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백화점 CRM의 활용방안과 고객 마케팅 기대효과에 대한 상관 관계 연구 : 특히 백화점 고객중심으로

        이주홍 高麗大學校 經營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7807

        새로운 고객 서비스에 관한 전략적 행동의 필요성 대두와 최근 유통시장의 환경 변화로 인하여 고객의 충성도가 떨어지고 있다. 이에 기업들은 고객유지와 관계의 중요성을 절실하게 인식하게 되었고, 1990년대 이후 고객관계 관리라는 CRM이 새로운 마케팅 패러다임으로 등장하였다. CRM이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음에도 유통업에 대한 특히 백화점 CRM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인 것 같다. CRM의 성공적 구축에 대한 일부 연구는 있지만 CRM의 효과적인 활용방안이 고객 만즉 기대효과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에 대한 연구는 극히 드문 것 같다·본 연구에서는 CRM활용방안이 고객의 반응을 유형화하여 고객 집단들의 특성과 그들이 만족하는 기대효과는 무엇인지를 밝히고, 그에 따른 백화점의 성공적인 전략과 마케팅을 제시하고자 한다. 2004년 5월28일부터 6월13일 동안 백화점을 정기적으로 이용하거나 백화점 이용하지 않는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성별, 연령별, 지역별, 특성을 고려하여 백화점 카드회원의 비율로 표본집단을 선정하여 설문지 조사를 하였으며,40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여 390부를 회수하였으나 14부는 측정 불가능 하여 그 중 376부의 설문지를 SPSS 1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각 변수들의 신뢰성 검증을 위하여 신뢰도 검증, 인구통계학적 변수를 기준으로 독립변수와 종속변수의 방향성과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연령별, 소득별, 지역별, 백화점을 이용하거나 이용하지 않는 고객 및 백화점 카드유무에 따른 집단별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어떤 특성을 가지고 있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도출된 요인들을 가지고 효과적으로 CRM을 활용하여 고객만족과 고객충성으로 연결시키는 마케팅 전략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판단되며, 백화점 CRM의 효과적인 활용방안이 고객들의 개별 욕구를 충족시키고 고객에게 필요한 서비스가 무엇인지를 알아서 차별적인 전략을 구사하여 기대효과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 백화점 식품관의 VMD 구성요소가 브랜드 이미지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정소진 연세대학교 생활환경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백화점 식품관에 특화된 VMD구성요소를 도출하고 브랜드 이미지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 분석하여 통합 마케팅적 관점에서 전략적이고 일괄적으로 관리되어야 할 VMD 구성요소 전략 전개시 이론적 근거와 마케팅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연구의 진행은 연구의 목적에 맞추어 전문가 심층면접과 직접기입법을 통한 설문조사로 진행되었다. 2013년 7월 19일부터 8월 20일까지 심층면접을 진행하였으며 면접결과와 선행연구를 토대로 일차적으로 VMD 구성요인 및 구성요소를 도출하였으며 8월 26일부터 9월 20일까지 백화점 식품관 이용고객을 대상으로 백화점 식품관내 조사와 인터넷 등의 설문조사를 통하여 실증적 연구를 실시하였다.총 311부의 설문지를 수거하였고 불성실한 응답의 설문을 제외한 288부(유효 응답률 92.6%)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1차 구성요소 도출시 23개 항목이었으나 요인 적재치가 낮은 항목 2개를 제외하고 21개의 항목을 요인분석 하여 기능성, 신뢰성, 조화성, 적합성, 매력성의 다섯 가지 요인을 도출하였다. 또한 각 항목에 대한 IPA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아래와 같다.첫째, 중요도와 만족도가 모두 높은 항목은 인테리어의 전체적 조화로움, 전체적 진열 연출 방식이 상품을 매력적으로 보이게 하는 것, 조명의 디자인과 밝기, 상품을 찾기 쉽게 정리된 진열상태, 종업원의 태도와 언행이 주는 신뢰감, 위생 및 안전에 대한 신뢰감 등이었다. 둘째, 중요도는 높되 만족도는 높지 않았던 항목은 쇼케이스의 연출이 매력적으로 보이는 것, 테이블 간 간격 및 좌석 간 충분한 간격, 충분한 통로의 폭이었고 셋째, 중요도와 만족도가 모두 낮은 항목은 패키지의 디자인과 품질, 카운터(캐셔)의 위치와 설계의 편리성, 퇴식구와 배식구의 위치와 설계의 편리성 등이었으며 넷째, 중요도는 낮되 만족도는 높은 구성요소로는 매장 색채의 전체적 조화로움, 음식과 그릇, 음식이 담긴 모양새 등과 브랜드 이미지의 조화로움, 음식모형을 통한 상품 정보제공 등이었다. 연구 결과 백화점 식품관을 이용하는 소비자는 위생과 안전에 대한 기대가 컸으며 전문가들이 백화점 식품관에 특화된 VMD 구성요소로 꼽았던 쇼케이스에 대해서는 중요하다고 생각하나 잘 수행되고 있지는 않다고 판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백화점 식품관의 특성상 좁은 공간에 많은 MD를 넣고자 하는 것이 충분한 공간을 필요로 하는 고객들의 필요와는 상충되는 것으로 나타났다.가설 검증을 위한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조화성, 매력성, 신뢰성은 브랜드 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능성 및 적합성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화성과 신뢰성은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능성, 적합성, 매력성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드러났고 매력성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요소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에 있어서는 브랜드 이미지가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백화점 식품관이 백화점 전체의 브랜드 이미지에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는 응답자의 70.8%가 영향을 미치거나 매우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한다고 답하였고 백화점 식품관이 백화점을 재방문하도록 하는데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는 68%의 응답자가 ‘그렇다’ 또는 ‘매우 그렇다’고 답변하였다. 고객들은 백화점 식품관과 백화점 자체를 대단히 밀접하게 여기고 있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이상의 결과를 통해, 백화점 식품관을 백화점의 중요 구성요소로 보고 통합적 마케팅적 관점에서 VMD 구성요소 또한 일괄적이고 통일되게 관리, 구성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조화성과 신뢰성 측면에서는 그 중요도를 높이 보고 VMD 전략 전개시 반영하여야 할 것이다.

      • 백화점 매출액에 영향을 미치는 입지요인에 관한 연구

        박재욱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807

        부동산 개발에 있어서 입지요인이 미치는 영향은 그 어떠한 요인보다도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개개의 부동산에는 부동산 고유의 적합한 위치가 있고, 적합한 위치에서 개발 된 시설이 주변 환경과의 유기적 결합을 통해 최고의 가치를 발휘하게 만드는 것이 최상의 부동산 개발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부동산 개발에 있어서 최적의 입지를 찾고 또한 주변입지에 어울리는 최적의 시설을 찾는 것은 개발의 시작 단계에서 관리·운영단계에 이르러서 까지 그 어떤 요인보다도 중요하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1930년 신세계 백화점의 전신인 미스코시 백화점 경성점이 첫 문을 열면서 시작 된 국내 백화점은 2009년 현재에 전국적으로 총 83개의 백화점이 영업 중이며, 2010년 현재 국내 백화점의 총 매출액은 약 24조원에 달하고 있으며, 이는 2010년 국내 GDP의 2%규모이다. 본 연구는 수도권에 위치한 A,B,C백화점 전 지점의 2010년 매출액과 입지요인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백화점 매출액에 영향을 미치는 입지요인은 인구요인, 접근성, 경쟁요인, 백화점 내부요인에 관한 세부 변수를 설정하였다. 그리고 매출액과 입지관련 변수들이 상관관계를 분석해 보았다. 인구요인으로는 세대수, 경제요인으로는 상권 내 소득수준, 경쟁요인으로는 동일상권 내 동종업종경쟁점수 접근성으로는 백화점 반경 500m내 지하철 유무와 접면 도록폭m 백화점 내부요인으로는 백화점 반경 영업면적, 주차대수, 영화관 연결여부, 전체 테넌트수, 명품매장수 등을 변수로 선정하여 분석을 하였다. 분석결과 백화점 반경 500m내 지하철유무와 도로폭 영업면적과 주차대수 명품매장수가 유의한 것으로 분석이 되었다. 연구 과정에서 모든 백화점에 하나의 기준의 상권 범위를 선정하여 백화점의 특성을 분석한 점이나 좀 더 세분화된 매출액 자료와 백화점 고객 분포 등 연구의 설명력을 높여줄 수 있는 자료 확보가 불가능하여 일부 백화점 내부요인 변수들을 배제할 수밖에 없었다. 따라서 차후에 이루어지는 연구에서는 이러한 변수들을 보강하여 좀 더 의미 있는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바란다. Locational factors in developing Real Estate are more important things rather than any other factors. Each Real Estate has its own proper location and it is defined that the most idle development of Real Estate is that Facilities at a suitable location has been developed with its surrounding environment seamlessly deliver the best value through a combination Thus, in the development of real estate, it is defined that finding the best position and the facilities becoming surrounding location would be most important thing in the first stage of development as far as operation and management stage. Until the 1930, Miscosi, Shinsegae Department Store's predecessor, have opened, there are 83 department stores have been operated in 2009. 2010 total sales of the domestic department store reaches approximately 24 trillion, and this country in 2010 is estimated at 2% of GDP. This study verifies a correlation between 2010 total sales and locational factors by observing A,B,C department located in Seoul's metropolitan. The population factors, accessibility, and competitive factors, internal factors are set as detail factors affecting the sales of department store. The analysed variables are as below. - Population factor is the number of households. - Competitive factor is the number of competitors within the same field and business district. - Accessibility factors are 500m radius of the presence in the subways and faced width of road. - Internal factors are Department store sales area radius, parking lot, connected or not a movie theater, full teneonteusu, luxury sheets longevity As a analysis, 500m radius of connected subways, parking availability, width of road and the number of luxury stores are a significant. Internal factors are excluded because the resource in every department of the commercial range of selection criteria by pointing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department stores, more details of sales figures and customer distribution, which can enhance the explanatory power, can not be secured. Thus, it is strongly desired that more meaningful studies are started with factors described above.

      • 고급 백화점 명품관 의류매장 DISPLAY에 관한 소비자 선호도 분석

        이예리 건국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판매촉진 수단으로서의 고급 백화점 명품관 의류매장 디스플레이에 관한 소비자의 선호도와의 관계를 규명하여, 효율적인 촉진전략 수립에 기초를 제공하고 소비자들에게는 쇼핑환경의 만족을 주는데 그 목적이 있다. 지금까지 제시된 의류매장 디스플레이 연구는 시각적인 면만 강조하거나 소비자의 관심도 측정에만 그치고 있다 디스플레이 이미지에 대한 정확한 측정과 명품관 의류매장 디스플레이에 대한 소비자의 선호도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아 마케팅 담당자나 머천다이저는 효율적인 매장 환경을 계획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수입의류 경우 수입 본사에 의존하는 실정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출발하여 본 연구에서는 고급 백화점 명품관 의류매장 디스플레이 이미지를 두가지 특성에 의해 제시한 변수를 채택하고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디스플레이 요인을 분석하여 매장내 판매촉진수단으로서의 명품관 의류매장 디스플레이를 평가하였다 이미지 측정의 특성은 도구적특성과 방법적 특성이 기준이 되었고, 명품관의 소비자 특성과 관련지어 환경적요인과 의복요인 구성요소 선호도등에 의한 매장 선호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수집은 고급 백화점 명품관을 쇼핑하는 소비자 20-30대 여성 49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고급 백화점 명품관 소비자의 특성은 24-27세의 대졸인 미혼여성으로 한달 의복지출비는 30만원이상이 제일 높았고, 가구내 한달 평균 수입은 500만원 이상이었으며, 한주에 1번 꼴로 백화점을 이용하는 직장인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고급 백화점 명품관 의류매장 디스플레이의 구성요소인 행거진열 판매대진열, 단일품목진열, 전품목진열에 대한 이미지를 측정하여 분석한 결과 안정 요인이 가장 설명량이 높았다. 셋째, 소비자 특성에 따른 매장선호도에 대한 차이점을 분석한 결과 롯데 백화점의 경우 인구통계요인과 구매행동 변수에서 유의한 차를 보이지 않았으며, 갤러리아 백화점 경우 연령과 결혼여부에는 대조를 보이지 않았고, 구매행동 변수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여주었다. 현대 백화점의 경우 모든 변수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넷째, 소비자 특성에 따른 디스플레이 구성요소에 대한 선호도의 차이점 중 환경적 요소에 관한 분석은 조명에 관한 요인은 대조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행거선호, 고르기 쉬움, 주차장, 휴식공간, 새로운 스타일 선호 요소등을 분석한 결과 대조적인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계절을 나타낸 디스플레이, 제품을 부각시킨 디스플레이, 이미지 강조 디스플레이, 독특한 느낌을 가질 수 있는 디스플레이, 옷입는 법을 보여주는 디스플레이 요소에 관한 선호도를 분석한 결과 인구통계변인에서는 유의한 차가 나지 않았다. 이것은 매장 판매촉진수단으로서의 고급 백화점 명품관 의류매장 디스플레이에 관한 소비자의 선호도가 소비자들이 원하는 판매환경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해 주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consumer preference for designer-brand boutique display in high-class department stores in a bid to determine its relationship with sales promotion, help establish more efficient sales promotion strategies and provide consumers with more satisfactory shopping environment. Studies on clothing shop display have just focused on visual effect or measuring consumer attention. Marketers and merchandisers have difficulties in preparing better shop environment, and those who deal in imported apparels rely on their exporters abroad, because of the lack of research on display image or consumer preference for designer-brand boutique display. It's attempted, therefore, in this study to measure the display image of designer-brand boutique in high-class department stores in terms of instrumental and methodological characteristics, analyze consumer preference for display components, and assess the role of display as a means of sales promotion. Specifically, their preference for shop environ- ment and display components was measured in consideration of consumer characteristic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below: First, the unmarried female college graduates aged 24 to 27 were the major consumers who used designer-brand boutiques in high-class department stores. The most common monthly expenditure for clothing was 110 to 220 thousand won. The monthly mean household income was 5 million won or more, and many of the office workers visited department stores about once a week. Second, their impression about hanger display, rack display, single-item display and total-item display was measured, and it's found that stability factor was the best predictor. Third,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whether the consumer characteristics affected their shop preference, demographic variables and buying behavior didn't make any significant difference to their shop preference in L Department Store. In G Department Store, age and marital status produced no significant difference, and buying behavior mad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H Department Store, every variable generated a significant difference. Fourth, concerning the relationship of consumer characteristics to their preference for environmental aspect of display, lighting didn't give any significant impact on their preference, but their preference was under the significance influence of hanger, convenience of selection, parking space, resting space and new style. But the demographic variables made no significant difference to their preference for seasonal display, product-highlighting display, image- oriented display, unique display or display suggesting how to dress. The above-mentioned findings show that designer-brand boutique display in high-class department stores could function as a means of sales promotion, and that identifying consumer preference for that could contribute to creating consumer- friendly sales environment.

      • 백화점·대형마트 문화센터 평생교육 담당자의 자기주도학습능력이 조직몰입도에 미치는 영향 : 조직학습준비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이혜정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ommitment level which is representing variables of organization effectiveness and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s that affect the process of organizational learning readiness from department store⋅hypermarket cultural center of lifelong education practitioner’s effect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level. Specifically, First, measure individual's level of awareness to know about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rganizational learning readines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level of lifetime education practitioner’s at department store⋅hypermarket cultural center. Seco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department store⋅hypermarket cultural center practitioner’s control effectiveness of organizational learning readiness from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relationship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level through the evalu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rganizational learning readines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level of continuing education practitioner’s at department store⋅hypermarket cultural center. Based on this analysis, will introduce suggestion to improve organization learning level and direct learning ability of lifetime education staff also through this will suggest that can improve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e target for this study was 325 practitioners in cultural center of department store⋅hypermarket and 321 final data excluding 4 insincere and missing value ones, were used for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nalysis results of perceived level about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for department store⋅hypermarket cultural center practitioner’s showed in order of learning resource utilization⋅management, learning environment, self-concept, course management, learning motivation, learning outcomes evaluation and learning activities persistence. And the result of examining each group, permanent employee group indicated higher recognition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to use and manage learning outcomes assesment, persistence learning activities and learning resources than contract worker group. Thus, department store⋅hypermarket cultural center practitioner’s should improve self learning ability through self directed learning activities and should make evaluation system that can recognize and reward performance which will help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organization. Also to improve contract employee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should provide back up of support, working conditions, composition, and the expansion of educational opportunities, etc for self-development to activate the elf-directed learning skills. Second, as a analysis results of department store⋅hypermarket cultural center’s perceived level of organizational learning readiness showed in order of team structure, organizational cultur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assessment, leadership, systems and structures. Therefore, to promote the enabling organizational learning from department store⋅hypermarket cultural center manager should support continuing education officer of voluntary learning and encouragement to try new and challenge. Will need leadership to support long-term changes, avoided the organization's existing formalistic organizational culture, and will require organization at the level of care and attention so the organization members can participate general educational activities and tasks perform to become a participatory and innovative organizational culture. Third, as a analysis result of perceived level about organizational commitment level for department store⋅hypermarket cultural center practitioner’s showed in order of affective commitment, normative commitment, and continuance commitment. The result of examining each group, long employment years of field indicated higher recognition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level in affective commitment and normative commitment than with shorter years employment. Therefore, to improve department store⋅hypermarket cultural center practition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level, should conduct variety access of core value education, develope appropriate organization program and have a reward system so members can have some attachment at organization to think as a family member and should consider organization’s problem just like theirs to be able to match the value of the individual and organization. Forth, as a result of correlation betwee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rganizational learning readines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level for department store⋅hypermarket cultural center practitioner’s, between the two positive correlation was appeared. If organizational learning readiness improve than organization member’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lso can be improved. In other words, if the organization has supportive and participative culture to share and communicate knowledge with others and has a supportive leader to create learning conditions, like those factors will facilitate organizational learning to improv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Therefore, department store⋅hypermarket cultural center should improve the organizational culture to create environment of ability to exert self-directed learning then lifetime practitioner’s professionalism and competency development department store⋅hypermarket cultural center of learning organization building will also have a positive effect. For the last, as a result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s of organizational learning readiness at the relationship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level affected by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research model of freedom model was dominant. From the group with a high degree of organizational learning readiness showed greater than the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level rather than with low level of organizational learning readiness group was confirmed. From this research, comprehensively investigated on relationship betwee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rganizational learning readines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level when the previous studies have been examined individually only. And can give a meaningful that through above proved moderating effects on organizational learning readiness from the effect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in organizational commitment level. In addition, according to this result, should enhance the organization learning readiness of the department store⋅hypermarket cultural center itself to reinforce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department store⋅hypermarket lifetime representative so in order to enhance the contribution to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이 연구는 백화점⋅대형마트 문화센터 평생교육 담당자의 자기주도학습능력과 조직학습준비도 및 조직효과성의 대표변인인 조직몰입도의 관계를 규명하고, 더불어 평생교육 담당자의 자기주도학습능력이 조직몰입도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조직학습준비도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첫째, 백화점⋅대형마트 문화센터 평생교육 담당자의 자기주도학습능력과 조직학습준비도 및 조직몰입도의 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개인의 인식수준을 측정하고, 둘째, 백화점⋅대형마트 문화센터 평생교육 담당자의 자기주도학습능력과 조직학습준비도 및 조직몰입도의 관계를 알아보고, 이를 통해 백화점⋅대형마트 문화센터 평생교육 담당자의 자기주도학습능력과 조직몰입도의 관계에서 조직학습준비도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데 이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 분석의 결과를 토대로 백화점⋅대형마트 문화센터의 조직학습 수준과 평생교육담당자의 자기주도학습능력을 향상 시키고 이를 통해 조직효과성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제언하고자 하였다. 이상의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백화점⋅대형마트 문화센터 평생교육 담당자 45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325부를 회수하고 이 중 321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유효 자료율: 71%). 설문지는 자기주도학습능력을 측정하는 문항, 조직학습준비도를 측정하는 문항, 조직몰입도를 측정하는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이와 같은 분석절차를 거쳐 얻은 연구결과 및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백화점⋅대형마트 문화센터 평생교육 담당자의 자기주도학습능력에 대한 인식수준을 분석한 결과, 학습자원 이용⋅관리, 학습환경조성, 자아개념, 학습과정관리, 학습동기, 학습결과평가, 학습활동지속성 순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집단별로 살펴본 결과, 정규직 집단이 계약직 집단보다 학습결과평가와, 학습활동지속성, 학습자원 이용⋅관리에 있어서의 자기주도학습능력을 더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따라서 백화점⋅대형마트 문화센터 평생교육 담당자들이 자기주도학습 활동을 통하여 스스로 학습 능력을 높이고 조직의 효과성 제고에 도움이 되는 성과를 인정하고 보상해주는 평가제도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계약직 구성원들의 자기주도학습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자기개발을 할 수 있는 지원과 근무 여건 조성 및 교육 기회의 확대 등 계약직 구성원들의 자기주도학습 활성화를 위한 지원이 필요하다. 둘째, 백화점⋅대형마트 문화센터의 조직학습준비도에 대한 인식수준을 분석한 결과, 팀제, 조직문화, 정보와 소통, 평가, 리더십, 체계와 구조 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백화점⋅대형마트 문화센터의 조직학습 활성화를 도모하기 위해서는 문화센터 관리자나 상사들이 평생교육 담당자들의 자발적 학습을 지원하고 새로운 시도와 도전을 격려하며, 체계적이고 장기적인 변화를 지원하는 리더십이 필요하다. 또한 조직의 관료적 조직문화는 지양하고, 평생교육 담당자들이 일상적인 교육활동과 업무 수행과정에서 참여적이고 혁신적인 조직문화가 조성될 수 있도록 조직차원에서의 배려와 관심이 필요하다. 셋째, 백화점⋅대형마트 문화센터 평생교육 담당자의 조직몰입도에 대한 인식수준을 분석한 결과, 정서적 몰입, 규범적 몰입, 지속적 몰입 순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집단별로 살펴본 결과, 분야재직년수가 긴 구성원이 분야재직년수가 짧은 구성원들보다 정서적 몰입과 규범적 몰입에 있어서의 조직몰입도를 더 높게 인식했다. 따라서 백화점⋅대형마트 문화센터 평생교육 담당자의 조직몰입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구성원들이 조직에 대한 애착을 가지고 가족의 일원이라고 생각하며, 조직의 문제를 자신의 문제처럼 생각하고 개인의 가치와 조직의 가치를 일치시킬 수 있도록 핵심가치 교육 등 적절한 조직개발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보상체계를 갖추는 등의 다양한 접근이 실행되어야 한다. 넷째, 백화점⋅대형마트 문화센터 평생교육 담당자의 자기주도학습능력과 조직학습준비도 및 조직몰입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자기주도학습능력과 조직학습준비도, 조직몰입도 간에는 정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조직학습준비도가 높아지면 조직 구성원의 자기주도학습능력이 높아 질수 있는 것이다. 즉, 조직에서 협력적이고 참여적인 조직 문화와 타인과의 지식을 공유하고 소통하며, 학습 여건을 조성해주는 리더의 역할 등, 조직학습을 촉진 시키는 요인들이 구성원의 자기주도학습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말해준다. 따라서 백화점⋅대형마트 문화센터는 조직문화를 개선하여 자기주도학습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 준다면 평생교육 담당자의 전문성 및 역량 개발과 백화점⋅대형마트 문화센터의 학습조직 구축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마지막으로 백화점⋅대형마트 문화센터 평생교육 담당자의 자기주도학습능력이 조직몰입도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서 조직학습준비도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연구모형인 자유모형이 우세했고, 조직학습준비도가 높은 집단에서 자기주도학습능력이 조직몰입도에 미치는 영향은 조직학습준비도가 낮은 집단에서 자기주도학습능력이 조직몰입도에 미치는 영향보다 크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에서 개별적으로만 고찰해 오던 자기주도학습능력, 조직학습준비도, 조직몰입도의 관계를 종합적으로 고찰하였고, 이를 통해 자기주도학습능력이 조직몰입도에 미치는 영향과 이 관계에서 조직학습준비도의 조절효과까지 입증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아울러 이 결과에 따라 백화점⋅대형마트 문화센터 평생교육 담당자의 자기주도학습능력을 강화하여 조직효과성 기여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백화점⋅대형마트 문화센터 자체의 조직학습준비도를 제고하여야 할 것이다.

      • 백화점 고객의 점포선택 영향요인 분석 : 수원시 백화점을 중심으로

        전재풍 단국대학교 부동산·건설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807

        1996년 유통시장의 완전개방을 시작으로 백화점을 둘러싸고 있는 일련의 사회·경제적 여건은 최근 급변하고 있다. 소비자들의 행동양식과 의식 또한 급속하게 변화하고 있어 백화점업계는 이에 대응하고자 종래의 영업 관행에서 벗어나 대대적인 조직 개편과 새로운 영업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새로운 전략의 일환으로 백화점들은 고객이 원하는 쾌적한 환경, 고급스런 분위기, 매장 내에 문화복합센터 기능의 수용 등 미래지향적인 다양한 특성을 수용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동일 도시권 내에서 다양한 상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현대적 판매시설과 소비자 편익시설이 설치된 백화점들이 차별화된 속성을 보유할 경우 백화점 고객이 점포를 선택하는 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고자 연구의 공간적 범위를 수원시로 한정하였다. 수원을 사례지역으로 선정한 이유는 수원시가 인구 110만 명을 넘고, 경기도에서 가장 큰 도시이자, 도청소재지이면서도 전국 지점망 백화점은 입점해 있지만 유명3대 백화점이 입점하지 않아 기존 백화점들이 최근 다양한 형태의 변화를 추진하고 있어 연구목적 달성에 적합한 것으로 판단하였기 때문이다. 수원시는 근교의 신도시와 맞물려 3대 백화점의 신규점포 유망예정지이며, 미래 백화점 소비층이 분포되어 있어 연구결과의 활용도 가능하기 때문이다. 고객의 점포선택 영향요인 분석을 위해 2010년 5월 중 설문조사를 시행하였으며, 설문자료의 분석결과를 토대로 다음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수원시 백화점 고객의 이용행태는 이용의 빈도, 소비금액, 주 목적, 구입물건, 교통수단, 출발지, 소요 체류시간 등에서 백화점마다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가 발생하는 원인은 설문조사 결과 주변 상권, 역세권, 주거지, 학교 등을 배후지로 특정 백화점이 입지하는 지역 간의 차이에서 비롯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백화점을 이용하는 고객이 백화점 선택 시 고려하는 요인 15개의 변수들 간에 내재하고 있는 관련성 및 공통요인을 추출한 결과 부대․매장시설, 상품, 상권, 접근성 등 4개의 요인으로 요약할 수 있었다. 요인분석의 결과 성분행렬값이 0.5를 넘고, 또한 추출된 4개 항목의 신뢰도도 0.6이상으로 나타나 요인변수 간의 신뢰도도 유의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셋째, 수원지역 백화점 고객이 매장을 선택할 경우 부대․매장시설별 요인에서는 갤러리아 백화점과 애경 백화점 고객들의 선호도가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고, 그랜드 백화점과 남문백화점 고객들은 선호도 차이가 확연한 서로 다른 집단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상품요인에 있어서는 갤러리아 백화점, 남문 백화점, 애경 백화점 고객에 비해 그랜드 백화점 고객들의 평균이 훨씬 높아 서로 다른 집단으로 분류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록 본 연구가 하나의 사례지역 내에서 백화점의 특성별로 이용 고객집단에 차이가 있음을 밝힘으로써 연구결과의 일반화하기는 어렵다. 그러나 같은 도시권 내에서 백화점들이 입지와 고객의 이용 특성에 따라 선호도에 차이가 있으며, 이러한 사실은 향후 수원 근교지역의 신도시에 백화점을 비롯한 대형 상업시설을 개발할 경우 미래고객의 점포 선택 영향요인을 예측하는 데 유용하게 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기존 백화점의 매장시설 개선 계획 수립 시 좀더 유용한 정보로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Recently, department stores are expected to be not only places for purchansing merchandises but also spaces for cultural activities and amusement. The managers of department stores want to know exactly what are the locational attributes of department store affecting the consumers choice of a specific department store in a city. Numerous strategies and evaluations have been conducted to identify these attributes so far without much success.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1)to survey the preference of customers for the building materials and external environment of department stores; (2)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the selection of department stores; (3) to conduct ANOVA to group department stores by type. Questionnaire survey and statistical analysis have been conducted to accomplish the study purposes. The thesis consists of 5 chapters. In chapter 1, the background, purposes, scope and methods of this study were described. In chapter 2, the definition and development of department stores were specified and the theory of customer behaviors and other prior studies were reviewed. In chapter 3, the operation of department stores was summarized and the framework for analysis was established. In chapter 4, customers’ preference for department stores was analyzed to identify the choice attribut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oice attributes in each group and the factors affecting the grouping were identified. In chapter 5,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presented as well as the significance, limits, and follow-ups of this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customers’ behavioral characteristics in each group of department stores were different in frequency of visit, spending, primary purpose, purchase, transportation, departure location, and length of visit. This result would be resulted from the difference in geographical conditions of the groups. Second, five categories of factors, i.e. products, incidental facilities, market areas, storeroom facilities, and accessibility, were obtained from fifteen variables of the department store choice by relationship and common features. As the factor matrix exceeded 0.5, it could be said that those variables represent each factor. In addition, the reliability of the fire factors exceeded 0.6, showing high reliability of the factors. Third, among the fifteen variables on department store choice,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incidental facilities between Galleria Store and Grand Store; in the storeroom facilities between Aekyung Store and Nammon Store; in the accessibility between Galleria, Nammon, Aekyung Store and Grand Store. In the Levene statistics, the significance probability exceeded 0.05. The results were also obtained in the post hoc test, Scheffe statistics. In summary, the results of this study would be very helpful for defin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customers’ choice attributes in the planning of a department store, and would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the evaluation and improvement of existing facilities.

      • 백화점 고객신뢰와 재구매의도의 영향요인 : 중국백화점의 의류매장을 중심으로

        우비비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807

        As the setup of WTO was Inaugurated and circulation market fully opened, diverse distribution industries appeared, accelerating further competition among distributors. In Korea, well before the opening of the circulation market, foreign distrigbutors had been carrying on negative management activities, and currently we see the positive form of joint venture or distributors of direct investment advanced into the country. The active advance into Korean market by these domestic and foreign distributors is chiefly composed of discount enterprises. Such diversifying environment of circulation is forcing department stores to change their management strategy drastically. In this regard, in the circulation market in China, accelerated advance of multinational distributors has expanded the scale of domestic market, brining on fierce competition among companies. They are facing with a new momentum due to advance into China of foreign distributors such as Wal-Mart, Carrefour, E-Mart, etc. and rapid change in environment such as its WTO accession. As a result, distributors and devising new forms of business, expansion strategy like pushing into the overseas market and diverse strategic measures like customer satisfaction management. Trust can be defined as an essential componet for successful relationship. Especially, whether to succeed or not in the field of service is considered dependent on the management of trust because the customer purchases service before he experiences it. In the environment of keen competiton, distributors in China have to achieve positive results through improving customer trust in order to gain a competitive advantage against foreign companies. Accordingly, this study has the purpose of investigating and analyzing the factors of affecting customer trust and repurchase intention for departments. Analysis will be preceded by inquring into the actual status and development of department stores and the meaning of customer trust. This will be followed by positive analysis, based on forgoing studies, on what effect such factors as salespersons, procucts, characteristics of departments, etc. have on the customer trust for department stores, and then on the customer's intnetion of repurchase. The survey of this study was made on the subject of Chinese students under education and workers in a metropolitan region of Korea. To evaluat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measuring items, Cronbach's and EFA were performed. To present the resuly of hypothetical test, regression analysis was carried out using SPSS for Windows 18.0 statistical package. According to the resuly of this study, all factors but the attribute of attaching importance to products were turned out to have significant effect on the customer trust of a department store. Thus, if the expertise and words and deeds of the department store's salesperson give confidence to customers, they are expected to remain as long-lasitng customers. Besides, the manager should provide more information on the product quality and price rather than attaching importance to particular products, using the method of winning customer loyalty by setting the price for it for distribution industry marketing. Besides, atmosphere of a department store as well as its well-furnisher physical facilities gives the feeling of satisfaction to customers, and by making customers aware of the department store's honesty, public popularity, etc. it can possibyl enable them to select this company in their thinking of a product to purchase, which will likely, resuly in faithful customers. Lastly, above all, departments in China need to establish proper strategies to maintain the business relations for customer trust. WTO체결로 인하여 유통시장이 완전 개방화됨에 따라 다양한 유통업이 출현하고 유통업체간의 경쟁이 더욱 심화되기에 이르렀다. 한국에서는 유통시장 개방 전에 이미 외국유통업체가 소극적이나마 활동을 하고 있으며 현재는 적극적으로 독자투자 또는 합자투자로 많은 유통업체가 진출해 있는 실정이다. 이들의 한국 시장진출은 주로 할인업체를 위주로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백화점의 경우 다변화되는 유통환경으로 인해 경영전략을 대폭 수정하지 않으면 안 되는 시기에 있다. 중국의 유통시장은 다국적 유통기업들의 진출이 가속화됨으로써 내수시장의 규모도 확대되어 기업들 간의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는 상태이다. 월마트 , 까르푸, E-mart와 같은 외국유통업체의 중국진출 및 WTO 가입 등의 급격한 환경변화로 인해 새로운 전환기를 맞고 있다. 이 결과 유통업체들은 신업태 및 해외시장진출과 같은 시장 확장전략, 고객만족경영 등과 같은 다양한 전략적 수단을 강구하고 있다. 신뢰는 성공적인 관계를 위한 필수적인 구성요소 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서비스 분야에서 성공여부는 신뢰의 관리에 달려 있다고 보고 있다. 이는 신뢰를 가지고 있는 고객은 서비스를 경험하기 전에 제품을 구매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치열한 경쟁 환경 속에서 중국의 유통업체들이 외국기업과의 경쟁우위를 갖기 위해서는 고객신뢰향상을 통한 긍정적인 성과를 이루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백화점고객신뢰와 재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어떤지를 조사하고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분석하기 위해서 우선, 신뢰와 재구매의도의 의미를 살펴보고, 다음으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판매원, 제품, 매장특성 등 요인이 백화점고객신뢰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고, 이것이 고객의 재구매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설문은 한국 수도권 지역의 교육을 받고 있는 중국유학생들과 중국직장인들을 주요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측정항목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평가하기 위해 크론바호 알파값과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가설검정결과를 제시하기 위하여 SPSS for window 18.0 통계 패키지를 사용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제품중시속성을 제외한 나머지 요인이 모두 백화점의 고객신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고객신뢰가 재 구매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백화점 판매원의 전문지식, 언행이 고객들한테 믿음이 지속되면 이들은 곧 장기지속 고객으로 남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운영자가 제품중시보다는 제품품질과 가격에 대한 더 많은 정보를 제공하고 그에 맞는 가격설정으로 고객의 충성도를 얻는 방법을 유통업 마케팅에 이용해야 한다. 그리고 백화점매장의 분위기가 편안하고 물리적 시설이 잘 구비되어 있다는 것은 고객들에게 만족감을 여겨지고 있고 또한 백화점의 정직성, 유명도 등을 고객인 인식함으로써 고객이 구매하고자 하는 제품을 생각할 때 먼저 이 업체를 선택하고 충성고객으로 이어질 수 있다. 마지막에 무엇보다 중국백화점은 고객신뢰를 위한 거래관계의 유지에 대해 적당한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

      • 백화점카드소지자의 의복구매행동연구

        신수아 숙명여자대학교 1998 국내석사

        RANK : 247807

        This study is designed to classify consumer groups based on their perception toward department store cards and the behavior they exhibit during the purchase of clothing. This classification is based on the study of factors taken into consideration during shopping and disparities in credit card usage. The specific goals of this study are the following: First, it is to classify female consumers owver age 20 into "shopping orientation" types and "clothing purchase behavior" types according to their perception towards department store credit card usage. Second, it is to discover the degree of perceived utility of department store credit card in clothing purchases. Third, finally it is to assist a department store credit card market researcher establish a marketing strategy to best address non-umers' needs and wants in credit card purchases. The study's subject pool consisted of 482 female department store credit card holders who were over age 20 and resided in Seoul. The members of the subject pool were chosen through random sampling methods in fall 1997. The data-gathering method used was written questionnaire: the results were analyzed using statistical methods including frequency and percentage calculation, factor analysis, correlation, one-way ANOVA, Duncan test, LSD test, chisquare and T-test. The study methodology utilized and the results found were that: 1. The division of consumers into positive and negative groups based on factor analysis with the positive group found to have favorable attitudes towards department store credit card usage. 2. Classification of female consumers into three "shopping orientations": fashion purchasing, economic value purchasing, and convenience purchasing. The positive group(those with favoraggle attitudes towards department store credit card usage) were predominantly fashion purchasers, who were price-insenstive. The negative group(those with unfavorable attitudes towards department store credit cards were largely economic value and convenience purchasers, who valued low cst and convenience over "fashionability". The demugraphic variable revealed that single woman were more likely to be motivated by "fashionability" in their chice of clothing whereas married women were influenced strongly by economic considerations. 3. The three classes of "purchase behavior" used were impulse buying, planned buying and unplanned buying. The positive group, those who had favorable attitudes toward department store credit cards, made mostly impulse and unplanned purchases, while the negative group made largely planned purchase. Additionally, women in their twenties and fifties tended to be motivatied by ipulse, making impulse and unplanned purchases, while women n their thirties and forties usually made purchases according to preconceived plans. Income per month also made a large difference in the purchasing behavior of the consumers. 4. Research on department store credit card usage showed that the average purchase frequency of clothing was 3-4 times a year. Highly-educated, high-income, and unmarried consumers tended to use department store credit cards more frequently. Those in the positive group, due to their favorable attitudes towards department store credit cards, naturally used department store credit cards more than those in the negative group. The average amount of expeniture was \100,000~200,000. Another fact found was that female consumers in their twenties and fifties with a high level of income and who live in the Kangnam area of Seoul spend a great deal of money on clothing purchases, but prefered to pay on an installment basis. 본 논문은 백화점 카드소지자의 백화점 카드에 대한 인식을 기준으로 소비자집단을 분류하여 그에 따른 쇼핑성향과 의복구매행동과의 상관성을 규명하고 백화점 카드 사용행동의 차이를 밝혀 백화점 카드 소지자의 의복구매행동을 마케팅적 시각에서 접근, 분석하고자 한 연구이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 목적은 다음과 같다. 1. 백화점 카드를 소지한 20댇 이상 여성소비자의 백화점 카드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쇼핑성향유형과 의복구매행동유형을 분류한다. 2. 현재 보급되어 있는 백화점 카드가 의복구매히 얼마나 유용하게 이용되고 실제 신용구매에 어떻게 활용되는가를 알아본다. 3. 최종적으로 백화점 카드 마케팅 연구자나 자사카드관련 종사자에게 백화점 카드 소지자의 쇼핑성향 및 의복구매행동유형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하여 실무적으로 백화점 고객확보 및 매출 증대를 위한 판촉활동개발과 합리적인 마케팅 전략 수립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서울시에 거주하는 20대 이상의 여성 소비자중 백화점 카드 소지자 482명을 대상으로 설문지 조사를 통해 자료수집을 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빈도(Frequency), 백분율(Percentage), 요인분석(Facter Analysis), 상관분석(Correlation), 분산분석(oneway ANOVA), 신뢰도 검증(Duncan test, LSD-test), 카이자증법(Chi squre test), T검증(T-test)등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백화점 카드에 대한 인식을 기준으로 요인분석한 결과 편리성과 유익성, 불합리성, 과소비성과 비경제성으로 나타났으며 3개 요인의 요인접수를 바탕으로 긍정적 집단과 부정적 집단으로 분류하였고 긍정적집단이 카드사용에 호의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었다. 2. 쇼핑성향유형은 요인분석결과 유행추구 유형, 경제성추구 유형, 편의추구 유형으로 분류되었으며 소비자 집단별 쇼핑성향을 살펴보면, 긍정적 집단은 유행추구성향이 강하고 가격에 덜 민감한 반면, 부정적 집단은 경제성과 편리성을 중요하게 평가했다. 인구통계적 변인에 따라서는 연령대가 낮은 미혼 여성이 유형추구성향이 강하고 연령대가 높은 기혼 전업주부가 경제성 추구성향이 높게 나타났다. 3. 백화점 카드 소지자의 의복구매유형을 분석한 결과 충동구매, 계획구매, 계획적 충동구매로 분류되었고 그 결과 의복구매유형중 가장 중요하게 평가된 유형은 충동구매 유형이었다. 백화점 카드에 대해 긍정적 태도를 갖는 집단에서 충동구매와 계획적 충동구매 경향이 높았고 부정적 태도를 갖는 집단도 비계획구매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통계적 변인에 따라서는 20대와 50대 이상의 여성소비자의 경우, 미혼여성이거나 맞벌이를 하는 주부의 경우 충동구매성향이 높았고 계획구매성향은 30~40대에서 높았으며 월수입에 따라서는 150만원 이하와 450만원 이상의 여성소비자에게서 충동구매성향이 강하게 나타났다. 4. 백화점 카드 이용 현황 조사에서 의복을 구입하는 빈도는 1년에 3~4회 정도가 가장 많았고 7회 이상이라고 응답한 사람도 많았다. 인구통계적 변인에 따라서는 고학력일수록, 월수입이 높을수록 백화점 카드 사용횟수가 많았고 미혼여성의 사용횟수가 많았다. 집단간에는 긍정적 집단의 사용횟수가 부정적 집단보다 높았다. 월평균 이용금액은 10-20많원대가 가장 많았고 연령은 20대이거나 50대 이상인 경우와 월수입이 높고 강남에 거주하는 소비자의 이용금액이 높았다. 대금상환방법조사에서는 할부구매성향이 두드러지고 있었다.

      • 백화점 글로벌 경쟁전략에 관한 연구 : M백화점 미래성장 전략을 중심으로

        진창범 명지대학교 부동산·유통경영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807

        M department store has jumped on the bandwagon called a full open-door policy of distribution market, and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prosumer market since IMF crisis of 1997. Revenues of on-line market overtook those of department stores in 2010, resulting in the rise of on-line market as a new model for distribution industry. It has been quite questionable whether department stores, a representative of off-line distribution channel, could grow steadily in a domestic market in the future despite new systems and limitless competition.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take a new look at preceding researches about competitiveness of domestic department store in advance ; ‘Management system of department store’, ‘Private Brands of department stores in a long term’, and ‘Strategic alliances’ in a row. In this research, implications and strategic agendas on M department store’s sustainable future growth would be suggested by studying ‘Wheel of retailing’ of McNair, ‘Retail life cycle theory’ of Davidson, and ‘Competitive strategy’ of Michael Eugene Porter. On the basis of the strategic agendas, strategies of global distribution industry and global fashion industry, a new exit strategy for growth, would be deeply looked into as the competitive edge for M department store’s sustainable future growth. However, there should be still a need to study on the alternative strategies in more detail. 1996년 유통시장 전면개방과 함께 M백화점은 세계화의 물결에 편승하였고, IMF이후에 새로운 프로슈머시장을 주도하고 있다. 2010년에 백화점 매출을 on-line 시장이 추월하면서 새로운 유통업의 강자로 급부상했다. 앞으로 유통업계의 새로운 질서와 무한경쟁 속에서 off-line의 대명사인 국내백화점이 과연 국내시장에서 지속성장할 수 있을것인가가 화두였다. 따라서 국내유통산업의 대명사인 국내백화점 경쟁전략에 관한 몇 분의 선행연구를 통해서 “백화점 운영방식”, “백화점 PB의 장기적 관점”, “전략적제휴”를 중심으로 본 연구에 앞서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멕네어 의 소매수레바퀴이론과 데이비슨의 소매생명주기 이론, 마이클포터의 경쟁 전략 적 이론을 통해서 M백화점이 미래에도 지속성장하기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 전략과제를 제시해보았다. 이러한 전략과제를 기반으로 미래성장을 위한 사업전략을 재점검하고, 새로운 성장출구전략이 글로벌 유통 사업 전략 과 Global패션사업이 M백화점의 지속성장을 위한 경쟁우위전략이 된다는 점을 피력하고자 연구했으나, 보다 구체적인 대안이 부족함을 느껴 아쉬움이 남는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