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호텔 종사원의 얼굴매력도가 호감도와 수행능력판단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임정미 경기대학교 관광전문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702

        본 연구의 목적은 서비스 종사자의 얼굴 매력도가 소비자의 호감도, 수행능력 판단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함으로서 "아름다운 것이 좋다"는 신체적 매력성 고정관념이 서비스 수행과정에서도 실제로 존재하는가를 실증적으로 규명하는 것이었다. 이 연구는 서비스 산업의 기본이 되는 호텔을 중심으로 연구되었다. 본 연구는 준 실험 연구 방법으로 설계하였으며, 독립 변수는 서비스 종사자의 얼굴 매력도로 설정하였고, 종속 변수는 서비스 종사자에 대한 소비자의 호감도와 수행능력 판단으로 설정하였다. 또한 이 관계에서 소비자의 성별과 개인주의 성향이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측되어 상기한 두 개의 소비자 성별을 조절 변수로 설정하였다. 독립변수인 서비스 종사자의 얼굴 매력도는 예비 실험을 통해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한 후 선정되었으며, 종속 변수인 호감도, 수행능력 판단 및 소비자의 개인주의 성향은 측정 변수로 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자극물은 얼굴 매력도가 높은, 중간, 낮은 각 1명씩의 사진이었다. 본 연구의 설문지 조사대상은 서울 지역 특 1, 2급 호텔을 선정하여 방문하는 고객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기법으로는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구하였다. 또한, 소비자들의 서비스 종사원의 얼굴 매력성과 호감도, 수행능력 판단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기 위해 t-검증과 One-way ANOVA(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서비스 종사원의 얼굴 매력성과 호감도, 수행능력 판단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Regression(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서비스 종사원의 얼굴 매력도는 소비자 성별에 의해 차이를 나타냈으며, 서비스 종사원의 얼굴 매력도가 높을수록 호감도와 수행능력 판단도 높은 결과를 나타냈다. 본 연구는 지금까지 한국 사회, 범위를 좁혀 한국의 서비스 기업을 대상으로 한 신체적 매력성에 관한 연구가 미흡했다는 점에서 한국의 서비스 기업에 존재하는 신체적 매력성이 서비스 성과와 어떠한 연관관계가 있는지에 대해 실증적으로 규명했다는 의의를 지니며, 그 결과가 정(正)의 상관관계를 지니는 만큼 서비스 기업은 이 부분에 관한 더 많은 관심과 현재 서비스 종사원을 대상으로 하는 메이크업 강의나 스마일 교육 등과 같은 실질적인 방법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The goal of the study is to empirically examine if the fixed idea of physical attractiveness that says 'Beauty is favorable' exists in the process of service performance by observing the influence of facial attractiveness of service workers on consumers' impression and performance evaluation. The study was done focusing on the hotels, the basic of service industry. The study was designed with the standard research methods. The independent variables of the study were the facial attractiveness of service workers and the dependent variables were the consumers' impression and performance evaluation. Also it was predicted that the consumers' gender and characteristics will have an influence in the relation so the gender and characteristics of the consumers were set to be the adjustable variables. The facial attractiveness of service workers, which are the independent variables, were selected after verifying validity and reliability through pre-test. The dependent variables, which are impression, performance evaluation, and characteristics of consumers, were set to be the measurement variables. For the study, three different pictures of 3 people with high level, medium level, and low level of attractiveness. The study was done on visitors of first-class and second-class hotels in Seoul.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the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In order to observe the general features of the subjects, frequency and percentage of the results were calculated. Also, t-test and One-way ANOVA were executed in order to see the facial attractiveness of service workers, consumers' impression, and performance evaluation. To analyze the influence on the service workers' facial attractiveness, impression, and performance evaluation, regression analysis was done. The followings are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facial attractiveness of the service workers varied according to the gender of consumers and higher level of the facial attractiveness resulted higher performance evaluation. The study has a meaning of empirically validating the correlation between physical attractiveness and service achievement in the service industry of Korea as no proper study had been done on the physical attractiveness in the service industry of Korea. Since the result had a positive correlation, the companies should put more interests in the field and provide programs for the workers such as make-up instruction, smile training, and so forth.

      • 얼굴 및 신체적 매력의 기준에 대한 검증 : WHR과 황금비를 중심으로

        백인해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87

        본 연구는 WHR과 황금비의 이론적 개념이 현대 한국 젊은 성인 대상에서 얼마나 지지되는지 비교 검증하고자 했다. 진화심리학적 관점에서 신체적 매력을 측정하기 위한 지표인 ‘허리-엉덩이둘레 비(Waist-to-Hip Ratio; WHR)’와 고대 그리스부터 아름다움에 대한 미학적 판단의 기준이 되는 ‘황금비(Golden Ratio)’는 신체에서 보편적인 매력 또는 미의 기준을 찾는다는 점에서 공통점을 갖지만 연구되어온 역사가 다르다. 황금비 이론은 실증연구에서 자주 재현되지 않았기 때문에 추가적으로 새로운 황금비(New Golden Ratio)에 대한 검증도 실시하였다. 연구는 참가자 간 (between-subject) 실험설계 방식으로 20대 남녀 대학생 120명 (남60, 여60)을 대상으로 실시되었고, 참가자들은 3차원 게임 프로그램을 통하여 가장 이상적이고 매력적인 타겟을 구현하였다. 만들어진 120개 표본을 바탕으로 비를 측정한 뒤 단일표본 T검정을 통해 이론적으로 가장 매력적으로 상정되는 비와 비교하였다. 그 후 이원분산분석(Two-way ANOVA)과 다변량분산분석(MANOVA)을 통하여 이상적인 타겟의 형태에 대한 성차가 존재하는지 확인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실험 타겟의 WHR 평균은 남, 여 타겟 모두에서 이론적으로 매력적인 기준 값보다 훨씬 낮았다. 황금비와 새로운 황금비 또한 대부분의 변수에서 지지되지 않았다. 본 연구는 현대 한국의 젊은 성인이 갖는 매력적인 신체는 선행연구와 마찬가지로 매우 서구화된 반면 이상적이고 매력적인 얼굴은 동양적인 얼굴과 문화특수성을 반영하고 있음을 알려준다. 또한 신체에서 타겟 성차는 크게 나타난 반면 참가자 성차는 없었지만, 얼굴에서는 다양한 타겟, 참가자 성차와 상호작용이 나타났다. 본 연구는 학술적으로 함께 다뤄지지 않았던 WHR과 황금비를 현대에 비교 검증하여 새로운 학술적 시도를 하고 그를 통해 사회적, 문화적 함의를 끌어냈다는 점에 의의를 갖는다. The present study compared and verified how much the theoretical concepts of WHR and Golden Rain support modern Korean young adults. The ‘Waist-to-Hip Ratio; WHR’, a cue for measuring physical attractiveness from an evolutionary psychological point of view, and the golden ratio, which is the basis for aesthetic judgment on beauty from Ancient Greece, have something in common in the body, but the history that has been studied is different. Since the theory of the ‘Golden Ratio’ was not frequently replicated in empirical studies, we carried out verification of ‘New Golden Ratio’ additionally. The study was conducted on 120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in their 20s (60 females, 60 males) in a between-subject experimental design method, and participants depicted the most ideal and attractive targets using a three-dimensional game program. The ratio was measured based on 120 samples made and compared with the most attractive rain theoretically assumed through a single sample T-test. The two-way ANOVA and MANOVA were conducted to confirm the existence of gender differences in the ideal target type.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WHR average for the experimental target was much lower than the theoretically attractive reference value for both male and female targets. The “Golden Ratio’ and the ‘New Golden Ratio’ were also not supported by most variable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attractive body of young adults in modern Korea is very westernized, as is the prior study, while the ideal and attractive face reflects the Asian face and cultural specialty. Second,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participants' gender in the body, but there were various interactions in the fac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compared and verified WHR and Golden Ratio together, to make new academic attempts and draw social and cultural implications.

      • 얼굴 매력도 평가 시 얼굴 각도와 표정에 따른 시선주시의 변화

        김설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32319

        Eye-tracking devices can be applied to measure unconscious eye movement objectively during facial recognition and the evaluation of facial preferenc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participant tasks to evaluate facial attractiveness by displaying facial photographs at various angles and with neutral and smiling expressions and to determine characteristics of eye gaze during all these tasks by applying eye-tracking devices. We recruited 33 young adults (15 women, 23.3 ± 3.1 years; 18 men, 21.3 ± 2.4 years) to participate in our eye-tracking experiment. Standardized facial photographs of neutral or smiling faces were taken at facial angles of 0°, 15°, 30°, 45°, 60°, and 90° (set of six photos), where 0° is a centered frontal photo and 90° is a lateral profile, for the participants (self-face) and six additional models (others’ faces). For the first task, participants were asked to rate the overall facial attractiveness by looking at the set of six photos of neutral or smiling faces in random order. For the second task, participants were asked to select the most attractive photograph from among the set of six photos of neutral or smiling faces. For the third task, the participants rated facial attractiveness after looking at 0°, 45°, and 90° photographs with a mixture of neutral and smiling faces (simplified mixed set). We monitored the eye-tracking system to detect the eye gaze of each participant during each task performance. The fixation time for each face during the evaluation was analyzed an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For the task of evaluating the overall facial attractiveness of others’ neutral faces, the 0° facial angle photos indicated the highest fixation time. However, in evaluating facial attractiveness of self-face, the fixation times of the photos taken at 0°, 15°, 30°, and 45° angles were similar (P >0.05). 2. For the task of selecting the most attractive face using others’ neutral faces, the fixation time for the 0° facial angle decreased, while it increased for the 45° facial angle, in comparison to the evaluation of overall facial attractiveness (P <0.001). 3. For the task of evaluating the overall facial attractiveness using simplified mixed faces, the fixation time for the smiling face at a 0° angle was higher than the neutral face at a 0° angle in others’ faces (P <0.01), while it was similar in cases of self-face evaluation (P >0.05). 4. For all these tasks, the photos of faces at a 90° angle indicated the lowest fixation time compared to the other faces. According to this study, faces at a 30-45° angle, as well as at a 0° angle, received greater attention when evaluating facial attractiveness, while faces at a 90° angle received the least attention based on eye gaze. In addition, greater attention was focused on faces at a 45° angle when participants had to select the most attractive fac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presentation of faces at 0° and 30-45° angles may highly influence the perception of facial attractiveness among the general public. Thus, in addition to the conventional frontal and lateral profile evaluations, it may be necessary to evaluate faces rotated at 30-45° angles for the diagnosis of facial aesthetics. 얼굴 인식 및 선호도를 평가할 때 무의식적인 눈의 움직임을 단시간에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아이트래킹 (eye-tracking)과 같은 기법이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얼굴 각도 및 표정의 얼굴 사진을 이용하여 얼굴 매력도를 평가하도록 하는 수행 과제를 개발하고, 아이트래킹을 활용하여 얼굴의 매력도 평가 시 얼굴 각도와 표정에 따른 시선주시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총 33명의 일반인 (여자 15명, 23.3 ± 3.1세; 남자 18명, 21.3 ± 2.4세)을 대상으로 자기 얼굴 및 동성의 타인 3명에 대한 0° (정면), 15°, 30°, 45°, 60°, 90° (측면) 얼굴 각도의 무표정 또는 웃는 얼굴 사진을 이용하여 전반적인 얼굴 매력도 평가 및 가장 매력적인 사진을 선택하도록 하는 동안의 피험자의 시선을 추적하였다. 또한 얼굴 각도를 0°, 45°, 90°로 단순화하되 무표정과 웃는 얼굴을 혼합 제시한 단순혼합형 매력도 평가를 통해 얼굴 각도 및 표정, 타인/자기 얼굴, 성별의 상호작용을 분석하였다. 각 과제 수행 시에 기록된 관심영역의 고정주시 시간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전반적인 얼굴 매력도 평가에서 타인의 무표정 얼굴을 관찰하는 경우 정면 얼굴에서의 고정주시 시간이 가장 높은 양상을 보인 반면, 자기 얼굴을 관찰할 때에는 정면 얼굴과 15°-45° 사이의 회전된 얼굴에서의 고정주시 시간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P >0.05). 2. 가장 매력적인 얼굴을 선택하는 과제에서는 전반적인 얼굴의 매력도 평가에 비해정면 얼굴로의 고정주시 시간이 감소하고, 30°, 45° 얼굴에서의 고정주시 시간은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특히 타인의 무표정 얼굴의 경우, 0° 얼굴에서 고정주시 시간이 유의하게 감소한 반면 (P <0.001), 45° 얼굴에서는 고정주시 시간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P <0.001). 3. 타인 얼굴의 매력도 평가 시에는 같은 정면 얼굴이라도 무표정보다 웃는 얼굴에서의 고정주시 시간이 유의하게 높았다 (P <0.01). 반면, 자기 얼굴의 매력도 평가 시에는 무표정 얼굴과 웃는 얼굴에 대한 고정주시 시간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P >0.05). 4. 얼굴 매력도를 평가하는 모든 조건에서 측면 얼굴의 고정주시 시간은 가장 낮은 경향을 보였다.   일반인들이 얼굴 매력도를 평가할 때 정면 얼굴과 더불어 30°, 45° 얼굴에서의 시선주시 및 탐색이 증가하였다. 이를 통해 얼굴의 심미성을 관찰할 때에는 측면 얼굴보다는 정면 얼굴과 함께 30°-45°의 얼굴에서 얼굴에 관한 정보를 더 많이 얻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현상을 토대로 얼굴의 심미성에 대한 평가 시 기존의 정면과 측면 얼굴을 이용한 분석과 더불어 30°-45° 사이의 안모의 형태를 고려해야 할 것으로 생각되며, 향후 30°-45° 사이의 회전된 얼굴 평면을 이용한 3차원 심미 분석의 도입을 제안하고자 한다.

      • Effects of Attractiveness Variance on Judgments of Facial Attractiveness in a Group : 얼굴 집단 내 매력도 판단에 매력도 변산이 미치는 영향

        Eo, Kangyong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32316

        Facial attractiveness is an important cue for judging others’ characteristics in social interaction. While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on the attractiveness of individual faces in isolation, a few studies have considered how we perceive the attractiveness of individual faces in a group or that of a group of faces. In the present study, I manipulated the degree of attractiveness variance among individual faces in a group and investigated its effect on the perceived attractiveness of individual faces in a group (Section 2) and that of a group of faces (Section 3). In Section 2, the perceived attractiveness of individual faces in a group was compared to that of individual faces in isolation. When the less and more attractive faces in a group had the large attractiveness differences, both of them were perceived more attractive when they were in a group than in isolation (Experiments 1 and 2). Moreover, the increments of attractiveness were larger for the high attractive faces than for the low attractive faces. However, when the attractiveness variance was small (Experiment 3), the degree of attractiveness increment for the low and high attractive faces was not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individual faces in a group are judged to be more attractive in those in isolation (e.g. the cheerleader effect) and this trend is increased for the high attractive faces with the increased diversity of attractiveness in a group (e.g. the cheerleader and contrast effect). In Section 3, how the attractiveness variance influenced the attractiveness judgments of a group of faces was investigated. The attractiveness of a group of faces was judged to be lower when the attractiveness variance among individual faces in a group was large than small (Experiment 4). These were due to the difficulty of the average attractiveness computation of a group (Experiments 5, 6, & 7), not due to selective attention to the less attractive faces in a group (Experiment 8).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large attractiveness variance made the average computation difficult and accordingly the less fluent processing decreases the perceived attractiveness of the group. In conclusion, it seems that the visual system perceives individual faces as more attractive when they are in a group and judges attractiveness of a group of faces by the average attractiveness computation (e.g. the averaging rule). 얼굴 매력도는 일상 생활 속에서 다른 사람의 특성을 판단할 때 중요한 역할을 하는 사회적 단서이다. 지금까지 많은 연구들이 개인 얼굴의 매력도 판단에 초점을 맞춘 반면에 집단 내 개인 얼굴의 매력도 판단과 집단 얼굴의 매력도 판단에 대한 연구는 많지 않았다. 본 연구는 집단 내 개인 얼굴들 간 매력도 변산을 통제하여 매력도 변산이 집단 내 개인 얼굴의 매력도 판단(2절)과 집단 얼굴의 매력도 판단(3절)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2절에서 집단 내 개인의 매력도 평정 결과를 개인의 매력도 평정 결과와 비교 하였다. 집단 내 매력도가 높고 낮은 얼굴들 간 매력도 차이가 많이 날 때(매력도 변산이 큰 경우), 매력도가 높은 얼굴과 낮은 얼굴 모두 개인으로 제시되었을 때보다 집단으로 제시되었을 때 매력도가 더 높게 평가되었다(실험 1과 2). 더욱이, 매력도가 높은 얼굴의 매력도 증가 폭이 매력도가 낮은 얼굴의 매력도 증가 폭보다 더 컸다. 그러나, 매력도 변산이 작은 경우에는 매력도가 높은 얼굴과 낮은 얼굴 간 매력도 증가 폭에 차이가 없었다(실험 3). 이 결과는 개인 얼굴의 매력도가 집단 속에서 평가될 때 개인으로 평가될 때보다 더 매력적으로 평가되는데(치어리더 효과) 집단 내 얼굴들 간 매력도 변산이 커지면 매력도가 높은 얼굴이 매력도 측면에서 더 큰 이득을 얻게 된다는 점을 시사한다(치어리더 효과와 대비 효과). 3절에서는 매력도 변산이 집단 얼굴의 매력도 판단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집단 얼굴의 매력도는 집단 내 매력도 변산이 클 때 더 낮게 평가되었다(실험 4). 이 결과는 집단 얼굴 내 매력도가 낮은 얼굴로 주의가 간 것 때문이 아니라(실험 8),집단 얼굴의 평균 매력도 계산의 어려움 때문에 나타난 결과였다(실험 5, 6과 7). 3절의 결과는 집단 내 매력도 변산이 큰 경우, 집단의 매력도 계산이 어려워지고 이는 결국 집단 얼굴에 대한 지각적 유창성을 떨어뜨려 집단 얼굴의 매력도를 낮게 평가하게 만들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시각 체계가 개인 얼굴의 매력도를 집단 내에서 평가할 때 더 매력적이라고 지각하고 집단 얼굴의 매력도는 집단을 구성하는 얼굴들의 평균 매력도를 계산하여 판단한다는 것을 보여준다(평균 규칙).

      • 중국 미디어 상품에 나타난 스타의 얼굴특성과 장르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 : -얼굴의 가로-세로 (Facial WHR) 비율을 중심으로

        동소경 세종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32268

        본 연구는 중국 미디어 상품에 나타난 스타의 얼굴특성과 장르간의 관계를 분석했다. 즉 중국 미디어 상품 장르에 따라 스타의 얼굴 특성인 얼굴의 가로-세로 비율(facial WHR)의 차이를 분석했다. 또한 영화와 드라마의 인기순위와 얼굴의 가로-세로 비율의 상관관계를 분석했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중국 미디어 상품이다. 즉 할리우드 영화, 한류 드라마, 중국 TV 프로그램이다. 할리우드 영화배우는 462명(남: 274명, 여: 188명), 한류 드라마배우는 271명(남: 136명, 여: 135명), 중국 TV 프로그램 아나운서는 273명(남: 140명, 여: 133명)으로 데이터를 구성하였다. 통계분석결과를 요약하면 중국 미디어 상품 장르에 따라 스타 얼굴의 가로-세로 비율(facial-WHR)은 차이가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첫째 할리우드 영화 장르에 따라 남성배우 얼굴의 가로-세로 비율은 차이가 있다. 즉 액션 영화 남성배우 얼굴의 가로-세로 평균 비율, 코미디 영화 남성배우 얼굴의 가로-세로 평균 비율, 로맨스 영화 남성배우 얼굴의 가로-세로 평균 비율의 순서대로 나타냈으며 각각 차이가 있다. 따라서 액션 영화 남성스타를 선발할 때 높은 얼굴의 가로-세로 비율을 가진 남성스타가 더 유리하다. 또한 로맨스 영화 남성스타를 선발할 때 낮은 얼굴의 가로-세로 비율을 가진 남성스타가 더 유리하다. 그리고 할리우드 영화 장르에 따라 여성배우 얼굴의 가로-세로 비율에도 차이가 있다, 즉 액션 영화 여성배우 얼굴의 가로-세로 평균 비율, 코미디 영화 여성배우 얼굴의 가로-세로 평균 비율, 로맨스 영화 여성배우 얼굴의 가로-세로 평균 비율 순서대로 나타냈으며 각각 차이가 있다. 따라서 액션 영화 여성스타를 선발할 때 높은 얼굴의 가로-세로 비율을 가진 여성스타가 더 유리하다. 반대로 로맨스 영화 여성스타를 선발할 때 낮은 얼굴의 가로-세로 비율을 가진 여성스타가 더 유리하다. 또한 영화 장르별로 남녀배우 얼굴의 가로-세로 비율과 영화 장르의 인기순위는 관계가 있다는 것을 검증했다. 결론적으로 로맨스 영화에서 등장하는 남성배우 얼굴의 가로-세로 비율은 로맨스 영화 인기순위와 관계가 있는 것을 발견했다. 즉 로맨스 영화에서 등장하는 남성배우 얼굴의 가로-세로 비율이 높을수록, 영화의 인기순위가 더 높다는 것이다. 따라서 높은 얼굴의 가로-세로 비율을 가진 배우는 시청자의 선호도가 더 높다. 하지만 액션 영화의 남녀배우, 로맨스 영화의 여성배우, 코미디 영화 남녀배우 얼굴의 가로-세로 비율은 액션, 로맨스, 코미디 영화의 인기순위와 관계가 있다는 것을 발견하지 못했다. 둘째 한류 드라마 장르에 따라서 남녀배우 얼굴의 가로-세로 비율은 차이가 있다는 것을 검증했다. 먼저 한류 드라마 장르에 따라 남성배우 얼굴의 가로-세로 비율이 차이가 있다. 즉 한류 사극 드라마에 등장하는 남성배우 얼굴의 가로-세로 비율은 로맨스 드라마에 등장하는 남성배우 얼굴의 가로-세로 비율보다 더 높다는 결과를 나타냈다. 따라서 사극 드라마 남성배우를 선발할 때, 높은 얼굴의 가로-세로 비율을 가진 배우가 더 유리하다. 반대로 로맨스 드라마 배우를 선발할 때에는 낮은 얼굴의 가로-세로 비율을 가진 배우가 더 유리하다. 그리고 한류 드라마 장르에 따라 여성배우 얼굴의 가로-세로 비율에 차이가 있다는 것을 검증했다. 즉 한류 사극 드라마에 등장하는 여성배우 얼굴의 가로-세로 비율은 로맨스 드라마에 등장하는 여성배우 얼굴의 가로-세로 비율보다 더 낮다는 결과를 나타냈다. 따라서 사극 드라마 여성배우를 선발할 때, 낮은 얼굴의 가로-세로 비율을 가진 배우가 더 유리하다. 반대로 로맨스 드라마 배우를 선발할 때에는 높은 얼굴의 가로-세로 비율을 가진 배우가 더 유리하다. 또한 드라마 장르별로 남녀배우 얼굴의 가로-세로 비율과 드라마 장르의 인기순위와 관계가 있다는 것을 검증했다. 결론적으로 로맨스 드라마에 등장하는 남성배우 얼굴의 가로-세로 비율은 로맨스 드라마 인기순위와 관계가 있는 것을 발견했다. 즉 로맨스 드라마에 등장하는 남성배우 얼굴의 가로-세로 비율이 높을수록, 드라마 인기순위가 더 높다는 것이다. 따라서 얼굴의 가로-세로 비율이 높은 배우는 시청자의 선호도가 더 높다. 즉 중국 시청 자들의 경우 로맨스 드라마에 등장하는 남성배우 얼굴의 가로-세로 비율이 높은 남성배우를 낮은 남성배우보다 더 선호한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사극 드라마의 남녀배우, 로맨스 드라마의 여성배우 얼굴의 가로-세로 비율은 사극 드라마, 로맨스 드라마의 인기순위와 관계가 있다는 것을 발견하지 못했다. 셋째 TV 프로그램 장르에 따라서 아나운서 얼굴의 가로-세로 비율은 차이가 있다는 것을 검증했다. 먼저 TV 프로그램 장르에 따라 남성아나운서 얼굴의 가로-세로 비율은 차이가 있다. 즉 뉴스 프로그램에 등장하는 남성아나운서 얼굴의 가로-세로 비율은 오락 프로그램에 등장하는 남성아나운서 얼굴의 가로-세로 비율보다 더 높다는 결과를 나타냈다. 따라서 뉴스 프로그램 남성배우를 선발할 때, 높은 얼굴의 가로-세로 비율을 가진 아나운서가 더 유리하다. 반대로

      • 모델 얼굴 매력도가 제품 구매에 미치는 영향 : 자기 확신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최현덕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32239

        The effect of Models' Facial Attractiveness is often studied, however it is still an important theme of research in advertising effect. Numerous studies indicate that an attractive model's face can bring positive effect on buying behavior, however in the real field, there are both attractive models, and vice versa (there exist non attractive models).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find out specifically which face triggers buying behavior more when analyzed along with consumers’ unique characteristics. In this study, this effect can be modulated by the consumers' characteristic of self-confidence. Using an actual model's face who is wearing a product as a stimulus, we compared 'high' attractive models, 'low' attractive models and ‘no’ face models to find the effect of the model's face on buying behavior. Also participants' self-confidence was expected to bring a modulating effect on buying behavior, so we evaluated buying intention, WTP(Willingness To Pay), and buying confidence on each condit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when a model's face is attractive people tend to buy more regardless of self-confidence levels; further, people are willing to pay more when there is no face on the product model as compared to when there is a non attractive model's face. Additionally, people who have lower self-confidence are willing to pay more, have higher buying intention and have higher buying confidence when they see an attractive model's face.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s on WTP and buying confidence when consumers had high self-confidence.

      • 온라인상에서 제공되는 인상 정보의 종류 및 양이 인상의 일치성과 자기-타인 일치도에 미치는 영향 : 사회관계모형(Social Relations Model; SRM)을 기반으로

        유승현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150317

        본 연구는 20대를 대상으로 상대에 대한 여러 종류의 정보를 양을 달리하여 제시한 후 인상을 형성하게 하여 지각자 간 일치성과 자기-타인 일치도가 어떻게 달라지는가를 알아보았다. 인스턴트 메신저를 활용하여 온라인으로 연구를 진행하였기 때문에 모바일 메신저에 대한 선호도가 높으며 SNS 이용 시간이 많은 세대인 20대를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에서는 여성 2명과 남성 2명을 한 조로 묶어 제시된 정보를 기반으로 서로에 대한 인상을 평가하게 하였다. 정보의 종류에는 얼굴과 목소리, 그리고 대화 내용인 텍스트가 있었으며, 이러한 정보를 하나씩 제시할 때는 얼굴 자극이나 목소리 자극을 하나씩 제시해 상대를 평가하게 하거나 텍스트 자극의 경우 카카오톡 채팅을 통해 직접 상호작용 후 상대를 평가하게 하였고, 이 세 정보를 동시에 제공하는 경우 얼굴, 목소리 자극을 제시하고 채팅 내용을 동시에 고려하게 하여 대상을 평가하도록 하거나, 세 정보를 동시에 얻을 수 있는 상호작용 방식인 화상채팅을 통해 직접 상호작용 후 상대를 평가하게 하였다. 평가의 내용에는 Big 5 성격 요인(외향성, 우호성, 성실성, 정서적 안정성, 지성)과 매력(호감, 실제로 만나고 싶은가)이 포함되었다. 사회관계모형(social relations model; SRM)을 이용하여 참가자들의 응답을 분석한 결과 목소리만을 기반으로 한 평가에서 대상자에 대한 지각자들의 인상평가의 일치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러한 지각자들의 인상 평가는 대상자의 자기평가와도 가장 높은 일치도를 보였다. 그 외의 정보들은 단일하게 제시되는 경우보다 다른 정보들과 함께 제시될 때, 특히 세 정보가 복합적으로 제시되는 화상통화를 통한 상호작용 이후에 더욱 높은 일치성과 자기-타인 일치도를 보였다. 본 연구는 한국에서 아직 많이 활용되지 않은 사회관계모형을 이용해 2인 관계를 분석했으며, 이를 통해 대면 대인관계와는 다른 온라인 대인관계의 특징을 확인할 수 있었다는 의의가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d how the consensus between perceivers and the degree of self-other agreement differed by presenting different types of information about targets in different amounts to 20s and making them to form the impression about the targets. Since the study was conducted online using instant messenger, the study was conducted on 20s, a generation with a high preference for mobile messengers and spending a lot of time on SNS. In this study, two women and two men were grouped together to evaluate their impressions of each other based on information presented. The types of information included face, voice, and text, which is the content of the conversation. When presenting one information, the targets were evaluated by presenting face or voice stimuli one by one, or in the case of text stimuli, the targets were evaluated right after direct interaction through KakaoTalk chatting. When providing all three types of information together, the targets are evaluated by presenting face and voice stimuli and considering the chatting content at the same time or evaluating the targets after direct interaction through video chat, an interactive method that allows three information to be obtained simultaneously. The assessment included the Big 5 personality factors(extroversion, agreeableness, conscientiousness, emotional stability, intellect), and attractiveness(liking, extent of the desire to meet offline). An analysis of participants' responses using a social relations model (SRM) showed the highest consensus of perceivers' impression evaluations on subjects in voice-based evaluations, and those perceivers' impression evaluations also showed the highest agreement with subjects' self-evaluations. Other information showed higher consensus and self-other agreement when presented with other information than with a single presentation, especially after the interaction through video calls where the three information is presented complexly. This study analyzed the dyad relationship using a social relationship model that has not yet been used much in Korea, and it is meaningful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onlin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different from face-to-face relationship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