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初等學校 美術科 未來 敎育課程 計劃에 관한 硏究

        고숙자 弘益大學校 大學院 2001 국내박사

        RANK : 248703

        미래는 상상과 예측의 세계라고 할 수 있다. 상상은 현실화되기도 하고 예측이 적중하기도 한다. 그러므로 인간능력의 가능성은 무한하고 경이적이라고 할 수 있다. 하나의 상상과 공상, SF 영화에나 등장했던 사건들이 현실로 드러나고 있다. 이러한 사실들로 미루어 볼 때 미래사회에는 어떠한 변화된 모습으로 다가와 긍정적으로 우리를 또 다른 경이로운 세계로 인도할 것인가? 부정적으로 지금까지 인간이 스스로 지배해 온 인류가 인간이 아닌 다른 매개체에 의해 지배당할 것인가? 이와 같이 미래에 어떤 일이 일어나고 어떠한 형태로 우리에게 다가올 것인지 예측하기 쉬운 것은 아니다. 하지만 전혀 불가능한 것이 아니라 미래 학자들이 주장한 내용들을 모색해 보면 가능하다고 볼 수 있다. 이렇게 예측된 것을 바탕으로 하여 미래의 사회는 어떠해야 하고 이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교육해야 할 것인가에 대한 연구는 교육자들의 몫이라고 할 수 있다. 이것은 미래사회의 특징 분석에 따른 미래 교육과정 연구의 필요성이 절실하게 요구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미래사회의 개념과 특징을 모색하고, 미래사회에서 요구되는 인간 특성을 도출해낸 다음 추구하는 인간 특성을 바탕으로 미래의 교육과 정 선정과 아울러 미래 미술 교육과정의 목표·내용·방법·평가 및 프로그램 연구에 목적을 두었다. 이에 근거하여 다음과 같은 내용을 연구하였다. 첫째, 미래의 개념과 학자들이 주장하는 미래사회의 개념을 모색하였다. 둘째, 미래사회의 특징인 과학기술의 발달, 경제체제의 변모, 문화의 다양성, 가치관의 위기, 지식기반사회 등을 중심으로 고찰해 보았다. 셋째, 미래사회가 갖는 특징을 바탕으로 미래사회가 추구하는 인간 특성인 다양성 속에서의 의사결정 능력, 창의적인 지식 창출 능력, 미래의 의식능력, 미래의 개인 대응 능력 등을 제시하였다. 넷째, 이러한 특징과 관련하여 미래 교육과정의 개념·목표·내용·방법·평가 등을 모색하였다. 다섯째, 미래사회에서 요구되는 교육과정과 관련하여 미래의 초등학교 미술과 교육과정의 목표·내용·방법·평가 및 프로그램을 제시하였다. 미래는 인간으로 하여금 현재는 존재하지 않지만 다가올 미지의 세계를 예측하게 하여, 유토피아를 건설할 수 있다는 가능성과 함께 희망을 부여한다. 미래사회는 궁극적으로 세계화, 정보화, 지식화, 다양성, 신비성, 일시성 등의 개념을 포함한다. 이것은 몇 가지 측면에서 다양한 특징을 갖는다. 먼저, 미래사회의 과학기술 발달의 정보 업무는 사고 작업이고, 인간의 사고력과 협동이 컴퓨터 기술에 의해 의미 있게 보조될 때 디지털 신경망은 완성된다. 결과적으로 정보를 통해 얻게 되는 통찰력과 상호 협력이 고급디지털 신경망에 의한 핵으로써 또 다른 과학기술의 발달을 전개할 것이다. 한편, 글로벌 정 보 경제에서는 자금의 표본이었던 금(gold)의 중요성은 후퇴되고 자금의 대부분이 컴퓨터상의 숫자 형태로 존재한다. 경제활동의 최상의 힘을 주는 도구가 토지, 노동, 자본 동에서 정보로 변환되고 이제는 그 정보를 활용할 수 있는 능력 즉, 인간 두뇌의 살아있는 지식이 이 체제를 좌우할 것이다. 세계 문화는 231개의 국가만큼이나 다양하고, 5500종의 민족과 6000종의 언어 만큼이나 복잡하다. 미래사회에서의 문화는 이처럼 피할 수 없는 다양성 속에서 때로는 충돌로 인하여 파괴되고, 때로는 흡수로 인하여 종속될 것이다. 따라서 미래의 다양한 문화를 어떤 시각에서 어떤 방향으로 발전시킬 것인가는 가치관의 중심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이러한 가치관은 시대에 따라 변화하고 장소에 따라 다르다. 상호신뢰성의 부재와 사이버 문화의 인식 부족에서 발생되는 가치관의 위기는 인간을 죽음으로 까지 몰아가고 있다. 그러므로 미래사회 속에서 살아가는 삶은 가치관과 셀 수 없는 관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에 상응하는 가치관 형성은 매우 중요하다. 더불어 미래의 지식기반사회 건설의 본질은 지식이고 그것은 결국 인간의 두뇌에서 창출될 수밖에 없다. 이러한 미래사회에서 우리가 필요로 하는 것은 '창의적인 지식' 이다. 이와 같이 다양한 특징을 갖는 미래사회에서 요구되는 인간 특성은, 다양성 속에서의 의사결정 능력, 창의적인 지식창출 능력, 미래사회의 의식능력, 개인대응 능력 등을 들 수 있다. 미래사회에서 추구되는 인간특성에 의한 교육과정의 목표는 다양화되어 가는 과잉 선택과 가치관의 혼란 속에서 올바른 선택을 할 수 있는 의사결정 능력을 함양하는 것이다. 또한 지식기반 사회로 특징지어지기 때문에 이에 대처할 수 있는 창의적인 지식창출 능력을 배양하며, 미래사회에 대처할 수 있는 의식능력, 즉 미래의 윤리의식·가치의식·공동체 의식 능력을 구비하고, 가속화·일시성·신비성·다양성 등에 대처할 수 있는 개인 대응능력을 함양하는 것이다. 미래 교육과정의 내용은 과잉 선택과 가치관의 혼란 속에서의 현명한 의사결정능력 함양과 창의적인 지식창출 능력 함양, 미래사회에 대처하는 의식능력과 개인 대응능력 함양 등의 목표에 근거하여 일관성 있게 제시하였다. 미래의 교수-학습 방법은 다양한 자료, 학습방법의 습득, 토론 학습 강화, PC를 활용한 학습, 가상 현실체험을 통한 경험적 교육, 학교와 학교 외의 교육과정 설정 등을 모색하였다. 또한 미래 사회에서는 학교 행정가, 교사, 학습자 모두가 리더십이 필요하고 특히 교사는 자신의 역할이 수업의 핵심이고, 수업은 교육의 핵심이라는 것을 인식하고 교육과정을 재구성할 수 있는 능력의 소유자가 되어야 한다. 지금까지의 미술교육의 중요성에 대한 잘못된 인식과 이해에 대한 부족으로부터 학부모, 교사, 사회 모두의 의식 전환이 필요하고, 다음으로 전환된 의식을 바탕으로 하여 미래의 미술과 교육과정에 대한 구성 방향과 목표·내용·방법·평가 및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이에 대한 방안으로 미래 미술과 교육과정의 목표는 다음과 같이 모색하였다. 먼저, 조형성, 창의성, 상상력, 독창성, 유창성 등을 바탕으로 한 창의적인 표현 창출 능력과 공동체 의식 책임감 개방성 개성 가치관 등의 미래의 의식 능력을 함양해야 한다. 또한 자연에 대한 아름다움·즐거움, 생활에 활용되는 사물과 미술품의 아름다움 즐거움 등의 미적 인식에 대한 미래의 다양한 시각적 사고 능력 및 다양성 신비성 일시성에 대처할 수 있는 미래의 개인대응 능력을 구비해야 한다. 이와 맥을 같이 하여 미래의 미술과 교육과정내용은 목표에 근거하여 일관성 있게 선정하고 이를 제시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에 대한 선정기준을 살펴보고, 미술의 기본요소에 대한 이해, 디지털 아트와 미술과 표현주제, 시각적 사고, 창의성 등을 모색하였다. 미래의 미술과 교육과정의 목표와 내용에 이어 교수-학습 방법은 미래사회의 특징과 환경·문화·가치관의 변화 및 미술 흐름의 변화 등을 고려한 미래의 교수-학습 방법이 모색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선택학습 방법, 공유학습 방법, 가상현실 체험학습 방법, 협동학습 방법 등을 제시하였다. 다음으로, 미래의 미술과 교육과정의 평가는 교육을 보다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하기 위한 방향을 모색하여 교육 전반에 대한 발전과 학습자들의 창의적인 사고력과 표현력은 물론 의식능력과 다양한 시각적 사고능력, 개인대응능력을 기르는데 그 목적을 두어야 한다. 이러한 미래의 미술과 평가는 평가형식에 따라서 연구 보고서, 실기 평가, 서술형 검사, 비평 형식, 면접법, 관찰법, 포트폴리오, 평가 프로그램 등의 방법이 있고, 평가 주최자에 따라서 자기 평가, 상호 평가, 교사 평가가 있다. 한편, 미술과 평가는 미술활동이 어린이의 내면 세계를 표현한 개성적이고 주관적인 반영이기 때문에 타 교과에 비해 상당히 어려운 부분이 많고 객관적으로 평가하기가 곤란한 경우가 많다. 따라서 미래의 미술과 평가는 이러한 점을 최소화하고, 학습자와 교사의 개선을 위한 자료서의 역할과 발전으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는 방법이 모색되어야 한다. 끝으로, 지식기반사회로 주도될 미래의 미술과 교육과정은 학습자들의 창의적인 지식창출 능력의 학습으로 유도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러한 미래의 교수-학습활동의 방안으로 미술의 교육 프로그램은 주제탐색 프로그램, 선택학습 방법의 프로그램, 표현창출 프로그램, 두뇌로 표현하는 조형활동 프로그램 등으로 제시하였다. 따라서 미술전문가나 현장의 교사들은 이러한 프로그램 개발에 보다 많은 관심과 노력으로 미래에 살아갈 어린이들에게 이것을 제시하고 지도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미래사회는 초 가속적인 변화와 더불어 인간의 가치관은 위기를 맞고 과학기술의 발달과 맞물려 사회의 모든 활동이 인간의 사고를 초월하는 세계가 될 것으로 예측된다. 그러므로 이에 대처할 수 있는 우리의 미래 교육 능력이 절실히 요구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미래 사회에 대처 하고, 자아실현 및 인간완성을 추구하기 위한 초등학교 미술과 미래 교육과정은 호기심, 창의성, 상상력, 시각적 사고 등을 자극하고 계획적인 동기부여와 함께 미술을 이해하고 표현하며 감상할 수 있는 교육이 되어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은 미래의 미술교육은 무엇보다 직접 학습지도를 담당하는 현장 교사의 개선의욕과 실천의지에 따라 교육의 질이 좌우될 것이다. The future is full of imagination and prediction. Sometimes imagination comes true and sometimes our prediction fits into reality. In addition, the potential human capacity is infinite and phenomenal. For example, current science is facing a great deal of discussion over human cloning, after seeing cloned sheep, "Dolly". Imagination and fantasy and things that we could see only in the SF movies come into reality. Would this kind of mystery transform itself in the future society and lead human beings into another wondrous world on a positive level or replace human beings who have ruled the world so far with other non-human agents on a negative level? It is not easy to foretell what will happen in the future and what kind of form it will take when it approaches to us. However, foretelling the future is not impossible when we look at the contents of the research done by a number of scholars about it. Therefore, we can plan for the future society through the process of predicting the features of it. It is educators' job and duty to research on what the future human beings should be like and how to educate them so that they can deal with the future society based on the assumption mentioned above.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 students we teach will lead their lives in the future society, setting up curriculum for the future is under greater demand than any other time in human history. Therefore, this study has its focus and goal on the research of the goals, contents, methods, evaluation, and programs of the curriculum in art education through the process of examining the meanings and the features of the future society, eliciting the human characteristics necessary to live in it, and setting up future curriculum based on the human features and characteristics that will be sought by future society. To achieve this goal, the followings have been researched. First, the definition of the future society was discussed and some of the definitions argued by some scholars were presented. Second, the features of the future society were examined with the focus on the development of the science, the transformation of economic system, the cultural diversity, crisis in value system and the knowledge-based society. Third, the human characteristics sought by future society based on the features of it were discussed and those are, for instance, decision-making ability in the world of excessive number of choices, creative ability to produce knowledge, mind set which is appropriate for the future and ability to deal with the future individuals. Fourth, with regard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future society, the notions, goals, content, and the methods of evaluation were examined separately, Fifth, in regard to the curriculum required by the future society, the curriculum for art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were discussed in terms of the goals, content, methods, and evaluation and example programs of the future curriculum for art education were presented. The future doesn't exist in the present, but by predicting and foretelling it as this unknown world is coming toward us, we can gain possibility and hope to build a utopia. Future society can be defined with the notions of globalization, informationization, diversity, mystery and transiency. With these notions, it has various characteristics on a few different levels. First, in the future society, we can possess information by means of thinking and when human thinking ability and cooperation are aided by computer technology in a meaningful way, digital neuro-network will be built up. Consequently, in the future society, insight obtained by information and cooperation will serve as the nuclei of advanced neuro-network and finally lead to another technology. Second, in global information economy, the importance of gold, once highly valued resource, will shrink, and most of the money will exist in the form of digits on computers. the tools that empower economic activities change from land, labor, and capital to information and now the ability to utilize the information as an alive knowledge in human brains will count. Third, cultures exist in various forms among 231 countries, 5500 kinds of nationalities, and 6000 different languages spoken. In the future society, cultures will be demolished or subjugated sometimes either through clashes or absorptions under this inescapable power of diversity. Therefore, the matter of what direction should we take with what kind of point of view to develop these various cultures in the future is closely related with the question of where we place the center of our value. Fourth, value system changes as time goes by and differs from place to place. The lack of credibility and the crisis in value system caused by the lack of awareness on cyber culture have driven some of us, modern people even to death. In addition, given the fact that the life in the future society is inseparable with future values, nurturing values that are corresponding to the future society is essential. Fifth, knowledge is the foundation on which we can build up knowledge-based, society and after all, it should come from human brains. The knowledge we need in the future society should be creative one. These characteristics and features of the future society demand corresponding human characteristics as fallows: ① Decision-making in the variety and diversity ② Ability to produce knowledge that is creative ③ Awareness for the future society ④ Ability to deal with future individuals Therefore, the goals of the future curriculum necessary for the future society are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that the future society demands and they are as follow: The first goal is to nurture individuals' ability to make a decision facing excessive number of choices in the future society which will be getting more and more diverse and to make a right choice in the age of chaos and crisis in the value system. The second is to develop the ability to produce creative knowledge with which students can deal with the future society characterized by knowledge-based society. The third goal is to provide awareness set with which individuals can deal with the rapidly changing future society. This includes ethics, value system, and sense of community. The fourth one is to develop individuals' ability to address the acceleration, transiency, mystery and diversity which are the features of the future society. The contents of the education for the learners who will lead the future societ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based on the goals that the future curriculum have. First, if we assume that. individuals will face increased number of choices and amount of complexity in making a decision as the future society proceeds to super industrialization, the future education itself should be able to deal with the issue of excessive number of choices. Second, the content of the future education should be able to breed creativity and knowledge with high added value so that they can build up individuals' ability to produce creative knowledge. Third, the content that are commensurate to the structure of the future awareness should be taught to children in the future. In other words, they include ethics, right value system for the future, sense of community, openness, and responsibility. Fourth, the content of the future curriculum should foster individuals' ability to deal with acceleration, diversity, transiency, and freshness. In terms of the futur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learning of learning methods, intensified learning, learning through discussion, method using PC, empirical education using virtual reality, and establishment of school curriculum and extra curriculum were suggested. In addition, the future society demands greater leadership form school administrators, teachers and students and teachers should be able to reorganize curriculum with the fact that teachers are playing central role in lessons and instructions in mind. Misunderstanding and misconception about the importance of elementary art education so far should be addressed by transforming parents, teachers, and society among others. After that, research should be done about the structure, goals, contents, evaluation, and program development on the future art education. The goals of the future art curriculum mentioned above are as follows: ① They should nurture students ability to express their creat.ivity in the future based on plasticity, creativity, imagenation, uniqueness and fluency. ② Sense of community, responsibility, openness, individuality, and sound value system should be fostered. ③ They should raise students' ability to think visually about the aesthetic awareness on such things as beauty and pleasure that common objectives and art works arouse. ④ They should nurture individuals' ability to deal with diversity, transiency, and mystery of the future. In line with these goals, desirable contents of art curriculum should be set up and presented coherently so that students can achieve them. Therefore, in this thesis, the criteria used to select the future art curriculum were examined in terms of ① understanding of dots, lines, aspects, colors, and shapes ② digital art and theme of the future art ③ visual thinking of the future and ④ the future and creativity. Following after the curriculum and the goals of art education, teaching-and-learning methods should take a direction to deal with the features such as acceleration, diversity, mystery, and transiency that the future learners will face as well as methods that have been used so far. In addition, we should seek teaching-and-learning methods in consideration of the changes and transformations with environments, cultures, value system, and art trend. To do this, ① selective learning method ② shared learning method ③ virtual reality experience method and ④ cooperative learning method were suggested. Next, the evaluation of the art curriculum should have its goal in raising the ability to appreciate, think virtually, deal with the future individuals in addition to making a progress in art education in general and in nurturing learners' creative thinking and expressing ability. The evaluation methods include research report, practice test, description method, critique, interview, observation method, portfolio, and evaluation program depending on the methods of evaluation and self-evaluation, mutual evaluation. and teacher evaluation depending on the person who evaluates. In the meanwhile, the evaluation in art education has faced a lot of difficulties and often times it is hard to make objective evaluation compared to other subjects because art activities reflect children's individuality and subjectivity which express their own world inside. Therefore, the evaluation in the future art education should minimize these and we should seek evaluation methods which can truly serve as tools and materials for improving students and teachers and developing them. Finally, the art curriculum for the future characterized by knowledge-based society should lead to students' learning the ability to produce creative knowledge. Therefore, for the future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programs such as ① theme seeking program ② selective learning method program ③ expression-creating program ④ making activities program expressed by brains were suggested. Development of these should be essential in the future art education. Therefore, art experts and teachers should out more attention and efforts in developing these programs and teach and provide them to children who will lead their lives in the future society. The biggest mistake done in the art education as far was the lack of awareness about the importance of art education, creativity, and art; for children and it has been pervasive among parents, teachers, and society. Therefore, priority in the future art curriculum should be put on changing this kind of attitude on art education. Especially, initiative and willingness to change and perform what has changed form the side of teachers who are in direct charge of instruction are most important and it is not much to say that the quality of the future education hinges on it.

      • 지정의 학습의 미래교육과정 개발 및 효과

        김미영 웨스트민스터신학대학원대학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is an era that requires radical change and innovation, completely different from the previous era of the industrial revolution. The highly developed digital technologies are transforming our lives and are gradually expanding the scope of their use. The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will threaten human jobs, cause human alienation, and deepen the polarization of wealth. In this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we need to nurture future talents suitable for the new era through educational innovation. In order to do this, research on educational methods for future education is required, and educational methods proven through research must be applied to the field of future education. With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n mind, this study focused on the eBPSS Augmented School established to nurture future talents who can enjoy the era to the fullest and save the lives of others, and IEV (Intellect, Emotion, & Volition) study conducted at this school. Through research, I tried to prove whether IEV study curriculum is suitable for the future education curriculum. It was intended to illuminate the value as a learning method. Also, by expanding thi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that IEV study be introduced into public education and school subject education as a future education and learning method. As a specific research question to illuminate values, 1) Is IEV study curriculum suitable as a future curriculum? 2) What is the effect of operating a subject convergence future curriculum that combines IEV study with mathematics? 3) Is it possible to converge IEV study curriculum with other subjects? to be.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based on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IEV study curriculum was suitable as a future education curriculum in which the future education innovation method is conducted based on digital.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IEV study is effective as a future educational and learning method for nurturing future talents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curriculum convergence future curriculum that combines IEV study and mathematics subjects. Third, it was confirmed that the curriculum of IEV study can be convergence education with other subjects. Through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learning of IEV study is valuable as an alternative to future education for nurturing future talent. 우리는 지금 사회 전 분야에 걸쳐 혁신적인 패러다임의 변화를 가져오는 제 차4 산업 혁명 시대를 살고 있다 주영달 제 차 ( , 2020). 4 (IoT), , 산업혁명 시대는 사물인터넷 로봇 인공 지능 빅 (AI), 데이터 등의 디지털 기술이 기존의 다양한 분야와의 융합으로 발전하는 차세대 혁명으로 이전의 산업혁명 시대와는 차원이 다른 시대이다 안병환 (2019). 1, 2, 3차의 산업혁명 때마다 그 시대에 맞는 새로운 인재상이 요구되었는데 이는 제4 . 차 산업혁명 때도 예외가 아니다 시대에 부합하는 인재가 필요하며 그런 인재를 교육을 통해 길러내야 한다. 그렇다면 제 차4 . 산업혁명 시대를 선도해갈 미래 인재는 어떤 리더인가 우리는 미래 인재 교육을 위해 어떤 교육을 해야 하는가 은 . Klaus Schwab(2016) 4차 산업혁명 시대는 ‘ ’ (VLIVE, 2016). 인재주의 라 말하며 인재에게는 다양성과 유연성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또 한 제차 , 4 ‘ ’ . 산업혁명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인간 중심의 협력 이 중요하다 말했다 그는 인간이 서로 협력함으로 상황 맥락 지능 정서 , , , 지능 영감 지능 신체 지능을 길러야 한다고 덧붙였다 권문상 미래 (Klaus Schwab, 2019:251-252; , 2018). 인재에게는 더 많은 지식을 축적하는 것보다 예측 불가능한 복잡한 상황을 잘 해결할 수 있는 고차원적 능력인 ‘ ’ 역량이 필요하다 세계경제포럼 최연구 이러한 ( , 2016; , 2017). 인재를 길러내기 위해서는 교육이 중요한데 안타깝게도 기존의 교육으로는 한계가 있다 차 . 4 산업혁명 시대에 맞는 혁명적인 교육의 패러다임 변화가 필요하다 안종배 여기에는 ( , 2017). 미래교육의 방향성 뿐만 아니라 실제적인 교육의 방법도 제시되어야한다.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바르게 읽고 해석하며 미래 인재 양성을 목적으로 설립 및 운영되고 있는 미래교육형 학교인 eBPSS 증강학교와 이 학교의 전공과목 중 하나 인 지정의 학습에 집중했다 지정의 . (2020) 4 학습은 박병기 가 제 차 산업혁명 시대를 염두에 두고 개발한 학습법으로 본 연구에서는 지정의 학습을 미래인재 양성을 위한 미래교육방법 으로 보았다 이에 . 본 연구의 목적은 지정의 학습 교육과정이 미래교육을 위한 미래형 교 육과정으로 적합한지 살펴본 후 이를 , 바탕으로 교과융합 교육과정을 개발하여 그 효과를 검증함으로써 타 교과와의 융합 교육 가능성을 타진해보는 데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고자 4차 산업혁명에 대해 지금까지 논의되어진 전문가들의 이론 과 선행 연구를 분석하였으며 미래인재 , , 양성을 위한 미래교육 및 미래교육혁신방법 미래 교육형 학교인 eBPSS . 증강학교와 지정의 학습을 탐구하였다 이후 지정의 학습의 세 시즌 (three seasons)간의 교육과정을 미래교육혁신방법 및 미래형 교육과정과 비교 분석하였으 며 이를 , 기반으로 지정의 학습과 수학교과를 융합한 미래교육과정을 개발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 eBPSS 2022 1( ) 10 위해 증강학교 년 시즌 가을학기 에 참여한 명의 청소년을 대상으로 ‘ ’ 8 , 지정의 학습 수업을 주간 진행하였으며 사전 사후설문 ‧ 분석과 학습 결과물의 텍스트 마이닝(text mining) . 분석을 통해 결과를 도출하였다 사전 사후설문 ‧ 분석 은 대응t를 실시하였으며 학습 , ‘Load Up’ 결과물의 텍스트 마이닝 분석은 온라인 플랫폼 을 사용하였다 이러한 . . 연구 과정을 통해 도출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정의 학습 교육과정은 디지털을 기반으로 미래교육혁신방법이 진행되는 미래 교육과정으로 적합함을 확인하였다 지정의 . ‘ 학습은 미래교육혁신방법에서 제시한 스마트 교육’, ‘무학년제 MOOC 교육’, ‘코치로서의 교사 역할 ’ , '역량 중심의 자기 주도 학습' 이 이루어지는 학습법이었으며 교육부가 , ‘ 미래형 교육과정으로 제시한 '자기 주도적인 미래 역 량을 갖춘 인재', '자기 주도적 진로와 학업 설계'. '개인 맞춤교육', ' 디지털 전환시대에 맞 는 교수학습 및 평가체제 구축’, ’ 삶과 학습을 연계 경험을 재구조화' 하는 교육이 진행되고 있었다. 둘째, 지정의 학습을 수학교과에 융합한 교과융합 미래교육과정 운영을 통해 지정의 학습이 미래인재 양성을 위한 미래교육방법으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학습자의 흥미를 높여 수업에 대한 이해와 집중력을 높였고 스스로 , 학습을 반성하고 계획하는 자기 주 도 학습을 이끌었다 또한, 9번째 지능 중 인식, 관계, 내면, 실존, 지능의 향상 효과가 있었으며, 21 세기 기술 중 비판적 사고와 창의성, 비판적 사고, 문제 해결 능력, 도전 정신, 적응력, 리더십을 높일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 지정의 학습 교육과정은 타교과와 융합 교육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수학과의 융합 교육 결과 학습자들은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고 수학에 , 대한 인식도 긍정적 방향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얻었다. 또한, 수학에 대한 이해와 집중력이 높아졌고 자기 주도 학습이 이루어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창의 인재 양성을 위한 미래 초등교육의 방향과 문화예술교육의 역할

        유진이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703

        창의 인재 함양을 위한 미래 초등교육의 방향과 문화예술교육의 역할 유 진 이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공연예술교육전공 (지도교수 이 유 리) 교육은 사회와 시대에 따라서 변화한다. 특히 미래 시대를 논의할 때 항상 등 장하는 단어는 제 4차 산업혁명이다. 인공 지능 로봇, 3D 프린터, 나노 바이오 기 술 등의 등장과 함께 시작된 산업혁명은 인공 지능 시대로의 전환의 시작점이 되 었으며, 이는 미래 직업인을 양성하는 교육에도 큰 변화가 필요함을 함의하고 있 다. 이에 본 연구는 4차 산업 혁명 시대를 끌어나갈 미래 인재에게 필요한 초등 학교 단위 교육의 방향성과 학생에게 필요한 핵심역량인 ‘창의성’을 함양하는 데 있어 초등학교 단위의 문화예술교육이 어떠한 의미가 있는지 그 교육적 가치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질적 연구 방법으로 담론분석을 채택하여 학생의 잠재적 창의성과 문화예술교육의 상관성에 대해서 논의해 보고 자 한다. 본 연구에서 다루는 담론의 핵심 키워드는 창의성, 미래 초등교육 그리고 문화 예술교육 세 가지이다. 이 세 가지 키워드의 연관성을 분석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창의성은 무엇이며, 창의적 인재 함양을 위한 적절한 교육 환경은 어떠 해야 하는가? 둘째, 창의적 인재 함양을 위해서 초등 문화예술교육이 지향해야 할 방향성은 무엇이며, 그 교육적 가치는 어떠한가? 셋째, 인공 지능 시대의 교육 현황은 어떠하며, 앞으로 발전하기 위해서 어떠 한 창의 혁신적 변화를 이루어야 하는가? 위의 연구 문제들을 토대로 창의성과 미래 초등교육 그리고 문화예술교육 전 반에 대한 다양한 이론들을 정리 및 분석해 보았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창의력이란 기존의 것을 활용하여 새로운 것을 생산하는 사고 과정이며, 기 존의 것이 아닌 것 또한 수용하는 교육 환경과 교육자로 인해 충분히 개발될 수 있다. 둘째, 초등 문화예술교육은 학습자의 종합적인 정서발달과 인간 본성에 대 한 포괄적 이해를 도울 뿐 아니라 학생의 창의적 사고 역량 개발과도 긴밀히 연 관되어 있다. 셋째, 인공 지능 시대의 교육은 여러 가지 해결 과제를 직면한 상황 이며, 이러한 상황에서 초등학교 단위의 인공 지능 활용 교육은 그 한계점은 명확 하나 교육의 연계성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도입 단계의 역할을 맡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미래 시대의 교육은 창의적으로 혁신되어야 한다. 특히나 그 변화의 방향성은 기존의 교육문화를 전면 부정하지는 않되, 기존의 시스템을 응용 재구성하여 기존 교육계의 단점을 보완해야 한다. 특히, 초등학교 단위의 문화예술교육은 학습자의 자기 주도적 의사 결정 과정을 수반하기에 학생의 잠재적 창의성을 적극적으로 개발할 수 있는 교육이라는 측면에서 그 교육적 의의가 있다. 이에 본 연구가 미 래 초등교육의 전반적인 방향성과 그 속에 속한 문화예술교육의 역할에 대한 문 화적 인식을 개선하여 이를 소재로 하는 더 많은 후속 연구가 진행되는 데에 이 바지하기를 기대한다. * 키워드 : 창의성, 문화예술교육, 인공 지능 교육, 생성형 AI, 개별화 교육 (5단 어 이내) * 이 논문은 2024년 8월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 사학위 논문임.

      • 미래저널 쓰기에서 나타난 21세기 역량 강화에 관한 질적 내용 분석

        하나연 웨스트민스터신학대학원대학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4차 산업혁명과 코로나19로 급변하는 미래사회 속 eBPSS (Big Picture, Spiritual Intelligence, Servant Leadership) 교육에 참여하는 학생들의 미래저널 쓰기를 통한 21세기 역량 강화의 모습을 분석함으로써 eBPSS 교육과 미래저널 쓰기의 효과성을 입증하고 미래 교육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eBPSS 교육에 참여 중인 학생의 미래저널 기록에서 보이는 주요 사용 단어들의 변화와 미래저널을 꾸준히 기록하는 학생과 일반 학생들의 주요 사용 단어에 관한 차이를 분석한 후 미래저널 쓰기에서 나타나는 21세기 역량 강화의 모습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eBPSS 교육에 함께 참여하고 있는 학생 중 최소 2년 이상 eBPSS 교육을 받으며 미래저널을 꾸준히 작성한 학생 3명을 선정하였으며, 비교 대상으로 eBPSS 교육 참여 경험이 없고, 미래저널을 기록해 본 적이 없는 일반 학생 3명을 선정하였다. 자료 수집은 eBPSS 교육 경험이 있는 학생 중 한 명을 선정하여, 2020년 1월부터 2021년 9월까지의 미래저널 기록물을 수집하였고, 미래저널 작성 경험이 있는 학생들과 경험이 없는 학생들 2개의 그룹으로 나눈 후 포커스 그룹 인터뷰 진행을 통해 수집하였다. 연구 분석은 빅데이터를 활용한 분석 방법인 텍스트 마이닝(Text mining)을 사용하여 텍스트 데이터로부터 의미 있는 가치를 찾아내고 텍스트 간의 관계를 파악하였다. 이와 더불어 질적 내용 분석 방법 중 연역적 접근 방식을 따라 세계경제포럼(2015)의 21세기 기술을 중심으로 21세기 역량을 기초 문해력, 역량, 성품 3가지로 범주화한 후 미래저널 쓰기에서 나타나는 21세기 역량 강화 모습을 찾는 의미 분석을 진행하였다. 이를 통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자는 eBPSS의 교육 진행 과정에 따른 변화와 성장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연구자는 eBPSS 교육을 통해 새롭게 배우고 경험한 것들의 깨달음, 실천에 관한 감사로 사고의 확장이 일어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내면의 가치에 관한 소중함과 미래사회를 이끌어 갈 리더로서의 모습으로 자신을 표현하게 되었음을 증명할 수 있었다. 이 밖에 삶의 이유가 새로운 시대를 이끄는 선구자이자 선한 영향력을 펼치기 위함으로 변화하였음을 연구자는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미래저널을 꾸준히 기록하는 학생과 일반 학생들의 언어와 생각의 차이를 본 연구에서 발견할 수 있었다. 미래저널 기록 경험이 있는 학생들은 본질, 가치 등 내면적인 요인과 관련된 언어를 주로 사용하였고, 일반 학생들은 상황, 현상 등 외부적인 요인과 관련된 언어를 주로 사용하였다. 셋째, 연구자는 미래저널 쓰기를 통해 학생들의 21세기 역량이 강화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학생들은 미래저널을 쓰며 시대를 읽고 해석하며, 다양한 기술을 활용하는 기초 문해력이 향상되었고, 문제 해결력, 비판적 사고, 창의성, 의사소통, 협력 등의 역량이 강화되었으며, 목적의식, 주도성, 유연성, 공동체 정신, 리더십 등 성품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자는 미래저널 쓰기가 내면의 본질과 가치에 집중하고, 사고의 확장이 일어나며, 타인과 공동체의 성장 등 인간만이 지닐 수 있는 역량과 성품이 향상되도록 하여 21세기 역량 강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검증할 수 있었다. 앞으로 eBPSS 교육과 미래저널 쓰기가 4차 산업혁명 시대라는 초지능, 초연결사회 속 인공지능과 공존하며, 인공지능이 해결해주지 못하는 인간에 기초하여 시대를 이끄는 리더, 인재를 키우는 미래 교육으로서 더 큰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연구자는 결론을 내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e the effectiveness of eBPSS (Big Picture, Spiritual Intelligence, Servant Leadership) education and future journal writing by analyzing how students participating in eBPSS education in the future society rapidly changing due to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COVID-19 are strengthening their skills in the 21st century. To this end, the researcher analyzed the changes in major used words seen in the future journal records of students participating in eBPSS education and the differences in major used words of students and ordinary students who consistently record future journals. For the study, three students who have been participating in eBPSS education for at least two years and consistently wrote future journals, and three general students who have never participated in eBPSS education and have never recorded future journals were selected for comparison.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by selecting one of the students with eBPSS education experience and collecting future journal records from January 2020 to September 2021. In addition, it was divided into two groups: students with experience writing future journals and students with no experience, and collected through focus group interviews. The research analysis used text mining, an analysis method using big data, to find meaningful value from text data and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exts.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deductive approach among the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methods, 21st century competencies were categorized into three categories: literacy, competency, and character of the World Economic Forum (2015), and then semantic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ways to strengthen 21st century competency shown in future journal writing. The study results through thi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e change and growth of eBPSS according to the curriculum. Through eBPSS education, it was confirmed that thinking was expanding through the realization and practice of what was newly learned and experienced, and that the participants expressed themselves as a leader to lead the future society, and that the reason for life changed to lead a new era. Second, it was possible to find differences in language and thoughts between students who consistently record future journals and ordinary students. Students with experience in recording future journals mainly used languages related to internal factors such as nature and value, and general students mainly used languages related to external factors such as situations and phenomena. Third, it was confirmed that the capabilities of the 21st century were strengthening through writing future journals. Basic literacy using various technologies has been improved, problem-solving skills, critical thinking, creativity,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have been strengthened, and characteristics such as purposefulness, initiative, flexibility, community spirit, and leadership have been improved. Through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writing a future journal focuses on the essence and value of the inside, expands thinking, and improves the capabilities and character that only humans can have, such as the growth of others and communities, and has a positive effect on strengthening their capabilities in the 21st century. The researcher believes that eBPSS education and future journal writing will coexist with super-intelligence and artificial intelligence in a hyper-connected society in the future, and will play a big role as future education to foster leaders and talents who lead the era based on humans that artificial intelligence cannot solve.

      • 증강 세계관 기반의 미래형 학교 교육과정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연구

        김희경 웨스트민스터신학대학원대학교 2022 국내박사

        RANK : 248703

        This study was based on the Augmented Worldview. Augmented Worldview is a worldview that views the world called the virtual world as an extension of the offline world rather than a 'virtual'(not complete). The researcher identified the model of the future school based on the Augmented Worldview and she did this research for about three years. In this process, the researcher verified the applicability of the future school curriculum. This study consists of a total of 5 chapters. Chapter 1 consists of research necessity, research purpose, and research questions. The reason this study is necessary is to argue that a new education conversion is necessary because the currently provided education seems to be very low in flexibility and excellence in terms of direction and pa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form the results of developing the curriculum of the future school and applying it in the field. According to the related prior research and literature, there are directions and future plans already suggested for the model and curriculum of the future school, but it is difficult to find any previous studies that drew the results of the study while planning and proceeding with the future school.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established and confirmed. The research question was 'First, how is the educational model and curriculum development of the future school structured?' Second, 'What effect do the components of the curriculum of the future school have on the competency of future talents?' In Chapter 2, the researcher maintains the argument for why change is necessary in education. To this end, the researcher focused on the change process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Not only did she discuss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but she also explored the pace of change in the educational ecosystem and the convergence of technology in a new era. In the same chapter, the researcher argues that a future school is necessary for education to change, and analyzes and examines previous studies, cases, books, articles, etc. on the definition of a future school, types of future schools, and characteristics of the components of future schools. In particular, she focused on the worldview, vision, competency standards of talents, and curriculum components of innovative schools such as Khan Academy, Coursera, and Minerva School. Finally, based on this, implications were derived and the first draft, a future school model, was designed. Chapter 3 explains how the content claimed by this researcher went through the process of verification. The research methodology is explained in Chapter 3. Section 1 is composed of a research model of mixed research that combines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Section 2 is a quantitative research method, and Delphi research was conducted based on the first draft of the future school model described in Section 2. The purpose of the Delphi study is to verify the reliability of the future school model and curriculum development. The course of the Delphi study is the curriculum of the future school through the consultation of 10 Delphi experts (2 future education-related professors, 1 teacher, 3 future education-related master's and doctoral students, and 2 parents)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season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Cronbach's α value was .8 or higher for all 18 items in the 4 domains, and the high reliability was analyzed and the model was confirmed. Section 3 explains that the action research model is designed as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he practice research model is one of the most used research methods for teachers to understand or improve the reality of education themselves. Chapter 4 is composed of future school curriculum development and application effectiveness. Sections 1 and 2 describe the educational model, curriculum, and specific development and design of educational subjects. Section 3 introduces the process of deriving effectiveness by actually applying the curriculum designed in five steps in the form of a pyramid in the educational field. The total research period of the action study was from October 5, 2020 to November 30, 2021, for one year and two months. It was followed by two years of literature study according to the researcher. Sections 3 and 4 contain details of the changes in the curriculum and the appearance of education during the study period. In Chapter 4, the researcher conducted a satisfaction survey with the students, parents, and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in Chapter 5 to confirm the validity of the qualitative research of the experimental study, and analyzed the experiences of future education from various perspectives. Chapter 5 consists of analysis of the study, conclusions, and recommendations. In Section 1, participatory observation, in-depth interviews, and class participation videos, future journals, learning of knowledge, affection, and will, and Naver Band records, etc., conducted through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for one year and two months. of the results were analyzed. The result is as follows. 'Students of the future-oriented school acquired the transformational competencies that future talents should have: basic literacy (literacy, science literacy, IT literacy), competency (critical thinking, creativity, communication, cooperation), personality (initiative, coherence, adaptability, leadership) It has achieved remarkable results in a short period of time.' Chapter 5 explains that the significance of Research Question 1 and Research Question 2 established in this study has been proven. Chapter 5 consists of conclusions and suggestions on the development of the future school curriculum obtained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conclusion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future school model and curriculum development in this study is judged to be very suitable as a curriculum that develops the potential (originality) of Generation Z.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core competencies to have in the 21st century were improved by integrating the existing Korean, English, math, social studies, and science with future education (education to prepare for future society by drawing out potential). Second, in order to continue the development of the model and curriculum of the future school in this study, it was determined that future education not only for students but also for parents and teachers is continuously necessary. Third, this researcher confirmed that there are still great challenges to be solved in educational innovation for the revitalization of future education. This study suggested three things so that various future-oriented schools can be established and operated. One argued that the government's prompt implementation was required so that various future-oriented schools could be established and operated in line with the future society. Another is that future education prioritizes the eBPSS (Big Picture, Spiritual Intelligence, Servant Leadership) philosophy presented with an Augmented Worldview rather than prioritizing new technologies such as VR, 3D printer, and AI-based technologies. suggested to do. Lastly, this researcher concluded the thesis with the hope that follow-up studies will be conducted to supplement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so that talented people in the future society will read the times, benefit the world, and save lives. 본 연구는 증강 세계관을 기반으로 시작되었다. 증강 세계관이란 가상세계라고 불리는 세계를 ‘가상’이 아닌 오프라인의 연장선이자 현실 세계의 ‘확장판’으로 보는 세계관이 다. 본 연구자는 증강 세계관을 기초로 한 미래형 학교의 모형과 교과과정의 구성 요소를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설계된 모형을 약 1년 2개월 동안 연구했다. 연구자는 이 과정에서 미래형 학교 교과과정의 적용 가능성을 검증했다. 본 연구는 총 5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장은 연구의 필요성과 연구 목적, 연구 문제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가 필요한 이유는 현재 제공되는 교육은 방향, 속도 면에서 신속성, 유연성, 수월성 등이 매우 낮아 보이기에 새로운 교육의 전환이 필요함을 주장하기 위해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미래형 학교의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현장에서 적용한 결과를 알리기 위함이다. 이와 관련된 선행연구와 문헌에 따르면 미래학교의 모형과 교육과정에 대해 이미 제시된 방향과 향후 계획은 있지만, 미래학교를 기획하고 진행하면서 연구의 결과를 도출한 선행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연구 문제를 설정하고 이를 확인하였다. 연구 문제는 ‘첫 번째, 미래형 학교의 교육모형과 교육과정 개발은 어떻게 구성되는가?’ 두 번째, ‘미래형 학교의 교육과정의 구성 요소는 미래 인재의 역량에 어떤 효과성을 주는가?’였다. 제2장에서 연구자는 교육에서 왜 변화가 필요한가에 관한 주장을 담았다. 이를 위해 이론적 배경인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변화과정에 초점을 두었다. 단순히 4차 산업 혁명만 논하지 않고 새로운 시대에 교육생태계의 변화 속도와 기술의 융합에 관한 탐구도 했다. 2장에서 연구자는 교육이 변화하려면 미래학교가 필요하다는 주장을 펼치며 미래학교의 정의와 미래학교의 유형 그리고 미래학교의 구성 요소의 특징에 관해 선행연구와 사례, 책, 기사 등을 분석하여 고찰해보았다. 변화의 물결을 살펴본 것이다. 특히, 칸 아카데미, 코세라, 미네르바 스쿨과 같은 혁신 학교의 세계관, 비전, 인재의 역량 기준, 그리고 교육과정 구성 요소 등을 집중적으로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이를 바탕으로 시사점을 도출하여 1차 초안인 미래형 학교 모형을 설계하였다. 제3장은 본 연구자가 주장하는 내용이 어떻게 검증의 과정을 거쳐 진행했는지를 설명하고 있다. 연구 방법론이 3장에서 설명되고 있는데 제1절은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를 병행한 혼합연구의 연구 모형으로 구성하였다. 제2절은 양적 연구방법으로 제2장에서 기술된 미래형 학교 모형 1차 초안을 바탕으로 델파이 연구가 진행되었다. 델파이 연구의 목적은 미래학교의 모형과 교과과정 개발의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함이다. 델파이 연구의 과정은 1, 2차 과정을 통해 델파이 전문가 10명(미래교육 관련 교수 2명, 교사 1명, 미래교육 관련 석·박사 3명, 학부모 2명)의 협의를 통하여 미래형 학교의 교과과정을 검토하는 것이었다. 분석 결과, 4개 영역 18개 문항 모두 크로바흐 알파(Cronbach’s α) 값이 .8 이상으로, 높은 신뢰도가 분석되어 모형이 확정되었다. 제3절은 질적 연구 방법으로 실행연구(Action Research) 모형이 설계됨을 설명하고 있다. 실행연구 모형은 교육 현장에 몸담은 교사 자신이 교육 현실을 이해하거나 개선하기 위해 많이 사용되는 연구 방법 중의 하나다. 제4장은 미래형 학교 교육과정 개발 및 적용 효과성으로 구성되었다. 제1절과 제2절에서는 교육모형과 교육과정 그리고 교육과목의 구체적 개발·설계 내용이 기술되고 있다. 제3절에서는 교과과정이 피라미드 형태인 5단계로 설계된 교과과정을 교육 현장에서 실제로 적용하여 효과성을 도출시키는 과정이 소개되어 있다. 실행연구의 총 연구 기간은 2020 년 10월 5일부터 2021년 11월 30일로 1년 2개월 동안 진행되었다. 따라서 제3절과 4절은 연구 기간에 진행되었던 교육과정과 교육의 모습 등의 변화 내용이 자세히 구성돼 있다. 4장에서 연구자는 실험 연구의 질적 연구의 타당도를 확인하기 위해 5절에서 본 연구에 참여한 학생, 학부모, 교사를 중심으로 F.G.I.와 만족도 조사를 실시했고 미래교육의 경험을 다양한 관점으로 분석했다. 제5장은 연구의 분석, 결론, 제언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절에서는 1년 2개월 동안 질적 연구인 실행연구 방법으로 진행된 참여관찰, 심층 면담 그리고 수업 참여 동영상, 미래저널, 지(知)·정(情)·의(意) 학습, 네이버 밴드 기록물 등의 결과물을 분석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미래형 학교의 학생들은 미래 인재가 가져야 할 변혁적 역량인 기초 문해(문해력, 과학 문해, IT 문해), 역량(비판적 사고, 창의성, 의사소통, 협력), 인성(주도성, 일관성, 적응력, 리더십) 등에서 단기간에 괄목할만한 효과를 거두었다.’ 본 연구가 설정한 연구 문제 1과 연구 문제 2의 유의미성이 입증되었음을 제5장은 설명한다. 5장 2절은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얻은 미래형 학교 교과과정의 개발에 대한 결론과 제언으로 구성되어 있다.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미래형 학교 모형 및 교과과정 개발은 Z세대의 잠재 능력(독자성)을 키워주는 교과과정으로 매우 적합하다고 판단된다. 또한, 기존 국어, 영어, 수학, 사회, 과학 등을 미래교육(잠재능력을 끄집어내 미래사회를 대비하는 교육)과 융합하여 진행함으로써 21세기에 가져야 할 핵심 역량이 향상됨이 확인되었다. 둘째, 본 연구의 미래형 학교의 모형 및 교과과정 개발을 지속하기 위해서는 학생뿐만 아니라 학부모, 교사들에 대한 미래교육이 지속적으로 필요하다고 판단되었다. 셋째, 미래교육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교육혁신에 있어 풀어야 할 커다란 과제가 여전히 남아있음을 본 연구자는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다양한 미래형 학교가 설립 운영될 수 있도록 세 가지를 제언했다. 하나는 미래사회에 발맞춰 다양한 미래형 학교가 설립·운영될 수 있도록 정부의 조속한 실행이 요구된다고 주장했다. 또 다른 하나는 미래 교육이 새로운 기술, 예를 들어 VR, 3D 프린터, AI를 기반으로 하는 기술 등을 우선하기보다는 증강 세계관과 함께 제시된 eBPSS(Big Picture, Spiritual Intelligence, Servant Leadership) 철학을 우선 전개하기를 제언했다. 마지막으로는 본 연구가 가지고 있는 한계성을 보완할 후속 연구들이 진행되어 미래사회 인재들이 시대를 읽으며 널리 세상을 이롭게 하며 생명을 살리는 자들이 되기를 바라며 본 연구자는 논문을 마무리하였다.

      • 민·관·학 거버넌스 기반 마을교육공동체 제도화과정 연구 -E군(郡) 사례를 중심으로 -

        우수희 대구대학교 디자인·산업행정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703

        이 논문은 민·관·학 거버넌스를 기반으로 마을교육공동체 제도화 과정 방향에 대한 목적을 두고 진행하였다. 평생교육관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공동체나 마을공동체가 이제는 교육부분을 접목시켜 마을교육공동체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다. 앞으로 20년후 미래사회를 살아가야 할 아이들에게 지금의 주입식 교육이 현실과 맞지 않다라는 전문가들의 의견에 따라 공교육의 위기속에서 혁신교육과 미래교육이라는 키워드가 중심이 되고 있다. 앞으로는 학교교육만으로는 미래사회를 대비할 수 없으므로 마을과 학교가 함께 연계해서 마을교육공동체를 형성하는 것이 중요한 화두가 되고 있다. 2009년부터 시작된 경기도의 혁신교육운동부터 지금까지의 흐름으로 인해 앎과 삶이 일치해야 한다는 목적으로 마을과 학교가 만나는 마을교육공동체는 혁신교육과 상호작용을 통해 학생의 성장을 지원하고 마을교육공동체를 통해 학교 밖에서도 교육이 이루어진다라는 교육의 패러다임 변화를 가져왔다. 이에 경상북도에서도 2020년에 처음으로 ‘미래교육지구사업’을 시작하게 되었고 현재 경주, 의성, 상주, 예천, 안동 등 5개 시군에서 본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본 연구자는 의성미래교육지구의 중간지원조직인 의성미래교육지원센터의 일원으로 E군(郡)이 지역소멸위기에서 벗어나고 E군(郡)의 마을교육공동체가 형성 되고 지속적인 발전방향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을 하고 있다. 사업 2년차에 접어들면서 점차 안정되어 가고 있으나 아직까지 미래교육이나 마을교육공동체의 취지를 이해하지 못하는 지역민들이나 교육주체들의 인식변화가 시급한 상황이다. 의성미래교육지원센터에서는 지역의 위기를 극복하고 미래사회에 필요한 역량을 함양하는 지역교육체제를 구축하고 마을-지자체-학교-교육지원청의 교육자원을 연계하여 통합운영하고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해야 할 것이다. 이 연구에서 미래교육지구를 통해 마을과 학교가 함께 지속가능한 지역교육 협력체제를 구축해 나가는데 있어서 민·관·학 거버넌스 기반이 매우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마을교육공동체가 더 나은 발전 방향으로 가기 위해서는 학교의 변화가 절실히 필요하다. 학교현장에서는 삶의 터전인 마을과 학교가 함께 연계하는 교육활동을 만들어내기 위해 실천적인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마을교육공동체 제도의 본질에 맞는 방향으로 이어지는 교육과정을 통해서 학교교육과정을 마을에 담게 될 때 확장성과 지속성이 생기고 학교와 마을의 신뢰를 바탕으로 공동체적 측면의 관계 형성이 되어야 한다. 학교와 지역사회가 협력하여 모두가 함께 성장하는 행복한 의성이 되기 위해서는 마을교육공동체가 제도화 되어야 하며 마을교육공동체 성공의 핵심은 학교의 담장을 낮추고 마을과 적극적으로 소통하는 게 필요하다. 지금까지의 소극적이고 폐쇄적이고 보수적인 학교의 역할이 조금 더 개방적이고 자율적이고 주도적인 지원행정을 펼칠 수 있도록 협조를 하고 마을과 내 지역에 관심을 두는 학교의 변화된 모습을 통해 마을과 학교가 함께 협력해서 마을교육공동체가 활발해지고 지속가능하길 기대해 본다.

      • 미래교육기법을 적용한 초등 사회과 인구교육 프로그램 구안

        방우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03

        현재 우리나라뿐 아니라 세계적으로 급속한 인구의 고령화가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고령화에 대한 인식이나 관심이 미미한 수준이고 다가오는 미래에 대한 준비 없이 고령화를 사회 문제로만 치부하고 걱정하고 있다. 이러한 사회 속에서 학생들이 준비된 삶을 영위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스스로 고령화로 인한 미래를 예측하고 대비할 수 있는 능력과 태도를 길러 줄 필요가 있다. 이에 고령화에 대한 지식의 이해, 고령화를 스스로 예측하고 준비할 수 있는 능력의 신장, 그리고 고령화와 고령자에 대한 올바른 가치관․태도의 정립을 목표로 하는 인구교육 프로그램을 구안하여 학생들에게 적용해 보고 그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이 살고 있는 생활과 밀접한 경험에 근거하여, 경기도 수원시를 대상으로 인구교육 프로그램을 구안하였다. 또한 고령화에 대한 교육의 목적은 현재보다 미래의 삶에 초점을 맞추고 그에 대처하는 능력 함양에 있으므로 이를 위한 방법으로 미래교육기법을 적용하였다. 인구교육 프로그램은 4차시의 수업과 고령화 체험학습으로 구성하였다. 1차시와 2차시는 지식 목표에 중점을 두었다. 1차시에서는 고령화의 의미와 수원의 인구를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다. 2차시에서는 인구 그래프와 인구 피라미드를 미래교육기법 중 추세외삽법을 적용하여 미래의 고령화 정도를 예측하도록 하였다. 그 후 진행된 3차시, 4차시 수업은 기능 목표에 중점을 두었다. 3차시에는 퓨처스 휠 법을 적용하여 고령화로 인한 수원의 변화 모습을 예측하게 하였다. 4차시에서는 시나리오법을 적용하여 모둠별로 고령화로 인한 수원의 변화를 시나리오로 작성하고 발표하도록 하였다. 4차시의 수업 후에는 고령친화종합체험관에서 고령화 체험학습을 실시하였다. 기존의 연구들에서는 주로 학교 내에서 인구교육이 이루어졌다. 하지만 고령화에 대한 학생들의 근본적인 가치관과 태도를 변화시키기에는 새로운 방안의 모색이 필요하였기 때문에 고령화 체험학습을 계획․실시하였다. 고령화 체험학습은 학생들이 교실에서 학습한 것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고령화에 대해 직접 몸으로 느끼는 과정을 거쳐 그 효과성을 검증할 수 있었다. 또한 고령화 체험학습은 학교 인구교육과 사회 인구교육의 연계와 통합을 추진하였다는 데에도 의의가 있다. 미래교육기법을 적용한 초등 사회과 인구교육 프로그램을 구안하고 적용한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고령화에 대한 지식의 이해가 신장되었다. 고령화 인구교육 프로그램 적용 전에는 대부분의 학생들이 고령화, 인구, 고령자 등 기본적인 개념조차 몰랐다. 하지만 인구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고령화에 대한 필수적인 내용을 이해하고 미래의 고령화에 대해 예측할 수 있는 수준까지 도달하였다. 그리고 더 의미가 있는 것은 고령화에 대한 이러한 지식의 이해가 교사의 일방적인 전달에 의한 것이 아니라 학생 스스로 생각하고 탐구하고 적용하는 과정을 통해 얻어진 이해라는 것이다. 둘째, 고령화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미래의 고령화 된 모습을 예측할 수 있게 되었다. 미래교육기법을 이용하여 자신이 살고 있는 지역이 고령화로 인해 어떻게 변화할 것인지를 예측을 하였다. 이를 통해 고령화를 막연하게 해결해야 할 인구 문제로만 인식하는 것이 아니라 미래에 충분히 일어날 법한 상황으로 여기는 생각을 갖게 되었다. 셋째, 고령화에 대하여 준비할 수 있는 능력이 신장되었다. 고령화로 인한 미래의 상황을 바탕으로 지금부터 어떤 것을 준비해야 고령화로 인한 미래의 변화에 큰 충격 없이 잘 살 수 있을지 예측하게 되었고, 그에 적절히 준비할 수 있는 방법을 깨닫게 되었다. 넷째, 고령자 및 고령화에 대한 가치관․태도의 변화를 일으켰다. 특히 고령자에 대한 가치관과 태도의 변화가 매우 컸다. 대부분의 학생들은 인구교육 실시 전 고령자에 대해 편안한 느낌을 갖고 있거나 또는 고령자에 대해 무관심한 태도를 지니고 있었다. 하지만 고령화 인구교육 실시 후에는 고령자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으로 바뀌어 원래부터 좋은 느낌을 지니고 있었던 학생은 더 좋아지고 존중해야겠다는 태도를 보였다. 그리고 무관심했던 학생들도 고령자에 대해 긍정적인 가치관을 드러냈다. 그리고 고령화에 대해서는 대부분 잘 모르거나 문제로 보는 부정적인 입장이었는데 고령화 교육 실시 후 고령화를 나쁜 것으로만 보지 않고 하나의 인구 현상으로 바라보는 태도를 보였다. 또한 고령화나 고령자를 학습으로 끝내고 머무르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문제로 여기고 이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적극적인 자세로 다가가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다섯째, 고령화 인구교육 프로그램은 학교 인구교육과 사회 인구교육의 연계․통합을 통해 교육 효과성을 신장시켰다. 고령화 인구교육 프로그램은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고령화 인구교육과 고령친화종합체험관에서 이루어지는 고령화 인구교육을 한 프로그램으로 구성하여 학교 인구교육과 사회 인구교육이 함께 이루어지도록 시도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리고 고령친화종합체험관 방문을 통해 고령화에 대해 잘 이해하게 되었다는 학생들의 공통된 반응으로 미루어 볼 때 고령화 인구교육의 효과성이 배가되었음도 확인할 수 있었다.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고령화 체험학습의 활성화와 절차의 간소화가 이루어지고 고령화 인구교육의 효과가 지속되기 위한 후속 프로그램의 구안이 꾸준히 이루어진다면 본 연구를 바탕으로 학생들이 인구와 고령화에 대해 관심을 가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미래사회의 교육 가치에 관한 연구

        권순영 강릉원주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미래사회의 교육 가치가 무엇인지 밝히고, 현재의 우리 교육이 이를 위해 어떠한 준비를 해야 하는지에 대한 답변을 찾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미래교육과 관련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창의적인 ‘인재육성’과 미래 기술이 접목된 ‘교육방법론’에 집중되어 있다. 교육의 미래는 단일한 인과에서 파생된 사회상의 ‘단편’이 아닌 과거-현재-미래의 유기적인 관계에서 복합된 요인으로 나타나는 사회상의 ‘총체’다. 따라서 미래교육에 관한 연구는 미래사회 전반에 걸쳐 예측되는 사회현상과 그에 따른 교육 전반을 살펴봐야한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Ⅰ장에서 미래교육의 필요성과 목적을 제시하고, Ⅱ장에서는 미래학자 Jacques Attali, Peter Ferdinand Drucker, Ray Kurzweil, Jeremy Rifkin, Alvin Toffler, 박영숙, 최윤식이 전망하는 미래의 모습을 분석하고, Ⅲ장에서는 미래사회의 기술, 인간, 지식, 교육의 변화에 주목하여 미래사회의 교육 가치를 도출하며, Ⅳ장에서는 밝혀 낸 교육 가치를 구현할 교육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미래사회와 미래교육과 관련된 국내외 단행본 및 학술논문을 고찰하는 문헌연구로 이루어졌다. 미래사회는, 미래기술(NBIT)이 사회의 모든 영역과 접목되면서 전 지구가 연결되는 ‘초연결’ 그리고 인간과 인간, 사물과 사물, 인간과 사물의 융합이 가능해지는 ‘초지능’의 특징을 보인다. 미래사회의 인간은 학업과 직업, 생존을 이유로 이동하며 끝없는 불안감 속에 직업유지를 위한 교육에 온 삶의 시간을 쓰며, 가상과 현실로 흩어져버린 정체성과 짧은 인간관계로 일상의 삶은 물론 생애의 삶이 급변하는 혼돈을 겪는다. 인류는 여지껏 부를 축적하고 진화하려는 욕망으로 부유한 자와 가난한 자 사이의 불평등을 인정하고, 자연파괴와 환경오염으로 다른 종을 멸종시키며 자신의 삶의 터전인 지구를 파괴해 왔다. 미래사회의 부가 지식과 기술에서 창출되기 때문에 미래사회에서도 자본과 기술의 헤게모니를 가진 소수는 기술진보를 이끌어나가며 부의 양극화를 심화시키고, 자원과 권력을 차지하기 위한 분쟁과 갈등은 전쟁으로 번질 만큼 극단화된다. 외모와 건강 그리고 영생에 대한 욕망으로 인간은 기계와 결합하며, ‘뇌와 컴퓨터’, ‘육체와 사물’이 연결된 초인간의 등장은 지능과 죽음의 한계를 극복하고 새로운 계급사회를 예고한다. 인간은 빅데이터나 인공지능 또는 기술 이면의 소수 권력자들에게 삶의 판단을 맡길 것인지 결정해야 하며 동시에 인간으로 실존하고 공동체에 적응해야하고, 불평등이 심화된 인간공동체와 소멸될 위기에 처한 생태공동체에서 서로 공존하는 방법을 찾아야 한다. 미래사회는 현재에서 준비될 수 있으며 미래에 대한 현재의 준비를 통해 미래는 보다 바람직하게 변화될 수 있다. 인류의 지속가능성 속에서 바람직한 미래의 모습을 미래세대와 연대하기 위해, ‘배움’, ‘삶과 시간’, ‘인간다움’, ‘관계’, ‘공동의 윤리’, ‘인간 간의 공존’, ‘자연과의 공존’, ‘자본과 부의 나눔’의 8가지 가치가 교육에서 강조되어야 한다. 이러한 미래의 교육 가치를 바탕으로, 새로운 지식을 생성하며 불평등을 완화하는 ‘지식 공유’, 직업이 곧 삶이 되는 미래에서 스스로 삶의 주인으로 서는 ‘진로가치’, 자아와 자와, 자아와 타자가 만남으로 성장하는 ‘의사소통’, 지엽적인 이득보다 인류 보편적인 가치를 위해 자율적으로 실천하는 ‘지구시민성’, 가이아의 지속가능이 곧 인류의 지속가능임을 깨닫고 자연과의 공존 노력을 해나가는 ‘환경 윤리’, 인간 간에 경계를 짓지 않고 이타와 공감의 본성을 끌어내는 ‘박애의 실천’을 교육해야 한다. 인간과 공동체를 위한 교육 가치를 찾고 실현하려는 미래교육은 인간의 실존과 공존을 도우며 미래세대에게 보다 바람직한 미래사회의 도래를 가정하게 해준다. 미래사회에서도 배움은 계속되며 미래를 준비하는 교육은 인간 내면의 자아와 만날 수 있도록 천천히 주체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혼자가 아닌 공동체를 통해 삶의 과정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A Study on Educational Values in the Future Society Kwon, Soon Young Department of Education Graduate School GangneungWonju National University Directed by Professor Cheon, Il-Kyoun Summar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swer the following questions: what should be core educational values in the future society, and what should be prepared to realize the values given the current educational context. Previous studies regarding future education were reviewed, and two major themes emerged from the reviews: creative human resources development and educational methodology using future technologies. The 'future' of education should not be defined as a 'piece' of society derived from a single causality, but it should be understood as a ‘whole’ of social phenomena and as a composite factor working in organic relations of the past, the present and the future. Therefore, study on future education needs to regard the social phenomena predicted by the future society and the whole education accordingly.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a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The literature included domestic and foreign monographs and academic papers related to future society and future education. In Chapter I, Ⅰ presented the necessity and purpose of future education. study Chapter II, I analyzed prospects of the future society by major futurists such as Jacques Attali, Peter Ferdinand Drucker, Ray Kurzweil, Jeremy Rifkin, Alvin Toffler, Park, Young Sook and Choi, Yoon Sik. In Chapter III, I extracted the core educational values for future society from the literature review in particular consideration of changes in technology, human, knowledge. In Chapter Ⅳ, educational methods were examined to realize the educational values. Future society is characterized by 'hyper connectivity' in which future technology(NBIT) is connected with all spheres of the society, and 'super intelligence' which enables fusion of human and A.I. Humanbeings in the future society are expected to migrate frequently for their study, occupation and survival. Humanbeings are also expected to use educational systems in order to maintain their careers and to reduce anxiety of losing their jobs. Human identity is expected to disperse both in the digital world and the real world. The dispersed identity will create sufferings from chaos in the human’s daily lives. Humanbeings’ desires for wealth and evolution have forced them to accept inequalities between the rich and the poor. As a result, the world suffers from various global problems such as destruction of the Earth, the home of our lives, destruction of ecosystem, serious environmental pollutions, and various species extinction. In the future society, capital and technology will become hegemonic: a limited number of technocapitalist will lead technological progress, intensify polarization of wealth, and add struggles and conflicts, and end up with wars to occupy more resources and powers. Humans’ desires for better appearance health, and eventfully eternal life will lead to efforts to enhance humanbeings with assistance of machines. The ‘Super human’ or ‘Post human’ connected with ‘brain and computer’ is expected to overcome the limits of the present human intelligence and death. These whole changes prospect creation of a new class society. Also humanbeings have to judge whether to give decisions on our lives to big data, artificial intelligence or the hegemonic powers behind technology. At the same time, the Humanbeings should do efforts for adaptation in a community: they are required to find a way to coexist with other people in the inequalized human community and with other species in the endangered ecosystem. Regard of all these concerns, one can prepare the future society through the present preparation for the future. The present researcher suggested eight values for better preparation of the future society: ‘learning’, ‘life and time’, ‘humanitas’, ‘relationship’, ‘common ethics’, ‘coexistence with nature’ and ‘sharing of capital and wealth’. Those values ask the educators and learners 1) to create knowledge that alleviates inequality and help growth by ‘knowledge sharing’, 2) to set their ‘career value’ in reaching own lives, 3) to meet self and inner self, self and others by deep and slow ‘communicating’ 4) to do autonomous for the universal value of humanity than the local benefits by keeping ‘holistic citizenship’, 5) to realize Gaia's sustainability of mankind by adhering to ‘environmental ethics’, and 6) to draw ‘the practice of philanthropy’ breaking down prejudices and boundaries by empower empathy. The study on future education is expected to help finding and realizing the educational values for humanbeings and communities in the future society. Such efforts also contributes to find more appropriate educational settings for future generations. Learning continues in the future society. Education preparing for the future should constantly meet the inner self of human, as a result of living in a community and an ecosystem, but not stand alone.

      • 앨빈토플러의 미래관과 교육관에 관한 연구

        송영래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ursue a direction to cultivate humans who can properly cope with the future society. For this end, this study conducted a literature research by analyzing and arranging the social changes, and the problems of future education demonstrated in such typical books of a futurologist, Alvin Toffler (1928- ), as "Future Shock(1970)," "The Third Wave(1980)," "Power Shift(1990)," and "Revolutionary Wealth," identifying Korean society's educational problems, and looking for implications of the future education. The study propositions set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1. Looking into the features, characteristics and changes of the future society proposed by Alvin Toffler. 2. Investigating the problems and their solutions of the current education problems in Korea and to find solutions suggested by Alvin Toffler. 3. Identifying implications of Alvin Toffler's future education to education system in Korea. The solutions for all those propositions mentioned above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hyper-agriculture will be created, and innovative changes will occur in the bio industry in the future. Non-waged third occupation will appear by the influence of prosuming activity, creation of individual wealth, converting monteary economy into non-monetary economy, and the capability to filter out non-useful knowledge will decide wealth. Various cultural experiences will be built up through the Internet, and play-culture will be established as the future culture. Second, a variety of motivations should be provided, so that learners can develop their own potential abilities to shift from uniform and standardized education in the industrial age to creative thinking power needed to be nurtured through self-driven learning. Also, the ability to use information, communications equipment, and fluent usage of foreign languages, especially, English and Chinese are necessary. Creative and productive and prosumer-cultivating education needs to be provided using students' curiosity and learning abilities to the fullest, based on various educational methods and material utilization. Third, what is needed in the knowledge and information society, intangible asset, such as time, space and knowledge are needed. Although industrial education in which factory-type of humans were educated was focused in the Second Wave age, the future society will nurture creative people. Learning individual differences should be interestingly and efficiently carried out so that students can develop potential abilities, and also basic learning for life-long education needs to be undertaken. Teachers who educate students should constantly research new teaching methods, and as a role of learning information administrator, curriculum operator, and as a guide for individual and group learning of student so that they could adapt to society and to bel leaders in future. The future society is the era of changes and revolution, and also it is a knowledge-based society. Our society will become diversified, dispersed, individualized, anti-popularized, and anti-centralized. Prosuming will be crated through revolutionary changes of time, space, and knowledge. Subsequently, prosuming will change the economy, and our life styles. Prosumer education learned at home will create invisible wealth in monetary economy, and teachers need to undertake customized education suitable for the cultivation of talents desired by corporations through scientific and systematic teaching and guidance.

      • 소규모학교의 지속가능을 위한 공간혁신 교육효과 분석 : 경상북도를 중심으로

        권순철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학령인구 감소와 미래교육 전환 시대에 소규모학교에서 시행 한 공간혁신사업 결과 미래사회에서 필요로 하는 창의성 및 인성 함양, 협력적 소통 역량 강화 등의 교육적 효과와 지속가능성에 대한 학생과 교직원의 인식 정도를 확인하고 향후 소규모학교 공간혁신사업의 바람직 한 추진방향을 제시하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하여 연구 문제를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첫째, 소규모학교에서 미래교육에 대응할 수 있다고 인식하고 있는가? 둘째, 소규모학교에서 공간혁신 전(前)과 후(後)를 비교할 때 어떤 교육 적 효과가 있다고 인식하고 있는가? 셋째, 소규모학교에서 공간혁신 또는 공간변화를 통한 교육적 효과가 지 속가능할 수 있다고 인식하고 있는가? 본 연구 문제 분석을 위해 2020. 3.∼2023. 3.까지 경북교육청의 “영역단위 공간혁신 사업” 및 “경북형 학교공간만들기 사업”을 수행한 16개 소규모초 중,고등학교의 학생 228명 및 교직원 193명을 대상으로 미래교육체제, 학 교공간 변화와 학교교육 상관 관계, 스마트 환경, 공간정책 등 4가지 영 역에 대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초등학교 1교, 중학교 1교, 고등학교 1 교의 업무담당 교직원 6명과 도교육청 업무담당 장학사 1명 등 총 7명을 대상으로 공간혁신사업의 교육적 효과, 개선점 및 공간혁신에 대한 의견 등 면담을 통해 확인한 사례조사를 실시한 연구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첫째, 소규모학교가 개별화 및 특색있는 교육과정 운영, 디지털 전환에 따른 스마트교육 환경 구축, 미래지향적 학교공간의 구성 및 활용 등의 요소들이 잘 이루어진다면 미래교육에 대응할 수 있다는 인식이 ‘4.0(그 렇다)’이상의 높은 수준으로 측정되었고. 사례조사 결과 공간 재구조화는 학교의 특성을 반영한 공동수업, 동아리 및 문화예술 활동, 놀이활동을 활성화하고 학교생활의 재미와 즐거움 등 만족도를 높였다. 소규모학교 에서 공간 재구조화를 바탕으로 유연하고 특색있는 교육과정을 운영함으 로써 미래사회와 교육에서 필요로 하는 창의성 및 인성, 협력적 소통 등 의 역량을 갖춘 미래형 인재를 키워나가는 데 역할을 할 수 있고 미래 교육에 충분히 대응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기존의 소규모학교 공간을 미래지향적으로 재구조화하는 방향으로 전환하는 것이 바람직해 보인다. 둘째, 소규모학교 공간혁신 전(前)과 후(後)를 비교하여 살펴봤을 때 여 러 가지 요인들에서 공간혁신의 교육적 효과가 있다고 나타났다. 설문조사와 사례조사 결과를 종합해 보면 소규모학교 공간혁신은 ①개인 별 창의성과 긍정적 인성 함양, 토의·토론 등 협력적 소통 역량 향상 등 학생 개별적인 역량 측면과 ②학교생활의 재미나 즐거움 및 학업에 대한 흥미, 사회적 관계 등 학교생활 만족도 측면에서 향상되는 등 크게 2가지 측면에서 교육적 효과는 분명히 있음을 알 수 있다. 다만, 모든 공간혁신 결과가 학교교육 및 학생생활 전반에 긍정적이고 유의미한 결과가 있는 것은 아님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에서 보듯 공간혁신이 학교환경과 여건에 적합하고 효율적으로 운영될 때 학교별로 설정한 교육목표와 기 대하는 교육적 효과를 거둘 수 있다고 보여진다. 따라서, 공간혁신의 교 육적 효과를 위해서는 각 학교 고유의 교육 환경이나 제반 여건을 먼저 분석하는 정책적 검토가 필요해 보인다. 셋째, 학교공간 혁신, 그린스마트스쿨, 학교복합시설 등 학교공간 변화 정책의 교육적 효과에 대한 인식은 평균 4.19점으로 ‘그렇다(4점)’보다 높 게 나타나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있다. 또한, 사례 조사에서 학교공간 혁 신이 각 학교의 교육적 환경과 특색에 적합하고, 이를 적절히 활용할 수 있는 교육활동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진다면 미래지향적이면서 지속가능할 수 있다고 보았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는 학령인구의 급격히 감소와 디지털전환·AI 등 새로운 시대와 사회 변화 속에서 소규모학교를 미래형 교육공간으로 재구조화하고 이를 적절하게 운영하는 것은 소규모학교를 지속가능토록 하는 새로운 대안이라고 생각한다. 따라서, 이러한 미래 교육환경을 위해 ①학교환경 분석 ②교육과정과 연계한 공간혁신 계획 수립 ③적정한 예 산 확보 ④관리자의 리더십 및 구성원의 의지 등이 매우 중요한 요소라 고 볼 수 있다. 또한, 인구 및 지방 소멸 대응과 대규모 국가 예산이 투 입되는 점을 고려한다면 학교공간 혁신이 교육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지속가능한 공간으로 바뀔 수 있도록 사업계획, 추진 방법 및 절차에 대 한 검증과 개선 노력을 계속적으로 시도할 필요가 있어 보이며, 정부 또 는 교육청에서 의욕적으로 추진한 공간혁신 사업이 단순한 시설환경에 머물지 말아야 한다는 점은 심도있게 고민해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