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제2언어 영어교육 연구 동향 메타 연구 : 영어교육지와 ELT 저널을 중심으로 비교분석

        이성희 성균관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8703

        이 연구는 제2언어 영어교육에 관한 주제로 2008년부터 2017년까지 교육과 관련된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분석함을 통하여, 한국의 제2언어교육에 대해서 최근 10년간의 연구 방향과 현황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토대로 국내 제2언어교육 연구자들에게 향후의 연구 동향에 대한 길잡이 역할을 하는 데에 초점을 두고 있다. 이제까지 제2언어 영어교육에 있어 본 연구와 같은 문헌종합 연구가 국내에서도 어느 정도 있어 왔던 것은 사실이나 그 수가 상당히 부족하고 일부 연구자들에 의해서만 연구되어 왔기에 다양성과 풍부함을 갖추지 못했다. 그리하여 본 논문을 통해 이러한 제2언어 영어교육 연구에 대한 방향을 파악할 수 있고, 국외 연구와 함께 비교하여 분석함으로써 세계적인 추이에 따른 국내 연구의 추후 진로를 예측할 수 있을 것이다. 제2언어 영어교육에 대한 문헌종합 연구를 하기 위해서 연구 기준을 세우는 것은 중요하여 현행 연구 중 가장 넓은 틀에서 연구방향을 설정하였다. 본 연구는 2008년부터 2017년까지 총 10년 동안의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연구방법, 연구주제, 그리고 목표 언어기능을 연도별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선정한 제2언어 영어교육에 관한 총 405편의 국내 학술지 영어교육(English Teaching) 논문과 총 320편의 국외 학술지 ELT journal 논문이 발표되었다. 둘째, 연구방법에 있어 국내 연구는 양적 연구는 총 163편(41%)으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국외 연구는 질적 연구가 총 140편(43.75%), 혼합 연구가 63편(19.68%)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셋째, 연구주제를 살펴보면, 11가지 항목 가운데 ‘영어습득/학습’ 분야가 가장 높은 비율을 보여주면서 국내에서는 148편(36.5%), 국외에서는 75편(23.4%)의 연구가 있다. 넷째, 목표 언어기능을 보면 기타 연구를 제외하고 국내에서는 쓰기 81편(20%), 문법 66편(16%), 말하기 42편(10.3%), 국외에서는 쓰기 45편(14%), 말하기 43편(13%), 화용 20편(6%)으로 비중을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국내외 학술지를 비교해 보면 국내 학술지와 국외 학술지는 동일한 양상을 띠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것은 국내외 통신의 기술이 발달하고 글로벌 세계로 나아가 국내외 많은 교류가 있으면서 국내외 학계에서 공통된 관심 분야로 상당히 많은 것을 공유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본 연구는 문헌종합 연구로서 현행 교육계의 제2언어 영어교육의 중심과 흐름을 정리하여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현 학문적 방향을 고찰할 때 어떠한 부분에 대해서 더욱 관심을 가져 깊이있게 살펴볼 필요가 있는지를 파악할 수 있다. 제2언어 영어학습에 있어서 문헌종합 연구가 국내외 연구자들이 더욱 견고하고 다양성을 겸비한 틀을 갖추어 연구할 것은 필요적이고 유의미하다. This article compares recent topical and methodological trends in L2 learning research published in one domestic (English Teaching) and one international journal (ELT journal) from 2008 to 2017. The journals were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extent to which the area of L2 language teaching and learning is given impact factors at the time of data collection in the total number of articles during the period. A total of 725 articles were analyzed in terms of research methods, research themes and target languages skills. Results reveal that there has been a significant change in domestic research over the past ten years when compared to survey before 2008. The result show that the proportion of 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was higher than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in English Teaching while, in ELT journal, more than about 47 percent of the articles relied on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along with a relatively larger proportion of mixed method research in English Teaching. As for research topic, article based on acquisition/learning theories have been published most both in English Teaching and ELT journal. In terms of target language skills, writing has been studied most in both English Teaching and ELT journal.

      • 체계기능언어학 기반 한국어 문법적 연어의 사용 양상과 의미 기능 연구 : 학술텍스트를 중심으로

        CHENG LILAN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8703

        This study is subject to analyze the category of Korean grammatical collo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grammar education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for academic purposes based on the theory of systemic functional linguistics. It is a study that reveals the typical uses and characteristics of grammatical collocations written in Korean language academic texts, grammatical collocations written by Korean language learners for academic purposes and reviews the semantic functions performed in academic text. The use of grammatical collocation in a particular register or genre can be an important component of the content of foreign language education or secondary language education. In particular, it is crucial to internalize genre recognition and to use appropriate grammatical collocation in academic text. So far the existing studies on grammatical collocation in academic text are limited to extracting cataloging grammatical collocation used frequency or revealing structural and functional differences. Although many studies emphasize the importance of grammatical collocation in academic text, only few studies have extracted grammatical collocation representations as educational content or explored genre-specific grammatical collocation in specific academic fields. In this study, we paid attention to the fact that existing studies on grammatical collocation could not be discussed based on a relatively complete theory, and that attention was paid only to the form of meaning expression of grammatical collocation. 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studying grammatical collocation form a single research perspective, a linguistic theory with universality and relevance was selected, and based on this theory, a grammatical collocation content system was constructed in a specific genre of academic text. In other words, stratification theory, option and system network concept, lexicogrammar concept, and genre concept as social interaction suggested in systemic functional linguistics establish the concept of grammatical collocation. This is a theoretical premise that illustrates the lexicogrammar features and semantic functions of grammatical collocation. In this thesis, the process of forming grammatical collocation is considered to be a process in which conceptualize and categorize the relationship of things based on context of social cultural and context of situation. Grammatical collocation is seen as the result of the joint operation of three factors: social culture, cognition, and language. Based on the theory, In chapter 3, by extracting and categorizing typical grammatical collocation from the Korean academic texts selected as model texts, the grammatical collocations used in academic texts were analyzed with the focus on the semantic function. In chapter 4, the corpus was used to analyze the meaning and function of the grammatical collocation for academic purpose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he sample information of Korean learners primitive corpus, five variables were set, including nationality(Chinese), mother tongue(Chinese), learning purpose(going to university or graduate school), Korean language level(level 6 or higher), and corpus type(written language). By comparing and analyzing grammatical collocation used by Korean learners and grammatical collocation used in model text, the cause of interlanguage usage in the academic texts of Korean learners was revealed. Furthermore, in terms of the comparative study results, the contents of grammatical collocation which represent the meaning of recognition were structured and detailed. In this study, based on the theory and research method of systematic functional linguistics, Korean grammatical collocation was reconceptualized and categorized form a new perspective to explore the usage and semantic functions in actual language materials. This research is significant in the theory of systematic functional linguistics applied to Korean language, and it is actively promoted as a theory of language education. The study also noted grammatical collocation which is lack of discussion for academic purposes for Korean learners. On the other hand, it is crucial in extracting grammatical collocations used in actual Korean academic texts and academic texts written by Korean learners, and revealing the formal characteristics and semantic functions of the language. 본 연구는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문법 교육 관점에서 체계기능언어학 이론을 기반으로 하여 문법적 연어의 범주를 설정하고, 이를 토대로 한국어 학술텍스트와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가 작성한 학술텍스트에서 문법적 연어의 전형적인 사용 양상과 사용 특징을 밝히고 학술텍스트에서 수행한 의미 기능을 검토하는 연구이다. 연어는 학술적 전문 용어 또는 학술텍스트에서 흔히 발견될 수 있는 표현이고, 학술텍스트에서 연어와 같은 정형화된 표현은 학술적 명제와 정보를 전달하는 중요한 수단이라고 볼 수 있다. 연어 사용은 모어 학습자에게는 자연적으로 습득되고 내재화되는 언어 선택이지만 외국어 학습자에게는 외국어를 학습하면서 직면할 수 있는 어려움 중의 하나이다. 상황 맥락에 따라 적절한 연어의 사용은 학술텍스트의 평가 기준이 되었고, 특정한 사용역이나 장르에서 높은 빈도로 나타난 연어에 대한 운용은 외국어 교육 또는 제2언어교육의 교육 내용에서 중요한 구성요소가 될 수 있다. 특정한 사용역이나 장르에서 정확하고 적절한 문법적 연어의 사용은 외국어 교육 또는 제2언어교육의 교육내용에서 중요한 구성요소가 될 수 있다. 특히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학술텍스트에 있어서 장르적 인식을 내재화하고 적절한 문법적 연어를 사용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데, 현재까지의 연구는 높은 빈도로 사용된 문법적 연어를 추출하고 목록화하거나 구조적·기능적 차이를 밝히는 것에 한정되어, 문법적 연어에 대한 범주화나 학술텍스트에서 사용된 문법적 연어에 대한 체계적인 기술에 관한 연구는 거의 없었다. 그리고 많은 연구에서 연어가 학술텍스트 교육에 있어서 중요함을 강조하지만, 특정한 학술 분야에서 교육내용으로서의 문법적 연어 표현을 추출하거나 장르별 문법적 연어 교육 목록과 교수학습 모형을 탐구하는 연구는 드물었다. 본 연구에서는 문법적 연어의 기존 연구에서 상대적으로 하나의 온전한 이론을 기반으로 논의를 하지 못한다는 점, 그리고 문법적 연어의 의미 표현 형식에만 관심을 기울여졌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그리하여 여기서는 단일적 연구 시각으로 문법적 연어를 연구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보편성과 적합성을 갖춘 언어학 이론을 선정한 다음에 이 이론을 기반으로 학술텍스트라는 특정한 장르에서 문법적 연어의 내용 체계를 구축하였다. 즉, 체계기능언어학에서 제시된 계층화(stratification) 이론, 선택항(option)과 체계망(system network) 개념, 어휘문법(lexicogrammar) 연속체 개념, 사회적 상호작용으로서의 장르 개념 등은 문법적 연어 개념을 정립하고 문법적 연어의 어휘문법적 특징과 의미 기능을 해석한 이론적 전제이다. 본 연구에서 문법적 연어의 형성 과정은 사회문화적 맥락과 상황적 맥락을 기반으로 인간이 사물의 관계를 개념화와 범주화하는 과정으로 간주하며, 문법적 연어는 사회문화, 인지, 언어 세 가지 요소가 공동적으로 작동한 결과라고 본다. 연어는 어휘문법 연속체에 있는 항목들이 제한적으로 선택되는 어휘문법 조합이라고 말할 수 있다. SFL에서 어휘와 문법의 통합을 강조하지만, 본 연구에서 어휘문법 연속체에 있는 제한적 관계를 맺고 있는 어휘문법 선택 항목은 문법적 제약과 어휘적 제약 중에 어느 제약을 받는 경향이 있느냐에 따라 문법적 연어와 어휘적 연어로 나뉜다. 문법적 연어와 어휘적 연어는 각각 어휘문법 연속체의 두 끝으로 갈수록 문법적 특징 또는 어휘적 특징을 두드러지며, 어휘문법 연속체 중간에 위치하는 연어는 문법적 제약이나 어휘적 제약을 덜 받는 연어로 본다. 이 중에 문법적 연어는 문법 항목 간의 선택일 수도 있고, 어휘 항목과 문법 항목 간의 공동으로의 선택일 수도 있는데, 문법 쪽에 갈수록 강한 문법적 의미 선택 관계를 드러낸다. 학술텍스트에서 사용되는 문법적 연어는 거시적 차원에서 텍스트 생산자가 특정한 의미 기능을 실현하기 위해 언어 체계에서 선택된 의미 잠재의 실현 형식이며, 이는 학술적 생황 맥락의 특징을 나타내고 학술적 언어의 실례 유형 중의 하나라고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이론을 기반으로 3장에서는 모범 텍스트로 선정된 한국어 학술텍스트에서 나타난 전형적인 문법적 연어를 추출하고 범주화하여, 학술텍스트에서 사용된 문법적 연어를 의미 기능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4장에서는 말뭉치를 활용하였는데 3,784,091어절 한국어 학습자 원시 말뭉치 표본 정보에서 국적(중국), 모어(중국어), 학습 목적(진학), 한국어 등급(6급 이상), 말뭉치 유형(문어) 5가지 변인을 설정하고 추출된 문법적 연어의 사용 양상을 살펴보고 의미 기능을 분석하였다. 한국어 학습자들이 사용한 문법적 연어와 모범 텍스트에서 사용된 문법적 연어의 어휘문법적 특징, 의미 기능별 사용 빈도 분포 등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구조적 측면과 기능적 측면을 중심으로 한국어 학습자 학술텍스트에서 나타난 중간언어적 양상 및 중간언어적 양상의 원인을 밝혔다. 또한 비교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인식 의미를 나타낸 문법적 연어 교육 내용을 구조화하고 상세화하였다. 본 연구는 체계기능언어학의 이론과 연구방법을 기반으로 새로운 시각에서 한국어 문법적 연어를 재개념화하고 범주화하여 실제 언어 자료에서의 사용 양상과 의미 기능을 탐구하였다. 이러한 연구는 체계기능언어학 이론이 한국어에 적용되고 언어교육 이론으로서 적극적으로 추진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구는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논의가 부족했던 문법적 연어에 주목하였고, 이에 대하여 실제 한국어 학술텍스트와 한국어 학습자 학술텍스트에서 사용된 문법적 연어를 추출하고 언어 형식적 특징과 의미 기능을 밝힌 것에 의의를 지니고 있다. 그리고 학문 목적 학습자를 위한 문법적 연어의 교육내용을 마련하였는데, 이는 학습자들이 학술텍스트를 작성할 때 특정한 상황 맥락에 따른 언어 잠재의 특징을 인식하고 어휘문법 연속체로서의 문법적 연어의 의미 기능을 습득하고 활용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 제3국 출생 북한이탈주민 자녀의 언어 정체성 분석 연구

        송믿음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easure linguistic identity of the North Korean Defectors' Children (NKDC) born in the third country, whose identities are reformed by learning Korean, as well as to investigate factors affecting the reformation.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ethods were adopted to proceed the study. A primary survey was done with 90 NKDC who now live in South Korea and currently are enrolled in 5 different schools and it was complemented by in-depth interview. A result from the analysis indicates that personal factors such as the schools they are enrolled in, reasons for entering Korea, and one’s experience of entering the Settlement Support Center for North Korean Refugees(Hanawon) have causal links with the formation of the linguistic identity. Also, it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at types of ethnic school attended in China and parents' first language are influencing the identity in terms of social and familial background respectively. Besides, the attitude of the language community was found to have the most influence on the language proficiency among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linguistic identity, and followed by cultural attitude and language attitude. In addition to the five statistically proven factors, five more aspects influencing the formation of linguistic identity were found through the in-depth interview: 1) relationship and intimacy with father, 2) motivation for learning Korean, 3) people's gaze about using dialect, 4) roles and attitudes of teachers, 5) language use and sense of belonging to the country. Upon the aforementioned results, this paper proposes the needs of 1) securing more class time and Korean language teachers' professionalism, 2) enhancing the motivation of learning Korean language, 3) understanding mother's ethnic community and linguistic traits of the country of residence, 4) helping students to understand oneself and the three associated countries through intercultural education, 5) considering the environment of the single-parent families, 6) providing language education based on national, cultural, and historical perspectives, when designing a curriculum of Korean education for the NKDC born in the third country. This study has contributed to identifying the increasing number of NKDC from the third country as an independent learner group and analyzing their linguistic identities to pursue greater efficacy in terms of Korean education. Since South Korea has long being a monolingual country, there are few studies focusing on learning Korean as a second language, especially for NKDC, as well as its linkage to the identity formation. Therefore, this research is meaningful as it makes the new attempt to examine the linguistic identities of the new learning group.

      • 한국어교육전공 외국인 대학원생의 제2언어 자아 변화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유지윤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ontents and meanings of foreign graduate students’ second language self by drawing out narratives on the personal experiences as foreign graduate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his study used narrative inquiry research method as a main research method because narrative inquiry is the most appropriate method to research in terms of respecting, understanding, and exploring experience as an approach to studying human life, so that it can derive the most in-depth meaning of experiences. Specifically, based on the design of narrative inquiry, the research was conducted cyclically in the process of ‘Being in the Field’, ‘From Field to Field Text’, ‘From Field Text to Intermediate Research Text’, and ‘From Intermediate Research Text to Research Text’. A total of six foreign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was selected during the preliminary interviews and the first interviews to examine the process of changing their second language self based on a relatively similar learning experience. The field text was collected mainly through in-depth interviews, and the intermediate research text was reviewed with the study participants to form the final research text. The implications of their second language self change experiences in the participants’ narratives were implicitly constructed using the metaphors ‘For a new journey’, ‘Meeting myself in a strange place’, ‘Floating after losing one's paddle’, ‘Sending a signal’, and ‘Unfinished voyage’. ‘For a new journey’ means an experience that has led research participants' lives to new experiences while meeting their own second language selves. The participants had high expectations and goals when they first learned Korean and entered th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just like boarding a ship for a new journey. ‘Meeting myself in a strange place’ is an experience where participants face a new Korean language self in a strange place―a graduate school in Korea. The participants felt strange about the new place because there were more foreigners than they had imagined, and there were fewer practical classes than they had expected. ‘Floating after losing one's paddle’ means that the participants lost their paddle of Korean language, which had previously determined the direction of the ship and created motivation in their lives, thus losing their goals and powers in the graduate school process. It was influenced by the fact that it was not easy to become a Korean language teacher even after graduating from th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Sending a signal’ means that the participants continue to try to interact outside to find a breakthrough in their own way, instead of drifting away from what was expected. Participants in this study have tried their own experiences related to Korean language education, such as finding suitable friends or using the Internet to find Korean language learners outside graduate schools, making textbooks or teaching classes. ‘Unfinished voyage’ means that participants have found the potential to move forward in the future after their graduate experience of majoring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lthough they once had a difficult time and lost their way, their new experience in a strange place has broadened the horizon of research participants' lives, and although they have not found a clear destination or goal, they can find a wide range of possibilities that they can go anywhere through their paddle of Korean language. Discussions abou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presented as follows. First, it's personal justifi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life experiences of foreign graduate students and ultimately it was time for me to reflect on my own graduate school experiences as well as their lives. Some of the participants in the study looked back on their graduate school experience and thought about how to proceed. This has brought about a change in the lives of researcher and research participants. The practical justification is that through the voice of the participants, we can understand them and their lives deeply. The study participants are members of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major, sometimes the highest level of learners, and sometimes the beginner level Korean language pre-teachers. Korean language education major’s purpose is to train Korean language teachers, helping foster more specialized Korean language teachers in the future. If they can understand the new features found in the experiences of foreign graduate students, they can adapt to the appropriate educational environment. Finally, it is social justification. With foreigners coming to Korea steadily flowing into the university, the micro approach to overseas students, or attempts to understand them as individuals, is still in a fairly weak stage. In particular, there is a lack of in-depth research to understand foreign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who came to learn Korean as a profession. This problem-consciousness means that for the first time, this study focused on foreign graduate students in masters' degrees with a limited major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discussed in-depth their experiences with Korean language self. Through this study, it was possible to understand in-depth the process of the second language self change of foreign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through this, we could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second language self change experience they had. This will contribute to a more detailed and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various experiences of Korean language self change in foreign graduate students.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교육전공 외국인 대학원생의 제2언어 자아 변화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를 통해 그들의 생생한 이야기 속에 담긴 경험의 의미를 탐색하고 이해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연구 퍼즐은 첫째, ‘한국어교육전공 외국인 대학원생의 제2언어 자아 변화 경험이 어떠한지 탐구한다’, 둘째, ‘한국어교육전공 외국인 대학원생의 제2언어 자아 변화 경험의 의미가 무엇인지 탐구한다’로 설정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내러티브 탐구를 사용하였다. 내러티브 탐구는 인간의 삶을 연구하는 접근법으로 경험을 존중하고, 이해하고, 탐구하기 때문에 연구 참여자가 가지고 있는 경험의 의미를 가장 심도 있게 이끌어낼 수 있다는 측면에서 본 연구에 가장 적합한 연구 방법이다. 구체적으로는 내러티브 탐구의 탐구 설계에 따라 ‘연구 한가운데로 들어가기’, ‘현장에서 현장 텍스트로’, ‘현장 텍스트에서 중간 연구 텍스트로’, ‘중간 연구 텍스트에서 연구 텍스트로’의 과정을 순환적으로 거치면서 연구를 진행하였다. 비교적 유사한 학습 경험에 따른 제2언어 자아의 변화 과정을 살펴보기 위해 예비 인터뷰 대화와 1차 인터뷰 대화에서 한국어교육을 전공하는 외국인 대학원생 중 석사 과정을 졸업 또는 수료하였으며 졸업 후에도 한국에서 몇 년 간 한국어와 관련된 일을 할 계획을 가진 대학원생 총 6명을 선정하였다. 주로 심층적인 인터뷰 대화를 통해 현장 텍스트를 수집하였으며, 중간 연구 텍스트를 연구 참여자들과 함께 검토하여 최종 연구 텍스트를 구성하였다. 한국어 자아의 변화 경험에 대한 연구 참여자들의 이야기 속에서 발견한 그들의 경험의 의미는 ‘새로운 여정을 위한 승선’, ‘낯선 곳에서 나를 만나다’, ‘노를 잃고 표류하다’, ‘무전을 보내다’, ‘끝나지 않은 항해’라는 비유를 통해 함축적으로 구성되었다. ‘새로운 여정을 위한 승선’은 한국어를 만나면서 연구 참여자들의 삶을 새로운 경험으로 이끌었던 경험을 의미한다. 연구 참여자들은 여행을 위해 처음 배에 오를 때처럼 한국어를 처음 배울 때와 한국어교육전공 대학원에 입학했을 때 높은 기대감과 목표를 가지고 있었다. ‘낯선 곳에서 나를 만나다’는 연구 참여자들이 한국의 대학원이라는 낯선 곳에서 새로운 자신의 한국어 자아의 모습을 직면하게 된 경험을 의미한다. 연구 참여자들은 상상했던 것과 달리 한국인보다 외국인이 더 많은 점과 실습 수업이 생각보다 적은 점 등으로 인해 새로운 장소를 낯설게 느꼈다. 또한 타인에게 저평가를 받는 경우와 한국어 수준이 모어 수준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 과거 자신의 영어 자아와 비교하는 경우에 한국어를 사용하는 또 다른 나의 모습을 마주하게 됐다. ‘노를 잃고 표류하다’는 연구 참여자들이 삶에서 이전까지 배의 방향을 결정하고 동기를 만들어주었던 한국어라는 노를 잃어버린 채 표류하는 것으로 연구 참여자들이 대학원 과정에서 한국어 관련 목표와 동력을 잃고 무기력해 하는 경험을 의미한다. 이는 모호하고 높게 설정된 한국어 이상 자아와 한국어교육전공을 졸업한 뒤에도 한국어 교사가 되는 것이 쉽지 않다는 현실에 영향을 받았다. ‘무전을 보내다’는 연구 참여자들이 기대했던 것과 다른 상황에서 표류하는 데 그치지 않고 나름대로 돌파구를 찾기 위해 바깥으로 상호작용하려는 시도를 나타낸다. 연구 참여자들은 마음이 맞는 동료를 찾거나 인터넷을 활용해서 한국어 학습자를 대학원 밖에서 직접 찾은 뒤, 교재를 만들거나 수업을 하는 등 한국어교육과 관련된 경험을 스스로 시도해 나갔다. ‘끝나지 않은 항해’는 연구 참여자들이 한국어교육을 전공하는 대학원 경험 속에서 앞으로 미래에 나아갈 가능성을 찾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상하고 기대했던 것과 다른 상황을 만나 어려움을 겪고 방황한 적도 있었지만 결국 낯선 곳에서 나를 만난 새로운 경험은 연구 참여자들의 삶의 지평을 넓혀 주었고, 분명한 목적지나 목표를 찾은 것은 아니지만 한국어라는 노를 통해서 어디로든 갈 수 있다는 다양한 가능성을 발견할 수 있게 됐다. 본 연구의 결과에 대한 논의는 내러티브 탐구의 개인적 정당성, 실제적 정당성, 사회적 정당성에 따라 다음과 같이 제시할 수 있다. 먼저, 개인적 정당성이다. 외국인 대학원생의 삶의 경험에 대한 이해라는 이 논문의 목적을 통해서 궁극적으로 연구자는 그들의 삶뿐만 아니라 연구자 스스로의 대학원 경험을 돌아보고 성찰할 수 있는 시간이었다. 연구 참여자 중에는 자신의 삶에 대해 누군가가 대신 자서전을 써 주는 것 같아서 좋았다고 말한 사람도 있었고, 자신의 대학원 경험을 되돌아 보면서 앞으로 어떻게 나아가면 좋을지 고민해 보는 기회가 될 수 있었다는 사람도 있었다. 이처럼 연구자와 연구 참여자의 삶에 변화를 가져온 계기가 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한국어교육에 전달할 수 있는 실천적 함의, 즉 실제적 정당성은 연구 참여자들의 목소리를 통해 그들과 그들의 삶을 깊이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는 것이다. 연구 참여자들은 한국어교육전공의 구성원으로서, 어느 때는 가장 높은 수준의 학습자이기도 하고 어느 때는 이제 막 시작 단계인 한국어 교사, 예비교사이기도 하다. 한국어교육전공은 한국어 교사를 양성하는 목적을 지닌 전공으로서 구성원에 해당하는 외국인 대학원생들의 경험을 통해 그들의 특성을 이해하는 것은 교육 목표와도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외국인 대학원생들의 경험에서 발견된 새로운 점들을 이해하고, 이에 맞는 적절한 교육환경을 맞추어 나갈 수 있게 된다면, 앞으로 더욱 전문적인 한국어 교사들을 양성하는 데 이바지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사회적 정당성이다. 한국으로 유학 오는 외국인들이 꾸준히 대학으로 유입되고 있는 가운데 유학생들에 대한 미시적 측면의 접근, 즉 그들을 한 개인으로서 이해하려는 시도는 아직까지 상당히 미약한 단계에 있다. 특히 앞으로 한국어를 가르칠 것을 직업으로 삼고자 배우러 온 한국어교육전공 외국인 대학원생들에 대한 이해를 위한 심층적인 연구도 매우 부족한 형편이다. 이러한 문제의식에 따라 본 연구는 처음으로 한국어교육전공이라는 한정적인 전공의 외국인 석사과정 대학원생을 중심으로 그들이 한국어와 함께 지나온 경험들을 심층적으로 논의했다는 데 의미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해 한국어교육전공 외국인 대학원생들의 제2언어 자아가 변화하는 과정을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그들이 가지고 있는 제2언어 자아 변화 경험의 의미를 파악할 수 있었다. 이로써 외국인 대학원생들이 가지는 다양한 한국어 자아 변화 경험을 보다 자세하고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제2언어 습득에서의 상호작용에 대한 연구

        민형기 세종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703

        제 2언어습득에 대한 의문점은 인간의 역사 이래로 아직도 풀리지 않고 있다. 왜냐하면 제 2언어습득도 인간의 뇌의 활동과 관련이 있으며 사람마다 차이가 있고 학습법에 따라서 언어의 습득 여부가 결정되기 때문이다. 제 1언어와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잘 이해하는 연구자라면, 누구라도 한번쯤 인간 상호작용에 대한 의문점을 제기할 수 있을 것이다. Chomsky(1986)이후로 언어습득에 대한 관점 자체는 사람이 이미 가지고 있는 언어습득장치(LAD: Language Acquisition Device)가 있다는 시각에서, 종전의 행동주의자들의 특징인 언어습득이 자극과 반응에 의한 가설에서부터, 인간 중심과 내부에 초점을 맞춰서, 과연 언어를 습득한다는 것이 어떤 것인가를 먼저 규명하는 일에 대해서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그러나 한편으로 지나친 구조문법에 대한 관심은 언어라는 것에 대한 분석은 될 수 있으나, 실제로 제 2언어습득에는 큰 도움을 주고 있다고는 말할 수 없다. 이후 의사소통 중심의 언어습득(Communicative Language Acquisition)이 주류를 이루며, 제 2언어 습득은 결국 인간과 인간간의 연결이라는 점이 강조되었다. 그 중에서도 인간의 상호간의 상호작용(interaction)에 대한 관심은, 스위스 심리학자인 Piaget(1971)와 러시아의 심리학자인 Vygotsky(1980)등을 통해 주목받기 시작했고, 그 이후로 이러한 이론을 바탕으로 한 새로운 도전적인 학습법들이 개발되었으며, 많은 어린이들을 대상으로 한 상호작용학습이 등장했다. 이 논문은 그동안의 아이들을 대상으로 맞추어진 상호작용학습에 대해서, 성인에 적용 가능한 EFL(English as a foreign lagnuage)상황에서의 영어학습을 가정해보고, 그러한 가정이 가능하게 하는 인격적인 교육에 대한 고찰과 실험을 통해서, 상호작용이 성인에 있어서 제 2언어 습득에 어떠한 긍정적인 효과를 내는지를 실험해보고, 성인들의 경우에 중요한 문제점과 특징을 토대로, 상호작용이론이 가지는 의미를 재점검 해보았다. 실험 (1)은 개인과 개인의 수업 외의 시간에 학습자와 학습자가 상호작용을 통해서 제 2언어를 습득하는 가정된 모델을 보여주고, 실험 (2)는 3인 이상의 소그룹에서의 학습자간의 상호작용이 제 2언어 습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비교 연구하여, 상호작용을 통한 제 2언어 습득을 고찰해 보며, 앞으로 제 2언어 습득의 연구를 어떻게 할 것인지에 대한 방향제시를 해보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ne of the best ways to apply an interactive approach to adult students outside of class in an EFL situation. For this purpose, two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In the case of the second language acquisition, language learners need both "the knowledge about language forms" and "the knowledge that enables a person to communicate functionally and interactively". The trend of Second language teaching-learning focuses on the former under the traditional structuralism. These days, experts in terms of the latter claim that knowledge about language forms cannot be automatically transferred to communicative competence. These two kinds of knowledge are not independent, but complementary to each other. Since beginning of human history, questions concerning the second language acquisition remain in mystery yet to be solved. It is claimed that the second language acquisition is related to the activity of the human brain, and the acquisition is affected by the kinds of teaching methods used. Behaviorists believed that language acquisition is the result of imitation, practice, stimulus-response and habit formation. On the other hand, the linguist Noam Chomsky(1986) claimed that children are biologically programmed for language. That is, they are born with a special ability to discover for themselves the underlying rules of a language system. Chomsky referred to this special ability as LAD(the language acquisition device). Nevertheless, the concern for LAD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analysis of language but it did not play a big role in the acquisition of language. A third theoretical view of first language acquisition focuses on the role of the linguistic environment in interaction with the child's innate capacities in determining language development. The two main scholars who took this position were psychologist Piaget(1971) of Switzerland and Vygotsky(1980) of Russia. This Interactionist position or language acquisition gave a way to the development of new second language teaching methods. The present study is mainly concerned with the final position of language acquisition applied to adult second language learning outside of class in an EFL(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situation. Two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illustrate how interaction plays a role in adults learning English outside of class. Experiment (1) is interaction between two individual students, and Experiment (2) is interaction among members of a small group. We found positive results that interaction plays a significant role in the second language aquisi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adult interaction in the second language learning outside of class in an EFL situation should be paid more attention in the future. I hope this thesis has contributed somewhat in this respect.

      • 제2언어가 모국어에 미치는 영향 : 한국어와 영어의 재귀사 결속을 중심으로

        윤신애 건국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논문은 현재 한국에서 여러 방법으로 시행되고 있는 아동기의 제2언어인 영어 습득에 관련되어, 한국인이 영어지식과 모국어인 한국어 지식을 아동기에 습득할 경우에 한국인이 사용하는 영어가 한국어에 미칠 수 있는 영향에 대해서 고찰하는 것을 목표로 하여 그 내용을 서론에서 논의한다. 2장에서는 언어 습득 이론 중의 하나인 보편문법-원리-매개변항이론-에 대해서 설명하고, 이 이론이 제 2언어 학습에 적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과,영어와 한국어 지식을 모두 가지고 있는 언어 사용자의 마음속에 두 개의 혹은 2개 이상의 언어 지식이 표상되어 있는 모델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다중 언어 표상에 대한 모델은 서로 다른 언어 지식이 분리되었다는 가능성과 통합되었다는 가능성, 그리고 분리와 통합을 적절히 결합하여 2개 이상의 언어 지식이 저장되는 방식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다중 언어 지식 표상 모델은 5 가지로 제시되어 왔으며, 그 모델은 각각 서로 다른 언어 지식이 미치는 영향의 유무에 대해서 기술한다. 3장에서는 보편 문법의 원리-매개 변항 값의 차이점으로 나타나는 언어간 변화로 한국어와 영어에서 나타나는 재귀사 결속 범위에 대한 원리와 재귀사 결속 매개 변항값에 대하여 기술한다. 4장에서는 3장에서 논의한 한국어와 영어의 재귀사 결속에 대해서 어린 시절에 영어를 습득하여 한국어 수준으로 구사할 수 있는 아이들과 그렇지 않은 아이들을 대상으로 한 실험을 기술하였다. 실험에 대한 가설과 실험 대상 및 실험 방법에 대하여 기술하고 실험 결과와 2장에서 제시한 다중 언어 지식 표상 모델에 대한 이론을 이어갔다. 결론인 5장에서는 4장에서 나온 실험 결과를 토대로 한국 사회에서 일어나고 있는 영어 조기 교육과 영어 조기 유학의 추세에 대한 의견, 영어 교육이 한국어 교육과 균형 있게 진행되어야 할 필요성을 제기한 이후, 후속 연구에 대해서도 논의하였다. The paper focues on the effects of the second language on the native language when Korean children acquire both Korean knowledge and English knowledge during their childhood in relation to the second language acquisition during childhood. Even though Second Language Acquisition Theory has focused on the effects of the first language on the second language, called Language Transfer, but it has not focused on the effects the second language on the first language. As the starting learning English is getting earlier, the formation of the linguistic knowledge of Korean and English has highly chance to be integrated. Therefore, Korean would be influenced by English, so Korean grammar could be attrited. This paper is about the effects the second language on the first language, Reveres Transfer, focusing on the binding parameters of reflexives in Korea and English. This paper includes the multilingual competence representation model, the language acquisition mechanism from the Language Acquisition Device to the Universal Grammar: Principle-Parameter theory by Chomsky. Also, it deals with second language acquisition through the Universal Grammar. The paper could give any possibility to re-consider the early-childhood English education in Korea with lots of ponderness and stable standard instead of pushing children to English-spoken environment.

      • Korea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demotivation in learning English : a study in the framework of the L2 motivational self system

        강나루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703

        학습자의 동기는 제2언어학습 관련 연구에서 많은 관심을 받아온 주제이다. 이와 더불어, 학습을 지속하고 싶지 않다고 느끼게 되고, 그로 인해 실제로 학습 행동의 감소까지 유발하는 탈동기 현상도 최근 들어 많이 연구되고 있다. 그러나 많은 선행연구들이 단순히 탈동기를 일으키는 요소를 찾는데 집중하고 있고 탈동기 현상의 다양한 양상을 심도 있게 관찰한 연구는 극히 드문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혼합 연구 방법을 사용하여 한국 학생들의 영어 학습에서의 탈동기 경험을 제2언어 동기적 자아 체계 관점에서 관찰함으로써 탈동기 현상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자 한다. 연구 질문은 다음과 같다. (1) 한국 중∙고등학생들이 영어 학습을 할 때 갖는 이상적 혹은 필연적 자아는 어떠한가? (2) 한국 중∙고등학생들 영어 학습을 할 때 겪는 탈동기 양상은 어떠한가? (3) 중∙고등학생들의 영어 학습에서의 탈동기 경험과 제2언어 동기적 자아와의 상관관계는 어떠한가? 본 연구에는 총 382명(중학교 2학년 163명, 고등학교 2학년 219명)이 참여하여 그들의 제2언어 동기적 자아와 탈동기 정도 및 유발 요인을 묻는 설문지에 응답하였고, 그 중 10명(중학생 4명, 고등학생 6명)이 추가 인터뷰에 응하였다. 각각의 데이터는 SPSS와 NVivo 프로그램을 통해 양적, 질적으로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학생들의 영어 학습에서의 탈동기 정도는 그들의 이상적 및 필연적 2언어 자아와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는데 이는 학습자가 이상적 자아나 필연적 자아를 강하게 가질수록 탈동기 현상을 적게 경험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상적 자아를 가질 때 탈동기 현상을 적게 경험하는 것은 기존 연구 결과와 동일하나, 필연적 자아를 가진 학생이 탈동기 현상을 적게 경험한다는 것은 이 연구의 특징적인 결과였다. 이것은 영어 학습에 흥미를 잃거나 하기 힘들다고 생각하는 것 자체가 반드시 학습 행동의 저하를 동반하지는 않는다는, 기존의 탈동기 현상에 대한 정의에 상충되는 인터뷰 결과로 설명할 수 있다. 이는 또한 탈동기 경험이 영어 학습 행동과는 아무런 상관관계가 없다는 통계적 결과와도 일치한다. 따라서 학습자의 영어 학습 성취를 결정지을 수 있는 것은 탈동기 경험의 유∙무보다 그런 상황에서 다시 동기를 되찾고 학습을 지속하게 되는 재동기화이며, 필연적 자아를 가진 학생보다 이상적 자아를 가진 학생이 재동기화되는 경향이 높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탈동기 경험 자체가 실제 영어 학습 행동과 일관적인 상관관계가 없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영어 학습 성취와 연결될 수 없지만, 학습자들이 어려움을 느낄 때도 계속해서 영어 학습을 지속해 나갈 수 있는 요소를 찾고 실제로 지속하게 되는 것은 그들의 영어 학습 성취를 보장해 줄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한국 중∙고등학생들의 탈동기 현상에 대해 제2언어 동기적 자아 체계의 관점에서 더 나은 이해를 제공했다고 기대되며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준다. 영어 교사들은 제2언어 동기적 자아 체계를 인지하고 각 학생의 필요에 맞는 이상적이고 긍정적인 영어 학습 목표를 제시하여 학생들이 이상적 제2언어 자아를 가질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할 것이다. 또한 학습자들에게 탈동기 현상이 영어 학습 과정에서 일정 부분 겪을 수밖에 없는 경험임을 인지시켜 주고, 그러한 상황에서 학습을 포기하지 않고 다시 동기를 찾아 영어 학습을 지속해 나가는 것이 더 중요한 요소임을 안내해 주어야 하겠다. 더불어, 이러한 재동기화에 대한 학문적 후속 연구도 필요하다고 하겠다. Learner motivation in L2 learning has received much attention and been studied extensively because the process of learning L2 is more complicated than that of other types of learning (Dörnyei, 2001). The experience of demotivation, which means the decrease of desire for L2 learning and actual learning actions, has also been investigated by many researchers (e.g., Dörnyei, 1998; Sakai & Kikuchi, 2009). However, much of the previous research tended to focus on the attributors of demotivation rather than on various aspects of the demotivation process. Therefore,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Korean EFL learners’ demotivation experience in terms of its relationship with their motivation, based on the L2 Motivational Self System, to examine their demotivation process and figure out its various aspects, using a mixed methods research approach. Dörnyei’s L2 Motivational Self System focuses on learners’ L2 selves which are formed during L2 learning. One’s ideal self is reflected his/her hope, wishes, and desires, whereas the ought-to self is related to his/her responsibilities and obligations. This study aims to answer three main research questions: (1) what are the nature of Korea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deal and ought-to L2 selves? (2) what are the aspects of their demotivation? and (3)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experience of demotivation and their L2 motivation selves? A total of 382 students (163 eighth and 219 11th graders) answered the questionnaire about their L2 motivational selves, demotivation experiences, and personal background information. Among them, 10 students (4 eighth and 6 11th graders) participated in the follow-up interview for more detailed information. The quantitative data from the questionnaire results were analyzed statistically with the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s (SPSS) software and the interview transcriptions which contain qualitative data were analyzed with the NVivo program. The study found that the students’ demotivation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ideal and ought-to selves, which means that learners tended to feel demotivated less when they had a certain motivated self related to a hope for a positive future or an apprehension about failing in L2 learning. Although the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demotivation and the ideal L2 self was proved by the previous studies (e.g., Kim, 2012a), that between demotivation and the ought-to L2 self was an unexpected result. According to the interview findings, this relationship might be because feeling demotivated did not necessarily result in the decline of actual motivated actions, contradicting its definition by Dörnyei (2001). This also explain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demotivation and motivated behavior. For instance, some of them who were under severe pressure to learn English could not but keep studying even though they had little interest in or desire to learn English. In addition, remotivation, which means to regain motivation and restart learning behaviors, was considered as the key to better achievement in learning English. The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a better understanding about Korea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demotivation in terms of their L2 motivational selves and the importance of remotivation in learning English. Based on the findings, pedagogical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the future research are presented for EFL researchers, teachers, and learners.

      • 초등 영어 학습자의 영목적어 현상과 비문성 지도 연구

        김연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영어를 제2언어로 습득하는 한국 초등학생들에게 나타나는 목적어 생략 현상의 원인을 논의하여 보고, 발달 단계에 따라 중간언어에 미치는 모국어의 영향이 점차 감소하여 목표어의 언어 유형으로 변화해가는 과정을 영목적어(null object) 현상의 변화를 통해 알아보며, EFL환경에서의 언어 입력의 역할을 비문성 정보(negative evidence)의 활용을 중심으로 살펴봄으로서 초등 영어학습자에게 어떠한 언어 입력을 제공하는 것이 제2언어 습득에 효과적인가를 고찰해 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따라 서울시 C초등학교의 6학년 영어학습자 54명을 대상으로 다음과 같은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반과 통제반을 영어 성취도 수준별로 각각 상.중.하 세 집단으로 나눈 뒤, 두 학급에 입력의 종류를 달리하여 영어의 [-화제 우위] 언어적 특성의 습득을 돕고자 하였다. 실험반에게는 언어 간 차이의 설명, 구체적 조작물, 재조정 입력(recast)을 통한 오류 수정을 통해 비문성 정보를 제공했고, 통제반에게는 자연 입력만을 강화된 입력으로 제공하였다. 문법성 판단 평가, 자유 작문, 유도 발화 기법을 사용하여 사전평가를 실시하고 실험수업 후 사후평가를 실시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인 초등 영어 학습자에게서 나타나는 영목적어 현상이 모국어의 [+화제 우위] 언어 유형의 전이로 일어나는 것인가를 검증하기 위해 6학년 영어학습자들의 문법성 판단 평가와 발화 자료 및 쓰기 자료에서 나타나는 영목적어현상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초등 영어 학습자들의 영목적어 현상은 모국어의 [+화제 우위] 관련 매개변인이 목표어의 [-화제 우위] 특성으로 습득되어 가는 과정에서 일어나는 모국어의 전이 현상임이 관찰되었다. 즉, 담화 상에서 그 지시 대상이 해석되는 문장의 요소인 영목적어를 목표어의 문장 구성에 전이하여 목표어의 [-화제 우위] 특성에 맞지 않는 문장을 생성하였다. 둘째, 초등학생들의 제2언어 습득의 초기에는 모국어의 유형이 중간언어 형성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만, 습득이 진행될수록 점차 목표어의 유형으로 중간언어가 발달되어 가는가를 영목적어 현상의 변화를 통해 알아보았다. 분석 결과, 발화 자료와 문법성 판단 평가에서 나타나는 영목적어 현상의 수용도가 성취도의 증가와 함께 감소하는 것이 관찰되었고, 이는 제2언어 습득에서 점진적인 목표어의 유형 습득이 일어나는 것임을 말해준다. 셋째, 언어 입력에 있어서 자연 입력과 비문성 정보가 목표어 습득에 어떠한 효과를 가져 오는 지 비교해 보았으며, 이를 통해 EFL로서 영어를 배우는 초등학생들에게 어떠한 언어 입력이 효율적인가를 고찰해 보았다. 실험 수업 후 평가를 통하여 밝혀진 것은 비문성 정보를 제공받은 실험반의 영목적어 현상 감소가 통제반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우월했다는 것이다. 이는 ESL환경과 입력의 양과 형태가 다른 EFL환경에서 제2언어 교수의 방향이 어떻게 재조정되어가야 하는지를 시사하는 결과라고 할 수 있겠다. 따라서 EFL환경에서 효과적인 제2언어 습득을 촉진시키기 위해서는 언어 간 차이를 고려한 정제된 입력이 제공되어야 하며, 중간언어의 발달이 정체되지 않고 목표어의 특성을 보다 효율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자연 입력과 비문성 정보의 안배가 교육 내용의 구성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The purposes of this experimental study are to examine why Korean Elementary EFL learners use null objects so often where objects should be overt in English, to observe the change of L1 effect on L2 acquisition in using null objects among different English proficiency level groups and to investigate negative evidence is more effective than positive evidence to reduce the phenomenon of null objects among them. To achieve these goals,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on the students of two 6th grade classes. The two classes were chosen randomly and each class was divided into three levels of English proficiency (high, medium, low) and they were given different input type. Positive evidence on the verb-direct object relation was given to the control class and negative evidence (comprehensible explanation about language differences on topic related construction, easy operating materials for sentence construction and providing recast as a way of error correction) with positive evidence was given to the experiment clas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null objects phenomenon was investigated through a grammaticality judgment test, a guided speaking test and a free writing test. Null objects are bound to null topic and they could be interpreted through the discourse in Korean. As a result, L1 feature of [+topic-prominence] affects the acceptance of the null objects phenomenon in the sentence which needs overt direct object in English. It was found that transferring [+topic-prominence] feature influences English L2 acquisition of Korean elementary learners so they often use null objects in speaking and writing of English which are not permitted in the target language. Second, the typology of L1 affects strongly to construction of inter-language in the beginning of L2 acquisition, as developing L2 proficiency the subjects adapt to L2 typology progressively. Lower level group's rate of using null objects is far greater than that of the higher level group’s. The differences of using null objects among the three proficiency level groups appeared to be an outcome of the acquiring the feature [-topic-prominence] of target language. Finally, instruction was conducted to compare input type. Negative evidence is provided to the experiment class with positive evidence, but the only positive evidence is provided to the control class. From the result of the post-test, it is found that the decrease rate of using null objects of the experimental group in the tests was much great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In conclusion, negative evidence can provide effective role to Korean elementary learners of English in the acquisition of L2 features in the EFL contexts. The following points can be mentioned for language learning and teaching: We need to provide designed input for Korean students with consideration of structural feature differences between two languages. And the input has to be consists of positive evidence as well as negative evidence in order to learn L2 English effectively.

      • (A) study of the interaction between grammatical and lexical aspects of past tense verbs in L2 Spanish by Korean speakers

        Fritz Huechante, Paola Andrea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Graduate Sch 2016 국내석사

        RANK : 248703

        A Study of the Interaction between Grammatical and Lexical Aspects of Past Tense Verbs in L2 Spanish by Korean Speakers 스페인어의 상 습득에 대한 연구는 상당히 많이 진행되어 왔다. 그간의 연구는 제1 언어로서의 스페인어의 상 습득과 관련된 연구, 제2 언어로서의 스페인어의 시제-상 형태 습득에 관련된 연구, 그리고 다양한 언어로부터의 상의 전이 양상에 대한 연구가 그것이다. 이러한 선행 연구가 가지는 공통적인 문제점은 (가) 클로즈 테스트(cloze tests)와 같은 오프라인 생산(offline production)과 추출 과제(elicitation tasks)에 초점을 두고 있다는 것, (나) 전형적으로 유사한 언어, 즉 로망스어 계통의 언어(프랑스어, 이탈리아어, 포르투갈어)나 영어, 독일어만을 대상으로 연구하였다는 것이다. 본고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유형론적으로 다른 언어로 분류되는 한국어와 스페인어에 대해 연구할 것이다. 즉, 한국어 모국어 화자에 의한 스페인어 시제-상 형태의 습득에 관한 연구이다. 특히 본 연구는 외국어로서 스페인어를 배우고 있는, 한국어를 모국어로 하는 성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과거 시제 표지의 사용과 스페인어 과거 시제인 부정과거(Preterite)와 불완료과거(Imperfect)에서 동사의 어휘상의 과거 시제 표지의 사용의 상관관계에 초점을 맞추었다. 본고에서 실시한 두 가지의 심리언어학 실험은 온라인 자기 조절 읽기 패러다임(online self-paced reading paradigm)(비누적 선형 형식, non-cumulative linear format)에서 다양한 변수를 검증하기 위해서 설계되었다. 실험은 (가) 동사(주요 단어-V), (나) 동사 뒤의 단어(V+1), (다) 문장 마지막 단어(SF)의 세 단어 범위의 과거 시제 문장과 미완료 시제 문장으로 모든 참가자로부터 읽기 속도를 측정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실험의 피험자는 모두 24명이다. 실험군은 한국외국어대학교에서 스페인어를 전공하는 학부생 14명이고, 통제군은 스페인어만을 단일 언어로 구사하는 칠레인 10명이다. 실험은 다음의 네 가지 이론에 기반하는데, 상 가설(the Aspect Hypothesis, Andersen & Shirai, 1996; Bardovi-Harling, 1995), 원형 가설(the Prototype Hypothesis, Shirai, 2002; Li & Shirai, 2000), 제1 언어에서 제2 언어로의 전이(transfer from L1 to L2, Cenoz, 2001; Cenoz & Genesee, 1998; Kellermans, 1983), 기본 과거형 가설(the Default Past Tense Marker Hypothesis, Salaberry, 2008, 2000; Salaberry & Ayoun, 2005; Shirai, 2004)이 그것이다. 실험 1은 시상 형태의 오류에 대한 참가자들의 인식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실험군과 통제군의 두 그룹 모두가 부정과거와 불완료과거 시제의 오류에 민감한 것으로 나타난다. 실험 2는 참가자들의 제1 언어가 제2 언어에 시상 원형을 형성하는데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검증하였다. 그 결과 시상 범주(부정과거와 불완료과거)는 동사의 어휘상 부류와 반응 시간이 관련성을 가지지 않았다. 그러나 반응 시간은 실험군과 통제군에서 다르게 나타났는데, 이것은 제1 언어와 제2 언어 사이의 원형적 연상의 전이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한국어 화자들에게서 활동 동사(activity verbs)는 두 언어의 상 체계에서 동사의 특징의 유사성에 기인하여 긍정적 전이를 촉진시켰다. 상태 동사(state verbs)와 성취 동사(achievement verbs)는 부정과거와 불완료과거와의 상호작용과 이러한 동사의 특징의 차이점에 기인하여 간섭(부정적 전이)이 야기된다. 두 실험에서 가장 중요한 발견은 한국어 모국어 화자와 스페인어 모국어 화자는 모국어에서 시제와 상의 차이에 기인하여 서로 다르게 행동한다는 것이다. 아울러 본 실험의 결과는 상 가설과 원형 가설의 모순을 보여 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는 Salaberry’s(2001)의 기본 과거형 가설을 뒷받침한다. 제1 언어가 제2 언어의 시상 습득에 미치는 영향 관계는 보고된 온라인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더욱 정교한 실험적 작업이 필요하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A Study of the Interaction between Grammatical and Lexical Aspects of Past Tense Verbs in L2 Spanish by Korean Speakers Studies on the acquisition of Spanish aspect are numerous. They include L1 Spanish aspect acquisition, L2 Spanish acquisition of tense-aspect morphology, and transfer of knowledge of aspect from diverse languages. The problem with most of those studies is that (a) they focus on offline production and elicitation tasks, such as cloze tests; and (b) they test prototypical similar languages, such as Romance languages (French, Italian, Portuguese), English and German. The aim of this thesis is to fulfill those problems and to investigate on the acquisition of Spanish tense-aspect morphology by Korean native speakers; two languages that are typologically different. Specifically, the study focuses on the use of past tense morphological marking among L1 Korean adult classroom learners of Spanish as a foreign language, and the correlation of the use of these markers with the lexical aspectual classes of the verbs in Spanish past tenses, the Preterite and Imperfect. Two psycholinguistic experiments were created testing the variables of interest in an online self-paced reading paradigm (non-cumulative linear format). Experiments collected data on the reading times from all the participants on three word regions in Preterite and Imperfect tense sentences: (a) the verb (critical word - V), (b) the word after the verb (V+1) and, (c) the sentence final word (SF). Participants were 14 undergraduate university students at the Spanish major in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Korea, and a control group of 10 Spanish monolinguals from Chile. The experiments addressed four theories: the Aspect Hypothesis (Andersen & Shirai, 1996; Bardovi-Harling, 1995), the Prototype Hypothesis (Li & Shirai, 2000; Shirai, 2002), transfer from L1 to L2 (Cenoz, 2001; Cenoz & Genesee, 1998; Kellermans, 1983), and the Default Past Tense Marker Hypothesis (Salaberry, 2000, 2008; Salaberry & Ayoun, 2005; Shirai, 2004). Experiment 1 tested the participants’ awareness to tense-aspect morphosyntactic errors. Results show that both groups, Koreans and Spanish native speakers, are sensitive to errors in Preterite and Imperfect tenses. Experiment 2 tested the participants’ L1 influence of tense-aspect prototype formations in their L2. Results indicate that tense-aspect categories (Preterite and Imperfect) are not correlated with the lexical aspectual classes of the verbs and the reaction times, but the latter is different for the two groups of participants, due to a transfer of prototypical associations between their L1 and L2. In Korean speakers, activity verbs trigger a positive transfer due to the similarities of the features these verbs denote in both languages aspectual systems. State and achievement verbs cause a negative transfer due to the differences of the features these verbs denote and their interaction with the Preterite and Imperfect tenses. The most significant finding across the two experiments is that Koreans and Spanish native speakers behave differently from each other due to tense-aspect distinctions in their native languages. In addition, results also demonstrate to contradict the aspect and prototype hypotheses. Finally, the findings in this investigation support Salaberry’s (2001) idea of the use of a default past tense marker (Preterite tense) by Koreans. The prevalence of a possible L1 influence in the participants’ L2 tense-aspect acquisition is a significant discovery that needs more elaborated empirical work to verify the reported online effects. Keywords: second language acquisition, L2 tense-aspect morphology acquisition, cross-linguistic, interference, transfer, grammatical aspect, lexical aspect, perfective, imperfective, past tense, Preterit, Imperfect, Spanish, Korea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