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국 금융기업 중층관리자의 임파워링리더십이 종업원의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잡크래프팅과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우명룡 우석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9727

        현대 사회의 조직은 복잡성이 심화되어 직원의 지식수준과 자기의식이 지속적으로 향상되고 있다. 또한, 계층적 관리 구조로 조직 내부 및 외부 환경이 급격히 변화하여 적응하기 어렵다. 임파워링 리더십에 대한 연구 는 다양한 리더십 행동 연구에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임파워링 리 더십이 다양한 유형의 기업의 실제 운영에 널리 사용되어 중요한 실용적 인 의미와 학문적 가치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임파워링 리더십은 직원에게 권한과 의사결정을 참여하게 하여 자신의 일처럼 리더십을 갖 게 하는 일련의 행위이다. 각종 연구에 따르면 임파워링 리더십은 직원 개인의 직무만족도, 심리자본, 창의성, 잡크래프팅 및 직무열의와 같이 다양한 부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일부 연구는 임파 워링 리더십이 직원의 개별 수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고 다른 매개 메커니즘을 통해 작동한다고 지적하고 있다. 글로벌 환경에서 불확실성이 더해짐에 따라 조직 경쟁력을 높이기 위 해 심리적 주인의식과 업무열중에 대한 요구가 높아졌고, 종업원들이 자 신들의 잠재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리더십에 대한 집단의식으로 성과를 높일 수 있도록 노력을 기울여 왔다(문혜강, 2014). 또한 자신이 하고 있 는 일에 대한 의미를 제공하며 이를 통해 구성원들의 직무몰입을 증진시 키고 태도 변화를 유발시킨다(홍지인,2016). 본 연구는 임파워링리더십 및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 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임파워링리더십이 잡크래프팅과 긍정심리자본에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였으며, 임파워링리더십과 직무열의 간의 관계에 서 잡크래프팅과 긍정심리자본이 영향에 미치는지 매개 효과를 검증하였 다. 중국 금융기업에서 근무하는 직원들 전체를 모집단으로 구성하고 2022 년 1월, 약 한달 간 직속상사가 있는 다양한 금융기업에 근무하는 직원 들을 무작위로 선정하여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총 500명의 응답 자료를 확보하였고 불성실한 데이터 등을 제외한 483명의 데이터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측정도구는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설정하였으며, SPSS 21.0과 AMO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자료를 분 석하고 변수 간의 관련성을 검증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임파워링리더십의 각 하위요인이 직무 열의의 각 하위요인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업무의 의미 부여, 의 사결정 참여촉진, 자율성 제공은 활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 며, 임파워링리더십 각 하위요인의 신뢰는 직무열의에 영향을 미치는 것 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무열의는 임파워링리더십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 로 나타났다. 둘째, 임파워링리더십과 직무열의의 하위요인들 간의 관계에서 잡크래 프팅의 매개효과에 대한 검증 결과, 업무 의미 부여, 의사결정 참여촉진, 고성과 신뢰, 자율성 제공 요인들과 활력, 헌신, 몰두와의 관계 조합에서 모두 매개효과에 영향이 있거나, 간접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임파워링리더십과 직무열의의 하위요인들 간의 관계에서 긍정심 리자본의 매개효과에 대한 검증 결과, 업무의미 부여, 의사결정 참여촉 진, 고성과 신뢰, 자율성 제공 요인들과 활력, 헌신, 몰두와의 관계 조합 에서 모두 매개효과에 영향이 있거나, 간접효과가 있음이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간관리자의 임파원먼트 리더십의 중요성을 강조하 고 현실적 상황을 고려한 영향력을 분석함으로서 효율적인 인적자원관리 를 위한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것으로 본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investigate how empowering leadership influences employees’ work engagement and in-role performance via job crafting (increasing job resources, increasing job demands and reducing job demands). Empowering leadership is defined as leader behaviors directed at individuals or entire teams and consisting of delegating authority to employees, promoting their self-directed and autonomous decision making, coaching and sharing information. A large body of studies has examined the effects of empowering leadership on employees’ attitudes, behaviors an performance in the workplace. Yet few studies have examined the role of job crafting in the links between empowering leadership and work-related outcomes. To address this limitation, we propose the links between empowering leadership and work enagegement and in-role performance via job crafting (increasing job resources, increasing job demands and reducing job demands). More specifically, we argue that empowering leaders encourage their followers to optimize their job demands and resources, and craft their jobs such that the jobs are better aligned with employee personal needs, abilities, and preferences, and in turn influences work engagement and performance. In the global environment changing, uncertain, not sure of the direction of organization, only the empowering leadership, to make members feel the satisfaction in their work, dedicated to the organization(문혜강, 2014). In addition, employees give their work meaning, and in this way, their job involvement is increased, leading to a change in their attitude(홍지인, 2016).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empowering leadership and job enthusiasm. Specifically, the effect of empowering leadership on job crafting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was verified, and the mediating effect of job crafting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was verifi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powering leadership and job enthusiasm. All employees working at Chinese financial companies were viewed as a population and aimed to generalize the research results, and in January 2022, employees working at various financial companies with direct supervisors were randomly selected and collected through an online survey. A total of 500 response data were secured, and 483 data, excluding insincere data,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The measurement tools were set based on previous studies, an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1.0 and AMOS 21.0 program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was verified. Looking at the results of the study, first, a study that investigated the effect of each dimensions of empowering leadership on each dimensions of work engagement showed that enhancing the meaningfulness of work, fostering decision-making participation, and providing autonomy had an effect on vigor. It was found that the effect of fostering decision-making participation and expressing confidence in high performance on dedication and the effect of only confidence in high performance on absorption. Second,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of Job Craft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powering leadership and work engagement, it was confirmed when the relationship between all the dimensions of empowering leadership excluding of enhancing the meaningfulness and each dimensions of work engagement. Third,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powering leadership and work engagement, it was confirmed when the relationship between all the dimensions of empowering leadership excluding of enhancing the meaningfulness and each dimensions of work engagement.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the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study,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were presented in the conclusion.

      • 제주지역 사회복지조직 내 임파워링리더십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 조직몰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료

        유은숙 제주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공공 및 민간사회복지기관에서 사회복지업무를 수행하는 종사자 339명을 대상으로 상급자의 임파워링리더십이 조직몰입을 매개로 하여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제주지역 사회복지조직 종사자들이 조직몰입과 조직시민행동에 집중할 수 있도록 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월 21일부터 3월 31일까지 도청, 행정시, 읍면동 사회복지분야 공무원 및 민간 사회복지기관 종사자 등 총 350부를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지를 배부하였고, 배부된 설문지 350부 중에서 성의 없게 응답한 11부를 제외하고 339부의 설문지가 사용되었다. 자료분석은 SPSS 24.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일원배치분산분석(ANOVA), 상관관계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제주지역 사회복지조직 종사자들이 인식하는 상급자의 임파워링리더십이 조직시민행동에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하여 분석한 결과 임파워링리더십은 조직시민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Arnold 등(2020)과 일치하여 제주지역 사회복지조직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상급자의 임파워링리더십이 조직시민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본 연구 결과를 지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사회복지조직 종사자들이 연령이 낮고 근무연수가 낮을수록 임파워링리더십 인식 수준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직원 개개인의 전문성과 역량발휘를 저해하는 위계적 관료문화를 탈피하고 신규직원의 주도적 참여를 유도하고, 협력적 문제해결 능력을 강화할 수 있는 상급자의 임파워링리더십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연구결과 사회복지조직 종사자의 조직몰입이 조직시민행동을 높이는데 영향력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사회복지조직 종사자들이 조직몰입도를 높이기 위해 상급자와 직원 간의 하향식 성과목표 설정 방법에서 벗어나서 능률성을 높이기 위한 조직관리와 개방적 의사소통 분위기를 조성하여 창의적이고 자발적인 업무성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긍정적인 지지 형성 등 조직문화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조직몰입이 향상되고 조직시민행동이 강화된다는 것은 사회복지조직 종사자들의 업무 능률향상과 업무에 대한 보람과 성취도 등을 고취시키고 궁극적으로 지역주민들에게 질 높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임파워링리더십은 사회복지조직에서 상급자의 바람직한 리더십의 역할모델로 제시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지역주민과 사회로부터 신뢰받을 수 있는 시스템 구축을 위해 필요한 리더십이라고 할 수 있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way for social welfare workers in Jeju to focu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o achieve this purpose, the effect of senior's empowering leadership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was investigated by targeting those in public and private social welfare institutions.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February 21 to March 31 and self-report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collected to a total of 339 employees of the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Jeju City, Seogwipo City, Eup, Myeon, dong, social welfare offices and private social welfare institutions. A total of 339 questionnaires were used in the analysis of this study, excluding 11 who responded insincerely. For data analysis in this study,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one-way analysis of variance(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PSS 24.0 program.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it was found that empowering leadership has a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is is consistent with the study of Arnold et al. (2020).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younger and shorter working period of the employees in the social welfare field are the higher the level of awareness of empowering leadership. Therefore, it is suggested to develop an empowering leadership program for seniors that can break away from the hierarchical bureaucratic culture and induce new employees to take initiative, and strengthen their cooperative problem-solving ability. As a result of the study, organization commitment has a high influence on enhancing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In order to increase organization commitment, top-down methods of setting performance goals between superiors and employees should be avoided.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organizational culture, such as forming a positive support culture that can maximize voluntary and creative work performance by creating an atmosphere of organizational management and open communication to enhance efficiency.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improvement i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strengthening of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enhance the work efficiency of employees in the social welfare field. Ultimately, they could provide high-quality services to local residents. This study was confirmed that empowering leadership can be presented as a role model for desirable leadership of superiors in the social welfare field and this leadership is essential to building a system that is trusted by local residents and local communities.

      • 항공사 객실승무원이 지각한 임파워링리더십이 친사회적 서비스행동에 미치는 영향 : 소속감의 매개효과와 셀프리더십의 조절효과

        이슬기 세종대학교 관광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727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 of Empowering-Leadership of Flight Attendant on Prosocial Service Behavior, and verifies the mediating effect of Sense of belonging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Leadership. To verify a hypothesis, a questionnaire was prepared through the review of prior study and 302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or a total of 2months from Febuary to March 2021 for cabin crew members who had worked at domestic airlines for more than one year. A total of 301 questionnaires were used in the study as the valid sample and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using a statistical package program SPSS 23.0 for windows.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and factor analysis and realiability analysis were performed to verify the realiabilityand validity of each measurement item. In addition, simple regress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ected to analyze the effect of empowering leadership percived by airline cabin crew on a sense of belonging and prosocial behavior.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nd Sobel test were conduct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a sense of belonging and hiera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med for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leadership.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hypothesis tes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effect of empowering leadership perceived by airline cabin crew on the sense of belonging, among the sub-factors of empowering leadership, example, coaching, and participatory decision-making, example and participatory decision-making, excluding coaching,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powering leadership's influence on pro-social service behavior, among the sub-factors of empowering leadership, example, coaching, and participatory decision-making, example and participatory decision-making, excluding coaching, affect pro-social service behavior. It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Third, the sense of belonging perceived by airline cabin crew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pro-social service behavior. Fourth, the mediating effect of a sense of belong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b-factors of empowering leadership (example, coaching, and participatory decision-making) on ​​the sub-factors of pro-social service behavior (service behavior within the role, service behavior outside the role, cooperat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a sense of belonging plays a significant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fluence of participatory decision-making on service behavior within the role and the influence of example on service behavior and cooperation outside the role. Fifth,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powering leadership and a sense of belonging, it was confirmed that self-leadership had no moderating effec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empowering leadership perceived by airline cabin crew is an important factor that can promote pro-social service behavior, which is an important factor that can lead to customer satisfaction and contribute to enhancing the positive image of the company. Therefore, through empowering leadership education, which is a prerequisite for promoting pro-social service behavior, implications for efficient human resource management are presented. 본 연구에서는 항공사 객실승무원이 지각한 임파워링리더십이 친사회적 서비스행동에 미치는 역할을 소속감의 매개효과와 셀프리더십의 조절효과에 관하여 문헌연구와 실증연구를 통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선행연구 고찰을 통한 설문지를 작성하였으며, 국내 항공사에서 1년 이상 근무한 객실승무원을 대상으로 2021년 2~3월 총 2달간 302부의 설문지를 회수하였고, 그중 불성실한 응답 1부를 제외한 301부를 연구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에 관한 분석은 SPSS 23.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조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각 측정항목의 신뢰성과 타당성 검증을 위한 요인분석 및 신뢰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항공사 객실승무원이 지각한 임파워링리더십이 소속감과 친사회적 서비스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단순회귀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소속감의 매개효과 검증을 위한 위계적 회귀분석과 Sobel Test, 셀프리더십의 조절효과를 위한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본 연구의 가설검증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항공사 객실승무원이 지각한 임파워링리더십이 소속감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 임파워링리더십의 하위요인인 솔선수범, 코칭, 참여적 의사결정 중에서 코칭을 제외한 솔선수범과 참여적 의사결정은 소속감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임파워링리더십이 친사회적 서비스행동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임파워링리더십의 하위요인인 솔선수범, 코칭, 참여적 의사결정 중에서 코칭을 제외한 솔선수범, 참여적 의사결정은 친사회적 서비스행동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항공사 객실승무원이 지각한 소속감은 친사회적 서비스행동에 유 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임파워링리더십의 하위요인(솔선수범, 코칭, 참여적 의사결정)이 친사회적 서비스행동의 하위요인(역할 내 서비스행동, 역할 외 서비스행동, 협동)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소속감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참여적 의사결정이 역할 내 서비스행동에 미치는 영향관계, 솔선수범이 역할 외 서비스행동과 협동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소속감은 유의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임파워링리더십과 소속감의 관계에서 셀프리더십은 조절효과가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항공사 객실승무원이 지각한 임파워링리더십이 친사회적 서비스행동을 촉진시킬수 있는 중요한 요소임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고객만족을 이끌어내며 기업의 긍정적 이미지 제고에도 기여할 수 있는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에 친사회적 서비스행동의 촉진을 위한 선행요인인 임파워링리더십 교육을 통하여 효율적 인적자원관리 방안에 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임파워링리더십이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직무스트레스, 상사지원인식, 및 조직지원인식의 역할

        장욱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상사의 임파워링리더십,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 조직몰입, 상사지원인식, 조직지원인식간의 관계를 밝히기 위해서 문헌조사와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진행하였다. 중국 진황도시 공안국의 315명 경찰들을 대상으로 설문하여 수집된 자료를 통계적으로 분석하고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해서 SPSS 24.0과 AMOS 18.0을 이용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첫째로 임파워링리더십은 종업원 직무스트레스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종업원의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로 직무스트레스는 종업원의 직무만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로 상사의 임파워링리더십이 종업원의 직무스트레스를 통해서 종업원의 직무만족,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조직지원인식은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 조직몰입의 관계에 조절효과가 없다는 것으로 나타나고 상사지원인식은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 조직몰입의 관계에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onducted by literature survey and questionnaire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supervisor's empowering leadership, job stress,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Perceived Supervisory Support, and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SPSS 24.0 and AMOS 18.0 were used to statistically analyze the data collected from 315 police officers in Qinhuangdao Public Security Bureau in China and to verify the research hypothe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empowering leadership has a negative effect on employees’ job stress and positively affects employees’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Second, job stress negatively affects employees’ job satisfaction and does not affect organizational commitment. Third, empowering leadership of a supervisor has an effect on employees’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rough job stress of employees. Finally,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shows that there is no control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perceived supervisor support has a moderating effect on job stress,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 팔로워십의 매개효과

        김경화 충북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사가 인식한 간호단위관리자의 임파워링리더십과 간호사의 조직시민행동의 관계에서 팔로워십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는 충북지역에 소재하는 상급종합병원의 간호단위에 근무하는 간호사 222명을 대상으로 2017년 6월15일부터 6월29일까지 시행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임파워링리더십의 도구는 Arnold 등(2000)이 개발한 38문항으로 구성된 도구를 김은경 등(2017)이 34문항으로 축소한 도구를 사용하였고, 팔로워십은 Kelly(1994)가 개발한 20문항을 간호 조직에 맞게 수정하고 보완한 신은숙(2003)의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조직시민행동은 Podsakoff 등(1990)이 개발하고 김현철(1999)이 번역한 총 24문항 도구를 장경화(2010)가 구성타당도 검증 후 15문항으로 축소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간호단위관리자의 임파워링리더십과 간호사의 팔로워십, 조직시민행동의 차이를 파악하기 위해 independent t-test, Mann-Whitney U와 one-way ANOV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Scheffé test로 사후검정하였다. 상관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팔로워십의 매개효과는 회귀분석과 Sobel test를 이용하였다. 간호단위관리자의 임파워링리더십은 5점에 3.83±0.62점으로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임파워링리더십은 성별(p=.016), 근무부서(p<.001), 현 근무부서의 만족도(p<.001)에 따라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임파워링리더십의 하위영역 중 솔선수범은 성별(p=.037), 근무부서(p<.001). 부서경력(p=.021), 현 근무부서의 만족도(p<.001)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참여적 의사결정은 근무부서(p<.001), 현 근무부서의 만족도(p<.001)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코칭은 성별(p=.018), 근무부서(p=.002), 현 근무부서의 만족도(p<.001)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보공유는 현 근무부서의 만족도(p<.001)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관심표출은 성별(p=.015), 근무부서(p<.001), 현 근무부서에 만족도(p<.001)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호사의 팔로워십은 5점 만점에 3.14±0.43점이며, 하위 영역 중 비판적 사고는 연령(p=.005), 결혼여부(p=.015). 학력(p=.045), 총 임상경력(p=.002). 부서경력(p=.045), 현 근무부서의 만족도(p<.001)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적극적 참여는 연령(p=.004), 결혼여부(p=.001). 총 임상경력(p=.005), 현 근무부서의 만족도(p<.001)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호사의 조직시민행동은 5점 만점에 3.43±0.43점이며, 하위영역 중 양심성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정당성은 학력(p=.014), 근무부서(p=.009), 현 근무부서의 만족도(p<.001)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민의식은 학력(p=.042), 현 근무부서에 만족도(p<.001)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예의바름은 현 근무부서에 만족도(p<.001)에 따라, 이타심은 근무부서(p=.042), 현 근무부서에 만족도(p=.017)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임파워링리더십, 팔로워십, 조직시민행동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간호단위관리자의 임파워링리더십과 팔로워십은 양의 상관관계(r=.22, p=.001)를 보였으며, 조직시민행동과도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r=.32, p<.001)를 나타냈다. 또한 팔로워십과 조직시민행동과도 양의 상관관계(r=.52, p<.001)를 나타냈다. 간호단위관리자의 임파워링리더십과 간호사의 조직시민행동 관계에서 팔로워십 매개효과(mediating effect)를 Sobel test로 검증한 결과, 간호단위관리자의 임파워링리더십이 간호사의 조직시민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팔로워십이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Z=3.07, p<.01). 단계 회귀분석 결과, 첫 번째 단계에서 독립변수인 임파워링리더십과 매개변수인 팔로워십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고(β=.22, p=.001), 팔로워십의 설명력은 5%로 나타났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독립변수인 임파워링리더십은 종속변수인 조직시민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β=.32, p<.001), 설명력은 10%로 나타났다. 세 번째 단계에서는 매개변수인 팔로워십이 종석변수인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검정하기 위해 임파워링리더십과 팔로워십을 예측요인으로 하고, 조직시민행동을 종속변수로 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팔로워십(β=.44, p<.001)과 임파워링리더십(β=.19, p=.003) 모두 유의한 예측요인으로 나타났다. 즉, 독립변수인 임파워링리더십의 3단계 표준화계수 β 값이 .19로 2단계의 .32보다 작아 팔로워십이 매개효과가 있으며, 독립변수인 임파워링리더십과 매개변수인 팔로워십이 모두 유의하여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시민행동의 설명력은 31.0%로 나타났다(F=34.05, p<.001). 본 연구결과 간호단위관리자의 임파워링리더십이 간호사의 팔로워십을 매개로하여 조직시민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는 조직성과를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음을 증명하였다. 따라서 간호단위관리자는 임파워링리더십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임파워링리더십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성적 노력이 필요하며, 조직차원에서는 이를 강화 할 수 있는 지원이 요구된다.

      •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임파워링리더십이 직무착근도와 서비스 지향적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양혜련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9727

        본 연구의 목적은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임파워링리더십과 직무착근도, 서비스 지향적 조직시민행동과의 구조적 관계를 파악하여, 항공사 조직의 인적자원관리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궁극적으로 기업 내에서의 중요한 인적자원인 객실승무원에 대한 적절한 인적자원관리 전략은 물론, 항공사기업의 질적 성장전략의 토대를 제시하는데 있다. 이러한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2017년 8월 1일부터 2017년 8월 31일까지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 객실승무원들을 대상으로 총 4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였으며, 회수된 표본 400개 중 결측치가 있는 1개를 제외한 399개의 유효표본을 분석에 사용하였다. 설문은 객실승무원들이 직접기입하는 방식인 자기기입법을 이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PSS 20.0의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사전 통계분석과 기초통계분석을 위한 신뢰도 분석과 탐색적 요인 분석을 실시하였고, AMOS 20.0을 사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과 구조 방정식 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임파워링더더십 요인 중 직무의미성 고취와 조직 자율성이 직무착근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참여와 성과확신은 직무착근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항공사 객실승무원들의 직무착근도는 서비스 지향적 조직시민행동과의 관계에 대한 가설검증 결과는 직무착근도가 조직충성, 서비스참여, 서비스제공 모두 유의한 정(+)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임파워링 리더십이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서비스 지향적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는 임파워링 리더십 요인 중 직무의미성 고취가 조직충성, 서비스참여, 서비스 제공 모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임파워링리더십과 서비스 지향적 조직시민행동의 영향관계에서 직무착근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임파워링리더십의 하위요인 중 직무의미성고취와 조직충성, 서비스참여, 서비스제공 행동과의 관계에서 모두 정(+)의 매개효과를 가지며, 부분매개효과를 가짐을 확인하였다. 다섯째, 항공사 객실승무원들의 근속연수에 따라 임파워링리더십과 직무착근도, 서비스 지향적 조직시민행동과의 관계에서 부분적인 유의한 조절효과가 있음을 검증하였다. 위의 연구결과를 통하여 항공사 객실승무조직의 리더의 임파워링리더십이 객실승무원들의 직무착근도를 높이는데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밝혀냈고, 직무착근도를 통해 서비스 지향적인 조직시민행동의 촉진에 큰 영향력이 있음을 실증하였다. 이는 임파워링리더십의 효과성을 검증함으로 임파워링리더십의 선행변수에 대한 확대와 더불어 직무착근도의 매개효과를 구체화하였으며, 서비스 지향적 조직시민행동의 구현에 긍정적인 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더불어 항공사 객실승무원들의 직무착근도의 함양은 임파워링리더십을 통해 서비스 지향적 조직시민행동을 촉진할 수 있는 핵심 연결 고리의 역할을 함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하여 항공사 객실승무원들의 효과적인 임파워링리더십의 효과와 중요성에 대해 연구함으로 효율적인 인사관리 방안에 대한 전략을 제시하였고, 직무착근도의 함양을 위한 방안과 서비스 지향적 조직시민행동의 촉진을 위해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at exploring the influence of the empowering leadership on job embeddedness and service-oriente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also, it examines the mediation effect of job embeddedne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mpowering leadership and service-oriente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In order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is study, total of 40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flight attendants of KAL and Asiana airlines from August 1, 2017 to August 31, 2017, and total 400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analysis among 399 collected questionnaires, after deleting 1 invalid questionnaires. The questionnaire was adopted self-administration, fill-up by flight attendants, and in order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the statistical program of SPSS 20.0 was used to perform reliability analysis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for preliminary statistical analysis and basic statistical analysis, and AMOS 20.0 was used for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The summary of this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Results shows that the Empowering leadership(enchancing meaningfulness of work, autonomy) meaning influences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flight attendants’s job embeddedness of flight attendants. Second, job embeddedness has been increased as service-oriente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loyalty OCB, participation OCB, servi ce delivery OCB) of flight attendants. Third, it was proved that empowering leadership(enchancing meaningfulness of work, autonomy) has been increased service-oriente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of flight attendants. Fourth, it is also found that the job embeddedness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mpowering leadership and service-oriente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of flight attendants. Fifth, it was proved that the Tenure moderates the effects of empowering leadership on job embeddedness and service-oriente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of flight attendants. Based upon this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the leader’s empowering leadership should be recognized and effectively applied to two kinds of variables mentioned above. Therefore, this study has confirmed the importance of empowering leadership by more materializing the mediating effect as well as the expansion of the predisposing variables of job embeddedness and service-oriente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Furthermore, flight attendants’s job embeddedness should be understood as a linking pin of the relationship process from the empowering leadership to service-oriente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Finally, on the basis of the results, the implications were discussed from the academic and practical viewpoints and some directions suggested for future studies.

      • 대기업 근로자의 혁신행동과 임파워링리더십, 조직학습 및 고용안정성의 관계

        임한려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726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대기업 근로자의 혁신행동 수준을 측정하고, 대기업 근로자의 혁신행동과 임파워링리더십, 조직학습 및 고용안정성의 관계를 구명하는데 있었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첫째, 대기업 근로자의 혁신행동 수준을 측정하고, 일반적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검증하였다. 둘째, 대기업 근로자의 혁신행동과 임파워링리더십의 관계를 구명하였다. 셋째, 대기업 근로자의 혁신행동과 임파워링리더십 관계에서의 조직학습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넷째, 대기업 근로자의 혁신행동과 임파워링리더십 관계에서 고용안정성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조사도구는 혁신행동, 임파워링리더십, 조직학습, 고용안정성, 그리고 인구통계학적 특성으로 총 60문항으로 구성된 질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예비조사와 본 조사를 통해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보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5년 9월 20일부터 10월 20일까지 총 한 달 동안 우편조사 및 온라인 설문 시스템을 활용하였다. 설문은 총 310부를 배포하여 272부를 회수하였고(회수율 87%), 이 중에서 무응답, 중복응답, 불성실응답 자료, 그리고 이상치 자료를 제외하여 243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유효응답율 78%). 자료 분석은 IBM SPSS Statistics 22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였고, 통계적 유의수준은 .05를 기준으로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등의 기술통계와 t검증, F검정 및 상관관계분석, 중다회귀분석 및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기업 근로자의 혁신행동 수준은 보통보다 약간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성별, 학력, 직무에 따른 혁신행동 수준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나 결혼여부, 고용형태, 연령, 근무기간, 직위에 따라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대기업 근로자의 혁신행동과 임파워링리더십은 유의한 정(+)의 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혁신행동과 임파워링리더십의 관계에서 조직학습은 부분 매개효과가 있었다. 조직학습의 매개효과 크기가 통계적으로 유의한지 Sobel test를 실시하여 검증한 결과 임파워링리더십의 하위요인 중에서도 자율성부여, 의사결정참여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혁신행동과 임파워링리더십 사이에서 고용안정성은 조절효과가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대기업 근로자의 혁신행동 수준은 보통보다 약간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 점수는 보통에 근접한 값으로서 대기업 근로자의 혁신행동 수준이 전체적으로 매우 높은 수준은 아니라는 점을 보여준다. 따라서 변화하는 기업환경에서 보다 높은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대기업 근로자의 혁신행동의 수준을 지금보다 높이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둘째, 대기업 근로자의 혁신행동과 임파워링리더십은 유의한 정(+)의 관계가 있었으며, 조직학습은 매개변수로서 효과가 있었다. 따라서 상사의 임파워링리더십을 강화하는 교육훈련을 실시하여 구성원의 혁신행동을 촉진할 수 있고, 조직학습 환경을 구축하여 혁신행동을 강화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대기업 근로자의 혁신행동과 임파워링리더십 사이에서 고용안정성은 조절효과가 있었다. 이를 통해 고용안정성이 혁신행동에 영향력을 미치는 다른 변인의 영향력을 강화시킬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고, 혁신행동이 조직의 성과에 정(+)의 관계가 있다는 선행연구에 비추어 볼 때, 기업은 보다 높은 수준의 혁신행동이 발현될 수 있도록 고용안정성이 높은 환경을 구축해야 할 것이다. 이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기업 근로자 외에 연구의 대상을 다양화 한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대기업 근로자의 혁신행동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종합적으로 구명하기 위해 임파워링리더십, 조직학습 외에도 개인차원, 집단차원, 조직차원의 다른 변인들을 함께 고려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동일 방법 사용의 문제(common method variance problem)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상사나 주변동료들에 의한 평가 방식을 사용하고, 심층 면접과 인터뷰 등 다양한 방법으로 보완할 필요가 있다. 연구결과의 활용 측면에서는 첫째, 기업의 HRD 담당자는 조직의 하위집단의 리더가 임파워링리더십을 향상시키는데 필요한 교육훈련프로그램을 제공함으로써 조직 구성원의 혁신행동 수준을 높이는 방안을 모색할 수 있다. 둘째, 혁신행동과 임파워링리더십 사이에서 고용안정성이 조절효과가 있으므로, 기업은 개인이 자신의 직위에 대해 안전함을 느끼고, 상황통제력을 높게 인식하도록 고용안정성에 대한 근로자의 주관적 인식을 높이는데 힘써야 할 것이다. 주요어: 대기업 근로자의 혁신행동, 임파워링리더십, 조직학습, 고용안정성 학 번: 2014-20714

      • 상사의 변혁적리더십, 거래적리더십, 임파워링리더십이 구성원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심리적 안전감을 매개효과로

        오인태 호서대학교 글로벌창업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711

        본 연구는 변혁적리더십과 거래적리더십, 임파워링리더십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또한 변혁적리더십과 거래적리더십, 임파워링리더십과 이직 의도 사이에서 조직구성원의 심리적안전감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변혁적리더십의 카리스마는 이직의도에 부(-)의 영향을 미친다. 반면 변혁적리더십의 지적자극, 거래적리더십의 상황적보상, 예외적관리, 임파워링리더십의 솔선수범, 정보제공, 관심표출은 이직의도에 영향을 주지 못하였다 둘째, 거래적리더십의 예외적 관리가 이직의도에 대해 부(-)의 영향을 미친다. 이는 업무 수행에 있어 불필요한 리더의 개입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존재함을 시사한다. 셋째, 심리적안전감은 카리스마와 이직의도 사이에서 매개역할을 하였다. 반면 변혁적리더십의 지적자극, 거래적리더십의 상황적보상, 예외적관리, 임파워링리더십의 솔선수범, 정보제공, 관심표출과 이직의도 사이에서 매개역할은 기각되었다. This study studied the effects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ransactional leadership, and empowering leadership on turnover intention. In addition, the significance of organizational members' psychological safety was verified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transactional leadership, empowering leadership and turnover inten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harisma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has a negative (-)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On the other hand, the intellectual stimulation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he situational reward of transactional leadership, exceptional management, the initiative of empowering leadership, the provision of information, and the expression of interest did not affect turnover intention. Second, exceptional management of transactional leadership has a negative (-)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This suggests that there is a negative perception of unnecessary leader intervention in job performance. Third, psychological safety played a mediating role between charisma and turnover intention. On the other hand, the mediating role between the intellectual stimulation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he situational reward of transactional leadership, exceptional management, the initiative of empowering leadership, the provision of information, expression of interest, and turnover intention was dismissed.

      • 임파워링리더십과 구성원의 직무배태성 및 직원몰입의 관계에 관한 연구

        신주엽 울산대학교 경영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711

        급변하는 대외 환경속에서 기업들이 생존하기 위해서 기업의 핵심자산으로 인적자원에 대해 점점 더 많은 관심을 가지기 시작하였으며 훌륭한 인재를 확보하는 것이 기업미래를 보장하는 최고의 자산이라는 점을 인식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속에서 조직의 구성원들로부터 최대한의 성과를 이끌어 내기 위한 리더의 리더십에 대한 보다 확대된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되었으며 그 가운데 구성원들에게 충분한 권한을 위임하여 구성원들이 조직의 최종 목표를 달성하게 하는 임파워링리더십이 관심을 얻게 되었다. 이와 더불어 이러한 권한을 위임 받은 우수한 경쟁력을 갖춘 구성원들이 조직에서 이탈하지 않고 조직에 소속감과 애착심을 가짐으로써 조직의 목표에 대한 직원몰입에도 영향을 미침으로써 조직의 성과 달성 및 지속적인 성장에 공헌 할 것으로 예측되어 진다. 그러나 지금까지 구성원들의 직무배태성과 직원몰입에 대해 연구한 실적은 전무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구성원들에게 권한을 위임하는 임파워링리더십이 직원들의 조직 잔류에 어떤 영향을 미치며 나아가 역량 있고 우수한 능력을 보유한 구성원들이 조직의 목표에 대한 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한다. 이러한 영향관계를 검증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과 매개회귀분석을 활용하였으며 울산 소재 제조업에 근무하는 235명을 대상으로 설문방법으로 자료를 취합하여 SPSS를 이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도출된 결과를 요약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리더의 임파워링리더십이 부하의 직무배태성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입증하였다. 둘째, 임파워링리더십은 구성원들의 직원몰입에 정(+)의 영향을 준다고 확인되었다 셋째, 구성원들의 직무배태성이 직원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검증되었다. 넷째, 직무배태성은 임파워링리더십과 직원몰입간의 부분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위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하여 리더의 임파워링리더십이 구성원들을 조직에 잔류하도록 하는 데 유의한 결과가 있다는 것을 밝힘으로써 조직의 리더들이 급변하는 환경 속에서 조직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우수한 직원들을 보유할 수 있는 리더십의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데 큰 의미를 둘 수 있었으며 이런 전문성과 능력을 겸비한 직원들은 조직에 더욱 더 몰입할 수 있다는 것을 밝힘으로써 조직 관리에 명확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중소기업 상사의 임파워링리더십이 심리적 주인의식을 매개로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조직공정성의 조절효과

        윤재희 중앙대학교 글로벌인적자원개발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711

        본 연구는 중소기업 내 상사의 임파워링리더십이 구성원의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심리적 주인의식의 매개효과와 조직공정성의 조절효과 및 매개된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이러한 변인관계를 실증함으로써 조직구성원의 혁신행동을 촉진시키기 위한 리더십 전략과 더불어 중소기업 조직의 관리자들을 위한 실용적 측면에서의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밝히고자 하는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임파워링리더십은 혁신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임파워링리더십과 혁신행동 간 관계에서 심리적 주인의식의 매개효과는 어떠한가? 셋째, 임파워링리더십이 심리적 주인의식을 매개하여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항에서 조직공정성이 조절역할을 하는가?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연구의 모집단을 국내 중소기업에 근무하는 사무직 근로자로 설정하여 2021년 10월 25일부터 11월 3일까지 총 350명을 대상으로 이메일, 휴대폰 문자 등의 방법으로 배포하여 불성실한 답변을 제외한 328부의 응답자료를 SPSS 26.0과 AMOS 26.0을 활용하여 최종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소기업 내 상사의 임파워링 리더십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살펴본 결과 임파워링 리더십은 혁신행동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임파워링리더십은 심리적 주인의식을 매개로 혁신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심리적 주인의식은 임파워링리더십과 혁신행동 간 관계에서 완전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심리적 주인의식과 혁신행동 간 관계에서 조직공정성이 정(+)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임파워링리더십이 심리적주인의식을 매개로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조직공정성은 심리적 주인의식의 매개효과를 정(+)적으로 강화하는 조절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한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소기업 구성원들의 자발적이고 적극적인 업무행동을 이끌어 내기 위해서는 리더의 역량을 개발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반드시 구성원들의 심리적 주인의식 수준을 제고해야만 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심리적 주인의식의 수준이 높은 구성원들의 혁신행동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조직이 공정하게 운영되고 있다는 인식을 주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중소기업에서는 상사의 리더십에 의한 직접적인 영향보다는 개인적인 특성과 조직의 제도적 기반이 뒷받침 되어야 구성원들이 조직의 목표달성과 업무혁신을 위해 자발적으로 노력하고 행동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ownership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justice in small and medium-sized corporation. By demonstrating this variable relationship, it presents practical implications for organizatinal managers and a leadership strategy to promote innovative behavior of organizational members. The research questions to be revealed through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does empowering leadershihp have a significant effect of innovative behavior? Second, what is the medi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ownership between empowering leadership and innovative behavior? Third, what is the moder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justice between empowering leadership, psychological ownership and innovative behavior? In order to verify the research questions, a survey was collected through e-mail and mobile for a total 350 people from Octobor 25, 2021 to November 3, 2021, by setting the research population employees working in a domestic small and medium-sized company. Except for unfaithful answers, the statistical program SPSS 26.0 and AMOS 26.0 were used for 328 questionnaire analysis.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empowering leadership did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innovative begavior in small and medium-sized company. Second, it was found that empowering leadership had positive(+) effect on innovative behavior through psychological ownership. In other words, psychological owenership was found to play a complete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powering leadership and innovative behavior. Third, organizational justice was found to play a positive(+)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ownership and innovative behavior, and organizational justice was found to play a positive(+) role in strengthening the medi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owenerhsip.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important that in order to elicit volountary and active work behavior of small and medium-sized company members, it is necessary not only to develop leadership capabilities, but also to raise the level of psychological ownership of members.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it is important to give the perception that the organization is operating fairly in order to strenthen the innovative behavior of members with a high level of psychological ownership. In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members will voluntarily strive and act to achieve the organization’s goals and innovative their work only when their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institutional foundations are supported rather than directly influenced y their supervisor’s leadershi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