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 전통 기와 문양을 활용한 초등미술 지도 방안 : 6학년을 중심으로

        이복자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32446

        21세기는 문화의 시대이다. 과학의 발달로 홍수처럼 밀려오는 다양한 외래 문화의 확산으로 아동들의 생활문화를 잠식해 나가고 있다. 우리 문화의 단절을 극복하고 민족의 주체성을 확립하는 교육은 어릴 때부터 자연스럽게 획득, 훈련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미술교육의 방향 중 하나는 문화교육으로서 전통 미술 교육의 강조를 들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어린이들에게 주변 문화재에서 볼 수 있는 해학과 우아함, 그리고 질박함으로 이루어진 전통적인 한국 문양 자료 중에서 한국 전통 기와 문양을 학습의 장으로 끌어 들여 그 속에서 전통미에 대한 이해와 우리 것의 소중함을 깨닫게 하고, 자부심과 긍지를 느끼며 계승 발전시킬 수 있는 의지와 생활에 적용하고자 하는 태도를 기르고자 한다. 따라서 한국 전통 기와 문양을 활용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지도과정을 통해 전통문화를 이해하고 창의적으로 계승 발전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연구의 내용으로 첫째, 전통미술 관련 문헌을 중심으로 전통미술의 의미와 시대적 특징, 전통미술 교육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둘째, 제7차 교육과정의 3,4,5,6학년 미술 교과서에서 전통미술 교육 내용을 분석하여 전통미술 지도의 필요성을 살펴보았다. 셋째, 한국 전통 기와의 이해에 대한 이론적 배경으로 기와의 종류, 기와의 시대적 특징, 기와 문양을 종류와 의미를 살펴보았다. 넷째, 문헌연구와 전통 기와 문양의 미술 교육적 가치를 생각해 보고 이를 토대로 전통 기와 문양 지도의 기본방향을 설정하여 효과적인 지도 방안을 제시하였다. 다섯째, 한국 전통 기와 문양 활용한 프로그램을 적용한 후, 설문지와 작품 분석으로 그 결과를 알아보았다. 이 연구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우리 전통 기와 문양의 아름다움을 느끼고, 전통 기와 문양이 어떤 것인지 구별하고 친근감을 갖게 되었다. 둘째, 박물관이나 문화 유적지 등을 방문할 때 무심코 지나치지 않고, 전통 기와 문양에 관심을 갖고 접근하여 조형적 아름다움을 느끼고 감상하려는 태도를 갖게 되었다. 셋째, 한국 전통 기와 문양을 활용하여 자신의 작품을 현대 감각에 맞게 창의적으로 제작함으로써 우리 생활에서 전통문화를 창조적으로 계승 발전시킬 수 있음을 알았다. 넷째, 미적체험과 감상, 표현의 유기적인 통합을 강조한 학습에서 어린이들은 자기평가, 상호평가를 통하여 미적안목을 높이고, 자기 작품에 대한 반성적 사고를 갖고 친구들의 작품에 대한 분석능력을 키워 비평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었다. 다섯째, 한국 전통 기와 문양을 친근감 있게 접근하여 전통문화에 대한 이해를 높여주고 앞으로 전통문화에 관심을 갖고 자긍심을 갖게 계기가 되었다. 우리 문화교육으로서 전통미술을 강조하는 시점에서 지속적인 연구가 더욱 확산되어 새로운 발전의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 The 21st century is said to be the "era of culture." In this age of cultural pluralism, i.e., when cultural borders are being eliminated, the revolutionary wave of foreign culture took place in our contemporary life-style, following the rapid development of science, as we could later see, graphically reflected in the education. Education should not only succeed traditional culture but should also establish national identity and be applied as naturally accustomed to our cultural heritage in elementary schools. Here, therefore, we must let ourselves refer to culture education that would instill value-consciousness of traditional art in our students. Subsequently what I will propose here is the way to get a better understanding about cultural heritage, thereby keeping within students the importance of preserving traditional culture by adhering to their real lives. For the same reason, this study will go far towards developing creativity through this teaching program, applying the patterns of GIWA(Korean traditional roofing tile), which is one of the elegant and humorous Korean traditional patterns, to the art classes. In attempting to put into question these traits of the traditional GIWA patterns and applying them to art classes, this study examined: 1. The aesthetics and historical characteristics of our cultural heritage as to better understand it through exploring the references of traditional art. 2. The necessity of the thorough traditional art education by analyzing the curriculum of traditional art in the art texts of the 3rd, 4th, 5th and 6th grades of the 7th National Curricula. 3. The historical characters and kinds of GIWA(Korean traditional roofing tile) patterns to understand the theoretical background. 4. The outlined teaching model, which applies the patterns of GIWA(Korean traditional roofing tile) on the basis of the validity of the traditional culture, with the references to teach effectively. 5. The analysis of the questionaries and students' articles regarding the art class which applied this model with sample masterpieces of GIWA(Korean traditional roofing tile) patterns. A series of classes, which applied the patterns of GIWA as a cultural reference, was conducted several times. Thus, with rudimentary aesthetic insight or at least without granting any pertinence to it, students could appreciate how beautiful our traditional culture is. What, therefore, are the implications of this research on culture education? Through this study, we could conjecture that the students hold in high esteem our cultural heritage and are, unlikely before, interested in the patterns of GIWA, and acquired an appreciation for traditional culture. In conclusion, this study, when the importance of traditional culture education is being emphasized, I wish, would give an opportunity for researchers to develop a better method of instilling pride of Korea's traditional culture.

      • 전통 기와지붕의 조형미 이해를 위한 미술 감상 프로그램 개발 연구 : 고등학교 미술교육을 중심으로

        이수정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32367

        This study aims at developing programs for the understanding of formative beauty of effective and practical traditional Korean tiled roofs to increase the utility of art appreciation education in high school. The style of art has changed according to the times, and it is still changing. The buildings included in the category of art have also changed according to the trend of the times, and buildings are being used as the evidence of various changes, such as the history of the times and the lifestyles of people. In particular, Korea’s architectural and cultural history has been established according to the caste system, and distinctive cultures in architecture have been developed according to the four seasons and the shape of the peninsula. In addition, Korean architecture reveals the formative beauty unique to traditional architecture that evolved in harmony with nature. Therefore, the present study explores a teaching method in appreciation education for the understanding of formative beauty of traditional Korean tiled roofs for high school students by developing an art appreciation class program for the understanding of the formative beauty of traditional Korean tiled roofs. To this end, Chapter 2 provides an overview of shapes and functions of traditional Korean tiled roofs, and the rationale for, and the implementation status of, an art appreciation program for understanding of the formative beauty of traditional Korean tiled roofs. To increase the expertise and objectivity of the examination, various approaches were used, including advice from and interviews with experts, preliminary visits to museums, art galleries, and historic sites, and a survey with teachers and students. The results demonstrated the importance of the class on traditional art and appreciation education. Chapter 3 describes the applications and activities of three programs— “appreciation of formative beauty of tiled roofs according to roof shape,” “appreciation of formative beauty of tiled roofs according to tile shape,” and “appreciation of formative beauty of tiled roofs according to pattern on tile—using the inductive thinking model, Amelia Arenas’ dialog-centered appreciation model, and creative problem-solving learning model." After program participation, students demonstrated a greater level of interest in traditional Korean tiled roofs and understanding of formative beauty and appreciation education. Chapter 4 describes the educational effects of art appreciation programs for understanding the formative beauty of traditional Korean tiled roofs, and the strategies to promote the programs. The educational effects are as follows: (1) increased understanding of the terminology on traditional Korean tiled roofs and the ability to use background knowledge, (2) greater understanding of and ability to appreciate traditional Korean tiled roofs, and (3) increased interest in traditional Korean tiled roof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class on appreciation of formative beauty of traditional Korean tiled roofs was useful for students. The strategies to promote the programs are as follows: (1) integrated education with history curriculum should be expanded, (2) the content on architecture should be added to the textbook while the related teaching method should be provided to teachers, and (3) education linked with local architectural cultural heritage should be expanded. The art appreciation program for the understanding of formative beauty of traditional Korean tiled roofs provided an opportunity for both intuitive appreciation of tiled roofs and the appreciation of symbolism,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associated with them. In addition, students were able to reduce the sense of unfamiliarity about tiled roofs through the opportunity to appreciate them in real life. Educational programs for art and cultural appreciation of traditional tiled roofs need to be developed in further research to enable students to enhance their own aesthetic perspectives and understand traditional art and culture. 본 논문은 고등학생 감상 미술교육 유용할 수 있도록 효과적이고 실용적인 전통 기와지붕의 조형미 이해를 위한 감상에 대해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연구 목적을 두었다. 미술의 양식은 시대의 흐름에 따라 변화해 왔으며 지금도 꾸준히 변화하고 있다. 미술의 범주에 포함되는 건축물 또한 시대의 흐름에 따라 변화해 왔으며, 건축물은 그 시대의 역사상과 사람들의 생활 문화 양식 등 다양한 변화를 볼 수 있는 근거 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는 신분제도에 따라 다양한 건축문화 역사를 세웠으며, 사계절이 나타나는 현상과 반도 형태의 지형에 따라 특색 있는 독특한 건축 문화를 이룩하였다. 또한, 자연과 조화를 이루며 발전된 전통 건축물 특유의 조형미를 살펴볼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전통 기와지붕의 조형미 이해를 위한 미술 감상 수업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고등학생 대상의 전통 기와지붕의 조형미 이해를 위한 감상 교육의 교수·학습 방법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장에서는 전통 기와지붕의 형태와 기능, 기와에 대하여 알아본 후 전통 기와지붕의 조형미 이해를 위한 미술 감상 프로그램의 필요성과 실시현황을 분석하였다. 전통 기와지붕에 관해서는 전문가의 조언과 인터뷰, 박물관 미술관 및 유적지 사전 탐방, 현직 교사와 학생들의 설문조사 응답 결과를 통해 전문성과 객관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그 결과 전통 미술과 감상 교육과 관련된 수업의 필요성을 확인 할 수 있었다. 3장에서는 귀납적 사고모형, 아멜리아 아레나스(Amelia Arenas)의 대화중심 감상모형, 창의적 문제 해결 학습 모형 이론을 활용하여 ‘지붕 형태에 따른 기와지붕 조형미 감상 프로그램’, ‘기와 모양에 따른 기와지붕 조형미 감상 프로그램’, ‘기와문양에 따른 기와지붕 조형미 감상 프로그램’ 총 3개의 프로그램을 적용하고 활동 내용을 분석하였다. 프로그램 적용 결과 학생들은 전통 기와지붕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으며, 조형미와 감상 교육에 대한 이해가 높아졌다. 4장에서는 전통 기와지붕의 조형미 이해를 위한 미술 감상 프로그램에 대한 교육적 효과를 도출하였고 활성화 방안을 제언하였다. 먼저 교육적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통 기와지붕과 관련된 용어를 이해하고 배경 지식 활용 능력이 향상되었다. 둘째, 전통 기와지붕에 대한 이해력과 감상능력이 신장되었다. 셋째, 전통 기와지붕에 대한 관심이 향상되었다. 이처럼 전통 기와지붕의 조형미 감상은 학생들에게 유용한 수업이었다. 이 프로그램을 좀 더 발전시키기 위한 활성화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타 교과인 역사 교과와의 통합 교육이 확대되어야 한다. 둘째, 교과서의 건축 관련 내용 보완과 더불어 교사에게 보완된 교과서 내용과 관련된 지도 방법을 제시할 수 있어야 한다. 셋째, 지역 건축 문화재와의 연계 교육을 확대할 수 있어야 한다. 그 결과, 전통 기와지붕의 조형미 이해를 위한 미술 감상 프로그램을 통해 기와지붕에 관한 직관적인 감상과 그 속에 내포된 상징성과 특징, 의미에 대한 감상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었다. 또한, 실생활에서 접할 수 있는 전통 기와지붕 건축물에 대한 감상을 통해 거리감을 극복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전통 기와지붕 미술문화 감상교육 프로그램을 다양하게 개발하여 학생들이 능동적이고 주체적인 태도로 미적 안목을 신장하고 전통 미술문화에 대해 이해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 朝鮮時代 以後 韓國 傳統 旗(깃발) 硏究

        정명교 弘益大學校 美術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32350

        문화란 인류가 생활을 영위하면서 장구한 세월을 거치면서 쌓아 온 한 민족의 독특한 집체현상을 나타낸 것이다. 따라서 문화는 그 민족의 특성을 가장 잘 나타냄과 동시에 그 민족의 원형적 특질 또한 가장 잘 간직하고 있다. 예술 또한 민족의 전통적 사상과 문화가 융합하여 발전했으며 미의식의 바탕에는 민족의 생활에 저변을 이루고 있는 민족성과 사상인 것이다. 우리의 전통깃발은 전통사회의 생활저변 곳곳에 자리 잡고 있었으며 쓰임새 역시 다양했다. 깃발은 전통사회에서 다양한 목적과 기능으로 사용되어왔다. 따라서 우리의 전통깃발은 예로부터 전해 내려온 뿌리 깊은 민족적인 신앙이나 미의식의 반영이라 할 수 있으며 상고시대로부터 오늘에 이르는 동안 실생활의 필요성과 함께 발달하여 온 것이다. 오늘날 우리는 도처에서 깃발의 사용을 목격한다. 각 국가별 국기, 올림픽을 상징하는 오륜기, 유엔기 등에서 볼 수 있으며, 위험의 표지, 각종 알림, 거리광고 등 전 세계적으로 각 민족의 나름대로의 깃발문화를 가지고 있다. 또한 깃발은 현재 한국미술에서 대규모 깃발의 군락을 이루는 야외 깃발 전시의 형태로 제시되며 새로운 예술의 형태로 진행 중이다. 이러한 시점에서 '기원 및 유형과 발달', '소재별 분류와 상징', '조형적 특성과 계승'등에 관한 연구를 통하여 전통깃발이 가지고 있는 문화적, 예술적 자치를 확인하며 전통과 창조라는 불가분의 관계 속에서 전통의 재발견으로 새로운 예술의 창조적 기틀로써 현대미술에서의 돌파구 찾아야 하며 깃발문화의 올바른 정착과 정체성에 관한 문제는 전통의 올바른 이해를 통하여 해결할 수 있다는 것에 본 연구의 의의를 둔다. Culture represents a unique intensive phenomenon of a race, which has been accumulated by the human race for a long period of time. Accordingly, a culture not only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the race very clearly but also preserves original features of the race perfectly. Art has also been developed by a combination of traditional ideology and the culture of a race. On the basis of aesthetic sense, there are racial traits and ideologies that compose the lowest stratum of racial life. Our traditional flag took many places in various stratum of life in the traditional society, and was used in various ways, too. Flags have been used for various purposes and functions. Therefore, our traditional flag can be the reflection of ingrained racial faith or aesthetic sense that has succeeded since early times. Flags have been developed along with the need in a daily life since ancient times. Nowadays we witness that flags are in use anywhere. We can see them in the national flags of each country, the flag bearing the five-ringed Olympic emblem, the flag of the UN, and so forth. They are also in the signs of danger, various notices, advertisements on the street, etc. Each race has its own flag culture all over the world. Moreover, flags are presented as a form of outdoor flag exhibition constituting a large group of flags in Korea art now, and they are currently in progress as a new form of art. At this point, through the studies on 'origin, form, and development', 'classification according to materials and symbol', and 'formative features and succession', the cultural and artistic value of the traditional flag has to be identified and a breakthrough for modern art should be found as a creative foundation of new art by rediscovery of tradition in the inseparable relationship between tradition and creatio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at problems regarding the right settlement of flag culture and its identification can be solved through clear understanding about tradition.

      • 조선시대 기와요의 전승 연구

        김병주 명지대학교 산업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16062

        조선시대 기와요(窯)의 전승 연구 김 병 주 명지대학교 산업대학원 문화재학과 지도교수 김왕직 이 연구에서는 조선시대 기와의 생산과 유통을 관장하던 관청인 ‘와서(瓦署)’의 변천을 조선왕조실록의 기록을 통해 시기별로 살펴보았으며, 조선시대 전기․ 중기․ 후기에 운영된 주요 와요지의 기와요 형식에 따른 구조를 분석하였다. 조선시대 이후 기와요의 변천과 현재 운용되는 전승요에 대하여 조선시대 기와요의 형식과 구조를 비교하였다. 다른 한편으로 현재 장작을 연료로 사용하는 전승요를 통해 조선시대 기와요를 해석해 보고자 하였다. 이렇듯 이 연구는 전통 기와요의 특성과 현재 운용되고 있는 전승요에 대한 연구이다. 조선 초기 주요 사찰인 회암사지에서 다양한 문양의 막새기와와 장식기와 및 유색기와가 출토된 것으로 보아 조선초기부터 다양한 기와가 생산되었음을 알 수 있다. 조선왕조실록에 기록된 기와의 종류로는 망새(望瓦)와 같은 장식기와 및 황와(黃瓦), 청기와(靑瓦)와 같은 유색기와가 있으며, 기와의 크기에 따라서도 상와(常瓦)․중와(中瓦)․대와(大瓦) 등의 명칭이 나타났다. 광해군대에는 임진왜란으로 인한 피해를 복구하기 위해 다양한 기와를 제작하려 하였으나 유색기와의 제작에는 어려움을 겪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렇듯 조선전기의 기와 제작기술은 후대로 면면히 이어져왔다. 고려시대에 관영으로 운영한 ‘와소(瓦所)’는 조선시대로 이어져 태조대(1392)에 ‘와서(瓦署)’로 나타나고 태종대에 ‘별와요(別瓦窯)’가 신설되었다. 세종대(1426)에는 화적으로 인해 한성부의 민가가 막대한 피해를 입게 되어 별와요를 여럿 설치하게 된다. 광해군대에는 와서를 ‘번와소(燔瓦所)’로 개칭하여 운영하는데 이는 기관의 축소를 의미한다고 사료된다. 그 후 와서는 관원의 부정으로 인해 상급기관에 복속되거나 관원이 없는 관청으로 유지되다가 고종대(1882)에 폐지된다. 조선후기에는 ‘사요(私窯)’가 수요지 중심의 소규모 형태로 전개되었을 것으로 사료된다. 조선시대 시기별 기와요의 형식은 조선전기의 주형(舟形), 조선중기의 일자형(一字形), 조선후기의 선형(扇形)으로 분류 할 수 있다. 연소실 아궁이의 중심과 연소실의 너비를 이용해 평면 각도를 비교한 결과, 조선중기의 일자형의 너비가 가장 크고 다음으로 조선전기의 주형이며 조선후기의 선형으로 순서하였다. 연소실의 크기는 조선전기 주형과 조선중기 일자형이 유사하고 조선후기 선형이 가장 컸다. 연소실과 소성실 측면 길이의 비례는 최저 1 : 1.38이고 최고 1 : 4.25이며 평균 1 : 2.58이다. 소성실 측면 경사도에 따른 연소실의 크기는 경사도가 낮은 조선후기 선형에서 월등하게 커졌다. 소성실 경사도에 따른 단벽(불턱) 높이․연소실 길이․소성실 길이․소성실 너비의 상관성을 분석한 결과, 소성실 경사도가 클수록 단벽의 높이가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연소실 길이는 상관성이 없으며, 소성실 길이가 길어지는 경향이 나타났으나 다소 편차가 크며, 소성실의 너비는 다소 좁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단벽의 높이에 따른 연소실의 길이는 단벽의 높이가 높아질수록 연소실 길이가 길어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소성실 경사도는 단벽의 높이, 소성실의 길이, 소성실의 너비와 다소의 상관성을 나타내었다. 전통수제기와를 제작하는 고령기와에는 현재 장작연료를 사용하는 등요 1․2․3호기가 있다. 이 3기의 요를 전승요로하여 조선시대 기와요의 형식과 특징을 비교한 결과, 전승요인 고령 1․2․3호기는 지상식 등요(登窯)이며 일자형에 해당하였다. 아궁이의 규모는 조선시대 모든 형식의 기와요와 거의 유사하였으며, 아궁이와 연소실의 평면 각도는 고령 1․2․3호기 모두 조선전기와 중기 사이의 각도를 나타내었다. 전승요의 연소실과 소성실의 길이 비례는 고령 1․2호기가 조선시대 긴 일자형과 유사하고, 고령 3호기는 조선전기 짧은 주형에 가까웠다. 전승요의 소성실 바닥 측면 경사도는 고령 1․2호기의 경우 조선후기 선형의 기와요와 유사하고, 고령 3호기는 조선시대 모든 형식에 포함되는 경사도를 나타내었다. 이 연구를 통하여 한국적인 전통 기와요의 최종적인 형식은 조선후기에 사용한 선형의 기와요라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일제강점기 수요지 중심의 소규모 생산이 용이한 일본식 감투요가 도입되면서 전통 기와요는 쇠퇴하게 되었다. 그 후 화석을 연료로 사용하는 현대식 기와요가 도입되면서 전통 기와요는 소멸되었다. 최근에는 한식기와의 전통 제작기술이 강조되면서 장작을 연료로 사용하는 등요를 ‘전통 기와요’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기와요의 전통성에 대하여 평가하려면 기와요의 구조와 형태, 그리고 소성 방식 및 기와제작 기술도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할 요소일 것이다. 현재 생산되는 기와는 제작 기술의 발달로 과거의 기와보다 월등하게 균질한 품질을 가지고 있다. 또한, 제작기술의 자동화로 한식기와의 대량 생산이 가능해지면서 비교불가한 생산성과 경제성을 확보하고, 한식기와의 보급에 보탬이 되어 왔으며, 그 수요 또한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다만 최근 전통 한식기와의 수제작 방식이 강조되면서 기술 수준 또한 과거로 회기하려 하는 듯 보인다. 이는 수제작 방식으로 생산된 기와가 균질하지 않아 지붕에 얹으면 자연스러운 미감을 나타내기에 발생한 현상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수제작 방식의 기와생산은 노동 집약적이며 생산성이 낮아 현재 운용하기에 어려움이 많다. 결과적으로 운영에 어려움이 많아지면 장작을 연료로 사용하는 기와요와 수제작 방식의 기와 제작 기술은 단절될 수밖에 없을 것이다. 따라서 과거의 전통적인 생산방식을 고수하여도 결국 전통 한식기와의 제작기술이 단절될 수밖에 없는 시대적 상황이므로 전통 한식기와의 명맥을 유지하기 위한 심도 있는 논의가 필요한 시점이다. A Study on the Transmission of Roof-tile Kilns in the Joseon Dynasty Kim Byeong-joo Department of Cultural Properties Graduate School of Industry, Myongji University Directed by Professor Kim Wang-jik This study is on the conditions of roof-tiles making on time series by researching the change of Waseo(瓦署) which was written in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I analyzed the structure of the roof-tiles' kilns form used in the former, middle, and latter of the Joseon dynasty. I tried to compare the form of tile kilns of the Joseon dynasty with the structure of those when it comes to the changes of tile kilns after Joseon dynasty period and transmission roof-tile kilns operated at present as well as to interpret tile kilns of the Joseon dynasty through transmission roof-tile kilns that uses firewood as fuel at present. Therefore, This paper is on properties of traditional roof-tile kilns and transmission roof-tile kilns operated at present. We can notice that tiles of various patterns, antefixes, and colored tiles were producted constantly in the early period of Joseon dynasty through the Joseon tiles excavated from Hoeamsa Temple Site. Also, antefixes such as Mangse(望瓦) and colored tiles such as yellow tiles(黃瓦) and blue tiles(靑瓦) were appeared from the Early Joseon period in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There were diverse tile names like Sangwa(常瓦), Jungwa(中瓦), Dewa(大瓦) depending on the size. A demand for tiles was increased due to the restoration of Japanese invasion during King Gwanghae but production techniques for colored tiles somewhat fell behind. Nevertheless, we are able to estimate that varied production techniques of tiles in the Early Joseon period have been handed down to posterity. Waseo(瓦署) which was a government office that managed production and distribution for tiles of the Joseon period had started in the reign of Tejo and established Byeolwayo((別瓦窯)) in the reign of Tejong. More Byeolwayo were established in order to restore Hansungbu damaged by fire in King Sejong(1426) era. The Production of roof tiles were active for the postwar reconstruction during King Gwanghae period. Bunwaso(燔瓦所) means that a government organization is reduced. After it, Wa-seo barely kept itself in existence or was subjugated to one of the superior institutions so as to prevent from removal but after all, it was abolished in Gojong(1882) era. Instead of this, it is considered that small scale Sayo(私窯) became the major demand area. The form of the roof-tiles' kilns of the Joseon is classified into three types: ship form(舟形), straight form(一字形) and sector form(扇形). According to the periods, mold was used in the Early, straight pattern was used in the mid, and ship form was used in the latter. For each formal feature, the angle of combustion chambers is straight pattern of the mid, mold of the early and ship form of the late in order and ship form is larger than mold and straight one in scale. The latter ones are similar to each other. The length ratio of Chambers to firing sections is 1: 1.38 which is minimum, 1: 4.25 which is maximum and 1: 2.58 which is standard. As changing chambers size by side slope of firing sections, firing sections are by far larger in ship form that has lower-slope. As the result of analyzing correlation between firing section grade and wall(불턱) height, chamber length, firing section length, width and grade, the greater firing section grade, the lower wall height. There is no relation with chamber length but firing section length tends to be longer with big deviation meanwhile firing section width tends to be narrower. In correlation of wall height with chamber length, the higher the wall height, the longer the chamber width. Firing section grade seems to correlate with wall height, firing section length and width. On the other hand, wall height showed slight correlation with chamber length. The result of comparing transmission roof-tile kilns operated at present which is called Goryeong unit 1, 2, 3 to form and structure of the roof-tiles' kilns of the Joseon, Goryeong unit 1, 2, 3 are ground types of Deungyo(登窯) so that these are applicable to straight form. Furnaces are almost similar to the roof-tiles' kilns of the Joseon. Surface angle of the furnaces and chambers represented between the Early and the Middle Joseon era in case of Goryeong unit 1, 2, 3. For the ratio of Goryeong and Junseoungyo's chamber and firing section length, Goryeong unit 1, 2, 3 resemble long straight pattern of Joseon dynasty, Goryeong unit 3 comes close to short mold of the Early Joseon. For the ratio of transmission roof-tile kilns firing section floor slope, Goryeong unit 1, 2 are similar to sector form of the mid Joseon era and Goryeong unit 3 is included within every form of the Joseon dynasty. The traditional roof-tiles' kilns form could be sector form of roof-tiles' kilns that was used in the latter period but passing through modern era, Japanese Gamtuyo(감투요) has been adopted. roof-tiles' kilns using firewood as a fuel had declined because it replaced with modern roof-tiles' kilns using fossil fuel. roof-tiles' kilns using firewood as fuel tend to regard as traditional roof-tiles' kilns since traditional production technique of Korean roof tiles is getting emphasized. But it has to be also considered significant that not only the structure and form of roof-tiles' kilns but the burning method. The present technology is able to produce far superior quality products than the past in terms of roof tiles manufacturing technology. Modern manufacturing method is much efficient than traditional way if productivity and economic feasibility are considered. But the problem is that existence of traditional technology could be closed off as long as Korean roof-tiles are produced modernly. This being so, standardized modern tiles are required to complement natural beauty as traditional hand-made tiles. Even though we try to stick with past traditional manufacturing method today, it would be able to be cut-off from traditional Korean roof-til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iscuss the issues in depth in order to maintain the Korean traditional roof-tiles.

      • 기극(祁劇)의 보호 및 계승을 위한 학술적 고찰 : 《목련구모》 (目連救母)를 중심으로

        덩리리 대진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15983

        기극(祁劇)의 발전이 급변하는 시대에도 뒤쳐진 다양한 이유로 기극 본연의 기법이나 대본 등이 심각하게 유실되었으며, 그나마 남아있는 200개 이상의 희곡 작품 역시 소멸의 위기에 처해 있다. 혁신적인 희곡 작품도 있지만, 사회적인 환경에서는 위와 같은 이유로 여전히 영향력에 한계를 보여주고 있다. 기극의 교수 방식(구전으로 전수되는 방식)의 한계로 인해 기극에 대한 악보는 상대적으로 부족하며, 대부분은 희곡 대본을 중심으로 한다. 후계자들에 대한 인터뷰 역시 거의 찾아볼 수 없으며, 각 수준의 극단 조직 및 관리에 관한 지식은 전혀 다루지 않았다. 최근 몇 년간 중국 정부와 국민은 음악 분야의 비물질 문화유산 전승과 보호에 점점 더 큰 관심을 기울이고 있으며, 이 보호 작업은 사회적으로도 큰 관심을 받고 있다. 2008년 6월 7일, 기극은 국무원의 승인을 받아 국가급 무형문화제 명부에 등재되면서, 기극의 보호 및 계승은 점차 주요 관심 대상으로 부상하고 있다. 본 논문은 기극의 발전 현황부터 출발하여 《목련구모》를 주요 분석 대상으로 한 것이다. 또 관련 자료 수집, 설문조사, 현지 취재 등 방식을 통해 기극의 흥망성쇠 과정 및 원인에 대해서 비교적 상세한 분석을 진행했다. 생활 속의 실제적인 상황과 현대인들의 미적 특징을 결합하여 기극을 더 나은 보호 및 계승의 조치와 대책을 찾으려 했으며, 이로써 기극과 관련 중요한 부분을 보호를 얻게 되어 기극의 계승자들을 위해 학술적 근거도 제공하고 기극의 발전을 위해 새로운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한다. 본 논문의 연구 결과 정리는 아래와 같다. 연구 내용은 총 6장으로 나뉜다. 본 논문은 중국 전통 희곡과 기극의 개요부터 중국 전통 희곡의 종류와 특징을 약술하였고 기극의 역사적 변화, 특징, 공연 형식 등을 소개하였다. 기극을 보호 및 계승의 가치와 의미를 대략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논문의 핵심 내용은 기극 《목련구모》를 대상으로 그 특징, 변화, 보호 및 계승의 내용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러 기극을 보호해야 하고 계승해야 할 필요성과 방법을 찾아냈다. 그리고 5개 큰 방향으로 분석을 진행하였다. 각각 연구 대상을 선택한 이유, <목련구머>의 음악 특징, 공연 스타일, 현대 《목련구모》의 변화, 보호 및 계승이다. 기극을 더 좋은 방식으로 보호하고 계승할 수 있기 위하여 필자는 광범위한 설문 조사도 진행하였다. 또한 대상자에 따라 4개 설문지를 설치하였다. 각각 대중 설문지, 전문 배우 설문지, 대학생 설문지와 초중학생 설문지이다. 설문지에 따라 또 서로 다른 문제를 설정하였다. 마지막 조사 결과를 분석하고 정리하였다. 그 목적은 기극의 현황을 살펴보도록 하는 데에 있다. 그리고 응답자의 답을 통하여 기극의 보호 및 계승에 쓸 수 있는 방법과 대안을 찾고자 하였다. 본 논문은 기극의 기초 지식에 대한 소개와 《목련구모》의 분석과 사회 조사를 통하여 대중들이 기극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켰다. 특히 기극의 현황에 대한 분석과 기극을 보호하고 전승하기 위한 대책 분석과 총화를 통해 기극이 앞으로 나아갈 길에 참고가 되었다. Even in the era of rapid change in the development of Gigeuk(祁劇), the original techniques and scripts of Gigeuk have been seriously were lost for various reasons, and more than 200 remaining plays are also on the verge of extinction. For the same reason, the influence of many other innovative plays was also limited. Due to the limitations of the teaching method (the method transferred to the oral tradition), the score for the instrumental drama is relatively insufficient, and most of them are centered on the script of the play. Interviews with successors are also rarely found, and knowledge of theater organization and management at each level is not covered at all. In recent years, the Chinese government and the people have been paying increasing attention to the transmission and protection of non-material cultural heritage in the music sector, and this protection work has received great social attention. On June 7, 2008, Gi-geuk was approved by the State Council and listed on the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festival list, and the protection and succession of Gi-geuk has been gradually emerging as a major interest. This paper is based on the main analysis of Magnolia Gumo(目連救母), starting with the current status of development of Gigeuk. In addition, a relatively detailed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process and cause of the rise and fall of Gi-geuk through methods such as collecting related data, surveys, and local coverage. By combining the actual situation in life with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modern people, I tried to find measures and measures to better protect and inherit Gi-geuk, thereby providing academic grounds for Gi-geuk's successors and moving in a new direction for the development of Gi-geuk. The summary of the research results of this paper is as follows: The contents of the study are divided into six chapters. This paper summarized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Chinese plays from the overview of traditional Chinese plays and plays, and introduced historical changes, characteristics, and performance forms of plays. The value and meaning of protecting and inheriting Gi-geuk were roughly analyzed. The core content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changes, protection, and succession of the Korean drama Magnolia. The necessity and method of protecting and inheriting these plays have been found. And the analysis was conducted in five large directions. The reason for choosing the research subject, the musical characteristics of <Magnolia Gummer>, the performance style, and the change, protection, and succession of modern <Magnolia Gumo>. In order to protect and inherit Gi-geuk in a better way, I also conducted an extensive survey. In addition, four questionnaires were installed depending on the subject. It is a public questionnaire, a professional actor questionnaire, a college student questionnaire, and a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 questionnaire, respectively. Different questions are set according to the questionnaire. The results of the last survey were analyzed and organized. The purpose is to look at the current status of Gi-geuk. And through the respondents' answers, we tried to find ways and alternatives that can be used for the protection and succession of Gi-geuk. This paper deepen the public's understanding of Gi-geuk through the introduction of basic knowledge of Gi-geuk, the analysis of Magnolia Gu-mo, and social research. In particular, through the analysis of the current status of Gi-geuk and the analysis and summation of measures to protect and transmit Gi-geuk, it become a reference for Gi-geuk's future path.

      • 기부방식의 혁신성 수준이 기부의도에 미치는 영향 : 자아해석의 조절역할 중심으로

        김수진 동국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15836

        This study is classified by innovative level what investigated the relative effect of innovative donation method versus traditional donation method on the donation intention. More specifically, this study classified donation level into innovative donation method and traditional donation method and investigated how consumer‘s donation behavior for each type of innovative method would be moderated by innovative cognition and risk cognition level. For this purpose, innovative cognition and risk cognition were employed to unveil the psychological processes underlying the decision process for innovative donation method and traditional donation method, respectively. Here, self-construal(independent self-construal versus interdependent self-construal) norm was introduced as the mediator for donation intend. Two pretests were conducted to select different types of donation method (innovative donation method versus traditional donation method) as well as different self-construal (independent self-construal versus interdependent self-construal). Based on the preceding tests, ‘big walk‘ application use was chosen as the innovative donation method and pay an entry fee was chosen as the traditional donation method. Next, classification of self-construal was chosen as a situational priming method and the method was carried out successfully as two group of self-construal. The main study had a mixed factorial design with donation method as the between-subject factors and innovative cognition, risk cognition as the within-subject factor. A total of 117 subjects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and each of them was randomly assigned into one of four conditions. The results showed that innovative cognition and risk cognition did not change according to two group of self-construal). also, innovative donation did not change according to two group of self-construal). innovative cognition level was higher in the innovative donation method than in the traditional donation method. However, no difference of risk cognition was found between different donation method. Finally, donation intended had increasing impact on high innovative cognition level, also, donation intended had decreasing impact on high risk cognition, which was proved to our expectation. Further in-depth analyses were needed to broaden the research findings and theoretical and marketing implications were discussed.

      • 都市 水利에서 文化, 景觀, 機能의 融合 : 中國 邯鄲市 沁河를 事例로

        간신평 우석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199673

        河流水系爲城市在供應水源, 濱水綠地, 生態環境, 休閑娛樂, 交通運輸, 文化教育等方面提供各項功能和服務. 河流水系給城市帶來了生命力.城市的興起與繁榮都與河流的繁衍密不可分. 河流水系與城市實際上構成了一個共生體. 人類要保護好河流水系, 河流水系才能更好的哺育城市. 隨著中國工業化, 城市化的進行, 城市迅速發展, 城市河流的自然特性被逐漸改變, 導致了現代城市河流存在的一系列問題. 包括邯鄲市在內的很多中國城市內澇和幹旱問題日益嚴重. 一場暴雨降下來, 市區內或許就會出現城市內澇問題, 而當洪水過後城市又開始變得幹旱. 本文嘗試從中國傳統哲學出發, 將人文情懷, 景觀美學, 工程技術融合在一起, 促進河流水系與城市和諧共生, 使城市更有活力, 更加宜居. 本文的主要研究目標是: 探索中國傳統哲學思想的再認知, 發展與應用, 然後從中國傳統哲學的視角, 實現城市水利中功能, 景觀, 文化的融合. 本文的研究方法主要有: 文獻調查, 實例研究和層次分析法. 從中國古代文化和技術的主要發展曆程等相關的文獻中, 對中國傳統文化進行調查與整理, 尋找中國文化的價值精神, 中國傳統的審美觀, 中國傳統哲學中的世界觀和方法論. 本文希望通過考察中國傳統文化, 尋找中國傳統的價值觀和審美標准, 爲“城市水利中文化, 景觀, 功能的融合”的評價提供價值和審美標准. 並爲城市水利中文化, 景觀, 功能的融合提供思想和方法. 對現代水利科技的理論和技術進行調查, 主要包括<水文學>和<水力學>. <水文學>是研究城市水循環機理的科學. <水力學>則是研究水流運動規律的科學, 並給出調節和控制水流的技術. 這兩門學科是對城市水利進行科學計算的理論基礎和技術工具. 中國古代延續至今的哈尼梯田和都江堰, 蘊含著深刻的生態哲學, 實現了人, 水, 自然的和諧共生, 被評爲了世界文化遺產. 因此, 本文以二者作爲中國傳統水利的實例, 分析總結其中蘊含的生態哲學和智慧. 邯鄲主城區位於太行山前平原, 其氣候條件和城區下墊面條件都具有代表性. 同時, 邯鄲市又是國家級曆史文化名城. 因此, 研究邯鄲市的城市水利具有重要的代表性和現實意義. 本文以邯鄲市的沁河爲例, 實踐城市水利中文化, 景觀, 功能融合的策略並進行評價. 建立AHP模型, 分析邯鄲沁河中文化要素, 景觀要素, 功能要素的評價指標及其權重. 用最終得到的各個指標和權重來說明城市水利中文化, 景觀, 功能融合的具體方式. 最終主要結論如下: 依據中國傳統思想, 事物蘊含著技境道三層次. “技”的層次注重考察事物的形象與技術, 滿足必要的基本的規則. “境”的層次注重考察事物的生氣, 展現有生命力的意境. “道”的層次注重考察事物的內在運行機理以及人與自然的和諧. 世界萬物由 “氣”構成, “氣分陰陽, 中和相生”是和諧相融的表現. 城市水利中, 文化, 景觀, 功能三方面都遵循著這個哲學思想, 在最高的層次“道”上都遵循“陰陽中和”, 注重人, 城市, 河川與自然的和諧, 重視可持續發展; 在“技”的層次都注重客觀的存在與技術, 滿足生存和安全的必要條件. 在“境”的層次注重生命的趣味, 考察城市與河流的生氣和意韻. 所以, 從“技”, “境”, “道”的層次考察和評價城市水利, 文化, 景觀, 功能都遵循相同的中國哲學思想和方法. 通過這種考察和分析的方式, 可以實現城市水利文化, 景觀, 功能的自然的融合. 爲了定量的考察城市水利中的文化,景觀和功能要素及其評價指標, 研究各個指標占有比重的確定方法, 以沁河爲實例, 進行了AHP分析. 爲了檢驗權重值, 本論文還采用改進的APH法(IAHP)進行了權重值的計算. IAHP法和AHP法計算的結果雖然不同, 但是比較接近而且排序是一樣的. 這說明兩種方法相互得到了檢驗. 在精度要求不高的時候, 采用IAHP法更加簡單和實用; 在精度要求高的時候, 采用AHP法更加嚴密. 本論文最終采納用AHP法計算的權重值. 排在前6位的權重之和占總共18項指標權重的68.6%, 主要是功能指標的權重. 排在前12位的權重之和占總共18項指標的權重的90.69%, 主要是景觀指標的權重. 這說明在城市水利中,最重要的是功能, 其次重要的是景觀效果. 文化的存在和發展, 正是以物質的存在和發展爲基礎的. 城市水利中功能和景觀是文化的物質基礎. 文化要素的權重所占比重雖然比較小, 但是卻起到了非常重要的作用. 正如鹽是中國飲食不可缺少的重要調味品, 文化要素是中國園林景觀的靈魂. 靈魂沒有重量, 但是靈魂的存在才使我們能夠真實地感受這個世界, 體驗真, 善, 美. 功能, 景觀, 文化要素的權重排序相互交織, 三類要素在不同的層次上相互融合. 하천 수계는 도시에 수원, 수변 경관, 생태환경, 레저 오락, 교통 운수, 문화 교육 등의 방면에 각종 기능과 서비스를 제공한다. 그래서 하천 수계는 도시에 생명력을 가져왔다. 도시의 발흥과 번영은 모두 하천의 번성과 불가분의 관계이다. 하천 수계와 도시는 사실상 하나의 공생체를 형성하고 있다. 인류가 하천 수계를 잘 보호해야 하천 수계가 도시를 더욱 윤택하게 할 수 있다. 중국의 공업화, 도시화가 진행됨에 따라 도시가 신속하게 발전하고 도시하천의 자연적 특성이 점차 변화하여 현대 도시하천의 일련의 문제를 초래하였다. 한단(邯鄲)시를 포함한 많은 중국 도시들은 침수와 가뭄 문제가 나날이 심각해지고 있다. 폭우가 한차례 내리면 시내에는 아마도 도시 내의 침수 문제가 나타날 것이며, 홍수가 지난 후에는 도시는 또 가뭄으로 변하기 시작할 것이다. 본 논문은 중국 전통적인 철학에서 출발하여 인문 감정·경관 미학·공학 기술을 융합하여 하천 수계와 도시가 조화롭게 공존하도록 촉진하고 도시를 더욱 활기차게 하며 살기 좋게 하기를 바란다. 주요 연구 목적은 다음과 같다. 중국 전통 지혜의 재인식(再認知)·발전·응용을 탐구하고 중국 전통적인 철학의 시각에서 도시 수리에서 기능·경관·문화의 융합을 실현한다. 본 논문의 연구 방법에는 주로 문헌 조사·사례 연구·AHP 법이 있다. 중국 고대문화와 기술의 주요 발전 과정 등에 관한 문헌에서 중국 전통문화를 조사, 정리하여 중국 문화의 가치 정신, 중국 전통의 심미관, 중국 전통철학 중의 세계관과 방법론을 찾는다. 중국 전통문화 고찰을 통해 중국 전통의 가치관과 심미 표준을 찾고, ‘도시 수리공사에서 문화, 경관, 기능의 융합’의 평가에 가치와 심미 표준을 제공한다. 그리고 도시 수리공사에서 문화, 경관, 기능의 융합을 위해 사상과 방법을 제공한다. 현대 수리 과학 기술의 이론과 기술에 대하여 조사를 진행하는데, 주로 <수문학(水文學)>과 <수력학(水力學)>을 포함한다. <수문학>은 도시의 물 순환 메커니즘을 연구하는 과학이다. <수력학>은 물의 운동 법칙을 연구하는 과학이며 물의 흐름을 조절하고 제어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이 두 학문은 도시 수리에 대한 과학적 계산을 진행하는 이론적 기초와 기술 도구이다. 중국 고대부터 지금까지 이어져 온 하니족(哈尼族)의 계단식 밭과 두장옌(都江堰)은 깊은 생태 철학을 내포하고 있으며, 사람, 물, 자연의 조화로운 공생을 실현하여 세계문화유산으로 선정되었다. 그래서 본 논문은 둘을 중국 전통 수리의 사례로 삼고, 그 안에 내포된 생태 철학과 지혜를 분석하여 총결산한다. 한단(邯鄲) 도시 지역은 태항산(太行山) 앞 평원에 위치하며 기후 조건과 지면 특징이 모두 대표성을 가지고 있다. 동시에 한단시는 국가급 역사문화의 유명 도시다. 그래서 한단시의 도시 수리를 연구하는 것은 중요한 대표성과 현실성이 있다. 본 논문은 한단(邯鄲)시 친하(沁河)를 사례로, 도시 수리 중의 문화, 경관, 기능의 융합된 방책을 실천하고 평가를 진행한다. AHP 모형을 세워 한단(邯鄲)시 친하(沁河)에서 문화 요소·경관 요소·기능 요소의 평가 지표 및 가중치를 분석하고 계산했다. 각 지표와 가중치를 이용하여 도시 수리 중 문화·경관·기능의 융합 방식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마지막으로 주요 결론은 다음과 같다. 중국 전통사상에 따르면, 사물은 ‘기(技)’, ‘경(境)’, ‘도(道)’ 삼 단계를 내포하고 있다. ‘기(技)’의 차원에서는 사물의 형상과 기술을 고찰하고 필요한 기본적인 규칙을 만족시키는 것을 중시한다. ‘경(境)’의 차원에서는 사물의 생기를 고찰하고 생명력 있는 경지를 드러낸다. ‘도(道)’의 차원에서는 사물의 내재적인 운행 메커니즘과 사람과 자연의 조화를 고찰하는 것을 중시한다. 세계 만물은 ‘기(氣)’로 구성되어 있다. ‘기분음양(氣分陰陽), 중화상생(中和相生)’은 조화로운 표현이다. 도시의 수리 중 문화·경관·기능의 세 방면은 모두 이 철학 사상을 따르고 있으며, 가장 높은 차원인 ‘도(道)’에서는 ‘음양중화(陰陽中和)’를 따르고 사람과 도시, 하천과 자연의 조화를 중시하며, 지속 가능한 발전을 중시한다. ‘기(技)’의 차원에서는 모두 객관적인 존재와 기술을 중시하여 생존과 안전의 필요조건을 만족시킨다. ‘경(境)’의 차원에서는 생명의 흥미를 중시하고 도시와 하천의 생기와 운치를 고찰한다. 그래서 ‘기(技)’·‘경(境)’·‘도(道)’의 차원으로부터 도시 수리의 문화·경관·기능은 모두 같은 중국 철학 사상과 방법을 따른다. 이런 고찰과 분석 방식을 통해 도시 수리에서 문화·경관·기능의 자연스러운 융합을 실현할 수 있다. 도시 수리 중의 문화·경관·기능 요소 및 그들의 평가 지표를 정량적으로 고찰하고 각 지표의 가중치를 정하는 방법을 연구하기 위해서, 친하(沁河)를 실례로 AHP 분석을 진행했다. 가중치를 검사하기 위해서 개선된 APH(IAHP) 법도 채택해서 가중치를 계산했다. IAHP 법과 AHP 법으로 계산한 결과는 다르지만 비교적 비슷하고 순위가 같다. 이것은 두 방법이 서로 검증되었다는 것을 말해준다. 정밀성 요구가 높지 않을 때, IAHP 법을 채택하는 것이 더욱 간단하고 실용적이다. 정밀성이 요구될 때에는 AHP 법을 채택하여 더욱 엄밀하다. 본 논문은 AHP 법으로 계산한 가중치를 최종 채택했다. 상위 6 가중치의 합은 총 18 평가 지표의 가중치 중 68.6%로 주로 기능 지표의 가중치이다. 상위 12 가중치의 합은 총 18 평가 지표의 가중치 중 90.69%로 주로 기능과 경관 지표의 가중치이다. 이것은 도시 수리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 바로 기능이고 다음 중요한 것이 경관 효과라는 것을 설명한다. 문화의 존재와 발전은 바로 물질의 존재와 발전에 기초를 둔 것이다. 도시 수리에서 기능과 경관은 문화의 물질적 기초이다. 문화적 요소의 가중치가 차지하는 비중은 적지만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소금은 중국 음식에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조미료인 것처럼, 문화적 요소는 중국 원림 경관의 영혼이다. 영혼이 존재하기 때문에 우리는 이 세계를 진실하게 느끼고 진(真)·선(善)·미(美)를 체험할 수 있게 한다. 기능·경관·문화 요소의 가중치가 서로 얽히고설켜 있고 그 세 요소는 서로 다른 차원에서 융합되어 있다. The river system provides various functions and services to the city in supply of water, waterfront green space, ecological environment, recreation, transportation, culture and education. The river system has brought vitality to the city. The rise and prosperity of the city are inseparable from the reproduction of the river. The river system and the city actually constitute a symbiosis. Human beings should protect the river system then the river system can better nurture the city. With the development of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in China and the rapid development of cities the natural characteristics of urban rivers have been gradually changed, which leads to a series of problems in modern urban rivers. Many cities in China, including Handan, are suffering from serious waterlogging and drought. When a rainstorm comes down there may be waterlogging in the city, but after the flood the city becomes dry again. Starting from traditional Chinese philosophy this paper attempts to integrate humanistic feelings, landscape aesthetics and engineering technology to promote the harmonious coexistence of river system and city, so as to make the city more dynamic and livable. The main research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re recognition,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China's traditional philosophical thinking, and then to integrate city's function, landscape and culture from the perspective of China's traditional philosophy. The research methods of this paper are literature survey, case study and analytic hierarchy process. From the main development process of Chinese ancient culture and technology and other related literature this paper investigates and sorts out Chinese traditional culture, and looks for the value and spirit in Chinese culture, Chinese traditional aesthetics, world outlook and methodology in Chinese traditional philosophy. This paper hopes to find the traditional Chinese values and aesthetic standards through the investigation of Chinese traditional culture, so as to provide values and aesthetic standards for the evaluation of “the fusion of culture, landscape and function in urban water conservancy projects”. And provide ideas and methods for the fusion of culture, landscape and function in urban water conservancy projects. The theory and technology of modern water conservancy science and technology are investigated, mainly including hydrology and hydraulics. Hydrology is a science to study the mechanism of urban water cycle. Hydraulics is a science to study the law of water flow movement, and gives the technology of regulating and controlling water flow. These two subjects are the theoretical basis and technical tools for scientific calculation of urban water conservancy. Hani terraced fields and Dujiangyan, which are inherited from ancient China, contain profound ecological philosophy and realize the harmonious coexistence of human, water and nature. They are rated as world cultural heritage. Therefore, this paper analyzes and summarizes the ecological philosophy and wisdom contained in them. The main urban area of Handan is located in the piedmont plain of Taihang Mountain. At the same time, Handan is a national historical and cultural city. Therefore, the study of urban water conservancy in Handan city has important representativeness and practical significance. Taking Qinhe River in Handan City as an example, this paper practices and evaluates the integration strategy of culture, landscape and function in urban water conservancy. AHP model is established to analyze the evaluation index and weight of cultural elements, landscape elements and functional elements of Qinhe River in Handan. The final indicators and weights are used to explain the specific way of integration of culture, landscape and function in urban water conservancy. The main conclusions are as follows: According to Chinese traditional thought, things contain three levels of ‘Ji(技)’, ‘Jing(境)’ and ‘Tao(道)’. The level of ‘Ji(技)’ pays attention to the image and technology of things and meets the necessary basic rules. The level of ‘Jing(境)’ pays attention to the vitality of things and displays the vitality of artistic conception. The level of ‘Tao(道)’ focuses on the internal operation mechanism of things and the harmony between man and nature. All things in the world are composed of ‘Qi(气)’, which is harmonious. In urban water conservancy culture, landscape and function all follow this philosophy. On the highest level of ‘Tao(道)’ they all follow ‘氣分陰陽, 中和相生’, and they should pay attention to the harmony of human, city, river and nature, and attach importance to sustainable development. At the level of ‘Ji(技)’, they should pay attention to the objective existence and technology to meet the necessary conditions for survival and safety. At the level of ‘Jing(境)’, they should pay attention to the taste of life and investigate the vitality and charm of cities and rivers. Therefore, from the level of ‘Ji(技)’, ‘Jing(境)’ and ‘Tao(道)’ the evaluation of urban water conservancy, culture, landscape and function all follow the same Chinese philosophy. Through this way of investigation and analysis, we can realize the natural integration of urban water conservancy culture, landscape and function.

      • 남궁혁의 신학사상 연구 : 1930년대 신학 갈등을 중심으로

        문백란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133946

        한국 최초의 신학박사이며 장로회신학교 한국인 교수인 남궁혁(1881-?, 南宮爀)은 미국 남장로교 선교사들의 지원을 힘입어 미국 유학 후 1925년에 평양신학교 교수로 부임하고 1929년 5월에 박사학위(D. D.)를 받았다. 1928년부터 신학지남 편집장을 맡았으며, 미국 유학에서 돌아온 신진 신학자들을 도와 박형룡이 평양신학교 교수가 되고, 채필근, 송창근, 김재준이 신학지남 필진에 속하도록 이끌어주었다. 1935년 아빙돈 단권주석 사건 이후에는 편집 실무를 넘기고 주필직만 유지하였다.- ⅲ -1905년 조선에 초교파적인 하나의 토착교회를 세우려했던 평양신학교의 선교사 교수들은 그 후로 교회연합운동에 소극적인 태도를 보이면서도 타 교파와 교류할 여지는 남겨놓고 있었다. 자유주의 신학을 반대하고, 교회와 정치의 영역을 구별하면서도 기독교인의 개별적인 사회적 기여는 긍정했다. 선교사들, 특히 미국 남장로교 선교사로서 1906년부터 조직신학을 담당해온 레이놀즈가 주장하는 교역자의 정치단체 가입불가 원칙은 기호ㆍ호남계가 서북계에 대항하여 정인과의 흥사단 가입을 비난하는 명분으로 활용되었다. 1930년대에 서북계는 감리교와 성결교와 연합관계를 깨는 조치들을 추진하는 한편 아빙돈 단권주석 사건을 비롯한 성서비평 관련 사건들을 처리했다. 그 때 남궁혁은 아빙돈 단권주석 집필에 참여한 김재준, 송창근, 채필근을 신학지남 필진으로 채용한 일로 책임 추궁을 당하고, 그 자신의 신학적 성향까지 의심받게 되었다. 그러나 사실상은 기호 호남계의 정신적인 지주로서 서북계의 압력을 받은 것이었다. 서북계는 신진 소장 신학자인 박형룡과 사상적 유대를 이루고 있었는데, 그는 1920년대부터 알려지게 된 메이첸신학 혹은 근본주의신학을 따르고 있었고, 당시에 길선주 등 노장세대 중심으로 신봉되던 세대주의와 상통하는 세계관 및 가치관을 소유하고 있었다. 남궁혁은 기존의 교파 연합관계를 유지할 것을 주장하고 목회자의 정치활동을 반대하면서도 신주권 사상에 의거해 기독교인이 사회 각 방면에서 열심히 활동할 것을 촉구하였다. 30년대에 남궁혁, 박형룡, 채필근, 송창근, 김재준은 모두 전통적인 기본교리를 따랐으며, 칼빈주의를 지지하고, 개인의 삶과 사회 문제에 대해 신앙본위적 입장을 취하고 있었다. 차이점들도 있었는데, 그중에서 유사성을 찾자면 남궁혁은 송창근이나 김재준보다 차라리 채필근과 더 많은 점에서 병행하고 있었다. 남궁혁은 생활중심적인 점에 독보적이었다.박형룡과는 여러 면에서 대립하고 있었다. 박형룡은 칼빈의 예정론의 오대요점을 중시하였으며, 권위의 옹호와 강화에 중점을 두었고, 현대주의에 강한 배타성을 보였으며, 내세신앙을 적극 지지하고, 사회적 책임문제에 대해 소극적이었다. 남궁혁은 예정론의 도덕적 사회적 활력을 강조하였고, 인권과 민주주의 정치원리를 강조하였으며, 현대주의를 반대하면서도 현대가 하나님께 배역적일수록 세상에 진출하여 하나님의 대주재되심을 알릴 것을 역설하고, 현세중심성을 나타냈다. - ⅳ -이상의 사실들에서 1930년대 남궁혁과 박형룡의 충돌은 채필근ㆍ송창근ㆍ김재준과 박형룡의 충돌이 남궁혁에게 비화된 것이었을 뿐만 아니라 남북 교계 대립의 사상적 대표전이었으며, 이눌서 대 메이첸 추종 선교사들을 대리한 장로교 신구 신학전통의 충돌이었다고 할 수 있다. 그 결과로서 박형룡의 승리는 신학의 주도권이 교리주의적인 메이첸 신학을 추종하는 박형룡이라는 신진 한국인신학자와 홀드크로프트와 해밀턴 등의 선교사 세대로 넘어간 것을 뜻했다. 이는 박형룡이 교권과 세대주의와 제휴함으로써 얻은 것이었다. 서북계는 박형룡이 강력하게 그들의 가치관을 보수해준 것 위에 교권을 사용하여 신학적 정통성을 확보했으며, 물리적 주도권과 경제적 이권을 얻었다. 한국 장로교 정통신학은 초창기의 복음주의적인 온건 보수주의 성격과 선교 에큐메니즘을 탈피하게 되었다. 남궁혁은 신진 한국인 신학자들을 위해서는 진출 통로가 되어주었으나 그 자신으로서는 선교사들의 옛 세대의 신학적 전통을 견지하고 있었다. 기호와 호남지역의 신학적 경향성을 대변하면서, 초창기 이래의 신학적 전통이 주도권을 상실한 후에도 어느 정도 온존할 수 있게 해준 사상적인 한 보루가 되었다. Hyek Namkung(1881-?) is the first Doctoral degree holder among Korean theologians and the first Korean theological professor of The Presbyterian Theological Seminary of Korea at Pyengyang (the first Presbyterian seminary). While he studied abroad, he was supported financially by the Mission of the Presbyterian Church in the U.S.(PCUS). After finishing the coursework, he returned and inaugurated at the Korean seminary in 1925, and then received the degree of D. D. from Union Theological seminary in Richmond, Virginia in May of 1929. When he became the chief editor of Sinhak-jinam (The Theological Review) in 1928, he tried to help other Korean theologians, who had studied and returned from the U.S.A. and Japan. He aided Hyung Nong Pak in becoming a professor, Pil Geun Chai, Chang Keun Song, Chai Chun Kim in becoming writers of the Sinhak-jinam. When The Abingdon Bible Commentary translating incident happened in 1935, Namkung handed over the role of chief editor to Dr. C. A. Clark and he maintained the status of the prior writer. Most of the missionaries as professors of the seminary in Pyengyang had a substantially negative attitude toward church union matter. They, however, left room for dialogue even with Methodist Church because the seminary was a united institution of four Presbyterian Missions from the U.S.A., Canada and Australia, they recognized the necessity of cooperation in the mission field. They disallowed the modern theology likewise high-criticism on the Bible and evolution theory and churches'' participation into the politics, but encouraged the personal effort for the community in various ways. In the mid 1930s, their policy to separate the church and the state was used as an excuse of opposition by the Southern presbyteries against the northwestern presbyteries'' church politics. At that time there was discord between the two regional factions between the Northwest and South Korean Presbyterian Churches. The central city of the Northwest was Pyengyang and the South was Seoul, but the former''s adherents were absolutely larger in number. While P. K. Chai, C. K. Song, and C. C. Kim were accused by the Northwest of being the translators of the Abingdon Bible Commentary in response to the Methodist'' proposal, Dr. Namkung shared the blame for drawing them to the Sinhak-jinam. But the accusation against Namkung was actually the Northwest''s pressure on him as a spiritual leader of the South. The counterpart theologian who belonged to the Northwest was Dr. H. N. Pak. He and several companion missionaries pursued Graham Machen''s fundamental theology and proclaimed to keep the creeds and dogmas, primarily the Westminster Confession, and showed aversions to any shape of modernist. On the contrary, Namkung insisted on not forsaking the traditional church union work, and urged that Christians should rather reach out more to the secularized modern world to reveal the sovereignty of God as more rebellious. At any rate, the Namkung''s conflict with Pak in 1930s was the representative theological confrontation between not only the both sides but also the primary missionaries and later missionaries and the followers of Machen. Consequently, the Northwest could assure their spiritual and political supremacy. Dr. Pak could be entitled to the orthodox theologian of Korean Presbyterian under the patronage of political power of church leader''s and Dispensationalism prevailed among the whole Korean Christians, more general among old generation of the northwest. Although Dr. Namkung provided the advancing route for the new theologians, he remained the follower of the old type of theological tradition. Above all he played a role of a fort so as to preserve somewhat the old tradition.

      • 해방기 소련 기행문학 연구 : 이태준, 한설야, 오장환을 중심으로

        조영추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68457

        This paper analyzes the Soviet visit and travel writings of Yi Tae-Jun, Han Seol-Ya, and Oh Jang-Hwan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and with a comparative reading of the writers' other literary works, tries to point out how the narrative features of power, self-reflection, and amity of nations embodied in the travel writings echo the liberation-period literary or early North Korean literary issues of nation-building, self-reflection, and Soviet-Korean friendship. In addition to providing writers with the landscape and experience about the 'model' of the society of the socialist system, the visit to the Soviet Union stimulated writers to 'cross-reference' and establish avenues of communication between the DPRK and the Soviet Union, which stimulating them to summarize and reflect on their literary works of the colonial period and to explore new literary challenges at the new stage of history. On the one hand, Korean writers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looked back and reflected on their colonial history and their own literary history in the "ethical" space of the Soviet Union, the victorious power in World War II. On the other hand, after the liberation from Japanese colonial rule, North Korean writers rejoined the "world" through political cooperation with Soviet Union and found a place to make their voices heard. As intermediaries of interaction and communication between North Korea and the socialist world, North Korean writers needed to create a new literary language that would facilitate communication and establish friendly relations, while at the same time thinking about how to maintain the emphasis on the subjectivity of (North) Korea as a new national state and not lose their own inherent literary language while advocating following the Soviet Union. The purpose of examining the perceptions and practices of Korean writers in relation to this cultural and political practice is not to elucidate their perceptions and feelings about the Soviet Union or socialist society and to judge their rights and wrongs, but to attempt to re-examine the literary dilemmas faced by Korean writers after liberation in the context of world cultural history. By analyzing the Soviet travel narratives of Yi Tae-Jun, Han Seol-Ya, and Oh Jang-Hwan,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Korean writers' participated in the cultural endeavors of the nascent socialist state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and to understand how Korean literature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explored and established itself in cross-border cultural exchanges and practices, helping us reconceptualize the literary practices of writers throughout the late colonial and liberation periods. In Chapter 2, by focusing on the reminiscences of individual and collective history of the colony in the Soviet travel texts, we can find that, on the one hand, the socialist social landscape of Soviet Union provided the writers with imaginative resources to conceive the future of Korea, and on the other hand, the sublime image of the ethical subject presented by the Soviet Union as an anti-fascist victor inspired the Korean writers to reflect on and reconstruct the past colonial history.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writers were demanded to liquidate the individual/collective history of the colonial past, and their desire to reflect and explore in order to grasp the future was extremely strong. The writers' reflections on the colonial past triggered and implicated in the foreign land of the Soviet Union distantly echoed and extended the public discussions on 'self-criticism' within Korea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This can help us to discover the Soviet Union's intervention as the Other in the wave of literary self-reflection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Chapter 3 examines how Yi Tae-Jun rethinks and reshapes his own traditional aesthetics, language and structure of feelings develope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n his visits to the Soviet Union and China. In his Soviet travel texts, he skillfully employs symbolic elements associated with traditional Korean culture to establish the similarities and affinities between North Korea and the Soviet Union in terms of history and natural landscapes. Traditional notions of aesthetics provided a perspective for Yi Tae-Jun to establish an affinity with the unfamiliar socialist Soviet Union. On the other hand, during his visit to the Soviet Union, Yi Tae-jun was also fully aware of the difficulties and changes in the construction of a new nation-state, and for this reason felt the need to renew his aesthetic concepts and literary language he had constructed in the past in order to adapt to the new social development. However, the novel The Dust, written in 1950, but set in 1948, seems to indicate the ultimate failure of this effort. Like the character types that often appear in Yi Tae-jun's previous novels, the novel's protagonist, Mr. Hanmwe, is a collector who loves the traditional culture. However, Yi Tae-Jun infuses Mr. Hanmwe with a new sense of action and subjective initiative. In The Dust, Mr. Hanmwe 'travels' through the reality of the North-South divide, exploring whether the traditional aesthetics still has a place to survive and thrive in the chaotic historical situation. However, as the ending of The Dust reveals, Mr. Hanmwe suffers various setbacks in South Korean society and eventually chooses to return to Pyongyang. On his way back, Mr. Hanmwe was killed by gunfire on the 38th parallel. This may suggest that in the midst of the great changes of the times, the traditional aesthetic subject cannot find a new way out and is eventually eliminated by history. The values represented by traditional aesthetics and the patterns of behavior, emotions and language shaped by them could not overcome the divisions within the nation in the face of the violence of history, much less establish a way of communication between Korea and the outside world. When Yi Tae-Jun visited China in 1951, he seemed to abandon the language of traditional aesthetics to establish a sense of intimacy between North Korea and China, emphasizing instead that China and North Korea were both new socialist countries. After the traditional aesthetic subject is buried by the violence of history in The Dust, the lived experience of socialist society becomes the 'common language' of amity between China and North Korea . By analyzing Han Seol-Ya's Soviet travelogue and novels with Soviet protagonists, Chapter 4 examines the writer's actual experience of communicating with the Soviets and the literary phenomenon associated with it. Particular attention is paid to the inevitable language barrier that the writer encountered during his travel and the narrative strategies he employed to turn the language barrier between the North Korean and Soviet characters into a favorable condition for constructing the kinship between them. In 1947, Han Seol-Ya became the Director of Education of the North Korean People's Committee and traveled to the Soviet Union to visit North Korean students and promote educational cooperation between the DPRK and the Soviet Union. In his role as an official, he had extensive exposure to the Soviet elite in the fields of politics and culture, and ignited a passion for learning Russian. However, at that time, the DPRK had just been liberated and conditions for learning Russian were lacking. Therefore, there was always a big gap between the reality that Russian was not yet widespread and the political need for an urgent establishment of amity between the DPRK and the Soviet Union. Through his works of fiction depicting Soviets and Koreans, Han Seol-Ya attempts to overcome or conceal this realistic dilemma in fictional texts. In The Face and The Steam Whistle, Han describes how Koreans imagine and confirm the friendship with Soviets by observing their "body language" such as the expressions on the face and body movements. Furthermore,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differences between the first version()1946 and the revised edition(1956) of the novel Hats reveals that Han Seol-Ya readjusted the mechanism of establishing the inter-Korean-Soviet friendship. In the original version of The Hat, the Soviet soldier stationed in North Korea suffers from severe war trauma caused by the loss of his loved ones and homeland in World War II. Although he comes to North Korea in the role of an assistor, he is always used to shooting in order to overcome his traumatic reaction and find peace in the sound of gunfire, so he is actually an abuser to the Korean civilians. However, in the revised version, Han Seol-Ya describes how the Soviet soldier gets rid of his trauma by watching a traditional Korean monk dance and feeling the hope of renewal in the language of the dancers' body movements. In this way, the Korean become the "rescuer" of the Soviet soldier, and the structur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oviet Union as the helper and the DPRK as the recipient, previously dominant in the discourse of inter-Korean relations, is reversed. Ultimately, Han Seol-Ya rewrites the novel so that the North Koreans become the rescuers of the Soviets, thereby dominating and redefining the structure and emotional content of inter-Korean-Soviet Amity. Through this analysis, we can discover how Han Seol-Ya's literature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captures and presents the coexistence of Korean and Russian in the post-liberation Korean social and literary world. While existing studies analyzing the intermingling of English, Japanese, and Korean in South Korean society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focus on the cultural and political conflicts caused by translations and interpretations, Han Seol-Ya's novel allows us to discover that in North Korean society, which is in a social atmosphere of Korean-Soviet amity, it is the suspension or castration of the translation device that is the key to understanding the issue of languages intermingling in North Korean literature. Chapter 5 attempts to show that Oh Jang-Hwan's experience visiting the Soviet Union for medical treatment was more than a mere incidental experience in his life or a political practice rich in ideological propaganda. As a writer, the mechanics of the triple identity of "patient-traveler-poet" changed as the journey began and ended, inspiring him to produce two different collections of travel poems. Oh Jang-Hwan wrote and published travel poetry in North Korean journals while undergoing medical treatment and only having time to travel briefly through the city. Many of the poems reflected the propaganda needs of the Soviet Union and DPRK at the time and glorified the achievements of Soviet social development. Writing in this style conceals, in part, Oh Jang-Hwan's dilemma concerning his inability to gain adequate access to travel insights because of his treatment, and the consequent difficulty in writing travel poetry. After the poet finished his treatment and had left the Soviet Union, this tension between treatments and travel was eased. Upon his return to North Korea, Oh Jang-Hwan published Red Flag, a collection of Soviet travel poems that he had previously published in magazines, and significantly changed the overall appearance and emotional value of Soviet travel poetry by rearranging the collection order and rewriting the texts. In some sense, the arrangement of the poems outside of chronological order disrupts the chronological structure of travel experiences that should be found in a travel poetry collection, which to some extent prevents exposing the lack of content of travel poetry collections due to a poet's lack of travel experiences. Further, the poet removes some of the verses that glorify the Soviet Union and replaces them with verses that emphasize North Korea's subjectivity as a new "republic" country and adds the poet's perspective on retracing individual historical memories. Through Red Flag, therefore, the Soviet travel song sings not only the monotonous chant presented in the first version of the travel poems, but also adds two different vocal tones, in which the poet proclaims the subjectivity of the "republic" and calls for individual memories of history. Many studies have analyzed Red Flag only to comprehend Oh Jang-Hwan's Soviet journey, viewing it solely as a political propaganda text.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first version of the Soviet travel poems and its rewritten version, this paper seeks to provide a more complete picture of Oh Jang-Hwan's creative process and reflections on the Soviet poetry. Furthermore, Oh's travel poems hardly reflect the main experience of his trip to the Soviet Union, namely, that of treatment. However, "treatment" implies that the subject is in a constant state of "stagnation," unable to move in order to meet the requirement of "travel" has always been intrinsically limited to Oh Jang-Hwan's writing of Soviet travel poetry. In this sense, Oh Jang-Hwan's writing and rewriting Soviet travel poetry is also a way of witnessing and documenting the creative dilemma that he faces of "not being able to record the travel". 본고는 이태준, 한설야와 오장환로 대표되는 해방기 조선 문인들의 소련 방문과 그 기행문학을 주된 연구대상으로 그것을 같은 시기 동일 작가들의 기타 문학 작품들과 겹쳐 읽고자 한다. 이로써 본고는 이들의 소련 방문 및 그 기행문학에서 드러난 권력/권위성의 역학 작용과 자기반성, 그리고 '우호·친선'의 서사적 특징을 살피고, 이러한 서사적 특징이 해방기 문학, 혹은 (북)조선 문학의 당면과제 즉 건국과 자기비판의 시대적 요구, 조소 친선 등 테제와 어떻게 연동되는지를 살피고자 한다. 소련 방문이 해방기 조선 작가들에게 사회주의 제도 및 사회의 '본보기'로서 소련에 관한 실제적인 상황과 경험을 제공해 주었을 뿐만 아니라 문학 창작 주체로서 이들의 감각과 사유를 자극 및 갱신하여 조선과 소련 간의 '상호 참조성'을 획득하고 대화 혹은 '교류'를 가능케 하는 역할을 하였다고 본다. 이는 창작에 있어서 조선의 작가들로 하여금 과거의 문학 행위를 반성 혹은 정리하고 시대에 걸맞은 문학창작으로 나아가게 하며, 새로운 창작의 난제도 경험하게 한다. 다시 말해, 해방기 조선의 작가들은 2차 세계대전 전승국으로서의 소련이라는 '윤리'적 장소에서 자기 민족의 식민지 역사 및 자신들의 문학창작의 과거를 돌이켜 보고 반성한다. 한편, 조선이 일본 식민지 치하에서 벗어나 소련과 친선 관계를 맺는 정치적 협력 과정을 경유하면서 '세계'로의 재진입을 꾀하고 주체로서 '발성(發聲)'할 수 있는 위치를 확보하게 되는 것이다. 조선의 작가들은 사회주의 세계와의 접촉과 교류의 주체로서 그러한 교류와 친선 관계를 성립시키는 새로운 문학 언어를 탄생시켜야 하는 동시에, 그 과정에 (북)조선이라는 신생 국가의 주체성 확립 과제와 작가 고유의 문학 언어를 어떻게 함께 유기적으로 결합하며 발전시켜야 할지라는 창작의 딜레마도 봉착하게 된다는 것이다. 지식인의 소련 방문이라는 세계문화사적인 이슈를 둘러싼 조선 문인들의 인식 변화와 글쓰기 실천의 양상을 고찰하는 목적은 단지 이들의 소련 혹은 사회주의 사회에 대한 인식과 감회를 추적하여 그것의 옳고 그름을 헤아리기 위해서보다는, 식민지 말기에 고착된 이들의 창작 상태와 해방 직후 이들이 직면하였던 문학 난제를 세계문화사적인 시야 속에서 재조명하기 위해서이다. 본고는 이태준, 한설야, 오장환 등의 소련 견문 서사를 세밀히 살피는 작업은 식민지 말기에 형성된 문인들의 창작 상태가 사회주의 신생 국가의 문화 공작 사업과 마주하면서 생긴 복잡한 전화(轉化)와 상호작용의 양상을 해명하는 작업이자, 식민지 말기와 해방기를 관통하여 작가들의 문학 창작 상태와 실천을 재조명하는 계기가 될 수도 있다. 우선, 소련 기행문학에서 보이는 식민지기 개인과 집단의 과거에 대한 회고적 논의를 통해 우리는 소련이라는 타자의 중요성을 발견하게 된다. 당대의 조선 문인들은 소련의 사회주의적 성과와 현실을 자신들이 장차 도달할 '미래적 현실'로 상상함으로써 '건국'의 이념을 정립하는 한편, 소련이라는 현장에서 반파시즘 전승국으로서의 소련의 위상을 재확인하게 됨으로써 소련을 숭고한 윤리적 주체로 형상한다. 즉 이는 탈식민지기에 위치한 조선 문인들에게 식민지기 과거사에 대한 반성과 재구성의 계기를 마련해 준다. 해방기는 워낙 작가들로 하여금 개인/집단의 식민지 과거사를 청산하도록 요구하던 시기였으며, 새로운 미래를 준비하기 위해서 반성과 모색이 작가들의 강렬한 내적 욕구로 작동하던 시기였다. 이리하여 소련이라는 '윤리적' 존재가 야기한 식민지기 역사에 대한 반성은 당대 조선 내부의 '자기비판'의 열기와 맞물림으로써 그 공공의 논의의 장을 확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즉 이는 우리로 하여금 해방기 문학이 지녔던 '자기반성'적 특징이 소련이라는 타자의 개입과도 연동되어 있음을 사유하도록 한다. 다음, 이태준과 한설야, 그리고 오장환의 소련 기행문집은 식민지 상황에서 갓 벗어난 작가들이 2차 세계 대전 종결 후 처음으로 소련을 방문하여 그 소감을 적은 글들로써 과거와 미래, 서로 다른 작품들, 그리고 정치의 장과의 복잡한 의존성과 상호 텍스트성을 살펴보도록 한다. 첫째, 해방 이후 소련과 중국 등 사회주의 국가를 방문한 이태준이 일찍 식민지기에 형성한 자신의 전통 지향적 미학관념 및 언어와 감정 구조를 재사유하고 '개조'해가는 내적 과정을 고찰하고자 한다. 그의 소련 기행문에서는 자신이 익숙한 조선적인 미학적 상징들과 감정을 통해, 그리고 소련과의 역사적 연관성에 대한 강조를 통해 친근한 모습의 소련을 '발견'하고 언술하고 있다. 이는 사회주의 소련과의 접근과 소통을 위한 이태준 나름의 효과적인 대화법이었다 할 것이다. 다른 한편, 이태준은 민족국가 건설의 지난함과 다중성, 다변성을 충분히 인식하고 있었으며, 이를 위해 자신이 과거에 구축했던 미학적 관념이나 문학 언어들을 새롭게 변화시키고 '개조'해야 한다는 각오를 소련 방문 과정에서 얻게 되었다. 그러나 아쉽게도 그의 이러한 노력은 1950년에 창작한 소설 「먼지」를 마감으로 종결되고 만다. 이 소설의 주인공 한뫼 선생은 과거 이태준 소설 속에 흔히 나타난 인물들과 마찬가지로 전통적인 지식인에 지나지 않으나 '자기 눈으로 직접 확인'하려는 실천적 의지를 가진 인물로 새로운 의미를 지니게 된다. 남에 의해 좌우지 되지 말고 독자적 판단력을 지키는 것을 신념으로 해온 한뫼 선생은 위험을 무릅쓰고 남과 북을 찾아다니며 자신의 눈으로 새로운 사회적 변화를 확인하고자 한다. 이태준은 한뫼 선생이라는 과거적 인물에 새로운 능동성과 행동력을 부여함으로써 사회적 변화 속에서 자신이 그동안 구축해 왔던 전통 지향적인 미학과 문학적 언어의 새로운 쓰임을 모색하고자 했던 것이다. 그러나 「먼지」에서 보다시피 남에서 여러 가지 좌절을 겪고 평양으로 귀환하던 한뫼 선생은 결국 분계선에서 탄환에 맞아 최후를 맞는다. 이는 시대적 격변 속에서 새로운 진로를 찾을 수 없었던 전통 지향적 미학주체의 종결을 상징하는 것인지도 모른다. 즉 역사성과 문화성을 담지한 미학주체로서 전통 지향적 언어와 감정을 가진 화자는 더 이상 청중을 사로잡지 못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그 전통적 어법으로는 도저히 시대적 폭력 앞에 놓인 민족 내부 분열을 극복할 수가 없으며 더욱이는 조선과 외부 세계와의 소통을 위한 새로운 언어로 거듭날 수는 없었으므로 결국 시대의 저편으로 막을 내리고 만다. 1951년 이태준의 중국 기행문을 살펴보면, 그가 북조선과 중국의 공통성, 즉 공통된 사회주의 이데올로기와 신생 사회주의국가에서의 생활체험이라는 '공통 언어'를 조・중 친선 관계를 구축하고 풀이하는 대화법으로 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공통 언어' 습득을 위한 노력이 전통 지향적 미학 주체가 소실되고 난 후의 빈자리를 채우고 있다. 둘째, 해방 직후 한설야의 소련 기행문과 소련 인물을 주인공으로 한 소설들, 즉 1946년부터 1950년 사이에 창작 혹은 출판된 「帽子―어느붉은 兵士의 手記」 (1946), 「얼굴」 (1948), 「기적」 (1950) 등의 텍스트들을 함께 분석함으로써 작가와 '소련군'(소련인)과의 조우와 교류라는 실제 경험과 그것이 문학화된 양상을 재조명하고자 한다. 특히 소련인과의 실제 만남에서 피할 수 없었던 언어불통의 경험과 이에 대한 조선어 주체로서의 서술, 그리고 '조소 친선' 담론의 상징계를 구축해야 하는 '작가'로서 이러한 언어불통의 실상을 작중 인물 사이에 친선 감정이 형성되는 데에 유리한 조건으로 전환시키는 방식 등 일련의 '교류' 경험 및 재현의 양상을 문제적으로 살피고자 한다. 1947년 한설야는 북조선인민위원회 교육국장으로서 재소 조선 유학생들에게 도움을 제공하는 한편 교육영역에서의 조・소 간의 협력을 추진하기 위해 소련을 방문한다. 그는 정부 요직을 담당하고 실행하는 과정에 소련의 문화・정치 분야의 엘리트들과 광범위한 접촉을 하게 되며 따라서 러시아어 학습의 열의를 불태우게 된다. 그럼에도 해방기 북조선 사회는 아직 본격적인 러시아어 보급을 실현하지 못한 상황이었다. 이에 언어 습득의 실제와 하루 속히 사회주의 소련과의 친선관계를 구축해야만 했던 시대적 과제 사이에는 늘 거대한 낙차가 있을 수밖에 없었다. 한편 이는 한설야의 소설작품인 「얼굴」이나 「기적」 등에서 조선인들이 소련인들의 표정이나 동작 등 '신체 언어'를 관찰하고 읽어 냄으로써 소련인들과의 친선관계를 상상해내는 작업으로 이어지고 있다. 또한 1946년 처음 발표된 한설야의 소설 「모자」가 1956년에 이르러 개작되는 과정을 비교함으로써 조・소 친선 기제의 내적 맥락의 변화를 밝힐 것이다. 초판에서 조선에서 주둔하고 있는 소련 병사는 독일과의 전쟁 중에 가족을 잃고 심한 트라우마에 시달린다. 그는 비록 원조자(援助者)이지만, 총소리 속에서만 심리적 안정을 찾을 수가 있어 마구잡이로 총을 쏘아대는 폭력성을 보인 위협자이기도 한다. 그러나 나중에 소설이 개작되는 과정에 이 소련 병사는 조선 전통 무용인 승무를 관람하면서 무용수의 몸짓, 즉 신체적 언어가 드러내는 감정을 통해 심적 치유과정을 완성하는 '피(被)원조자'의 역할을 맡게 된다. 이는 과거의 조・소간의 원조-피원조 관계를 전복시키는 재구성 과정이었다 할 것이다. 다시 말해 소련 병사로 하여금 조선에서 치유되고 초월의 경지에 이르게 함으로써 조선이라는 주체성에 의한 조・소관계의 반전(反轉)을 이루어내는 것이다. 결국에는 북조선이 소련의 '원조자' 역할을 맡게 됨으로써 사회주의 국가 간의 '친선관계' 및 감정의 내포와 생성 기제에서의 주도권을 탈환하게 된다. 이로써 해방 이후 러시아어라는 사회주의 모국-어와 공존할 수밖에 없었던 북조선의 사회와 문학 세계의 언어적 혼재를 직접 경험하고 포착하여 적극 문학화한 한설야의 해방기 문학의 특징을 새롭게 발견할 것이다. 기존 연구들이 해방기에 남한 사회에서의 영어, 일본어, 조선어의 혼존 상태를 분석하면서 번역/통역이 야기한 문화 정치적 충돌 현상과 그것이 작품화된 양상을 중요하게 탐구하였다면, 한설야의 소설을 통해 우리는 조소 친선이라는 사회적 분위기 속에 놓여있던 북조선 문학 세계에서 번역/통역 장치가 방치되거나 거세되는 징후적 현상을 만나게 될 것이다. 셋째, 1948~1950년 사이에 창작된 오장환의 소련 기행시를 고찰함으로써 치료차 소련을 다녀 온 오장환의 소련 기행시 창작이 단지 시인 삶에서의 예외적 사건이나 이데올로기적 선전물이 아니라 주체의 다중성 및 그 체험과 관여되는 문학적 실천이었음을 논의하고자 한다. 시인은 여정의 시작에서 종결에 이르기까지 환자, 여행자, 시인이라는 동시적 신분에서 자유로울 수가 없었는데, 이러한 다중적 신분의 엇갈림과 그 역학관계의 변화에 따라 같은 소재를 둔 두 가지의 기행시 텍스트(군)을 낳게 된다. 먼저, 오장환은 소련에서 치료를 받는 한편 극히 제한된 방문활동을 하게 되며 그에 기초한 기행시를 창작해 북조선의 잡지에 발표하였다. 이 기행시들은 그 장소나 시간에 있어서 모두 '기행' 텍스트들이 지닌 고유한 특징인 현장성과 시간적 순서성을 드러낸다. 특히 그 중 대부분의 시는 조소친선이라는 시대적 주제를 표현하였으며 소련의 사회 및 경제적 성과들을 송가의 형식으로 노래하고 있다. 한편 이러한 시대와 정치적 '현장성'에 대한 포획은 어느 정도 입원 치료로 인해 초래된 기행 견문과 그 현장성의 결핍이라는 '사실'을 은폐 혹은 보완해주었다 할 것이다. 그 이후 오장환이 치료를 마치고 귀국하게 됨으로써 소련 체류 기간 보였던 치료와 여행 간의 갈등이나 그로 인한 기행시 창작의 난경(難境)은 어느 정도 해소된다. 이에 오장환은 이미 잡지에 발표하였던 소련 기행시들을 시집 『붉은 기』로 묶어 출판하는데 새로운 편성 체계와 개작을 통해 그 내용에서 시적 정서에 이르기까지 큰 변화를 보인다. 즉 시집에서는 새로운 시적 배열을 통해 기행 순서의 시간성을 분해, 교란시킴으로써 견문 일정과 내용상의 결핍을 극복한다. 또한 소련에 대한 송가식 시구들을 삭제하고 대신 '공화국'으로서의 북조선의 주체성을 강조하는 내용을 삽입하는가 하면 개인의 운명을 주목하고 그 개체로서의 기억을 환기하는 시적 장치를 드러내기도 한다. 따라서 시집 『붉은 기』는 잡지에 처음 발표되었던 기행시들이 지닌 도식화되고 정치적 색채가 농후한 단조로움을 극복하고 국가적 주체성과 개체성에 대한 호명이라는 다중적 '노래'를 추가적으로 드러내게 된다. 기존의 연구는 대부분 1950년 5월에 출판된 시집 『붉은 기』만을 분석 대상으로 하여 시인의 소련기행 및 그 의미를 짚어내고자 하였기 때문에 흔히 시집이 지닌 정치적 색체와 성격을 지적하는 데 그친다. 이에 본 장은 잡지에 처음 발표되었던 기행시와 그 이후 시집을 통한 변화와 개작을 꼼꼼히 대조함으로써 오장환의 전후(前後) 소련 기행시가 지닌 상호텍스트성과 그 변화의 과정, 즉 역동성을 살피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비록 소련 체류기간 가장 많은 시간과 내용을 점하였던 병 치료 과정이 시에서 거의 드러나 있지 않지만 '치료'야말로 시인의 기행 견문은 물론 시 창작에 이르기까지 모두 '내적인 저항 요소'로 작용했으며, 나아가서 기행시 창작의 '지연(遲延)'적 완성 혹은 텍스트의 중첩을 낳았음을 알 수 있다. 이런 의미에서 오장환의 소련 기행시는 진실하고 완전한 기행과 그에 준한 창작이 불가능했던 창작의 난경에 대한 기록에 가깝다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