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公演文化施設의 스페이스 프로그램에 關한 基礎的 硏究 : 오페라하우스의 面積構成 分析을 中心으로

        전형준 弘益大學校 大學院 2007 국내석사

        RANK : 248703

        연극이나 음악회 같은 공연예술은 현대 생활에서 빼놓을 수 없는 정신적 필수품이 되어 왔고, 공연장은 연극 또는 음악회를 대중이 감상할 수 있는 시설로서 중요한 사회적 의의를 갖고 있다. 공연예술의 기원은 원시지역사회의 종교의식으로까지 거슬러 올라가며 흔적이 인류역사의 발자취가 미치는 곳마다 발견되고 있다. 따라서 공연예술은 인간의 생활상이나 정신세계를 반영해 주었고 변화하는 시대의 조류에 따라 변화를 거듭해 왔다. 과거 종교 의식의 의례와 합창이라는 주술적 행위에서 시작하여, 현재는 오페라, 뮤지컬, 콘서트, 심포니, 발레, 연극 등 다양한 양식으로 발전하면서 대중성과 전문성에 바탕을 둔 각 공연양식에 맞는 공간을 요구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21세기의 주요산업으로 문화산업을 언급하고 있는 이 시대에 대표적인 산업시설이며, 공연예술의 생산기반시설 이라고 할 수 있는 전용 공연장을 갖추는 것은 공연예술의 인프라를 형성함은 물론 우수한 공연예술의 창조와 대중에게 전달하는 보급 장소로서 그 사회적 중요성이 부각 되고 있다. 이미 세계 선진 도시들에서는 다양한 공연문화시설이 널리 활용되고 있으며 지속적인 추가 건립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 서구에 비해 늦게 이루어 졌지만 국내에서도 근대화 이후, 현대 공연장은 대중문화예술 보급의 목적으로 각 지방을 중심으로 문예회관 등이 건립되고 있으나, 현재 운영되고 있는 공연문화시설을 보면 각각의 기능군 들의 연계를 고려한 배치가 이루어져야 함에도 불구하고 국내 공연장들과 해외의 공연장들을 비교해 보았을 때 사용자에 대한 배려가 고려되지 않음으로 인해 실제로 공연장을 사용하는 배우나 공연물을 제작하는 스텝들의 불만이 고조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렇듯 공연문화시설의 공간구성과 운영방법의 유기적인 관계구축에 따른 재기능 수행에 있어서는 그 체계가 아직 부족한 상태이며, 또한 대부분의 문예회관시설이 다목적 성격을 가지고 있어 용도와 사용자 요구에 따른 전문적인 시설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공연문화시설의 확보는 더욱 미흡한 실정이다. 이로 인해 공연예술 각 장르별 전용 공연장의 중요성이 부각되어 이를 충족시킬 수 있는 전용 공연장의 건립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전용 공연장의 건립이 추진되어야 하며, 더불어 공연장 건축계획에 필요한 관련연구와 특히 오페라극장과 같은 전용공연장의 경우 전문적인 성격상 건립단계 이전부터 공연운영·기획과 규모 및 공간구성의 유기적인 관계에 대한 이해와 사용자 특성을 고려한 건축 계획적 연구가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공연장 건축계획에 있어서 선행연구의 고찰 결과 객석과 무대에 관한 연구는 많은 진척이 있었음을 알 수 있었으나 공연장의 특성에 따른 공간구성과 각 공간별 사용자를 고려한 Space Program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또한 앞서 살펴본 연구주제의 설정배경, 연구 필요성 등을 전제로 하여 다양한 사용자의 속성을 고려한 공간별 분류체계를 추출하고 이를 통해 일반적인 공연장과 실제 운영되고 있는 공연장의 공간구성을 분석하여 향후 건립될 전용 공연장의 다양한 요구를 수용할 수 있는 Space Program에 관한 일련의 연구계획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전용 공연장을 그 대상으로 하여 공연장의 Space Program에 관한 내용을 사용자적 특정에 따라 공간체계를 분류함과 동시에 면적특성의 추출을 통해 공연장의 공간계획 즉 Space Program의 기본방향 수립 시 합리적인 방법을 모색하고 실질적인 계획 지침을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의 진행은 우선 일반적인 공연장의 내용을 고찰하여 공연장의 유형과 특성을 파악하고 이와 함께 공연장의 사용자와 공간구성을 바탕으로 분석을 위한 공연장의 공간구성 체계를 추출하였으며, 전용극장 즉 오페라 상연이 가능한 공연장과 객석규모 1,500석 이상의 중·대규모 공연장으로 한정하여 국·내외 10개의 공연장의 공간구성 및 면적구성을 앞서 추출한 공간구성 체계를 기준으로 대영역(공공서비스·공연·공연지원·관리)과 세부영역(순수서비스·문화서비스·관객·무대·공연·공연지원·제작·관리·설비·공용)으로 분류 하고 각 영역별 비교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통해 공연장의 구성 특성 및 면적구성의 특성을 파악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조사·분석의 결과 본 연구의 조사대상관을 중심으로 진행한 공연문화시설의 스페이스 프로그램 즉 공간구성 및 면적특성에 관한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 공연장의 면적분포 구성은 공연장의 구성 및 부속실의 배치 유형에 따라 영향을 받으며 그 특징이 대별됨을 알 수 있었다. 그 특징으로는 공연장의 구성을 단독/분동형 및 복합형(분리형 및 혼합형)으로 또한 배치 유형에 따라 후/측면 배치형, 양측면 배치형, 혼합 배치형 으로 유형화 할 수 있다. 두 번째, 공연문화시설에서 공연영역 즉 무대와 객석이 공연장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거의 유사하게 분석되었다. 이는 공연영역의 면적이 객석 수가 증가함에 따라 또한 무대의 개수 및 크기가 증가함에 따라 무대와 객석의 면적이 늘어나는 산술적 비례의 차이를 보이지만 연면적 대비 분포면적은 각 공연장이 거의 유사하며 이는 공연문화시설의 연면적 및 분포비율, 즉 규모를 결정하는데 중요한 요소가 아님을 알 수 있다. 세 번째, 공연장의 스페이스 프로그램 선정 시 전체면적 및 연면적 대비 각 영역별 평균적 분포는 1,500석 내외의 공연장을 기준으로 공공서비스 영역 29.64%, 공연영역은 17.49%, 지원영역은 32.18%, 관리영역 20.69%이고 2,000석 이상의 공연장을 기준으로는 공공서비스 영역 32.86%, 공연영역은 13.51%, 지원영역은 28.66%, 관리영역은 24.97%로 분포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다만 평균적인 분포의 차이가 나타나는 공연장의 경우에는 공연장의 특성, 즉 기획·운영적 특징과 Producing, Non-Producing, 레퍼토리 시스템 등 지향하는 성격에 따른 무대영역의 비중 및 지원시설에 따라 틀려지는 바 이는 향후 공연문화시설의 면적구성 계획에 있어 중요한 고려요소라 할 수 있다. 결국 공연장의 공간구성 및 규모의 차이는 반드시 객석의 수로만 정해지는 것이 아니며 공연장의 운영 방식에 따라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고 공연장의 규모는 오히려 관객이 볼 수 없는 영역인 무대 주위의 공연지원시설과 제직부문의 비율에 따른 시설의 차이에 의해 결정됨을 알 수 있고 무대와 객석 즉 공연영역이외에 공연장의 규모를 결정짓는 가장 큰 요소는 공연장의 기획과 운영측면에서 본 공연장의 지향하는 특성 및 성격이다. 그와 함께 규모를 결정 하는 요소로 작용하는 것이 바로 Non Producing Theater와 Producing Theater의 차이이다. 이것은 제작부문 공간의 유무가 결정되며 그에 따라 면적의 차이가 크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 또한 전속단체의 유무에 따라 그 규모가 크게 달라짐을 알 수 있다. 앞에서 언급한 내용은 공연장의 총 규모를 산정하는데도 중요하지만, 세부 시설의 관계를 결정하는데도 중요한 요인이며, 특히 Producing Theater를 추구하는 공연장일 경우 무대의 시설과 면적, 무대 주위의 공연지원시설의 면적과 연면적 대비 비율의 충분한 확보가 중요함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공연장 공간구성 즉 스페이스 프로그램의 계획적 특성 중 조사대상관의 도면과 관련문헌상에서 공통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객관적인 데이터를 바탕으로 각 소요 제실 및 세부영역의 면적구성을 분석 하였으나 공연장을 계획함에 있어 스페이스 프로그램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무수히 많다. 그 중 각 사용자의 특성에 따라 분류된 공연장의 영역과 운영방식과의 상관관계 분석에 있어 실제적인 현장조사와 국·내외 사례에 있어 한정된 범위로 인한 제한된 정보습득 등 연구의 한계를 추후의 계속된 연구를 통하여 보완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를 통하여 공연장의 공간구성 및 스페이스 프로그램에 대한 계획적 특성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현대의 전용화 양상에 따른 오페라 전용 공연장 건축의 기본계획 방향에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 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미를 찾을 수 있다. The performing arts, such as play or concert, have become psychological necessities of a modern life, and the performing arts center is a facility of great social significance, where the general public can enjoy play or concert. The origin of performing arts goes back to religious rituals of a primitive community, and their trace can be found along every pathway of human history. Accordingly, performing arts reflect human life style or spiritual world, and they have been changed continuously with the changing currents of time. Originated from shamanistic rituals and chants of the past religious rituals, the performing arts have now developed into various forms, such as opera, musical, concert, symphony, ballet, and play, requiring an appropriate space for each performing art based on popularity and speciality. In the 21st century, where the cultural industry is considered as the main industry, the importance of facilities dedicated to performing arts is being addressed as the facilities will be able to form an infrastructure for performing arts, as well as to create and present quality performing arts for the general public. Many developed countries have already been using various performing arts facilities, and they are continuously building additional facilities. Korea joined this trend late compared to the West, but many cultural centers have been built since the modern age across the nation to spread popular culture and the arts. However, the functions of the facilities under operation are not arranged properly, and the needs of the users have not been considered; as a result, the complaints of actors and staff members who use the facilities are on the rise. The spatial composition of the performing arts facilities and a system of operation are still poor, and most of the arts and cultural facilities have also multi-purpose functions so performing cultural facilities with specialized functions on the needs of users should be secured. The importance of performing arts centers dedicated to each genre of the performing arts is being addressed, and more dedicated performing arts centers should be constructed accordingly. Research on the architectural planning of performing arts centers, especially opera house due to its specialized characteristics, is needed before the construction stage, and a relationship between the operation/planning/size of performance and the spatial composition, as well as the characteristics of users, should be considered in conducting such research. From a literature review on the architectural planning of performing arts centers, it was found that a lot of research was done on the auditorium and stage, but few research was conducted on space program, considering the spatial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centers and users of each space. In addition, based on the background and necessity of research reviewed, a classification system of space should be derived b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various users, and a series of research on space program that can accommodate various needs for future performing canters should be planned by analyzing general performing arts centers and the spatial composition of the centers that are currently under operation. In this study, the space programs of dedicated performing centers a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users. By deriving the characteristics of area, a rational method and practical planning guidelines are suggested to establish a basic direction for the spatial composition or space program of performing arts centers. In proceeding this study, the contents of general performing arts centers were first reviewed, and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centers were analyzed. Based on the users and spatial composition of performing arts centers, a system of spatial composition for performing arts centers was derived. Limited to the theaters dedicated to playing operas, as well as medium/large size centers with a seating capacity of over 1,500 seats, the spatial composition and area composition of 10 performing centers from local and aborad were classified into the large scale features (public service, performance, performance support, and management) and the detailed features (general service, cultural service, audience, stage, performance, performance support, production, management, equipment, and shared space), and comparative analyses of each classification were conducted. From the analyses, the characteristics of spatial composition and area composition were found. The following conclusions can be made from the analyses of the space programs (spatial composition and area characteristics) of performing arts facilities investigated in this study: First, the area/distribution/composition of performing arts centers are affected by the composition of the centers and the arrangement types of annex buildings, and their characteristics are classified. The characteristics are the composition of the centers (single/pavilion type and mixed type), and the arrangement types (rear/side arrangement type, both-side arrangement type, and mixed arrangement type). Second, it was analyzed that the ratios of the performance areas, that is the stage and the auditorium, in performing arts facilities are almost are almost similar. As the performance area increases, the number of seats and the number and size of the stage are increased. However, the ratio of a gross floor area to a distribution area was found to be similar for each center. This finding implies that the gross floor area and the distribution ratio of performing arts facilities are not important factors determining the size of the centers. Third, when selecting a space program for a center, an average distribution of each area to a total area and a gross floor area is 29.64% for the public service are, 17.49% for the performing area, 32.18% for the supporting area, and 20.69% for the management area obtained from the performing centers of about 1,500 seats; and 32.86% for the public service are, 13.51% for the performing area, 28.66% for the supporting area, and 24.97% for the management area obtained from the performing centers of over 2,000 seats. In the case of the performing centers that have differences in an average distributi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centers (planning and operation), a ratio of the stage area In conclusion, the differences in the spatial composition and size of performing centers are not necessarily determined by the number of seats, but are determined by an operational method of the centers. The size of performing area is determined by the difference in facilities depending on a ratio between the performance supporting facilities and a production area, where the audience cannot see. The most important factor determining the size of performing center, excluding a performing area (stage and auditorium), is the characteristics and property of the center. Another factor is the difference between non-producing theater and producing theater. This implies that the size of the center is determined depending on the existence of a producing space. This fact is important in both estimating a total size of a performing center and determining a relation with detailed facilities. Especially, in the case of a center pursuing a producing theater, the facility and size of stage, as well as a ratio between the area of performance supporting facilities and the gross floor area, should be sufficiently secured. In this study, the area composition of each required facilities and detailed areas based on objective data that can be confirmed from the drawings and related literature of the centers under investigation. However, in planning a performing center, there are several other factors that can affect space program. Among the factors, in analyzing a relationship between a performing area and an operation method, which are classified by the characteristics of users, the scope of this research is limited by an actual on-site survey and the limited information acquired from cases locally and abroad. The spatial composition of the centers and the characteristics of space program were analysed in this research. Basic information obtained from this research will be useful for planning a performing center dedicated to opera.

      • 녹색성장형 문화도시를 위한 온실가스감축 방안 연구 : 광주광역시 문화시설 및 문화예술활동을 중심으로

        하성국 전남대학교 문화전문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703

        한국 정부에서는 2008년에 국가발전 패러다임으로 ‘저탄소 녹색성장(Low Carbon, Green Growth)'을 설정하였고 녹색성장을 위해서는 다양한 분야의 융합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을 강조한 바 있다. ‘저탄소 녹색성장’ 국가 정책에 따라 각 중앙부처의 능동적인 대처가 요구되면서, 문화체육관광부에서도 ‘저탄소녹색성장 실현을 위한 문화전략(‘08.10)’을 수립하여 6대 전략 및 16대 추진과제를 선정하여 추진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국책사업으로서 문화관광부에서 진행하고 있는 아시아문화중심도시조성 사업 또한 기후변화 등 환경변화에 대응하고 국가경쟁력 제고에 기여하도록 저탄소 녹색성장형 조성사업 방향과 전략 수립이 필요하다는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는‘녹색성장형 문화도시’조성과 관련해 가장 기본이 될 수 있는 저탄소 사회로의 진입을 위해 문화시설과 문화예술활동에서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기 위한 대응방안을 중심으로 광주광역시와 아시아문화중심도시추진단의 역할을 6 가지로 제시하였다. 첫째, 일정규모 이상의 문화시설과 문화예술활동에 대한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을 제안한다. 이를 통해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가능하며 향후 기후변화 대응에 이바지할 수 있다. 광주광역시가 가지고 있는 노하우를 바탕으로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문화예술활동에 대한 인벤토리 구축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통해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이 가동될 시 문화예술기관의 온실가스감축과 관련한 데이터베이스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 둘째, 문화시설들에 고효율 설비 도입과 신재생에너지 사용을 제안한다. 이는 광주문화예술회관과 같이 노후된 시설이나 국립아시아문화전당과 같은 신축중인 문화시설 모두에 필요한 사항이다. LED조명 교체사업을 통한 에너지절감을 통해 탄소발생량을 감소시키고 화석연료의 사용을 줄임으로써 환경을 개선할 수 있다. 특히 광주문화예술회관에는 태양광발전시설을, 국립아시아문화전당에는 중수화시스템 도입을 제안한다. 셋째, 탄소중립화에 대한 대응이다. 문화예술분야에서 배출하는 온실가스를 상쇄하기 위한 활동들에 대한 모색이 필요하다. 향후 국제간 기후변화회의에서 온실가스 배출 의무감축국이 될 가능성이 높은 우리나라의 경우, 탄소세 도입이 불가피하며 이에 문화예술분야에서도 이러한 요구에 따른 준비가 필요하다. 더 나아가 위기를 기회로 만들어 합리적인 탄소세 적용의 근거자료로 사용이 가능하며 탄소배출권과 같은 파생상품으로 문화기금 조성도 가능하다. 넷째, IT를 활용하는 대안이다. IT 활용 시 관람객의 교통부문에서 발생되는 온실가스 절감과 행사에 사용되는 자재들에 대한 온실가스배출량을 일정부분 감소시킬 수 있다. 기술의 발전과 환경에 대한 인식이 높아짐에 따라 향후 이러한 활용사례들이 주목을 받을 것이다. 다섯째, 녹색교통을 활성화하는 것이다. 도보를 활성화시키기 위해 도시구조를 집약하고 보행자도로에 식재를 통한 흡수원 조성이 필요하다. ‘푸른 길 공원’과 같은 녹지와 문화가 어울리는 공간을 구성해야 한다. 또한 자전거활성화를 위해서는 현재 제시하고 있는 혜택보다는 ‘그린컬처카드’제작을 통해 실질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혜택이 주어져야 하며, 자전거 부대시설의 정비도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친환경적인 문화예술공연과 이벤트를 활성화하는 것이다. 기업에서는 친환경적인 이벤트를 통해 고객들로 하여금 기업의 브랜드가치를 높이고 있다. ‘녹색성장형 문화도시’ 조성을 위해서는 반드시 필요한 전략이다. 생활상에서 자연과 문화가 자연스럽게 스며들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는 것이다. 예로 아시아문화전당에서 공연되는 작품들에 대한 인벤토리를 통해 공연을 관람하는 동시에 탄소배출에 대한 인식을 하게 함으로써 교육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광주광역시와 아시아문화중심도시추진단의 녹색성장형 문화도시 추진 정책 동향을 바탕으로 광주광역시가 녹색성장형 문화도시로 발돋음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이전에 제시되었던 중앙정부, 지방자치단체, 기업의 문제점으로만 제기되었던 온실가스 배출 문제를 문화시설 및 문화예술활동을 활용하여 시민들의 의식을 변화시키는 데 의의가 있으며, 이를 통해 녹색성장형 문화도시 조성을 이루고자 한다.

      • 대전 둔산대공원 문화시설 운영활성화 방안 : 대전문화예술의전당을 중심으로

        홍상은 추계예술대학교 예술경영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8703

        경제제일주의에 입각한 초고속 경제성장을 이룬 우리나라는, 1970년대 문화예술진흥법 제정과 한국문화예술진흥원 설립을 시작으로 문화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었다. 이러한 관심은 지역문화시설을 양적으로 급속히 팽창시켰고 이제 기초자치단체에 최소 하나 이상의 지역문화시설을 갖추는 단계까지 이르렀다. 그러나 지역문화시설의 양적인 증가가 곧바로 지역문화의 활성화로 이어지진 않는다. 지역문화시설의 설립목적부터, 운영방법, 구체적인 프로그램기획에 있어서까지 가장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할 점은 지역주민의 문화향수권 진작이라 할 것이다. 지역문화시설이 고유의 목적인 지역주민의 문화향수권을 증대시키고, 지역문화예술 발전을 실현시키기 위해서는 지역문화시설이 제 역할을 다해야 한다. 이런 관점에서 대전 둔산대공원에 집중된 문화시설의 운영활성화는 지역문화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좋은 계기가 될 것이다. 문화시설과 휴식시설이 갖춰진 둔산대공원 문화시설의 운영이 활성화된다면 이 지역이 대전의 문화예술활동 중심지로서 기능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둔산대공원 문화시설 운영활성화 방안으로 통합적 마스터플랜의 수립을 제안하고, 문화시설 특성화방안과 문화시설 연계방안으로 나누어 구체적인 방안을 제안하였다. 우선 통합적 마스터플랜의 수립을 위해서는 지역주민들의 문화욕구에 대한 조사가 선행되어야 하나, 이에 대한 지방자치단체 차원의 조사결과가 없는 관계로 본 연구에서는 우선 통합적 마스터플랜의 개요를 수립하였다. 또한 통합적 마스터플랜의 시행을 위해 '(가칭)둔산대공원 문화시설 운영위원회'의 구성을 제안하였다. 문화시설 특성화방안은 대전문화예술의전당, 대전시립미술관, 평송청소년수련원 등 각 문화시설별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우선 대전문화예술의 전당의 특성화방안으로는 다양한 프로그램의 운영, 가격전략을 통한 관객개발과 수입중대, 오픈스페이스의 활용, 연수생제도 확대 및 지역대학과의 연계, 지역문화예술단체와의 연계, 회원제 및 자원봉사자제도의 운영 및 활성화, 관객조사 및 관객평가단의 운영을 제시하였다. 대전시립미술관의 특성화방안으로는 교육프로그램의 다양화와 문화행사의 확대, 자료실기능의 강화, 홍보 · 교육프로그램 · 마케팅인력의 확충, 강사풀(pool)제의 구성, 회원제 및 자원봉사제도의 운영, 관람객조사의 실시를 제시하였다. 평송청소년수련원의 특성화방안으로는 민간위탁기관으로서의 위상 정립, 생활관(숙박시설)을 활용한 재원의 확충, 청소년과 일반인의 이용객 분리, 체육관시설의 확충, 인력수급의 안정화방안 마련, 회원제의 활용과 자원봉사자의 확충을 제시하였다. 문화시설 연계방안으로는 주민참여 측면과 시설운영 측면, 지역문화예술발전 측면 등 세 부분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주민참여 측면에서는 주민 기본문화욕구 파악, 프로그램 공동개발, 관광프로그램과 연계, 주민 홍보방안의 통합화와 다각화, 접근성의 증진으로 나누어 방안을 제시하였다. 시설운영 측면에서는 재원의 다양화를 통한 안정화, 회원제 · 자원봉사제 공동운영을 통한 주민참여의 확대, 운영인력의 전문화와 확충, 강사 및 시설 · 장비의 풀(pool)제로 나누어 방안을 제시하였다. 지역문화예술 발전 측면에서는 인근 지역 및 타 지역문화시설과의 연계, 지역문화예술인 및 단체와의 연계를 통한 지역문화예술 발전에의 통합적 접근으로 방안을 제시하였다. 결론적으로 둔산대공원의 문화시설 운영활성화는 이 지역에 대한 통합적인 마스터플랜의 수립을 기반으로 각 시설의 특성화와 연계방안의 실현으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Korean economy has rapidly grown based on the economy-oriented policy. Since the Culture and Arts Promotion Act was enacted and the Korean Culture and Arts Foundation was established in 1970's, Korean people has been increasingly interested in the culture. With such the interests, regional culture facilities have rapidly increased, and the local government has established at least one local culture facility. However, the quantitative increase of regional culture facilities is not connected to the activation of regional culture. In the purpose of regional culture facility establishment, operating method, ad definite program planning, the most important consideration is a stimulation of regional residents'cultural rights. The regional culture facility must play its role to increase the cultural rights of regional residents, and to realize a development of regional culture & art. In this point, the activation of culture facilities in Daejeon Dunsan Grand Park will be a good opportunity to activate the regional culture. If the culture facilities of Daejeon Dunsan Grand Park with culture facilities and entertainment facilities are actively operated this region will function as a center of culture & art activity of Daejeon area. This study was intended to establish acomprehensive master plan as the plan for the activation of culture facility in Daejeon Dunsan Grand Park, and to suggest the definite plan by dividing into the culture facility characterization plan and the culture facility-related plan. To establish the comprehensive master plan, the culture desire of regional residents must be first investigated. However, because there was no result of investigation by the regional government, this study established an overview of comprehensive master plan. Also, it suggested an organization of 'Dunsan Grand Park Culture Facility Steering Committee' to operate the comprehensive master plan. The culture facility characterization plan was examined by dividing into each culture facility such as Daejeon Culture & Arts Center, Daejeon Municipal Museum of Art, Pyoungsong Youth Center. As the characterization plan of Daejeon Culture & Arts Center, some suggestions were made as follows; the operation of various programs, audience development and revenue increase through price strategy, utilization of open space, trainee system expansion, the connection with local university, the connection with local culture & art association, membership and volunteer system operation & activation, audience survey and evaluation were suggested.. As the characterization plan of Daejeon Municipal Museum of Art, there were some suggestions; a diversity of education program, expansion of cultural event, strengthening of data room function, promotion/education progrant/ marketing staffing, full-time instructors, membership, volunteer system operation, and audience survey. As the characterization plan of Pyoungsong Youth Center, the positioning as a private institute, expansion of revenue resources using an accommodation facility, Separation of youth and adults, Enlargement of sports facilities, Stabilization plan of human resources, and the membership and volunteer system expansion were suggested. The culture facilities-related plan was divided into three sections of the residents' participation, facility operation, and the regional culture & art development. In terms of the residents' participation, the understanding on the resident' basic culture desire, joint program development, the connection with tourism program, integration & diversification of residents promotion plan, and easy approach were suggested. In terms of the facility operation, the plan was suggested focused on the activation through diversity of resources, extension of residents' participation through membership and joint operation, professionalism of staff, and full system of facility & equipments. In terms of the development of regional culture & art, the comprehensive approach of the regional culture & art through the connection with neighboring regions, other regional artists and association was suggested. In conclusion, the cultural facilities in Dunsan Grand Park will be activated by characterization of each facility and realization of related plansbased on the comprehensive master plan on this area.

      • 춘천시 도시재생을 위한 문화시설의 구성유형과 입지에 관한 연구

        陳光培 강원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architectural planning element, such as organization and location of the cultural facilities that must be considered for urban regeneration in Chuncheon city. The methods of research include consulting a specific document that has given a positive evaluation of leading cities amongst other urban regenerated cities, by analysing and comparing the organization and location of cultural facilities which has also strengthened the urban competitiveness of each city. It is then important to find out which planned factors can be considered by grasping when urban regeneration is likely to propel within the city and a suggesting point can be derived as a framework to apply to Chuncheon city. Finally, suggesting the betterment for the urban revitalization is to find out the present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the organization and location of the cultural facilities. The research about the city space and cultural facilities of Chuncheon city is done by using 'Space Syntax' which allows to carry out the quantitative methods of analysing space and also applying the qualitative methods such as research literatures and field surveys.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 A development strategy of the cultural resource in Chuncheon city is focused on modern art which can make the economic effect of industry and this is forced strategically by the local government rather than formed on a basis of a characteristic identity of the city. It needs a strategic development plan for revitalizing the local identity, and historical resources in order to inspire the local resident's pride and have its own competitiveness in the city. The organization of the cultural facilities in Chuncheon is very weak in the cultural-welfare side because it is formed of cultural facilities where the emphasis is on local economic effect. The local activation through improving the quality of cultural life for the local resident can induce the influx of the population and enterprise in the urban marketing side, so it is advisable for Chuncheon city, which estimates a half million of population by the growth of the city in the future, to increase the facilities for the cultural-welfare and local identity. As the local culture welfare facilities and library have a common function in terms of the culture welfare within the city, they are considered to be joined as one building with the need for its strengthening. In modern society, being constructed to carry out its own function in one cultural facility has advantages as symbolism and independence yet in terms of the customer’s point of view the building is less efficient. So, it can make up for the weak points regarding the connections within Chuncheon city as long as the facilities, which requires a similar function such as Media-Tech, are combined in one place. About 70% of its whole cultural facilities is centralized in a downtown area and the analysis value of the global integration by the space syntax is the result of 0.5722 within high position 30%, therefore Chuncheon has strength in accessibility of the whole city and a good possibility of revitalization. However, the highest analysis value of the local integration is the result of 1.2322 within high position 55% in a downtown area, so it produces what Chuncheon city needs in terms of connections amongst cultural and industry facilities. In the near future, the growth of the city will make lower accessibility between the whole city and local buildings and may cause inefficient cultural faciliti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make the systematical plan for its improvement. Thus, the connectional type is the most suitable location form of the cultural facilities for urban regeneration in the future. Because the Chun cheon city's spatial configuration is centers on one downtown and the cultural facilities are centered on the southern side of the river district where local identity for the city would be made easier and potentially it can be much more efficient. Also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o enhance the urban economy through the connection from the industrial facilities in the downtown area. Even though there is difficulty in having a cultural benefit in other places because the cultural facilities are centered in the downtown area, it is hard to exclude the activation of the city where the infrastructure is gathered in the downtown area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Chuncheon. Therefore, the connectional type is valid for the location type on the southern side of the river district followed by the northen side of the river district, southern side district and Kumsan living district in that order. This study has a difference from existing studies in that it is focused on the cultural facilities by using the quantitative method of the 'space syntax' and the qualitative method of the field surveys. So it will be valuable for the planning and the study of the organization and location of the cultural facilities in Chuncheon city. But there are some limits of considering only urban competitiveness in the urban marketing side and using a single quantitative method in the progress of the research. So it is necessary to approach from the various angles such as human knowledge society and tourist industry aspects and diversity study through the quantitative method in next research. 본 연구는 관광·문화적 요소를 활용하여 도시 활성화를 지향하는 춘천시에 있어, 도시의 문화적 활동의 구심점이라 할 수 있는 문화시설의 구성유형과 입지에 대한 분석과 문제점 파악 및 효율성을 고려한 제안을 통하여, 추후 춘천시에서 진행될 관광·문화도시 건설을 위한 문화시설 건립 시 고려하여야할 기초적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먼저, 문화시설을 활용한 도시재생 사례 중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는 도시들을 문헌조사를 통하여, 각 도시별로 도시경쟁력의 강화 또는 활성화를 위한 문화시설의 구성유형과 입지를 비교분석함으로써, 문화시설을 활용한 도시재생의 추진 시 고려해야할 계획적 요소를 파악하고, 이를 통하여 춘천시에 적용가능한 시사점을 도출한 후 분석틀로 설정하였으며, 그 후 춘천시 문화시설의 구성유형과 입지의 현황 및 특성을 파악하여 도시 활성화를 위한 개선안을 제안한다. 춘천시의 도시공간과 문화시설에 관한 연구는 문헌자료 연구와 현장조사를 통한 정성적 분석과 함께, 공간구문론(Spacs Syntax)을 활용한 정량적 분석을 연계하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춘천시의 문화자원 개발전략은 춘천시 고유의 정체성을 기반으로 형성된 것보다, 산업적 측면에서 경제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는 현대적 예술문화를 지방정부가 전략적으로 추진하는 것에 중점을 두고 있어, 도시민의 자긍심 고취와 함께 다른 도시와 차별화 될 수 있는 춘천만의 고유한 도시경쟁력을 가지기 위해서는 지역의 고유한 재산인 역사문화적 자원과 지역 정체성에 대한 체계적인 문화자원 개발전략이 수립되어야 한다. 춘천시 문화시설의 구성은 지역의 경제적 효과에 주안점을 둔 문화적 활동을 위한 시설 위주로 구성으로 되어있어, 도시민들의 문화적 복지측면에서는 취약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지역 주민의 문화적 삶의 질 개선을 통한 지역 활성화는 도시마케팅 측면에서 사업체 및 인구유입을 유도할 수 있는 특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차후 도시 성장에 따른 도시의 인구를 50만 명으로 추산하고 있는 춘천시에서는 문화적 복지를 위한 시설과 지역정체성 형성을 위한 시설의 구성비를 늘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역문화 복지시설과 도서관은 강화의 필요성과 함께 도시 내 문화적 복지라는 공통된 기능이 있으므로, 두 시설의 복합화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현대사회에서 하나의 문화시설이 고유의 기능만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은 독립성과 상징성에 있어서는 장점이 있으나, 이용자의 시설이용 측면에서는 비효율적인 단점이 있으므로, 미디어테크와 같이 유사한 기능이 요구되는 시설들을 복합화하는 것은 연계성이 약하다는 춘천시의 문화시설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춘천시의 문화시설의 입지에 있어 전체시설의 70%가 도심권에 집중되어 입지하고 있으며, 공간구문론에 의한 전체통합도 분석값이 0.5722로 상위 30% 이내의 결과를 보여 춘천시가 문화시설을 활용한 도시 활성화의 가능성이 우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하지만 국부통합도 분석값이 가장 높은 도심권의 경우에도 1.2322로 상위 55% 이내의 결과를 보이고 있어, 문화시설 간 연계성 및 상업시설과의 연계성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난다. 향후 도시 성장으로 인해 문화시설로의 도시 공간 전체에서의 접근성과 지역적 접근성이 현재보다도 낮아지게 되어, 문화시설의 효율성이 더욱 약화될 것으로 분석되므로 문화시설의 입지에 대한 체계적인 개선 계획의 수립이 필요하다. 따라서 단핵형 도심 중심의 도시공간구조이며, 상업시설이 도심에 밀집되어있는 춘천시에 있어, 향후 도시재생을 위한 문화시설의 입지는 연계형이 가장 적합한 형태로 보여 진다. 이는 춘천시의 문화시설이 지역의 정체성 형성에 유리한 도심생활권 중 강남권에 집중 구성되어 있어, 관련 시설의 집적으로 인한 효율성의 잠재성이 높다는 점과 도시 중심부에 밀집되어 있는 상업시설과의 연계를 통한 도시경제 활성화 효과를 유발하는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되기 때문이다. 비록 도심에 문화시설이 집중되어 있어 도심 이외의 지역에는 문화적 혜택을 누리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으나, 기반시설이 도심에 집중되어 있는 춘천시의 특성상 도심의 활용도를 배제하기는 어렵다. 따라서 연계형으로 입지 유형을 선택하고, 그 중심공간에 있어서는 도심생활권 중 강남권을 활용하는 것이 타당성이 있으며, 지역별 거점 지역을 고려함에 있어, 공간구문론 및 문화시설의 입지경향에 의한 분석 결과 강북권과 남부권 그리고 금산생활권 순으로 우선적으로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연구는 문화시설에 초점을 맞추어 문헌을 통한 정성적 분석과 공간구문론을 활용한 정량적 분석을 함께 하였다는 점에서 기존의 연구들과 차별성이 있다고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연구는 차후 춘천시 문화시설의 구성과 입지에 대한 계획 수립 및 연구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연구의 진행에 있어 도시마케팅 측면에서의 도시경쟁력 만을 고려한 점과 정량적 분석에 공간구문론이라는 단일 방법론을 사용한 한계가 있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인문사회적, 관광산업적 측면 등의 다각도적인 접근과 다양한 정량적 분석방법을 통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 교육ㆍ문화시설 공기질 운영관리 시나리오 및 AI 알고리즘에 따른 공기질 관리 시스템 설계 및 구현

        안승현 전남대학교 2023 국내석사

        RANK : 248703

        최근 중국에서 발생한 고농도의 황사 및 미세먼지를 포함하여 다양한 대기오염으로 인한 사망질병의 증가 및 전세계적으로 인류의 건강을 위협하는 요소로 공기질에 대한 심각성이 강조 되고있다. 초미세먼지 오염에 대한 불안과 경각심이 증가됨에 따라 일반인을 비롯하여 임산부, 노약자, 어린이 등 호흡기질환 등 민감, 위약군 위험이 증가됨에 따라 지속적인 공기질 관리에 대한 관심과 개선에 대한 노력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교육 시설 및 문화 시설의 경우 실내 공간에 다수의 사람들이 밀집되어 있으며 재실 기간이 긴 시설로 지속적인 환기 및 관리가 되지 않을 경우에는 이산화탄소를 포함하여 다양한 공기질 오염원에 따라 공기 오염에 노출될 위험이 높으며주기적인 환기를 통한 실내 공기질 관리가 필요한 상황이다. 현재 서비스를 진행하거나 적용 중인 공기질 관리 시스템의 경우 주된 적용 대상이 신축건물이며 추가적으로 실별제어, 기타 장치와 연동을 통한 통합화 및 필터 적용 등 효율을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는 상황으로 시설별 특성에 맞춰서 특화된 공기질 관리 시스템은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각 시설별 빅데이터를 구축하고 구축된 데이터를 활용하여 각 공기질 오염원별 공기질 예측모델을 학습하고, 학습된 모델을 활용하여 실시간으로 들어오는 실내 공기질 데이터로부터 각 오염원별 예측 수치를 도출하며 도출된 수치를 기반으로 실내 공기가 실내 관리 가이드라인을 넘어가기전에 사전에 공기질을 관리 및 개선할 수 있는 교육ㆍ문화시설 공기질 개선을 위한 지능형 기반의 공기질 관리 시스템을 적용하고자 한다. 제안한 시스템을 통하여 교육시설 및 문화시설을 대상으로 각 시설별 실내 공기질 관리 기준에 의한 전열교환기 운영 방식과 지능형 기반의 공기질 관리 시스템 적용 이후의 실내 공기질 데이터 비교를 통하여 교육시설과 문화시설 내부의 공기질 오염원별 오염량 감소 수치를 산출하여 지능형 기반의 공기질 관리 시스템의 성능을 확인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각 시설별 실내 공기질 오염원 변동 된 수치에 따라 실내 관리 기준을 넘어가기전 사전에 공기질 관리를 통해 실내 재실자들에게 쾌적한 공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The recent increase in death diseases caused by various air pollution, including high concentrations of yellow dust and fine dust in China, and the seriousness of air quality as a threat to human health worldwide have been emphasized. As anxiety and awareness of ultrafine dust pollution increases, the risk of sensitive and placebo groups such as respiratory diseases such as pregnant women, the elderly, and children, as well as the general public, requires attention and efforts to improve air quality. In the case of educational and cultural facilities, there is a high risk of exposure to air pollution due to various air quality pollutants, including carbon dioxide, and indoor air quality management through periodic ventilation is necessary. In the case of the air quality management system currently in service, the main application is a new building, and the purpose is to increase efficiency through additional control, integration with other devices, and application of filter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apply an intelligent air quality management system to improve the air quality of educational and cultural facilities before indoor air passes the indoor management guidelines based on the learned model to learn the air quality prediction model. For educational and cultural facilities through the proposed system By comparing the operation method of the heat exchanger according to the indoor air quality management standard and the indoor air quality data after applying the intelligent air quality management system, the performance of the intelligent air quality management system is determined by calculating the pollution level of the educational and cultural facilities. Through this, we intend to provide comfortable air to indoor residents through air quality management in advance before exceeding indoor management standards according to the changed levels of indoor air quality pollutants for each facility.

      • 지역문화시설에서의 유니버설 디자인 적용성 평가에 관한 연구

        윤미경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703

        1990년대 초부터 실시되기 시작한 지방자치제의 확대로 인해 지역사회의 역할과 중요성이 새롭게 대두됨에 따라 지방자치단체 관련 공공시설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이러한 공공시설은 남녀노소 구분 없이 다양한 특성을 지닌 일반 시민들을 위한 시설이기도 하며, 특히 공공시설 중에서도 지역문화시설은 지역주민들 스스로 삶을 풍요롭게 하고자 하는 요구 및 활동을 수용하고 새로운 정보를 주민 스스로 교환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 공간으로 중요성이 증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일반시민들의 지역문화시설에 대한 물리적 환경의 질적인 수준욕구가 높아졌으며, 시설의 측면에서도 이용자들의 다양한 신체적 특성 및 욕구를 충족시키며 공공성과 보편성을 제공하는 환경조성이 필요하다.최근 이러한 다양한 사람들의 환경에 대한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보편적인 디자인원리로 소개되고 있는 것이 ‘유니버설 디자인(Universal Design)'이다.다양한 사람들이 일상생활에서 접하는 공공시설물은 공공의 이익을 기본목적으로 하는 시설이며, 공공성과 보편성에 부합되어야 하는 시설물로서 유니버설 디자인개념이 필연적으로 반영되어야 하는 시설임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점이 간과되어 왔다.따라서 지역주민들이 이용하는 지역문화시설에서의 유니버설 디자인의 적용현황에 대한 조사가 필요하며 이로 인해 실제 이용자들이 시설의 물리적 환경에 대한 인식 및 문제점을 파악하고, 그 개선방향을 제공할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이에 본 연구는 지역문화시설의 대표적인 구민회관을 중심으로 유니버설 디자인의 원리를 바탕으로 평가항목을 설정하여 이를 토대로 지역문화시설에서 유니버설 디자인 적용수준을 파악하고, 유니버설 디자인 관점에서의 물리적 환경에 대한 이용자들의 만족도 평가를 실시하여 개선방향 제시를 그 목적으로 한다. 이를 통해 향후 지역문화시설 계획 시 보편적 디자인 방향을 제시할 수 있다.연구의 내용은 총 6장으로 구분하여 제1장에서는 연구의 배경ㆍ목적 및 연구방법을, 제2장에서는 기본적 이론고찰로 ‘지역문화시설’, ‘구민회관’, ‘유니버설 디자인’, ‘지역문화시설에서의 유니버설 디자인’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제3장에서는 지역문화시설에서의 유니버설 디자인 적용성 평가를 위한 평가도구 작성하였고 작성된 평가도구를 토대로 실제 조사대상시설의 건축 환경평가를 진행하였다. 제4장에서는 지역문화시설의 이용자들의 만족도를 조자 분석하였고, 제5장과 6장에서는 조사대상시설의 유니버설 디자인 적용성 평가 결과와 이용자들의 만족도 조사결과에 대한 종합토의를 거쳐서 결론을 도출하였다.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1) 지역문화시설의 유니버설 디자인 적용성 평가결과는 공간별로 보면 보도 및 접근로와 주출입구에서 가장 좋은 결과를 보였고, 디자인 원리별로 보면 접근성과 기능적 지원성에서 가장 좋은 결과를 보였으며, 안전성과 수용성에서 가장 낮은 평가결과를 보였다.2) 조사대상시설의 이용자 만족도 조사결과, 대부분의 항목에서 보통의 평가를 받았으며, 공간별로 보면 장애인ㆍ노인ㆍ임산부ㆍ어린이를 포함하는 사회적 약자 집단과 일반인 집단 모두 ‘승강기’의 만족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반면 두 집단 모두 ‘수영장’, ‘탈의실 및 샤워실’에 대한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항목별로 보면 두 집단 모두 ‘엘리베이터의 버튼’에 가장 높은 만족도를 나타내었으나 ‘수영장 내의 바닥’이 가장 낮은 만족도를 나타내었다. 유니버설 디자인 요소별 만족도를 보면 두 집단 모두 ‘수용성’에 가장 높은 만족도를 나타내었고, ‘안전성’에서 가장 낮은 만족도를 나타내었다.3) 이용자의 유니버설 디자인 인식 수준에 대한 결과는 대부분의 이용자들이 유니버설 디자인에 대해 들어본 경험이 없다고 응답하였고, 유니버설 디자인 적용의 중요성에 대해서는 매우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현 시설에 유니버설 디자인의 적용 수준에서는 거의 반영되어있지 않다고 나타났다. 또한 유니버설 디자인의 적용수준과 만족도의 상관관계에서 물리적 환경에 대한 만족도와 현 시설에서의 유니버설 디자인 적용수준간의 유의미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유니버설 디자인의 적용수준이 높아질수록 만족도 또한 높아진다고 할 수 있다.

      • 지역내 공공유휴시설을 이용한 주민 문화복지시설군 계획안 : 성동구 도선동 지역을 중심으로

        양병일 경기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8703

        현대의 도시민들은 광역화된 생활권과 지역 특성이 상실된 거주지로 인해 자신이 살고 있는 지역에 대한 애정을 잃어가고 있으며, 삶의 질을 향상시키지 못한 채 살아간다. 또한 지역주민이 자유롭게 이용해야 할 지역별 공공 시설은 아직까지도 접근하기 어려운 곳으로 여겨지고 있다. 최근 들어 각 지방자치단체들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지역내 문화복지시설을 확충하여 지역민의 문화욕구와 교류뿐만 아니라 지역의 특성을 창출시키기 위해 노력 하고 있다. 하지만 이미 과밀화된 도시에서 이와 같은 시설을 새롭게 마련한다는 것은 현실적으로 많은 어려움을 지니며, 신축된 문화시설들은 도심에서 벗어난 외곽에 대규모 복합화된 형태로 위치하여 이용권 밖의 주민들에겐 무용지물인 경우가 많다. 지금 진행되고 있는 공공시설(동사무소, 파출소 등)의 통폐합으로 인해 발생되는 유휴공간을 지역 특성에 맞추어 재활용한다면, 기존에 가지고 있던 물리적 공간과 인지성을 이용해서 지역별 특성을 고려한 주민 문화복지시설로 변화를 이끌어 낼 수 있을 것이다. 기존의 유휴 공공시설들은 단위 시설의 개보수나 프로그램의 변경 등을 통해 공간의 재활용을 유도하고 있지만, 공간의 협소함과 다양하고도 빠르게 변화하는 도시민의 문화적 욕구를 해결하는데는 한계를 보인다. 거주군의 가장 기본이라고 할 수 있는 동 지역 공공시설을 지역 특성에 맞추어 재배치 / 활용한다면 기존의 각 기관들이 지니고 있던 재원적 낭비와 문화시설에 대한 중복투자를 막을 수 있고, 도시의 중·소규모 지역 공동체 형성을 위한 커뮤니티의 형성에 중요한 출발점이 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먼저 지역민의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해 유형의 공간 연결로 이루어지는 공간적 커뮤니티 뿐 아니라 주민 욕구 / 프로그램간의 혼용을 통한 비공간적 커뮤니티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 두 가지를 상호 보완하여 계획함으로서 주민참여의 장이 마련되도록 한다. 즉, 단순히 하나의 대규모 시설에서 한정된 커뮤니티만을 형성하는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각각의 커뮤니티 공간들이 특화된 상태에서 이용자에 의해 자유롭게 다른 용도로 전용되며, 나아가 각각의 커뮤니티는 여러 방법의 네트워크 체계에 의해 연결되어 질 때 무의식적인 교류의 단계까지 이끌어내어 참된 지역 문화 형성을 위한 장을 마련할 것이다. 이에 따라 소규모 주민 문화복지시설군 형성을 위한 계획단계를 살펴보면 첫째, 각 주민의 요구 프로그램을 예상하고 유휴공간 분석에 따라 프로그램, 이용계층 별로 시설을 특성화시킨다. 둘째, 특화된 시설들을 유/무형의 방법으로 네트워크화 한다. 이를 통하여 각 시설들은 서로 상호보완적인 관계를 유지하면서 완성된 프로그램을 이루며, 공간의 유동성과 지속성, 그리고 관리에 있어 통합성의 원칙을 만족시킨다. 셋째, 2∼3개의 각기 다른 역할을 하는 소규모 시설이 하나의 군을 형성하고 이러한 시설군들은 적절한 OPEN 공간과 보행녹지, 정보 WALL 등으로 다시금 묶이게 된다. 끝으로 동 단위의 소규모 주민 문화복지시설은 주변에 형성된 다른 시설군과 광역화된 커뮤니티를 형성하고 학교나 대규모 문화시설들과 협조체제를 이루어간다. 이와 같은 소규모 커뮤니티 시설은 각 지역의 특성을 적절히 반영하며 주민욕구와 시대변화에 신속하게 대처함으로써 기존 대형 문화시설을 보완하고 주민에게 가까이 다가선 공공 문화서비스와 주민 참여의 장을 마련할 것이다. 주민이 참여하는 장! 이것이 곧 진정한 주민 문화복지시설군의 핵심이 될 것이다. Residents of an urban community in modern society have been losing affection on their region, and they couldn't even help improving quality of life because of the a metropolitan area and non-specialized residential district. Besides, the public facilities that should have been used by the habitants freely are still considered as the things that are hard of access when they need. To solve these problems, every self-governing body has recently tried to create his own characteristic of a city by expanding the cultural welfare facilities that can be satisfied with the residents' needs and interchange between residents and a local autonomous entity. There are, however, many troubles to set up the new facilities within the city limit which is already congested. Moreover, the newly-built buildings in the suburbs are, many of them, useless for people who live in the distant. If unused space arising from the public facilities(dong offices, the police boxes etc) integrated in the progress nowadays could be utilized for the community that has identity, that will be changed to the cultural welfare facility for the residents by making use of the existing physical space and recognition. Ihe existing unused public facilities are led to utilizing again by means of the renewal of unit facilities, the modification of program and more, but those methods reach the limit to space and contentment of the residents' needs that would be quickly changed in various ways. I suggest that the public facilities in a dong limit which is regarded as the basics of a residential district should be reorganized and utilized for adjusting to an identity of the district. This idea prevents the local governments spending economic resources needlessly and avoiding the overlapped investment in cultural facilities, and that will be the starting point that can form community for making medium and small district community within one city. For this purpose, first of all, I think we need to consider not only the importance of spacial community that is composed of concrete spaces connected each other to activate community of the residents, but also that of non-spacial community through using their needs / programs together. And then, by planning for both of them that go together, that can be a place where the habitants participate in. That does not simply mean it is enough to make the limited community within one big facility. Each community facility that is specialized can be utilized by the users who can change it on their purpose. Moreover, when every community is interconnected by the network system in many ways, we can reach the stage of unconscious interchange. That will provide the residents with a place where they can truly make their own culture. The plan of making the residential cultural welfare facilities in a small size runs as follows: To begin with, the facilities are specialized in programs and users according to expected programs for residents and the analysis of unused space. Second, specialized facilities have a network through intangible feature and physical patterns. While every facility keeps the relation of mutual cooperation, it has the perfect program. In addition, it is contented with the flexibility of space and maintenance and integration. Third, a few small facilities that have different roles make one group, and the group is properly bound by OPEN space and green area for pedestrians and information WALL. Finally, small residential cultural welfare facilities linked with other facilities in the surroundings make an extensive community, and then they act in union with schools or large-scale cultural complex facilities. As I mention above, small community facility has to reflect the characteristic of the region well and deal with residents' needs and the change of time appropriately. Therefore, that makes up for the weak point in the established full-sized facilities and gives the residents a place for community and public cultural services that get close to them. The place where residents take in! That will be truly the core of residential cultural welfare facilities.

      • 복합문화시설의 외부공간 현황과 특성에 관한 연구 : 경기도 내 복합문화시설을 중심으로

        김하나 단국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8703

        도시 사람들은 생활여건의 향상으로 인한 문화적 욕구가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이에 다른 종합문화시설 건축물들이 형성되어 욕구를 해소시키고 있다. 그러나 도시 설계 적 측면에서 이런 문화시설 건축물의 외부공간에 대한 인식은 미흡하여 계획이나 구성에 있어서 적극적이지 못하다. 그러나 기존의 사례들을 살펴보면 도시 설계적인 측면과 실제 공간 이용자들의 활용 면에서 볼 때 그리 만족할 만한 것은 아니라는 결론들이 나타난다. 그리고 다른 연구 사례들에서도 외부공간의 형태나 조형물 등이 연구되어 왔으나 최근 포화상태인 도시공간에서의 건축 외부공간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요구되어진다고 나타난다. 본 연구는 도시에서 형성되는 문화공간에 대한 사례와 분석을 통해 외부공간의 활성화를 이루기 위한 요소들을 중심으로 연구하고자 한다. 그래서 외부공간의 실태를 조사하고 분석하여 그에 맞는 공간을 계획 및 설계를 하는데 있어서 필요한 기초자료로 이용될 수 있는 것이 이 연구의 목적이다. 제1장은 서론부분으로 우리나라 문화시설의 외부공간의 중요성과 배경에 관한 내용과 연구의 목적 및 방법에 대해 서술한다. 제2장은 이론적인 부분으로 복합문화시설의 개념과 그 분류를 통해 개념을 정의하고, 경기도 내 복합문화시설의 현황과 구성요소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3장은 복합문화시설의 외부공간에 대한 특성에 대해 설명하고 외부공간의 정의와 유형과 역할과 필요성에 대해 이론적인 부분을 서술한다. 그리고 외부공간의 요소와 특성, 관련법규를 통해 외부공간의 개념을 정리하였다. 제4장은 사례분석으로 수도권 복합 문화시설 32개관 중 1990년대 이후에 건립된 18 곳 중 복합문화시설을 선정하여 틀을 만들고 표를 도출하고 사례에 대한 배치구성, 외부 공간 형태, 입지요건, 외부면적에 따른 분석을 하였다. 제5장은 결론부분으로 여섯 가지의 결론을 성립하였다. 첫째, 배치방법에 따른 건물유형에 관한 분석을 한 결과 단일 건물형, 건물 분리형, 건물 분동형, 건물 연결형 이렇게 네 가지의 유형으로 구분되어진다. 1990년대에는 단일 건물형이 주를 이루었지만 2000년대에는 분리형, 분동형으로 다소 많은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둘째, 복합문화시설의 입지요건을 분석한 결과 1990년대에는 아파트와 상가 주변에 위치한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1990년대 후반 이후에는 시설 주변에 녹지가 포함되어 있고, 아파트 및 관공서, 학교가 포함되어 교육과 사회성을 띄는 문화시설로 자리 잡고 있다. 셋째, 대지면적과 외부면적을 비교한 결과 1990년대에 19%에 불과한 외부면적의 비율이 1990년대 후반에는 60%로 늘어나 2000년에는 80%~90%까지 외부면적 비율이 넓어지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넷째, 복합문화시설은 대 공연장, 중 공연장 등의 모든 출입을 포함하는 대형로비의 출입과 소 공연장이나 전시장으로 향하는 단독출입구가 형성되는 것이 나타났다. 다섯째, 외부 공간의 요소는 여러 가지 외부시설물과 주차장, 휴게시설로 구성되어 있고, 그 외에는 야외공연장, 필로티, 선큰, 조형물, 경계부, 외부의 계단, 광장, 아케이드 등의 요소로 구성되어 있다. 여섯째, 복합문화시설의 외부 공간 구성에 관해서 분석을 해본 결과 세 가지 타입으로 나뉘었는데 이것은 시간상, 의미상에 관계없이 다양한 결과를 도출하였다. 현재의 복합문화시설의 외부공간에 있어서 질적 개선과 효율적인 공간 활용을 위해 새로운 시도와 접근방법이 끊임없이 제시되어야 한다. 여러 사례조사를 통해서 분석하여 결과를 도출하였지만 앞으로 복합 문화시설 외부 공간의 시설물의 배치, 외부공간의 동선, 가로와의 관계 등 여러 가지 요소들의 분석을 얻어내지는 못하였다. 이처럼 외부공간은 분석을 할 많은 요소들이 많지만 연구가 이루어 지지 않았다. 이후에 이용자들이 편안한 휴식공간과 문화를 즐길 수 있는 외부 공간 구성이 절실히 요구된다 The citizens express their diverse cultural desires in line with the improvement in living standard, and the complex cultural facilities have been formed to accommodate such desires. However in the urban design aspect, the exterior space of such cultural facility building has yet to be well recognized, resulting in passive approach to the plan and configuration. Viewing the existing cases, it appeared not to be satisfactory from the viewpoint of urban designing and substantial user of the space. Though many studies on configuration of exterior space and the scripture, further efforts to systematically review the exterior space of the architectures in the urban space, which has bee saturated recently, are needed. The study was intended to evaluate the cultural space created in the urban area so as to identify the elements that would revitalize the exterior space. The study was hence aimed at investigating the status of the exterior space to use as the basic data in planning and designing the space. Chapter 1, the introduction, describes the importance and background of the exterior space of the cultural facilities, along with the purpose and method thereof. Chapter 2 theoretically defines the concept of complex cultural facilities and categories and explains the status and elements of the complex cultural facilities in Kyonggi Province. Chapter 3 describes the features of the exterior space of the complex cultural facilities, and definition, type, role and need of exterior space from the theoretical standpoint. And it summarizes the features and elements of the exterior space and the concept according to the relevant codes and regulations. Chapter 4 includes the case study, selecting the facilities at 18 locations, among 32, which were built since late 1990s for evaluation in terms of layout, configuration, location and the area. Chapter 5, the part for conclusion includes the 6-point conclusion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reviewing the type of building according to the layout, the buildings were categorized into a single type building, independent building, functionally-separated building and connected building. It was dominated with a single-type building in 1990s, but changed to independent building and functionally-separated building in 2000s. Second, as a result of reviewing according to the locational environment, they used to be located near the apartment and commercial buildings in 1990s, and began including green zone, apartment, public offices and school in the vicinity in late 1990s to become a cultural facility associated with the education and community. Third, as a result of reviewing the external area, it was 19% level in 1990s but increased to 60% in late 1990s, which was further expanded to 80~90% in 2000. Fourth, a complex cultural facility tended to have a large lobby entrance which includes a large and medium performance halls and independent entrance connecting to the small performance place or exhibition hall. Fifth, among the elements of the exterior space are basically various exterior facilities, car parking and lounge and additionally, outdoor performance plaza, piloti, sunken, sculpture, boundary, external stair, plaza and arcade. Sixth, as a result of revie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exterior space, it was categorized into the three different types, irrespective of the time and meaning, creating a diverse outcome. It’s necessary to attempt the new approach and methodology in a bid to accomplish the improvement in quality and efficient space use with the complex cultural facilities. Though the efforts made to produce the results through the investigation of many cases, the analysis of the elements such as the layout of the facilities in the external space of the cultural facilities, circulation and the relationship with the street have yet to be developed. The external space still have numerous elements to be evaluated in the coming days and the configuration of the external space that would provide the users with comfortable recreational and cultural space is more than important.

      • 제주지역사회에서 중국인의 문화 향유에 관한 연구 : 문화시설 및 문화행사 참여의사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황자호 제주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8703

        중국과 한국은 지리적으로 가깝고, 문화적으로 우호적이며, 수천 년의 우호적 교류의 역사를 통해 풍부한 문화적, 정서적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다. 양국의 문화교류는 일찍이 국적과 민족을 초월하여 서로 융합하고 함께 발전하여 동아시아와 세계 문명의 발전과 번영에 중요한 공헌을 하였다. 올해는 한중 수교 30주년이자 한중 문화교류의 해가 마무리되는 해다. 양국 정부와 민간은 다양한 문화행사를 지속해서 전개해 양국 각 분야의 교류 협력의 질을 높이고 새로운 자세로 수교를 맞이하고 있다. 중앙일보 중국어판(http://chinese.joins.com/news/articleView.html?idxno=100713). 문화도 국가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문화의 참여 과정에서도 많은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예컨대 지난 10월 29일 밤 서울 용산구 이태원에서는 핼러윈 행사 도중 14개국에서 온 외국인 26명을 포함해 154명이 숨졌다. 따라서 문화 참여 과정의 문제점에 관한 연구는 매우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제주도에 거주 중인 중국인들을 대상으로 문화 향유 과정을 연구하였다. 본 연구는 제주도에 거주하는 중국인을 대상으로 제주도의 문화시설과 문화행사에 대한 평가와 문화 향유에 관한 고찰연구를 시행하였다. 또한, 문화시설과 문화행사의 접근성, 안전성, 편의성, 정책지원과 전체적인 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문화 참여 의사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고, 문화시설과 문화행사에 대한 만족도 및 문화 참여 의사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제주도에 거주하는 중국인을 대상으로 제주도에서 생활하면서 문화 향유를 고찰한다. 동양의 하와이로 불리는 제주도는 한국의 최남단일 뿐만 아니라 한·중·일의 중심에 있는 중요한 국제자유도시다. 제주도에는 국제 대도시로서 많은 외국인이 거주하고 있는데, 그중에서도 중국인이 가장 많다. 제주도에 사는 중국인들은 제주도의 일원으로서 함께 제주도를 위해 노력하면서도 마땅히 받아야 할 권리를 누린다. 외국인의 지방투표권, 신변안전 등은 모두 법적으로 보호되고 있는 기본권이지만 생활 속에서 문화처럼 향유할 수 있는 권리가 제대로 있는지 따져볼 필요가 있다. 그래서 본 논문은 이를 계기로 제주도에 거주하는 중국인들의 문화적 향유를 높이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문화 향유에 대해 어떻게 고찰해야 하는지에 대한 선행 연구가 이루어졌다. 한국의 다른 지역의 문화 향유에 관한 연구를 통해 문화시설, 문화행사, 문화정책, 문화교육 등 다양한 측면에서 연구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번 연구는 제주도의 실태를 종합해 문화시설과 문화행사에서 중국인의 제주도 문화 향유 활동을 중심으로 진행됐다. 둘째, 제주도의 문화시설 및 문화행사에 대한 고찰한 내용이다. 이번 연구는 제주도청 홈페이지, 제주도 중국영사관, 제주도문화원 등을 통해 관련 뉴스와 함께 제주도의 문화시설과 문화행사, 중국과 관련된 문화시설과 문화행사에 대한 현황 고찰과 선행연구를 진행했다. 그 결과 제주도의 문화시설은 관련 기구의 문화시설 분류와 본 논문의 고찰 요소를 종합하면 크게 박물관, 도서관, 공연장, 미술관, 영화관, 문화공원 등 6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박물관은 인기 많은 국립제주박물관, 민속자연사박물관, 제대박물관, 해녀박물관 등으로 하였고 도서관이 제주도서관, 한라도서관, 탐라도서관 등으로 하였다. 공연장은 제주도문예회관, 아트센터, 탑동 공연장, 서귀포 예술의전당 등이 있다. 미술관은 도립미술관, 현대미술관, 이중섭미술관, 기당미술관 등이 있다. 영화관은 CGV 제주, 롯데시네마(아라점, 삼화동점), 메가박스 제주 등이 있다. 문화공원은 돌문화공원, 4.3평화공원, 항몽유적지 등이 있다. 이상과 같은 문화시설과 문화행사로 본 연구의 기본 평가의 참고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셋째, 본 연구의 평가 내용이다. 선행연구를 통해 본 연구에서는 접근성, 안전성, 편의성을 문화시설 및 행사 만족도 분석의 요인으로 사용하였다. 일반 연구와 달리 이번 연구는 제주도에 있는 중국인을 대상으로 하므로 요인 부분에서 정책 지원이 추가되었다. 성별, 연령, 학력, 중국인의 한국어 수준, 거주지, 문화시설/행사의 방문목적에 따라 문화 향유 과정이 다를 수 있기 때문에 통계변수로 설정했다. 종속변수는 전체만족도, 서비스 만족도, 프로그램 만족도, 분위기 만족도, 이용과정 만족도를 5가지 내용으로 만족도 연구를 진행하였다. 독립변수가 문화 참여 의사에 미치는 영향과 문화 참여 의사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기 위해 본 연구 모형은 문화 참여 의사를 매개변수로 연구 모형을 설계하였다. 위의 연구 모형을 사용하여 본 연구 분석을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의 설문지를 설계하고,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제주도에 거주하는 중국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행하였다. 그 결과에 따르면 이번 연구에는 남성 204명, 여성 171명 총 375건의 유효한 설문 결과를 받았다. 넷째, 문화시설에 대한 실증분석 결과 부분이다. 본 연구에서는 설문지에서 수집한 결과에 대해 기술통계, 교차분석, 구조방정식분석, 신뢰도 및 타당성검사, 가설검증 등 다양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우선 기술통계는 종속변수인 문화시설 만족도, 독립변수인 접근성, 안전성, 편의성, 정책 지원, 매개변수인 참여 의사 등을 바탕으로 기본적인 기술 통계분석을 한다. 다음으로 교차분석은 주로 성별, 연령, 학력, 한국어 수준, 거주지, 방문목적 등 6가지 통계변수와 종속변수인 문화시설 만족도, 독립변수인 접근성, 안전성, 편의성, 정책 지원, 매개변수인 참여 의사 간의 교차분석을 통해 이뤄졌다. 그리고 신뢰도와 타당성을 고찰해 보면 Cronbach’s α 값이 모두 0.8을 초과하여 문화시설의 신뢰도가 문제가 없음을 확인할 수 있고 표준화 요인의 값들 대부분 기준치에 근접하는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CR(t) 값은 모두 높게 나타났으니 통계적으로 유의미하다고 판단한다. 문화시설에 대한 구조방정식 및 가설의 분석 결과를 따르면 문화시설의 접근성, 정책 지원은 문화시설의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을 채택하고 접근성과 편의성은 문화시설의 참여 의사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을 채택한다. 반면에 문화시설의 안전성과 편의성은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을 기각하고 안전성과 정책 지원은 문화시설의 참여 의사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을 기각한다. 매개변수인 참여 의사는 문화시설의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을 채택한다. 다섯째, 문화행사에 대한 실증분석 결과 부분이다. 문화행사도 마찬가지로 설문지에서 수집한 결과에 대해 기술통계, 교차분석, 구조방정식분석, 신뢰도 및 타당성검사, 가설검증 등 다양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우선 기술통계는 종속변수인 문화행사 만족도, 독립변수인 접근성, 안전성, 편의성, 정책 지원, 매개변수인 참여 의사 등을 바탕으로 기본적인 기술 통계분석을 한다. 다음으로 교차분석은 주로 성별, 연령, 학력, 한국어 수준, 거주지, 방문목적 등 6가지 통계변수와 종속변수인 문화행사 만족도, 독립변수인 접근성, 안전성, 편의성, 정책 지원, 매개변수인 참여 의사 간의 교차분석을 통해 이뤄졌다. 그리고 신뢰도와 타당성을 고찰해 보면 Cronbach’s α 값이 모두 0.8을 초과하여 문화시설의 신뢰도가 문제가 없음을 확인할 수 있고 표준화 요인의 값들 대부분 기준치에 근접하는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CR(t) 값은 모두 높게 나타났으니 통계적으로 유의미하다고 판단한다. 문화행사에 대한 구조방정식 및 가설의 분석 결과를 따르면 문화행사의 접근성, 안정성과 편의성은 문화행사의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을 채택하고 편의성은 문화행사의 참여 의사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을 채택한다. 반면에 문화행사의 정책 지원은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을 기각하고 접근성, 안전성과 정책 지원은 문화행사의 참여 의사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을 기각한다. 매개변수인 참여 의사는 문화행사의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을 채택한다. 마지막으로 정책제언 부분을 통해 문화시설, 문화행사 및 제주도에서의 중국인의 문화생활 적응성 제고를 제안한다. 이번 연구를 통해 문화와 향유에 관한 이론과 지식에 대한 기본적인 인식하게 되었고, 이론적 고찰과 선행연구를 통해 문화 향유에 대한 고찰에 대한 가장 기본적인 시사점을 갖게 되었다. 둘째, 관련 데이터 고찰을 통해 제주도에 거주하는 중국인에 대한 기본적인 인구구조에 대한 이해도가 높다. 중국인의 문화 향유 현황에 대한 이번 연구를 통해 중국인의 문화 향유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하게 되었다. China and Korea are geographically close, culturally cordial, and form a rich cultural and emotional concord through thousands of years of friendly interactions. Cultural exchanges between the two countries have made an essential contribution to the development and prosperity of East Asian and global civilizations by converging and developing together beyond nationality and ethnicity. This year celebrates the 30th anniversary of establishing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Korea and China, which also marks the end of the Korea-China Cultural Exchange Year. In addition, the two governments and private sectors continuously carry out a wide range of cultural events to enhance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in various fields. Therefore, culture plays a vital role in the development of the country. However, there are many concerns in the process of cultural participation. For example, 154 people, including 26 foreigners from 14 countries, died during the Halloween event in Itaewon, Yongsan-gu, Seoul, on October 29. Therefore, research on the problems of the cultural participation process is crucial. Thus, this study studied the process of cultural enjoyment for Chinese people living in Jeju Island. This work conducts a study on cultural enjoyment by evaluating cultural facilities and cultural events in Jeju Island for Chinese people living in Jeju Island. In addition, this thesis investigates the accessibility, safety, convenience, policy support, and overall satisfaction of cultural facilities and cultural events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 of cultural participation intention and explore the effect of cultural participation intention on cultural facilities and cultural events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is work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is work examines the enjoyment of culture by Chinese people living in Jeju Island. Jeju Island, Hawaii in the East, is not only the southernmost part of Korea, but also a critical free international city in Korea, China, and Japan. As an international municipality, many foreigners live in Jeju Island, and among them, the Chinese are the most. Chinese people living in Jeju Island work hard for Jeju Island and enjoy their rights. Foreigners' right to vote in local regions and safety are all legally protected as fundamental righ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whether they enjoy their cultural rights. Consequently, this work executes a study to enhance the cultural enjoyment of Chinese people living in Jeju Island. This thesis documents a complete and comprehensive literature review on how to examine cultural enjoyment. By reviewing cultural enjoyment in other regions of Korea, it is deducted that research from various aspects such as cultural facilities, cultural events, cultural policies, and cultural education is feasible. This work is a consolidated analysis of Chinese people's enjoyment of Jeju Island's cultural events with considering the reality of Jeju Island in terms of cultural facilities and events. Second, this work reviews and describes the cultural facilities and cultural events in Jeju Island. According to the reports and news from the Jeju Island Office website, the Chinese Consulate on Jeju Island, and the Jeju Cultural Institute, this work investigates and summarizes the current situation of cultural facilities and events related to China on Jeju Island. Combining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cultural facilities in Jeju and the elements proposed in this thesis, the cultural facilities can be roughly classified into six categories: museums, libraries, performance venues, art museums, cinemas, and cultural parks. The museums include the famous National Jeju Museum, Folklore and Natural History Museum, Jeju University Museum, and the Sea Maiden Museum, etc. Libraries consist of Jeju Library, Hanna Library, and Tamna Library. Performance venues comprise Jeju Cultural Arts Hall, Art Center, Ta-dong Performance Hall, Seogwipo Art Hall, etc. Art museums include the Do-ri Art Museum, the Museum of Modern Art, the Lee Chung-sub Art Museum, and the Ki-dang Art Museum. Movie theatres include CGV Jeju, Lotte Cinema (Ara branch, Samhwa-dong branch), Megabox Jeju, etc. Furthermore, cultural parks include the Stone Culture Park, the 4.3 Peace Park, and the Anti-Mongolian Site. The aforementioned cultural facilities and events are examined as the main elements of the evaluation of this work. The third part is the evaluation of this thesis. With the previous studies, this work considers accessibility, safety, and convenience as factors for analyzing satisfaction with cultural facilities and events. Different from other studies, this work focuses on Chinese people in Jeju Island, thus the policy support factor is considered. According to the previous analysis, the process of cultural enjoyment varies depending on gender, age, education, Korean language level of Chinese people, place of residence, and purpose of visiting, therefore, they are set as statistical variables. Besides, the dependent variables are examined in terms of satisfaction with five components: overall satisfaction, service satisfaction, program satisfaction, atmosphere satisfaction, and usage process satisfaction. Furthermore, this study designs a research model with the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culture as a parameter to examine the effect of independent variables on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culture and the effect of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culture on satisfaction. The mentioned research model is used for the analysis of this study. Based on the model mentioned above, this work uses an online questionnaire to survey Chinese people living in Jeju Island. A total of 375 valid questionnaire results are collected, including 204 males and 171 females. Based on the collected survey data, the fourth part of this thesis documents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of cultural facilities. This section analyzes and evaluates the data using various analytical methods such as descriptive statistics, cross-tabulation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reliability and feasibility testing, and hypothesis testing. First, descriptive statistics are conducted for fundamental technical statistical analysis based on the dependent variable of satisfaction with cultural facilities and the independent variables of accessibility, safety, convenience, policy support, and intention to participate. Then, the cross-tabulation analysis is achieved through the analysis of dependent variables, independent variables and six statistical variables, including gender, age, education, Korean language level, residence, and purpose of visiting. Third, by examining the credibility and feasibility, this paper finds that Cronbach's α values are all over 0.8, which indicates that the credibility of the cultural facility nexus is reliable, the values of the standardized factors are mostly close to the standard values, and the CR(t) values are all high, therefore it is considered statistically significant. Following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structural equation and hypotheses of cultural facilities, the accessibility of cultural facilities and the adoption of policy support have a positive (+) effect on the satisfaction of cultural facilities, and the accessibility and convenience have a positive (+) effect on the intention to participate in cultural facilities. On the contrary, the statistical analysis rejects that the safety and convenience of cultural facilities have a positive (+) effect on satisfaction and rejects that safety and policy support have a positive (+) effect on the intention to participate in cultural facilities. Simultaneously, the statistical analysis results affirm the hypothesis that the intention to participate has a positive (+) effect on satisfaction with cultural facilities. The fifth part of the thesis describes the result of the empirical analysis of cultural events. Similarly, this section presents various analyses of the cultural events on the results collected by the questionnaire, such as technical statistics, cross-tabulation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reliability and feasibility testing, and hypothesis testing. First, this work analyzes the statistical results between the dependent variable with cultural events satisfaction and the independent variables, including accessibility, safety, convenience, policy support, and intention to participate in parameters, by using technical statistical methods. Secondly, this work examines the credibility and feasibility and finds that Cronbach's α values are all over 0.8, indicating that the cultural facility junctions are trustworthy, the values of the standardized factors are mostly close to the standard values, and the CR (t) values are all high, so they are considere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structural equations and hypotheses of cultural events, accessibility, stability and convenience adoption of cultural events have a positive (+) effect on satisfaction with cultural events, and convenience adoption has a positive (+) effect on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cultural events. In contrast, policy support for cultural events rejects the hypothesis of a positive (+) effect on satisfaction, while accessibility, safety, and policy support reject the hypothesis of a positive (+) effect on the intention to participate in cultural events. Moreover, the research finds a positive (+) effect of participation intention on cultural events satisfaction. Finally, this work proposes improving Chinese cultural facilities, events, and the adaptability of cultural life in Jeju in the policy suggestion section. With this thesis, basic theoretical knowledge of culture and enjoyment is accumulated, and the most basic insight into the examination of cultural enjoyment is gained through theoretical investigation and preliminary research. Second, the basic demographic structure of Chinese people living in Jeju Island is obtained through the inspection of relevant data. Finally, this research on the current status of the cultural enjoyment of Chinese residents has provided a basic understanding of the cultural enjoyment of Chinese resid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