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그린소비자의 자아성향이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연구

        Pan Hui-feng 강원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807

        Since the Industrial Revolution began in the 18th century, the advance in scientific technology and industrialization has accelerated the rapid 3Ms economic system(Mass production, Mass consumption, Mass distribution). Global economic growth has allowed mankind to live a high quality of life with the benefits of material civilization and improved both quality and quantity of human life. As the environmental issues are becoming social concerns, people has realized the Green Marketing. More organizations of consumers and environmentalists have increasingly been against any activity to pollute and destroy the environment, and the government's legal regulation is getting even stricter. Global restriction on the environment has been increasing to control the corporate marketing. This study aims at the practical analysis of influence on the consumer's interest in purchasing environment-friendly products by environmental consciousness variables through analyzing structural relation between consumers' environmental knowledge and their effectivity-consciousness on the environment, including Chinese consumers' interest in their environment based on self-inclination in their environment-friendly market. This attempt is to see what factors have an effect on Chinese consumers' environment-friendly actions and their purchase of those products under the environment-friendly industrial environment which has been an international topic, and to provide researchers with suggestions for further study by verifying what influenced. In particular, this will suggest viewpoints necessary to search for the process of the consumers' purchasing environment-friendly products by looking into how different those influences are for each inclination through dividing the consumers' individually pursuing inclination in 2 dimensions. To reach these purposes, such sundry records have been referred to as the concept of Green consumers, interest in environment, knowledge on the environment, effectivity consciousness on the environment, and the consumers' interest in the environment-friendly products. And the model and the hypothesis for this study have been established for its theoretical reference to influential factors among constitutional concepts, based on both domestic or foreign journals and books. For the purpose of studying the influential relation of each variable, questionnaire was completed, and then the effect of each variable was shown by analyzing its result practically. In this practical analysis, the followings such as population statistic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validity analysis, confirmative factor analysis and its path analysis were conducted by using SPSS 18.0 and AMOS 18.0 after distributing and collecting questionnaires to and from Chinese consumers. And its result and suggestion are also shown on based on the result of the practical analysis. The results of hypothesis validification are followings; This study, firstly, can be made use of for helpful models to see what cause-effect relation with these variables forms between consumers' environmental consciousness and environment-friendly consumers' interest by dividing in two dimensions self-inclination which is a social-psychologic variable into independent and inter-dependent ones, apart from studies on the environment friendly consumers' actions so far involved in Chinese market circumstances targeting Chinese consumers. Secondly, it shows that consumers with independent self-inclination don't have any effect on both interest in environment and consumers' effectivity consciousness, but on both knowledge about the environment and their interest in purchasing environment friendly products positively. Thirdly, it shows that consumers with interdependent self-inclination are influenced by such environment conscious variables as interest in environment, knowledge about the environment and consumers' effectivity consciousness. Fourthly, it is shown that consumers with interdependent self-inclination do not have a direct influence on their consumers' interest, but have an effect on their interest in purchasing environment-friendly products by parameters of their interest in environmental issues and their effectivity consciousness. In addition, it is shown that consumers with interdependent self-inclination have an influence on their knowledge about environmental issues, through which they have no influence on their interest in purchasing environment friendly products. Besides, consumers with interdependent self-inclination have shown that their purchasing interest is positively influenced by their concerns in the environmental issues and through their effectivity consciousness. To sum up these results is as followings; First of all, even though this shows that consumers with independent self-inclination are positively influenced by their knowledge about the environments, there is nothing influential purchasing actions through their knowledge. And it is shown that consumers with independent self-inclination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ir purchasing interest in environment friendly products. This result is consistent with that of Schultz and Zelezny(1999) “Consumers with independent self-inclination think that environmental conservation is something needed not to damage themselves, but it isn't related with others' welfare, based on the belief that environmental pollution will cause themselves to be damaged.” Even though consumers with independent self-inclination purchase environment friendly products, they are likely to have a high possibility of doing environment friendly actions for the sake of themselves although they have no interest in the environment friendly. If any corporations or authorities concerned want to expand environment friendly markets, they need to encourage not only consumers with inter-dependent self-inclination but also those with independent self-inclination to participate in the environment friendly market. Briefly, it's necessary for consumers with independent self-inclination to be the main target for the effective management of marketing. Secondly, because consumers themselves and their acquaintances, like their parents, friends, and colleagues, are a high priority in Chinese consumers with interdependent self-inclination, there shows a positive influence in such environmental consciousness variables as the interest in the environmental issues, the knowledge about the environment, and their effectivity consciousness about the environment. This is because Chinese consumers think that they need to pass the environment conserved on to their offsprings. Chinese consumers, however, seem to have no considerable knowledge about how to conserve their environment under the rapid economic development. Therefore, the government and corporations leading the economic development need to carry out promotional strategy cooperatively such as environment friendly campaign and events for conservation. Thirdly, corporations should meet Chinese consumers' needs to build their reliability. They should establish more concepts and strategies for the environment friendly to enhance the cost effectiveness through more investment in R&D strategy for the environment friendly production. Fourthly, government and the third centers need to produce more educational programs related with the environment friendly for both more promotion of the environmental knowledge and more experience in the environment friendly products. That is why they need to establish the strategy to increase Chinese consumers' interest in purchasing the environment friendly products by motivating Chinese consumers to be interest in their environment and to be more aware of their environmental consciousness. 18세기 산업혁명이 시작된 이래로 과학 기술의 발달과 산업화의 진전으로 인해 급속한 3M(Mass production, Mass consumption, Mass distribution) 경제 체제의 촉진이 이루어졌다. 전 세계적으로 경제가 급속히 발전함에 따라 인간은 생활전반에 걸쳐 물질문명의 혜택 속에 풍요로운 소비생활을 누리고 있으며, 인간의 삶에도 질적·양적 향상으로 인해 편리한 생활을 누리게 되었다. 최근에 환경문제의 심각성이 사회적 이슈로 되면서 그린마케팅이 인식되고 있다. 환경오염과 파괴행위를 자행하는 기업에 대하여 소비자 및 환경보호단체들의 비판과 정부 차원의 법적, 제도적 규제가 증가하고 있으며, 세계적인 환경 규제 움직임으로 인해 기업의 글로벌 마케팅 활동에 대한 제약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중국의 친환경소비자 시장에서 자아성향을 기반으로 한 환경에 대한 관심, 환경에 대한 지식과 환경에 대한 소비자 효과성 지각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고, 이러한 환경의식 관련 변수가 친환경제품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시도는 전 세계적으로 화두가 되고 있는 친환경적 산업 환경 하에서 소비자들이 친환경 제품의 구매와 친환경적 행동을 하는데 있어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가를 확인하고,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검증함으로써 연구자들에게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소비자가 개인적으로 추구하는 성향을 2가지 차원으로 구분하여 개인적 성향별로 각 요인 간에 미치는 영향 정도가 어떻게 다른가를 살펴봄으로써 소비자들의 친환경제품구매의도 과정이 어떻게 이루어지는가를 알아내는 데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해 줄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우선 문헌적 연구방법으로 그린소비자의 개념, 환경에 대한 관심, 환경에 대한 지식, 환경에 대한 효과성 지각, 그리고 친환경제품구매의도 등의 개념에 대한 이론적 틀을 고찰하였다. 그리고 각 구성개념간의 영향요인 등에 관한 이론적 고찰을 위해 국내외 저널과 전문서적을 근거로 하여 연구모형과 연구가설을 설정하였다. 각 변수들의 영향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설문을 구성하였고, 설문조사를 토대로 실증분석을 실시하여, 각각의 변수들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알아보아다. 실증분석에서는 중국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 및 수집하여 SPSS 18.0과 AMOS 18.0을 이용한 인구통계적 분석, 신뢰도 분석, 타당도 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및 경로분석들을 실시하였다. 또한 실증분석 결과를 토대로 가설검정과 결과 및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가설검정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연구는 첫째, 중국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지금까지 중국의 시장 환경과 관련한 친환경적 소비자행동에 대한 연구들에서 벗어나, 사회심리학적 변수인 자아성향을 독립적, 상호의존적 자아성향의 두 가지 차원으로 구분하여 이 변수들이 소비자의 환경의식 및 친환경적 소비자구매의도와 어떠한 인과관계를 형성하게 되는가를 알아보는데 유용한 모델로 사용될 수 있다. 둘째, 독립적 자아성향을 지닌 소비자들은 환경에 대한 관심, 환경에 대한 소비자 효과성 지각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고, 환경에 대한 지식과 친환경제품 구매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상호의존적 자아성향을 지닌 소비자들은 환경의식 변수인 환경에 대한 관심, 환경에 대한 지식, 환경에 대한 소비자 효과성 지각 모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상호의존적 자아성향을 지닌 소비자들은 직접적으로 친환경제품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 환경문제에 대한 관심과 환경에 대한 소비자 효과성 지각을 매개로 하여 친환경제품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호의존적 자아성향을 지닌 소비자들은 환경문제에 대한 지식에 영향을 나타내지만, 이를 통한 친환경제품 구매의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상호의존적 자아성향을 지닌 소비자들은 환경문제에 대한 관심을 갖게 되어, 친환경제품 구매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환경에 대한 소비자 효과성 지각을 통해 친환경제품 구매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에 따른 시사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독립적 자아성향을 지닌 소비자들은 환경에 대한 지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지식을 통한 구매행동에 영향을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독립적 자아성향을 지닌 소비자들은 친환경제품 구매의도에 직접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독립적 자아성향을 지닌 사람들은 환경오염이 자신에게 피해를 줄 것이라는 신념에 근거하여, 환경보존을 하는 것은 자신이 피해를 입지 않기 위해서 필요한 것이지, 타인의 복지와는 연관되지 않는다’라는 Schultz and Zelezny(1999)의 연구결과와 같다. 독립적 자아성향을 지닌 소비자들은 친환경제품을 구매하기도 하지만 이들은 친환경에 대한 높은 관심이 없어도 자기 자신을 위한 친환경소비자행동을 할 가능성이 높은 사람들로 판단되어 만약 기업이나 공공기관 입장에서 친환경소비시장의 규모를 키우고자 한다면 상호의존적 성향을 강하게 가진 사람들뿐만 아니라 독립적 자아성향이 강한 이들도 집중 관리 대상자로 삼아 친환경소비자시장에 참여를 유도해야 할 것이다. 즉, 독립적 자아성향이 지닌 소비자들을 표적 고객들로 삼아 마케팅 전략을 펼쳐 효율적인 마케팅관리를 해야 할 것이다. 둘째, 상호의존적 자아성향을 지닌 중국 소비자들은 자신의 존재가 부모, 친구, 동료, 주변인들과의 관계를 우선시하기 때문에 환경문제에 대한 관심, 환경에 대한 지식, 환경에 대한 소비자 효과성 지각의 환경의식변수에 긍정적인 영향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중국 소비자들은 자신들의 세대에서 환경을 보호하여 미래 후손들에게 좋은 환경을 물려줘야 한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아직까지 중국 소비자들은 경제발전이 과속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어떻게 환경을 보호해야하는지에 대한 지식이 낮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경제발전에 앞장서는 기업들과 정부가 협력하여 친환경 캠페인 및 환경보호 후원행사 등과 같은 홍보전략을 세워 수행해야 할 것이다. 셋째, 기업의 입장에서는 더 많은 중국 소비자들의 만족을 충족시키고 신뢰를 얻어야 할 것이다. 더 많은 친환경적인 개념과 친환경적인 전략을 수립해야 할 것이고, 친환경제품을 생산할 R&D 전략에 더 많은 자원을 투입하면서 생산비용과 효과성을 끌어올릴 수 있는 마케팅전략을 수립해야 할 것이다. 다섯째, 정부와 제3센터의 입장에서는 전국적으로 친환경교육프로그램을 보급하여 더 많은 환경지식을 홍보와 친환경제품을 체험할 수 있는 프로그램들을 만들어야 한다. 이는 중국 소비자들의 환경에 대한 관심을 끌어올리고, 소비자들이 스스로 환경보호의식을 향상시켜, 친환경제품에 대한 구매의도를 높일 수 있는 전략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 영상콘텐츠기반 이커머스에서의 구매행동과 구매만족 연구 : 중국소비자의 구매동기 및 위험지각을 중심으로

        껑티엔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807

        모바일 기술의 발달로 소비자의 소비 패턴이 변화하고 있다. 소비자의 소비 생활에서 온라인 쇼핑의 역할이 중요해지고 있다. 특히 코로나19의 여파로 인해 언택트 소비문화가 확산되고 있으며 온라인 소비의 형식도 다양화되었다. 새로운 온라인 소비의 형식으로 한국에서는 SNS마켓과 라이브 커머스가 부상하고 있는 동시에, 중국에서도 다양한 플랫폼의 발전에 따라 콘텐츠기반 이커머스가 큰 성장세를 나타내고 있어, 이러한 새로운 소비 형식에 대해 주목할 필요가 있다. 중국에서는 콘텐츠기반 자체 구매가 가능한 이커머스가 상대적으로 오랜 시간동안 발전해 왔다. 2016년부터 라이브 커머스의 성장이 본격화되어 현재 인기가 가장 많은 온라인 쇼핑형태로 자리잡았으며 현재도 급속히 성장하고 있다. 한국의 경우 페이스북과 인스타그램은 2020년 5월부터 자체 쇼핑채널인 ‘페이스북 샵스’와 ‘인스타그램 샵’을 개발하여 소비자들이 어플을 떠나지 않고 다른 쇼핑사이트를 방문하여 쇼핑할 수 있게 해 주고 있다. 이 외에 2021년부터 카카오의 톡딜 라이브, 네이버 쇼핑(윈도우) 라이브 등과 같은 라이브 커머스 플랫폼들도 대거 등장하였다. 영상콘텐츠인 라이브 스트리밍을 기반으로 한 이커머스는 소비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해 줄 뿐 아니라 소비자의 우려와 소비자문제도 함께 유발하고 있으나, 이에 관한 소비자 측면에서의 연구가 아직 미흡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새로운 이커머스 채널이 적극적으로 발전하고 있는 시점에서 본 연구는 중국의 영상콘텐츠 플랫폼에서의 구매경험이 있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콘텐츠기반 이커머스에서의 구매행동과 구매만족에 초점을 맞추었고, 구매동기와 위험지각의 영향에 다한 구조적 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중국에서 2018년에 최초로 플랫폼 자체 판매 채널을 제공하는 영상콘텐츠 플랫폼인 ‘콰이쇼우’와 App Annie(2020)가 발표한 2019년 세계 SNS 월간 순 이용자(Monthly Active Users) 순위 중 중국에서 이용자 수가 가장 많은 영상콘텐츠 플랫폼 ‘더우인’에서 구매한 경험 있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최종적으로 총 350부가 분석에 사용되었고, SPSS Window 26.0 프로그램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t-test, 일원 분산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이용한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 및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소비자가 가장 자주 이용하는 콘텐츠기반 이커머스 플랫폼은 도우인이며 구매제품은 주로 의류, 식품, 생활용품 등이 있다. 가장 자주 시청하는 콘텐츠 유형으로 쇼트클립과 라이브가 비슷하게 나타났으나, 구매 시 가장 자주 이용하는 콘텐츠 유형은 라이브이었다. 둘째, 중국소비자의 영상콘텐츠기반 이커머스에서의 구매동기는 경제적 동기, 정보적 동기, 미디어적 동기, 오락적 동기, 편의적 동기, 사회적 동기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중국소비자가 영상콘텐츠 플랫폼에서 구매 시 가격요인 및 정보획득을 가장 중요시함을 알 수 있으며 이는 판매자 관점에서 보다 합리적인 가격 설정 및 다양한 정보제공에 중점을 둘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한편, 위험지각의 경우 플랫폼신뢰 위험지각이 충동구매 위험지각보다 다소 높은 수준이었으나 둘 다 3점 이하로,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라고 할 수 있다. 셋째, 중국소비자의 영상콘텐츠기반 이커머스에서의 구매행동의 경우 대다수 소비자는 주 1-3회, 과거 6개월 간 1000~3000위안 미만(20만~50만원)으로 구매하고 충동구매 경험이 평균 3점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소비자가 영상콘텐츠기반 이커머스에서의 구매만족은 평균 3.7점으로 나타났다. 넷째, 소비자의 성별, 연령, 소득, 주로 이용하는 콘텐츠 유형에 따라 구매동기, 위험지각, 구매행동, 구매만족에 있어서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먼저, 남성은 여성에 비해 오락적 동기, 사회적 동기, 미디어적 동기가 구매동기로서 높은 수준을 나타냈으며, 충동구매 위험지각에 있어서는 낮게 나타났다. 30세 이상의 소비자는 30세 미만에 비해 구매동기 중 경제적 동기, 정보적 동기, 오락적 동기가 크게 나타났고 충동구매 위험지각과 플랫폼신뢰 위험지각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30세 이상 소비자는 30세 미만에 비해 구매만족이 유의하게 높았다. 또한, 소득수준이 높은 집단은 낮은 집단에 비해 정보적 동기, 오락적 동기, 사회적 동기가 유의하게 높았고, 충동구매 위험지각, 플랫폼신뢰 위험지각은 둘다 유의하게 낮았다. 구매빈도, 구매금액, 구매만족 점수는 더 높게 나타났다. 구매 시 라이브 콘텐츠를 자주 이용하는 소비자와 쇼트클립을 이용하는 소비자는 경제적 동기, 정보적 동기, 미디어적 동기, 구매빈도, 구매만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쇼트클립 이용자의 구매빈도는 라이브 이용자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구매만족의 경우 라이브 이용자의 구매만족은 쇼트클립 이용자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구매동기와 위험지각이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오락적 동기는 구매빈도에, 정보적 동기는 구매금액에, 경제적 동기는 충동구매 경험에 각각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편의적, 사회적 동기와 미디어적 동기의 경우 구매행동에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충동구매 위험지각은 구매금액과 충동구매 경험에 정(+)적인 영향을, 플랫폼신뢰 위험지각은 구매금액과 충동구매 경험에 부(-)적인 영향을 나타낸다. 여섯째, 구매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요인들 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경로분석을 실시한 결과, 구매만족에 직접적 혹은 간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요인은 그 영향력의 크기에 따라 정보적 동기(+), 미디어적 동기(+), 오락적 동기(+), 경제적 동기(+), 편의적 동기(+), 충동구매 위험지각(-), 플랫폼신뢰 위험지각(-)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직접적인 구매행동뿐 아니라 소비자가 어떤 동기로 구매하며 위험요인에 대한 지각이 어떠한가에 따라 소비자의 구매만족이 달라짐을 보여주고 있다. 일곱째, 구매행동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오락적 동기는 구매빈도를 매개로 구매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정보적 동기, 충동구매 위험지각, 플랫폼신뢰 위험지각은 모두 구매금액을 매개로 구매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경제적 동기, 충동구매 위험지각, 플랫폼신뢰 위험지각은 모두 충동구매 경험을 매개로 구매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구체적으로 ‘오락적 동기→구매빈도→구매만족’, ‘정보적 동기→구매금액→구매만족’, ‘경제적 동기→충동구매 경험→구매만족’의 부분매개경로를 밝혀냈다. 이 중에서 오락적 동기가 구매만족에 직접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에 구매빈도를 매개로 했을 때는 부(-)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또한 경제적 동기도 구매만족에 직접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에 충동구매 경험을 매개로 했을 때는 부(-)적인 영향을 미친다. 또한, 부분매개경로 외에 ‘충동구매 위험지각→충동구매 경험→구매만족’, ‘충동구매 위험지각→구매금액→구매만족’, ‘플랫폼신뢰 위험지각→충동구매 경험→구매만족’, ‘플랫폼신뢰 위험지각→구매금액→구매만족’의 완전매개경로도 밝혀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아래와 같이 시사점 및 제언을 제공하고자 한다. 첫째, 영상콘텐츠기반 이커머스에서 소비자의 구매빈도에 영향을 미치는 유일한 요인으로 오락적 동기가 유의한 것으로 밝혀졌는데, 영상콘텐츠기반 이커머스의 활성화를 제고하고 구매를 촉진하기 위해서는 콘텐츠 창작의 재미성을 높이는 것이 필요하다는 점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소비자의 오락적 동기는 지나친 구매빈도를 매개로 구매만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고려도 필요하다. 둘째, 소비자가 더 많은 유용한 정보를 얻을수록 영상콘텐츠기반 이커머스에서 더 많이 지불할 의향이 있으며, 플랫폼에 대한 신뢰가 낮을수록 구매에 신중을 기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영상콘텐츠기반 이커머스의 활성화를 추진한다는 관점에서 정보의 유용성을 높이고 소비자 신뢰를 높이기 위한 플랫폼 구축을 지속적으로 개선할 필요가 있다. 셋째, 전통적인 이커머스와는 달리, 영상콘텐츠기반 이커머스에서 소비자는 오락 또는 콘텐츠 크리에이터와의 상호작용 중에 계획되지 않은 구매가 발생하기 쉽다. 가격을 중요시하거나 플랫폼 위험에 대한 인식이 낮은 소비자는 충동구매를 할 가능성이 더욱 크다. 충동구매는 구매만족에 부적 영향을 미치므로 소비자 만족의 측면에서 플랫폼 위험에 대한 인식이나 저가 충동구매의 위험성에 대한 인식을 높일 필요가 있다. 이커머스를 발전시키기 위한 마케팅 측면에서 가격 설정에 신경을 쓸 필요가 있지만, 한편으로 구매만족을 높이기 위한 소비자복지 측면에서 이커머스에서의 가격과 관련된 허위광고의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기 때문에(중국소비자협회, 2020), 영상콘텐츠 플랫폼의 가격 관련 표시 및 광고 규제를 보완할 필요성도 시사한다고 할 수 있다. 넷째, 중국소비자가 영상콘텐츠기반 이커머스에서 구매 시 경제적 동기가 가장 높은 수준이었지만 구매만족을 증진시키는 데에 정보적 동기, 미디어적 동기, 오락적 동기가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따라서 영상콘텐츠기반 이커머스, 특히 라이브 커머스에서 정보의 신속성, 다양성, 구체성이 필수적이며, 상호작용성과 콘텐츠의 재미성은 소비자의 구매만족을 증진시키는 데 중요한 요인으로 고려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위험지각의 측면에서 보면 소비자 구매만족을 높이기 위해서는 영상콘텐츠기반 이커머스에서의 충동구매 위험과 플랫폼신뢰 위험을 통제하고 감소시킬 필요가 있다. 즉각적 충동구매를 추동하는 판매전략을 지양하고, 계획적이고 합리적인 구매에 대한 소비자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 정보제공 및 상호작용을 계획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플랫폼신뢰 구축을 위해서는 과장되지 않고 진실된 설명, 설명과 다르지 않은 상품 및 서비스 제공, 결제와 배송, 판매후 서비스 등 기존 소셜커머스의 신뢰 구축을 위해 고려되어야 하는 요인들뿐만 아니라 새로운 플랫폼이 지닐 수 있는 위험을 예견하고 예방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다섯째, 본 연구는 영상콘텐츠기반 이커머스를 이용하는 과정에서 중국소비자의 구매행동과 구매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이는 한국 영상콘텐츠기반 이커머스의 발전에도 큰 의의를 갖는다. 최근 한국에서도 호스트와 충분히 소통할 수 있는 라이브 커머스 업체들이 활발히 발전되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의 영상콘텐츠기반 이커머스를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해당 업체들은 정보제공의 질적 향상, 콘텐츠의 재미성, 보다 경쟁력 있는 가격체계 구축에 중점을 둘 필요가 있다. 동시에 허위 광고 규제에 주의를 기울이고 플랫폼 구축을 강화하여 보다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해야 하는 데에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본 연구는 주로 콘텐츠의 특성, 이용 및 구매의도에 초점을 둔 기존 연구들과는 달리 실제 소비자의 구매행동과 구매만족, 그리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소비자의 구매동기와 같은 촉발요인 및 위험지각과 같은 억제요인을 고려하였다는 점에서 학술적인 의의를 지니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구매행동을 구매빈도, 구매금액, 충동구매 경험으로 정의하였고 구매만족의 하위요인을 세분화하지 못하였다. 이는 추후의 연구에서 구매행동과 구매만족의 중요성을 감안하여 보완할 필요가 있다. 또한, 본 연구는 중국 콘텐츠 플랫폼인 도우인과 콰이쇼우에서 구매경험이 있는 소비자만을 대상으로 조사하였기 때문에 추후 표본 범위를 확대하여 연구할 필요가 있다. With the development of mobile technology, consumers' consumption patterns are changing. Online shopping plays an increasingly important role in consumers’ life. In particular, the no-face-to-face consumption culture is spreading due to the aftermath of COVID-19, and the forms of online consumption are also diversifying. SNS market and live commerce are emerging in Korea as a new form of online consumption. At the same time in China, content-based e-commerce is showing great growth due to the development of content platforms. So it is worth paying attention to these new consumption patterns. In China, e-commerce, where content-based self-purchase is possible, has been developing for a relatively long time. Live commerce in China appeared since 2016 and has become the most popular form of online shopping now, which it is still growing rapidly. In the case of Korea, Facebook and Instagram have developed their own shopping channels 'Facebook Shops' and 'Instagram Shop' from May 2020, allowing consumers to visit other shopping sites and shop without leaving the app. In addition, from 2021 live commerce platforms such as Kakao Talk Deal Live and Naver Shopping Live appeared. E-commerce based on video content and live streaming not only provides convenience to consumers, but also causes consumer concerns and consumer problems. It can be said that research on this in the field of consumer science is still insufficient. Therefore, at a time when these new e-commerce channels are actively developing, this study is aimed at finding the purchasing motivation, risk perception, purchase behavior, and purchase satisfaction of the consumers who have purchase experiences in Chinese video content platform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structural factors that affect the level of purchase behaviors and purchase satisfac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in China among the consumers who had purchased in either 'Kuaishou' or 'Douyin', which are the top 2 content platform in China.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and a total of 350 copi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t-test, one-way ANOVA,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based on the data collected using the SPSS 26.0 program statistical program. The results and conclusions drawn through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ntent-based e-commerce platform which used most frequently by Chinese consumers is Douyin, and the products purchased are mainly clothing, food, and household goods. As for the types of content frequently viewed on content platforms, it was found to be similar to short clips and live streaming, but the most frequently used content type for purchase was live streaming. Second, Chinese consumers' purchasing motives in video content-based e-commerce were found in the following order: economic motive, informational motive, media motive, recreational motive, convenience motive, and social motive.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risk perception, the platform trust risk perception was somewhat higher than the impulse purchase risk perception, but both were less than 3 points, which is relatively low. Third, in the case of Chinese consumers' purchasing behavior in video content-based e-commerce, most consumers purchase less than 1,000-3,000 yuan (200,000-500,000 won) for the past 6 months, 1-3 times a week, and have an average impulse purchase experience appeared to be 3 points. In addition, the average purchase satisfaction of consumers in video content-based e-commerce was found to be 3.7 points. Fourth, there were parti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purchase motive, risk perception, purchase behavior, and purchase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consumer's gender, age, income, and content type mainly used. First, compared to women, recreational motive, social motive, and media motive showed higher levels than men, and showed lower levels of impulse purchase risk perception. Consumers over the age of 30 showed greater economic, informational, and recreational motives compared to those under the age of 30, and both impulse purchase risk perception and platform trust risk perception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lower. Consumers over the age of 30 had significantly higher purchase satisfaction than those under the age of 30. When looking at the difference according to income, the high-income group had significantly higher informational, recreational, and social motivation than the low-income group, and both the impulsive buying risk perception and platform trust risk perception were significantly lower. The purchase frequency, purchase amount, and purchase satisfaction scores were higher. Looking at the difference according to the content mainly used for purchase, live users showed stronger economic motive, informational motive, media motive, and purchase satisfaction than short clip users, and the purchase frequency of short clip user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live users. Fifth, as a result of controlling gender, age, income, and content type variables and examining the independent effects of Chinese consumers' purchase motive and risk perception on purchasing behavior, recreational motive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 effect on purchase frequency and informational motive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 effect on purchase price, economic motives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 effect on impulse buying experience. Convenience, social motive and media motive’s effect was found not significant on purchasing behavior. On the other hand, impulse purchase risk perception showed a positive (+) effect on purchase amount and impulse purchase experience, and platform trust risk perception showed a negative (-) effect on purchase amount and impulse purchase experience. Sixth, as a result of conducting a path analysis to understand the factors affecting consumers' purchase satisfaction in video content-based e-commerce, the factors that directly or indirectly affect purchase satisfaction depending on the size of influence are information motive (+), media motive (+), purchase amount (+), recreational motive (+), economic motive (+), purchase frequency (-), impulse purchase experience (-), convenience motive (+), impulse purchase risk perception (-), and platform trust risk perception (-) in order. These results show that the purchase satisfaction of consumers differs depending on not only direct purchasing behavior but also what motives the consumers purchase and their perception of risk factors. Seventh,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mediating effect of consumer behavior, recreational motive significantly affects purchase satisfaction through purchase frequency, and informational motive, impulsive purchase risk perception, and platform trust risk perception are all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satisfaction through the purchase amount as a medium. Economic motivation, impulsive purchase risk perception, and platform trust risk perception all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urchase satisfaction through impulse purchase experience as a medium. Specifically, the partial mediating pathways of 'recreational motivation → purchase frequency → purchase satisfaction', 'informative motivation → purchase amount → purchase satisfaction', and 'economic motivation → impulsive purchasing experience → purchase satisfaction' were revealed. Among them, recreational motive has a direct positive (+) effect on purchase satisfaction, whereas a negative (-) effect when mediated by purchase frequency. In addition, while economic motivation has a direct positive (+) effect on purchase satisfaction, it has a negative (-) effect when mediated through impulse purchase experience. In addition to the partial mediation route, the complete mediation path of 'Impulsive purchasing risk perception → Impulse purchasing experience → Purchase satisfaction', 'Impulsive purchasing risk perception → Purchase amount → Purchase satisfaction', 'Platform trust risk perception → Impulse purchasing experience → Purchase satisfaction', 'Platform trust risk perception → purchase amount → purchase satisfaction’ were also reveal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would like to provide the following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irst, looking at the factors that affect the purchasing behavior of consumers in video content-based e-commerce, the only factor that affects the purchase frequency is the recreational motive.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fun of content creation in order to enhance the vitalization of video content-based e-commerce and promote consumer participation. Second, the more useful information a consumer obtains, the more willing to invest in video content-based e-commerce. At the same time, the lower the trust in the platform, consumers will be more cautious when purchase. From the viewpoint of promoting the vitalization of video content-based e-commerce, it is necessary to continuously improve the platform construction to increase the usefulness of information and increase consumer trust. Third, in the case of impulse buying, consumers who value price or have low awareness of platform risks are more likely to make impulse purchases. From the point of view of purchase activation, sellers need to establish cheaper or more attractive pricing mechanisms, and also increase consumer confidence in the platform to encourage consumers to purchase. Fourth, it was revealed that Chinese consumers had the highest level of economic motive when purchasing in video content-based e-commerce, but informational, media, and recreational motives play an important role in enhancing purchase satisfaction. Therefore, it suggests that speed, variety, and specificity of information are essential in video content-based e-commerce, especially live commerce, and that interactivity and fun of content should be considered as important factors to enhance consumer purchase satisfaction. However,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at consumers' recreational and economic motives can negatively affect purchase satisfaction through excessive purchase frequency and impulse purchase experience. From a marketing point of view,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price setting. On the other hand, since the possibility of price-related false advertisements in e-commerce is being raised in terms of consumer welfare to increase purchase satisfaction (China Consumer Association, 2020), it also suggests the need to supplement price-related display and advertisement regulations on video content platforms. In terms of perceived risk, it is necessary to control and reduce the risk of impulsive purchase and platform trust in video content-based e-commerce in order to increase consumer purchase satisfaction. It will be possible to plan education, information provision, and interaction to avoid the sales strategy that drives immediate impulsive purchase and to improve the consumer's ability to make a planned and rational purchase. In addition, in order to build platform trust, there are factors that need to be considered for building trust in existing social commerce, such as non-exaggerated and truthful explanations, provision of products and services that do not differ from explanations, payment and delivery, and after-sales services, as well as the factors that the new platform will have. You should be able to foresee and prevent possible risks. Fifth, this study analyzed the factors affecting the purchasing behavior and purchase satisfaction of Chinese consumers. This has great significance in the development of Korean video content-based e-commerce. Recently, live commerce companies that can fully communicate with hosts in Korea are actively developing.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 order to activate Korean video content-based e-commerce, these companies need to improve the quality of information provision and make the content interesting. However, there is a need to focus on building a more competitive pricing system. At the same time, it provided implications for providing a better service by paying attention to the regulation of false advertising and strengthening the platform construction. Unlike previous studies that mainly focused on the characteristics, use, and purchase intention of content, this study examines the actual consumer purchasing behavior and purchase satisfaction, as well as triggering factors such as consumers' purchase motive and inhibitory factors such as risk perception that affect them. It has academic significance in that it was considered. However, in this study, purchase behavior was defined as purchase frequency, purchase amount, and impulse purchase experience, and the sub-factors of purchase satisfaction could not be subdivided. This needs to be supplemented in consideration of the importance of purchase behavior and purchase satisfaction in future studies. In addition, since this study was conducted only on consumers who had purchasing experience in Douyin and Kuaishou, which are Chinese content platforms,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sample range in the future.

      • The Effect of Meta-Commerce Consumption Value on Consumer Satisfaction and Continuous Usage Intention : A Focus on the Moderating Effect of Meta-verse Involvement and Consumer Competency

        김나연 인천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807

        코로나19의 팬데믹(Pandemic)은 우리 삶 전반에 걸쳐 디지털 경험을 높이는 동시에 디지털 기술의 결합을 통해 다양한 플랫폼 서비스를 등장하게 하였다(허민영 외, 2021). 특히 물리적 공간에서만 이루어지던 각종 업무, 관계, 여가활동 등이 새로운 가상 공간인 메타버스에서 가능해지면서 메타버스 공간에서 소비자에게 확장된 쇼핑 체험과 구매 경험을 제공하는 ‘메타커머스(Meta-commerce)’가 등장하였다(김환 외, 2022). Sheth et al.(1991)의 소비 가치 이론에 따르면, 소비자는 소비 가치를 통해 특정 제품을 구입하기 때문에 소비 가치는 소비자의 구매 행동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변수라고 하였다(김현정 외, 2017). 따라서 메타커머스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을 바탕으로 소비자의 만족도와 지속적 이용 의도에 영향을 주는 소비 가치를 파악할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는 메타커머스 소비가치의 구성 요인을 파악하고, 메타커머스 소비가치와 소비자 만족도 및 지속적 이용 의도의 영향 관계를 파악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그 정에서 메타버스 관여도와 소비자 역량의 조절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메타커머스를 도입 및 활용할 때 차별화할 수 있는 전략의 기초를 제공하는 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메타커머스 소비가치, 소비자 만족도, 지속적 이용 의도, 관여도, 소비자 역량의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연구가설을 수립하였다. 가설 검증을 위한 설문조사는 메타커머스 이용 경험이 있는 만 19세 이상의 국내 소비자 200명을 대상으로 2023년 10월 30일부터 2023년 11월 3일까지 실시하였다. 총 200부 의 유효 표본을 바탕으로 SPSS 26.0 프로그램을 통한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AMOS 21.0 프로그램을 통해 확인적 요인분석과 상관관계분석, 구조방정식 모형분석, 다중집단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집단 간 차이 검증을 위한 다변량분산분석(MANOVA)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 검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메타커머스 소비가치 중에서 외재적 가치와 진귀적 가치가 소비자 만족도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쾌락적 가치가 지속적 이용 의도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메타커머스에 대한 소비자의 만족도가 지속적 이용 의도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다. 조절 효과를 살펴보면, 메타버스 관여도는 메타커머스의 외재적 가치와 만족도 간의 관계, 만족도와 지속적 이용 의도 간의 관계에서 유의한 조절효과를 보였다. 소비자 역량은 메타커머스의 쾌락적 가치와 만족도 간의 관계, 만족도와 지속적 이용 의도 간의 관계에서 유의한 조절효과를 보였다. 본 연구는 메타커머스에 대한 기존 연구가 매우 부족하고 제한적이라는 점에서 메타커머스 소비자의 관점에서 메타커머스 소비가치, 소비자 만족도, 지속적 이용 의도의 영향 관계와 메타버스 관여도 및 소비자 역량의 조절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했다는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구는 메타커머스의 소비가치 요인을 새롭게 도출한 탐색적 연구라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 이와 더불어 기업은 소비자의 유형을 세분화하여 각각의 소비자 특성에 맞는 메타커머스 콘텐츠를 지속적으로 개발함으로써 소비자의 참여를 유도하고, 만족 및 장기적 이용을 제고할 수 있다. 향후 다양한 기업들이 소비자에게 풍부한 콘텐츠와 경험을 제공하는 차별화된 메타커머스를 설계하는 데 본 연구가 활용되길 기대하며, 메타커머스 소비와 관련된 연구를 포함해 메타버스 분야의 연구가 확대되었으면 한다. The Effect of Meta-Commerce Consumption Value on Consumer Satisfaction and Continuous Usage Intention: A Focus on the Moderating Effect of Meta-verse Involvement and Consumer Competency Kim, Nayeon Department of Consumer Science Incheon National University The COVID-19 pandemic not only increased digital experiences in various aspects of people’s lives but also led to the emergence of diverse platform services through the integration of digital technologies (Huh & Lim, 2021). Particularly, various work, relationships, and leisure activities that were previously confined to physical spaces have become possible in a new virtual space called the “Meta-verse”, leading to the emergence of “Meta-commerce” which provides consumers with expanded shopping and purchasing experiences in the Meta-verse space (Kim, Woo, & Hyun, 2022). According to consumption value theory developed by Sheth, Newman, & Gross (1991), consumption value has the greatest influence on consumer purchasing behavior, as consumers make purchases based on the value they perceive in a product (Kim & You, 2017).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identify the consumption value that influences consumer satisfaction and continuous usage intention, based on consumer perceptions of Meta-commerce. The aims of this study are: (1) identify the factors that compose Meta-commerce consumption value, (2) understand the influence of Meta-commerce consumption value on consumer satisfaction and continuous usage intention, and in the process, the study examines: (3) the moderating effects of meta-verse involvement and consumer competency. The study proposes a research model and a set of research hypotheses through a review of previous studies on Meta-commerce consumption value, consumer satisfaction, continuous usage intention, involvement, and consumer competency. A survey for hypothesis testing was conducted from October 30, 2023 to November 3, 2023, targeting 200 domestic consumers aged 19 years and above with experience in Meta-commerce. Based on a total of 200 valid samples,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PSS 26.0. Additionally,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multi-group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AMOS 21.0.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 (MANOVA) was also conducted to verify differences between groups based o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research subjects. The hypothesis testing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Among the Meta-commerce consumption values, extrinsic value and epistemic value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consumer satisfaction, and hedonic value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continuous usage intention. In addition, consumer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continuous usage intention. Meta-verse involvement showed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xtrinsic value and satisfaction, as well a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atisfaction and continuous usage intention. Consumer competency showed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hedonic value and satisfaction, as well a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atisfaction and continuous usage intention.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empirically analyzes the impact of relationships of Meta-commerce consumption value, consumer satisfaction, and continuous usage intention, as well as the moderating effects of Meta-verse involvement and consumer competency from the perspective of Meta-commerce consumers, as existing research on Meta-commerce is very limited and restrictive. Furthermore, this study is of great significance as an exploratory study that newly derives the consumption value factors of Meta-commerce.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be utilized in designing a differentiated Meta-commerce that provides consumers with rich content and experiences, and that research related to Meta-commerce consumption and the Meta-verse field will be expanded in the future.

      • 친환경 전기에너지의 소비자 수요에의 영향 요인 조사분석

        김관봉 성신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807

        세계의 기후변화로 인한 지구 온난화, 대형 산불, 역대급 태풍․허리케인 등의 발생 속에서 세계 여러 국가들의 이산화탄소 중립선언(carbon-neutral)이 이루어진 바 있다. 또한 태양광 등을 활용한 친환경적 전기 생산 및 효율적 에너지 소비는 세계의 공통적 과제로 간주되고 있다. 우리나라 정부에서도 중장기 신재생에너지 추진 정책에 따라 친환경 에너지 생산 및 사용 관련 정책적, 제도적 개선 및 지원을 하고 있다. 그 결과 점차 신재생에너지 발전 비율이 증가하고 있고, 태양광, 풍력 등 신재생 전기에너지의 기술적 문제들이 다소 해소되고 있다. 이에 소비자들의 친환경 전기에너지에 대한 인식 및 관련 행동이나 요구도 변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신재생에너지, 친환경 전기에너지에 대한 소비자 관점의 연구는 미흡하였고 소비자의 친환경 전기에너지 수요에 대한 실증연구는 보이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의 전기에너지 절약 행동, 친환경 에너지 소비자 지식, 친환경 전기에너지 요금의 소비자 지불의사, 소비자의 친환경 전기에너지 수요 현황에 대해 조사하였다. 둘째, 에너지 절약 행동, 친환경 에너지 지식, 친환경 전기 요금 추가 지불의사, 친환경 에너지 수요가 소비자의 특성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조사하였다. 셋째, 에너지 절약 행동, 친환경 에너지 지식, 친환경 전기 요금 추가 지불의사, 친환경 에너지 수요에 영향 미치는 변수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문제를 규명하기 위하여 전국에 거주하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한 조사 자료는 SPSS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첫 번째 연구목적인 친환경 에너지 관련 여러 특성 현황은 기술 통계분석을 수행하였다. 두 번째 목적, 즉 사회 인구학적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t 검정, 분산분석(ANOVA)을 수행하였다. 끝으로 에너지 절약 행동, 친환경 에너지 지식, 친환경 전기 요금 추가 지불의사, 친환경 에너지 수요에 영향 미치는 변수를 조사하기 위해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기에너지 절약 행동 수준은 대체로 보통 이상으로 나타났다. 또한, 친환경 에너지 관련 소비자 지식수준을 측정한 결과 소비자의 지식수준의 격차가 개인에 따라 큰 것으로 나타났다. 친환경 전기에너지에 대한 소비자 수요 현황을 조사한 결과 수요 수준이 보통 이하인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친환경 전기에너지에 대한 소비자의 수요가 높지 않다고 할 수 있다. 둘째, 소비자의 에너지 절약 행동은 기혼 소비자, 비수도권 거주 소비자, 50대, 평균 소득이 상위 계층이 아닌 경우, 월평균 전기 요금이 가장 많은 집단인 2십만 원 초과 소비자 집단에서 적극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친환경 에너지 지식수준은 남성, 기혼 소비자, 수도권에 거주하는 소비자, 연령이 30대 이상인 경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중간소득 계층 소비자, 월평균 전기 요금이 8만 원을 초과하는 소비자의 경우 친환경 전기에너지 관련 소비자 지식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비싼 친환경 전기 요금 지불의사는 전문직 종사 소비자, 취업 소비자, 비수도권 거주자, 월평균 소득이 200만 원을 초과하는 소비자, 전기 요금이 5만 원을 초과하는 가계의 소비자들에게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친환경 전기에너지 수요의 차이를 조사한 결과 여성, 가계소득이 200만 원 이하인 저소득 가계 소비자들의 친환경 전기에 대한 소비자 수요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회귀분석을 수행하여 전기에너지 절약 행동, 친환경 전기 요금 지불의사, 친환경 전기에너지 지식, 친환경 전기에너지 수요에 영향 미치는 변수를 조사하였다. 먼저 전기에너지 절약 행동은 수도권 이외 지역 거주 소비자, 저소득 가계, 전기 요금 사용 액수가 낮은 가계, 친환경 전기 지식수준이 높을수록 적극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 전문직 종사자, 서울 수도권 거주 소비자, 에너지 절약 행동이 소극적인 소비자, 친환경 전기 요금 추가 지불의사가 낮은 소비자들의 경우 지식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친환경 전기 요금 추가 지불의사에 영향 미치는 변수를 조사한 결과 가계소득과 친환경 전기에 대한 지식 수준에 따라 정적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여성, 연령이 많을수록, 비싼 친환경 전기 요금 지불의사가 높을수록, 친환경 에너지 지식수준이 낮을수록 친환경 전기에너지 수요 수준이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는 친환경 전기에너지 관련 정책이나 의사결정에 소비자들의 의식이나 수요를 반영시킬 수 있는 기초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어떤 소비자들이 비싸더라도 친환경 전기에너지를 요구하는지에 대해 정보 제공함으로써, 소비자 특성별 차별화된 친환경 전기에너지 정책 등에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비싼 친환경 전기 요금 정책, 전기에너지 관련 의식전환 홍보나 교육 프로그램, 친환경 전기에너지 전반 정책 수립에 본 연구결과를 활용할 수 있다. Amid global warming caused by global climate change, large-scale wildfires, and record-breaking typhoons and hurricanes, a carbon-neutral declaration was made. It is considered a global task. The Korean government is also providing policy and institutional improvement and support related to the production and use of eco-friendly energy in accordance with the mid- to long-term renewable energy promotion policy. As a result, the rate of new and renewable energy generation is gradually increasing, and the technical problems of new and renewable electric energy such as solar and wind power are being resolved somewhat, and the perception of consumers is changing accordingly. Nevertheless, research from the consumer's point of view on renewable energy and eco-friendly electric energy is insufficient, and there are no empirical studies on consumers' demand for eco-friendly electric energy. Therefore, in this study, consumers' electric energy saving behavior, consumer knowledge related to eco-friendly energy, consumer willingness to pay eco-friendly electric energy bills, and consumers' eco-friendly electric energy demand status were investigated. Second, it was investigated whether these variables differ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consumers. Third, the influence of these variables on consumer demand for eco-friendly electric energy was investigated. In order to identify the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from July to August 2019 for consumers residing across the country. Using the SPSS statistical program for the collected survey data,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on the status of various characteristics related to eco-friendly energy for the first research purpose. For the second purpose, that is, to analyze socio-demographic differences, t-test and analysis of variance(ANOVA) were performed. Finally, a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variables affecting consumer demand for eco-friendly electric energy.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electric energy saving behavior was generally above average. Also,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level of consumer knowledge related to eco-friendly energy, it was found that the gap in knowledge level of consumers was large for each individual. As a result of a survey on the current state of consumer demand for eco-friendly electric energy, it was found that the demand level was often below the normal level. In other words, it can be said that the consumer demand for eco-friendly electric energy is not high. Second, energy saving behaviors of consumers were found to be active among married consumers, consumers living in non-metropolitan areas, in their 50s, and in the group with the highest average monthly electricity bill, over 200,000 won. Third, the level of eco-friendly energy knowledge was found to be high for men, married consumers, consumers living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those in their 30s or older. In addition, middle-income consumers and consumers whose monthly average electricity bill exceeds 80,000 won showed a high level of consumer knowledge related to eco-friendly electric energy. Fourth, the willingness to pay expensive eco-friendly electricity bills was found to be higher among professional consumers, employed consumers, residents of non-metropolitan areas, consumers with an average monthly income exceeding 2 million won, and household consumers with an electricity bill exceeding 50,000 won. Fifth,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ifference in demand for eco-friendly electric energy, it was found that the consumer demand for eco-friendly electricity was high among women and low-income household consumers whose household income was less than 2 million won. Sixth, a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variables affecting electric energy saving behavior, eco-friendly electricity bill payment intention, eco-friendly electric energy knowledge, and eco-friendly electric energy demand. First, it was found that electric energy saving behavior was more active as consumers residing outside of the metropolitan area, low-income households, households with low electricity bills, and high level of eco-friendly electricity knowledge. The level of knowledge was found to be low among women, professional workers, consumers living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consumers who are passive in energy-saving actions, and consumers who are less willing to pay additional eco-friendly electricity bills.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variables affecting the intention to pay additional eco-friendly electricity rates, it was found that they are positively affected by household income and knowledge level about eco-friendly electricity. Seventh,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female, the older the age, the higher the willingness to pay expensive eco-friendly electricity bills, and the lower the level of eco-friendly energy knowledge, the higher the level of eco-friendly electric energy demand. This study can provide basic information that can reflect consumer awareness and demand in eco-friendly electric energy-related policies and decision-making. In addition, by providing information on which consumers demand eco-friendly electric energy even if it is expensive, it can be used for differentiated eco-friendly electric energy policies by consumer characteristics. For exampl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for expensive eco-friendly electricity bill policy, awareness change promotion or education program related to electric energy, and overall eco-friendly electric energy policy establishment.

      • 피부미용 서비스에 대한 소비자 만족의 차이 및 영향요인 분석

        이선영 성신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피부미용실의 3가지 유형 피부미용 서비스 즉 얼굴관리, 체형관리, 피부관리에 대한 소비자의 만족도가 소비자의 사회·인구학적 특성과 여러 변수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를 검증하였다. 또한 3가지 유형의 피부미용 서비스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조사하였다. 피부 미용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이 커짐에 따라 피부미용 관리실은 매년 증가하고 있다. 이로 인해 경쟁력 확보 및 우위를 차지하기 위해 각자 차별화된 서비스의 제공을 통해 소비자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서 소비자의 특성에 맞는 차별화된 관리 프로그램과 피부미용 관리실 이용 소비자의 서비스 만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여 경영전략 수립에 실증자료로서 가치가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연구의 조사 대상자는 피부미용 관리실 이용 경험이 있는 성인 여성 소비자이며, 본 연구 자료수집을 위해 2014년 8월 1개월간 온라인 업체에 설문조사를 의뢰하였다. 조사대상 소비자는 피부미용 관리실 이용 경험이 있는 1,000명의 여성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사회·인구학적 특성, 피부미용 관리실 이용자 특성, 피부미용 서비스 만족도 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피부미용 관리실 서비스 만족도를 측정하기 위한 질문은 얼굴관리, 체형관리, 피부관리에 대한 만족에 관한 질문으로 구성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5.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Cronbach’s α 계수, t-test 및 일원변량분석(One way ANOVA)을 수행하였으며, 사후검증 방법으로는 Duncantest를 수행하였다. 피부미용서비스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조사하기 위해 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문제에 대한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피부미용 관리실 이용 소비자의 소득수준이 200만원을 초과하는 경우 얼굴관리 및 체형관리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피부관리 서비스에 대한 소비자만족도는 대졸 이상 학력인 경우 그리고 화장품 사용 후 부작용 경험이 없는 경우 높게 나타났다. 둘째, 회귀분석 결과 얼굴관리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는 거주지, 소득, 부작용 경험 여부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 이외 지역에 거주하는 소비자, 소득이 낮을수록, 부작용 경험이 없는 경우에 대체로 얼굴관리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체형관리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는 체형관리 서비스 이용 횟수가 많을수록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체형관리 서비스는 얼굴관리와 피부관리 서비스보다 장기적인 서비스가 더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피부관리 서비스 만족도는 서울 이외의 지역에 거주하고, 부작용 경험이 없는 경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분석 결과를 토대로 피부미용 관리실의 다변화와 양적인 급성장에 비해 이를 이용하는 소비자의 욕구충족은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피부미용의 다양한 서비스를 갖춘 피부미용 관리실이 유행하고 있지만 질적인 측면에선 주목할 만한 차별화를 보이고 있지 않다. 피부미용 관리실을 이용하는 소비자만족의 다양하고 구체적인 마케팅 전략에 대해 제언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피부미용 서비스 3가지 유형 중 얼굴관리와 체형관리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는 소비자의 소득수준이 영향을 미치고, 피부관리 서비스 만족도는 학력과 화장품 사용 부작용 경험이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에, 피부미용 서비스 제공 사업자는 피부미용 관리실을 이용하는 소비자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다음과 같은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첫째, 소비자의 개인 경제영역에서 선택할 수 있는 서비스 가격대별 다양한 관리 프로그램을 표준화하여야 한다. 둘째, 소비자의 연령과 피부 상황에 맞는 맞춤형 프로그램을 구성하여야 한다. 이처럼 피부미용 관리실의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 피부관리 서비스 가격의 탄력적 조절에 대한 노력이 필요하다. 셋째, 피부미용 관리실 서비스를 제공하는 직원들을 대상으로 하는 꾸준한 전문화 교육을 통해 피부관리 서비스에 대한 전문성을 갖출 필요가 있다. 넷째, 피부관리 서비스 이용 시 발생하는 소비자의 불만 문제를 친절하고, 신속하게 대응하여 소비자의 불만족을 최소화하고, 소비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도록 노력하여야 하겠다. This study verified whether consumers' satisfaction with three types of skin beauty services in skin beauty salons, namely face care, body shape care, and skin care, differs according to consumers'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various variables. In addition, factors affecting the satisfaction of three types of skin beauty services were investigated. As consumers' interest in skin beauty grows, skin beauty care rooms are increasing every year. As a result, it is causing competition between each other, and in order to secure competitiveness and gain an advantage accordingly, it is striving to satisfy consumers by providing differentiated services. Through the consumer satisfaction of the skin care room in this study, it is expected to have a high value as an empirical data in establishing management strategies by seeking differentiated management programs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of consumers and ways to increase service satisfaction of consumers using the skin care room.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adult female consumers with experience in using the skin care room. In order to collect the data of this study, a survey was requested to an online company for one month in August 2014. The surveyed consumers were conducted on 1,000 women who had experience using the skin care room, and surveyed on social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kin beauty room user characteristics, and skin beauty service satisfaction. Questions to measure service satisfaction in the skin care room consisted of satisfaction questions for face care, satisfaction questions for body shape care, and satisfaction questions for skin care.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SPSS 25.0 program for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Cronbach's α coefficient, t-test, and one way ANOVA, and Duncan test was performed as a post-verification method. A multiple regression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variables affecting skin beauty service satisfaction. The main results of this research problem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when the income level of consumers using skin beauty salons exceeds 2 million won, satisfaction with face care and body shape management services was high. On the other hand, consumer satisfaction with skin care services was high in the case of college graduates or higher and there was no experience of side effects after using cosmetics. Second, as a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it was found that satisfaction with face care services had an effect on residence, income, and experience of side effects. Consumers living outside of Seoul, the lower the income, and the higher the satisfaction with face care services when there is no experience of side effects. On the other hand, satisfaction with the body type management service was found to be higher as the number of use of the body type management service increased. In the end, it was found that long-term services were more effective than face care and skin care services for body shape management services. Satisfaction with skin care services was found to be high if they lived in areas other than Seoul and had no experience of side effects. Based on the above analysis results, the reality is that consumers' needs using it are insufficient compared to the diversification of skin beauty management rooms and the rapid growth in quantity. Skin beauty care rooms with various skin beauty services are in vogue, but they do not show a remarkable differentiation in terms of quality. Suggestions for various and specific marketing strategies for consumer satisfaction using the skin care center a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three types of skin beauty services, satisfaction with face care and body shape care services had an effect on consumers' income level, and satisfaction with skin care services had an effect on educational background and experience of side effects on cosmetics use. Accordingly, the skin beauty service provider needs to prepare the following measures to increase the satisfaction of consumers using the skin beauty salon. First, various management programs for each service price range that can be selected in the consumer's personal economic area should be standardized. Second, customized programs suitable for the age and skin situation of consumers should be constructed. As such, efforts are needed to develop various programs in skin beauty salons and to flexibly control the price of skin care services. Third, it is necessary to have expertise in skin care services through continuous specialized education for employees who provide skin care services. Fourth, efforts should be made to minimize consumer dissatisfaction and increase consumer satisfaction by kindly and quickly responding to consumer dissatisfaction problems that arise when using skin care services.

      • 금융소비자 보호 강화를 위한 금융소비자보호법 개선방안 연구

        한태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807

        2008년 금융위기 당시 많은 중소기업들이 큰 피해를 본 KIKO 사건과 2013년 동양증권후순위채 사건 등 파생금융상품 등으로 인한 대형 금융소비자 피해가 발생하자 이에 대한 반성으로 금융소비자보호법 제정이 논의되기 시작하였다. 2012년 국회에 금융소비자보호법이 첫 제출된 이후 지난 2016년 「금융소비자보호기본법」 제정안 입법예고 등을 거쳐 마침내 2020년 3월 「금융소비자 보호를 위한 법률」이라는 이름으로 국회 본회의를 통과하여 제정되기에 이르렀다. 「금융소비자 보호를 위한 법률」시행됨에 따라 그 동안 각 개별 금융관련법령에서 규율하고 있었던 금융소비자보호에 관한 사항을 포괄하여 규정하게 되어 동일한 유형의 금융상품에 대하여 동일한 규제를 적용하고, 법령 위반 시 금융회사에 대한 제재를 더욱 강화하여 금융소비자보호를 충실하게 수행하게 되었다. 즉 금융소비자보호법의 제정으로 그 동안 개별 금융관련 법에 분산되어 있던 금융소비자보호와 관련된 규제를 하나로 통합하고, 금융상품 및 영업행위를 각각의 속성별로 분류하여 규제함으로써 금융상품판매업자 등을 일률적·체계적으로 통제·감독하고 금융소비자보호를 보다 충실하게 이행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였다. 또한 불완전판매행위를 방지하고자 금융상품판매업자등이 준수하여야 할 6대 판매원칙을 도입하였다. 소비자의 권리를 보다 강화하고자 청약철회권, 위법계약해지권, 자료요구권 등을 도입하였으며, 금융분쟁조정과정에서의 소비자 보호를 위하여 조정이탈중지제도, 소송중지제도 등도 마련하였다. 법안 시행이후 동법의 보다 효율적 운영을 위한 다양한 개선방안이 연구·제시되었으며, 다수의 법률개정안이 발의되었다. 본 연구는 현행 금융소비자보호법 일반적인 내용을 간단히 살펴보고 금융소비자의 권리보호라는 시각과 행정의 효율적 운영이라는 관점에서 법안의 개선방안을 연구해보고자 한다.

      • 消費者 選擇 理論의 側面에서 본 外食産業에 關한 硏究

        남효수 연세대학교 경제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논문은 소비자 선택 이론의 측면에서 소비자의 내식과 외식선택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통해 외식의 소비 증가가 소비자가 얻게 되는 총효용을 증가시키며, 외식산업의 성장으로 이어지는 것을 살펴본다. 소비자는 생존을 위해 소득의 일정 부분을 식료품비 지출에 사용한다. 소비자는 한정된 소득을 통해 소비를 하는 과정에서 내식과 외식의 선택을 통해 식생활을 영위하는 것이다. 소비자는 내식과 외식의 소비조합 조합선택을 통해 최대한의 효용을 얻으려고 한다. 어떠한 소비조합 선택을 통해 식생활을 영위할 것인가의 문제는 소비자의 선택에 달려있다. 소비조합에 관한 소비자의 선택 변화는 소비자가 최종적으로 얻게 되는 총효용을 변화시킨다. 즉 식생활에서 소비자가 얻게 되는 효용의 총량은 소비자의 선택에 달려있다고 볼 수 있다. 본 논문은 소비자 선택 이론의 측면에서 소비자의 선택과 외식산업을 설명한다. 식생활을 소비자가 내식과 외식 중 하나의 재화를 선택하는 과정으로서 이해한다면 소비자는 두 재화의 소비조합을 변화시킴으로써 얻게 되는 효용의 총량을 극대화시키려 할 것이다. 따라서 내식의 소비를 줄이고 외식의 소비를 늘이는 소비자의 행위는 효용의 극대화를 추구하는 행위라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외식소비의 증가와 이에 따른 외식 산업의 성장은 소비자가 얻게 되는 총효용을 증가시킨다고 볼 수 있다. 한국 경제의 성장은 소비자의 소득 증가로 이어졌고, 소득증가는 식료품비 지출 증가로 이어졌다. 따라서 소비자가 선택가능한 내식과 외식의 소비조합 제약조건인 예산선은 우측으로 이동하였다. 이를 통해 소득증가로 인한 식비지출의 증가가 예산선을 이동시켜 균형구입점이 이동하는 소득효과가 발생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1990년 이후 식료품비에서 외식비가 차지하는 비중이 크게 증가하였다. 내식비의 상대적 가격 상승과 외식비의 상대적 가격 하락은 소비자의 선택을 변화시켜 내식의 소비를 상대적으로 줄이고, 외식의 소비를 상대적으로 늘이게 되었다. 이를 통해 내식과 외식 두 재화간 상대적인 가격 변동으로 인해 예산선과 균형구입점이 이동하는 가격효과가 발생했음을 알 수 있었다. 즉 외식 소비 증가는 소비자 선택 이론에서의 가격효과와 소득효과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는 또한 소비자가 내식과 외식의 소비조합 선택에서 얻게 되는 총효용이 증가했음을 알 수 있다. 외식 소비의 증가는 외식산업의 증가로 이어졌다. 우리나라의 외식 산업은 90년대 이후 연평균 13%의 급속한 성장세를 보이며 성장해왔다. 그리고 경제성장에 따른 소비자의 소득증가와 함께 앞으로도 더욱 발전할 것으로 예상된다. The purpose of the thesis is to analyse consumer's choice between eating-in and eating-out from the aspect of consumer choice theory. Through this, the fact that increase of consuming eating-out leads consumer's total utility to augmentation and leads food service industry to growth can be found. Consumer spends some amounts of income to the consumption of food. Consuming food with limited income, consumer choices the combination of consuming eating-in and eating-out. In the process of selecting the combination of consumption, consumer intends to maximize total utility. It depends on consumer's choice to select the combination of consuming eating-in and eating-out. The change of the consuming combination which consumer choices changes the total amount of utilities consumer gets. All in all, the total amount of the utility consumer gets in eating life depends on consumer's choice. This thesis will study consumer's choice and food service industry from the aspect of consumer choice theory. If we regards eating life as consumer's selecting goods between eating-in and eating-out, consumer tries to maximize total utility by changing the combination of consumption. So consumer's act which decreases consumption of eating-in and increases consumption of eating-out is the act which seeks to maximize total utilities consumer gets. Then increase of eating-out and the growth of food service industry augment consumer's total utility. The increase of consumer's income has been followed as the Korean economy has been grown. And the increase of consuming food has been followed as the consumer's income has increased. As a result, budget line, the limitation of consumer's choice, has been enlarged on. Through this, we can find that income effect has happened which is made by enlargement of budget line and movement of purchasing point of equilibrium. Also since 1990, the portion of consuming eating-out in consumer's eating life has gradually increased. Consumer has spent more money to eating-out. Through this, we can find that price effect has happened which is made by relative price change between eating-in and eating-out. That is, increase of eating-out is connected with income effect and price effect in consumer choice theory. The increase of eating-out leads food service industry to grow gradually. Food service industry in Korea has grown above average 13% since 1990. And with increase of consumer's income, food service industry seems to grow more and more.

      • 청소년소비자의 용돈관리행동에 관한 연구

        오다연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807

        이 연구는 제주지역 중학생을 대상으로 청소년소비자의 용돈관리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상대적 영향력과 인과적 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제주지역 청소년소비자의 용돈 사용 실태를 파악하고, 청소년소비자의 합리적인 용돈관리행동을 증진시키기 위한 소비자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게 될 것이다. 제주지역 1∼3학년 중학생을 대상으로 2017년 3월 21일∼4월 3일까지 700명에게 설문지를 배부하였으며, 668부가 회수되었다. 부실 기재된 52부를 제외하고 총 616부를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SPSS 18.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t-test, ANOVA, Sheffe의 다중범위 검증, 피어슨의 적률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 경로분석 등의 분석방법을 이용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의 월평균용돈은 42,000원이었고, 46.1%의 중학생들이 부모님께서 용돈금액을 결정하고 있었다. 용돈은 필요할 때마다 수시로 받는 경우가 40.4%로 많았으며, 용돈은 주로 간식비, 교양오락비에 사용하고 있었다. 부모님이 용돈 사용결과를 확인하는 경우는 59.1%였으며, 64.9%의 중학생이 저축을 하고 있었다. 용돈통장을 가지고 있는 중학생은 42.5%였고, 부모님께서 용돈통장을 만들어주신 경우(79.8%)가 대부분이었으며, 용돈통장을 가진 학생 중 22.5%가 현금카드를 가지고 있었다. 둘째, 청소년소비자의 용돈관리역량에서 용돈관리지식은 가계소득이 많을수록, 용돈관리 교육 필요성을 높게 인식할수록, 부모와의 소비자사회화 수준이 높을수록 높았으며, 용돈관리태도는 용돈 만족도와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부모·학교와의 소비자사회화 수준이 높을수록, 용돈관리 교육 필요성을 높게 인식할수록, 친구· 대중매체와의 소비자사회화 수준이 낮을수록 높았다. 용돈관리기능은 용돈 만족도와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부모·학교와의 소비자사회화 수준이 높을수록 높았다. 셋째, 청소년소비자의 용돈관리행동은 용돈통장을 가지고 있는 청소년소비자가, 가계소득이 많을수록, 용돈 만족도가 높을수록, 부모·대중매체·학교와의 소비자사 회화 수준이 높을수록, 용돈관리태도와 용돈관리기능이 높을수록 용돈관리행동을 잘하고 있었다. 넷째, 청소년소비자의 용돈관리행동에 가장 큰 인과적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용돈관리기능이였으며, 간접적으로는 자아존중감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또한, 성별, 용돈통장 유무, 부모·대중매체·학교와의 소비자사회화는 용돈관리행동에 직접적인 영향뿐만 아니라, 용돈관리태도와 용돈관리기능을 통하여 간접적으로도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가계소득, 용돈관리 교육 필요성 인식, 자아존중감은 청소년소비자의 용돈관리행동에 직접적으로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소비자사회화 작용인, 용돈관리태도와 용돈관리기능을 통하여 간접적으로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가계소득, 용돈관리 교육 필요성 인식, 자아존중감은 청소년소비자의 용돈관리행동에 매개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소비자의 용돈관리행동을 증진시키기 위한 소비자 교육의 내용과 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용돈관리역량은 청소년소비자의 용돈관리행동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므로, 청소년소비자의 용돈관리역량을 강화시키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이 요구된다. 또한, 용돈관리기능과 용돈관리태도가 청소년소비자의 용돈관리 행동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므로, 청소년소비자의 용돈관리행동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바람직한 용돈관리태도를 형성하고 용돈관리를 하는데 적용하고 실천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해주는 소비자교육이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둘째, 청소년소비자들은 용돈관리와 관련된 부모·대중매체·학교와의 소비자사 회화 수준이 높을수록 바람직한 용돈관리행동을 보이고 있었다. 따라서 가정에서의 용돈관리교육이 좀 더 체계적으로 행해질 수 있도록 학부모를 대상으로 한 소비자교육 지원과 실시가 요구되며, 대중매체는 청소년소비자의 용돈관리에 도움이 되는 정보 제공과 용돈과 관련된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학교에서는 청소년소비자의 용돈관리역량 강화와 용돈관리행동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학생들에게 용돈관리와 관련된 다양한 교육 기회와 경험을 제공하려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이렇게 부모·학교·대중매체가 연계되어 청소년소비자의 용돈관리 교육을 위한 상호 보완적인 역할을 담당한다면 그 교육 효과가 더욱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 셋째, 용돈통장을 가지고 있는 청소년소비자가 용돈관리행동을 더 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용돈통장이 청소년소비자의 계획적인 용돈관리와 사용에 도움을 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가정과 학교에서는 청소년소비자들이 용돈통장을 활용하여 합리적으로 용돈을 관리할 수 있도록 지도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넷째,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부모와의 소비자사회화 수준, 용돈관리태도, 용돈 관리기능 수준 모두 높아져 바람직한 용돈관리행동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청소년소비자의 자아존중감을 향상시켜 용돈관리역량과 용돈관리행동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이 요구된다. 이 연구의 결과는 청소년소비자의 용돈관리역량에 대한 후속연구와 청소년소비자의 합리적인 용돈관리행동을 증진시키기 위한 소비자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시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is study intends to analyze the relative influence and causal effects of the factors that affects allowance management behavior in teenage consumers by surveying middle school students in Jeju region. The study’s results will provide reference material for identifying the spending patterns of teenage consumers in Jeju region and help develop a consumer education program to promote better allowance management behavior in teenage consumer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616 7th to 9th grade students in middle schools across the Jeju region. For the analysis of the data, techniques such as frequency and percentage, t-test, ANOVA, multiple-range test by Sheffe, and a path analysis using the SPSS 18.0 program were utilized.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monthly allowance of middle school students was 42,000 won (about 37 dollars), and parents decided the allowance amount of 46.1% of middle school students. The portion of those receiving the allowance when needed was 40.4%, and the allowance was mainly spent on snacks and entertainment expenses. The portion of parents checking on spending was 59.1%, while 64.9% of middle school students saved a portion of their allowance. The por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holding a bank account was 42.5%. In most cases (79.8%), the parents had opened the bank account for the students and 22.5% of students with bank accounts had cash cards. Second, the higher the household income, awareness of the need for allowance management, and level of socialization with parents, the better the teenage consumers’ ability in sound allowance management. Moreover, there was a better allowance management attitude present in the teenagers where the level of self-esteem and satisfaction with the allowance amount was greater, where the level of consumer socialization with parents and school was greater, where the awareness of the need for allowance management education was greater, but where the level of consumer socialization with friends and mass media was lower. The managing allowance skill was higher when the level of self-esteem and satisfaction with the allowance amount was higher and the level of consumer socialization with parents and school was higher. Third, the allowance management behavior of teenage consumers was better where teenage consumers had bank accounts, where the household income was higher than average, where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the allowance amount was high, where the level of consumer socialization with parents and school was high, and where a sound allowance management attitude and skill was present. Fourth, the factor that had the most causal effect on allowance management behavior was the skill in managing allowance, while self-esteem had the biggest indirect effect. In addition, gender, the presence of a bank account, and consumer socialization with parents, mass media and school had not only a direct impact on allowance management behavior but also had an indirect but significant impact through their effect on allowance management attitude and skill. Although household income, the awareness of the need for education of allowance management, and self-esteem did not have a direct significant impact on the allowance management behaviors of teenage consumers, these factors had an indirect significant impact on behavior through allowance management attitude and skill, which are consumer socialization factors. Such results showed that household income, awareness of the need for education of allowance management, and self-esteem are all mediating factors in the allowance management behavior of teenage consumers. Based on the results, the following measures for the education of teenage consumers to improve their money management behavior are suggested. First, since the ability to manage allowance is an important factor in the allowance management behavior of teenage consumers, educational programs to improve the teenage consumer’s ability to manage allowance are needed. Moreover, since allowance management attitude and skill significantly affect allowance management behavior in teenage consumers, it is considered that consumer educational programs which help form a desirable allowance management attitude and present ways to apply and practice the allowance management would be effective. Second, teenage consumers showed more desirable behavior in their allowance management when consumer socialization with parents, mass media, and schools in relation to allowance management were greater.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upport and implement consumer education in order for parents to ensure that a more methodical allowance management education is conducted at home. The mass media will also need to provide information that would help teenage consumers manage their allowance better and develop programs related to improving better allowance management. Moreover, schools will need to provide students with various educational opportunities and experiences related to allowance management in order to enhance the ability of students to manage their allowance and to improve their allowance management behavior. The effectiveness of this education will be greatly improved if parents, schools, and the mass media cooperate to mutually complement the education of teenage consumers on better allowance management. Third, since the study showed that teenage consumers who hold bank accounts managed their allowance better, a bank account will help with planned spending and allowance management in teenage consumers. Therefore, guidance to enable teenage consumers to use their bank accounts to manage their allowance rationally will be needed in the home and school. Fourth, the study indicated that teenage consumers showed more desirable allowance behavior when their self-esteem was high since it led to a higher level of consumer socialization with parents as well as higher allowance management attitudes and skill. Therefore, the development of programs to improve the self-esteem of teenagers is needed to enhance their allowance management behavior. The results of this study present reference material for further studies on the allowance management ability of teenage consumers and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s for teenage consumers to develop and improve on more rational allowance management behavior.

      • 사법상 철회제도에 대한 연구 : 민법과 소비자법을 중심으로

        하은민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807

        민법 제527조 청약의 구속력에 의해 법률행위 또는 의사표시의 효과가 확정된 이후에는 청약자가 이를 임의로 철회하지 못한다. 그러나 소비자법에서는 청약의 구속력 원칙에 중대한 예외를 이룸으로써 실질적 사적자치와 소비자 보호를 이유로 철회권을 인정하고 있다. 소비자법상 철회권 제도는 발생요건, 행사방법, 행사기간 등의 규정을 각 개별법에서 규율하고 있고, 그 내용이 통일되어 있지 않아 소비자에게 혼란을 줄 수 있다. 할부거래법은 철회 사유에 구분을 두고 있지 않으나, 방문판매법과 전자상거래법에서는 소비자의 단순변심과 사업자의 책임있는 사유에 의한 철회의 경우를 구분하여 규정하고 있다. 또한 방문판매, 할부거래, 전자상거래 등의 경우에는 행사방법에 제한이 없지만, 할부거래의 경우에는 소비자로 하여금 서면의 방식을 갖추도록 규정하고 있다. 그리고 행사기간 역시 7일과 14일로 각각 상이하다. 이와 같은 규정은 입법적으로 개선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철회권의 발생요건 중 사업자의 의무위반이 있는 경우의 철회권을 별도로 규율하고 있는 내용과 철회권 행사방법 중 서면주의를 택하고 있는 내용을 삭제하고, 철회권 행사기간 역시 법적안정성 제고를 위해 14일로 통일할 필요가 있다. 이를 바탕으로 철회권에 관한 일반적인 내용을 민법전 내에 규율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 그린소비자의 특성이 전기 자동차 브랜드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

        김원기 건국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807

        그린소비자의 특성이 전기 자동차 브랜드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 전통적인 내연기관 자동차는 편리한 교통 수단을 제공하지만 대기 질과 인체 건강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는 배기 오염 문제를 야기한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친환경 에너지 운송 수단인 전기 자동차는 점차 널리 주목을 받고 있으며 글로벌 자동차 산업의 변화와 업그레이드에서 피할 수 없는 추 세가 되었다. 동시에 그린소비 개념이 점차 대중화되고 홍보됨에 따라 점점 더 많은 소비자가 환경 보호에 관심을 기울이기 시작했으며 환경 친화적인 제품을 기꺼이 구매하려고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점점 커지고 있는 자동 차 시장을 위해 환경보호 의식을 많이 가지고 있는 그린소비자의 특성이 전 기 자동차 브랜드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므로서 진행되었다. 본 논문의 실증적 자료는 중국에 전기 자동차 구매 경험이 있는 201명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분석목적에 따라 신뢰도 분 석, 타당성 분석, 선형회귀 분석 등을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그린 소비자의 특성은 전기 자동차 브랜드 선호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전기 자동차 브랜드 선호도는 구매만족도와 구전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그리고 구매만족도는 구전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는 그린소 비자의 특성이 전기 자동차 브랜드 선호도의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였으며 전기 자동차 시장에서 자동차 기업의 발전을 촉진하기 위한 제안함을 통해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한다. 주제어: 그린소비자, 전기 자동차, 브랜드 선호도, 구매만족도, 구전의도 Traditional internal combustion engine vehicles provide a convenient means of transportation, but they also cause exhaust pollution problems that have serious impacts on air quality and human health. To solve this problem, electric vehicles, a means of eco-friendly energy transportation, are gradually attracting widespread attention and have become an inevitable trend in the changes and upgrades of the global automobile industry. At the same time, as the concept of green consumption becomes increasingly popular and promoted, more and more consumers have begun to pay attention to environmental protection and are willing to purchase environmentally friendly products.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impact of the characteristics of green consumers, who are highly conscious of environmental protection, on electric vehicle brand preference for the growing automobile market. The empirical data in this paper was collected through a survey of 201 consumers in China who had experience purchasing electric vehicles, and reliability analysis, feasibility analysis, and linear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depending on the purpose of the analysis.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the characteristics of green consumers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electric vehicle brand preference. Electric vehicle brand preference has a significant impact on purchase satisfaction and word-of-mouth intention. And purchase satisfaction has a significant effect on word-of-mouth intention.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mpact of green consumer characteristics on electric vehicle brand preference and present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through suggestions to promote the development of automobile companies in the electric vehicle market. Keyword: green consumers, electric vehicles, brand preference, purchase satisfaction, word-of-mouth inten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