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現代女性服飾의 特性및 그 意味에 관한 考察 : 第2次 世界大戰 以後부터 現在까지

        김미경 淑明女子大學校 1983 국내석사

        RANK : 248703

        女性服飾은 第2次世界大戰을 前後하여 많은 변화를 거듭하면서 現代的 服飾으로 變遷하였다. 그것은 과거에 비하여 流行의 週期가 빨라졌고 복식의 패턴도 다양하게 展開되었기 때문이다. 본 論文에서는 第2次世界大戰 以後 現在까지의 여성복식의 변화를 silhouette을 중심으로 考察하고 각 시대의 여성복식이 갖는 性格을 규명하고자 한다. 복식은 그 시대의 政治, 經濟, 社會, 文化, 藝術. 思想등 제반 環境的 要素가 人間의 身體를 통해 표출된 것이기 때문에 現代女性 服飾이 갖는 象徵的 意味를 分析함으로써 현대 사회에 있어서 服飾과 人間과 環境이 어떻게 조화를 이루면서 변화되어가는가를 살펴보고자 한다. 現代女性服飾을 개략적으로 區分하면 1947∼57년의 Christian Dior를 주축으로 하는 Line Silhouette 時代, 1958∼67년의 Classic Line과 Mini Look이 주를 이루는 Young Fashion 時代, 1968∼82년의 Classic Style과 Punk Fashion이 주류를 이루는 Layered Look 時代로 들 수 있다. 現代女性服飾에 나타난 特性과 意味를 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第2次世界大戰을 전후하여 여성이 社會에 활발하게 參與하면서 服飾에서도 女性解放運動을 찾아볼 수 있다. 2. 現代女性服飾은 活動性과 機能性이 강조되어 있으며 의복을 통한 남녀의 同化現象(unisex)이 점진적으로 증가되고 있다. 3. 旣成服産業의 發達과 의복의 casual 化로 여성복식에서의 階級差가 점차 平準化되었다. 4. 女性의 身體的인 아름다움을 服飾을 通해서 드러내고자 하는 욕구가 높아져서 現代女性의 服飾은 Eroticism의 성격이 강하다. 5. 現代女性服飾의 變遷은 현대의 文化나 藝術의 흐름과 밀접한 연관을 갖고 있다는 것을 確認할 수 있었다. Costume has developed constantly reflecting the spiritual aspiration and social and cultural phenomena of man. Especially modern women's costumes were greatly affected by the Second World War. And the velocity of fashion cycle has been doubled, patterns of costume have been ever more diversified. This paper aims to deal with the trend of modern woman costume in silhouette, together with the characteristics of each decade from the Second World War till now. Modern women's costumes can be categorized as follows: the period of Line Silhouette during the 1947-57; the period of Young Fashion during the 1958-67; the period of Layered Look during the 1968-82. The most startling development of post-war fashions was the "New Look" introduced by the couturier Dior in the spring of 1947. After this, the female silhouette changed from the previous stiff masculine shape to completely feminine forms. "A-Line", "H-Line", "Y-Line" silhouettes designed by him dominated women's fashions until 1957. After the period of Dior, the severely plain silhouette continued to grow in popularity and made interestingly and exciting by young women. Mini dress dominated the styles of the 1960s. Late in 1968. there was a nostalgic look backward to the fluff and lace beruffled classic styles of the 1920s and 1930s. During the 1970s agreed standards of fashion seem to have disappeared. But the general trend toward individuality and general commercialism continued throughout the 1970s. And yet clothing still displays a certain socio-cultural symbolism. Some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involved in modern women's costumes are as follows. 1. Following the expansion of post-war women's social and economic caliber, such a characteristics of emancipation of women is found in fashion mood. 2. Especially activism and functionalism are stressed in modern women's costumes, and the phenomenon of unisex is increasingly expressed. 3. In parrel with the development of ready-to-wear industries, class distinction by clothes has been reduced. 4. Modern women more and more try to express their bodily eroticism through the costumes. 5. Modern women's costumes have been developed in accordance with modern cultural and artistic stream.

      • 『중국여성 복식과 신체혁명 (1911~1935)』번역

        임은구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논문은 1911년 신해혁명으로부터 1935년 항일 전야에 이르는 25년간 중국사회의 변화의 물결 속에서 여성의 의복을 통해 드러나는 신체혁명의 서사를 풀어낸 『중국여성 복식과 신체혁명 (1911〜1935)』의 일부를 번역한 것이다. 원본은 1911년부터 1935년까지 25년간, 여성과 복식의 변천을 조망하며 봉건사회의 구습에 순응해왔던 여성이 사회변혁에 참여하거나 주체가 되어가는 과정과 그 결과가 복식을 통해 드러남을 보여주고 있다. 여성의 의복은 시기와 관점에 따라 남성중심사회의 필요에 의한 도구가 되기도 하고, 점차 여성이 주체가 되어 사회의 변혁의 선봉이 될 때에 그 변혁의 언어가 되기도 한다. 이전에는 왕조의 교체시기마다 변화하는 의례와 복식에 순응하였던 여성이 중화민국시기부터는 자신이 바로 자기 몸의 주체가 되기 위하여, 그리고 사회적 지위를 스스로 찾기 위한 투쟁을 한다. 이 기나긴 투쟁의 무대는 바로 연해의 대도시로 동서양의 문화가 결집하고, 정치 경제상으로도 매우 중요한 지역이었으며 당시에는 이러한 대도시가 혼란한 국가의 향방을 이끌어가고 있었다. 저자 우하오(吴昊)의 말을 빌자면, 복식은 희극과 마찬가지로 일종의 군중기억이며, 이를 통해 역사문화의 면모를 엿볼 수 있다. 또한 의복은 하나의 문화전달시스템이고, 일종의 신체언어이며 바로 “심리-생리-사회-정치”에 관련된 고사이다. 저자는 여성의 복장의 변화 양상을 모순과 충돌, 위기와 절정이 반복되며 희로애락이 넘지는 한 편의 통속극으로 비유하였다. 여기에는 다음의 내용이 포함된다. “꿈”――머리카락을 자르고 남장을 하여 남성의 지위 획득을 갈구하는 것, “고통”――가슴을 싸매고, 유방의 발육을 막는 것, “두려움”――일상적인 규범에 맞지 않아 봉건적인 금기조례를 위반하는 물의를 일으켜 징계를 받는 것, “욕망”――신체의 해방을 복장으로 드러내는 것, “분노”――단발에 짧은 옷을 입고, 사회개혁운동에 참여하고 더 나아가 북벌종군 및 항일을 하는 것 등이다. 원본은 1911년부터 1935년까지 시기의 흐름에 따라 구성하였으며, 중국의 격변의 시기에 한 편의 희극과도 같은 여성의 복식 변천과 복식을 통해 드러나는 여성의 사회적 지위와 역할의 변화 양상, 그리고 봉건사회의 억압으로부터 자유와 해방을 향해 나아가는 여성의 신체 혁명의 흐름을 파악할 수 있다. 핵심어: 여성복식, 복식조례, 복식혁명, 신체해방 本论文对描述了1911年辛亥革命到1935年抗日战争前夕的25年里中国社会的大变局中通过妇女服饰展现出来的身体革命相关内容的【中国妇女服饰与身体革命(1911〜1935)】的部分内容进行了翻译。 原文通过回顾1911年到1935年的25年中妇女和服饰的变迁来说明了可以从服饰了解到一直以来顺应封建社会旧习的妇女参与社会变革或是成为主体的过程和结果。 根据时期和观点,妇女的服饰有时会成为男性为中心的社会所需的工具;在妇女逐渐成为主体,成为社会变革的先锋时会成为变革的语言。过去一直顺应随着朝代的更替而变化的礼制和服饰的妇女在到了中华民国时期以后,开始为了自身能够成为自己身体的主体,并为找回社会地位而进行斗争。这个长久斗争的舞台就是沿海的大都会。在那里,中西文化汇聚,在政治、经济上举足轻重,在当时是这些城市领导着国家迈向不可知的未来。 引用吴昊的话来说,衣服是一个文化传播系统 (Cul tural Communication System), 一种身体语言,讲述的正是一个“心理一生理—社会—政治" ( Psycho- Physical - Social - Political) 的故事。 作者将妇女服饰的变化比喻成了充满着矛盾冲突,危机重重,而又高潮迭起,溢满喜怒哀乐的通俗剧。其中包含了以下的内容。 “梦想”(例如截发男装,渴求取得男性地位);“痛苦”(例如束胸,阻止乳房发育)尸恐惧" (例如因衣着不符常规, 触犯封建禁例,惹起非议,受到惩罚);“欲念”(例如解放身体,衣着暴露);“愤怒"(例如断发短衣,加入社会改革运动,甚至从军北伐及抗日)等等。 原文按照1911年到1935年的时代潮流进行了叙述,可以了解到通过中国大变革时期里像一篇喜剧一样的妇女服饰和服饰的变迁展现出来的妇女社会地位和角色变化,以及从封建社会的压迫走向自由和解放的妇女身体革命的趋势。 关键词:妇女服饰,服饰条例,服饰革命,身体解放

      • 전통 여성복식에 나타난 꽃문양을 상징화한 장신구 디자인 연구 : 조선시대 사계화를 중심으로

        민정 단국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48703

        This study aims at attracting aesthetic expression of traditional life and culture through analyzing figurative characteristics shown on the flower pattern of ladies' trimmings in the Joseon Dynasty period and utilizing obtained results for designing accessaries according to comtemporary tastes. Furthermore, this study set the goal thinking over meaning of "tradition" and groping for potential of Korean accessaries based on own beauty by applying figurative factors of such flower patterns to current accessaries. A pattern is a product of symbolic thinking and it expresses a period and sociality by formative characteristics which are expressed by a unique aesthetic of each country and race. Although many studies have done on traditional patterns of Korea, such studies have generally put much importance on physical characteristics of a pattern so far. In addition, a flower pattern among traditional patterns has much wider kind range and it has its own symbolic meaning. This study set ladies' trimmings which has strong decorative factors among many patterns in the Joeseon Dynasty period as the standard and examines the flower pattern which had been loved most by women at that time. Therefore, this study would like to progress and design the flower pattern in order to give it modern and international university through symbolism and figurative meaning of Korean traditional characteristics. For such purpose, figurative characteristics of the flower pattern were analyzed through documents study and practical study on remains and, based on studeis performed, 9 pieces of works were designed and produced. Results from the studie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flower pattern on ladies' trimmings is the one expressed by sublimating color sense and figurative recognition of ancestors, so figurative characteristics from it was used to recreate traditional beauty by applying to the accessary design. Second, pursuing image application and figurative expression of the flower pattern, recreated modern design for accessaries could be expressed by adding modernity on the traditional flower pattern. Third, the flower pattern shown on ladies' trimmings was appropriate to express modern figurative beauty and it was proved that the flower pattern is the right material meeting both creativity and artistry at the same time. This study inquired into figurative characteristics of the flower pattern, figured out possibility to utilize the flower pattern by understanding figurative beauty and aesthetic value of it, and presented possibility to use and develop Korean cultural remains internationally through the accessary design. 이 논문은 조선시대 여성 복식의 꽃문양에서 나타난 조형특성의 분석을 통해 전통생활 문화에서의 미적 표현을 추출하고, 이를 현대적으로 표현하여 장신구 디자인에 활용하고자 한다. 특히 여성복식에 나타난 꽃문양의 조형 요소들을 장신구에 적용함으로서 전통에 대한 의미를 되새기고 장신구에 여성스러움과 현대적인 감각으로 디자인 연구하여 우리나라 고유의 발전 가능성을 모색하는데 목적으로 한다. 문양은 상징적 사고의 산물이며 각 나라와 민족의 독특한 미적취향에 의해 표현되는 조형성으로 그 시대와 사회성을 표현한다. 지금까지 일반적으로 한국 전통문양의 이용한 연구들이 많으며 문양에 나타나는 외형적인 면을 중점으로 연구돼 왔던 것이 통례적이다. 또한 전통문양 가운데 꽃문양은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것보다 종류가 다양하고 그 나름의 상징적 의미를 지니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조선시대 여성 복식을 장식한 문양 중에서도 장식적 요소가 강했던 여자 복식을 기준으로 삼았으며 조선시대의 여성 복식에서 나타나는 전통문양 중 가장 많이 사랑 받았던 꽃문양에 대해서 연구ㆍ조사하였다. 따라서 연구자는 한국 전통성을 부여하고 꽃문양의 상징과 조형적 의미를 통해 현대적이면서도 세계적인 보편성을 가질 수 있도록 조형성을 이용하여 하나의 패턴으로 문양을 전개, 디자인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문헌 조사 및 보전 유물의 실증적 자료의 연구를 통하여 꽃문양의 조형적 특성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총 9점의 작품을 디자인하고 제작하였다.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여성복식에서 나타난 꽃문양은 우리 조상들의 색채감각과 조형의식을 일상생활속의 미감으로 승화시켜 표현한 것으로, 그 조형성을 장신구 디자인에 응용하여 전통미를 재창조하는데 적절한 소재가 되었다. 둘째, 꽃문양의 이미지 응용과 조형성 표현을 추구함으로써 기존의 전통 꽃문양에서 보여 지는 문양에 부가하여 현대적 느낌이 나는 모던한 이미지 등 장신구의 다양한 응용 물로 표현할 수 있었다. 셋째, 여성 복식 문양에서 나타난 꽃문양은 현대적 조형미를 표현하는데 적절했으며, 디자인에서 독창성과 예술성을 동시에 만족시켜 표현할 수 있는 의미 있는 창조의 역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꽃문양에 대한 조형성과 그 특징을 밝혀보고 전통문양 중 가장 많이 사랑 받았던 꽃문양에 내재되어있는 조형미나 미적 가치 등을 이해함으로써 현대장신구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해 보며 장신구 디자인을 통해 우리의 문화유산을 세계적로 알리고 활용, 발전돼 갈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 하였다.

      • 20세기 전반기 미국여성 복식에 대한 연구 : 1910-1950년을 중심으로

        손미숙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1987 국내석사

        RANK : 248703

        복식은 우리 신체와 밀착된 문화의 일부분이라 할 수 있다. 문화가 그 시대의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 제 요인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변화되어 가듯이 복식도 그러한 요인과 관련을 맺고 변화되어 가는 것이다. 그런데 세계사적인 시점에서 볼 때 1910년대부터 1950년 사이는 제 1,2차 세계 대전이라는 큰 정치적 사건이 일어나 변화가 극심했던 시기라 할 수 있다. 이 시기 동안에 여성 해방 운동이 활발히 전개되었으며 교통, 무역의 획기적인 발전과 아울러 기계 생산, 섬유의 가속적 혁신이 이루어졌다. 그로 인해 복식의 일반 사회화와 세계화가 행해져 복식 유행의 시기를 이루어 오게 된 것이다. 복식사에서 이 기간 동안에 일어난 가장 주목할 만한 일은 패션계를 수 세기 동안 점유해 오던 프랑스 하이 패션(high fashion)이 제1,2차 세계 대전을 계기로 사양화 현상을 나타냈으며, 이른바 미국이 패션의 중심지로 부상하게 된 현상이라 하겠다. 미국은 제1,2차 세계 대전을 계기로 세계적인 경제적 지위를 확립하게 되어 최대 강국으로 올라 서게 되었다. 이 당시 유럽 여러 나라들이 전쟁으로 고통받고 있을 때에 미국은 무기, 군수품, 원료, 식량 생산에 주력하여 부를 축척하게 된 것이다. 이 당시 미국 여성들은 정치적 참정권 획득으로 인하여 경제적으로 독립하는 여성이 많아지게 됨에 따라 그들의 생활 방식이 변화 되어 여성의 복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또, 영화 배우들이 미국 여성 복식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미국의 의류업자들은 프랑스의 유명 디자이너(designer)들의 디자인을 사다가 그것을 단순화하여 대량 생산하는 기성복 산업을 성행시켰다. 미국의 젊은 세대들은 그들의 성 개방 풍조 및 자유사상, 재즈(Jazz)의 보급, 야외 스포츠 발달 등으로 스포츠 웨어(sports wear)와 캐쥬얼 웨어(casual wear)를 유행시키는데 큰 몫을 담당하기도하였다. 이러한 미국인의 개척 정신과 실용주의 사상을 배경으로 형성된 캐쥬얼 웨어는 현대 민주사회의 기본 개념인 자유, 평등, 사상을 근저로 하였기 때문에 오늘날, 여성복으로까지 계속 이어져 내려오게 된 것이다. 그러나 제1,2차 세계 대전을 계기로 일시적으로 패션의 중심지가 미국으로 옮겨지긴 하였으나 미국은 주로 기성복 패션과 그들의 민속 복식 및 캐쥬얼 웨어를 세계적으로 유행시키는데 큰 역할을 하였을 뿐이며 하이 패션을 주도하는 데에 있어서는 프랑스의 영향력을 무시할 수 없다고 하겠다. Generally speaking, 'the fashion' is a part of our culture which is adhere to our body. Just as the culture have been changed in the intimate relations with every political, economical and social all of factors, the fashion also have been changed in that relations. The period of 40 years (1910-1950) had been a time of great change, 'cause the breaking of the great historical events so called 'the 1st and the 2nd World wars. During this time the movement of the emancipation of women had been vigorously done. And the machine productions and fibers are innovated with increasing speed and long with the epochal development achievements in the traffic and trade. Cause by these, fashions generalization and internationalization had been accomplished and hence the times of fashion had established and arrived. In the history of fashion, the most noticeable facts in this period were France high fashion who had been occupied fashion world few centuries fell into the shade by reason of the 1st and 2nd World wars and America rose as a center of fashion world. Upon the opportunity of the 1st and 2nd World Wars, America established her economical position in the world and rose to the strongest country. So America stored the wealth due to concentrated her effects on production of arms, war supplies, materials and provisions when many countries of Europe suffered from war. At that times, American women who become economic independent with acquisition of political rights were increased. So their living form was changed and it influenced their dresses directly. Another greatest influence on American women's fashion was stage costumes of actor and actress. American traders concerned clothing had bought designs of French famous designers and made their ready-to-wear industry prevalent. The rising generation of America played on important part in fashion of sports wears and casual wears by reason of their tendency of free-sex, liberal ideas, propagation of jazz, growth of field sports and etc.... The casual wears which formed in background of the frontier spirit and idea of pragmatism have been existed up to this days fashion of women, for it had idea of liberty and equality which are the basic idea of democratic society as a foundation. It is true that the central place of fashion move into America for a time by the moment of the 1st and 2nd World war, but America only played great role in fashion spreading of ready-to-wear industry, folk costumes and casual wears internationally. So we could not ignore France's influencing power in leading 'high fashion'.

      • 청대(淸代) 여성복식에 나타난 자수문양(刺繡紋樣) 연구

        김지윤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8703

        중국은 20세기말부터 눈부신 경제성장을 바탕으로 중요한 소비 시장과 세계 경제 성장의 원동력으로서 '보다 큰 중화권'에 대하여 피력하기 시작했다. 따라서 최근 세계의 관심이 중국에 주목되고 있으며, 이에 힘입어 패션의 주목 또한 중국의 경제성장과 함께 중국문화에 집중되는 것으로 연결되고 세계 각 디자이너들은 중국적인 모티브가 가득한 복식과 전통 공예품에까지 지속적인 관심을 보이고 있다. 이런 시점에서 본 연구는 현대 중국과 시대적으로 가장 가깝고 자료가 풍부한 청대(淸代)의 여성복식을 대상으로 자수문양에 대하여 분석을 시도하였다. 각 민족이나 시대의 특성에 따라 변화를 거듭해 온 자수문양의 기원 및 발달 양상과 함께 중국여성복식과 청대여성복식에 대한 사적 고찰을 하였으며, 수놓인 여성복식 171점을 대상으로 하여 문양의 종류, 배치, 구도, 색채, 재질감 및 기법 등을 사진 자료와 초상화 위주의 고찰을 통하여 분석하였고, 이에 따른 연구 결과로서 두 작품의 디자인을 제시하고 제작하였다. 청대 여성복식에 표현된 자수문양의 조형성은 다음과 같다. 청대 자수문양은 복합적이며 다양한 구성을 보인다. 하나의 장식공간에 여러 가지 길상도안을 수놓아 보다 다양하면서도 현세 기복적인 바램을 표현하였다. 식물문 보다는 동물문이 신분을 상징하는 복식에 많이 사용되었으며, 꽃과 같은 식물과 나비, 새, 박쥐 등의 동물들과 함께 표현하여 길상적인 의미를 표현하였다. 또한 문양의 배치는 복식의 중앙과 가장자리 장식에 많이 나타났으며, 수놓인 문양은 대부분 대칭을 이루거나 일정한 형식을 기준으로 특정 부분에 배치되어 전체적으로 균형감있는 구성을 보인다. 다양한 색상의 푼사 평수로 면을 메워 금사징금으로 외곽선을 두르거나 사슬수로 다양한 곡선을 수놓고, 금사징금으로 치밀하게 면을 메우는 등의 섬세하고 사실적인 기법을 사용하여 문양을 더욱 화려하게 표현하였다. 종합적으로 살펴보면, 청대 여성복식에 나타난 자수문양에는 당대 여성들이 희구했던 현세 기복적인 바램들이 내포되어 있으며, 일련의 문양들을 그들이 선호한 다채색의 색감과 금사로 화려하고 세밀하게 수놓아 복식을 장식 하였으며, 황후나 황족들은 신분을 상징하는 각종 문양을 균형잡힌 구도와 섬세하고 치밀한 수법을 통해 표현함으로써 문양의 시인도를 높여 착장자의 위엄과 지위를 과시하였다. 조형성을 토대로 추출된 조형미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칭 구도와 도안화된 문양, 일정한 위치에 배치되는 형식과 문양의 색과 기법에 있어서의 사실적인 표현 등으로 완성미를 보인다. 둘째, 신분을 상징하는 각종 동물문을 사용하여 착장자의 권위와 위엄을 표현하였으며, 회화풍 구도나 금사의 사용을 통해 주문의 시각적 주목성을 강조하여 착장자의 존귀함을 드러냄으로써 인격미를 보인다. 셋째, 여러 종류의 길상문을 장식공간에 집중적으로 표현하여 길상적 우의를 집약시킴으로써 길상미를 표현하였다. 작품은 청대 여성들이 가장 선호한 꽃문양을 응용하여 화려한 청의 자수문양의 이미지와 부합되는 아이템인 파티복을 디자인하여 독특하고 화려한 자수문양의 응용사례를 제시하는데 의의를 두고 제작하였다. 청대 자수문양에 나타난 특징은 개성있는 디자인을 개발해 내는 한 요소로서 장식적인 강조를 통하여 부가가치적인 새로운 상품을 제시하고, 문양 뿐만 아니라 색채 기법 등을 현대적 감각으로 재창조하여 독창적이고 국제적인 디자인을 개발해 내는데 필요한 자료로서 활용가치에 의의를 두고자 한다. China, from the end of 20th century, started to express "bigger Chinese circle" based on brilliant economic growth as a main consumer market and a mainspring of world economic growth. Therefore, global interest was focused on china. With this kind of fact, also attention for fashion industry and economic growth of china joined to be a concentration on Chinese culture. So, designers from all over world even interested in traditional artifacts as well as wardrobe with full of Chinese motive. From this point of view, analysis on embroidery pattern of woman's wardrobe in Qing dynasty era, which has abundant references and very similar to modern China in timely, was tried in this study. Historical consideration on Chinese woman's wardrobe and woman's wardrobe in Qing dynasty era and origin and development phase of embroidery pattern that changed over and over along with characteristics of each era and race were performed. Moreover, types of pattern, arrangement, composition and colors, materials, technique were analyzed through the consideration on pictures and portraits. As a result of this study, two artworks' designs were made and presented.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embroidery pattern on woman's wardrobe in Qing dynasty era were analyzed as follow. Embroidery pattern on woman's wardrobe in Qing era has various compositions. Through the embroidery of various lucky physiognomy designs on a single decoration spot, they expressed various and temperamental hopes. Rather animal pattern than plant pattern was used to present social status and plants like flowers embroidered with animal such as butterfly, bird and bat to show the meaning of lucky physiognomy. Moreover, the center and the edge of wardrobe used for arrangement of pattern and most of embroidered patterns symmetrically arranged or arranged on specific spot as certain foam to be seen as a balanced composition. To express more magnificent pattern, delicate and realistic technique such as filling of surface with various colored floss flat embroider, outer lining with gold threaded emblem, various curve embroidering with chaining embroider and filling of surface with gold threaded emblem were used. As we look synthetically, embroider pattern on woman's wardrobe in Qing dynasty era contains temperamental hopes that desired by woman in those days. Moreover, a series of patterns decorated their wardrobe through delicate and magnificent technique with gold thread and various colored thread that they prefer in those days and empress and royal family demonstrated their majesty and status through various embroiders that symbolize their status with expression technique of delicate and elaborate embroider and balanced technique. Formative beauties abstracted with the basis of formative art as follows. At first, shows the beauty of perfection by symmetrical composition and designed pattern, arrangement foam on fixed spot and realistic expression on technique and color of embroider pattern. Second, shows the beauty of personality thorough display of nobility of accoutered person by emphasis on visual attention of pattern through the use of gold thread and pictorial composition and express majesty and nobility of accoutered person with the use of various animal pattern that symbolize their status. Third, shows the beauty of lucky physiognomy with concentration of implication on lucky physiognomy through concentrated expression of various lucky physiognomies on decorating spots. A work was completed with the basis of presentation of application example of characteristic and magnificent embroidery patterns of flower that was mostly preferred by woman in Qing dynasty era on design of party dress which is corresponding item with brilliant embroider pattern of Qing dynasty era. The characteristics appeared on embroider patterns of Qing dynasty era can be a kind of elements to develop individual design and can be utilized as data to develop creative and global design through re-creation of pattern, color and technique with modern sense and to present valuable new product through emphasis on decoration. The meaning of this study is the value of practical use of above facts.

      • 중국 여성복식에 나타난 남성화 현상에 관한 연구

        장서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02

        중국 여성복식에 나타난 남성화 현상은 유구한 역사에서 나타난 변화의 한 과정으로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중국의 사회적, 정치적 역사와 여성주의운동과정에 대하여 파악하고, 여성복식에 나타난 남성화 현상의 변천 과정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연구의 목적은 첫째, 고대부터 현재까지 중국 여성복식에 나타난 남성화 현상의 특성을 분석하고, 둘째, 현대 여성복식에 나타난 남성화 디자인특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중국 여성복식에 나타난 남성화 현상을 알아보기 위해 한국과 중국에서 발표된 선행연구, 문헌조사, 신문기사와 사례 분석, 인터넷 자료를 통하여 중국 고대부터 현대까지 여성복식에 나타난 남성화 현상에 대해 고찰하였다. 이와 따라, 중국 여성복식에 나타난 남성화 현상을 20세기 이전, 20세기, 21세기 3 부분으로 나누어서 연구하고자 한다. 연구내용요약은 다음과 같다. 첫째, 봉건사회에서 남녀의 성 개념 차이로 차별되었던 복식은 남존여비(男尊女卑) 사상의 반영이었고, 여성을 통치하는 수단이었다. 중국 역사에서 여성이 남성복을 착용하고 전쟁, 정치, 교육이나 민족혁명 등의 사회적 분야에 참여하는 행위는 남성의 옷으로 상징되는 남성의 몸을 빌어 여성으로는 할 수 없는 재능과 이상을 표출하는 것이었다. 그리하여, 이러한 현상은 전통 봉건적인 남존여비(男尊女卑), 삼종사덕(三從四德), 삼강오상(三綱五常)의 사상적 관념에서 벗어난 여성의 개성자유, 여성해방과 남녀평등 등의 반항행위였다. 이에 따라 20세기 이전에 중국 여성복식에 나타난 남성화 현상은 주로 여성이 남성복을 착용하는 것이었으며, 그 특성을 남성의 역할, 개성 및 자유 추구와 남녀평등 추구 정리하였다. 둘째,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20세기 서구의 여성주의사상의 유입으로 영향을 받은 각종 여성해방운동이 일어났으며, 여성복식의 남성화 현상을 심화시켰다. 여성주의의 영향뿐만 아니라 당시 중국의 사회문화적, 특히 독특한 정치적 상황에서 정치성을 갖는 남녀동장(男女同裝) 현상으로 인하여 여성복식의 남성화 현상은 매우 급속히 진행되었다. 여성들이 처음에 남성 장포를 입었다가 점차 남녀구별 없이 레닌복(列寧裝), 인민복(人民裝), 군편복(軍便裝)을 주로 착장하여 유행시켰다. 특히, 문화대혁명 시기에 좌경사상(左傾思想) 영향 때문에 무성차(無性差)와 정치성의 복식이 나타났으며, 남녀동장(男女同裝)으로 등장하였고 이것이 바로 당시의 두드러진 특징이었다. 이러한 점에서, 20세기 중국 여성복식에 나타난 남성화 현상의 특성을 여성주의 영향, 당시의 정치적 상황과 개혁개방으로 정리하였다. 셋째, 21세기 사회가 다원화되고 빠르게 발전함에 따라 중국 여성복식에 나타난 남성화 디자인이 다양하게 변화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2009년부터 2013년 상해패션쇼에 나타난 남성화 디자인을 사례분석을 통하여, 남성복 착용, 남성복 디자인요소 적용, 남성복과 여성복 혼용, 코디네이션 총 4 가지를 연구하고자 한다. 이에 따라, 21세기 현대 사회에 들어서면서 여성복식에 나타난 남성화 현상이 다원화로 변화되어지며 여성복식은 국한된 사상과 정치적 사상에서 벗어나서 여성복식의 남성화가 필연적인 트렌드로 되었으며, 여성의 개성과 자유, 독립성과 자주성(自主性)을 추구하기 위한 남성화된 복식으로 표현하였다. 따라서, 중국 여성복식에 나타난 남성화의 변화과정을 살펴보면, 여성복식의 남성화 현상이 다원화되고 현대 패션의 트렌드로 형성되는데 미친 영향을 알 수 있다. 또한, 중국 여성복식에 나타난 남성화 현상은 여성의 개성과 자유를 추구하는 심리 특성의 표현뿐만 아니라 사회, 정치, 경제와 문화 등 다방면의 현상에도 반영하는 것을 알 수 있다.

      • 20 세기 초 치파오와 아오자이의 혁신과 근대적 성격 비교 연구

        LIAN HUIQI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701

        This study examines women's costumes in modern China and Vietnam through the mass media of the time and focuses on the new dresses of cheongsam and ao dai, which were born in China and Vietnam in the early 20th century. In addition, the complex factors behind the changes are explored to clarify the birth of the two costumes and their significance in their time. This study aims to approach modern women's dress through social and cultural aspects, and to uncover the hidden side of the costume change.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the 1920s-1940s Shanghai-style Cheongsam and the original modern ao dai, Lemur Ao Dai. Both costumes were born and developed after the 1920s. Both costumes became popular in the 1920s and became representative national costumes for women in modern China and Vietnam. Entering the Second World War period, the development of Chinese and Vietnamese costumes was almost at a standstill, and with the change of political policy direction, the cheongsam and ao dai were regarded as symbols of the bourgeoisie, and their development was restricted. Chapter 2 describes the background of the emergence of the cheongsam and ao dai, depicting the birth of the cheongsam and the ao dai through the activities of costume reformers. Then, analyzes the urban cultural background and modernity of modern China and Vietnam. Chapter 3 focuses on the "outside" and "inside" of dress culture. First, the material and color changes of cheongsam and ao dai with the introduction of Western aesthetic concepts and the development of textile technology are specifically examined. Then, through the morphological changes of the cheongsam and ao dai,  analyzed the politics of the female body as projected by the dress reform and the re-establishment of the female image in modern times. Chapter 4 builds on the above analysis by describing the achievements and limitations of the two dress reforms. Under the impact of Western culture and aesthetic concepts, the reform of cheongsam and odyssey broke through the traditional cultural defense in the collision of old and new ideas, opened up the road of modern dress with humanized design and practicality, and became the symbol of modern clothing concept gradually towards openness. But the process of reforming the cheongsam and the ao dai is rife with male gazes and national messages. In the early 20th century, China and Vietnam seemed to have eliminated the class nature of feudal dress and women had the right to dress freely, but in essence, women's every move was still under the control of men and the state government. The reform of the cheongsam and the ao da was ultimately a dress reform in which women failed to become the subject. In conclusion, the birth of the two women's costumes in the 20th century was a symbol of the modernity of the dominance of Western powers over the China and Vietnam. The popularity of cheongsam and ao dai, and the establishment of modern femininity standards were driven by the common social actors (the national government, men) and the mass media in both countries at the time. The cheongsam and the ao dai, born in the early 20th century, can be described as "the contest between the ancient feudal society and the modern industrialized society". In the context of the national renaissance, they became the "oppression of the female bod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male elite" and the resulting "violent modern historical product". In summary, this study examines women's clothing in modern China and Vietnam through media materials of the time, focusing on the new dresses of cheongsam and ao dai, which were born in China and Vietnam in the early 20th century. In addition, it analyzes the complex factors behind the changes in dress and their significance in the times. Based on this awareness, this study attempts to review the hidden meanings of modern women's dress changes from the social and cultural levels. 20世纪初,中国和越南从传统农业文明向现代化工业文明转型。近代中国与越南服饰变革便发生于这一动荡变革的时期,与西风东渐的背景密不可分。在这场服饰变革中,中国和越南的近代女性民族服饰,即旗袍和奥黛诞生了。本研究旨在从社会和文化层面接近中越近代女性服饰,揭开服饰变革背后的复杂动因。   本文的研究对象是20世纪20年代至40年代的海派旗袍和雷穆(Le mur)奥黛。这两种女性服饰在20世纪20年代开始流行,成为近代中国和越南妇女的代表性服装。第二次世界大战期间,中国和越南的服饰发展进入停滞期,随着政治政策导向的转变,旗袍和奥黛被视为资产阶级的象征,其发展受到限制。 论文包括三个主体部分:第二章从梳理了旗袍和奥黛诞生的历史背景,通过两国服饰改革家的活动勾勒出旗袍和奥黛的诞生过程,分析了两国的都市文化背景和近代性。第三章从服饰造型要素变化和当时的社会文化背景出发分析了旗袍和奥黛变革中体现的服饰文化的 "表" 与 "里"。首先,具体考察了随着西方审美观念的引入和纺织技术的发展,旗袍和奥黛的布料和色彩的变化。通过旗袍和奥黛的造型,审美理念的变化分析了服饰改革过程中投射于女性身体的政治性,以及近代中越女性形象的重构。第四章在上述分析的基础上,讨论中越近代女性服饰改革的成就和局限。在西方文化和审美观念的冲击下,旗袍和奥黛的改革在新旧观念的碰撞中突破了传统文化的防线,以更加实用性的设计开辟了近代服饰之路,成为中越服饰观念逐渐走向开放的标志。但旗袍和奥黛的改革过程却充斥着男性凝视和国族话语。20世纪初,中国和越南消除了封建时期传统服饰的阶级性,女性看似有了自由着装的权利,但实际上,女性的一举一动仍在男性精英和国家政府的控制之下。旗袍和奥黛虽然是近代女性服饰改革的产物,但女性却没能成为这场改革的主体。 20世纪初,旗袍和奥黛的革新可以说是西方文化理念之下投射出的中国和越南近代性的象征。旗袍和奥黛的流行以及近代女性审美标准的建立是由当时两国的共同社会主体(国家政府、男性精英)和近代舆论媒体所推动的。20世纪初旗袍和奥黛的诞生,可以说是一场 “古代封建社会与近代工业化社会的角力”,在民族复兴的背景下,二者成为 “男性凝视和国族话语对女性身体的规训的具象物" 以及由此产生的 "暴力的近代历史产物”。可以说旗袍和奥黛迈出了中国和越南近代女性服饰的第一步。综上所述,本研究通过当时的新闻报刊资料考察了20世纪初旗袍和奥黛的诞生过程,剖析二者造型变化背后的复杂动因,揭示了服饰变革与社会文化变革的内在联系和时代意义。ᅠ 본고의 연구 범위는 1920~1940년대이며, 구체적인 연구 대상은 하이파(海派) 치파오와 현대 아오자이의 초기 형태인 르 뮈르(Le mur) 아오자이다. 이 두 복식은 모두 1920년대 이후 나타나고 발전된 복식이다. 두 복식은 1920년대에 유행하기 시작했고 근대 중국과 베트남의 여성 국복(國服)이 되었다. 2차 세계대전 시기에 들어, 중국과 베트남의 복식 발전은 거의 정체하게 되었으며, 정치적 정책 방향의 전환으로 치파오와 아오자이는 부르주아계급의 상징으로 여겨져 발전이 제한되기에 이른다. 본론 제2장은 치파오와 아오자이의 등장 배경, 즉 복식 개혁가들의 활동을 바탕으로 한 치파오와 아오자이의 탄생 양상을 그려냈다. 또한 두 복식 등장 배경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석하였다. 제3장은 치파오와 아오자이의 근대적 성격을 복식 문화의 '안’과 '밖’으로 분석했다. 우선 서구 심미 관념의 도입과 방식 기술의 발전으로 이루어진 치파오와 아오자이의 구체적인 재료 변화를 살펴봤다. 다음은 치파오와 아오자이의 형태 변화로부터 출발하여 복식과 몸의 변화, 복식 개혁으로 투사한 여성 신체의 정치성, 그리고 여성 이미지의 재정립을 발굴했다. 제4장은 전술한 분석을 바탕으로 두 복식의 성취와 한계에 대해 다루었다. 성취에 대하여 서양 문화와 미적 관념의 충격으로 치파오와 아오자이의 개혁은 신구 사상의 충돌 속에서 전통적인 심리 경계선을 뚫고, 인간적인 디자인과 실용성으로 근대 복식의 길을 열어서 근대 시기 복장 관념이 점차 개방으로 나아가는 징표로 변모되었다. 그러나 치파오와 아오자이의 혁신은 남성적 시각과 국가적 메시지를 강력하게 담았다. 20세기 초 중국과 베트남에서 여성들은 자유롭게 옷을 입을 권리를 갖게 된 것처럼 보이지만, 본질적으로 여성의 일거수일투족은 여전히 남성과 국가 정부의 통제 아래 있었다. 치파오와 아오자이의 개혁은 결국 여성이 주체가 되지 못한 복식 개혁이었다. 결론적으로 20세기 초의 두 여성 복식의 혁신은 중국과 베트남이라는 동양에 대한 서구 열강의 지배라는 근대성이 투사된 상징물이자, 양국 근대 여성 복식의 시발점이었다. 치파오와 아오자이의 유행과 근대 여성성 표준의 확립은 당시의 양국 공통적인 사회적 주체(국가 정부, 남성), 그리고 대중매체의 추진으로 형성된 것이다. 치파오와 아오자이는 ‘고대 봉건사회와 근대 산업화 사회의 각축’이자, 민족부흥이라는 국가적 배경 아래 ‘남성 엘리트적 시각 중심 여성 신체 관념의 억압’을 상징하며, 그에 따른 ‘근대 중국과 베트남 여성복의 첫걸음’이며 ‘폭력적 근대의 역사적 산물’이 되었다. 정리하자면, 본고는 20세기 초 중국과 베트남에서 탄생한 새로운 복식, 치파오와 아오자이를 중심으로 당시의 매체 자료를 통하여 근대 중국과 베트남의 여성 복식을 살폈다. 더하여 변혁 이면에 존재하는 복잡한 요인을 탐구하고, 두 복식의 탄생과 그 시대적 의의를 밝혔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본고는 근대 여성 복식 변혁 속에 숨은 뜻을 사회· 문화적 측면에서 돌아볼 수 있었다.

      • 금욕주의와 뇌쇄주의를 영감으로 한 패션디자인 연구 : 중세 여성 복식과 아제딘 알라이아 디자인의 특성을 중심으로

        이지현 안동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00

        As a means of communication and an instrument of desire satisfaction, fashion carries multidimensional messages, and different concepts are sometimes embedded in a single idea. Medieval women’s costumes such as bliauts, corsages, and cotehardies have two complicated and conflicting images embedded in them—namely, the image of the virtuous woman who is in concealment as enforced by religion, and the image of the woman of desire who is true to her instincts. The ideas of Asceticism and Captivatism embedded in medieval costumes express dignified virtuosity and sensual eroticism, symbolizing women’s authority and dignity. Azzedine Alaïa, a contemporary fashion designer, reinterprets the ideas of Asceticism and Captivatism in his own language, bringing in the aesthetic value of inevitable duality into his collection. The characteristic that medieval women’s costumes and Alaïa’s garments share is the coexistence of Asceticism for continence and Captivatism for exaggeration in a single clothing item, which is a methodical means of satisfying both ideals regarding the appearance and inner desires of women. The present study consists of an analysis of Alaïa’s designs that are based on the dual aesthetic criteria of Asceticism and Captivatism as the characteristics of medieval women’s costumes; the study also includes an analysis of the features of medieval women’s costumes and Alaïa’s work to be incorporated in development of new fashion designs.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a fashion collection line that is inspired by Asceticism and Captivatism. The research questions designed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 are as follows. First, how are the concepts of Asceticism and Captivatism defined, and what are their aesthetic properties? Second, what are the features and aesthetic properties of medieval women’s costumes? Third, what are the formative aesthetic features of Azzedine Alaïa’s design? Fourth, what are aesthetic properties of Asceticism and Captivatism that are found in both medieval women’s costumes and Alaïa’s work? Fifth, what are the features of Asceticism and Captivatism that were identified for the purpose of developing a fashion collection line, and how the fashion design elements identified according to the approach can be incorporated in new designs? To address the research questions, a theoretical framework was developed based on the existing literature about Asceticism and Captivatism, previous research about the symbolism of the body and the aesthetic value of costumes as manifested in medieval costumes, and historical accounts of Western costumes. The data gathered included 234 photographs related to medieval costumes, 19 records of Alaïa’s work including exhibition catalogs and collection videos, and 643 photographs of his work; after gathering this data, 96 items that demonstrate the features of Asceticism and Captivatism were selected for analysis. Based on the selected data,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esthetic values of Alaïa’s work and medieval women’s costumes was examined, an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examination, eight pieces of women’s garments were developed. Basic data analysis was performed with Alaïa’s prêt-à-porter and haute couture collections; only the haute couture collections were used as inspiration for the development of the fashion collection line. The aesthetic features identified for the collection line through the analysis of Alaïa’s designs were ‘dignified continence,’ ‘formative construction,’ and ‘elegant sensuality’; the aesthetic properties shared by Alaïa’s work and medieval women’s costumes were ‘Asceticism and Captivatism,’ ‘understatement and overstatement,’ and ‘respect for the female body.’ The aesthetic features of Asceticism and Captivatism manifested in Alaïa’s work were ‘normative elegance,’ ‘understated sensuality,’ ‘sublime femininity,’ and ‘solid construction.’ The study results show that, in medieval women’s costumes, dual images of the woman of forced religious virtue and the woman who is true to her desires coexist as a result of the following features: unexpected eroticism conveyed through tightness, feminine and elegant beauty created by the drape technique, and a sensual silhouette generated by the structural form that cutting and sewing techniques made possible. It was also found that, in the work of Alaïa, ascetics and captivating features coexist as a result of sensuality in a body-conscious tight silhouette as an appreciation of the female body, the use of solid colors as a medium of true nature, and the creation of a formative feature that is shaped by combining different types of materials. The analysis results show that the common aesthetic properties of medieval women’s costumes and Alaïa’s work are ‘continence,’ ‘constructure,’ ‘sensuality,’ and ‘femininity.’ This study developed a collection line called 『Coexistence: Aesthetics of Difference』 by combining the identified aesthetic properties with the researcher’s design identity, 『Human Duality: Asceticism and Captivatism』. The work was developed by expressing the dual characteristics of human beings—that is, innocence and desire—using core aesthetic values that are evident in both medieval women’s costumes and Alaïa’s work—continence, constructure, sensuality, and femininity. The collection line aims at fulfilling ideals in appearance and inner desires by weaving conflicting ideas of Asceticism and Captivatism in human nature with the beauty of the female body. The work was developed using simple, restrained design elements. In terms of a color scheme, 『Deep Black』—which symbolizes concealment and stoicism—『True White』—which reveals the duality of innocence and desire —and 『Burning Red』—which expresses the passion of instinctive desire —were chosen as the main colors to maximize the contrast between the opposite images of Asceticism and Captivatism. 『Daybreak Gray』, 『Lai Red』, 『Brightness Yellow』, 『Empty White』, and 『Melt Ivory』 were used as sub-colors to indicate the contact point between Asceticism and Captivatism. To establish the boundary between concealment and revealingness based on different types of elements, materials with heavy physical properties such as velvet, wool, leather, tongue, and calf skin and materials with light physical properties such as tulle, net, and organza were used together. Based on these, the theme of the collection was decided as 『Coexistence: Aesthetics of Difference』 and eight pieces of women’s garments were created as a result, which were titled 『Darkness』, 『Light』, 『Passion』, 『Pureness』, 『Silence』, 『Secret』, 『Waiting』, and 『Desire』, respectively. The present study discusses Asceticism, focusing on stoic features that conceal the beauty of the human body while addressing Captivatism in terms of sensuality and physical eroticism. The suppressive restraining features that are inherent in Asceticism aim at the state of sublimation toward ideals, and are realized through the life of concealment and restraint. However, Captivatism realizes eroticism by maximizing the sensual beauty of the human body. Thus, the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 the essence of Asceticism and Captivatism as the concepts that are used for attaining dualistic goals. Specifically, in this research, Asceticism is defined as “the philosophy of understatement(concealment) used to express ideologies and attain ideals by suppressing mental and physical desires,” and the human desire to realize ultimate ideals through practices in living, and Captivatism is defined as “the philosophy of overstatement(revealingness) used to realize desires by mentally and physically maximizing sensual beauty,” and as the behavior that fulfills instinctive desires by stimulating eroticism of mind and body. 의사소통의 수단이자 욕구충족의 도구인 패션은 다원적 메시지를 담고 있으며 하나의 관념아래 서로 다른 개념이 내재되기도 한다. 중세 여성 복식 블리오(Bliaud), 코르사주(Corsage), 코타르디(Cotehardie) 등은 이중적 관념이 내포된 의복으로 종교적 은폐로 강요된 정숙한 여성상과, 본능에 충실한 욕망의 여성상이라는 복합적이고 상반된 개념이 담겨있다. 중세 복식 아래 내포된 금욕주의와 뇌쇄주의의 관념은 위엄적 정숙과 관능적 에로티시즘을 동시에 표출해내며 여성의 권위와 존엄을 상징한다. 현대 패션디자이너 중 아제딘 알라이아(Azzedine Alaia, b. 1939)는 금욕주의(Asceticism)와 뇌쇄주의(Captivatism)의 관념을 자신의 언어로 재해석하여 필연적 이중성의 미적 가치를 컬렉션에 담아내고 있다. 중세 여성 복식과 아제딘 알라이아 작품의 공통적 특성은 절제를 위한 금욕과 과장을 위한 뇌쇄가 동일한 의복 아이템에 공존하는 것으로 이는 여성들의 외형적 이상과 내면적 욕망을 동시에 충족시키는 방법적 수단이다. 본 연구는 아제딘 알라이아가 중세 여성 복식의 특성인 금욕주의와 뇌쇄주의라는 이중적 미적 잣대를 근거로 디자인을 전개하고 있음을 인식하고 중세 여성 복식과 알라이아의 작품 특성을 분석하여 패션디자인 개발에 적용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금욕주의와 뇌쇄주의 사상을 영감으로 한 패션 컬렉션 라인을 개발하는데 있다.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금욕주의와 뇌쇄주의 사상의 개념은 어떻게 정의되며, 두 명제의 미적 속성은 무엇인가? 둘째, 중세 여성 복식 양식의 특징과 미적 속성은 무엇인가? 셋째, 아제딘 알라이아 작품의 조형적 미적 특성은 무엇인가? 넷째, 중세 여성 복식과 아제딘 알라이아의 작품에 나타난 금욕주의와 뇌쇄주의의 공통된 미적 속성은 무엇인가? 다섯째, 패션 컬렉션 라인 전개를 위해 연구자가 정립한 금욕주의와 뇌쇄주의의 관념은 무엇이며, 이를 통해 추출된 패션디자인 요소들은 어떻게 작품에 반영되는가? 앞서 제시된 연구 문제 달성을 위해 본고는 금욕주의와 뇌쇄주의, 중세 복식에 나타난 몸의 상징성과 복식의 미적 가치에 관한 선행 연구, 서양 복식사 관련 단행본을 바탕으로 이론적 체계를 정립하였다. 이와 함께 중세 복식 관련 사진자료 243장, 아제딘 알라이아 전시도록 및 컬렉션 영상 19편과 작품사진 643점을 수집하였으며 그 중 금욕주의와 뇌쇄주의의 특성이 드러난 96점의 작품을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연구자는 추출된 자료를 토대로 알라이아 작품과 중세 여성 복식의 미적 가치의 관계성을 고찰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8착장의 여성복 작품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는 기초 자료 분석에서는 아제딘 알라이아 프레타 포르테(Ready-to-Wear)와 오트 쿠튀르(Haute Couture) 컬렉션 모두를 연구 대상으로 삼았으나, 연구자 작품의 영감 추출을 위해서는 오트 쿠튀르 컬렉션만을 분석하였다. 본고의 연구 방법은 문헌 연구와 내용 분석이다. 컬렉션 라인의 디자인 영감의 원천은 아제딘 알라이아 작품과 중세 여성 복식의 공통된 미적 속성과 아제딘 알라이아 작품에 나타난 금욕주의와 뇌쇄주의의 고찰로부터 시작되었다. 알라이아 디자인 분석을 통해 추출된 미적 특성은 ‘존엄적 절제미’, ‘조형적 구축미’, ‘우아한 관능미’이었으며, 알라이아 작품과 중세 여성 복식의 공통된 미적 속성은 ‘금욕과 뇌쇄’, ‘축소와 과장’, ‘여체의 존중’으로 나타났다. 또한 아제딘 알라이아 작품에 나타난 금욕주의와 뇌쇄주의의 미적 특성은 ‘규범적 우아미’, ‘절제된 관능미’, ‘숭고한 여성미’, ‘견고한 구축미’로 추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 중세 여성 복식의 특성은 밀착을 통해 드러나는 의외의 에로티시즘, 드레이프 기법이 구축해낸 여성미와 우아미, 그리고 재단과 봉재기술의 발달로 실현된 구조적 형식이 만들어낸 관능적 실루엣, 종교적 강요에 의한 정숙한 여성상과 본능에 충실한 욕망의 여성상이라는 이중적 개념을 현존시켰다. 또한, 아제딘 알라이아 작품은 몸에 밀착되는 보디 컨셔스 실루엣이 만들어낸 여체를 존중한 관능성, 본질의 매개물인 솔리드 컬러의 활용, 이질적 소재의 융합이 구축한 조형성이 금욕적 특성과 뇌쇄적 특성을 동시에 공존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고에서 분석된 중세 여성 복식과 아제딘 알라이아 작품의 공통된 미적 속성은 ‘절제미’, ‘구축미’, ‘관능미’, ‘여성미’로 추출되었다. 결론적으로 연구자는 도출된 미적 속성들을 연구자의 디자인 아이덴티티인 『인간의 이중성』에 접목하여 『공존: 다름의 미학』이라는 컬렉션 라인을 전개하였다. 작품은 ‘순수한 인간’과 ‘욕망의 인간’이라는 인간의 이중적 특성을 중세 여성 복식과 아제딘 알라이아의 공통된 미적 가치의 본질적 척도인 ‘절제미’, ‘구축미’, ‘관능미’, ‘여성미’에 근거하여 전개하였다. 컬렉션 라인은 인간의 본질에 내재된 금욕과 뇌쇄라는 상반된 관념을 여체에 녹여내어 외형적 이상과 내면적 욕망을 모두 실현시키는 것이 목적이었으며, 간결하고 절제된 디자인 요소를 활용하여 작품을 도출하였다. 금욕주의와 뇌쇄주의의 상반된 이미지를 극대화 시키는 컬러로는 은폐와 금욕을 상징하는 『딥블랙(Deep Black)』, 순수와 탐욕의 이중성을 드러내는 『트루화이트(Truth White)』, 본능적 욕망을 향한 열정을 표현하는 『버닝레드(Burning Red)』를 메인 컬러로 선정하였다. 또한 『데이브레이크그레이(Daybreak Gray)』, 『라이레드(Lie Red)』, 『브라이트니스옐로우(Brightness yellow)』, 『엠티화이트(Empty White)』, 『멜트아이보리(Melt Ivory)』를 서브 컬러로 사용하여 금욕과 뇌쇄의 접점을 표현하고자 하였다. 소재는 벨벳, 울, 가죽, 송치와 같은 무거운 물성을 지닌 것과 튤, 네트, 오간자와 같은 가벼운 물성을 지닌 소재를 혼용하여 이질적 요소가 만들어낸 은폐와 노출의 경계를 구축하였다. 이를 근거로 구축된 컬렉션의 주제는 『공존: 다름의 미학』이며, 컬렉션은 『어둠(Darkness)』, 『빛(Light)』, 『침묵(Silence)』, 『비밀(Secret)』, 『정열(Passion)』, 『기다림(Waiting)』, 『욕망(Desire)』, 『순수(Pureness)』라는 8벌의 여성복 착장이 결과물로 도출되었다. 본고에서는 절제의 관점에서 육체의 아름다움을 은폐하는 금욕의 특성을 중심으로 금욕주의를, 관능과 육체적 에로티시즘의 관점에서 뇌쇄주의를 논하고자 하였다. 금욕주의의 관념에 내재된 인내와 억압의 특성은 이상을 향한 숭고한 상태를 표출하기 위한 것으로 이는 은폐되고 절제된 생활을 통해 실현되었다. 반면 뇌쇄주의의 관념은 인체의 관능적 아름다움의 극대화를 통해 에로티시즘을 실현시키며 표출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금욕과 뇌쇄의 본질을 목적 달성을 위해 행해지는 개념적 의미로 규정하여 금욕주의와 뇌쇄주의를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금욕주의란 ‘정신과 육체의 욕망을 억제하여 이념과 이상을 성취하려는 축소(은폐)의 사상’으로 스스로를 억압하고 절제하는 삶의 실천을 통해 궁극적 이상을 실현하고자 하는 인간의 바람이었다. 반면 뇌쇄주의는 ‘정신과 육체의 관능미를 극대화하여 욕망을 관철시키는 과장(노출)의 사상’으로 몸과 마음의 에로티시즘을 적극적으로 자극하여 본능적 욕구를 충족시키는 행위로 규정되었다.

      • 관능미를 주제로 한 도자조형 연구 : 로코코 시대의 여성복식을 중심으로

        조정미 계명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8700

        로코코 양식은 루이 14세의 사후부터 프랑스 혁명까지 프랑스를 중심으로 이루어진 유럽예술양식이며, 1715년 루이 14세의 서거 후 프랑스 사회는 이전까지의 형식적이고 엄격한 규칙을 버리고 인간에게 내재하고 있던 감성적이며 쾌락을 추구하는 방향으로 새로운 예술 양식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여성중심의 살롱문화가 활성화 되면서 우아하고, 섬세하고, 쾌락과 관능미를 중시하는 시대여서 의상을 하나의 살아있는 예술품으로 간주해 여성복식이 굉장히 화려했으며, 다양한 장식적인 요소들로 아름답게 꾸밀 수 있는 창조성과 개인의 예술적 감각을 드러낼 수 있는 개성의 표출이었다. 연구자가 로코코 시대의 여성복식에 나타난 특징 속에서 관능미라고 한정지은 것은 로코코 시대의 여성복식이 오늘날의 의복과 일맥상통하며, 과장되고 관능적인 실루엣과 화려한 장식, 문양, 색채 등 미적특성을 많이 갖추고 있기 때문이다. 로코코 시대의 여성복식에 나타난 관능미는 인체 골격 자체에 나타나는 관능미보다 더 관능적일 수 있다. 이는 의상으로 허리는 잘록하게 하고, 엉덩이는 최대한 크게 하고, 가슴은 보일 듯 말 듯 신체를 왜곡되게 표현하는 것이 더 관능적이라는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로코코 시대의 여성복식에 나타난 관능미를 조형표현의 수단으로 삼아 도자공예로 조형화하여 표현하고자 하였다. 연구자는 로코코 시대의 여성복식에 나타난 관능미를 실루엣, 색채, 문양, 장식의 미적특성에 따라 살펴본 후, 이런 미적특성을 흙이라는 물성과 함께 연구자의 독자적인 시각으로 접근하여 표현하였다. 본 연구는 로코코 시대의 여성복식에 나타난 관능미를 도자조형에 접목시켜 새로운 디자인 영역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복식의 조형성이 도자조형에 어떻게 영향을 미쳐 재창출 할 수 있는지에 대한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The rococo style is a Euro artistic style performed with France as the central figure from death of Louis XIV to the French Revolution. In 1715, after death of Louis XIV, the French society threw away a formal and static rule of the past, and also built up a new artistic style in the direction of pursuing the sensitivity and pleasures that is inherent in men. Also, as salon culture under women was revitalized, people on the period valued elegant, delicate, and voluptuous beauty of sensuality. At that time, the costume regarded as a live artifact, was very splendid and expressed creativity to adorn oneself beautifully with various elements of ornament and personality to expose a personal artistic sense. The researcher qualified sensual beauty out of rococo feminine costume's property, because feminine costume of rococo period has something to do with modern costume and appear various features of beauty such as exaggerative and voluptuous silhouette, splendid decoration, ecstatic pattern, gorgeous color, and etc. The sensual beauty of rococo feminine costume is able to be more sensual than one of the native body-line. The distorted body shape as showing up the most part of the breast, tightening the waist and emphasizing on the hip is more sensual appeal. From this reason, the researcher tried to express the sensual beauty under rococo feminine costume by shaping in ceramic modeling through method of modeling-expression. Since the researcher inspected the sensual beauty under rococo feminine costume with beauty features of silhouette, decoration, pattern and color, the researcher approached independent view about these features with the matter so called soil. This study was aimed in order to suggest new domain of design that integrates sensual beauty under rococo feminine costume with ceramic modeling. Moreover, the researcher attempted to grope for new possibility how model features of costume have effect on ceramic modeling and can be reinven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