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쑤저우 전통 민가의 보존 및 활용방안 연구

        조천의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8829

        쑤저우 전통 민가의 보존 및 활용방안 연구 쑤저우는 중국의 유명한 역사 문화 도시이다. 쑤저우 전통 민가 건축은 중국 민가 건축 유산의 중요한 구성 부분이며, 대량의 문화재 보호 단체와 관리 보장 건축물이 도시 구석구석에 위치해 있다. 근래 전통 민가 건축은 잇따라 보호와 개발을 받았으나 수량이 많고 분산되어 있는 특징 때문에 부분 전통 민가는 오랫동안 수리를 받지 못한 채 소실되고 있다. 본 논문의 연구 대상은 쑤저우 도시 발전 갱신 과정 중 대량으로 현존하는 전통 민가 건축이며, 연구의 목적은 국정과 쑤저우에 맞고 경제 발전 규칙에 부합하며 포스트 공업 시대의 도시 발전 상황과 조화를 이루는 지속적으로 발전 가능한 쑤저우 전통 민가 건축의 보호 및 활용 방안을 탐색하고 보호 및 개조 과정 속의 전략과 방법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대량의 보호 단위에 포함되지 않은 많은 전통 민가가 직면한 새로운 문제에 대한 실현 가능한 보존 및 활용 방안을 모색하는 데에 있다. 현재 중국 도시 전체의 상태는 여전히 공업화 중간 단계에 있지만 쑤저우는 경제 발전이 비교적 빠른 주요 도시로서 도시 갱신 진행 과정의 충격으로 사회 구조에 근본적인 변화가 발생하고 있으며 이미 점차 포스트 공업 시대로 진입하고 있다. 이러한 전환 과정 중에서 어떻게 더 많은 전통 민가 건축으로 하여금 알맞은 보존과 활용을 얻고 도시 발전의 흔적을 보류하며 도시 발전의 문맥을 이어나가게 할 것인지는 이미 중국 문화유산 보호 사업 중에서 중요하고 긴박한 연구 과제가 되었다. 특히 구도시의 개조 및 도시 갱신과 함께 전통 민가 건축 보호와 활용의 의의 및 가치에 대한 공감대가 아직 형성되지 않은 상태이며, 비록 이미 대량의 실천 프로그램과 운영 경험이 축적되었지만 여전히 이를 지도할 수 있는 완전한 이론 체계가 부족한 상황이다. 민가는 물질적 매개체로서 인간과 사회 환경, 자연환경 등 각종 요소의 영향을 비교적 크게 받는다. 본 논문은 문헌 열람과 현장 조사에 기반을 두어 이미 완공되거나 부분적으로 복구되고 있는 민가 공사 프로젝트에 대해 현장 방문과 전면적인 조사 및 통계 분석을 진행하였다. 그리고 비교 방법을 통해 다른 국가 혹은 도시의 관련 성공 사례의 경험을 총결집하여 쑤저우 전통 민가에 더 실용적인 보존 및 활용 방안을 탐색하고자 한다. 그 다음, 실측법을 이용해 전형적인 전통 민가에 대해 현장에서 측량 및 기록을 진행하며 모형을 만들어 원형을 재현하고 민가의 전형적인 배치형태, 스타일 특징을 분석한다. 또한 거시적인 민가 외부 공간 형태에서부터 중관적인 건축 색채, 미시적인 전형적 구조물의 특징까지 전통 민가 건축의 큰 나무틀과 그 조성 공예, 장식 예술에 대해 연구를 진행한다. 실천 및 이론의 기초 위에서 연구자는 심층 인터뷰 법을 채택해 실제로 전통 민가 속에 들어가 쑤저우 주민과 교류하고 직접 전통 민가의 주거생존환경을 체험하며 생활상을 촬영하고 현재 민가의 보존 현황을 총정리 하여 문제점들을 발견하고, 역사 문화, 예술 및 미학, 과학 기술과 공예, 사회 등 방면에서 쑤저우 전통 민가 보존의 가치와 민가 활용 방안 간의 내부적 관계 그리고 기본적 방향에 대해 탐색한다. 마지막으로, 전통 민가 보존 활용의 몇 가지 분류 방식을 종합적으로 비교하고 현지 전통 민가의 현실 상황과 결합하여 쑤저우 전통 민가에 적용되는 분류 방식 및 유형 구분에 대해 분석한다. 4가지 유형의 새로운 분류 방식을 제시하였으며, 쑤저우 전통 민가 분류 보존 및 활용에 적용되는 새로운 형식을 다시 구축하여 ‘진정성 보존 활용’, ‘생활성 보존 활용’, ‘신업태 보존 활용’과 ‘타 지역 보존 활용’의 네 가지 보존 및 활용 방안을 제시하였다. 쑤저우 전통 민가 건축의 보존 및 활용이 쑤저우 전통 문화 보호와 도시 건설에 주는 중요한 의의를 논증하였고 미래 중국 주요도시의 민가 건축 유산의 활용 방안에 있어 활용성과 일반화를 좀 더 갖춘 경험을 제공하였다. 본 논문의 연구와 탐색이 중국 민가 유산, 특히 전통 생활과 공간의 보호 및 최적화에 의견과 건의를 제공하여 신 농촌의 건설 및 도시 발전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 근대문화유산의 보존활용방안 - 대전 소제동 철도관사촌을 중심으로 -

        이동훈 동국대학교 2024 국내박사

        RANK : 248798

        대전의 중심시가지(이하 원도심으로 기술함)는 1905년 경부선 철도의 개설로 대전역을 중심으로 발전하기 시작하였다. 근대도시를 태동시킨 경부선 철도를 따라 남북방향으로 도시가 형성되었던 대전에 철도원들이 거주할 철도관사촌이 들어서게 되었고, 그 중심으로 원도심이 발전하게 되면서 대전의 중심축으로 형성되었다. 그 후 거주민들이 살기에 맞는 방향으로 인테리어를 통해 변하게 되면서 근대문화를 이루던 관사촌은 멸실하거나 변화를 격게 되면서 얼마 남지 않은 건축물이 남아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 그리하여 본 연구는 대전 원도심의 한 축으로 명맥을 유지하고 있는 소제동 철도관사촌의 보존과 활용을 위해 현장을 조사하고 거주민들과 방문객, 상인들의 1차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방문객들에게 2차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소제동을 어떻게 보존하고 활용할지를 목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직접인자의 측면에서는 역사문화에 대한 심도 깊은 조사와 공간적 특성을 활용한 콘텐츠 추진 그리고 지역주민들의 역량강화활동이 진행되었을 때 보다 발전된 역사문화 보전을 위한 공공사업으로 발전되거나 민간의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된다. 둘째, 간접인자의 측면에서는 역사문화에 애정을 갖춘 사람들의 참여나 로컬기업들의 참여가 결국 사업 종료 뒤에도 지속적인 역사문화의 보전을 담보하고 있으며, 반대로 외부단체와의 협력을 기피하고 역사문화를 사유화하였을 시에는 경쟁력이 감소하는 등 역사문화의 가치를 오히려 하락시킬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된다. 셋째, 사업별 측면에서 바라보면 ‘아미・초장 도시재생 프로젝트’의 경우 역사문화의 자산이 아카이빙과 역사문화자산에 대한 명확한 이해를 통해 소제동은 세계유산 프로젝트로 발전될 수 있었으며, 협소한 공간을 역으로 이용하는 발상을 통해 산복도로 일원의 역사문화자산 활용의 선례가 되고 있다. 대전 소제동이 문화중심의 효과를 가지기 위해, 그 파급효과를 확대하기 위해서는 커뮤니티가 입지한 공간의 성격에 의해 그 효과가 달라지는데, 공간의 선택과 시설물의 배치, 거점 공간의 확보 등 이전 대상과 보존방안, 활용을 위한 커뮤니티 공간을 활용하는 데에 있어서 지역 기반 문화예술 커뮤니티는 물론이며, 예술가 작업과 전시 공간 등은 가능한 시민이나 방문객이 언제라도 찾아가서 배우고, 경험할 수 있는 참여형 ‘거점공간’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지역에서 상징성과 보존가치가 높은공간들은 매입하거나 이전하여 거점 공간으로 활용하고, 지역 기반 문화예술 커뮤니티가 형성이 가능한 주요 공간의 활용이 카페, 서점, 공방,갤러리 등과 같은 친밀도가 높은 기능에 업종을 중심으로 전면에 배치하여 가시성을 높임으로써 많은 사람들의 주목을 받을 수 있을 것이다. 이는 그동안 원도심의 발전과정에서 배척된 주변지역으로 파급효과가 예상되며, 나아가 대전 원도심이 역사와 문화중심의 근대문화유산에 있어서 중요한 거점 공간으로 발전 가능성이 클 것으로 사료된다.

      • 나주시 근대건축물의 보존과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이향란 동신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32446

        그동안 인류의 역사 속에서 전에 없던 급격한 사회적 변화를 이끌어 왔던 ‘근대화’라는 이름의 매개체는 2세기도 지나지 않아 새로운 변화와 요구에 의해 그 모습이 과거의 흔적과 기억으로 사라지려 하고 있다. 특히, 우리의 근대건축유산은 피해의식의 망령으로 인해 외면당하고 소외되어 경제논리에 의한 가치판단과 잔재의 청산이라는 미명하에 소멸되거나 파괴되어가고 있다. 2001년 7월 근대문화유산의 보존에 기반을 둔 “등록제도”가 제정됨으로서 문화 예술 모든 분야의 유산들이 드디어 법적인 테두리 안에서 보호 받을 수 있게 되었다. 그리고 문화재 전반에 대한 보존(保存),복원(復原),그리고 활용(活用)에 관한 많은 논의들과 함께 문화재의 개념을 확대 적용하고 역사적으로 가치가 있는 것들을 보존하고 이를 통하여 도시의 역사성을 회복하기 위한 논의가 활발히 전개되어 나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근대건축물의 보전과 활용방법을 찾고자 하는 것으로 전라남도 나주시의 근대건축물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연구는 다음과 같은 진행과정을 거친다. 제 1장에서는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연구의 범위와 방법 그리고 기존연구를 고찰한다. 제 2장에서는 근대건축물의 보존 및 활용사례연구를 통해 국 내외국내·외의 근대건축문화자원의 보존 및 활용 실태를 파악하고 활용의 시사점을 도출한다. 제 3장에서는 나주시 근대건축물의 현황 및 분석을 통하여 나주시 건축문화자원의 시계열적 분석과 공간구조상에서의 근대건축문화자원의 의미와 역사적 가치를 파악한다. 제 4장에서는 나주시 근대건축물의 보존과 활용방안에 관한 내용으로 나주시의 역사적 가치를 기반으로 보존된 근대건축물의 보존·활용방법을 찾는다. 제 5장에서는 위의 과정들을 통해 결론을 도출한다. 이상의 과정을 통하여 본 연구가 추구하고자 하는 것은 나주시의 근대건축이 지닌 가치를 분석하고 이를 기준으로 하여 사라지고 멸실될 위기에 있는 근대건축물을 보존·활용 방안을 마련하며, 현대도시의 변화와 맥을 같이 하면서 공생 할 수 있는 보존과 활용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본 연구의 취지라 하겠다. 나주시의 근대 건축물들의 현황과 가치수준 그리고 활용가능성을 검토해 보았을때, 나주시의 공간구조분석에서도 볼 수 있듯이 나주시는 중세에서 근대, 현재에까지 이르기까지 다양한 역사유산과 문화재가 보존되어 있었다. 특히 문화재적 가치가 있는 일제시대의 근대건축물들이 관아구역과 읍성, 4대문을 중심으로 파괴되지 않고 원형 그대로 남아있어, 일제시대에 집중적으로 건축된 거리를 테마거리로 활용이 가능하고, 근대역사문화의 거리를 주제로한 보행상권으로 육성이 가능하다. 근대건축물의 풍경이 어우러져 있는 특성화된 경관가로로 관리하여 가능한 근대역사문화적인 경관을 존중한 가로가 되도록 관리할 수 있다. 나주시는 역사문화 자원들이 파괴되지 않고 원형을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역사문화중심형 도심발전모델을 창출할 수 있는 잠재력이 크다. 이것들을 중심으로 도심의 역사문화자원을 바탕으로 한 가로의 역사테마가로 특성화 사업 및 다양한 장소마케팅 상품 개발과 이러한 사업들을 전담하고 지속적· 체계적으로 연구 할 수 있는 DB구축과 시민파트너쉽의 매개역할을 수행하여 민·관·학·연 각 영역의 네트워킹과 파트너쉽을 통해 궁극적으로 각 주체들이 통합과 네트워킹 시스템을 이뤄 나가 지역의 정체성과 나주의 역사와 전통을 보존· 활용하여 재창조 할 수 있는 전략그룹팀의 조직을 필요로 한다. 위의 연구 과정을 거쳐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나주의 읍성공간을 중심으로한 구시가지에 원형상태로 보존된 중세이후의 가로, 관아공간, 객사공간, 정수루등과 이 공간구역과 연접하여 집중분포되어 원형보존되고 있는 근대건축문화자원등의 개별건축물의 보존, 활용방안은 물론 가로의 역사테마가로 특성화 사업을 진행한다. 역사적 가치의 연구개발과 함께 정비형 지구단위계획구역으로 지정 관리할 필요가 있으며 한,일의 지방중소도시의 비교사적 가치를 증진시키고 쇠락한 도심의 활력과 매력을 주는 체험학습의 장을 만드는 방향의 점이 아닌 선형의 공간전략이 필요하다. 둘째, 근 현대 문화유산 공간 활용 및 재생 프로젝트로서 구 나주역, 구 나주경찰서, 구 나주세무소, 구 나주정미소, 잠사주식회사, 금남금융조합(현재 고조현 내과), 나주금융조합(현재 원산반점) 등을 문화공간으로 재생하여 활용한다. 근대건축물의 외관은 보존하고 내부는 적정 기념품 판매점등으로 활용하거나 가급적 매수하여 나주주식회사에서 사업방향을 결정토록한다. (구)나주경찰서는 일제강점기 고문박물관, 동척건물은 영산포 개항박물관 등으로 활용하며 나주잠사주식회사는 잠사창작스튜디오를 조성하고 금남금융조합은 Net work센터로 활용하여 나주시읍성권을 중심으로 분포되어있는 근대건축물들의 공간들이 상호보완 작용하여 시너지 효과를 창출할 수 있도록 계획한다. 셋째, 근대건축의 장소마케팅적인 활용방안으로 공간매체들을 특정한 스토리 The word of 'modernization', which has led the drastic social change without precedent in the human history, is about to disappear into the past signs and memory due to new change and demand in the two centuries. Especially, our modern architecture heritage has been disregarded and alienated owing to the feeling of being victimized and is disappearing or destroyed under value judgment originated form the economic logic and the justification of remnant liquidation. Through regulating a "registration system" based on the preservation of modern cultural heritage on July of 2001, every heritage of cultural and arts fields could be protected with the legal boundary at last. In addition to discussing much on preservation, restoration and practical use over the whole cultural heritage, actively are producing the discussions on the extended application of the cultural asset concept, the preservation of historically valued assets and the restoration of city's history by the preservation and the restoration. So, aiming at the Naju modern architecture, this study tried to seek the preservation and the application way of the modern architecture. The proces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In Chapter 1 were examined the background, purpose, boundary and method of the study and the existing studies. In Chapter 2, through the example research regarding the preservation and application of the modern architecture, were grasped the preservation and the application situation of the modern architecture cultural resource home and overseas and was induced a suggestion on the application. In Chapter 3, through the current situation and analysis on the Naju modern architecture, was operated a time-serious analysis and was grasped the meaning and historical value of the modern architecture cultural resource on an area structure. In Chapter 4 is contained a plan to preserve and apply the Naju architecture and was sought a way how to preserve and apply the preserved modern architecture. In Chapter 5 was induced a result through the aforementioned processes. Through the aforementioned processes, this study purposed to analyze the value included in the Naju architecture, prepare a plan to preserve and use practically the modern architecture being under disappearance and devastation, and grope a preservation and application plan to live together with the change and vein of the contemporary city. Considering the current situation, valuation level and application possibility of the Naju modern architecture, as shown in a area structure analysis of Naju, the city has preserved the various cultural heritage and assets ranging from middle to modern to contemporary ages. Especially, the modern architecture of Japanese colonial period, which has the value of cultural assets, remains original without being destroyed centering on the official area, town castle and 4 great gates, so the street constructed intensively the period can be applied to a theme street and can be grown to a street having a passengers' commercial power on the basement of the modern historical culture. In addition to having a specialized landscape in harmony with modern architecture, the street can be managed to become a street respecting the modern historical culture landscape. Because Naju preserves the historical culture resources intact without destroying, it has a big potentiality to create a historical culture-centered downtown development model. Carrying out the specialization project with history theme, the development of various area-marketing, DB construction and the intermediate role of citizen partnership to take charge of these projects and to study continuously and systematically on the basement of historical culture resources of the downtown, each project body eventually has to establish the unification of each body and the networking system through the networking and partnership of each field including private, official, academic linkage and found a strategic team to recreate with preserving and applying the local identity and the history and tradition of Naju. Through the aforementioned study processes, a result was induced as follows. First, in addition to a plan to preserve and use practically the street after the middle age, the official area, the guest house area, Jeonsuru, which remain intact at old city streets centering on the town castle of Naju, and the individual architecture including modern architecture cultural resources, which remain intact with neighboring to the old streets, each project body has to perform the specialization project as a historical theme street. In addition to studying and developing the historical value, the project body needs to manage with designating it to district unit plan area for arrangement, to enhance the value of comparative history at the local small and medium cities of Korean and Japan, and to establish not a pointed area strategy but a linear one, which can make a practical exercise field to give activation and attraction to a deteriorated city. Second, as application and restoration project of modern and contemporary cultural heritage area, the project body restores and uses practically old Naju Station, old Naju Police Station, old Naju Tax Office, old Naju mill, Silk Thread Co., Keumnam Fund Association (presently, Go Jo-hyeon Hospital), Naju Fund Association (presently, Wonsan Chinese Restaurant) to a cultural area. It preserves the exterior of the modern architecture and apples it to a souvenir shop or buying it, it make Naju Co., decide the project direction. It applies old Naju Police Station to an old-documentary museum, and Doncheok building, to a port-opening museum, and Naju Silk Thread Co., to Silk Thread creation studio, and Keumnam Fund Association, to Network center, then plans to create a synergy effect with the modern architecture areas centering on Naju castle area complementing each other. Third, with regard to an application plan concerning the area-marketin

      • 近代建築文化遺産의 保存과 活用에 관한 硏究 : 文化財 指定 近代建築物을 中心으로

        金東植 淸州大學校 2001 국내박사

        RANK : 232446

        This study is based on Modern Architecture as Cultural Heritages are designated by government in Korea. The study had been progressed to learn the reason why they had become the cultural heritages and how to be altered and used lately. Moreover, this study had also researched their values in terms of the history, characteristics, management, and the ownership. Accordingly, the result has derived form the research investigating and analyzing the materials for the followings. 1. The process with the approval of th Modern Architecture This study focusing on 106 of Modern Architecture as Cultural Heritages had investigated what the reason why the modern architecture had become a heritages is, and what the present condition is. The Modern Architecture as Cultural Heritages had been classified into Historic Sites(30) by Government. Tangible Cultural Property(23) and Monument(42) is approved by cities of states(65), and the Cultural Property Materials(11). These had been approved with the criterion based on the values of the history, study, art, and technique. Futhermore. The reason why they had become a Cultural Property divided into both the commemoration of the event, place or celebrity of the history(33.00%) and the merit of the architectural history·style(67.00%). 2. The condition of the conservation, reuse, and management of the modern architecture. 1) The management of the modern architecture. The study had investigated and analyzed the condition of modern architecture with the conservation, reuse, and ownership. The condition of the modern architecture has managed with the lists and reports of the alteration. However, in most of the cases, the condition nevertheless has been in trouble due to the structure materials such as wood and brick. The ownership has been divided into Government and local public bodies(25.47%), social groups(50.00%), individuals(23.58%), and the others(0.94%). Therefore, it could be required to instituting the pertinent policies for managing the modern architecture properly in terms of the portion of the social groups and individuals. In th interview about the reuse of the modern architecture. Many(84.00%) possessing those do not want to alter the use of the existing but they also have a grievance about the profit of the tax, especially, in case of individuals. 2) The conserving method and the condition In the Cultural Protection Law, actually, it is the fundamental not to alter the original form. Nevertheless, since the approval of the old KOREA FIRST BANK. interior alteration and extension have become gradually allowed. In most of the cases, the exterior has been just conserve, and its conservation has enforced as a law with the register. In addition, the places where the celebrity was born have been restored. 3. The condition of the reuse The modern architecture have been gradually open to public as Government or local public bodies have possessed proprietaries of those. In terms of the reuse of it, whereas most of churches and schools. have usually been conserved the existing use, houses, some of schools, public offices, and commercial offices have been altered for other purposes such as a museum, a gallery, a memorial hall, and offices, etc. In addition, as those have provided the public with various events, the reuse of modern architecture has become augmented. Moreover, in some of the cases, it could be observed that the area based on the modern architecture has been flourished. 3. The method of the conservation 1) Revision of the criteria of the approval and register Indeed, it is needed for preserving modern architecture to make pertinent criteria such as the law for tradition architecture in Korea because there are still a lot of modern architecture needed to conserving as a heritages, and also some modern architecture already approved have still been in trouble. The criteria should include not only the structure of the conservation of the cultural heritages such as brick but also the criteria of the style such as Western style or the mixed style in Western and Orient. Besides, it should be accepted with various modern architecture, containing the life of Modern age in such medical facilities, welfare facilities, transportation, inn, teahouses, industries, and even the part of civil engineering. These stipulations should be elucidated in the criteria of the approval and register. 2) The method for ameliorating modern architecture in management When the modern architecture were repaired, the entire operation should be reported with a record and be built with an integrated system. As listed with the precedents, the system can prevent the errors in the management of heritages. Besides, to prevent the modification by owners, the stipulations should be presented as the document and drawings with the detail of conservation in the approval and register, even for the triviality. 3) The nurture of the expert in conservation and repair Experts should be nurtured for managing heritages in terms of the conservation and repair. Particularly, in cases of modern architecture in Western style, the repair of the it should be performed by experts authorizing in the part. Moreover, officials in charge of heritages should be educated properly to manage the modern architecture. 4. The method of the reuse 1) The continuous reuse and exclusive use In case of using the heritages with conserving either the original form or exterior, it is needed for supporting the structure and facilities within the scope of maintaining modern architecture. In case of application for various purposes, it should be considered with the function because the erroneous application can spoil modern architecture. Within the scope that do not damage the modern architecture, it should be considered with the introduction of convenient facilities and solution of the cooling and heating system for the public as well. 2) The reuse as a center of historic education place and activity It could be the best way to use the heritages in public not for a group or individual. For that reason, it should be considered with using the heritages as a center of the historic education and activity of the society such as museum. In terms of the detail to alter the modern architecture to a museum. first, it should be needed for the excavation of the historic materials, the introduction of the media, and the information easily understandable to the public. Moreover, it should be also required to developing various events and obtaining ample funds for the conservation. Second, in case of small scale, it can be considered with the network system between analogous categories or near areas. Government and the local bodies should try to support the funds for repair and management as well. 3) The extension of the method of the conservation and reuse As the main pivot of the conservation has become a private business or a nonprofit organization as like The National Trust of Korea. the participation of individuals could be enhanced and the sympathy in the public be formed better. In detail, as making the precedence of heritages within the scope of the conservation, Government may curtail the budget and owners may enhance the application as well. In addition, it could be possible to make the social groups participate the movement of conservation so that the reuse of heritages could be developed more.

      • 고인돌 유적의 보존과 활용정책에 관한 연구 : 세계문화유산 고창·화순·강화를 중심으로

        권석주 고려대학교 행정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32446

        The preservation and application of for a whole cultural property was recognized with the concept which is contrary and opposition. Many people recognizes opening the cultural property space for approaching the citizens easily that is utilization of cultural property which is sightseeing resources for an activation of area economy that is a great part doing in utilization. However, this viewpoint be a main reason in utilization recognizes damage. Based on hypothesis that is viewpoint which is preservation and utilization are opposition is wrong and preservation and utilization are helpful to one another and efficient preservation could be come true as a result of an utilization. Gochang, Hwasun, and Ganghwa dolmen that is December 2000 UNESCO are applied and advanced this research. For the method that gives proof, sorted domestic and foreign instance about preservation and utilization of the dolmen ruin, and tried to an actual proof analysis from the survey from the spectator who visit dolmen museum in Gochang. I drew conclusion about utilization plan in education, sightseeing, and cultural industrial side will be able to support how in cultural property preservation through the survey plan and an actual proof analysis. First, the aim of cultural property education in cultural variety time is establishing a history and a cultural identity and discovering value of our cultural property by the full understanding with our cultural property and ultimately enjoy the value. Thus, cultural property education means making the cooperative person by promoting understanding about cooperation. Contrary to many cultural property when period of the Three States until modern and contemporary cultural property education infrastructure about the dolmen shorts for lack of data of the dolmen. But the Bronze Age which is a important time for our country when built the dolmen, so, education about understanding of the dolmen has major implication relates with a historical identity establishment. Having recognition firmly about our history and culture can be realized the love which is special value about our cultural property also it will affect efficient preservation management. Secondly, each local self-governing group puts many effort for area economic activation and raising area image because many people enjoy sightseeing with increase of leisure time and sightseeing population will be augmented continuously in the future. But tourist resort development for economic profit hastily without sufficient politic investigation and insurance of basic data, can produce bad results which makes damage and distortion of historical fact of cultural property seriously. Therefore, if there is worry which will be damaged and destroyed cultural property, it will be restricted strictly no matter how there is a goal which is good. Also, cultural heritage sightseeing should be a opportunity for well delivers the immanence value and the essential meaning. So, a sufficient recognition and the good eye about cultural property by sightseeing will become the help in preservation and management of cultural property. Like this sightseeing resources plan, the dolmen ruins should be approached from this viewpoint. Currently all respectively ruins of Gochang, Hwasun, and Ganghwa have the clearly meaning the characteristic elements. Thus, the dolmen needs the approach which applies the strong point which the respectively ruins and the connection system about registration in world-wide cultural heritage that to save the point of sameness. And providing the opportunity which is very useful for a full understanding and the good eye about our cultural property by the preservation dolmen ruins. Third, the utilization from the cultural industrial is the field which is the possibility of useful applying without damages and contact cultural property. These days, revival to the value which is characteristic of cultural property expedites technologies which are various possibility of becoming an added value. There is an utilization plan which is various forms about like this engineering development to cultural industrial application of the dolmen ruins. There will be a possibility of trying to think applications with the various goods and character by developing the brand which uses the value and a creativity with from the world-wide cultural heritage, application as the sourceful subject of various creation develops by development of the potential energy from the dolmen, uses the goods development and a design application which is various applies of the dolmen and excavation from the dolmen, and cyber museum operation plan etc.

      • 서울시 제조업 산업유산의 장소정체성 보존에 관한 연구

        장진혁 건국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32446

        산업혁명과 근대화 과정에서 많은 산업시설이 조성되었다. 기술 발달과 산업구조가 변화함에 따라 조성되었던 산업시설들은 방치되거나 버려지게 되었다. 방치되고 버려진 산업시설들을 역사적 자산으로 보고 보존하기 위한 경향과 함께 산업유산에 대한 정의가 이루어졌다. 산업유산을 보존하기 위해 TICCIH(국제산업유산보존위원회)를 중심으로 하여 ‘니주니 타길 헌장’, ‘더블린 원칙’, ‘타이페이 선언’ 등이 선언되었다. 여기에서 산업유산은 건물, 시설, 정체성, 환경, 기억, 지역의 특성, 전통, 관습 등이 모두 포함되어 있는 유·무형적 가치를 지닌 유산이며, 이러한 유산을 보존하고 활용하기 위해서 일부 개조, 재사용을 허용하였다. 해외뿐 아니라 국내에서도 이러한 산업유산을 도시재생을 통해서 보존, 활용하고 있다. 산업 공장 부지를 활용하여 체험관, 박물관, 전시관 등 복합문화공간으로 조성하거나 지역 사람들이 이용하는 공원으로 조성하고 있다. 산업유산의 활용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산업유산이 위치한 장소에 대한 정체성과 기억을 보존하면서 활용하는 것이다. 산업유산의 정체성과 기억을 보존하려는 목적은 사람들에게 산업유산의 정체성과 기억을 전달하고 지속시키는 데 있다. 사람들이 산업유산에 대한 장소의 정체성과 기억을 간직하고 있는지를 판단하는 것은 산업유산의 가치를 어떻게 간직하고 보존해야 하는지를 알 수 있는 척도이다. 서울시에서 산업유산을 활용하여 공원으로 조성한 사례는 모두 12건이 있다. 산업유산을 활용하여 조성한 공원들은 산업유산이 위치한 공장 부지를 활용하여 체험관, 전시관을 조성하여 복합문화공간으로 만들거나, 공장 부지를 활용하지 않고, 조형물 설치로 산업부지에 대한 모습을 표현하였다. 이 중 제조업 산업유산을 활용하여 공원을 조성한 강서구 매화근린공원, 성동구 성수근린공원, 영등포구 영등포근린공원은 모두 산업 부지를 활용하지 않고 조형물을 설치하였다. 이들 세 군데 공원은 모두 조형물 설치라는 공통된 설계를 통해서 산업유산의 정체성, 기억을 보여주고자 하였으며, 산업유산의 부지, 건물군을 활용한 다른 공원과는 차이점이 존재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제조업 유산을 활용하여 조성한 공원의 조형물 설치 설계 방법이 장소의 정체성과 기억을 전달하고, 보존하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먼저, 문헌조사, 현장조사를 통해서 강서구 매화근린공원, 성동구 성수근린공원, 영등포구 영등포근린공원의 설계 방안의 과정과 공원이 어떻게 조성되어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조성된 공원을 이용하는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공원이 산업유산의 정체성과 기억을 보존하고 있는지, 조형물 설치가 산업유산의 정체성과 기억을 전달하는지 분석하고자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마지막으로 수합된 설문지는 IBM SPSS statistics 21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첫째 대다수의 이용자는 공원이 공장 부지였음을 인지하지 못하고 있어, 조형물 조성이 과거 공장 부지에 대한 기억을 제공하는데 한계점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공원의 과거 공장 부지에 대한 정체성, 기억이 보존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필요성을 느끼지 않는다는 분석을 통해 산업유산에 대한 가치 인식이 부족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산업유산을 활용한 도시재생사업에서 산업유산의 가치를 인식하고 활용하여야 하며, 지역의 특성과 연계한 도시재생사업을 실시, 산업유산 활용과 관련한 다양한 이해당사자가 산업유산에 대한 가치를 인식하고 산업을 진행하고, 마지막으로 산업유산의 국제 헌장과 원칙의 결과를 최대한 반영하여 산업유산을 보존하고 활용할 필요가 있음을 밝힐 수 있었다. During the Industrial Revolution and modernization, many industrial facilities were created. As the technological development and industrial structure changed, industrial facilities that had been built were left unattended or abandoned. Industrial heritage was defined along with the tendency to view and conserve neglected and abandoned industrial facilities as historical assets. In order to conserve industrial heritage, the ‘Nizuni Tagil Charter’, ‘Dublin Principles’, and ‘Taipei Declaration’ were proclaimed led by the International Commission for Conservation of Industrial Heritage (TICCIH). Here, industrial heritage is a heritage with tangible and intangible value that includes buildings, facilities, identity, environment, memories, local characteristics, traditions, customs, etc. allowed. These industrial heritages are being conserved and utilized not only overseas but also in Korea through urban regeneration. Using the site of an industrial plant, it is being developed as a complex cultural space such as an experience hall, museum, and exhibition hall, or as a park used by local people. The most important thing in the utilization of industrial heritage is to use it while conserving the identity and memory of the place where the industrial heritage is located. The purpose of conserving the identity and memory of industrial heritage is to convey and sustain the identity and memory of industrial heritage to people. Judging whether people retain the identity and memory of a place for an industrial heritage is a measure of how to conserve and conserve the value of an industrial heritage. In total, there are 12 cases of parks using industrial heritage in Seoul. Parks created using industrial heritage used the factory site where the industrial heritage was located to create an experience hall and an exhibition hall to create a complex cultural space, or to express the appearance of the industrial site by installing sculptures without using the factory site. Among them, Maehwa Neighborhood Park in Gangseo-gu, Seongsu Neighborhood Park in Seongdong-gu, and Yeongdeungpo Neighborhood Park in Yeongdeungpo-gu, where parks were created using the industrial heritage of manufacturing industry, all installed sculptures without using industrial sites. All three parks tried to show the identity and memory of the industrial heritage through the common design of the installation of sculptures, and there is a difference from other parks using industrial heritage sites and building groups. Therefore, in this stud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the method of designing a sculpture in a park created by utilizing the manufacturing heritage conveys and conserves the identity and memory of the place. First, the process of designing the Maehwa Neighborhood Park in Gangseo-gu, Seongsu Neighborhood Park in Seongdong-gu, and Yeongdeungpo Neighborhood Park in Yeongdeungpo-gu through literature and field research was analyzed and how the park was formed. Next, a survey was conducted to analyze whether the park conserves the identity and memory of the industrial heritage and whether the installation of the sculpture conveys the identity and memory of the industrial heritage for users who use the park. Finally, the collected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using the IBM SPSS statistics 21 program. As a result of the survey, it was confirmed that the majority of users did not recognize that the park was a factory site, so there is a limitation in providing a memory of the former factory site.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the recognition of the value of industrial heritage was insufficient through the analysis that there was no need for the identity and memory of the park's past factory site to be conserved. Through this study, the value of industrial heritage should be recognized and utilized in urban regeneration projects using industrial heritage, and various stakeholders related to the use of industrial heritage should understand the value of industrial heritage by conducting urban regeneration projects in connection with regional characteristics. It was possible to recognize the need to recognize and advance the industry, and finally to conserve and utilize the industrial heritage by reflecting the results of the international charter and principles of industrial heritage as much as possible.

      • 한국 근대건축문화재의 박물관 활용과 대안 모색

        김수진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32445

        The modern architecture is defined to be built with, especially, western technology and materials after the opening of a port in 1876. It was difficult to preserve modern architecture by the existing way, the original form-freeze preservation policy, so the new conservation approaches were applied to it through the practical use. As a result, various uses of the modern architecture were tried in order to create the economic value, holing the cultural value and significance. One way of them is the appropriation to a museum. This thesis focused on groping the solution to make effective use of modern architecture as a museum, examining current problems and limits in appropriating it to a museum. For this purpose, in chapter 2, the conservation approaches and its meaning in western countries were mainly examined. One of such conservation ways is making use of the modern architecture, ensuring both its authenticity and restoration. The museums in case studies were successful to heighten the social value of the architecture, recovering their placeness through connecting their symbolism and history with the identity of museums in the local and urban context. In this way, the modern architecture can be used as a museum keeping it intact and be recovered with its authenticity. Chapter 3 focused on examining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conervation and use of the modern architecture in Korea, which showed that the change of the modern architecture based on the conservation should be oriented to reinforcing its social function and creating the new value through the succession to its history and culture and the bestowal of new uses in accordance to the present time.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modern architecture used as museums was analyzed by whether the museum is registered, what is exhibited and what education programmes are operat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museums not to be registered account for 59.6% which seem not to be ready to carry out the function as a museum. They were classified with 'sustained museum' and 'appropriated museum' on criteria of the meaning and identity of architectures, of which the former can be regarded as contributing to the identity formation by restoring its placeness while the latter can revive the architecture but it seems difficult to recover its placeness. The use of modern architecture for museums can bring educational and economic benefits as well as prepare a platform to enrich historical elements and eventually to form cultural identity, recovering its placeness and history. Therefore, it should be oriented to solidly playing a role as a museum and to accommodating its context of history, time and locality. Furthermore,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conservation can have meaning only when architecture is not damaged in this process. In this regard, three problems can be pointed out in this process. First, the architecture is not successfully used for a museum because the museum can neither be well managed nor can recover the architecture. Second, the authenticity of the architecture is damaged as its meaning is distorted, not sustained. Lastly, the structural changes cause the original form of architecture itself damaged, which results in injuring the value of the architecture. Improvement plans to solve these problems can be offered as followings. First of all, not only should the operation of museums be activated but also its roles should be strengthened. For this, the museums should be specialized through introducing the system for building human resources, setting up the integrated system and reinforcing cooperative networks between museums. Next, considering the meaning and symbolism of the architecture, museum contents and programmes should be comprehensively, elaborately planned. To achieve this, in the step of building museums, it is necessary to ensure the expert's participation and to strengthen the collaboration with related departments. Lastly, the system and the ways for practical use should be prepared to prevent the architecture from being damaged. For this, the architectural alteration standards should be detailed and documentation should also be carried out at the same time. When utilizing the modern architecture as a museum, we should it's authenticity and original form and, at the same time, consider its spatial functions and characteristics. If only so, the effectiveness of its use can be heighten and its conservation can be successful, too. 근대건축물은 1876년 개항 이후, 외래 특히 서구의 건축 재료와 기술을 사용한 건축물로 정의할 수 있다. 근대건축물은 동결보존을 원칙으로 하는 기존의 방식으로 보존하기 어려웠다. 이에 활용을 통한 건축물 보존 방식이 등장하게 되었다. 사람들은 문화재적 가치를 지키면서 경제적 가치를 창출하기 위해 다양한 용도로 근대건축물의 활용을 시도했다. 근대건축물의 박물관 활용도 이러한 과정에서 시작되었다. 그러나 박물관으로 활용하는 과정에서 건축물이 훼손되거나 건축물의 역사적 가치가 소멸, 또는 약화됨으로서 보존의 의미를 잃어버리는 사례가 생겨났다. 본 논문은 이러한 박물관을 연구대상으로 삼아 진행되었다. 박물관으로서 근대건축물의 활용이 당면한 문제와 그 한계를 살펴보며, 근대건축물의 보존과 박물관 활용 효과를 높이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었다. 이를 위해 2장에서는 외국의 근대건축물의 보존 방식과 의미를 살펴봤다. 근대건축물의 보존방식으로는 ‘진정성’을 지키고 ‘재생’을 이루는 ‘활용’을 들 수 있었다. 사례로 살펴본 박물관들은 건축물의 상징성과 역사성을 박물관의 정체성과 연결하여 그 공간의 장소성을 회복하고, 지역·도시적 맥락 속에서 협동적 공존을 이루어 건축물의 사회적 가치를 강화했다. 이를 통해 근대건축물은 훼손 없이 박물관으로 활용될 수 있었으며, 또한 진정성을 지키고 재생을 이룰 수 있었다. 3장에서는 한국에서의 근대건축물 보존과 박물관 활용 현황을 살펴봤다. 이를 통해 보존을 전제로 한 근대건축물의 활용은 건축물의 역사와 문화를 계승하여 그 의미를 이어나가고,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여 건축물의 사회적 역할과 가치를 강화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져야함을 살펴볼 수 있었다. 근대건축물을 활용한 박물관의 현황은 등록 여부와 전시·교육프로그램을 통해 분석했다. 비 등록박물관은 전체의 59.6%를 차지했다. 이러한 곳은 박물관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기반이 조성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볼 수 있었다. 또한 근대건축물을 활용한 박물관은 건축물의 의미와 박물관의 정체성을 기준으로 ‘지속형 박물관’과 ‘전용형 박물관’으로 분류되었다. 지속형 박물관은 건축물의 장소성을 회복시켜 정체성 형성에 기여하는 것으로, 전용형 박물관은 건축물의 재생을 이루지만 장소성의 회복이 어려운 것으로 볼 수 있었다. 근대건축물은 박물관 활용을 통해 교육·경제적 효과를 창출한다. 또한 건축물의 역사성과 장소성을 회복시켜, 역사의 구성요소를 풍부하게 하고 정체성 형성을 위한 기반을 마련해 줄 수 있다. 따라서 근대건축물의 박물관 활용은 박물관 기능·역할의 충실한 수행과 건축물의 역사·시대·지역적 맥락을 담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하며, 이 과정에서 건축물이 훼손되지 않아야 보존의 의미를 가진다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이러한 측면에서 근대건축물의 박물관 활용의 문제는 세 가지를 지적할 수 있었다. 첫째 박물관 운영이 활성화되지 않고 건축물을 재생시키지 못함으로써 활용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였다. 둘째 건축물의 의미가 지속되지 않고 오히려 왜곡됨으로써 건축물의 진정성이 훼손되어 보존이 어려워지는 경우였다. 셋째 구조 변경으로 건축 원형이 손상됨으로써 건축물의 보존가치가 훼손되는 경우였다. 이에 대한 개선방안은 다음과 같이 제안할 수 있었다. 첫째 박물관 운영을 활성화시키고 건축물의 사회적 역할을 강화한다. 이를 위해 인력기반 구축을 위한 제도를 도입하고, 박물관의 교류 및 협력을 강화하며, 통합시스템을 구축해 박물관을 특성화시켜야 한다. 둘째 박물관의 정체성과 건축물의 역사·시대·지역적 맥락을 연결시켜 건축물의 의미를 지속한다. 이를 위해 박물관 건립단계에서 전문 인력의 참여를 강화하고, 관련 학과와의 협력 관계를 구축해야 한다. 셋째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고 활용방안을 제시해줌으로써 건축원형의 훼손을 막는다. 이를 위해 현상변경에 대한 지침을 마련하고 기록화 사업을 적용해야 하며, 문화유산보존상을 장려하고 활용해야 한다. 그리고 건축 원형을 존중하고, 공간의 특성을 고려해야 한다. 이는 근대건축물의 박물관 활용 효과를 높이며, 이를 통해 근대건축물의 보존이 가능해진다.

      • 近代期 畵家의 住居建築 文化財의 保存과 活用에 관한 硏究

        홍대화 단국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32444

        문화의 개념이 변화함에 따라 문화재와 문화유산의 보존과 활용의 방법뿐만 아니라 그 범위까지 확대 또는 변화되고 있다. 특히 현재 우리 사회는 어느 때보다도 강한 문화와 경제의 대립 구도가 형성되어 있다고 볼 수 있고, 이로 인해서 문화유산의 가치를 판단하고 보존과 활용의 방향을 결정할 수 있는 지표가 필요한 실정이다. 근래에 서울시청사의 신청사 신축과 관련된 화제는 그 대표적인 사례라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용인 장욱진 가옥의 등록문화재로의 등록 추진과정에서 야기된 소유자와 인근 지역 주민간의 갈등을 지켜보면서 시작되었다. 이 갈등의 주요 원인은 문화재 등록으로 인한 개발억제에 의한 경제적 손실을 우려한 주민들의 등록 반대 때문이었다. 이러한 갈등은 문화유산에 대한 우리사회의 전반적인 인식이 경제개발보다 하위의 위계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문화와 문화재에 대한 의미를 재고찰하고 변화하는 문화 인식에 따라 문화유산의 보존과 활용의 범위와 방법 등을 다시 한 번 뒤돌아 볼 필요가 있다. 연구 대상은 장욱진을 비롯해 우리나라 근대시기에 활동하였고, 우리의 전통성과 민족성에 대한 고심이 작품 속에 드러난 작가들의 가옥으로 선정하였다. 이들 가옥은 근대기 화가들이 작품 활동을 함에 있어서 그 주요한 기반이 되었던 곳들이다. 특히 용인 장욱진 가옥의 경우는 장욱진의 작품으로서의 가치 또한 지니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연구 대상 문화유산 중 건축물에 한정하여 연구하였는데, 기존의 문화재 지정·등록기준을 기반으로 하여 현황을 분석하였으며, 각각의 작가들의 활동배경과 사상·작풍 등을 고려하여 건축물에 국한된 가치보다는 그 속에 내포하고 있는 가치까지 고려한 보존과 활용의 개략적인 방안을 제안하였다. 연구 대상으로는 등록문화재 제84호 원서동 고희동 가옥, 제171호 이상범 가옥 및 화실, 양구 박수근 미술관, 서귀포 이중섭 거주지 및 미술관, 등록문화재 제404호 용인 장욱진 가옥을 선정하였고, 이들의 보존과 활용 방안으로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사회의 변화와 문화의 개념 변화에 따른 문화유산의 보존·활용방안이 필요하다. 둘째, 보존·활용을 위해 건축물에 국한된 가치판단은 불합리한 보존과 활용의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 각각의 문화유산이 내포하고 있는 전반적인 것을 고려한 후에 합리적인 보존·활용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셋째, 원서동 고희동 가옥, 이상범 가옥 및 화실의 경우 비록 등록문화재임에도 불구하고 거의 방치·훼손되고 있는 실정이다. 반면에 양구 박수근 미술관, 서귀포 이중섭 거주지 및 미술관, 용인 장욱진 가옥의 경우, 지자체와 소유자의 활용 의지로 인해 매우 활발히 활용되고 있고, 그에 따라 박수근, 이중섭, 장욱진의 가치와 더불어 그 장소 또한 가치를 더하고 있다. 좁게는 문화유산에 대한 적절한 행정적 지원부터 크게는 소유·관리자의 보존·활용 의지, 문화와 문화유산에 인식이 고취된다면 우리의 많은 문화유산들이 그 진가를 발휘할 수 있을 것이다. According to changes of the concept of culture, not only methods of conservation and rehabilitation of cultural properties and cultural heritage but also its scope are expanding or changing. In particular, the current society of ours has formation of strong confrontational structure between culture and economy than any other time and because of this, it is the reality that we need an index to judge values of cultural heritage and to determine direction of conservation and rehabilitation. Recent topics of new construction of Seoul city hall can be its typical example. This thesis was started while conflicts generated between owner and neighboring residents in the process of implementation of registration of the house of Chang, Uc-chin in Yongin as a cultural properties were observed. Main cause of this conflict was objection of registration by residents who worried about economic losses due to suppression of development by the registration as cultural properties. The reason of this conflict is due to the fact that overall recognition of our society about cultural heritage is at lower level than economic developmen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xamine again the meaning of culture and cultural properties and to look back at the scope and the methods of conservation and rehabilitation of cultural heritages according to changing recognition about culture. As objects of the study, houses of authors including Chang, Uc-chin, who have worked during the period of modernization of Korea and concerns for our traditions and national characters were expressed and described in their works, were selected. These houses had been main foundation for artists during the modern period to work on their arts pieces. In particular, in case of the house of Chang, Uc-chin in Yongin, it also has value as art works of Chang, Uc-chin. In this thesis, among objective cultural heritages of the study, it was researched only limited to architectures and based on existing standard of designation and registration of cultural properties, actual status was analyzed. And in consideration of background of activities, ideologies, and style of their arts works of each author, rough plans of conservation and rehabilitation are suggested in consideration of even values contained within rather than values limited only to architectures. As objects of the study, registered cultural properties No. 84 of Go, Hee-dong house in Wonseo-Dong, No.171 Lee, Sang-Beom house and atelier, Park, Su-keun museum in Yanggu, Lee, Jung-Seob residence and museum in Seoguipo, registered cultural properties No.404 Chang, Uc-chin house in Yongin were selected and as plans for conservation and rehabilitation,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 we need the plans of conservation and rehabilitation of cultural heritage according to changes of the society and changes of concept of culture. Second, judgement of value only limited to architecture can induce problems of irrational conservation and rehabilitation. We must explore plans for reasonable conservation and rehabilitation after considering overall values each cultural heritage contains. Third, in case of Go, Hee-dong house in Wonseo-Dong, Lee, Sang-Beom house and atelier, despite they are registered cultural properties, it is a reality that they are almost neglected and are being damaged. On the contrary, in case of Park, Su-keun museum in Yanggu, Lee, Jung-Seob residence and museum in Seoguipo, and Chang, Uc-chin house in Yongin, they are very actively utilized due to intention of rehabilitation by local autonomous organizations and owners and consequently, together with values of Park, Su-keun, Lee, Jung-Seob, and Chang, Uc-chin, those places also add values. Ranging from proper administrative supports for cultural heritages in microcosm to intention of conservation and rehabilitation by owners & managers and our recognition about culture and cultural heritage are augmented in a great deal, lots of cultural heritages in Korea will be able to demonstrate their true values.

      • 군산 구도심 근대주거건축물의 보존 및 활용 실태에 관한 연구

        김상희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32444

        군산 구도심에 잔존하는 근대주거건축물은 이 지역의 일제강점기 역사적 맥락을 반영하고 있는 존재이지만, 해방 이후 적산(敵産)가옥으로 취급되어 그 가치가 폄하되어 왔다. 최근에서야 이들 근대주거건축물이 일상생활공간의 일부이자, 지켜나가야 할 근대문화유산이라는 인식의 제고가 이루어지기 시작했으나 실상 이들 대부분이 멸실될 위기에 처해 있음은 간과할 수 없는 문제이다. 이러한 문제의식 하에 본 연구는 급격히 소실되어가는 구도심 일원의 근대주거건축물에 대한 현황을 파악하고, 보존 및 활용방식을 기준으로 연구대상 근대주거건축물을 유형화한 후, 대표사례의 보존 및 활용실태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군산 구도심 근대주거건축물의 보존 및 활용 방향 논의를 위한 단초를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 근대주거건축물은 크게 일식주택과 일양절충식주택으로 대별되며, 1개 사례를 제외한 나머지 사례가 모두 일식주택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구도심 일원의 근대주거건축물은 격자형 도로를 따라 집중적으로 분포하고 있으며, 배치형식은 가로형, 연속세로형, 단독형 3가지 형식으로 분류되었다. 셋째, 현재 용도는 전용주거(21.8%)가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공가의 비율도 높게 나타났다. 상업용도로 활용되고 있는 사례의 업종을 조사한 결과, 식음료·유흥시설로 이용된 사례가 다수 파악되었다. 넷째, 용도에 따른 외관변화 정도와 분포 현황을 파악한 결과, 원형과의 차이가 가장 큰 변화를 보이는 경우는 겸용주거와 현재 공가인 경우로 확인되었으며, ‘원형에 가까운 변화’를 보이는 사례는 신흥동에 밀집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근대주거건축물의 보존 및 활용 실태 분석결과, 주거용도로 사용되고 있는 경우 대부분의 사례가 주생활에 맞게 변화된 상태이며, 전용된 경우에는 일식주택의 특징을 찾아볼 수 없을 정도로 상당부분 변화가 이루어진 것으로 확인되었다. 하지만 몇몇 사례의 경우, 일식주택의 특징적인 요소를 전체적 혹은 부분적으로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군산 구도심 근대주거건축물을 둘러싼 도시적 상황과 분석결과를 토대로 군산 구도심 근대주거건축물의 보존 및 활용방향을 고찰한 결과, 근대건축물의 보존 및 활용을 위한 구체적 가이드라인 및 제도 마련, 업종 다양화 및 부분보존을 통한 상업시설로의 창의적 활용, 관련 계획 및 사업과의 연계방안 마련 등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지역 정체성 회복을 위해 잔존하는 일식주택을 보존·활용하는 일은 정책적 지원과 제도적 장치 마련이 뒷받침되어야 하지만 그 이전에 대상에 대한 현황파악이 선행되어야만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결과는 멸실되지 않고 여전히 도시에 존재는 대상으로써 역사적 맥락을 지니고 있는 비지정 근대주거건축물에 대한 가치를 재발견할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함과 동시에 보존 및 활용방안에 대해 논의할 수 있는 단초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아볼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군산시에 잔존하는 근대주거건축물에 대한 전반적인 조사·분석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되며, 나아가 근대주거건축물의 공간별 보존 및 활용실태를 비교하여 조사·분석이 이루어진다면 구체적인 활용방안을 마련하는데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modern housing architecture in the old city center in Gunsan reflects local historical context of the Japanese Occupation Period, and thus has been depreciated as enemy’s property(敵産) since the national liberation. Recently, the modern housing architecture has been perceived as part of living space and as modern cultural legacy to be conserved. Yet, as a matter of fact, most of the modern housing architecture is at the risk of destruction, which issue cannot be overlooked. The present study focused on the issue of the modern housing architecture around the old city center radically declining. To be specific,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tatus, conservation and utilization of the modern housing architecture based on housing types and analyzed representative cases of conservation and utilization. Ultimately, the present study suggested clues for discussion on how to conserve and utilize the modern housing architecture in the old city center in Gunsan. To sum up, the present study found the following. First, the modern housing architecture studied here consisted largely of Japanese style and Japanese-Western style houses. Except one case, all the other cases were Japanese housing style. Second, the modern housing architecture in the old city center was found concentrated along the gridiron roads with 3 types of distribution such as horizontal, continuous vertical and stand-alone types. Third, as for current status of utilization, exclusive residential housing(21.8%) accounted for the highest percentage, with relatively high percentage of empty houses. The types of businesses using the modern housing architecture for commercial purposes included food and beverages and entertainment establishments. Fourth, in terms of the extent of changes in external appearance for use and the status of distribution, combined residential housing and current empty houses were found most different from their original forms. The cases of housing ‘transformed close to original forms’ were found concentrated in Shinheung-dong. Fifth, the analysis of conservation and utilization of the modern housing architecture found that most of the cases used for residential space had changed for the purpose of dwelling, and that exclusive residential cases had undergone significant changes to the extent that the characteristics of Japanese housing style was hard to find. However, in some cases, all or part of the characteristic Japanese housing components remained. Finally,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and urban conditions surrounding the modern housing architecture in the old city center in Gunsan, future directions to conserve and utilize the studied architecture were considered, so as to develop and suggest specific guidelines and policies for the conservation and utilization of the modern housing architecture, diversification of business types, creative utilization as commercial establishments via partial conservation, and relevant plans and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actical businesses. For the recovery of local identity, conservation and utilization of the remaining Japanese housing need policy supports and systematic approaches, but analysis of current status of the target housing must be preceded. Hence, the present study is meaningful on the ground that it provided a chance to rediscover the value of the non-designated modern housing architecture assuming historical context and existing in the city without destruction and that it offered some clues for discussion regarding conservation and utilization. It seems necessary to investigate and analyze overall modern housing architecture remaining in Gunsan, drawing on the findings here. Moreover, further studies and comparative analyses of spatial conservation and utilization of the modern housing architecture would lead to useful data for developing specific ways of its utiliz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