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요목조문화재의 재난안전도 평가에 관한 연구

        신호준 강원대학교 방재전문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7807

        문화재는 인류 문화 활동의 소산으로 예술, 과학, 도덕, 법률, 경제, 민속, 생활양식 등에서 문화적인 가치를 지니고 있는 것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이러한 문화재를 각종 재난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전 세계적으로도 문화재보전에 관한 사항이 대두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2005년 양양산불로 인한 낙산사 소실과 2008년 국보 1호 숭례문 방화사건 이후 목조 문화재 재난관리에 대한 미흡한 대응이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었다. 그러나 현재까지의 문화재 재난관리 대책은 단기간에 집중적으로 진행하는 성격을 띠고 있으며, 문화재 특성과 재난관리 단계별 업무 및 특징이 반영되지 않는 등 다양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목조문화재 중 국가지정 중요목조문화재 168건(2013년 기준)을 대상으로 재난관리 실태조사를 실시하였다. 실태조사를 통하여 도출된 재난관리 요소는 인적, 시설적, 환경적요소 세 가지로 구분하고 이에 대한 세부 항목을 설정한 후 각각의 요소에 대하여 전문가 AHP조사를 통하여 가중치를 설정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종합안전도 평가를 실시하여 종합안전도 평가(인적+시설적+환경적요소) 결과와 노출도(관광객수)를 고려하여 그룹별 재난관리 특징과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그 결과 궁궐문화재의 재난안전도가 타 문화재 유형보다 높았으며, 인적, 시설적인 요소부분에서 가장 안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고가문화재와 사찰문화재는 상대적으로 안전도가 타 문화재 유형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종합안전도는 현장위험요소와 노출도(관광객 등 외부유입)를 분석하여 총 네 가지 유형으로 그룹을 분류하였다. 1그룹은 현장위험요소와 노출도가 낮아 비교적 안전한 그룹, 2그룹은 현장위험요소가 낮은 반면 노출도가 높아 방화나 훼손, 도난 등의 재난발생 가능성이 있는 그룹, 3그룹은 현장위험요소가 높은 반면 노출도가 낮은 그룹, 4그룹은 현장위험요소와 노출도 모두가 높아 가장먼저 재난발생가능요소 저감이 시급한 그룹으로 정의하였다. 문화재 종합 안전도 평가 결과, I그룹은 전체 30%이며 전주 풍남문 외 43개소가 분포하고 있으며, II그룹은 전체 22%로 서울 경복궁 외 32개소가 분포해 있다. III그룹은 전체 41%이며 안동 임청각 외 59개소가 분포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IV그룹의 비율은 7%이며, 청도 운문사 외 10개소가 이에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문화재 재난관리 요소별 개선사항을 다음과 같이 도출하였다. 인적요소의 개선사항으로는 재난관리 전반을 이행하고 지정문화재의 특징을 고려한 재난관리계획을 수립할 수 있는 역량을 지닌 자를 소방안전관리자로 선임하여, 재난관리 업무 및 역할에 대한 사항을 정립할 필요가 있다. 문화재 재난관리를 위한 자체적인 대응이 어려운 경우, 또는 이상조짐이 보일 경우 신속하게 외부 기관에게 연락을 통해 대응을 할 수 있도록 재난관리 비상연락망을 비치해야 한다. 특히 관할 소방서 및 시군구 문화재담당 등에게 신속하게 연락할 수 있는 연락처를 상황실이나 초소에 비치하여 신속하게 연락할 수 있는 체계를 마련해야 한다. 비상연락망은 문화재 안전경비인력과 소방안전관리자 뿐만 아니라 문화재시설을 활용하는 방문객 등 누구나 이를 활용하여 연락할 수 있도록 다양한 곳에 비치하여 신속한 대응을 실시할 수 있도록 마련해야 한다. 시설적 요소의 개선사항으로는, 방재시설 적정 성능의 경우 각 시설별 성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지속적인 성능검사를 실시할 수 있도록 지침을 마련하여 최소한 1개월 1회 점검을 실시할 수 있도록 여건을 마련해야 한다. 또한, 문화재의 부지면적, 수용인원(활용도), 문화재의 재료, 위치 등 특성을 고려한 기준마련이 검토될 필요가 있으며, 방재시설을 설치할 경우 문화재와의 어울림을 고려한 채색, 재료, 적정위치에 대한 사항이 검토되어야 한다. 문화재 재난관리의 환경적요소에 있어서는, 소방차 진입로에 대한 기준으로 소방차 전용도로를 구축하여, 신속하게 접근할 수 있는 환경적 여건이 요구된다. 이에, 소방차 진입로는 2방향 이상을 권장하고 2방향 모두 5m 이상의 도로를 확보해야 한다. 또한, 문화재 주변의 방화수림에 대한 조성 기준을 마련할 필요가 있으며, 문화재 인근 위험시설 및 위험물의 특징에 맞는 유지관리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 登錄文化財 建築物의 再使用을 위한 室內 디자인 硏究 : 제 11호 太平路 舊 國會 議事堂의 再使用 計劃案

        정문희 弘益大學校 建築都市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7807

        한국 근대사는 전통과 현대를 잇는 가교적 역할을 하는 시기이며, 한국사에 한 획을 긋는 중요한 역사적 시기이다. 이 시기의 한국 근대 건축물에 대한 재조명과 정당한 가치를 부여하는 일에 대한 노력은 등록문화재(2001. 3. 28/7.1일 시행)를 도입하기에 이르렀다. 등록문화재는 문화재의 보존과 함께 자유로운 활용이 가능하다. 외관을 크게 변화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내부를 우리의 일상생활에 맞게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이러한 새로운 개념의 등록문화재의 보존과 활용에 대한 관심과 기초적인 자료 수집이 연구되고 있으나, 등록이후에 어떻게 활용 할 것인가에 대한 구체적인 실내디자인 방법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등록문화재 건축물의 역사성, 연속성, 다양성, 장소성의 가치를 보존하면서, 현대사회의 필요에 따라 조화롭게 변화하여, 미래의 공간으로서 활용하는 개념을 재사용으로 정의하고, 적절한 재사용하기 위한 실내디자인 계획안을 제시하고자 다음과 같은 절차와 방법으로 접근하였다. 제1장에서는 본 연구의 배경. 목적을 밝히고 연구의 범위 및 방법을 기술하고, 제2장에서는 등록문화재 제도의 고찰과 현재 등록된 44건의 등록문화재 현황을 알아봄으로서 재사용의 필요와 요구를 파악하였으며, 등록문화재 건축물 재사용을 위한 요인과 범위, 방법 등을 분류하여 고찰하고, 제3장에서는 등록문화재 건축물의 문헌 사례조사를 통하여 재사용을 위한 실내디자인 방법을 연구, 분석하여 재사용을 위한 실내디자인 프로세스를 제안하고, 제4장에서는 사례분석을 통해 제안된 재사용을 위한 실내디자인 프로세스를 적용하여, 등록문화재 제11호인 태평로 구 국회의사당 (우리나라 최초의 시민회관이었던 경성부민관)을 지역사회의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도록 종합관광안내 정보센터로 재사용을 전제로 하여 실내디자인 계획안을 제시한다. 마지막 장인 제5장에서는 본 연구의 종합적인 결론과 후행 연구를 위한 제언으로 연구를 전개한다. 위의 연구와 작품계획에서 살펴본 바 등록문화재에 등록된 44건의 건축물 가운데 재사용이 필요한 건축물이 13건이나 되고 대부분 국가소유의 건축물이었다. 이에 재사용 되어야 할 건축물이 주로 도심지에 위치하고 있고 일반인에게 공개, 관람 등을 목적으로 하는 사용이 요구된다는 점을 고려해 볼 때, 21세기 관광한국을 만들기 위해 추진되고 있는 종합관광 정보센터 추가계획에 이를 활용하는 것이 적절하다는 결론에 이르렀다. 종합관광 정보센터로의 활용은 재사용의 의의를 살리고, 운영의 효율적 측면에서 타당성을 갖는다. 이 연구는 등록문화재 사용자들의 권리와 편의를 도모하고, 더 나아가서는 역사성과 문화적 가치를 간직한 문화재들을 관광자원화 함으로써 지역사회의 활성화를 위한 자료를 제시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This research aims to propose concrete ideas for the interior designs of the modern architecture registered under the Cultural Properties Registration System. It deals with how to plan the remodeling program of the antiquated modern buildings and how to utilize them. The interior design plan presented in this research is based on the term, Utilization. The term means that the protection of the original values of the architecture is essential and the harmonious change of the modern architecture is crucial to meet the need of our time and the future. The Cultural Properties Registration System was in force with the revision and the official announcement of the Cultural Properties Protection Act on July 1, 2001. As of September 13, 2002, there were 44 registered buildings. Among them, 13 buildings have not been used even though they are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city. The registered buildings requiring the utilization process are the government-owned industrial and military facilities. Mostly, they need to be open to the public including religious, educational, and social groups. For the effective utilization of the registered cultural properties, more positive view on the modern architecture constructed during the Japanese rule is needed. The architecture that lost its function in the central city should be recognized for its value again with the more preservation oriented understanding rather than the development oriented one. The appropriate interior design to reuse the registered architecture should be planned as follows. First, thorough investigations should be performed to decide the standard time of the preservation and the scope of the utilization plan. In addition to the evaluation of the historic, architectural, and economic value of the architecture, the current need should be considered. Secondly, the scopes of the utilization are categorized as follows based on the degree of the exterior preservation, A. External preservation with interior repair, B. Entire preservation of the exterior with a new extension and remodeling, C. Partial preservation of the exterior with a new extension and remodeling, D. Entire restoration of the exterior to the original state. The work should be performed not just to preserve the physical condition of the architecture but to protect the exterior feature of the architecture and its relation with the surrounding area. Thirdly, the interior design should have a creative usage considering the spatial, decorative, and visual elements. In developing the image of the interior design, it is important to consider that the relation of the interior with the exterior is homogeneous or heterogeneous. In other words, the design for the existing architecture should bring out creativeness in connection with the spatial, decorative, and visual context. Based on the planning process for the reuse of the registered architecture explained above, this research proposes a utilization plan for the National Assembly building on Taepyeong-no (registration number 11) owned by the city of Seoul, The building, currently used by the Seoul city assembly, is old and decrepit and needs an appropriate reuse plan to recover its landmark fame on the Taepyeong-no street. For this building, an integrated information center for tourism is proposed that connects the city hall plaza, the culture and tourism belt, and the walking tour course based on the Vision Seoul 2006, the 4-year master plan for municipal policies. This proposal aims to preserve the architectural values of the old National Assembly building and its symbolic meaning as a first gathering space for the citizens. The place can be reborn as an open space facing the whole world. The Cultural Properties Registration System caused the change in the preservation method of architecture that started in 1962 with the Cultural Properties Protection Act. In other words, the old method of preserving the original state of architecture, the so- called museum style preservation, has converted to the creative preservation method that accepts the idea of practical use of architecture. Along with this, the cooperation and involvement of the local community for the preservation of the cultural properties should be gained, and the continuous study and research to obtain more information for the interior design should be performed.

      • 불법 유출 문화재 반환에 관한 국제법적 고찰

        이강숙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247807

        문화재는 문명과 민족문화의 근본요소의 하나를 이루며 그 참된 가치는 역사 및 전통적 배경에 관한 모든 정보와 관련하여서만 평가될 수 있고, 다시는 복구될 수 없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2차 세계대전 이후 탈식민지화의 과정에서 논의되고 있는 문화재의 원소유국으로의 반환문제는 문화재를 민족의 문화유산 개념으로 파악하느냐, 인류의 공동유산 개념으로 파악하느냐의 대립이었다. 민족문화유산의 개념은 한 국가 내에서 만들어진 문화재 또는 그 국가 내에서 최초로 발견된 문화재는 그 국가의 소유라는 의미이다. 이 개념에는 그 문화재와 민족간에는 '특별한 관계'가 성립한다는 원칙과 '국가주권'의 개념이 내포되어 있다는 원칙이 제시되었다. 특히 식민지 상황에서의 문화재의 양도는 현 문화재보유국들에 의해 합법적인 것으로 간주되고 있는데 이에 대해 신생독립국들을 비롯한 비동맹국가들의 반격이 바로 UN 총회에서의 결의 형식 등으로 드러나게 되었다. 1970년대에 UN 총회에서 논의된 식민지배 또는 무력충돌 시의 문화재 유출에 대한 반환은 부분적으로는 현 문화재보유국과 반환청구국간의 지속적인 교섭과 협약체결로 성공적으로 이행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대부분의 현 문화재보유국과 신생독립국간의 문화재의 반환문제는 소급효가 인정되지 않는 현재의 국제협약의 적용범위 밖의 사항들이기 때문에 문제 해결에 어려움을 주고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전제 위에서, 먼저 문화재의 반환에 관한 국제법적 관행들을 역사적으로 고찰하였다. 전시 문화재의 보호에 관한 국제사회의 규제사항이 등장한 20세기를 기준으로 그 이전까지의 문화재 반환에 관한 국제사회의 관행 등을 살펴보고 무력충돌시 또는 군사 점령시의 문화재는 원칙적으로 반출되거나 이전될 수 없음을 부각시키고자 하였다. 1·2차 세계대전의 전후처리 과정에서는 약탈된 문화재의 원소유국으로의 반환을 이행시킨 현 국제사회의 국제법적 규범화 노력을 중점적으로 고찰하였다. 이어서 UN 총회결의 내용의 변화에 따른 문화재 반환의 해결방법, 즉 UNESCO의 전문가위원회, 정부간위원회 등과 국제박물관 위원회의 특별위원회 등이 제시한 다양한 프로그램들을 국가간의 현실적 관행과 비교하면서 고찰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대표적 국가간의 문화재 반환 사례를 통하여 현실적으로 실현가능한 반환의 해결방식을 소개하였다. Cultural property constitutes one of the basic elements of civilization and national culture, its true value can be appreciated only in relation to the fullest possible information regarding its origin, history, and traditional setting. And it has a characteristic feature that can't be restored easily. The return of cultural property to its countries of origin that has been discussed in the context of decolonization since world war Ⅱ, has raised the collision of the concept of cultural property between 'national cultural heritage' and 'the common cultural heritage of mankind'. The concept of national cultural heritage views cultural property produced within a state or first discovered within a state as belonging to that state. This doctrine is based on the special relationship between a people and its cultural property and the notion of state sovereignty. Especially, cultural properties removed during colonial period are often regarded as legal transfer by the holding states. The newly independent states, however, have strongly resisted this argument, making many resolutions in the United Nations General Assembly placing emphasis on the core of the problem. After the discussion at the UN General Assembly in the 1970's, the return of cultural property illegally removed during colonial rule or military occupation, has been, even if partly, applied through the possessory states and the requesting states. But most of issues on the return of cultural property between the holding countries and the requesting countries are not covered by the present international convention provisions which do not provide for the retroactive effect. It may be termed an 'extra-convention matters'. This makes it very difficult to resolve the substance of the subject. Under this context, this study, above all, investigates historical practices for the return of cultural property in international law. So I wanted to show that the cultural property removed in the event of armed conflict or under the foreign military occupation should not be exported or transferred with the investigations of the international practices for the return of the cultural property before the beginning of this century when appeared the international standard about it. And then I'm concerned with the international community's endeavours to restore the plundered cultural properties to its countries of origin. To solve problems for the return of cultural property in the post-world war Ⅰand Ⅱ, this study investigates various programs, following the change of the resolution of UN General Assembly, presented by special committee of UNESCO, IGC, and ad hoc committee of ICOM with the real practices performed among the countries. With investigating the representative cases of the return of cultural properties among the related countries, I wanted to propose the actually possible solutions for the return of cultural property.

      • 문화재 관리에 관한 정책네트워크 분석 : 경복궁 보존, 관리 및 활용 사례를 중심으로

        심재선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우리나라 문화재 관리에 관한 정책과정을 정책네트워크 이론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문화재관리는 일반적으로 문화재의 보존, 관리 및 활용 세 분야로 구분함에 따라 이 연구에서는 수도 서울의 대표적 문화재인 경복궁의 복원정비, 공개 그리고 궁중문화행사를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경복궁 복원정비, 공개 및 궁중문화행사 정책네트워크의 동태적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정책결정과정과 함께 정책집행과정도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먼저 경복궁 복원정비, 공개 및 궁중문화행사에 영향을 미친 정책환경을 정치경제적, 사회문화적, 그리고 지리적 환경으로 구분하여 고찰하였다. 이어 경복궁 복원정비, 공개 및 궁중문화행사는 어떻게 이루어졌는지 실태를 분석하였다. 위의 세 분야의 정책네트워크에 대해서는 핵심적 구성요소인 정책참여자, 정책참여자간의 상호작용 및 정책네트워크의 관계구조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경복궁 복원정비, 공개 및 궁중문화행사의 정책네트워크에 대해 정책환경, 정책네트워크 구성요소 및 행정제도 등을 분석변수로 삼고 종합적으로 비교분석하여 공통점, 차이점 및 문제점을 파악하였다. 이러한 비교분석결과 나타난 정책네트워크의 특성을 토대로 경복궁 관리에 관한 정책적 시사점을 파악하였다. 이와 같은 분석과정을 통해 향후 경복궁의 효과적 관리에 필요한 정책네트워크의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분석결과 경복궁 관리 정책네트워크에 관하여 다음과 같은 사항을 요약정리 할 수 있다. 첫째, 경복궁 복원정비, 공개 및 궁중문화행사를 효율적으로 추진하려면 정부기관은 단독으로 정책을 결정하고 집행할 수 없음으로 타 정책참여자들의 자원을 지원받아야 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둘째, 중앙정부의 정책결정과정에 지방자치단체, 전문기관 및 단체 등의 협력이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대표적 사례로 경복궁 광화문의 원위치 복원은 서울시의 광화문광장 조성, 광화문 앞 도로의 선형변경 등이 이루어짐에 따라 가능하였다. 셋째, 경복궁 복원정비는 정부의 확고한 정책목표를 달성하려는 의지에 의하여 추진되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광화문 제자리 복원은 대통령 비서실, 국무조정실 등 정부의 상부기관에서 관계기관간 업무협의를 주도하여 이루어졌다. 넷째, 경복궁 공개와 궁중문화행사의 정책네트워크에 민간부문의 비공식적 정책참여자가 적은 경우 정책효과가 미흡하게 나타났다. 즉 경복궁관리소는 경복궁과 한정된 인력, 예산 등 자원을 가지고 경복궁 관람인원의 증가, 충분한 관람서비스 제고 및 궁중문화의 보급선양을 추진하는데 한계가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다섯째, 정책네트워크의 정책참여자의 수와 정책참여자들간의 상호작용에 따라 경복궁 관리의 정책결정과 정책집행이 원활하게 추진되었음을 확인하였다. 경복궁 복원정비 정책네트워크에 정부기관, 지방자치단체, 민간의 전문단체, 문화재 수리업자 등 다양한 정책참여자가 다수 참여하였고, 상호작용이 활성화됨에 따라 광화문 복원이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결론적으로 경복궁 복원정비, 공개 및 궁중문화행사의 정책과정은 정책네트워크에서 가장 핵심요소인 정책참여자들의 수와 역할이 중요한 영향력을 행사하였다는 특성을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문화재 관리정책은 정부기관 외에 현대사회에서 중요한 위치와 자원을 소유하고 있는 민간 및 전문부문의 정책참여자들이 다수 참여하여야 정책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한편 본 연구는 마지막으로 향후 경복궁의 효율적 관리를 도모하기 위한 정책네트워크 개선방안을 제시함으로써 문화재 관리정책에 대한 새로운 발상의 전환을 시도한 의미가 있다고 본다. This study analyzed the policy-making process of our cultural heritage through the policy network theory. Generally, management of cultural heritage is divided into the three fields, such as conservation, management and promotion of cultural heritage, and thus this study selected restoration & improvement, opening and court cultural events of Gyeongbokgung Palace which is a representative cultural heritage of the South Korea's capital, Seoul for its analysis. This study also analyzed policy execution process together with policy-making process in order to grasp the dynamic actual conditions of the policy network for the restoration & improvement, opening and court cultural event of Gyeongbokgung Palace. This study first considered the policy environment, which affected the restoration & improvement, opening, and court cultural events of Gyeongbokgung Palace, by dividing them into political & economic, socio-cultural, and geographical environment. In addition, this study made an analysis of the actual conditions to look into how the restoration & improvement, opening and court cultural events of Gyeongbokgung Palace were made. As for the policy network for the three fields, this study analyzed the relational structure of the essential components, such as participants in policy-making process, interaction between policy-making participants, and policy network. This study grasped the common points, differences, and points at issue, etc. by comprehensively comparing & analyzing the policy network for restoration & improvement, opening and court cultural events of Gyeongbokgung Palace while setting policy environment. policy network components and administrative system, etc. analytical variables. On the basis of the characteristic of policy network coming out of such a comparison & analysis, this study grasped policy-based implications concerning the management of Gyeongbokgung Palace. This study proposed an improvement plan for policy network needed for effective management of Gyeongbokgung Palace later through the analysis process like this. This study, based on analysis results, can wrap up the policy network for management of Gyeongbokgung Palace into the matters as follows: First, this study confirmed the point that the Government agency have to supported with other policy-making participants' resources to effectively promote the restoration & improvement, opening and court cultural events of Gyeongbokgung Palace because they cannot make a decision on or execute policies single-handed. Second, this study could confirm that there needs to be a cooperation on the part of local autonomous entity, professional institutions and organizations in the process of policy-making decision. As a representative case, the restoration of Gyeongbokgung Palace to its original location was made feasible with the development of Seoul city-led Gwanghwamun square and alteration to line shape of the street in front of Gwanghwamun, etc. Third,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restoration & improvement of Gyeongbokgung Palace was promoted by the government's determined will to achieve policy goals. Particularly, the restoration of Gwanghwamun to its original place was done by the top governmental agencies like the Presidential Secretariat and the Office for Government Policy Coordination which took the lead in business consultation with the departments involved. Fourth, this study discovered that there appeared insufficient policy effect in case there were a small number of unofficial participants in policy-making on the private sector in policy network for the opening of Gyeongbokgung Palace and court cultural events. In short, this study could confirm that there was a limit for the management office of Gyeongbokgung Palace to promote the increase in the viewing number of the people, increase in sufficient viewing service and propagation & enhancement of court culture with restricted manpower, budgets and resources. Fifth, it was found that depending on the number of the policy-making participants in policy network and interaction between policy-making participants, the decision on policies and policy execution in relation with the management of Gyeongbokgung Palace were smoothly promoted. Actually, there were a variety of policy-making participants in policy network for restoration & improvement of Gyeongbokgung Palace including governmental agency, local autonomous entity, private professional organizations, and contractors to undertake renovations, etc. and it was found that restoration of Gwanghwamun was made available according to the revitalization of interaction. Conclusively, this study could have a seize on the characteristic that the most essential elements in policy network- the number & role of policy-making participants- exercised vital influence to the policy process of the restoration & improvement of Gyeongbokgung Palace, its opening and court cultural events. In addition, this study confirmed that it's only when policy-making participants of private & professional sectors, who are possessed of key posts and resources in modern society, are involved in large numbers besides the governmental agencies that the management policy of cultural heritage could augment its policy effect. Lastly, this researcher thinks that this study has a significance in that it attempted a new change of conception concerning management policy of cultural heritage by suggesting the improvement plan for policy network with the aim of fostering effective management of Gyeongbokgung Palace from now.

      • 목조건축문화재의 지진위험을 대비한 방재시스템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이현성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7807

        목조건축문화재의 지진위험을 대비한 방재시스템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이 현 성 명지대학교 대학원 건축학과 지도교수 김 왕 직 2016년과 2017년의 지진으로 한국에서는 지진에 대한 안전문제가 큰 사회적 문제로 제기되고 있다. 이 두 지진으로 인해 많은 문화재가 동시에 훼손이 되었으며, 문화재의 지진에 대한 안전성을 생각해 보는 계기가 되었다. 그동안 우리는 문화재를 보수하고 보존하는 정책을 우선으로 삼아왔다. 문화재라는 특수성으로 지진을 대비한 방재시스템을 적용하는 데에는 상당한 어려움이 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다양하고 복합적인 재난발생으로부터 문화재의 진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법‧제도, 재난관리 조직, 구조보강 기법의 개선이 필요한 시점이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의 지진에 대한 문화재의 안전성을 검토하였다. 한국의 지진위험성을 검토해본 결과 지진의 발생횟수와 규모가 최근들어 점점 커진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지진으로 이한 피해는 진앙의 거리와 연관성이 있는데 진앙의 위치와 문화재의 분포현황이 거의 일치하여 지진으로부터의 예방이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한국의 지진위험에 대비한 방재시스템의 개선을 위해서 한국과 외국의 법제도, 방재 담당 기관의 조직체계, 구조보강기법 현황을 분석하였다. 한국과 외국의 법‧제도를 비교해 보았을 때의 한국의 재난관련 법률에 있어서의 문제점은 크게 2가지로 나타났는데 관련법률의 세분화와 문화재를 위한 방재관련 법적 기반 미비에 있다. 방재조직체계를 비교해 보았을 때 재난관리의 문제점은 크게 세가지로 나타났다. 첫째는 가장 핵심이 되는 재난관리 조직의 문제점은 사고와 재난의 유형별로 관리업무가 분산되어 있다는 것이다. 둘째는 한국의 재난관리조직의 전문성에 대한 문제점으로 소방조직을 제외하고는 전문성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는 재난관리 전문인력의 양적‧질적 부족의 문제이다. 구조보강기법에서는 외국의 경우 예비단계에서부터 면밀한 점검과 피해에 따른 조사를 바탕으로 재해를 예방하는 기술을 적용하고 있는 반면 한국의 문화재에 대한 구조보강은 예방적 측면에 비해 피해에 따른 복구의 성격에 맞춰 이루어온 문제점이 을 확인하였다. 이상과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방재시스템의 개선사항은 아래와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관련 법‧제도의 통폐합의 필요성이다. 한국의 재난관리에 대한 법‧제도를 살펴본 결과 지나치게 세분화 되어 있어 복합적인 재난에 대한 대응에는 미흡한 실정이다. 둘째, 재난관리조직의 명확한 체계별 역할분담의 필요성이다. 재난의 대응체계를 재난 발생전 예비단계, 재난 발생시 대응단계, 재난 발생후 복구단계로 나누어 보았을 때, 현재의 시스템 에서는 각 조직이 이 모든 단계에 대해 개별적인 업무를 담당하고 있기 때문에 업무의 중복성과 책임소제의 불명확성이 문제가 되고 있다. 셋째, 지진방재를 위한 구조보강 기법의 적용이다. 아직까지는 지진 후 피해 수습이 주를 이루고 있지만, 문화재의 진정성을 보존하기 위해서는 원형보존이 중요한 만큼 문화재에 대한 적극적인 구조보강 기법의 적용이 필요하다. 목조건축문화재 지진위험 대비의 핵심은 문화재의 진정성 및 완전성을 지키기 위한 사전예방으로 문화재 방재에 대한 법‧제도, 재난관리 조직, 구조보강기법을 개선하는데 있다. 문화재의 가치는 피해복구를 통해 되돌리기 어려울뿐더러 가치를 돈으로 환산할 수도 없다. 또한 장기적인 측면으로 보았을 때에도 계속적인 수리로 발생하는 비용에 비해 예방을 위한 투자가 더 효율적일 것이다. 주제어(키워드) 목조건축, 문화재, 지진, 방재계획, 재난관리, 내진구조보강, 재난관리조직 A Study on the Improvement Plan of the Disaster Prevention System Against the Earthquake Risk of Wooden Building Cultural Property Lee Hyunsung Department of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Myongji University Directed by Professor Kim Wangjik Due to the earthquake of 2016 and 2017, the safety problem of earthquake is raised as a big social problem in Korea. Due to these two earthquakes, many cultural properties were damaged at the same time, and it was an opportunity to think about the safety of cultural properties against earthquakes. In the meantime, we have prioritized policies to preserve and preserve cultural properties. Because of the special characteristic of cultural assets, it was difficult to apply the disaster prevention system prepared for the earthquake. However, it is necessary to improve legal and institutional, disaster management organization, and structural reinforcement techniques in order to maintain the authenticity of cultural properties from various and complex disasters. In this paper, we examined the safety of cultural properties for earthquakes in Korea. As a result of reviewing the earthquake risk in Korea, it is confirmed that the frequency and magnitude of the earthquake occurrence has increased in recent years. Also, the damage caused by the earthquake is related to the distance of the epicenter, and it is confirmed that the location of the epicenter and the distribution of the cultural property are almost same, and the prevention from the earthquake is necessary. In order to improve the disaster prevention system against the earthquake hazard in Korea, we analyzed the legal system of Korea and foreign countries, the organizational structure of the disaster prevention agencies, and the state of the structural reinforcement techniques. Comparing the laws and systems of Korea and foreign countries, there are two major problems in Korea 's disaster - related laws. These are the subdivisions of related laws and the lack of legal basis for disaster prevention for cultural properties. When comparing the disaster prevention organization systems, there were three problems of disaster management. First, the problem of the most important disaster management organization is that management tasks are dispersed by type of accident and disaster. Second, the problem of the expertise of the disaster management organization in Korea is lacking in the expertise except the firefighting organization. Third, it is a problem of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shortages of experts in disaster management. In the case of foreign countries, foreign countries apply technology to prevent disasters based on careful inspections and investigations from preliminary stages. However, structural reinforcement of Korean cultural assets is more effective than preventive measures We confirmed the problem that was made. Improvements of the disaster prevention system that can solve the above problem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integrate related laws and institutions.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laws and systems of disaster management in Korea, it is too fragmented to respond to complex disasters. Second, it is the necessity to share the clear roles of the disaster management organization. If we divide the disaster response system into pre-disaster stages, disaster response stages, and recovery stages after the disaster, since each organization is responsible for each of these stages in the current system, redundancy and responsibilities The uncertainty of the scrap has become a problem. Third, application of structural reinforcement technique for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However, in order to preserve the authenticity of the cultural property, it is necessary to apply the structural reinforcement technique to the cultural property as important as preserving the original shape. Wooden Building Cultural Property The key to the preparation of earthquake risk is to improve legal and institutional disaster management, disaster management organization, and structural reinforcement techniques in order to prevent the authenticity and completeness of cultural properties. The value of cultural property is not easy to be recovered through restoration, and the value can not be converted into money. Also, in terms of long-term perspective, investment for prevention will be more efficient than the cost of continuous repairs. Keyword Wooden architecture, Cultural Heritage,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plan, Disaster management, Reinforced earthquake resistant structure, Disaster Management Organization

      • 한·일 국가무형문화재 제도 및 전승실태에 관한 연구 : 수영야류와 가부키를 중심으로

        김재희 전남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807

        우리나라는 무형문화유산에 대한 관심과 환경의 변화에 따라 문화재청에서 국립무형유산원을 신설하고, 2015년에는「무형문화재 보전 및 진흥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였다. 이 법률에서는 ‘전형유지’이라는 원칙을 정립하고, 무형문화재의 범주를 확대하였다. 무형문화재법이 분리입법되었지만 무형문화재에 관한 상세한 제도는 수정되지 않았으며, 무형문화재의 범주를 폭넓게 지정하였지만 각 범주의 속성을 반영하지 않은 제도를 운영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 논문에서는 새로이 정립된 무형문화재법과 일본의 문화재보호법을 비교하고, 그 대상을 한국의 국가무형문화재 수영야류와 일본의 중요무형문화재 가부키로 축소해 전승 및 지원현황에 관해 총괄적으로 비교하였다. 또한, 한국과 일본의 제도를 비교하여 무형문화재 제도 개선방안에 대해 3가지로 제언하였다. 먼저 지정실태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지정 세분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두 번째로 예능분야 단체종목의 주요 전승대상을 분화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마지막으로 모니터링과 조사방식의 문제점을 밝히고 개선방안을 모색하였다.

      • 지방자치단체 문화재위원회의 결정 양태에 관한 질적 연구 : MAXQDA를 활용한 위원회 회의록 분석

        이유진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807

        문화재위원회는 문화재와 관련된 사안을 검토·심의하기 위해 관련 전문가로 구성된 민간위원회로 임기 2년의 임시조직이다. 문화재청과 각 시·도에서 설치·운영하고 있다. 문화재 관련 인허가권은 소관 행정청에 있지만 문화재위원회의 의결을 거쳐야하므로 문화재 정책 결정에서 위원회의 역할이 중요하다. 그러나 문화재위원회에서 어떤 기준으로, 어떤 검토과정을 거쳐서 결론에 도출하는가에 대해 구체적으로 논의된 적이 없다. 특히 지방자치단체에서 설치한 문화재위원회의 운영에 대한 논의는 전무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문화재위원회의 회의록 분석을 통해 문화재의 지정, 보존, 개발허가 등의 심의과정에서 어떠한 요인에 의해 의사결정이 이루어지는지 살펴보았다. 분석 대상은 부산광역시 문화재위원회에서 동일 임기, 동일 구성원의 회의록으로 제한하였다. 먼저 문화재 유형에 따라 기념물분과에서 다루는 부동산 문화재, 유형분과에서의 동산 문화재로 분석 대상을 선별하였다. 그리고 ① 문화재 지정, ② 문화재 해제, ③ 문화재 수리, ④ 문화재 주변개발, ⑤ 문화재 시외반출 등 안건 유형에 따라 나누어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문화재위원회에서는 결정할 범위를 검토하는 ‘권한설정’, 사실관계 확인, 법적 규정 등을 검토하는 ‘심사숙고’, 전문지식을 토대로 의견을 교환하는 ‘전문적 판단’의 과정을 거쳐 의사를 결정한다. 그리고 결정유보나 타기관에 책임을 전가하는 ‘책임회피’, 이해관계자의 처지 등을 고려하는 ‘현실타협’, 전례 답습이나 특정 위원의 전문성에 의존하는 ‘사회적 편견’, 위원 개인의 감정 등 ‘주관적 판단’이 의사결정에 개입되기도 한다. 지방자치단체에서 소관 하는 문화재 정책의 대부분을 문화재위원회에서 심의하고 있다. 따라서 위원회의 의사결정이 공정하고 일관성 있게 이루어져야 정책의 신뢰성이 높아진다. 위원회의 합리적인 의사결정 도출을 위해서는 행정청은 사례에 대한 축적과 관리에 노력이 필요하다. 심의 전에 위원에게 충분한 자료를 제공하고 사실관계 확인, 법령 등 관련 규정 확인 등 기본적인 확인을 충실히 절차를 거쳐야 한다. 현재 위원회에 전적으로 위임된 정책 결정 사항 중 행정청에서 검토, 결정할 수 있는 부분은 행정청에서 처리할 필요가 있다. 또 위원회가 권위적으로 진행되지 않도록 연장자 중심의 위원회 문화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

      • 서울시무형문화재 한량무의 전수교육 경험을 통한 전승방향 탐색 연구

        손채령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한량무 이수자와 전수자의 경험을 토대로 한량무의 전통성과 예술성의 본질을 탐색하여 한량무가 어떠한 방향으로 전승되어야 할 것인지 파악하는 경험연구이다. 연구를 위해 전수 교육 과정에 참여하고 있는 이수자와 전수자 7인을 대상으로 표집하였고, 반 구조화된 면담을 진행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또한 수집된 자료는 문서화 한 뒤 문화기술지 분석 방법을 통해 문화적 주제와 패턴을 발견하여 그 본질을 해석하였다. 연구를 통해 도출된 한량무의 본질적 가치에 따른 전수 방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서울시 무형문화재인 극형식 한량무는 현 무용사회에서 남성의 홀춤으로서 인식이 강하기 때문에 전승 과정에서 실제적이고 학술적인 정립이 필요하다. 한량무는 문화적 흐름에 따라 이수자와 전수자 간 원형에 대한 개념대립을 형성하였지만, 공통적으로 도출된 본질가치는 극형식이라는 작품의 특이성으로 나타났다. 또한 4명의 등장인물 중 색시역은 작품의 서사구조에 핵심 인물로 정체성을 나타내며 그 가치를 인식한 정립이 필요하다. 둘째, 한량무의 원형 보존을 위한 전수 교육에서 총체적인 습득을 기준으로 교육 방법의 확립과 구체적인 시스템을 갖춰야 한다. 전수 교육에서 전수자들은 전수 집단의 일원으로서 자아 인식을 토대로 형성된 개념을 갖고 문화재로서의 역사적 가치에 따른 보존목적을 확립해야 한다. 또한 극형식 구조의 총체적 종합예술을 입체적으로 체득하는 과정에서 전수 집단 구성원 간 의식적이고 상호보완적인 측면을 통해 단체종목의 특성을 살릴 수 있는 배역별 캐릭터 연구 등 체계적인 교육 방법을 강구해야 한다. 셋째, 한량무의 예술 가치 확립을 위해 문화재단이나 제청의 지원이 필요하다. 사회문화적 가치 형성하는 것은 확실한 서사구조를 가진 단체종목으로서 창작 당시의 사회문화적 요소를 흡수한 예술극 형태라는 점이다. 현 무용계의 젊은 무용수들의 전통춤에 대한 인식이 변화하면서 전수 과정에 선택적 입문 형태를 가지며 몸짓춤의 특이성이 부각 되고 있기 때문에 무용인들과 일반인들에게 더욱이 보급되어야 한다. 따라서 문화정보를 꾸준히 제공해야하는 해당 문화재단 측의 문화지원사업을 통해 한량무 전승 활동의 범위를 확대하는 적극적인 홍보와 전수교육 지원 프로그램의 설치가 필요하다. 넷째, 한량무가 문화재로서 문화적 가치를 발현하고 발전할 수 있도록 제도적 장치와 더불어 이수자는 올바른 저변확대를 실현해야 한다. 전수자는 이수 후 전수 집단의 내부평가적 요소들을 인식하여 사명감과 책임감을 가지고 끊임없는 연구를 통해 문화적 발전 방향을 제시해야 한다. 또한 무용에만 국한적이지 않고 빠르게 변화하는 산업환경을 올바르게 수용하여 여러 장르와 협업을 통해 한량무가 무형문화유산으로서 역사적 가치와 문화적 가치를 발현할 수 있도록 전승 활동에 임해야 한다. 이와 같이 한량무의 전수 교육 경험을 토대로 나타난 이수자와 전수자의 의식구조에서 다양한 가치의 발현을 심층적으로 탐색하였고 무형문화재로서의 새로운 관점과 문화재적 전승 보존의 사유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한량무가 문화재로서 진정한 예술적 가치 발현과 문화적 발전을 도모하고, 원형 보존을 위한 전승 활동을 심층적으로 탐구함으로써 지역사회의 큰 유산인 한량무의 문화재적 보존 가치성을 높이는 데에 밑거름을 제공할 것으로 사료된다. 더불어 한량무가 현 시대적 홀춤의 인식체계에서 벗어나려면 여러 영역과 다양한 유형분석을 포함한 확장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뤄져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s experience study searches direction to which 'hallyangmu' should be transmitted by investigating the essence of 'hallyangmu' tradition & artistry on the basis of 'hallyangmu' graduate & initiator‘s experience. Materials were gathered from 7 graduate & initiators who participated in transmission education course for study and they were collected through semi-structural interview. Further, the collected materials were documented and their essence was interpreted by finding cultural theme & pattern through analytic method of cultural & technical journal. The transmission direction depending on essential value of 'hallyangmu' drawn through study is as follows. First, as 'hallyangmu' in drama form, Seoul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s firmly recognized as man’s solo dance in contemporary dance society, actual and academic establishment is required in transmission course. Even though 'hallyangmu' formed conceptual confrontation on original form between graduate & initiator in accordance with cultural flow, commonly drawn essence value appears as singularity of work, drama form. Out of 4 persons, the role of bride exhibits identity as main person in epic structure of work and establishment recognizing value is necessary. Second, it is required to establish education method & secure concrete system on the basis of overall acquisition of transmission education to preserve the original form of 'hallyangmu'. As members of transmission group in transmission education, initiators should establish preservation purpose in accordance with historic value of cultural heritage with concept formed on the basis of self recognition. Further, it is required to prepare systematic education method, that is, character study for each cast which can enliven the property of group item through conscious and mutually supplementary side between members of transmission group in the course where overall synthetic art in drama form structure is cubically acquired. Third, support of cultural foundation or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is required to establish artistic value of 'hallyangmu'. Forming social & cultural value is in the form of artistic play that absorbs social & cultural element at the time of creation as group item which has positive epic structure. Since young dancers’ recognition on traditional dance changes in present dance circle, singularity of gesture dance is highlighted as transmission course takes selective introduction form. Thus, it should be further propagated to dancers and common men. Thus, positive publicity that expands scope of 'hallyangmu' transmission activity & the installation of supporting program for transmission education is necessary through culture support project of relevant cultural foundation which should steadily provide culture information. Fourth, graduates should realize right expansion of base with institutional device so that 'hallyangmu' as cultural heritage may develop by embodying cultural value. After completing initiator’s course, they should present direction of cultural development through incessant study with sense of duty & responsibility by recognizing internal evaluation elements of transmission group. Further, they should correctly accommodate rapidly changing industrial environment without being limited to dance as well as perform transmission activity so that 'hallyangmu' a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may realize historic value & cultural value. As explained above, realization of diverse values was searched in-depth in graduate & initiators’ structure of consciousness exhibited on the basis of transmission education experience of 'hallyangmu' and new viewpoint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 purpose of transmitting & preserving cultural heritage was presented.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fundamental in elevating the value of preserving cultural heritage of 'hallyangmu', the significant heritage of community by promoting realizing the true artistic value & cultural development of 'hallyangmu' as cultural heritage. Moreover, extended study including diverse areas & analysis of various types should be constantly realized so that 'hallyangmu’ may get out of the recognition system of present time solo dance.

      • 한·일 무형문화재 분류체계와 현황 분석

        박예울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807

        한‧일 무형문화재 분류체계와 현황 분석을 위해 먼저 한국과 일본의 국가지정 무형문화재 관련한 선행연구를 검토하여 이론적 배경을 고찰하고, 무형문화재의 개념과 특성을 알아보았다. 또한 지정과 인정, 전승 및 공개를 살펴보고, 양국의 무형문화재 제도 역사를 고찰하였으며, 우리나라와 일본의 무형문화재 종류와 구분 방법 등을 알아보고 양국의 무형문화재 현황을 종목별·지역별로 조사하여 비교·분석하였다. 위의 방법을 통해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본과 한국의 무형문화재 분류체계, 예능보유자나 보유단체 지정과 관련한 양국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둘째, 기·예능보유자가 후계자를 양성하는 방식의 차이, 양국 기·예능보유자를 칭하는 명칭의 의미를 분석했다. 셋째, 양국의 기·예능보유자 인정범위와 신청방식, 우리나라에는 없는 일본의 무형문화재 등록제도, 양국의 무형문화재 분류방식, 양국의 무형문화재를 종류별, 지역별로 구분하여 비교·분석했다. 한국 무형문화유산 정책의 제도화는 1962년, 일본 무형문화유산 정책의 제도화는 1950년 시작되었다. 무형문화유산의 올곧은 전승과 보존을 위해 한국과 일본의 무형문화재 분류와 현황을 비교 분석한 결과, 출발은 유사했지만, 많은 차이를 알 수 있었다. 한국은 문화생태학적 환경의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정책을 입안하여 실행함으로써 무형문화유산의 전승뿐만 아니라, 활용방안을 강구하여 21세기 문화의 시대를 대처해 나가는 기반을 조성해야 할 것이다. For the analysis on the classification system and current status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in Korea and Japan, first, this study considered the theoretical background by reviewing the preceding researches related to the state-designated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of Korea and Japan, and then understood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lso, this study examined the designation, recognition, transmission, and opening to the public, considered the history of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system of both countries, understood the types and classification methods of Korea and Japan, and then researched and comparatively analyzed the current status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of both countries in each type and reg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examined differences between both countries in relation to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and designation of holders or holding organizations of artistic talents in Korea and Japan. Second, this study analyzed differences in the methods for holders of skills/artistic talent to train their inheritors, and the meanings of the name calling the holders of skills/artistic talent in both countries. Third, this study comparatively analyzed the range of recognizing the holders of skills/artistic talent and methods of application in both countries, Japan’s registration system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that could not be found in Korea, classification methods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in both countries, and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of both countries in each type and region. The institutionalization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policy in Korea and Japan was started in 1962 and 1950 respectively. In the results of comparatively analyzing the classification and current status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in Korea and Japan for the upright transmission and preservation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there were many differences even though the beginning was similar to each other. By enacting and executing the policies to proactively cope with cultural-ecological environmental changes, Korea should establish the basis for coping with the 21st cultural era by seeking for the measures for the transmission and utilization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 도심문화재 주변 가로경관의 시각적 선호에 관한 연구 : 울산동헌 주변가로를 중심으로

        박정만 蔚山大學校 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7807

        도시에서 역사적 장소나 기념물이 있는 곳에는 그 지역의 역사적 의미와 특성에 따른 경관적 특성을 가지게 된다. 즉 역사경관은 역사적인 문화유산과 현재 인간의 생활환경을 포함하는 지역에 형성되며, 각 지역의 문화와 배경의 차이에 의해 고유한 특성을 가진다. 따라서 도심 문화재 주변의 경관을 해당 문화재의 특성에 맞게 정비한다면 그 지역만의 개성 있는 경관을 만들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울산 도심에 있는 대표적 전통 건조물이면서 역사·도시사적 가치가 있는 울산동헌 주변 가로를 CG 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각 경관요소의 시각적 선호도를 조사하고, 그 선호 수준을 파악하여 선호도 높은 가로 경관 설계를 위한 기초 연구에 그 목적이 있다. 공간적 범위로는 울산시 도심에 있는 문화재 중에서 현재 복원되어져 있고, 역사·도시사적 의미가 있는 울산등헌 주변의 가로 중에서 주 접근로를 그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대상가로는 비록 일제시대에 형성된 가로이지만, 현재 복윈 정비되어져 있는 울산동헌의 주접근로이다. 따라서 단순히 역사적 가치가 있는 현 울산 초등학교 앞 남북가로를 정비하는 것 보다 현재 복원되어져 있는 울산동헌 주변 가로부터 정비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좀더 효율적인 가로경관 관리를 할 수 있을 것이다. 내용적 범위는 현재 대상가로에 적용되고 있는 제도를 살펴보고, 이론적 고찰 및 현황분석을 통해 얻어진 경관구성요소로 설문조사 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가로경관 구성요소는 정량적 척도로 측정할 수 있는 물리적 요소를 기준으로 1차 요소와 2차 요소로 분류하였다. 1차 요소는 가로공간을 구성하는 기본 요소이며, 2차 요소는 기본적인 공간 구성요소를 제외한 가로시설물에 관한 요소이다. 대상가로는 문화재의 가시표면을 가장 잘 보여주는 주 접근로이면서 울산동헌 주변 가로에서 보행자의 통행이 가장 많은 지역이다 따라서 가로시설물(편의시설)에 의한 문화재 가시표면의 인지도가 낮아질 수 있으므로 최소한의 가로 시설물로 한정하여 경관구성요소를 선정하였다. 이에 따라 경관 구성요소를 분류하면 1차 요소는 건물, 도로 및 바닥이고, 2차 요소는 가로수, 가로등, 벤치로 구성요소를 선정 하였다. 현재의 CG를 이용한 시뮬레이션은 많은 변수(상세의 정도, 색상의 특성, 묘사되는 상황 등)에 따라 이미지 결과물에 많은 차이가 생긴다. 즉, 이미지에서 투시도 효과나 다른 경관요소를 삽입하여 좀더 세밀한 장면을 만들 수는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경관구성 요소를 제한하였고, 다른 경관요소에 의해 측정할 경관요소가 영향을 받지 않아야 하기 때문에 최소한의 경관구성요소 이외에는 다른 요소를 사용하여 이미지를 만들지는 않았다. 따라서 이미지는 가장 기본적인 형태로 구성되고, 다른 경관요소에 의한 영향은 전문가 군으로 형성된 피험자들의 경험에 의해 보정될 수 있게 하였다. 연구 결과 문화재 주변 가로경관의 시각적 선호는 그 문화재와 같은 건축양식, 색채, 패턴 등이었으며, 도로 및 바닥도 문화재 주변이라는 장소성을 나타내고 다른 가로와 차별된 유형을 선호하였다. 가로시설물은 그 문화재의 가시표면의 인지도보다는 보행자의 편의성이 더 우선하였으며, 주변 건축물은 문화재와의 관련성과 보행자를 고려하여 설계해야 한다는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