가 클 수 있기에 본 연구는 국가직무능력표준(NCS)에서 ‘디자이너’ 직위로 분류된 4-6년의 직무 경험을 가진 실내디자이너들로 그 대상을 한정하였다. 특히 심층 인터뷰의 연구 방법을 사용하여 직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지식, 기술, 능력(K.S.A) 등에 관한 그들의 이야기를 기록하고 정리하여 그에 따른 대비와 활용에 도움이 되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의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연구 방법으로 이론 고찰을 통해서 실내디자인의 개념과 실내디자이너의 직무 현황, 그리고 직무 내용과 프로세스를 이해하였다. 두 번째 연구 방법으로 4-6년 차 실내디자이너 10명을 인터뷰 대상자로 선정하여 설문형 인터뷰, 대화형 인터뷰로 구성된 2가지 유형의 심층 인터뷰를 병행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인터뷰 대상자들은 프로젝트의 시작부터 마감까지의 전체 직무 영역을 광범위하게 수행하고 있었으나 운영 관리 관련 영역과 시공 협력 업체와의 협업이 요구되는 협력 설계 영역 부분은 거의 하지 않는 것으로 드러났다. 그리고 인터뷰 대상자들은 프로젝트와 관련된 각종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책무들을 가장 빈번하고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는데 그 가운데 관계 법령들을 검토하고 조사하는 책무를 가장 어려워하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영역에 대한 사전 지식과 교육 등이 부족하여 낯설고 어려워하는 것이라 사료된다. 또한 그들에게 요구되는 기술은 2D, 3D의 디지털 표현 기술과 설득력 있는 대화의 기술로 드러났으며 디자인 문제 해결 능력과 상황 대처 능력이 중요한 능력으로 요구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심층 인터뷰의 대상자에 해당되는 4-6년 차 실내디자이너들은 폭넓은 직무 영역의 범주를 수행하고 있었으며, 순차적이고 동시다발적인 직무 프로세스 특성을 갖고 있었다. The field of interior design is developing substantially as the importance of spatial environment grows due to various changes such as raised cultural standards, technological advancements, expanded scale of architectural space, and pursuit of experiential life. However, the convergence paradigm of design is becoming stronger than ever, not only because interior design is inherently wide-ranging, embracing architecture, design, arts, and crafts, but also because of a recent trend towards spatial diversification or collaboration with specialized sectors such as advertising, marketing, and digital media. Therefore, the expectations for the roles and responsibilities of professional interior designers are ever-increasing. Yet, there is little research on the descriptions and the scope of their jobs. In particular, there is a stark lack of concrete research on the jobs of interior designers who are actively working at the forefront of the fiel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etailed job descriptions and process of interior designers, and the frequency, importance and difficulty of each unit of capacity in the job domain and to establish the correlation that arises accordingly. However, this study set its focus on interior designers who are classified as 'designer' in the national incompetence standard (NCS) and have 4-6 years of work experience because specific jobs may vary widely depending on each designer’s career experience. Most importantly, this study is intended to provide basic data that can be helpful for the preparation and the use of the designers’ stories about the knowledge, skills, and competence (KSA) necessary to complete their jobs, recorded and organiz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The research was carried out in the following ways. Using theoretical review as the first method, the concept of interior design, the current job state of interior designer, job descriptions and process were identified and comprehended. Next, as a second research method, 10 interior designers in their 4th to 6th year were selected as interviewees to participate in two forms of interviews in parallel, survey-type and interactive. The study shows that the interviewees were fulfilling the entire scope of jobs from the start to the end of the project, but they were found to engage little in the areas of operational management and cooperative design that requires collaboration with partner constructors. Moreover, the interviewees most frequently considered their jobs of collecting and analyzing different project-related data the most significant. Among the tasks, examination and investigation of the relevant laws were reported to be the most difficult. It is understood that they don’t feel familiar and comfortable with such task due to lack of prior knowledge and education about these areas. In addition, the technology required for them was found to be 2D and 3D digital display technologies and persuasive conversation techniques. Also, the ability to solve design-related problems and cope with various situations was regarded as equally crucial. Last of all, the 4th- to 6th-year interior designers, who took part in the in-depth interviews, were engaging in a wide range of job categories and their job process was both consecutive and simultaneous.

      • 大學의 職務發明 補償制度에 關한 硏究

        이영철 延世大學校 法務大學院 2009 국내석사

        RANK : 199503

        The study reviews the compensation system of employee's inventions by university professors focusing on the boundary of employee's inventions, the reversion of the rights, the financial incentive, compensation system and so on.Recently it has been recognized intellectual property right and employee invention are very important with arrival of the time founded on high-tech knowledge. Especially, application for patents and utility models which constitute the big part of intellectual property field has been increased with each passing day on the rapid progress of technology. Therefore the problems about the protection and the protection system of employee invention have been on the rise seriously.The points of view regarding this problems are as follows: Firstly, it is desirable to establish a professional control center to treat the colleges's intellectual property, and also need to strengthen the official regulations system. Secondly, it is necessary to diversify the incentive regulations through the college invention. Thirdly, it is desirable to enhancement of the transfer of technologies of the employee's inventions. Nextly, it is strongly recommended to establish a specialized Technology Board in University to treat the patent right, licensing, and so on. Finally, since the employee's inventions applied for patents are considered remarkable, the patent management advisor, so called patent professor system, system is needed to introduced in a college. 발명진흥법은 그 목적을 “발명을 장려하고 발명의 신속하고 효율적인 권리화와 사업화를 촉진함으로써 산업의 기술 경쟁력을 높이고 나아가 국민경제 발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한다”라고 규정하고 있다. 최근 기업체 및 대학에서 직무발명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고 있다. 발명진흥법 제2조 제2항에 따르면 '직무발명'이란 종업원, 법인의 임원 또는 공무원(이하 '종업원등'이라 한다)이 그 직무에 관하여 발명한 것이 성질상 사용자·법인 또는 국가나 지방자치단체(이하 '사용자등'이라 한다)의 업무 범위에 속하고 그 발명을 하게 된 행위가 종업원등의 현재 또는 과거의 직무에 속하는 발명을 말한다.또 제10조 제1항에 따르면 직무발명에 대하여 종업원등이 특허, 실용신안등록, 디자인등록(이하 '특허등'이라 한다)을 받았거나 특허등을 받을 수 있는 권리를 승계한 자가 특허등을 받으면 사용자등은 그 특허권, 실용신안권, 디자인권(이하 '특허권등'이라 한다)에 대하여 통상실시권(通常實施權)을 가진다. 또한, 제3항에 따르면 직무발명 외의 종업원등의 발명에 대하여 미리 사용자등에게 특허등을 받을 수 있는 권리나 특허권등을 승계시키거나 사용자등을 위하여 전용실시권(專用實施權)을 설정하도록 하는 계약이나 근무규정의 조항은 무효로 한다고 정한다.여기에서 최근 직무발명에 대한 보상규정에 대해 사용자등과 종업원등에 대한 입장에 따른 견해의 차이가 발생하고 직무발명, 자유발명 및 업무발명에 대한 구분에 따라 보상의 대상과 기준이 달라지기 때문에 직무발명에 대한 개념의 확립과 보상기준에 대한 설정의 기준이 중요해 지고 있다.본 연구에서는 특히 대학 교수, 연구원들에 있어서 직무발명의 범위 및 보상규정에 대한 해석에 대한 입장을 정리하고, 보상규정의 확립 및 사용자등과 발명자등이 공통으로 인정할 수 있는 대안을 모색함으로써 대학에서의 직무발명의 활성화를 검토하기 위한 필요성과 요건들을 연구해 보고자 한다.

      • 패션분야 융합인재 육성을 위한 캡스톤 디자인 교육프로그램 학습 모형 개발

        김신우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199503

        국문 요약 패션분야 융합인재 육성을 위한 캡스톤 디자인 교육 프로그램 학습 모형 개발 과거 산업혁명 시대를 대표하는 화두가 ‘생산’과 ‘기술’이었다면, 현 시대를 대표하는 화두는 ‘창조’와‘융합’이다. 디자인은 21세기 새로운 시대 환경에 발맞춰 영역 간의 통합 프로세스를 추진하고 있다. 특히 타 영역에 비해 디자인의 변화속도가 빠르고 많은 아이디어가 요구되는 패션디자인 영역에서는 전공분야에 튼튼한 기초지식을 가지고 다양한 분야와 영역을 서로 연결하는 융합 관점에서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는 패션디자이너의 육성이 글로벌 경쟁력 확보를 위한 필수 과업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우리나라의 교육정책 핵심 방향은 학벌이나 이력보다는 개개인의 역량과 성장 가능성을 우선시하는 사회를 구현하는데 있다. 캡스톤 디자인은 학문 분야 별로 습득한 전문지식을 바탕으로 하여 산업체에서 필요로 하는 제품을 학생들 스스로 설계, 제작, 평가하는 실천적 교과이다. 그러므로 융합과 창의시대에 협업과 함께 진정한 전문성을 필요로 하는 패션분야에서 실무역량과 실질적인 협업능력을 가진 융합인재 육성을 위한 캡스톤 디자인 교육프로그램 학습 모형을 개발하여 제안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은 문헌연구조사로 융합의 개념과 유형, 융합인재 육성을 위한 학습방법에 대하여 고찰해보았다. NCS의 개념과 NCS 패션디자인 학습모듈체계를 고찰해보았으며, NCS 문제점을 도출했다. 또한 캡스톤 디자인의 개념과 필요성에 대하여 고찰해보았다. 분석방법은 다음과 같다. 사례분석방법은 패션제품 라이프사이클 관리계획(2014) 프로세스를 기준으로 기획, 디자인 개발, 기술, 생산, 마케팅에 맞추어 해외대학 패션디자인전공 교과목과 NCS 패션디자인 학습모듈을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해외 대학의 패션전공 교과목과 NCS 패션디자인 학습 모듈의 과목비중을 비교 분석하여 NCS 학습모듈의 보완해야할 내용들을 규명하였다. 심층면접조사 방법은 사례분석으로 도출된 문제점들의 해결 방안을 위해 3그룹의 전문가 면접을 진행했다. 심층면접내용은 NCS의 패션디자인 교육시간의 비중과 평가 방법 및 이를 보완할 수 있는 방안에 관한 것이었으며, 캡스톤 디자인의 운영체계와 융합패션교육 프로그램의 필요성과 학습방법에 관한 것이었다. 정량조사를 위한 1차 실험은 캡스톤 디자인을 적용한 패션디자인수업을 진행하기 위하여 캡스톤 디자인 참여 학생과 기업을 선정하였다. 2017년 1월부터 5월까지 NCS 학습모듈을 교재로 교육을 받은 학생들을 통제집단 대상으로 선정하고, 수업의 전과 후의 창의 인성과 지식, 기술, 태도 등에 관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실험집단을 구성하여 캡스톤 디자인을 적용하여 수업의 전과후의 핵심역량을 설문지를 통하여 측정하고 통계분석을 통하여 캡스톤 디자인의 성과에 대하여 규명하였다. 2차 실험은 2017년 6월부터 11월까지 융합패션프로그램을 NCS기반으로 개발하여 수업을 진행한 후 1차 실험과 같은 방법으로 캡스톤 디자인의 효과성을 분석하였고 이를 토대로 두 집단 간의 효과성 차이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타당성 확보를 위하여 이원배치분산법과 T-검증을 사용하여 퉁계분석을 시행하였다. 이 연구결과를 요약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NCS 패션디자인 교육은 미래지향적인 하이테크 기술보다는 전통적인 방식의 수공예적인 기술측면의 학습모듈 비중이 높고, 디자인 개발 부분의 학습모듈이 상대적으로 비중이 적은 편으로 교과목간 불균형을 이루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파운데이션 과정은 폭넓은 학제적 접근을 통한 종합적 사고와 창조적 문제해결을 위한 기초적 이해를 유도하기 때문에 중요한데, 파운데이션 학습모듈이 부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NCS 패션디자인 학습모듈을 보완하기 위하여 특화된 학습법 개발이 시급하므로 캡스톤 디자인을 적용한 융합패션디자인 프로그램이 필요하다는 결론을 얻었다. 둘째, NCS 패션디자인 학습모듈에 캡스톤 디자인을 적용한 결과 캡스톤 디자인의 가장 큰 장점은 학생들이 실무 프로세스를 경험함으로써 주어진 과제물이나 문제를 종합적이고 창의적으로 해결하는 능력을 배울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체와 협업을 통하여 실용적인 지식과 노하우를 배울 수 있었으며 새로운 아이디어 발상과 문제인식을 통하여 폭넓은 종합적 사고로 변화에 대처하는 능력이 향상되었다. 실험에 참여한 학생들의 창의성, 직무능력 즉 지식, 기술, 태도에 실질적인 변화가 있었음을 규명하였다. 실험을 통하여 NCS 패션디자인 기반 캡스톤 디자인 적용은 패션디자인 전공 분야 학생들의 직무교육을 위한 하나의 방안이 될 수 있음을 보여준 것이다. 셋째, 융합패션디자인 교육의 효과성을 증명하기 위하여 패션전공 교과목에 IT, 전자기술을 융합하여 패션디자인 교육 프로그램으로 개발하여 캡스톤 디자인을 적용한 과정을 진행하고 교육의 전과후의 핵심역량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사이의 변화 중 창의인성 하위요인 자기 확신, 개방성 등의 역량이 증가되었으며, 지식차원에서는 의사소통능력, 자기주도 학습능력 등의 핵심역량이 증가되었다. 기술차원에서는 정보기술 활용능력이 가장 많이 향상되었으며, 변화대처능력 등이 높아졌다. 태도차원에서는 추진력, 도전정신, 경험 개방성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패션분야 융합인재 육성을 위한 캡스톤 디자인 교육 프로그램 학습모형을 제안하였다. 학제적 교역지대의 깊이와 넓이가 모두 중요한 전문기술과 의사소통, 창의력 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새로운 학습방법이 필요하다는 것을 도출하였다. 따라서 캡스톤 디자인 적용과 팀티칭, 팀빌딩, 네트워킹 지원 및 패션산업필드트랩을 통하여 산업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지식과 기술, 그리고 현장문제해결에 대한 능력을 신장시키고 on/off 라인이 결합된 스마트 러닝전략으로 창의성과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을 신장시켜야 한다는 결론을 얻었다. 지금까지 융합교육은 물리적 형태의 융합은 이루어져 왔으나 보다 본질적인 융합교육의 구체적인 사례와 효과성 증명에 대한 사례는 찾아보기 어려웠으므로 이 연구에서 현실적인 융합교육의 모습을 근거로 해서 구체화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또한 산업형 융합인재육성을 위한 학습모형은 실제 경험 근거 기반으로 탐색하여 융합패션디자인 교육의 초석을 마련하였으므로 인문학을 포함한 타 영역 융합교육에도 융통성 있게 적용이 가능할 것이며, 산업현장의 요구를 반영한 융합교육 프로그램설계 및 실행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Abstract Eduaction program development applying capstone design for convergence talent development in the fashion field kim, shin woo Dept. of Human Environment & Design The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If the topics representing the past Industrial Revolution era were "Production" and "Technology", those representing the modern world are "Creation" and "Convergence". Design is pursuing the process integrated between the specialties to fit into the new era of the 21st century. An area of specific designs is evolving further and at the same time the area of general design has changed into an era of design activities integrating the visual aspects, the products, the environment, and the multimedia. To cultivate the designers who can solve the problems creatively is considered to be essential for the area of fashion design which has changed faster than other areas and in which many ideas are required. In addition, the key policy direction of education in Korea is to realize the society which gives priority to the capacity and growth potential of individuals rather than academic background or history. Professionals in the area of fashion design meeting the demand of the age are those with practical application ability along with the job skills (knowledge, skills, attitudes) of NCS standards and integrated thinking ability. Therefore, it is needed more than ever to provide the model for the method of fashion design job training enhancing the practical capability, practical collaboration ability, and expertise requiring the true expertise as well as collaboration in the time of convergence and creativity. Therefore, this study has provided a solution by applying a program combining the training method of capstone design and NCS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with an approach to enhancement of practical application capability,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and integrated thinking ability of the students. An experiment combined with literature research, case analysis, and interview was conducted for research, which is as follows. Firstly, concept and importance of capstone design have been explored and its creativity and convergence have been examined through literature research. In addition, the concept, classification system, and composition of NCS have been explored and the learning modules of NCS in the area of fashion have been examined. The fist method of case analysis is based on the standard which PJ Jakovljevic(2014) of Technology Evaluation centers provided for the process of management plan on the life cycle of fashion products, which is classified as the major subject for fashion design in the universities home and abroad in response to planning, design development, technologies, production, marketing. Based on this, the contents to be supplement have been generated by providing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importance of learning module for fashion design of NCS and of the subject for fashion design in the universities home and abroad. Secondly,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as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of design thinking technique by personal visits made by a group of professors who had an experience in teaching the classes based on NCS from February to April 2017 in order to provide a solution to the issues discovered from a variety of case analyses. The contents of in-depth interview were about the proportion of NCS fashion design training hours and its evaluation method, an effective teaching method to supplement this issue. Thirdly, with a consultative committee, in the first place, held for developing the process in order to get the advices about the current management status of capstone design, the relevance with NCS, the validity regarding the scope of research and to apply them to the study, and with the students and companies selected as the participants and their roles designed, the classes of fashion design applying capstone design have been offered. To do this, the first survey on problem solving abilities and core competencies for the students who had been trained by NCS learning modules from January to May 2017 was conducted and the second survey was conducted to re-measure the creative personality, knowledge, skills, attitudes, etc. after finishing the classes by applying capstone design and to investigate the results of capstone design through statistical analysis. In order to ensure the validity of this research, the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2 way analysis of varianc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greatest advantage of the capstone design was shown to be the fact that students, by experiencing practical processes, are able to acquire the ability to reach comprehensive and creative solutions to given tasks of problems. The capstone design provided the opportunity to experience the creativity, practical competencies, task performance abilities, and cooperative abilities that are at work in an actual working setting. In addition, it was possible to promote actual changes in the work competencies of the students participating in the capstone design by having students systematically plan and experience NCS-based practical fashion design, and examine the results of such experience in terms of knowledge, technique, and attitudes. Also, it was possible through collaboration with industry to acquire useful knowledge and know-hows, and foster broad and creative thinking through new ideas and problem awareness. This demonstrates that the capstone design with NCS is a viable option for job training of students majoring in fashion design. Regarding future-oriented and sustainable fashion design eudcation programs which are able to create new value from creative problem-solving and convergence, overseas universities have been found to employ a variety of pedagogical concepts and specialized education programs to administer specialized education, focused on a variety of areas such as artistic freedom, marketing, design or perfecting of technique, depending on the school. In overseas universities, diversity of curricula across schools makes for a competitive system wherein the competencies of students can be developed in accordance with student aptitudes. Also, the knowledge acquired in coursework and in the process of self-initiated problem solving led to creative thinking. It was found that students attended cross-discipline convergence courses and developed creative thinking habits in order to solve problems on their own. It was found that there is no existing foundation course learning module for NCS fashion design education. Foundation courses, rather than being a foundation for major-related studies, encourage multi- and interdisciplinary education. That is, they encompass both practical skills and theory through a broad variety of subjects ranging from sociocultural studies, art, design theory, basic design education, design research methodologies, and design-related writing, centering on English. A critical and historical foundation relating to the arts and design can be said to be extremely important. This is because through such foundation courses, students are able to build a basis for comprehensive thinking and creative problem-solving through a broad, inter-disciplinary approach. Education in varius aspects of Korean history and culture, in association with design, when administered through major courses, may lead to creative fashion design that revives national identity. Also, to supplement the uniform evaluation standards, evaluation methods, and learning hours of the NCS fashion design module, pedagogical methods such as flipped learning or blended learning need to be applied toward achieving enhanced learning results in specialized fashion design education. Lastly, it was found to be important to include multi-disciplinary convergence subjects covering big data in the 4thIndustrial Revolution age, IOT, and AI (artificial intelligence) among NCS subjects to foster the ability in students to take on newly generated industries. Based on the above, it is necessary to attempt capstone designs that comprise of 1) basic design education based on research methods and contextual elements, which constitute the basic steps toward creative fashion design education and 2) a balance between multi-disciplinary theoretical education and creative education, and which promote the association and cooperation between academia and industry, and to develop design processes that are combined with the NCS learning module. The signifiance of the present study lies in that the development of learning modules and pedagogical methods for the creation of new ideas and the fostering of free-thinking, convergence-minded talent will play a role in supplementing not only education but other practical skills-cenetered education as well. The NCS learning module will function as a watershed in the development of Korean job education key word : National competency standard, capstone design, Convergence

      • 교사의 플로럴 디자인 동아리 활동이 직무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윤다경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183165

        본 연구는 교사의 플로럴 디자인 동아리 활동이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며, 개발 프로그램의 효과를 입증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스트레스는 인간이 심리적 혹은 신체적으로 감당하기 어려운 상황에 처했을 때 느끼는 불안과 위협의 감정이다. 스트레스가 일상 속 어디에나 존재하고, 이로 인해 야기되는 상황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인간의 욕구가 점점 높아지는 사회상은 학교 현장에서도 다르지 않다. 최근 교원 단체에서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교육활동 중 교직에 대한 만족도와 사기가 떨어졌다’고 응답한 교사가 전체 응답자의 81%를 차지하였으나, 교사들이 스트레스를 처리하는 방법에 대한 선행 연구를 찾아보기 쉽지 않았다. 교직 활동 중 받는 스트레스를 교사 개인의 문제로 치부하기에는 사회적으로 심각한 문제가 야기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교사에 대한 사회적 기대 및 사명감이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 처리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들의 제언에 따라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를 처리하기 위한 방법으로 교사 동아리 활동을 선정, 동아리 활동 내용으로 원예 치료를 적용하여 ‘교사 동아리 활동으로서의 플로럴 디자인 활동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실시하였다. 연구의 목적은 첫째, 교사 동아리 활동으로서의 플로럴 디자인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둘째, 본 프로그램이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 및 직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며, 셋째, 교사 연수 및 동아리 활동으로서의 플로럴 디자인 활동 프로그램이 활용되도록 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연구자가 속한 학년군을 실험집단으로 하였고, 통제집단으로 같은 학교 내 타 학년군을 선정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교사 동아리 활동으로서의 플로럴 디자인 활동 실시 여부를 독립 변인으로 설정하고,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직무 만족도 설문 결과를 종속 변인으로 설정하여 활동 전후에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을 대상으로 직무 스트레스 검사를 시행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활동 후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의 직무 만족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직무 만족도 검사를 추가로 진행하였으며, 실험 집단을 대상으로 사후 활동 만족도 조사(질적 조사)를 실시하였다. 교사의 플로럴 디자인 동아리 활동 프로그램을 개발을 위해, 원예 치료 프로그램과 플로럴 디자인에 대한 관련 서적 및 자료를 분석하였다. 개발한 프로그램은 12회기로 실험 집단을 대상으로 8개월 간 적용되었으며, 실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2회기 분량의 플로럴 디자인 동아리 활동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둘째, 플로럴 디자인 동아리 활동 프로그램 적용 후 실험 집단의 직무 스트레스가 통제 집단에 비하여 유의미하게 줄었음을 알 수 있었다. 영역별로 살펴보았을 때 '직무 요구', ‘직무 자율성’ '직무 물안정‘, ’보상' 영역에서 실험 집단의 직무 스트레스가 감소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직무 만족도 설문 검사 결과에서는 실험 집단이 통제 집단에 비해 높은 만족도 수치를 나타내었고, ‘직업 만족도’, ‘역할 만족도’ 영역에서 유의미한 결과가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사후 실험 집단을 대상으로 한 프로그램 만족도 질적 조사에서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가 매우 높았음을 알 수 있었다. 질적 조사에서 나타난 프로그램 만족도에 대한 내용으로는 첫째, 동아리 소재인 생화 및 식물에 대한 흥미가 높았다는 것과 둘째, 동료 교사와 편한 분위기 속에서 동아리 활동을 하며 보낸 시간을 꼽을 수 있었다. 이상의 실험 결과를 통해 ‘교사의 플로럴 디자인 활동’이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 플로리스트의 전문직업성과 직무만족도

        전영은 고려대학교 생명환경과학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183087

        This study examined professionalism and job satisfaction of a professional florist. Florists working in Seoul were surveyed from September 24, 2008∼October 28,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to find ou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wo factors. Subjects of the survey were 92.2% women. 52.3% were in their twenties to thirties, and 62.1% were single. 41.2% were employees and 26.8% were business owners. The greatest number of florists worked at a flower shop, and their monthly income was between 710,000 won and 1,500,000 won. 70% of the florists started to design flowers in their twenties and most had 1∼3 years' experience. As for education, most were college graduates, then came specialist college graduates, and then graduate school graduates with a master's degree. Flower cultivation and flower design major graduates covered the biggest proportion of the subjects. In terms of place where they received flower design education, the number one place was an expert academy with 44.8%, and the number of overseas license owners, Korean license owners and those non-licensed were around the same. Most people answered autonomy for the professionalism questions, and then came sense of the field, belief in self-regulation, and expertise. The average value of all the factors, excluding service to the public, was high. There was significance according to form of hire, main work, monthly income, experience and education. Expertise was high with an average of 3.63, and main work and education showed significant influences. Sense of the field was high with an average of 3.77, and age, marital status, form of hire, main work, monthly income, education and experience showed significant influences. Belief in service to the pubic was not that high with an average of 3.36, and age, gender, form of hire, income out of work, experience, and education showed significant influences. Belief in autonomy was high with an average of 3.75, and form of hire, main work, monthly income, experience and education showed significant influences. Job satisfaction of a florist was not that high with an average of 3.45 out of 5, and satisfaction of those who are married and are business owners were the highest and there was no significance between experience and education, and job satisfaction. Safety needs were not high with an average of 2.88. It wa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age, marital status, form of hire, monthly income, average daily working hours and experience. Social needs were high with an average of 3.90. There was generally no significance with the characteristics. Florists who were under 20 years of age had the highest social needs, and in terms of education, florists with a master's degree or above had the highest social needs, and college graduates had low social needs. Esteem needs were high with an average of 3.61. Esteem needs of business owners were highest, and there was no significance in relation to any other factors. Self-actualization needs were high with an average of 3.66. form of hire, form of job, main work showed to be significant, and experience and education showed not to be significan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orrelation between professionalism and job satisfaction, professionalism was foun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safety needs, social needs, esteem needs, self-actualization needs, and job satisfaction. As a result of examining factors that influence job satisfaction of florists, it has an around 66.9%(R2=.669) explanatory power, and main work and sense of the field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 선취업·후진학 성인학습자를 위한 4년제 대학의 시각디자인 교육 방안 연구

        박원철 한성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166783

        학령인구의 감소에 따른 대학의 위기, 사회·경제적 환경의 변화에 따른 평생교육 수요 증가, ‘고졸 취업 활성화 정책’에 따른 정부의 대학 평생교육 지원 등의 시대적 상황들이 맞물려 대학은 평생학습사회의 중요한 교육기관으로써 새로운 전환기를 맞이하고 있다. 대학이 가진 우수한 교육 인프라와 전통적 고등교육기관으로서의 상징성은 성인학습자에게 매력적인 후진학 경로로써 관심을 집중시키고 있으며, 이러한 결과로 성인전담 교육과정을 운영하는 대학이 늘어나고 입학 경쟁률도 꾸준히 상승하고 있다. 시각디자인 분야 또한 선취업 근로자들의 많은 관심 속에 지원자가 꾸준히 늘어가고 있지만, 아직 대학 평생교육 환경에서의 디자인 교육은 기존의 전통 방식과 차별된 뚜렷한 방향성을 갖고 정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대학의 성인교육에 특화된 시각디자인 전공 교육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4년제 대학을 기준으로 실제 성인교육에 참여하고 있는 재학생들의 특성과 이들에게 필요한 직무역량을 분석하고 이를 근거로 성인학습자들을 위한 전공 교과목을 도출하여 차별화된 운영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제기한 세 가지 연구 문제와 연구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연구 문제1, “4년제 대학에 입학하는 시각디자인 분야 선취업·후진학 성인학습자의 특성은 무엇인가?” 첫째, 실제 시각디자인 전공으로 대학에 입학한 성인학습자들은 비교적 연령대가 낮고 재직경력이 짧은 것에 비해 이직 경험이 많은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이러한 이유로 시각디자인 전공 성인학습자에게는 업무의 질 향상을 위한 직무역량 강화와 학력 보강을 위해 실무 중심의 역량을 기반으로 한 교육이 필요하다. 둘째, 후진학으로 대학교육에 참여하는 성인학습자 중에는 현재 자신의 업무와는 무관한 전공을 선택하는 학습자도 존재하며, 이들은 전공과목 이수를 위한 기초지식과 능력이 전공과 관련된 업무에 종사하는 학습자에 비해 떨어질 수밖에 없다. 따라서 학습자들 간 기초능력 차이를 해결할 수 있는 교과과정 운영방안이 필요하다. 셋째, 디자인계열 특성화 고등학교를 졸업한 학습자나 취업을 위해 시각디자인 관련 자격증을 취득한 학습자의 경우, 이들의 선행학습의 내용이 대학의 전공기초 교과목과 중복되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중복학습 문제를 해결하면서 전체적인 교과과정이 효율적으로 전개될 수 있는 운영 방안이 필요하다. 연구 문제2, “시각디자인 분야 선취업·후진학 성인학습자의 특성을 고려하여 이들에게 필요한 전공 교과목 및 4년제 교과과정은 어떻게 구성되어야 하는가?” 시각디자인 전공 성인학습자의 중요한 학습 목표는 실무에 직접적으로 도움이 될 수 있는 직무역량 강화이다. 이에 본 연구는 시각디자인의 영역을 인쇄, 영상, 디지털 매체로 확장하여, 포괄적 개념의 시각디자인 업무에 필요한 직무역량을 ‘국가직무 능력표준(NCS)’에서 제시하는 직무별 능력단위를 통해 도출하였다. 그리고 도출된 직무역량들을 각 역량 간의 연관성을 기반으로 통합·분류하여 재구성함으로써 학습 내용이 수준에 따라 연계되는 ‘전공 기초과정 12개 교과목’, ‘전공 핵심과정 10개 교과목’, ‘전공 심화과정 8개 교과목’, ‘전공 활용과정 5개 교과목’으로 구분하여 총 35개의 역량기반 시각디자인 전공 교과목을 도출하였으며, 모든 전공 교과목이 분야(매체)별로 유연하게 연계될 수 있도록 교과목 로드맵을 구성하였다. 연구 문제3, “시각디자인 전공 선취업·후진학 성인학습자를 위한 차별화된 전공 교과과정 운영 전략과 방안은 무엇인가?” 성인교육의 교과과정 운영상의 가장 큰 문제점은 학습자 간 기초능력 및 선행학습 경험의 차이다. 이는 현재 대학 성인교육 환경의 특성상 필연적이며 반드시 해결해야 할 문제로, 학과의 교육목표에 따른 기본 교과과정의 틀 안에서 모든 학습자가 차별 없이 원하는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도출된 전공 교과목 로드맵을 기반으로 학습자마다 필요한 교과목을 선택하여 맞춤형 교과과정을 설계함으로써 전공 교과과정을 탄력적으로 운영하는 전략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학습자의 유형을 ‘고등학교 전공’과, ‘업무 분야’를 기반으로 한 네 가지의 유형으로 분류하여 그들의 기본 이력 및 선행학습 여부를 파악한 후, 학습 목표에 따른 맞춤형 교과과정을 설계하여 분석함으로써, 여러 가지 환경적 차이가 있는 성인학습자의 특성을 고려한 효율적인 전공 교과목 운영 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