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연출 총보를 통한 어린이 뮤지컬 연구 : <호두까기 인형>(2005)을 중심으로

        차태호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8703

        논문 요약 연출 총보를 통한 어린이 뮤지컬 연구 - <호두까기 인형>(2005)을 중심으로 본 연구는 연출 총보를 통한 어린이 뮤지컬의 제반 요소를 실제 작품 연출과정을 토대로 연구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전체 뮤지컬 공연시장의 30%가 넘는 시장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는 어린이 뮤지컬의 현황에 따른 문제점을 제기하였고, 또한 이런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방법론을 연출 총보를 통해 연구하였다. 연출 총보는 뮤지컬의 연출 작업 방식으로 드라마의 플롯(plot)과 음악(기악), 연기와 가창, 음악과 무용 및 각종 무대기술을 종합하여 악보화 한 것을 말한다. 연출자는 음악(기악과 가창)과 배우의 연기, 코러스의 무용 및 작품에 필요한 모든 요소들을 디자인하고 연습시켜 공연에 이르게 하는 전 과정을 지도하며, 책임지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연출과정에서 정리된 연출 총보는 극적 템포와 리듬을 만드는 지휘자의 악보로서 공연의 일관성을 유지시키는데 가장 중요한 연출 콘셉트를 기록해놓은 것이다. 어린이 뮤지컬 연출 총보는 1단계로 제작사와 연출가의 작품 만들기의 기본 계획에서 시작된다. 2단계는 극작과 연출의 작품설계 작업, 3단계는 극작과 음악(작곡), 4단계는 음악과 무용, 5단계는 연기와 가창, 6단계는 무대미술과 각종 디자인의 결합, 7단계의 공연 연습을 통해 만들어진다. 연출 총보는 작품의 예술성을 담보하며, 극적 템포와 리듬을 만드는 지휘자의 악보로서 매년 장기간의 공연과 지방공연에 반드시 필요한 연출자의 기록이다. 이러한 연출 총보에 맞추어 연구의 본론, 첫째 장에서는 어린이 뮤지컬의 개념과 특징을 연구한다. 두 번째 장에서는 어린이 관객의 특징에 맞는 극 구성 연구를 다루도록 한다. 세 번째 장에서는 연출 총보를 통해 작품 만들기의 설계과정을 연구하고자 한다. 네 번째 장에서는 본 연구자의 연출 작품인 <호두까기 인형>(2005)의 연출 총보 를 통해 구체적인 어린이 뮤지컬 만들기의 방법론을 제시한다. 연구의 결론에서 제시한 어린이 뮤지컬의 연출 방법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어린이 관객은 이야기 진행순서에 따라 작품을 이해한다. 대부분의 어린이 뮤지컬은 1막 구조이지만, 그 안에 시작, 중간, 끝이라는 드라마의 기본구 조가 만들어져야 한다. 둘째, 어린이 관객은 박자나 구성에 대한 식별력보다는 강, 약에 더욱 민감하게 반응하므로 음악배치와 장면배치를 통해 극적 템포와 리듬을 만들어야 한 다. 셋째, 작품의 전개과정과 극적 갈등을 보여주는 무용의 기능을 통해 어린이 관객 들이 극적 상황을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만들어야 한다. 넷째, 노랫말과 연기는 반드시 악보 속에 존재하여야 하며, 극의 흐름에 어긋나 지 않아야 한다. 이러한 연출 방법론은 연출 총보의 기준이 된다. 본 연구는 어린이 뮤지컬이 어린이들에게 예술지향적인 미적 감흥과 미적 체험을 느낄 수 있도록 만들어져야 한다는 전제 아래 연출의 기술적 측면들을 고찰, 검토한다. 이를 위해 선행 연구와 해외 단행본 및 국내 단행본, 각종 자료 및 설문조사 통계와 본 연구자의 어린이 뮤지컬 연출 작업을 바탕으로 하였음을 밝혀둔다. 이 연구를 통해 어린이 뮤지컬이 일반 연극, 또는 성인 뮤지컬과 다른 독특한 개념과 목적이 있음을 밝히고, 또한 ‘어린이를 위한’ 뮤지컬 작품 만들기 과정의 구체적인 연출방법을 ‘연출 총보’를 통해 제시함으로써 어린이 뮤지컬의 발전을 위한 토대를 구축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 주제어 : 어린이 뮤지컬, 연출, 연출 총보, 도덕, 교훈.

      • 어린이뮤지컬의 가치특성이 환경친화적 태도와 정서발달에 미치는 영향

        김상원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호 불황의 여파를 덜 받는다는 이유로 상업적인 작품만 만들려는 현 어린이뮤지컬 시장에, 어린이뮤지컬이 어린이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여 예술, 교육을 포함하는 어린이뮤지컬 본연의 목적을 되돌아보고, 최근 심각해지고 있는 환경문제의 교육적 접근방법인 환경친화적 태도와 정서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증함으로써 어린이뮤지컬의 질적 성장 필요성을 강조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고찰을 통하여 어린이뮤지컬이 지니는 가치특성의 구성요소로 교육적 가치, 유희적 가치, 정서적 가치를 설정하였고, 어린이 환경사랑 뮤지컬 <미갈루의 생일파티>를 관람한 단체관람객을 대상으로 환경친화적 태도와 정서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설문조사를 통해 실증하였다. 실증결과 어린이뮤지컬의 가치특성은 환경친화적 태도와 정서발달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어린이뮤지컬이 지니는 교육적·유희적·정서적 가치 특성은 환경친화적 태도는 물론 정서발달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어린이들은 어린이뮤지컬이 지니는 교육적·유희적·정서적 가치특성 중 유희적 가치에 많이 반응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이는 어린이뮤지컬의 교육적 효과는 유희적 가치를 동반했을 때 더욱 의미가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어린이들의 흥미를 유발하는 캐릭터 뮤지컬 위주의 현 어린이공연시장을 부정적인 시선으로만 바라볼 필요는 없을 것이다. 다만 단순히 유행만 좇는 것이 아니라 놀이와 재미를 동반한 진정한 의미의 ‘유희적 가치’를 통해 접근할 때, 그것이 교육적 효과로도 이어져 어린이뮤지컬의 가치를 더하게 될 것이라는 점은 분명하다. 어린이뮤지컬의 대상은 어린이임에도 불구하고 기존 대부분의 작품에서 어린이에 대한 연구가 없었고 흥미 위주로 접근하는 상업적 공연들이 대다수였던 것이 사실이다. 이제는 이러한 관점의 접근은 지양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어린이뮤지컬이 어린이들에게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설문분석 결과를 통해 밝혔다. 어린이를 위한 콘텐츠는 어린이의 발달특성과 성향, 그리고 교육적인 요소를 고려해야 하며 성인의 관점으로 일반화해서는 안 된다. 어린이에 대해 연구하고, 어린이의 발달특성을 고려한 놀이 환경을 제공하는 양질의 어린이뮤지컬 개발은 나아가 어린이뮤지컬 시장의 질적 성장뿐 아니라 지금의 양적 성장세를 더욱 발전시킬 수 있는 원동력이 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본 연구는 어린이를 표본대상으로 하여 어린이뮤지컬이 어린이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였다는 점에 의미가 있으며, 어린이뮤지컬의 질적 성장 필요성을 거론할 수 있는 자료로서 의미를 가지고, 통합예술교육을 통한 환경교육의 교수·학습방법으로서 어린이뮤지컬의 접근 방법을 제시하였다는 데 의미가 있다. This study is intended to stress the necessity for child musical’s qualitative development in the current child musical market which creates nothing but the commercial pieces for a reason that it is relatively free of boom and bust, through the research on how the child musical affects children so that its original purpose including art and education could be reviewed and the positive verification for the influence on the eco-friendly attitude and emotional development, which is educational approach to environmental issues getting worse in recent days. For this study, the educational, playful and sentimental values were set as elements for the characteristic of value that the child musical possesses through literature reviews and the influence on the eco-friendly attitude and emotional development were verified by the survey conducted to the spectators in group who watched the eco-loving child musical, <Migaloo’s Birthday Party>. As a result, it turned out that the characteristic of value of the child musical brings a plus(+) effect onto the eco-friendly attitude and emotional development and that its educational, playful and sentimental characteristics of value affect the eco-friendly attitude and emotional development as well.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children responded the most to the playful value among the educational, playful and sentimental characteristics of value and it means that the child musical’s educational effect is more meaningful when accompanied by the playful value. As such, the current show market for children mainly focused on character musical to arouse children’s interest does not have to be seen in a negative way. However, it is obvious that the child musical’s value could be increased when it does not simply follow the trend but also approach through the ‘playful value’ in a true sense accompanied by the play and amusement. Even though the child musical’s target group is children, most of the existing musicals in fact did not study on children but they were mostly commercial shows with a fun-oriented approach. The approach from such a point of view should be avoided now.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child musical brings direct and indirect affects to children as a result of the survey analysis. Contents for children should consider their developmental characteristic, propensity and educational elements and must not be generalized by the adult’s point of view. Furthermore, the development of child musical with high quality which studies on children and that provides a playing environment considering children’s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is expected to be a driving force for qualitative as well as quantitative growth. This study carried out on a sample of children is meaningful to have verified the child musical’s influence on them as a document with which we are able to mention the necessity for the child musical’s qualitative development and also to present an educational approach as its teaching & learning methods for the environmental education through the unified art education.

      • 어린이뮤지컬 <오즈의 마법사> 연구

        서정아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8703

        현대는 다매체 사회이자 문화의 시대다. 오늘날 문화콘텐츠는 문화원형을 중심으로 다양한 형태로 재매개화되고 있으며, 그런 만큼 문화예술은 이러한 시도를 사회적으로 확장하는 원천이 되었다. 특히 매체 전환은 전통적 예술장르를 결합하거나 새로운 미디어와 만남으로써 또 다른 문화콘텐츠를 재생산하기도 한다. 이러한 과정은 형식뿐만 아니라 콘텐츠의 내용과 다양한 공연예술 구성 요소까지 변화시키며 문화산업의 다양한 분야를 넘나들고 있다. 이 가운데 문학은 매체 전환의 원형 콘텐츠로서, 연극, 영화, 뮤지컬, 애니메이션, 만화 등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문화콘텐츠로 전환되고 확장되고 있는 추세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문학텍스트의 매체 전환 양상에 주목하는 것은 문화지형의 변화를 읽어내고 문화콘텐츠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가장 효과적인 방법 가운데 하나다. 전통적으로 문학텍스트의 매체 전환이 활발한 분야는 영화 장르였다. 최근에는 영화 중심적인 기존의 경향을 넘어 만화(웹툰), 드라마까지 그 영역이 확대되고 있다. 특히 뮤지컬 분야의 약진은 주목할 만하다. 뮤지컬은 문화산업의 발달과 더불어 비약적으로 발전하는 분야이며, 문학텍스트와 밀접한 관련성을 맺어 왔다. 뮤지컬은 비복제적 특성, 즉 공연예술의 아날로그 요소를 근간으로 하면서도 기술의 비약적인 진보에 힘입어 다채로운 장면을 연출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거대자본의 투입과 스타 출연자와 결합하여 공연예술 분야의 주요한 장르로 각광받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이 논문에서는 프랭크 바움(L. Frank Baum)의 동화 『오즈의 마법사』(The Wonderful Wizard of Oz, 1900)』 의 매체 전환에 주목하여 매체이론과 서사이론을 바탕으로 문학텍스트와 뮤지컬의 매체 특성, 동화텍스트의 소설과 영화, 게임, 뮤지컬로의 전환 양상을 고찰하고, 어린이뮤지컬 <오즈의 마법사> 제작 과정을 규명하고자 했다. 어린이문학의 대표적인 정전인 『오즈의 마법사』를 주된 연구 대상으로 삼은 까닭은 이 작품이 100여 년의 시간을 관통하며 다양한 매체로 전환되었을 뿐만 아니라 오늘날까지도 여전한 울림과 가치를 전달하기 때문이다. 세기 전환기에 탄생한 󰡔오즈의 마법사󰡕는 탄탄한 서사구조와 개성 넘치는 등장인물, 환상과 교훈이 잘 어우러져 있어 시대가 바뀌어도 변함없이 여러 매체를 넘나들며 다채롭게 변주되고 있으므로 문학텍스트의 매체 전환 양상을 살펴보는 데 적합하다. 또한 환상적 장치와 유머, 어린아이다우면서도 결코 단순성에 함몰되지 않는 경향을 지니고 있어 전통적인 동화적 매너리즘에서 완전히 벗어난 작품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논의를 진행과 결과는 다음 네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Ⅱ장에서는 매체이론을 고찰하고 동화장르를 대상으로 문학텍스트의 매체 전환 논리와 양상을 살펴보았다. 의사소통의 수단인 매체는 단순히 정보를 전달하는 기술적 수단이 아니라 인간의 지식 습득 방식과 인식 방식, 나아가 인간의 삶과 문화 전반에도 커다란 변화를 불러일으켰다. 이러한 매체가 문화의 생산과 향유에 미친 영향은 가히 절대적이다. 뉴미디어의 등장과 더불어 문화는 미디어를 통해 본격적으로 소비되기 시작했다. 지상파, 케이블, 신문, 도서, 인터넷 등과 같은 통합 미디어가 매스미디어의 시대를 이끌었다면, 뉴미디어는 취향을 중심으로 하는 마이크로미디어의 시대를 열었다. 현대사회에서 이러한 복합미디어가 지배하는 문화적 상황에서 새로운 매체가 문학에 미친 영향은 지배적이다. 좋은 이야기는 매체 전환을 통해 시공간을 넘고, 국경을 넘고, 문화를 넘고 역사를 넘는다. 좋은 스토리는 더욱 자주 선택되며 더욱 오래 살아남는다. 각색은 매체 전환 스토리텔링의 오랜 전통이다. 영화에 이어 오늘날에는 애니메이션, 게임과 같은 새로운 매체가 등장하면서 각색이 더욱 다양해지기 시작했다. 현대사회에서 콘텐츠는 훌륭한 문화산업재로 간주된다. 이때 콘텐츠는 문화와 경제의 접점이기도 하다. 문화가 상품화를 통해 경제적 가치를 지니게 되면 콘텐츠가 된다. 문화콘텐츠의 온라인화와 디지털 콘텐츠화 물결에 따라 하나의 콘텐츠는 지금 이 순간에도 다양한 매체로 전환되고 있는 것이다. 매체 전환의 주요한 원천텍스트였던 소설뿐만 아니라 동화텍스트의 경우도 예외가 아니다. 특히, 오늘날 동화는 책으로만 읽히지 않으며 구연이나 전통적인 문자텍스트 보다는 다양한 매체를 통해서 재생산되는 경향이 다분하다. 산업과 기술의 발달이 문화의 패턴을 변화시키고, 이에 부응하여 새로운 매체가 이야기의 소비양식을 급격하게 변화시키고 있기 때문이다. 동화의 원천 서사 역시 다양한 매체를 통해 전환되고 확대된다. 문학텍스트의 매체 전환 양상은 각색을 통해 영화, 뮤지컬, 만화, 인터넷게임 등 다양한 매체로 나타난다. 루이스 캐럴의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Alice in a World of Wonderlands, 1865), 카를로 콜로디의 『피노키오』(Pinocchio, 1883), 로버트 루이스 스티븐슨의 『보물섬』(Treasure Island, 1883), 제임스 매튜 베리의 『피터팬과 웬디』(Peter Pan and Wendy, 1911), 루시 모드 몽고메리의 『빨강 머리 앤』(Anne of Green Gables, 1908) 등은 동화텍스트가 다매체로 전환된 대표적인 고전동화다. 이들 작품은 전 세계에서 영화, 만화, 애니메이션, TV 드라마 등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었으며, 지금까지도 대중들의 폭넓은 사랑을 받고 있다. 둘째, Ⅲ장에서는 동화 『오즈의 마법사』의 서사적 특징을 고찰하고, 이를 원천 텍스트로 하여 영화, 연극, 게임, 만화 등 다른 매체로 전환되는 양상을 고찰하였다. 동화 『오즈의 마법사』 시리즈는 동물이나 마녀의 관점에서 인간을 해석함으로써 인간 중심적인 문명화 과정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고 있으며, 지식과 지혜의 차이, 남자와 여자의 성 정체성에 관한 질문을 던지기도 했다. 소박한 20세기형 사이보그들을 등장시켜 인간과 자연, 인간과 기계의 공존과 지배 관계를 보여주기도 했다. 이 작품에서는 어린이의 인지 능력으로 포착하고 사유할 수 있는 전복성과 경계 해체, 개방성과 SF적 가능성을 실현시켰다. 특히 다양한 마녀들과 마법사, 의인화된 동물들과 곤충, 사물 등의 등장, 먼치킨 나라, 에메랄드 시, 윙키 나라 등의 가상세계, 변신과 마법의 적절한 허용은 이 작품이 현실과 관계를 맺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환상의 세계를 통해 어린이들이 인식해야 할 현실적 삶의 모습을 은유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현대에 이르러서는 새롭게 등장한 디지털 매체까지 가세하여 『오즈의 마법사』의 매체 전환이 더욱 광범위하게 진행되고 있다. 최초의 매체 전환은 1902년 뮤지컬 플레이 엑스트라버간자(extravaganza)다. 이후 이 작품은 1903년 뮤지컬로 제작되어 시카고에서 초연하고 투어공연을 가진 바 있으며, 1925년 같은 제목으로 채드윅(Helene Chadwick)의 무성영화로 제작되기도 했다. 1939년 MCM사에서 뮤지컬 영화로 제작한 <오즈의 마법사>는 20세기 최고의 영화로 아카데미상 6개 부문에 노미네이트되었으며, 1942년에는 세이트 루이스 시립오페라단과 1987년 로얄 셰익스피어 컴퍼니에서 각각 뮤지컬로 제작하였다. 2005년 워너브러더스사에서 제작한 <오즈의 마법사>는 가장 사랑받는 영화 DVD로 뽑혔으며, 2007년에는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기록유산에 등재되기도 했다. 2009년에는 개봉 70주년을 맞아 영화 <오즈의 마법사>가 미국 전역에 특별 상영되었고, 2011년 앤드류 로이드 웨버와 팀라이스 버전의 뮤지컬이 제작되었다. 셋째, Ⅳ장에서는 앞선 논의를 바탕으로 동화 『오즈의 마법사』와 어린이뮤지컬 <오즈의 마법사>의 내용과 스토리를 비롯하여 인물, 사건, 배경 등 구성 요소들을 비교 분석하고, 서사의 표현 층위가 매체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어린이뮤지컬 동화텍스트를 각색하여 서사를 장면 단위로 나누어 스토리와 플롯, 구성 요소, 음악 넘버와 무대장치에 이르는 어린이뮤지컬 <오즈의 마법사> 제작 과정을 고찰하였다. 어린이뮤지컬은 어린이에게 즐거움과 올바른 가치관, 미에 대한 정서 함양, 신뢰감 등을 심어줌으로써 미래 사회의 구성원으로 성장해야 할 어린이들에게 높은 교육적 가치를 지닌다. 또한 어린이들이 직접 뮤지컬 활동을 함으로써 또 다른 삶을 체험하고 의사소통의 중요성을 배우며, 예술의 즐거움을 알게 하는 장르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 어린이뮤지컬 <오즈의 마법사>는 동화 󰡔오즈의 마법사󰡕의 24장의 에피소드를 1막 6장으로 각색하였다. 총 6장의 장면은 도로시의 모험의 여정에 따라 크게 네 부분으로 나누었으며, 주요 인물은 8명과 조연 25명으로 캐릭터를 설정하였다. 일반적으로 어린이뮤지컬의 등장인물 수가 지나치게 많으면 극적 전개에 혼란을 초래할 수 있어 스토리라인을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단순화하였다. 노래는 작사 이프 하버그(1896~1981), 해럴드 알런(1905~1986)이 작곡한 󰡔오즈의 마법사󰡕 뮤직 스코어를 사용하여 리프라이즈(reprise) 포함 총 18곡으로, 독창곡 7곡, 중창곡 8곡, 합창곡 3곡을 사용하였다. 이들 뮤직넘버는 원작의 의도를 충실하게 반영한 뮤지컬 영화에 나오는 음악이어서 관객들이 쉽게 따라 부를 수 있을 정도로 친숙하기 때문이다. 의상은 W. W. 덴슬로우가 그린 동화텍스트 일러스트를 바탕으로 제작하여 관객들이 친숙하게 등장인물에 몰입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를 통해 문학텍스트의 주제의식을 따라가되, 문학 매체와는 뮤지컬 매체의 고유한 특성을 유감없이 드러낼 수 있었다. 넷째, 제Ⅴ장에서는 어린이뮤지컬 <오즈의 마법사>를 통해 본 매체 전환의 의의와 한계를 살펴보고 한계점 극복을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어린이뮤지컬이 갖는 의의는 크게 세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뮤지컬은 어린이들이 가깝고도 보편적인 예술 장르로 연극, 음악, 무용 등 다양한 장르의 예술적 특질이 전인적 성장을 자극한다. 둘째, 허구의 삶을 체험함으로써 타인을 이해하고 의사소통의 중요성과 방법을 체득할 수 있는 연극적 교육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셋째, 무대에서 의미 있는 행위를 하는 경험은 훗날 사회라는 공간에서 사회적 행위를 실천하게 되는 예비 경험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의의에도 불구하고 문학텍스트의 어린이뮤지컬로의 매체 전환에는 일정한 한계를 노정하고 있었다. 첫째, 가장 근본적인 한계로 서로 다른 매체 자체의 속성과 틀을 극복하기 어렵다. 언어를 매개로 하는 문학텍스트는 가시적ㆍ비가시적 영역의 콘텐츠를 생산할 수 있지만, 이를 무대라는 아날로그 공간에 춤, 노래, 연기라는 가시적 형태로 오롯이 재현하기란 매우 어려운 과제다. 특히 환상성을 특징으로 하는 텍스트의 경우 이 어려움은 가중된다. 또 어린이뮤지컬은 시간의 제약이 따르므로 서사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원작에 등장하지 않는 인물을 내세워 일정한 역할을 하게끔 만들거나 과감하게 삭제하는 등 각색이 필요하다. 둘째, 새로운 즐길 거리가 양산되는 한편 취향 중심의 소비가 이루어지는 현대사회에서 공연예술 장르 자체의 설 자리가 줄어드는 상황이며 새로운 매체의 등장과 매체 간의 무한경쟁, 무한융합이 이루어지는 시대의 변화는 어린이뮤지컬이라는 마이너 매체에 있어 큰 위협이 된다는 점이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고 의의를 풍요롭게 하기 위해 몇 가지 제언을 할 수 있었다. 첫째, 어린이뮤지컬로 매체 전환하는 텍스트를 정전과 명작, 교육적 효과, 상업적 측면에 국한할 것이 아니라 시대적 방향을 담아내는 주제의식을 가진 텍스트로 확장해야 한다. 둘째, 어린이뮤지컬은 아직 뚜렷한 개념과 범위가 규정되지 못했지만 관련 연구가 다양한 방면에서 이루어져 하나의 연구대상이 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셋째, 어린이 뮤지컬을 산업적 콘텐츠로 바라볼 것이 아니라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교육적 가치와 아울러 문화 다양성 측면에 방점을 둘 필요가 있다. 대부분의 성인뮤지컬이 수입콘텐츠와 대규모 자본에 의존하는 현실에서 어린이뮤지컬의 성장은 사회의 문화 응전력을 높이는 방안이 될 수 있다. 이 논문에서 주목한 어린이뮤지컬 <오즈의 마법사>는 동화 연구자뿐만 아니라 문화콘텐츠 연구자들에게 어린이문학이 다양한 매체로 전환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뜻깊은 사례라 볼 수 있다. 앞으로 동화를 비롯한 다양한 문학텍스트를 소설과 영화, 만화, 특히 어린이뮤지컬로 제작할 때, 이 논문에서 제안한 내용들이 하나의 모델로 활용될 수 있었으면 한다. 나아가 원천텍스트의 권위를 숭상하는 현재의 지배적인 흐름과는 다른 실험적이고 독창적인 어린이뮤지컬이 폭넓게 제작되기를 기대한다.

      • 어린이 뮤지컬의 제작과정에 관한 연구 : 뮤지컬 <이솝빌리지> 연출노트를 중심으로

        박지양 세종대학교 공연예술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655

        어린이 뮤지컬 이솝빌리지는 제목에서 느낄 수 있듯이 이솝우화의 이야기로 극적줄거리를 구성한 작품이다. 전체적인 스토리는 양치기소년이야기로 이끌어 가지만 가시 박힌 사자이야기, 해와 바람이야기, 개구리 엄마 이야기를 넣어 아이들에게 교훈을 심어주고 재미를 더했다. 극중 관객의 적극 참여를 유도하여 관객 어린이들의 공연 집중도를 높이는 동시에 즐거움을 주는 운동회시간과 오프닝을 배우들이 객석에서 포토타임으로 시작하는 등 관객들에게 좀 더 가까이 다가가고 어린이들의 관심요소를 불러일으키는 요소를 적당히 집어넣으며 내용성을 소홀히 하지 않으려 노력한 작품이다. 선과 악을 확실히 구분해주지만 용서라는 개념을 통해 아이들의 마음을 따뜻하게 해주는 작품이다.

      • 한국 어린이 뮤지컬공연 관람객의 관람 의사결정에 관한 연구 : Q방법론 적용을 중심으로

        서흥식 연세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32319

        현대사회에 있어서 일반대중 소비자들의 모든 경험은 행위로 나타나고, 이러한 사고나 느낌 같은 주관적 행위를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Q방법론은 어린이 뮤지컬 공연을 관람하는 관람객들의 의사결정에 대한 유형을 구조화하고 유형별 특성을 파악, 기술하고 설명하려고 하는 본 연구의 목적에 적합한 방법으로 각 태도 유형에 대한 다양하고 풍부한 해석은 발견적이고 가설 생성적인 Q방법론에서 가능하다. 그러므로 점점 그 중요성과 비중이 커져가고 있는 어린이극을 중심으로 한 Q방법론을 통해 소비자의 의사결정과정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어린이극 소비자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 본 논문의 목적이다. 따라서, 이 논문의 의의는 어린이 뮤지컬공연에서 관람객의 관람의사에 대해서 기존의 계량적 방법론(R방법론)으로는 한계에 대한 대안책이 없어왔던 차에 이러한 Q방법론적 분석논문은 관객의 자아구조(schema) 속에 있는 요인들까지 파악할 수 있다는 점에 큰 의미가 있다고 본다. 특히, 생활이 윤택해 지면서 이러한 문화공연을 통한 레크리에이션 활동이 활발해지는 점을 감안한다면 이러한 연구활동은 많은 의미를 부여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논문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인구 사회학적 특성(성, 연령, 직업)에 따라 한국 어린이 뮤지컬공연에서 나타나는 관람객의 관람 의사결정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 유형들로 구분되는가? <연구문제 2> 인구 사회학적 특성(성, 연령, 직업)에 따라 한국 어린이 뮤지컬공연에서 나타나는 관람객의 관람 의사결정에 대한 인식 유형들 간에는 어떠한 차이점을 갖는가? 다음으로, 본 연구자는 다음과 같이 연구가설을 선정하였다. <연구가설 1> 설문대상자들의 인구 사회학적 특성(성, 연령, 직업)에 따라 한국 어린이 뮤지컬공연에서 나타나는 관람객의 관람 의사결정에 대한 인식은 차이가 있을 것이다. <연구가설 2> 설문대상자들의 인구 사회학적 특성(성, 연령, 직업)에 따라 한국 어린이 뮤지컬공연에서 나타나는 관람객의 관람 의사결정에 대한 인식 유형들 간에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이 연구에서 Q방법의 사용은 한국 어린이 뮤지컬공연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일반대중들(관람객)의 관람 의사결정에 관한 주관성을 알아보기 위해 진술문형태의 카드를 분류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질 것이다. 이 진술문 작성을 위하여 연구자는 한국 어린이 뮤지컬공연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일반대중들(관람객)의 관람 의사결정에 관한 관련 내용들과 국내문헌, 그리고 주변 사람들과의 인터뷰를 통하여 Q모집단(concourse)을 구성하고, 이를 통하여 진술문(Q-statement)을 작성한 후, P샘플을 선정, 분류작업(sorting) 과정을 거쳐 얻게 되는 Q-sort를 PC QUANL 프로그램을 이용, Q요인분석(Q-factor analysis)을 통해 분석하였다. 이 연구는 한국 어린이 뮤지컬공연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일반대중들(관람객)의 관람 의사결정에 대해 지니고 있는 전반적인 관념들과 느낌, 의견, 가치관 등을 종합적으로 얻기 위해 어린이 뮤지컬, 관람객의 의사결정과 관련된 전문서적, 학술서적, 저널 등의 관련문헌 연구와 주변의 일반대중들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통하여 100개의 Q-population(concourse)을 추출할 것이다. 다음으로 Q-population에 포함된 진술문 중 주제에 관한 대표성이 가장 크다고 여겨지는 진술문을 임의로 선택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최종적으로 25개의 진술문 표본을 선정하고자 한다. 여기에서 선택된 25개의 진술문은 전체적으로 모든 의견들을 포괄하고, 긍정, 중립, 부정의 균형을 이룰 수 있도록 구성할 것이다. 또한 이 연구에서는 위에서 제시한 기준에 의거하여 성별, 연령, 직업 등 인구학적 특성을 적절히 고려하여 25명을 P샘플로 선정하고자 한다. Q표본과 P표본의 선정이 끝나게 되면 P표본으로 선정된 각 응답자(Q-sorter)에게 일정한 방법으로 Q샘플을 분류시키는데 이를 Q분류작업(Q-sorting)이라 부른다. 이때 양끝에 놓여진 3개의 진술문에 대해서는 각각의 코멘트(심층인터뷰)를 받아 두었다. 이것은 Q-factor 해석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해 주기 때문이다. P표본에 대한 조사가 완료된 후 수집된 자료를 점수화하기 위하여 Q표본 분포도에서 가장 부정적인 경우 (-4)를 1점으로 시작하여 2점(-3), 3점(-2), 4점(-1), 5점(0), 6점(+1), 7점(+2), 8점(+3) 그리고 가장 긍정적인 경우 9점(+4)을 부여하여 점수화 한다. 이 부여된 점수를 진술문 번호순으로 코딩하고, 이러한 자료를 PC용 QUANL 프로그램으로 처리하여 그 결과를 얻는다. 이 연구에서 Q요인분석을 한 결과 연구자가 요구한 대로 4개의 유형이 나타났다. QUANL 프로그램을 실시해 본 결과, 구성된 분석유형은 총 ---4개의 유형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결과는 전체변량의 약 67%를 설명하고 있는 4개의 유형에는 각각 9명, 8명, 4명, 4명이 속하였는데, 여기서 인원수의 의미는 없다. 또한 인자가중치가 1.0이상인 사람이 각각 5명, 7명, 2명, 3명이 속해 있어 제 2유형이 가장 큰 인자임을 알 수 있다. 각 유형의 변량 크기를 나타내는 4개 유형에 대한 아이겐 값(eigen value)은 각각 10.3706, 2.8943, 1.8922, 1.5278 등으로 나타났다. 분석한 결과, 총 4가지의 유형으로 분류되었는데, 제1 유형은 뮤지컬 중시 절약형, 제 2유형은 적극적 선호형, 제 3유형은 문화적 향유형, 제 4유형은 가족 친화형으로서, 각 유형마다 독특한 특징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그 외에도 일치하는 항목에 대한 분석, 두 유형간 차이분석, 타 유형과의 동의정도 비교 분석 등에 대해서 다각도로 이루어졌다. 무엇보다도, 본 논문에서는 최종 분석결과에서 지적된 바와 같이, 어린이 뮤지컬 공연에 대한 관람객들의 반응은 대부분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으며, 이에 따른 뮤지컬 공연문화에 대한 과학적이고도 합리적인 체계성 확립의 필요성이 제기된다고 할 수 있겠다. 아울러, 이러한 Q방법론을 통한 어린이 뮤지컬에 대한 관객의 의사결정과 주관성 연구는 여론, 태도, 집단, 역할, 문화, 사회화, 의사결정, 선전, 가치, 신념, 퍼스낼리티, 커뮤니케이션, 문학, 이미지, 아이디어 등 자아가 포함된 모든 영역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고 본다. 즉, 다양한 방법론적인 접근과 다각적이고도 체계적인 연구작업이 요청된다고 하겠다. 본 논문에서는 지금까지 주요 연구방법으로 쓰여 왔던 R방법론(설문지 조사 및 내용분석)과는 달리 질적연구인 Q방법론(주관성연구측정방법)을 도입하여 조사 및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실무자적인 입장에서 설문대상자들을 면접하여 분석된 의미있는 작업이었다. 또한 본 연구의 한계점으로는 어린이 뮤지컬 공연 관람객의 의사결정과정에 대해 주관성 연구측정을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는데, 보다 심도있는 연구결과가 제시되기 위해서는 R방법론과 다각적인 내용분석 및 구체적인 문헌연구 작업이 함께 추진되어야 하는 점을 들 수 있겠다. 앞으로 이러한 연구는 예술적, 교육적, 문화적 효과를 측정하는 관람전후의 만족.불만족 요인을 탐색작업에도 시도되어야 한다고 보여진다.핵심용어: 어린이 뮤지컬 공연, 관람의사, Q-statements, 주관성연구, Q방법론, QUANL 프로그램 In our modern society, ordinary consumers'' all experiences are reflected in their behaviors. 'Q' methodology is designed to measure people''s thoughts, feeling or other subjective behaviors in an objective way, and therefore, it may well be useful in structuring people''s decisions to view children''s musical performances and thereby, analyzing, describing and explaining them. In other words, the hypothesis-based 'Q' methodology may be useful in interpreting various types of behaviors. On the other hand, children''s dramas become more and more important, attracting more peopl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consumers'' decision-making processes by applying 'Q' methodology and thereby, provide for some basic data about the consumers for children''s dramas. This study may be significant in that because the conventional quantitative methodology ('R' methodology) cannot determine people''s will to view children''s music performances, the 'Q' methodology can analyze even the factors inherent in audience''s ego schema. In particular, as people''s living standards improve, their recreation activities including enjoyment of cultural performances increase, and therefore, such a study may well be significant. For this study, the following study points were set up; <Study point 1> How would people''s decisions to view children''s music performances in Korea be classified depending on their demographic variables (sex, age and job)? <Study pont 3> How would the types of perception of such decisions differ depending on their demographic variables (sex, age and job)? With regard to the above questions, the following hypotheses were set up; <Hypothesis 1> People''s perceptions of their decisions to view children''s musical performances in Korea would differ depending on their demographic variables (sex, age and job). <Hypothesis 1> Types of people''s perceptions of their decisions to view children''s musical performances in Korea would differ depending on their demographic variables (sex, age and job). For this study, 'Q' methodology was applied to classify people''s statement cards in order to review the subjectivity of people''s (audience''s) decisions to view children''s musical performances. In order to produce the statements, the researcher reviewed domestic literature about people''s (audience''s) decisions to view children''s musical performances and thereupon, interviewed with some sample people to construct 'Q' concourse and therethrough, produced a 'Q' statement, and then, selected and sorted a 'P' sample. The resultant data or 'Q-sort' were analyzed using the PC QUANL program for Q-factor analysis. In order to obtain a comprehensive data about people''s concepts, feeling, opinions and value systems regarding their decisions to view children''s musical performances in Korea, special books, academic books, journals and other relevant literature about audience''s decisions to view children''s musical performances were extensively reviewed, and thereupon, some people were sampled to be interviewed in-depth to produce 100 Q-population (concourse). Then, the statements included in Q-population were sorted out to arbitrarily select the ones which were deemed to represent the theme adequately, and thereby, 25 statement samples were selected finally. 25 sample statements were thought to cover all opinions, maintaining an equilibrium among affirmation, neutrality and negation. On the other hand, 25 people were selected as 'P' sample in consideration of such demographic variables as their sex, age and job and according to the criteria pre-determined. After 'Q' and 'P' samples were determined, each respondent of 'P' sample was sorted for 'Q' sample. (Q-sorting). 3 statement on both extremes of the spectrum were subject to comment (in-depth interview), because such comments was conceived as useful information for interpretation of Q-factor. When the survey for 'P' sample was complete, the collected data were marked numerically. Point 1 was allotted to the most negative case (-4), and point 2 (-3), point 3 (-2), point 4 (-1), point 5 (0), point 6 (+1), point 7 (+2) and point 8 (+3) were allotted to the next most negative cases, respectively. And point 9 (+4) was allotted to the most positive case. The points were encoded in the order of the statement numbers, and the resultant data were processed using the PC QUANL program. As a result of 'Q-factor' analysis, 4 types were identified as required. On the other hand, as a result of QUANL program processing, a total of 4 types for analysis were identified. The 4 types which explained about 67% of the entire variances were 9, 8, 4 and 4 people. Here, the number of people was insignificant. On the other hand, the number of the people with the factor weight of 1.0 or higher was 5, 7, 2 and 3, respectively, which suggests that the type 2 was the largest factor group. The eigen values of 4 types signifying the size of each variance were 10.3706, 2.8943, 1.8922, and 1.5278, respectively. As a result of this analysis, a total of 4 types were classified. Type 1 were stringent people who loved musicals, type 2 loved musicals much, type 2 enjoyed culture and type 4 were family-oriented. Namely, each type had their own characteristics. Besides, various analyses were conducted: analysis of conforming items, analysis of differences between two types, comparative analysis of conformity to other types. Above all, as indicated in the final analysis, audience''s responses to children''s musical performances were mostly positive, and therefore, it was deemed necessary to plan the musical performance culture in a scientific, reasonable and systematic way. All in all, this study which used 'Q' methodology to analyze audience''s subjective decisions to view children''s musical performances may be useful for every area based on ego schema: public opinion, attitude, group, role, culture, socialization, decision making, propaganda, value, belief, personality, communication, literature, image, idea, etc. Merely,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be followed up by future studies using multi-faceted methodological approaches and diverse and systematic ways. For this study, the qualitative 'Q' methodology (scale of subjectivity) was used instead of the conventional 'R' methodology (questionnaire survey and its analysis). For this study, the interview method was also used for a significant analysis. However, this study was limited in that it surveyed the subjectivity of people''s decision to view children''s musical performances. So, it is hoped that future studies will combine 'R' methodology with multi-faceted analysis and extensive literature review. In this regard,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be followed up by future studies which will measure artistic, educational and cultural effects of audience''s responses and review their satisfaction dissatisfaction factors before and after viewing children''s musical performances. Keywords: children''s music performance, intention to view, Q-statements, research into subjectivity, Q-methodology, QUANL program

      • 어린이 뮤지컬의 현황과 콘텐츠 개발방안

        정현경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32319

        본 논문은 현재 급격히 팽창하고 있는 한국 뮤지컬 시장에서 어린이 뮤지컬이 가진 의의와 가치를 살펴보고, 어린이 뮤지컬의 개발 방안에 대해서 연구했다. 먼저 제2장에서는 한국 뮤지컬의 역사와 현황을 살펴보았다. 노래와 춤 연기를 통해 극적인 스토리를 표현하는 종합예술인 뮤지컬은 21세기 가장 급성장하고 있는 문화콘텐츠로, 1990년대부터 빠른 속도로 성장하기 시작했으며 2000년대 들어와 대향 기획 마케팅과 자본투자 산업으로 인식되면서 부흥기를 맞이하고 있다. 하지만 한국을 비롯한 세계 뮤지컬계는 최근 소재의 부족으로 인해 새롭게 주목받은 작품이 나오지 못하고 있으며 이는 기존 흥행 작품에 의존하는 현상으로 이어졌다. 제3장에서는 어린이 뮤지컬의 의의를 살펴보았다. 1970년대 본격적인 의미의 어린이 뮤지컬이 등장한 후, 우리나라 어린이 뮤지컬은 MBC 문화방송과 극단 현대극장에 의해 1990년대까지 전성기를 누렸지만, 한국적인 소재를 외면함으로서 어린이들에게 문화적 정체성을 심어주는 데에는 아쉬운 점이 많았고, 2000년대는 어린이 뮤지컬의 산업화가 본격화면서 활발한 작품 활동과 공연이 이어지고 있다. 어린이 뮤지컬은 어린이에게 즐거움과 올바른 가치관, 미에 대한 정서 함양, 신뢰감 등을 심어줌으로서 미래 사회의 구성원으로 성장해야할 어린이들에게 높은 교육적 가치를 지닌다. 또한 어린이들이 직접 뮤지컬 활동을 함으로서 또 다른 삶을 체험하고, 의사소통의 중요성을 배우며, 예술의 즐거움을 알게 됨으로서 다른 교육과정에도 영향을 미치는 가치를 지닌다. 특히 최근 주목받고 있는 ‘통합교육으로서의 음악극’의 가치 측면에서도 어린이 뮤지컬을 뛰어난 가치를 지니고 있다. 하지만 지금까지의 어린이 뮤지컬은 높은 가치에 비해 체계적인 연구와 지원이 부족했다. 아직은 관객층의 형성이 미비하고, 어린이 공연의 수도권 편중 현상이 심하며, 전국의 어린이 전용 극장의 부족과 사설 공연장 중심의 상업적인 공연문화, 그리고 어린이 뮤지컬 전문 인력의 부족과 높은 관람료 등 다양한 문제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에 그 개선방안으로 어린이 관객과 부모를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는 다양한 소재 개발과 정부와 민간 차원의 적극적인 지원, 어린이 전용극장의 활성화와 체계적인 관객개발 프로그램 등을 제시했다. 제4장은 본 논문의 핵심이 되는 부분으로 어린이 뮤지컬 콘텐츠의 개발 방안에 대해 연구해보았다. 특히 전통 사물놀이 장단을 소재로 한 넌버벌 뮤지컬 <난타>의 세계 시장에서의 성공과, <난타>에서 <어린이 난타>로 이어지는 사례를 통해, 우리 고유의 소재에서 소스를 찾아 이를 발전시키는 방법을 모색했으며, 이에 옛 어린이들의 정서와 어린이들의 순수함을 담은 전래동요와, 현대 어린이들의 삶을 밀도있게 그려낸 백창우의 노래를 소재로 한 어린이 뮤지컬 콘텐츠를 직접 기획해 보았다. 먼저 전래동요를 소재로 한 어린이 뮤지컬 콘텐츠에서는 먼저 전래동요가 가진 가치와 의미를 살펴보고, 최근 전세계 뮤지컬 시장에서 인기를 끌고 있는 주크박스 뮤지컬에 대입하여 전래동요를 소재로 한 어린이 주크박스 뮤지컬의 기획안을 직접 작성했다. 특히 제7차 교육과정 초등학교 음악교과서의 제재곡으로 수록된 강강술래의 여러 노래들을 사용한 어린이 뮤지컬을 직접 기획하고 시놉시스까지 작성해서 보다 더 현실적인 실현 방안을 연구했다. 다음엔 어린이가 직접 쓴 노랫말에 곡을 입혀 현대 어린이들의 삶을 밀도 있게 그려낸 백창우의 노래를 소재로 한 어린이 주크박스 뮤지컬을 제시했다.. 특히 백창우 노래가 가진 특징과 각 노랫말 속에 담긴 어린이들의 삶을 토대로 시놉시스를 작성하여 앞의 전래동요를 소재로 한 어린이 뮤지컬과의 차별화를 시도했다. 어린이 대상 산업은 문화산업계에서 경제적인 호불황의 여파를 상대적으로 덜 받는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어린이 뮤지컬은 앞으로 그 성장 가능성이 무궁무진하다. 하지만 어린이 뮤지컬을 산업적인 가치로만 측정하는 관점을 지양되어야 한다. 보다 건강하고 밝은 미래 사회를 위해서는 어린이를 위한 질 좋은 콘텐츠를 통해 어린이들의 상상력과 창의성을 높이는 일이 중요하다. 이에 어린이 뮤지컬에 대한 개발 방안에 대한 연구가 더 활성화되어야 한다. 하지만 아직까지 어린이 뮤지컬을 본격적으로 다룬 연구는 부족하고, 어린이 뮤지컬 교육 방법 역시 체계적이지 못하다. 앞으로 세계시장에서 우리 어린이 뮤지컬의 경쟁력을 높이고, 어린이 뮤지컬 시장의 질적 양적인 성장을 위해 더 많은 연구와 노력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 학교 수업으로서 어린이 뮤지컬의 문제점과 해결 방안 연구

        송미금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32317

        본 논문은 학교 수업으로서의 어린이 뮤지컬 활동을 통한 문제점을 발견하고 해결 방안을 연구한 것에 목적이 있다. 어린이 뮤지컬이 정서적인 함양을 높이고 많은 미디어나 게임에 빠져 있는 아이들에게 전인격적이며 창의적인 교육이라는 것에 대한 주장과 연구는 계속되어지고 있다. 현재 학교에서 시행되고 있는 수업으로서의 뮤지컬 활동을 하는데 가지는 한계점을 요약하면 학교 문화예술 정책의 현황으로 시행되는 창의적 체험활동을 통한 뮤지컬 수업을 채택된 학교가 적으며 수업환경도 열악한 실정이다. 이러한 뮤지컬을 학교 수업으로 시행하는데 필요한 개선방안과 해결을 교육적인 소재를 가진 콘텐츠를 개발하고, 선진국 유럽의 학교극을 우리나라 어린이 학교 뮤지컬의 시스템으로 맞게 구성하여 제작되고 수업으로 진행 되어야 한다. 선진국들은 예술 교육을 현실화하기 위해서 많은 지역단체와 연계하였고, 예술 강사 지원 사업을 넓히고 특성화 하였다. 우리나라에도 문화예술 지원사업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며 앞으로도 더욱 발전 양적인 성장뿐 아니라 질적인 전문인으로 성장할 필요성이 있다. 이것은 학교 수업 뮤지컬 현장에서 가장 필요하며, 이를 위한 전문인 교사 양성을 위한 어린이 뮤지컬 수업만을 위한 교육 연수도 반드시 필요하겠다. 필자가 더욱더 강조하는 대안으로는 교육적인 내용의 콘텐츠를 개발하는 것이다. 요즘 현사회적인 문제로 크게 문제되고 있는 초등학교 자살문제, 흡연, 성폭력, 학교폭력 등에 관한 이야기들을 소재를 직접 뮤지컬 소재로 다룸으로서 자라나는 성장기 어린이들에게 음악적인 즐거움 이상의 치료, 교육적인 효과를 가질 수 있는 큰 장점이 있다. 학교 수업에서 뮤지컬 수업이 이루어지는 문제점들을 오히려 아이들과 함께 상의하고 공동과제로 협업하며 경험하는 교육은 앞으로 미래사회에 더욱 절실히 필요한 교육이다. 이것을 이루기 위한 여러 가지 학교 문화예술 교육 정책의 지원과 지역단체와의 연합과 또 학교만의 뮤지컬 형태의 인프라로 구축되기 위해서는 많은 시행착오들을 겪어야 할 것이다. 교육 뮤지컬 활성화를 위해 지속적인 연구는 계속되어야 할 것이다. 주요어: 학교 수업, 어린이 뮤지컬 This thesis has its purpose on discovering drawbacks of children’s musical as a school class and researching solutions. There have been steady studies and assertions that musicals can foster emotional stability and provide creative education to children who are excessively exposed to media and games. Children’s musicals effectively motivate cognitive and learning abilities especially during their developmental stage. They are expanding its scope to such as extra-curricular activities and artistic instructor supporting businesses. In order for musical classes to advance, research on methods for creative teaching and upgrade of teacher capability is compulsory. This thesis focuses on examining the successful cases of Europe adopting musicals into schools and how Korea can do the same. Also, it touches on the possibilities of suicide, smoking, and sexual assault prevention. It goes on to suggest efficient methods of musical classes based on actual school life situations. Lastly, it includes a survey of students of Gaehwa Elementary School, one of Korea Arts & Culture Education branches. The survey proved that musical activities fortified various educational effects such as self-expression, musical motivation, curative effacement, and character developmen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ventually give way to a variety of cultural education policies at a national level. Experience has a stronger impact than verbal explanation especially to children in their growth period. Musical classes provide more than just emotional stability. They are also followed by progress in music, arts, and literature. Opposed to desk study, musical education is a real life activity which alleviates bullying, emotional wounds, and self-accusation. Participation from the children themselves can give opportunity of social interaction. This leads to the great value of a possible prevention and solution of teen problems. keyword: children’s musical, drawbacks

      • 어린이 뮤지컬 무대의상 연구 : MBC 뮤지컬 ‘인어공주’중심으로

        강하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32255

        Performance art changes and progresses based on our daily life. As pop culture evolves, performance arts adapt accordingly. Similarly, Stage costumes are branching into areas not seem before. Traditionally, they were used for opera, musical and dances, but today they can be seen in visual media, theme parks, events, online gaming, cyber characters, avatars, carnivals and theme cafe costumes. Stage costumes play a critical part in performance art. The design must meet and balance both artistic and technical requirements. If done correctly, stage costumes can be made from a mass production line. The musical has been positioned to the representative genre of modern art through its various and gaudy sights, lowbrow music and popularity. These features coincide with those of juvenile musical. Stage costume for children should emphasize on visual appeal as children are more sensitive to visual effects than to auditory ones. This is required to get children's attention. This thesis intends to present actual design patterns and production methods I used in the musical 'The Little Mermaid' that was staged at the Haeorem Theater, the National Theater of Korea from May 1st to 11st, 2003. The Little Mermaid a fairy tale - has many design points that maximize children's interest. I discuss the theory and features of stage costume, the definition and elements of musical, the notion, value and conditions of juvenile musicals and the stage costume of juvenile musical in Chapter Ⅱ. In chapter Ⅲ, I present the outline, a synopsis and the pictures of the performance to help illustrate the performance and analyze stage design and lighting. Based on Chapter Ⅲ'sanalysis and understandings, all characters' costumes are shown in illustrations and diagrams, and actual costumes that were used in the musical are introduced as a pictorial of real actors/actresses in chapter Ⅳ after reviewing the plan and concept of the musical.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help someone who is thinking about designing costumes for children theatre to understand the design patterns, the production process and potential problems that may arise. I hope this thesis can be of help to musical costume design.

      • 매체 차이가 학령기 아동의 운율 과장(prosody exaggeration)에 미치는 영향 : 뮤지컬 애니메이션과 어린이 드라마를 중심으로

        박은영 忠南大學校 大學院 2022 국내석사

        RANK : 150058

        The prosodic, which contains suprasegmental elements such as pitch, intensity, and length, not only constructs strength and intonation but also plays an important role in communication.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investigate how videos containing both facial and emotional expressions affect children’s prosody exaggeration and to support the study about prosody intervention in communication disorder groups based on the result. General first-year elementary school children who can read naturally had participated in this study.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one group who only heard sound (n = 14) and the other group who encountered both sound and video (n = 14). To investigate how the video effect influences prosodic exaggeration, we conducted auditory perceptive evaluation and acoustic analysis. The evaluation of auditory perception was conducted by selecting 13 sentences but excluded interrogative sentences. As a result, the prosody exaggeration effect was greater in the sound group than the sound with video group. In genre aspects, prosody exaggeration effect from the drama was greater than the musical animation. When acoustically analyzing the prosody characteristics, a total of 7 acoustic parameters (Speaking Rate, maxE, minE, medianE, eRange, medianPitch, PitchRange) were used in the analysis. By examining the musical animation lyrics and the speaking rate, intensity, and pitch of the drama lines, the sound with video group had greater prosody exaggeration effect. When we attempted to utter only sound or both sound and video among musical lyrics group and drama lines group, there was no homogeneous variation in prosody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Like as group comparison, nevertheless, media comparison also represented the greater prosody exaggeration effect when the participants encountered both sounds and videos. Therefore, we could expect positive effects of videos. The reference of this study will be meaningful for the aspects of prosody development among general children. Especially, this study data suggests application to language therapy for autism patients who are visually sensitive or patients with speech disord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