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은유광고가 중국 소비자의 신제품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Liu Xiang Jun 충북대학교 2022 국내석사

        RANK : 247807

        신제품 개발은 기업 능력과 경쟁 우위의 중요한 원천이다. 갈수록 치열해지는 상품 경쟁 속에서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활동이 신제품의 성패를 좌우하는 경우가 많다. 은유 광고는 잘 알려진 것을 활용해 신제품의 특징을 살리고 소비자들에게 각인시킬 수 있는 강력한 신제품 홍보 방식이다. 그러나 은유 광고는 실제 운용에 여전히 어려운이 많은데 정작 실행했을 때 기대만큼의 효과를 거두지 못하는 경우가 비일비재하고, 학계의 은유 광고의 효과에 대한 내부적 연구도 미비해 마케팅 실천에 대한 지도적 역할이 제한적이다. 효과적인 광고 전략을 구사해 소비자들이 더 잘 받아들이고 제품을 채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마케팅 학계 및 업계의 중대한 도전이다. 소비자들이 은유 광고를 보고 신제품에 대한 평가와 채택을 하는 것은 본질적으로 정보처리와 반응의 과정이다. 가공 유창성 이론은 소비자가 정보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느끼는 용이성이 판단과 의사결정에 중요한 요소라고 지적한다. 그러나 가공 유창성 이론을 은유 광고에 적용한 문헌은 극히 드물고, 일부 연구도 광고 자극과 가공 유창성의 직접적 상관관계만을 고려해 환경적 영향을 소홀히 했다. 이에 따라 본 논문은 가공 유창성 이론과 은유 인지 이론에 기초하여 은유 광고가 소비자의 신제품 태도에 미치는 영향 과정에서 소비자 인지 스타일 및 신제품 유형의 조절효과를 중점 탐구하였다. 두 가지 실험을 설계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는데, 실험 1은 광고 유형과 소비자의 인지 스타일이 신제품 태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증명하였다. 결과에 따르면, 비은유 광고보다 외적은유 광고와 내적은유 광고가 더 높은 신제품 태도를 가져왔지만 양자 사이에는 차이는 없었다. <실험2>에서는 소비자 인지 스타일과 은유 광고 유형 간의 상호작용을 발견하고, 전체형 인지스타일을 가진 소비자는 외적은유 광고를 사용하면 더 적극적인 신제품 태도가 나타날 수 있으며, 분석형 인지 스타일을 가진 소비자는 내적은유 광고의 신제품에 대한 태도가 더 좋다는 것을 발견했다. <실험3>은 다른 신제품 유형의 상황을 설계함으로써 <실험2>의 결론을 재확인하고 가공 유창성이 신제품의 태도에 대한 인지 스타일과 광고 유형에서 매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증명하였다. <실험3>에서는 신제품 유형이 가공 유창성의 신제품에 대한 태도에 조절 역할을 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구체적으로 혁신형 신제품 은유 광고의 가공 유창성은 점진형 신제품보다 제품 평가에 더 유의한 영향을 끼쳤다. 본 논문의 연구결과를 통하여 기업은 다양한 유형의 시각적 은유광고를 맞춤형으로 사용함으로써 광고효과를 보다 강화하고 신제품에 대한 보다 성공적인 마케팅 캠페인을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romotion of new products is an important strategy for enterprises to ensure competitive advantage. In today's fierce enterprise competition, marketing publicity activities are a key part of the new product promotion strategy. Metaphorical advertising can impress consumers by using well-known things to show the characteristics of new products. It is an effective way of new product publicity. However, there are still many problems in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metaphorical advertising, the phenomenon that the expected effect is not obtained after the advertise often occurs. The research on the internal mechanism of metaphorical advertising effect by advance researchers is not perfect, and there is no obvious guiding role for marketing practice. Designing effective advertising strategies to promote consumers' acceptance of new products and purchase intention is a major academic and practical challenge. Consumers evaluate and adopt new products by watching metaphorical advertisements, which is essentially a process of information processing and response. Processing fluency theory points out that the difficulty of individual information processing is an important factor affecting judgment and decision-making. However, the application of processing fluency theory to metaphorical advertising is very rare. A few studies only consider the direct relationship between advertising stimulation and processing fluency, ignoring the possible environmental impact. In view of this, based on processing fluency theory and metaphorical cognitive theory, this paper focuses on the impact of metaphorical advertising on consumers' attitude towards new products and the regulatory effect of consumers' cognitive style on new product types. Three experiments were designed and carried out in this paper. Experiment 1 proved that advertising type and consumer cognitive style had an impact on new product attitude. The results show that both explicit metaphorical advertising and implicit metaphorical advertising have higher new product attitude than non-metaphorical advertising, but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m. Experiment 2 found the matching effect between consumers' cognitive style and metaphorical advertising types. For consumers with overall cognitive style, explicit metaphorical advertising can make them have a more positive attitude towards new products, while consumers with analytical cognitive style have a higher attitude towards new products advertised by implicit advertising. Experiment 3 verified the conclusion of Experiment 2 again by designing situations of different new product types and proved that processing fluency played an intermediary role in the influence of cognitive style and advertising type on new product attitude. At the same time, the experiment 3 also found the moderating effect of new product types in processing fluency on new product attitudes. Specifically, compared with progressive new products, the processing fluency of innovative new product metaphorical advertising has a more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product evaluation. Finally, the research conclusion of this paper provides enlightenment for advertising practitioners. Enterprises should adopt different types of metaphorical advertising for customer groups with different cognitive styles, to strengthen the publicity effect of advertising and make the promotion strategy of new products successful.

      • 新製品開發의 成功要因에 關한 硏究 : 우리나라 化粧品 製造企業을 中心으로

        趙庶煥 慶熙大學校 大學院 2000 국내석사

        RANK : 247807

        기업의 사활은 신제품개발의 성공여부에 달려 있다. 이러한 필요성과 중요성에 비추어볼 때, 국내에서의 신제품 성공요인에 관한 연구는 그 기반이 미흡한 실정이다. 고로, 본 연구의 목적은 신제품 성공요인을 파악하고 이들 성공요인간의 관계를 유추해 보는 것으로 한다. 본 연구논문은, Day & Wensley의 SPP(Source-Position-Performance) 연구모형을 바탕으로 국내 화장품시장을 중심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11개 기업에서 총 159부를 수집하여 연구 모형 및 연구 가설을 검증하였다. 그래서 다음과 같은 사실을 밝혀냈다. 첫째, 신제품개발 과정에서 마케팅 능력이 직접적으로 제품차별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사실과 둘째, 임직원 몰입도가 부서간 통합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사실이다. 그리고 셋째, 기술 능력이 단순히 뛰어나다 해서 제품을 차별화 시킬 수는 없다는 사실과 넷째, 부서간 통합정도가 직접적으로 제품차별화를 가져올 수는 없었는데 이러한 결과는 부서내 커뮤니케이션의 부족 및 부서간 갈등 등으로 인한 것으로 분석된다. 마지막으로, 제품의 차별화가 신제품 성과에 매우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사실이다. 본 연구결과를 종합해 보면, 제품이 출시되기 전에 철저한 시장 특성 및 동향을 파악하여 제품을 만들어야 한다는 사실이다. 기술 능력이 회사마다 평준화되어 있는 상황에서 무엇보다 필요한 것은 정확한 소비자 조사 및 이를 바탕으로 한 신제품개발이다. 또한 신제품개발 과정에서 최고경영자 및 마케팅 담당자들은 주관적인 판단보다는 기업의 마케팅 능력에 따른 객관적인 판단에 따라 행동해야 한다. 특히 화장품시장에서는 브랜드마케팅에 의해 더욱 차별화시킬 수 있다는 사실이다. 단순한 제품에 생명력을 불어넣는 것이 마케터의 역할이다. 기업은 단순히 제품만을 파는 것이 아니라 소비자들에게 제품이상의 것을 판다. 그래서 소비자의 마음속에 정확하게 자사 제품을 포지션닝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사실이다. The survival of companies depends on whether their new products are successful or not. The NPD is especially more critical in the field of consumer goods than any other product category. Rapid technological development, diversification of consumer needs, shorter product life cycle and globalization of market are the factors pushing firms to focus on new product development for their survival as an ongoing concern. Many firms invest vast resources to keep competitive advantage and succeed in new product development. However, lots of senior managers consider that technological success is directly related to commercial success. Even though a new product may have technologically competitive advantages, it is impossible to be successful in the market without doing effective marketing activities. In spite of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NPD, few studies have examined the commercial success factor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key success factors of new product development and their correlations. This study is based on Day&Wensly's SPP theoretical framework by focusing Korean cosmetic industry. Total 159 random samples are collected from 11 firms and are analyzed by using SPSS 8.0 and LISREL 7.5. We tested theoretical framework and alternative hypothesis. The findings are : First, marketing proficiency has a directly positive influence on product differentiation in new product development process. In other words, firms with better ability in developing new product ideas and in analyzing market opportunities are more likely to introduce new products satisfying consumer needs. Second, internal involvement has a positive influence on cross-functional integration. This finding suggests that CEO and senior managers’interest and leadership is important in the success of new product. If CEO and senior managers have a clear vision in new product development, show it to all related division members, allocate firms resources effectively and then NPD project team members can keep confidence and be more involved in new product development. Internal involvement does not have a direct influence on product differentiation. But it is mediated with firms' marketing proficiency and indirectly influences on product differentiation. Third, technical proficiency does not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product differentiation in this study. Even though they have a superior technical proficiency, it cannot influence directly on product differentiation. This means that technical proficiency is almost the same level among Korean cosmetic firms. Fourth, cross-functional integration does not directly influence on product differentiation. This is mainly due to conflicts and the lack of communications among functional divisions. Finally, product differentiation directly effects on new product performance. Even though product differentiation has a direct positive influence on new product performance, the level of influence varies according to market environment - market potential and marketing activity. In summary, firms are advised to develop new products considering market characteristics and trends. In case technical proficiency level is almost the same, it is a critical that NPD should be based on the comprehensive consumer research results. The CEO and marketers are advised to create an atmosphere in which each functional division can share corporate resources with smooth and amicable communication. New products are more likely to succeed when they are differentiated from competitors and satisfies consumer needs much more. In cosmetic industry, the branding is a critical factor. The role of marketers is to nurture vitality to a simple product. Companies sell more than just products. This means it is very important to position the brand in the mind of the consumer deeply.

      • 신제품(NPI)과 구제품(EOL) 전환교체기간 적정재고관리를 위한 실증연구 : 전자업계 사례를 중심으로

        정문기 인하대학교 물류전문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7807

        국문 요약 신제품(NPI)과 구제품(EOL) 전환교체기간 적정재고관리를 위한 실증연구 - 전자업계 사례를 중심으로 - 정 문 기 인하대학교 물류전문대학원 지도교수 권 오 경 최근에 글로벌 기업들은 3차 산업혁명으로 인한 정보통신기술 (ICT)의 발달과 시장의 글로벌화, 그리고 기존 3차 산업혁명을 기반으로 인공지능 (AI)과 빅데이터의 활용 증가, 스마트화, 디지털화, 정보화 및 글로벌경제의 불확실성의 증가 등 4차 산업혁명시대의 도래로 급변하는 경영환경 속에서 자원의 효율적인 관리를 통한 경영효율성 개선 및 매출 확대, 수익 창출, 원활한 현금흐름(Cash Flow)을 위해 적정재고 관리를 통해 시장변화에 유연하고 신속하게 대응하는 체계를 구축해 나가고 있는 추세이다. 적정재고관리는 시장의 수요예측에 기반 하에 적정한 재고를 대응한다는 의미이며, 기업은 적정(optimization) 재고관리를 통해 전체 공급망(Supply Chain) 상에서 발생할 수 있는 경영의 비효율성을 최소화하고, 재고비용 증가를 최소화 하여 수익성 증대 및 원활한 현금흐름(Cash Flow)을 통해 지속 가능한 기업경영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므로 정확한 수요예측 기반을 둔 적정재고관리는 기업의 경영효율성 제고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한, 기업은 글로벌화 확대, 고객의 지식 증가, 기대 상승 및 경쟁의 심화에 직면하면서 이에 대응하기 위해 고객에게 더 많은 제품 선택을 제고할 수 있는 제품 포트폴리오의 확장을 통한 더 많은 매출과 더 많은 이익을 증가시키고자 하였다. 그러나 신제품(NPI)과 구제품(EOL)의 잦은 제품의 전환 교체주기가 발생하지만, 결과적으로 예상되는 높은 매출과 수익증가는 발생하지 않고, 신제품과 구제품의 전환교체기간에 원활하지 못한 제품전환교체로 과다재고, 부실재고 및 판매실기가 빈번하게 발생하였다. 신ㆍ구제품 전환교체기간의 과다ㆍ과소재고 및 부실재고 발생 사유는 첫째, 신제품 출시 계획에 따른 신ㆍ구제품 전환교체 관점의 구제품과 신제품 물동관리(PSI Management)가 미흡한 경우, 둘째, 신제품 출시일정에 근거한 구제품과 신제품 간 체계적인 전환교체 관련하여 정의, 원칙 및 프로세스가 부재한 경우, 셋째, 신ㆍ구제품 정보(개발ㆍ출시 및 단종 일정 등)를 활용한 전환교체에 대한 모니터링 기능이 부재한 경우, 넷째, 구제품 단종(EOL) 시점에 대한 사전 의사결정(Decision Making) 및 구제품(EOL) 재고 소진에 대한 실행력이 부족한 경우, 마지막으로 신제품 개발지연에 따른 생산 일정, 출시 시점 등 신제품 출시 일정에 대한 합리적인 조정이 이뤄지지 않는 경우 등 신제품과 구제품 전환교체기간(Product Transition Periods)에 과다재고ㆍ과소재고 및 부실재고가 발생하였다. 본 연구는 신제품과 구제품의 전환교체기간(Product Transition Periods)에 적정재고 유지를 위한 적정재고모형 도출 위한 실증 연구를 하고자 한다. 신ㆍ구제품 전환교체기간에 신제품 출시와 구제품 단종이 원활하게 전환 교체되지 않음에 따라 재고량 및 재고비용 기준으로 과다재고와 부실재고가 과다하게 발생함으로써 적정재고관리가 되지 않는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현실적으로 많은 글로벌 기업들이 신ㆍ구제품 전환교체기간(Product Transition Periods)에 적정재고관리의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으며, 신제품과 구제품의 전환교체 정보를 활용한 적정재고를 유지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글로벌 기업들의 신ㆍ구제품 전환교체기간에 적정재고관리 선행 연구 분석, 현황 분석을 통한 일반화, 적정재고모형 도출, 타당성 검증 및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신ㆍ구제품 전환교체기간 적정재고관리를 통한 기업의 경영효율성 향상, 수익 창출, 원활한 현금흐름, 과다재고 방지, 부실재고 감소를 위해 향후 신ㆍ구제품 전환교체기간 적정재고 모형을 도출하기 위한 연구는 지속적으로 연구되어야만 한다. 실증분석을 위한 본 연구에 필요한 자료 수집과 분석 방법은 지난 3년간 글로벌 전자업체 A사의 전자제품인 신제품과 구제품의 전환교체기간 재고 데이터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최근 3년간 2014년부터 2016년까지 총 85개의 신제품과 구제품의 전환교체기간 재고 데이터를 대상으로 데이터마이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데이터마이닝 분석은 글로벌 전자업체인 A사의 신ㆍ구제품 전환교체기간 재고 데이터를 활용하여 중점적으로 신ㆍ구제품 전환교체기간 재고 유형별 패턴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신ㆍ구제품 전환교체기간 재고유형 I형-V형의 유형별 공통특성과 대응방안 뿐만 아니라 특이 사항을 실증 분석하였다. 신ㆍ구제품 전환교체기간 재고 데이터를 분석하여 5가지 재고 유형별 패턴 분석을 통해 재고 유형별 재고 그래프를 도출하였으며, 5가지 재고 그래프 유형을 일반화 하였다. 신제품과 구제품 전환교체기간 적정재고 모형 도출을 위해 최근 3년간 (2014년-2016년) 전자업계 글로벌 전자업체인 A사의 신ㆍ구제품 전환교체 기간 재고 유형 85개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Ⅰ형인 신제품과 구제품 전환 교체기간 적정재고를 유지하는 “S자 중첩교차형”이 36%를 차지하였다. Ⅱ형인 구제품 기존 재고의 소진계획이 부재하여 과다재고가 발생하는 유형은 15%비율을 차지하였다. Ⅲ형인 신ㆍ구제품 전환교체기간에 구제품 추가 오더 및 소진 계획 부재로 과다재고가 다수 발생하는 유형은 17%를 차지했다. Ⅳ형은 신제품과 구제품 전환교체기간 재고 결품이 발생하여 판매실기 하는 유형은 22%를 차지했다. Ⅴ형은 신ㆍ구제품 전환교체기간=“0” 및 재고=“0”인 형태는 10% 비율을 차지하였다. 신제품과 구제품 전환교체기간 적정재고모형 도출 위한 실증 분석은 Ⅰ형인 “S자 중첩교차형”이 Ⅱ형-Ⅴ형보다 과다 재고나 과소재고가 발생하지 않고, 판매실기하지 않으며, 적정재고를 유지하는 것으로 실증분석되었다. 실증분석 결과에 따르면, 글로벌기업 전자업체인 A사는 신제품과 구제품 전환교체기간 원활한 적정재고관리 위한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현상분석에서 신ㆍ구제품 전환교체기간의 재고 그래프 패턴 5가지 유형을 도출하였다. 신ㆍ구제품 전환교체기간 5가지 재고 관리 유형을 실제 사례의 현상분석 통해 Ⅰ형 “S자 중첩교차형”이 적정재고모형임을 도출하고, 혼합정수계획법(MIP, Mixed Integer Programming)을 적용 하여 시나리오별 시뮬레이션을 통해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즉, 신ㆍ구제품 전환교체기간(Product Transition Periods)에 실제 사례 재고 데이터 기반으로 유형별 재고 그래프 패턴분석을 통해 Ⅰ형 “S자 중첩교차형”이 적정재고모형을 도출하였다. 또한, 신ㆍ구제품 전환교체기간에 적정재고모형이 “S자 중첩교차형”임을 검증하기 위해 혼합정수 비선형계획법을 적용하여 최적재고 함수를 도출하고, 적정재고를 유지하지 못하는 가정 하에서도 적정재고로 유도 여부를 통해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첫째 : 혼합정수계획법(Mixed Integer Programming)을 적용하여 문제의 정의, 가정 정의, 수리모형의 정립, 시나리오별 시뮬레이션을 통해 수리모형으로 타당성을 분석하였다. 즉, 신ㆍ구제품 전환교체기간에 빈번하게 과다재고 및 부실재고가 발생함에 따라 전환교체기간에 적정재고모형 도출 위한 모델링을 제안하고 수치 검증하였다. 혼합정수계획법(MIP: Mixed Integer Programming)을 적용하여 시나리오별 시뮬레이션 통해 적정재고 수리모형을 수치 검증하였으며, MIP를 적용으로 문제 정의 및 가정 정의를 통한 적정재고 수리모형 정립 및 3가지 시나리오를 통해 수리모형을 검증하였다. 혼합정수계획법(Mixed Integer Programming)을 적용하여 적정재고모형으로 제시된 수리모형은 다양한 상황에서도 수요량, 생산량을 조절하여 신ㆍ구제품 전환교체 형태를 “S자 중첩교차형” 모형에 가깝도록 만들어주며, 적정재고 수준을 유지 할 수 있도록 한다. 본 연구에서는 신ㆍ구제품 전환교체기간에 적정재고모형 도출을 위해 혼합정수계획법(MIP)으로 모델링하여 3가지 시나리오로 시뮬레이션 하였으며, 적정재고 수리모형을 통해 타당성을 검증하였으며, 과다재고 유형을 적정재고모형인 “S자 중첩교차형”으로 유도 하였다. 글로벌 기업들은 잦은 신제품 출시와 구제품 단종을 통해 매출 확대, 이익 증가, SKU 합리화 등 비용 절감을 통한 현금흐름(Cash Flow) 향상과 지속 가능한 글로벌 기업으로 발전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기업들은 신ㆍ구제품 전환교체기간에 과다재고나 과소재고 발생을 방지하고, 적정재고 유지를 통해 판매 실기가 발생하지 않도록 사전 관리해야한다. 또한, 매출 증대 및 손익 증대, 재고 비용 감축을 통한 원활한 현금흐름(Cash Flow) 개선을 위해서 신ㆍ구제품 전환교체기간에 과다재고나 과소 재고 유형을 적정재고모형인 “S자 중첩교차형”으로 유도해야 하는 바, 적정재고 수리모형을 검증하기 위한 방법으로 혼합정수계획법(MIP: Mixed Integer Programming)을 적용하여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혼합 정수 비선형 계획법(MIP: Mixed Integer Programming)을 이용하여 신ㆍ구제품 전환교체기간 적정재고모형으로 유도를 통한 적정 재고관리가 이뤄지도록 실증 연구를 진행하였다. 제시된 적정재고모형은 다양한 상황에서도 수요량, 생산량을 조절하여 신ㆍ구제품 전환교체 형태를 “S자 중첩교차형” 적정재고모형에 가깝도록 만들어주며, 적정재고 수준을 유지 할 수 있도록 한다. 신ㆍ구제품 전환교체기간에 과다재고나 과소재고모형(Ⅱ-Ⅴ 유형)을 적정재고모형인 “S자 중첩교차형” 수리 모형으로 유도하기 위해 제약조건 및 목적함수를 설정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신ㆍ구제품 전환교체기간 과다재고유형을 적정재고모형으로 유도 위한 3가지 시나리오별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고, 그 결과를 통해 신ㆍ구제품 전환교체기간 적정재고모형인 “S자 중첩교차형”으로 유도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제 현업에서 신ㆍ구제품 전환교체기간 과다재고가 발생할 경우에 혼합 정수계획법(MIP) 모델링을 적용하여 적정재고모형인 “S자 중첩교차형”으로 유도 및 가이드가 가능하다. 제조업 포함하여 일반산업 군에서 활용가능한 신ㆍ구제품 전환교체기간 적정재고모형을 도출하고 적정재고 유도를 위한 가이드를 제안하였다. 또한, 수리모형의 계획구간(Planning Horizon)을 조건에 따라 자유자재로 적용하여 시뮬레이션이 가능하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적정재고모형으로 다양한 신ㆍ구제품 전환교체 기간에 재고유형을 Ⅰ형 “S자 중첩교차형”으로 유연하게 유도 및 가이드가 가능하다. 둘째, 신ㆍ구제품 전환교체기간에 신ㆍ구제품 재고량이 가장 최소인 “S자 중첩교차형”이 적정재고 모형임을 휴리스틱기법에 의해 직관적으로 실증적으로 가설 검증하였다. 신제품의 적정재고선 상측의 재고 유형은 +과잉재고로 표기하고, 하측은 –과소재고 표기하여 분석한 결과에 따라 Ⅰ형 “S자 중첩교차형”으로 적정재고가 관리 되도록 모니터링 및 관리될 수 있도록 가이드 되어야 한다. 신ㆍ구제품 전환교체기간에 신ㆍ구제품 재고가 적정재고를 유지하면서 최소인 “S자 중첩교차형”이 적정재고모형임을 휴리스틱기법에 의해 직관적으로 실증 분석하였다. 즉, 신ㆍ구제품 전환교체기간 “S자 중첩교차형” 재고 유형이 신ㆍ구제품 재고 기준으로 적정 재고를 유지하고 최소재고이므로 “S자 중첩교차형”이 적정재고모형이다. 셋째 : 회귀 스플라인(Regression & Spline) 기법을 적용하여 신ㆍ구제품 재고량 변화 추이나 재고 흐름을 모니터링 하면서 신ㆍ구제품 전환교체기간 적정재고, 과잉재고나 부실재고 발생 여부를 확인 할 수 있다. 스플라인(Spline)은 몇몇 제어 점을 이용하여 부드러운 곡선을 만들어내는 수학적 도구이며, 스플라인기법을 적용하여 스무딩된 재고 그래프 추이를 통해 적정 재고 수준과 각 시기별 재고수준을 파악할 수 있다. 회귀 스플라인(Regression & Spline) 기법을 사용하여 재고량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 불가능한 오차와 아웃라이어에 대한 영향을 줄이는 동시에 재고의 흐름을 파악하기 위해 회귀 스플라인기법을 적용하여 재고 데이터를 스무딩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신ㆍ구제품 전환교체기간 실제 재고 데이터를 기반으로 유형별 현상 분석을 하였고, 그 결과 유형별 실증분석을 통해 재고기준으로 적정 재고 모형을 도출하였으며, 적정재고모형을 벗어난 이상 유형에 대해서는 신속하게 “S자 중첩교차형”으로 유도하기 위한 대응방안 및 가이드를 제시하였다. 결과적으로 신ㆍ구제품 전환교체기간 5가지 재고 그래프 유형을 구분 할 수 있었으며, 5가지 유형 중 “S자 중첩교차형”이 신ㆍ구제품 전환교체 기간에 적정재고 모형임을 실증 연구하였다. 신ㆍ구제품 전환교체기간에 재고유형별 분석을 통해 과다재고나 부실재고를 방지 할 수 있는 적정재고 모형을 도출하고자 하였으며, 신ㆍ구제품 전환교체기간에 5개 유형을 일반화하고, 신ㆍ구제품 전환 교체기간 재고 곡선 패턴 분석을 통해 적정재고모형을 도출하여 적용하고, 실제 기업 현장에 적용함으로써 원활하게 적정재고관리가 이뤄지도록 적정재고모형으로 유도하는 가이드를 제시하였다. 신ㆍ구제품 전환교체기간에 적정한 재고 관리를 위해서는 신제품(NPI) 출시부터 구제품(EOL) 단종까지 사전 선행관리를 하여야 하며, 신제품과 구제품의 전환교체(Product Transition)에 관한 이슈를 의사 결정권자인 TOP Management가 주관하는 S&OP 회의에서 협의 및 이슈해결을 통해 지속적으로 신ㆍ구제품 전환교체기간에 적정재고를 관리할 필요가 있다. 또한, 신ㆍ구제품 전환교체기간에 적정재고 관리를 위해 NPI Committee (마케팅, 영업, 연구소, 생산관리, SCM 참여)를 공식회의체로 운영 및 정례화가 필요하며, NPI Committee의 역할과 위상 강화가 필요하다. NPI Committee에서는 신제품 출시일정, 구제품 단종일정, 신ㆍ구제품 전환교체기간의 적정재고 관리, SKU 합리화 등 관련 이슈에 대하여 일괄적으로 TOP Management의 의사결정을 통해 실행력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신제품(NPI)과 구제품(EOL) 정보를 기반으로 신ㆍ구제품 전환 교체 기간에 적정재고 관리를 위해 재고 선행 관리체계를 구축하고, 시장 상황에 신속하고 유연하게 대응하며, 지속적인 적정 재고 유지가 필요하다. 또한, 최적의 신제품(NPI)과 구제품(EOL) 전환교체기간에 대해 현상분석 및 실증분석 내용을 제시함으로써, 적정재고모형과 최적 제품전환교체 기간에 대한 가이드 통해 신제품(NPI)과 구제품(EOL) 전환교체기간에 발생하는 낭비요소인 재고비용을 감소를 통해 원활한 현금 흐름(Cash Flow) 으로 기업 경영에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신ㆍ구제품 전환교체기간 적정재고모형 도출을 위한 실증 연구는 향후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최적의 신ㆍ구제품 전환교체기간 적정재고모형 도출 통한 신ㆍ구제품 전환교체기간에 적정재고를 관리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신ㆍ구제품 전환교체기간에 적정재고 관리로 재고비용 절감, 매출과 수익성 확대, 원활한 현금 흐름으로 경영 효율성이 개선될 것이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과다재고, 과소재고나 부실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신ㆍ구제품 전환교체기간에 적정재고 관리를 위하여 재고 관점에서 적정재고모형 모델링에 따라 기업 현장에서 모니터링을 할 때 “S자 중첩교차형”이 유지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유도 및 가이드로 적정재고 관리가 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향후 연구는 신ㆍ구제품 전환교체기간 적정재고모형 도출 위한 실증 분석을 비용이나 수익관점에서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알고리즘 통한 최적화 기법을 적용하여 신ㆍ구제품 전환교체기간 적정재고모형 도출 및 최적의 신ㆍ구제품 전환교체기간 도출에 관한 향후 연구가 지속적으로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신ㆍ구제품 전환교체기간에 적정재고모형 도출 및 신ㆍ구제품 최적 전환교체기간을 알고리즘을 통한 모델링으로 적정재고모형을 도출하고, 혼합정수계획법(Mixed Integer Programming)이나 휴리스틱기법의 해보다 알고리즘을 적용한 적정재고모형 도출 및 최적의 신ㆍ구제품 전환교체기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즉, 신ㆍ구제품 제품전환교체기간 적정재고모형 도출을 위해 알고리즘을 통한 최적화 기법을 적용하여 적정재고 모형 도출 및 최적 신ㆍ구제품 전환교체기간 도출과 관련한 향후 연구가 지속적으로 필요하다. 핵심 주제어 : 신제품, 구제품, 제품전환교체기간, 혼합정수계획법, 휴리스틱기법, 회귀스플라인, 적정재고모형, S자 중첩교차형

      • 市場指向性과 技術指向性이 新製品成果에 미치는 影響

        고기호 忠南大學校 大學院 2012 국내박사

        RANK : 247807

        본 연구에서는 신제품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요인과 이들 변수들의 관계를 개별적으로 다루는 기존연구의 한계점을 보완하고자 신제품성과 관련 선행연구와 이론들을 종합하여 국내 식품 및 제약 기업을 대상으로 기업의 시장지향성과 기술지향성이 제품품질, 조직유효성, 혁신속도 변수가 신제품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검증하였다. 조절변수로서 시장진입순서(선발진입, 후발진입)가 신제품성과에 어떠한 조절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함으로서, 신제품성과 관련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첫째, 시장지향성과 기술지향성이 신제품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모두 유의한 결과로 나타났다. 둘째, 시장지향성, 기술지향성과 신제품성과 간의 순환적인 관계에 대한 분석결과 제품품질에는 유의적인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제품품질이 신제품성과에는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유효성과 신제품성과의 관계를 분석결과 시장지향성, 기술지향성이 높을수록 조직유효성은 높아지며, 조직유효성이 높을수록 신제품성과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시장지향성, 기술지향성과 혁신속도와 신제품성과의 관계에서 시장지향성이 높을수록 혁신속도는 높아지며, 혁신속도가 높을수록 신제품성과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조직유효성이 제품품질과 혁신속도와의 인과관계에 대한 분석결과, 조직유효성이 높으면 제품품질과 혁신속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신제품개발과정에서 시장진입순서에 따른 제품품질, 혁신속도 변수가 신제품성과에 미치는 영향이 선발진입 및 후발진입에 따른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선발진입의 경우 제품품질은 신제품성과를 더욱 강화시키지만, 혁신속도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후발진입의 경우에는 혁신속도는 신제품성과를 더욱 강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re are many researches performed for the market and technology orientation so far. Especially, the effect of the market and technology orientation on the production innovation and marketing capability has been studied in detail. However, only few studies have been done on the effect of the market orientation on the product quality, innovation speed, and, therefore, new product performance. Two main points will be discussed in this work; the effect of the market and technology orientation on product quality,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innovation speed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order of the market entry on the product quality, innovation speed, and new product performance. The order of the market entry should be considered as an important factor for the new product performance in the market since the new product development is a response to the order of the market entry. However, the effect of the order of the market entry on the product quality, innovation speed, and new product performance has not been also thoroughly studied yet. In this work, we describe that the market and technology orientation can enhance the product quality,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innovation speed, thus improve the new product performance while considering the effect of the order of the market entry. Food and medicine manufacturers were subjects for this study.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August to September in 2011. A total of 208 respondents were studied for verifying the theory. SPSS 18.0 and AMOS 18.0 were used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such as test frequency, reliability,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Furthermore,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order of the market entry was also investigated by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fter applying the t-test and x2 deviation analysis. The factor analysis result shows that the eigen value was over 1.0. items with the eigen value lower than 0.6 were discarded for the analysis. Only 6 factors(the variance % is 73.18%) were subjected for the analysis. All Cronbach's α values were over the recommended level (α > 0.6). The overall fit indices of the final model were acceptable (x2= 202.739, df= 102, p= 0.000, GFI =0.901, AGFI= 0.852, NFI= 0.931, RMR= 0.056, CFI= 0.964). All factor loadings were over the recommended level. Each construct had good discriminant validity after considering the discriminant validity check result with a chi-square difference test between paired constructs. A number of hypotheses were established after the study. First, the market and technology orientation has a positive impact on the product quality,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innovation speed. Second,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innovation also affect the new product performance in a positive way. However, the product quality does not directly affect the new product performance. Third, the early entry of the new product in the market has a positive impact on the product quality and new product performance. However, the innovation speed has no moderation effect on the casual relationship. Finally, the late entry of the product in the market leads to faster innovation speed and new product performance. However, the product quality has no moderation on the casual relationship. There are two significances in this work. First, the effect of the market and technology orientation on the product quality,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novation speed is discussed. Second, a useful market strategy can be found by evaluating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order of the market entry on the relationship among the product quality, innovation speed, and new product performance. There are four limitations in this work. First,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executives and employees of food and pharmaceutical firms, not from customers. Therefore, the customer view point is not included in this work. Second, the NPD performance data were on subjective view point, not no objective view point. This is because getting confidential information from firms becomes more difficult. Third, the study was performed on food and pharmaceutical firms together; however, they should be separately studied on the future study. Fourth, the study is limited to market and technology orientation under the strategic orientation of corporation. in the future study, the green orientation for the sustainable growth with environment will be analyzed.

      • 중소 제조업의 신제품 개발을 위한 방법 및 체계 연구

        강찬호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807

        환경변화와 기술적 변화를 격고 있는 국내 중소제조업의 경우, 기업의 경영 상태 및 비젼에 따른 신제품개발의 방향과 투자는 늘 어려움에 직면해 왔다. 다양한 신제품 개발전략과 프로세스 등이 개발되고는 있지만, 국내 제조업의 어려운 현실을 제대로 반영하지는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신제품개발에 따른 여러 가지 어려움과 현실성을 다양한 연구 자료를 통하여 제품개발에 실패를 줄이고 이러한 기업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방안과 체계를 연구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중소제조업이 당면한 어려움과 시대적 환경변화를 반영할 수 있는 맞춤형 신제품 개발전략과 세부 수행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기존 신제품개발 전략, 프로세스와 방법 등의 문헌연구를 통해 이를 분석하고, 국내 중소제조업의 실정에 맞는 인자를 정리하여 확률이 높은 성공 요인 인자를 선별하여 제시하였다. 둘째, 국내 중소제조업이 당면한 문제, 시대적 경영환경변화 및 기술적 변화 등을 시장, 신제품, 개발전략, 개발성과, 개발비용 등과 같이 여러 요소로 나누고 이를 전문가 집단의 설문 및 인터뷰를 통해 성공 요인 인자를 추출하였으며 정량적으로 반영하여 선별된 인자를 주요 측정지표로 재평가하고 중요도와 적용성을 산출하였다. 셋째, 선별된 인자를 토대로 세부평가 항목을 도출하고 QFD 연관성 분석을 통해 도출된 항목별 평가에 따라 주요평가항목과 평가방법을 마련한다. 넷째, 조사대상으로는 국내 일반 중소제조업을 대상으로 현 근무자 그룹의 평가를 통하여 신제품 적용평가를 수행하고 중요도에 대한 정보를 수집한다. 마지막으로 신제품 적용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선정된 인자 간의 상호작용을 분석하였고, 국내 중소제조업에 적합한 신제품개발의 체계적 분석방법을 제시하였다. 1차 전문가 인터뷰를 비롯한 설문을 통해 대분류요소를 정하고 이에 따르는 세부요소항목을 선별하였다. 선별한 data로 신제품적용평가에서 A, B 2제품에 대한 강점을 도출된 32가지의 주요 인자로 평가하여 분석하였다. 제품별 강점은 A제품은 75.7%, B제품 58.1%로 다소 차이가 있었으며 그룹별 측정도에서의 A제품 결과는 전체그룹이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대분류요소별 강도는 A제품의 경우 개발성과 87.5%, 시장 및 환경이 79.6%로 가장 높았다. 반면 B 제품의 경우는 마케팅 63.3%, 개발성과 62.25% 순으로 나타나 요소별로도 낮은 결과를 보였으며 A제품의 경우 개발성과가 B제품에 비해 25.25% 높은 것으로 확인되어 개발성과가 높았음을 알 수 있다. 가장 큰 차이를 보인 요소는 기술로 A 제품이 73.0%, B 제품 44.7%로 나타나 28.3%의 차이를 보였다. A, B 2제품을 비교 분석한 결과 모두 개발성과가 높게 나타났으며 기업의 매출 규모에 기여하였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시장 및 환경에 대한 틈새시장 및 신제품 경쟁우위의 특성이 강한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B제품은 특히 마케팅의 고객중심의 전략이 높았음을 알 수 있었다.

      • 신제품개발을 위한 연구개발과 마케팅부문 간의 공유영역에 관한 실증적 연구 : 한국과 중국 기업의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손취걸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807

        Heightened competition, rapid knowledge change and shortened product life cycles are just a few of the constants faced by many firms in today's markets. The dynamic business environment today requires firms to use effectively all resources to make their effort to develop new products to remain competitive. To develop new products with shorter development time, better quality and more competitive price than competitors, all of firms are doing their best to realize their goals. On the new products development process, interface between the R&D and marketing departments greatly influences the success of the new product. The degree of the interface between the R&D and marketing departments determines the competitiveness of new product development. R&D and Marketing need to be carefully coordinated to emphasize advantages of the product and release the product at the right moment. Followings are the summary on the factors for new product development success on the basis of precedent studies. ①smooth communication; ②the degree of participation between the R&D and marketing during the process of new product development; ③the degree of the centralization between the R&D and marketing departments; ④the degree of the formalization between the R&D and marketing departments; ⑤the power of the head of the department. Based on these 5 facto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reefold: 1. to analyze how these 5 factors of the interface between the R&D and marketing departments have an effect on the new product development; 2. to analyze how these 5 factors of the interface between the R&D and marketing departments have an effect on the new product development in the Korean firms; 3. to analyze how these 5 factors of the interface between the R&D and marketing departments have an effect on the new product development in the Chinese firms. The subject of this analysis was Korean and Chinese firms with the R&D and marketing departments concurrently. These firms were classified as large firms and small and medium-sized firms. Sample firms were mostly industries such as automobiles, electric and electronics, food and beverage, clothing, and so on. The survey data was collected from research workers, chief researchers, senior researchers and the head of the department who work at the department of R&D, marketing, technology and engineering, and so on.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January to February of 2010. Data was analyzed by using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Cronbach's alpha, and the regression analysis utilizing SPSS 16.0 statistical package.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revealed that 5 factors have the effect on the new product development. Factors of the interface between the R&D and marketing that have the influence on new product development of Korean and Chinese firms were different. This study will make contribution to Korean and Chinese firms on understanding differences between two countries' firms. To maximize the effect, the interface between the R&D and marketing must be maintained throughout the new product development project. This is the key to new product development success. However, there are some limitations of the study. The number of sample firms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 was relatively low. This is the substantial reason for the imperfect results.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more refined methodology for the future study. And to get more perfect results, the number of sample should be increased. 급변하는 경제 환경 속에서 기업 간의 치열한 경쟁과 소비자 요구의 고급화, 다양화, 기술발전의 가속화, 제품수명주기의 단축 등으로 인하여 기업의 경영환경은 급속하게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경영환경의 불확실성은 기업에 기회가 되기도 하고 위험이 되기도 한다. 이에 따라 신제품개발은 반드시 필요한 기업 활동으로 인식되어 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과 중국 기업을 중심으로 신제품개발을 위한 연구개발과 마케팅 부문 간의 공유영역에 관한 실증적 연구를 하고자 하였다. 선행연구에서 추출한 연구개발과 마케팅 부문 간의 공유영역의 5 가지 요인(커뮤니케이션 원활성, 신제품개발과정 참여도, 집중화, 공식화 그리고 부서장 파워)은 신제품개발 성과(신제품 개발건수, 획득한 특허, 실용신안 및 의장 건수)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한국과 중국 기업의 연구개발과 마케팅 부문 간의 공유영역의 5 가지 요인은 신제품개발 성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3 가지 가설을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문지를 작성하여 한국과 중국 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가 실시되었다. 수집된 설문자료를 분석하기 위하여 SPSS16.0 프로그램이 사용되었다. 먼저 본 연구는 응답자의 통계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고, 그리고 연구변수들의 내적일관성 살펴보기 위해 Cronbach'α를 통하여 신뢰성을 검정하였다. 또한 각 연구변수들의 타당성을 검정하기 위하여 요인분석이 실시되었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가설을 검정하기 위하여 한국과 중국 기업의 신제품개발 성과(신제품 개발건수, 획득한 특허, 실용신안 및 의장 건수)의 관계변수인 연구개발과 마케팅 간의 공유영역의 요소들을 독립변수로 한 회귀분석이 이루어졌다. 특히, 종속변수인 신제품개발 성과는 표준화계수로 변화시켜 분석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한국과 중국의 기업 모두를 대상으로 회귀분석을 한 결과 연구개발과 마케팅 부문 간의 커뮤니케이션 원활성, 집중화, 공식화 그리고 부서장의 파워 등 4가지 요인이 신제품개발 성과(신제품 개발건수, 획득한 특히, 실용신안 및 의장 건수)에 영향을 미친다고 사실이 밝혀졌다. 그 중 커뮤니케이션 원활성과 공식화가 높을수록 신제품개발 성과가 높았으며, 집중화와 부서장의 파워가 높을수록 신제품개발 성과가 낮을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신제품개발 성과를 높이기 위하여 커뮤니케이션 원활성과 공식화에 중심을 두고, 의사소통, 의사결정, 정보교환 등이 몇몇 개인에게 집중하지 말고 전체 인력에게 집중한다면, 신제품개발 성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음으로 양국의 연구개발과 마케팅 부문 간의 공유영역이 신제품개발 성과(신제품 개발건수, 획득한 특허, 실용신안 및 의장 건수)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분석결과를 보면, 한국 기업은 두 부문 간의 공식화가 높을수록 신제품개발 성과(신제품 개발건수)가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중국의 경우는 두 부문의 집중화와 부서장의 파워가 높을수록 신제품개발 성과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한국 기업이 공식화의 역할을 높여야 함을 보여 주고 있다. 그리고 이것은 중국 기업이 비공식적이고 직접적인 대면 접촉, 정보교환 그리고 의사 결정 등이 몇몇 개인이나 부서장에게만 집중하지 말고 전체 인력에게 집중한다면 중국 기업의 신제품개발 성과가 높일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기업이 기업경쟁력의 약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신제품개발에 적합한 연구개발과 마케팅 부문 간의 협력 및 통합 시스템을 개발하고 성공적인 경영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많은 다른 연구와 마찬가지로 본 연구도 여러 가지 한계점이 있다. 이들 한계점을 고려하여 향후 연구에서는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될 필요가 있으며, 본 연구의 결과는 이러한 향후 연구를 위한 바탕이 될 것이다.

      • 신제품개발 역량이 품질경영활동, 경영혁신성과와 재무성과에 미치는 영향분석

        이종규 경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7807

        기술의 범용화와 시장의 글로벌화로 인한 환경 및 고객의 변화 속에서 기업의 성장과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전략 수립이 현실적으로 가장 시급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며, 글로벌화 된 시장에서 기업의 성공을 위한 신제품개발활동과 경영혁신 및 재무성과에 초점을 둔 품질경영활동이 중요한 경영의 화두로 부각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신제품개발 역량과 품질경영활동의 관계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판단되어지며, 이를 통한 기업의 성과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신제품 개발 성공요인으로부터 신제품개발 역량인 혁신개발 역량, 시장수용 역량, 운용 역량을 설정하여, 신제품개발 역량이 품질경영활동, 경영혁신성과 및 재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나아가서 군집분석으로 분류한 전략적 포지션이 품질경영활동과 경영혁신성과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또한 전략적 포지션의 상대적 중요성외에 주요 조직 변수인 조직의 규모, 시장지향성, 여유 자원 등이 연구 모형에 미치는 조절 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신제품개발 역량들이 품질경영활동의 매개를 통하여 경영혁신성과와 재무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주요 조직변수의 조절효과에 대한 분석에서 먼저, 조직의 규모(매출액, 종업원 수)가 클수록 품질경영활동이 경영혁신성과에 영향의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전략적 포지션의 상대적 중요성에 따라 품질경영활동이 경영혁신성과에 다른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신제품혁신우위형 기업일수록 품질경영활동이 경영혁신성과에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신제품혁신우위, 고객관계우위, 원가우위형 순으로 경영혁신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시장지향성 수준이 높은 집단일수록 품질경영활동이 경영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여유자원에 대한 조절효과 분석에서는 여유자원(시간)의 수준이 부족한 집단일수록 품질경영활동이 경영혁신성과에 더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유자원(인력)수준이 여유가 있는 집단일수록 신제품개발 역량이 품질경영활동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 기업은 신제품혁신우위역량을 최우선전략으로 선택하여 품질경영활동의 내실화, 안정화, 정착화를 기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통해 경영혁신성과와 재무성과에 기여할 수 있도록 시장지향성을 강화할 전략이 필요한 것으로 밝혔다. 또한 기업의 품질경영활동과 경영혁신성과는 기업의 여유자원 특성과 수준에 따라 기업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므로 여유자원을 고려한 전략적인 활동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 신제품기획 컨설팅이 신제품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정호 한성대학교 지식서비스&컨설팅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807

        최근 들어 기술이 급속하게 발전하고 시장의 글로벌화로 업체 간 경쟁이 치열해지고 시장과 고객니즈는 더욱 다양해지고 있다. 이러한 환경에서 기업이 생존을 위해 지속적으로 출시하고 있는 신제품들이 목적하는 성과를 얻기가 쉽지 않은 환경이 되고 있다. 어떤 기업은 시장과 고객이 요구하는 신제품을 적기에 출시하지 못하거나 출시된 신제품의 연이은 실패로 인하여 쇠락하고, 어떤 기업은 신제품의 성공으로 시장 지배력을 높여가며 성장하고 있다. 이에 기업에서는 신제품의 실패를 줄이고 성공확률을 높이기 위하여 신제품기획(상품기획) 역량을 강화하고 외부 업체의 컨설팅을 통해 전문성 및 객관성을 확보하고 있다. 과거의 많은 선행연구에서 신제품의 성공요인이 산업 환경, 기술전략, 신제품특성, 개발프로세스를 중심으로 연구되어 왔다. 그러나 신제품 개발투자에 대한 의사결정 단계인 상품기획 단계의 연구는 많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신제품 개발투자의 손실을 최소화하고 신제품의 성과를 높이기 위하여 상품기획 프로세스를 환경이해, 기업과 제품전략 수립, 신제품컨셉 도출, 신제품컨셉 고객검증, 마케팅전략 수립 5단계로 구분하여 신제품의 성공요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또한 상품기획에 대한 컨설팅이 신제품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상품기획 프로세스는 신제품 성과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성공요인이며 특히 이익률에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상품기획 프로세스 중에서 신제품컨셉의 고객검증이 신제품 성과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성공요인이며 매출액 증가율에는 영향이 미약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상품기획 컨설팅은 신제품 성과에 미치는 영향이 미약하나 환경이해에 대한 컨설팅이 매출액 증가율, 이익률, 시장점유율, 브랜드입지 강화 전반에 걸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컨설팅 희망분야에 대한 빈도분석에서 환경이해와 신제품컨셉 도출 요인이 높게 나타났다. 이를 종합하면 신제품이 성공하려면 상품기획 프로세스 중에서 신제품컨셉에 대한 고객검증을 강화해야 하며, 상품기획 컨설팅은 전략적 대안에 앞서 환경이해를 강화해야 할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본 연구의 한계점으로는 첫째. 연구의 분석을 설문지 중심의 분석에 의존하고 있어 조사분석에 의한 오류가 있을 수 있으며, 이러한 오류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설문지 방법에 더하여 연구대상자들에 대한 심층면접과 같은 질적인 방법이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설문대상자들이 상품기획 유경험자 중심으로 상품기획 기능을 가진 대기업으로 전개되어 산업전체로 확대 해석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중소기업의 연구비중을 높여야 할 것이다.

      • 시장지향성, 상품기획, 프로세스공식성이 신제품 개발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컨설팅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길형철 한성대학교 지식서비스&컨설팅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807

        신제품 개발 관련된 이전의 연구들을 분석하면 신제품 개발프로세스 상의 단계에 대한 구분 없이 전반적인 연구개발의 성공요인과 신제품 성과간의 관계를 밝히는 연구들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신제품의 개발 착수전 단계에 의사결정자들이 해결해야하는 이슈(기회발굴, 상품기획)나 신제품을 개발하는 과정중에 실무자들이 만나는 문제점(제품개발프로세스, 콘셉트 개발, 콘셉트 테스트, 프로토타이핑)에 관한 연구가 부족하며(주재우, 임수빈, 김유정, 2014), 특히 상품기획과 프로세스공식성을 선행변수로 포함하여 연구모형을 제시하는 연구 또한 드문 실정이다. 본 연구는 신제품 개발과정에서 신제품 개발성과에 미치는 선행요인으로서 신제품의 개발 착수전 단계에 포함되는 시장지향성, 상품기획과 개발진행 과정에 포함되는 프로세스공식성을 선정하고, 조절변수로 컨설팅을 도입하여 선행요인들이 개발성과에 미치는 각각의 영향력과 조절변수가 각각의 선행요인이 개발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는지 여부를 실증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시장지향성이 신제품개발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가 확인되어 지지되었다. 정기적인 시장조사를 실시하여 시장 환경변화를 주기적으로 평가하며, 이 정보를 부서간 회의와 보고서, 뉴스레터 등을 통해 공유하고 제품개발에 고객이 원하는 것을 반영하는 시장 지향적 사고가 확산되어 제도화되고, 자연스럽게 문화로 체화되어 가면 시장의 요구에 부합하는 신제품을 확보할 수 있어 신제품의 시장에서의 실패확률을 낮출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상품기획이 신제품 개발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가 확인되어 지지되었다. 상품기획부서는 사업환경에 대한 높은 이해를 가지고 시장세분화를 기반으로 제품전략을 수립할 수 있는 역량과 신제품 콘셉트를 도출하고 개발과제의 사업성을 평가할 수 있는 상품기획역량을 확보해야하는데 이러한 상품기획역량은 단시간에 확보할 수 없으므로 꾸준히 확보노력을 기울여 나가야 할 것이다. 셋째, 프로세스 공식성이 신제품 개발성과에 미치는 영향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가 확인되어 지지되었다. 신제품 개발과정과 내용에 대한 규칙과 절차를 개발 착수전에 공식화하고 연구개발 진행에 이들 규칙과 절차들을 실질적으로 지켜가면서 개발단계별로 디자인 리뷰, 케이트 평가 등을 공식적으로 진행하면 개발품질과 효과성을 높여 개발 성과를 높여줄 것이다. 넷째, 신제품 개발과정에서 조절변수인 컨설팅은 선행변수중에서 조직의 일상적인 업무로 연구개발에 선행적으로 수행해야하는 시장지향성에는 신제품 개발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통계적으로 유위한 조절효과를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판명되었으나, 신제품 개발시 착수전에 수행 또는 관리하는 직접적인 활동영역인 상품기획 및 프로세스공식성에는 유의한 조절효과를 보였다. 특히 상품기획에 대해서는 각 기업이 연구개발 시 상품기획업무 컨설팅 참여도를 높이면 개발성과가 높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개발초기에 개발과제를 둘러싼 외부, 내부, 환경을 정확히 파악하고 고객의 요구사항을 반영하여 사업성이 최대한 도출될 수 있도록 상품기획의 정합성을 높이는데 컨설팅을 사용하는 것이 개발성과를 높이는데 실효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시장지향성, 상품기획, 프로세스공식성은 신제품개발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이 과정에서 컨설팅을 도입하면 상품기획이 신제품 개발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긍정적인 조절효과를 보인다는 연구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