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딜레마 이론에 입각한 정책과정에 관한 연구 : 교육행정정보시스템(NEIS) 정책사례

        최홍순 경기대학교 2004 국내박사

        RANK : 2943

        다양하고 복잡한 이해관계가 얽혀있고 표출되는 현대사회의 정책결정은 크든 작든 어느정도 상충된 요구를 지니는 정책의 선택을 요구받는다. 이 경우 정책선택은 합리적으로 정책대안 간의 효용을 계산하여 그 합이 극대화되는 점이나 정치적으로 그 정책대안의 압력 정도를 반영한 절충점이 선택될 수도 있다. 그러나, 정책대안간의 상충성이 커서 어느 한 쪽을 선택하거나 두 정책대안 간의 절충이 불가능할 경우가 있다. 이러한 상황을 딜레마라고 표현한다. 매우 어려운 정책결정이나 사회적 갈등을 불러일으킨 정책결정은 예외없이 딜레마적 요소가 내재되어 있다. 딜레마 상황의 정부의 대응은 비합리적이고 비일관적인 형태를 표출하게 된다. 본 연구는 위와 같은 인식 하에 최근 사회적 갈등을 불러일으킨 NEIS 정책과정을 중심으로 딜레마의 발생요인과 전개과정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정부의 정책대응과 정책대응의 결과를 분석하였다. NEIS는 '정부의 효율성' 가치와 '개인정보 보호' 가치라는 상충적 두 가치의 충돌이다. NEIS 정책결정(또는 선택)에 있어 이 두 가치는 서로 대등한 중요성을 부여받은 가치이므로 절충되는 가치를 가질 수 없다. NEIS 정책결정은 어느 쪽을 선택하더라도 비슷한 정도의 불만족을 낳게 된다. 한 가치의 선택이 다른 가치의 포기로 인한 효용감소를 가져온다는 점에서 기회손실이 있으며 가치간의 상충성을 내포한다. 따라서 NEIS는 '정부의 효율성' 가치와 '개인정보 보호'가치라는 기본논리간의 상충성으로 인하여 선택의 불가피성과 기회손실을 갖게된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NEIS 정책과정의 분석을 위하여 먼저, 딜레마상황의 발생요인과 정책참여자들의 영향력을 분석하고, 다음으로 시간적 추이와 딜레마의 전개양상에 따라 딜레마 상황을 표출기, 심화기, 완화기로 구분하여 정부의 정책대응 형태와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NEIS 정책 딜레마는 정보화의 필요성과 정보화에 따른 문제점에서 출발하는 정부의 효율성과 개인정보 보호라는 상충적 가치로 인하여 정책결정의 어려움을 겪게 되었다. NEIS정책 딜레마는 정보사회의 도래로 인한 사회·정치적 변화와 정책참여자들의 영향력, 낮아진 조직의 집행능력을 배경으로 정부의 효율성과 개인정보 보호라는 두 가지 대안간의 상충성과 선택불가피성, 그리고 그로 인한 막대한 기회손실의 발생을 딜레마의 원인으로 하고 있다. 딜레마의 표출기에 있어서의 정책참여자는 전자정부 구현을 목표로 하는 정부, 교육행정정보화를 목표로 하는 교육인적자원부, 인권침해 방지를 위한 개인정보보호를 목적으로 현장교사들을 들 수 있다. 딜레마의 표출기는 교육인적자원부가 별도로 추진해오던 교육행정정보화사업을 정부의 전자정부 사업과의 연계를 위하여 기존 정책을 변경하는 과정에서 정부와 교육인적자원부는 정책갈등을 겪게 되었다. 그러나 결국 교육인적자원부는 정부의 전자정부 구현사업의 맥락에 부합하도록 교육행정정보화 정책을 변경하였다. 이 결정은 곧바로 교육현장에 그 효과가 파급되어 이미 교육정보화와 교육행정정보화 관련 행정잡무의 증가, 개인정보 보호문제 등 기존의 정보화 경험으로 문제점을 인식한 현장교사와의 갈등으로 확산되었다. 이들을 통하여 딜레마의 상충적 두 가치의 갈등이 전면에 드러나게 되었다. 딜레마 심화기에는 표출기의 정책참여자 외에 학부모단체와 인권단체 및 관련 사회단체 등으로 정책참여자가 확대되고, 이들 정책참여자간의 분화와 연대를 통하여 갈등이 뚜렷해지고 집단간의 이해관계 갈등도 커지게 되었다. 즉 심화기의 정책참여자들은 정책참여자간의 분화와 연대를 통하여 점차 조직적으로 정부의 정책에 대응하여 딜레마의 상충적 가치를 극명하게 대립시키는 한편 정책참여자간의 갈등도 증가·확대시켰다. 정부는 NEIS 정책 딜레마에 대하여 순환적 정책, 딜레마의 전가, 딜레마의 재규정 정책으로 대응하였다. 이러한 정책대응은 딜레마의 각 과정에 유기적으로 작용하였는데, 순환적 정책의 경우, 딜레마의 표출기에서부터 지속적으로 정책의 번복, 수정, 왜곡을 통하여 정책집행의 구체적 내용에 대한 갈등의 쟁점 변화를 유도하여 딜레마에서 벗어나고자 하였다. 순환적 정책은 NEIS 논란이 정부의 다른 정책으로 확산되는 것을 차단하는 효과를 얻은 반면 정책결정에 있어서는 정부의 정책집행능력 부재를 드러내고, 이로 인하여 정책참여자간의 갈등과 정부 조직의 내부분열을 불러일으켰다. 딜레마의 전가를 통한 정책대응도 마찬가지라고 할 수 있다. NEIS 정책 딜레마에서 정부는 정책결정의 부담을 덜고자 위원회를 구성하였는데, 처음 교육인적자원부가 구성한 교육행정정보화위원회는 그 구성면에 있어서 NEIS를 반대하는 단체들의 참여를 이끌어내지 못하여 위원회의 협의력에 문제를 남김으로써 딜레마 전가에 실패하였다. 위원회 구성의 실패는 또다시 정부의 정책집행능력 부재를 드러내는 계기가 되었고, 더욱이 이후에 정부가 구성한 교육정보화위원회는 교육인적자원부가 아닌 국무총리실 소속의 자문기구 형식으로 구성되어 NEIS 정책집행 기관인 교육인적자원부에 대한 정부의 불신을 보여주는 것이나 다름없어서 정책집행기관의 집행능력부재와 신뢰를 떨어뜨렸다. NEIS 정책 딜레마는 딜레마 상황의 지속이 정책결정의 타당성이나 합리성 문제를 떠나서 정부의 집행능력 부재를 드러냈고 이로 인한 정부불신을 조장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따라서, 정책참여자간 딜레마 상황의 인지노력을 적극적으로 함으로써 정책결정 시간을 단축하고 그로 인한 갈등의 확대나 재생산, 정책결정의 오류를 줄이고자 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한편, 정책 딜레마를 사전에 예방 또는 방지할 수 있는 정책결정 프레임의 개선과 정책참여자들의 의견을 사전에 수렴하는 제도나 절차 등의 마련이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Decision-making in the modern society where diverse and complex interests are intertwined requires selection of policies that accommodate a certain amount of conflicting demands. In such cases policy selection could be either a point that maximizes the sum of utilities of policy alternatives or a compromise that reflects degrees of pressure from each alternative. However, sometimes existing conflict could be so large as to make selection of one of the alternatives or their compromise impossible. Such a situation is referred as a dilemma. Past policy decisions that aroused unusual difficulties and social conflicts during the decision process invariably involved elements of a dilemma. Government reactions in situations of dilemma often demonstrate lack of reason and consistency. With such understanding this study analyzes the case of NEIS policy decision process that have aroused social conflicts recently in terms of origins of the dilemma, its development pattern, governments policy measures and their consequences. NEIS was a case of conflict of the governments value of public efficiency against another value of protection of personal data. These two values are of equal importance so that a compromise in value is not feasible. Policy choice on NEIS in either direction would pose similar level of dissatisfaction. Selection of a value forces rejection of the other, thus bringing about reduction in utility. This implies conflict between the two values and an opportunity loss. Therefore, NEIS, due to the conflict between the two basic values of the public efficiency and protection of personal data, involves inevitability of choice and an opportunity cost. This study, as the first steps of the NEIS policy decision process, examined the origins of the dilemma situation and degree of influence the players have in the decision process, followed by analysis of government actions and their consequences in three stages of dilemma surfacing, intensification and relaxation, categorized in terms of time and the dilemma development pattern. Analysis revealed that the NEIS policy dilemma rose from the value conflict between the governments pursuit of public efficiency based on the need for e-government and the heightened public awareness of the value of protecting personal data. This dilemma caused major difficulties in the NEIS policy decision process. The policy dilemma of NEIS has its roots in the fundamental conflict between the two alternative values of public efficiency versus protection of personal data, inevitability of choice and the consequent serious opportunity loss, in light of the circumstances of socio-political changes due to advancement of the informatization society in Korea, increased influence of policy players, and lower execution capability of government agencies. During the surfacing stage of the dilemma players in the policy process were the government, which sought to implement the e-government project;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MOE), which sought to computerize the school administrative system; and the front-line teachers, who believed in protection of personal data. During the dilemma surfacing stage MOE, which had independently been pursuing the school administration computerization program, was forced to make changes in the program policy in order to integrate it with the e-government program. During this process both the central government and the MOE experienced conflicts in policy coordination. In the end the MOE had to make changes in its policy of school administration computerization so that the program would be compatible with the central governments e-government program. This decision had immediate impacts on front-line teachers, who had already experienced various problems associated with the prior computerization project including increased work load on teachers and now perceived the new program as a threat to personal data protection. Through them the conflict between the two values came to the front. During the dilemma intensification stage additional player groups such as parents organizations, human rights organizations and other social groups came into the ground. Conflicts became more apparent due to division and coalition among these various groups. That is, policy players during the dilemma intensification stage, through division and coalition among them, came to counter the governments policy more aggressively and in organized fashions to intensify the contrast of the conflicting values, while the conflict among the interest groups was heightened as well. The government countered the NEIS policy dilemma employing such tactics as circular policy, dilemma transfer and dilemma redefinition. These policy countermeasures were employed in organized fashion for each stage of dilemma. As for the circular policy measure, the government sought to extricate itself from the dilemma by repeatedly reversing, modifying or distorting the policy in the hope of changing the focus of the controversy from the surfacing stage onward. This circular policy, while it had the effect of preventing spill-over of the NEIS controversy to other government policy areas, clearly revealed the lack of the governments capability to coordinate and execute its policies effectively. Consequently, it only brought about internal schism among government agencies and conflict with other policy players. The governments countermeasure of dilemma transfer had similar effects. The governments method of minimizing the burden of its NEIS policy decision was the use of a committee. The School Administration Computerization Committee, which the MOE organized initially, failed to induce participation of opponents of NEIS, thus leaving serious doubt on validity of the committees negotiation platform. Therefore, the government failed to transfer the dilemma to the committee and this failure only exposed the MOEs lack of policy coordination capability. Later the central government organized the School Computerization Committee, which did not belong in MOE but was an advisory function of the Prime Minister. This fact meant the central governments lack of trust in the MOE, the executive agency of the NEIS, so that the decision further diminished the public trust in the MOEs policy coordination capability. The continuing dilemma in the NEIS policy, aside from the validity of the policy decision or its reasonableness, exposed the lack of the governments policy coordination capability, leading to the public mistrust in the government. Therefore, the government needs to make positive efforts to recognize the dilemma situation among the policy players in order to reduce the policy decision time and to minimize conflict expansion, reoccurrence or policy errors. On the other hand, we look forward to institution of a policy decision framework that would prevent similar policy dilemmas from flaring into intensified level as well as a system/procedure to draw consensus on major issues from all player groups.

      • 정보통신융합정책의 딜레마에 관한 연구 : 망중립성 사례를 중심으로

        조윤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94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lemma characteristics of domestic net neutrality policy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licy strategies of the government by applying the dilemma theory. The characteristics of the network neutrality policy are derived as follows . First , the results of analysis of context , environment change , and focus events affecting network neutrality dilemma were as follows . The social context that affects the network neutrality dilemma has led to the emergence of a new telecommunications business with a continuous increase in traffic . It is analyzed that the discussions about the improvement of the internet network and the device connection are important in discussing network neutrality. That is, the continuous increase in the traffic demands the advancement of the network network and raises a cost sharing problem with the advancement of the network. In recent years, the connection between devices has become a very important factor due to the expansion of the Internet business area of ''things, which can increase the importance of non-discrimination in the network connection . Focusing events also occurred consistently as factors affecting the network neutrality dilemma . Conflicts between ISPs and CPs have persisted . Network neutrality The persistence of conflicts between supporters and opponents has increased the time pressure for government policy makers to resolve the problems quickly . The government's response to this was analyzed by using the means of administrative guidance . And a strategy to avoid depending on the sign was also used .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n the trade-off of alternatives, cohesiveness of actors, and equivalence of outcome values, which are the real elements constituting the network neutrality dilemma, are as follows. The alternative conflicts are that the alternatives are fragmented and conflicted in concrete alternatives rather than confrontation (private vs . public goods) about the nature of the underlying network or innovation (innovation vs . content service innovation through network enhancement). In particular, the ISPs maintained their opposition to the need to introduce network neutrality in the wireless Internet at the Internet layer, while CP and civil society maintained a favorable stance. The ISP has argued that the issue of network neutrality should be market-autonomous . On the other hand , the net neutrality supporter group should be legislated. The organization of network neutrality supported group appeared. CPs responded to the problem of network neutrality by forming the Open Internet Association. The equivalence between the outcome values was determined by the difficulties that policy makers felt about network neutrality policies . As a result of analysis, all time policy makers were complaining about network neutrality problem. The second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tepwise response characteristics of the policy process of the network neutrality dilemma . First,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lemma response behaviors of the policy formation stage to solve the network neutrality problem was analyzed by managing the dilemma through procedural means . And the use of authoritative resources among the procedural means such as the formation of the advisory committee and the task force management . Procedural means are the means used to change the aspect of policy discourse in the policy process and to secure the legitimacy and competence of the government . Second , the characteristic of the dilemma response behavior of the network neutrality policy decision stage is analyzed by managing the dilemma by selecting ambiguous policy mean .

      • 병설유치원 종일반교사의 윤리적 딜레마

        손효영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943

        본 연구에서는 병설유치원 종일반교사들이 현장에서 어떠한 윤리적 딜레마를 경험하며,이를 어떻게 해결해나가는가를 내러티브 탐구방법을 사용하여 알아보았다. 병설유치원 종일반교사들의 내러티브(narrative)를 직접 담고 있는 본 연구의 결과는 종일반 운영에 대한 기초자료와 정책 입안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해 줄 것으로 기대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병설유치원 종일반교사가 경험하는 윤리적 딜레마는 무엇인가? 2. 병설유치원 종일반교사는 자신이 경험하는 윤리적 딜레마를 어떻게 해결해 나가는가? 본 연구의 참여자는 단비초등학교 병설유치원 종일반교사인 황교사와 이교사로서,3년 이상의 종일반교사 경력을 가지고 있었다. 본격적인 자료수집은 2012년 2월부터 9월까지 8개윌에 걸쳐 이루어졌다. 주된 자료수집 방법으로는 연구 참여자들과의 대화와 참여관찰을 사용하였고,그밖에 연수 자료, 일지 , 알림장, 공문 등을 수집하였다. 연구 참여자들과의 대화는 각각 총 19회 이루어졌으며,참여관찰은 각각 총 11회 이루어졌다. 수집된 자료를 반복하여 읽으면서 그 속에서 나타나는 본 연구와 관련 있는 이야기들의 주제를 찾아내어 연구 텍스트(research text)를 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병설유치원 종일반교사가 경험하는 딜레마는 크게 자신의 역할에 관한 딜레마,관계 속에서 겪는 딜레마,교육과정을 운영하면서 경험하는 딜레마가 있었다. 역할에 관한 딜레마에서 황교사는,보호의 역할,보조의 역할,특별활동 연결고리의 역할을 하도록 기대되면서 딜레마를 경험했고,이교사는 엄마로서 소홀하면서, 그리고 보조의 역할을 하도록 기대되면서 딜레마를 경험했다. 관계 속에서 겪는 딜레마에서 황교사는 반일반교사와 의 관계,하모니교사와의 관계,학부모와의 관계 속에서 딜레마를 경험하였고,이교사는 동료교사들과의 관계,학부모와의 관계 속에서 딜레마를 경험하였다. 교육과정을 운영하면서 경험하는 딜레마로서 황교사는 학습지 위주로 활동하기,개별 수준차 극복하기,내 기준으로 유아 입맛 정하기,가장 재미있는 놀이 제재하기,에너지 넘치는 원민이 지도하기, 종일반 수업 개선하기를 하며 딜레마를 경험하였고, 이교사는 반일반교사와 함께 가르치기,혼내지 않고 가르치기,양심 가르치기,함께 놀도록 가르치기,누리과정으로 가르치기와 같은 딜레마를 경험하였다. 둘째, 병설유치원 종일반 교사는 여러 가지 윤리적 딜레마를 경험하면서 이를 해결하기위해,자신의 실천적 지식이나 주변사람의 조언을 통해 의사결정을 내리기도 했다. 그러나 의사결정을 내리지 못할 경우에는 딜레마를 둘러싼 상황을 더욱 주의 갚게 관찰하거나 대화의 시간을 통해 해결하고자 노력했다. 하지만 종일반교사의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딜레마들은 또 다른 딜레마를 낳아가며 나선형적 형태를 띄고 있었다. 이렇듯 병설유치원 종일반교사는 살아가면서 수많은 딜레마를 당면하지만, 그 속에서 보람과 희망을 발견하며,유아들을 향한 사랑으로 이를 견뎌내고 있었다. 이들이 발견한 보람과 희망,그리고 유아를 향한 사랑의 마음은 병설유치원 종일반교사가 유아교사로 살아가는데 있어서 원동력이 되고 있었다. This paper identified the ethical dilemmas of teachers in full day class at the kindergarten attached to elementary school and their approach to solve such dilemmas using narrative inquiry. This paper will provide the suggestions for policy making as the basic data to operate full day kindergarten by containing the direct narratives from full day kindergarten teachers. To achieve these purposes,the following questions were established. 1. What is the ethical dilemmas which teachers in full day kindergarten attached to elementary school experience? 2. By what kind of approaches do teachers in full day kindergarten attached to elementary school solve their ethical dilemmas? The participants in this research are the teachers Hwang and Yi in the full day kindergarten attached to Danbi elementary school. They have been working as the teachers for full day class for over 3 years. The data were collected for 8 months from Feb. to Sep. 2012. The data were mainly collected by conversation with the participants and participant observations. The material from in-service training,daily report,parents’ notice books and official notices were also collected. There were 19 meetings with the participants and 11 participant observations. The research texts were produced by reading the data repeatedly and identif ying the themes related to this research from data. The dilemmas which the teachers in full day class in the kindergarten attached to the elementary school were classified into the dilemma related to the teacher's roles,dilemma from relationship and dilemma from implementing curriculum. For the dilemma related to the teacher's roles,the teacher Hwang experienced such dilemma from the expectation on her roles as guardian,assistant or helper for extracurricular activities. The teacher Yi experienced it from the expectation on her roles as an assistant while she was negligent as the mother. Furthermore,the teacher Hwang experienced the dilemma from the relationship with the teachers in half day class,with harmony teacher and with parents. The teacher Yi experienced it from the relationship with colleagues and parents. As the dilemmas from implementing curriculum,the teacher Hwang experienced the dilemmas from activity focusing on home study materials,overcoming individual difference in leaming,helping dietary habits,prohibiting for safety,teaching without trouble and improving teaching for the full day class. The teacher Yi experienced the same dilemmas from teaching with a teacher for a half day class,teaching without scolding,teaching conscience,teaching how to play with and teaching Nuri class. Next,the teachers in full day class in kindergarten attached to elementary school made the decision as listening to the advice from people around them or their own practical knowledge to solve diverse kinds of ethical dilemmas. When they failed to make decision,they tried to solve such dilemmas by observing the situations causing ethical dilemmas more carefully or through conversation. However,the dilemmas had the spiral shape as causing another dilemmas in spite of their efforts to solve them. Although the teachers in full day class in kindergarten attached to elementary school faced a number of dilemmas,they found hope and value and endured such dilemmas with love to kids. Value,hope and love to kids they found are the driving force to make them live as the teachers in full day class in kindergarten attached to elementary school.

      • 딜레마 죤에 따른 단속 허용범위에 관한 연구

        이준욱 계명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943

        본 연구는 신호교차로에서의 딜레마 죤 범위를 산정하고 신호위반 단속의 허용 범위를 분석하는데 있다. 각 교차로 접근로별 조사 자료를 토대로 딜레마 죤의 범위를 산정하였고, 이를 토대로 신호위반 단속에 있어 딜레마 죤의 영향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기존의 딜레마 죤에 관한 연구에서는 인지-반응 시간과 황색신호시간을 Default값으로 적용하였으나 본 연구에서는 해당 교차로의 조사치를 적용하였다. 조사 방법으로 속도조사는 스피드 건을 이용하여 각각의 대상 교차로별 접근로에서 접근 속도 및 통과 속도를 조사하였으며, 운전자의 인지-반응 시간 및 황색신호시간에 교차로를 통과하는 차량조사는 비디오촬영을 통하여 조사하였다. 이러한 조사된 자료를 토대로 신호위반 단속기준에 맞추어 딜레마 죤에 관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딜레마 죤은 최소정지거리(d。)가 최대통과거리(dc)보다 클 때 존재하는 것으로 보았으며, 그 차이만큼의 딜레마 죤이 발생하는 것으로 정의하였다. 이에 신호위반 단속을 함에 있어 딜레마 죤의 영향을 최소화 할 수 있는 3가지 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황색시간을 재조정하는 방안 둘째 딜레마 죤의 크기만큼 자기감응식 검지기를 정지선 내부로 이동시키는 방안 셋째 딜레마죤 범위를 고려한 자기감응식 검지기의 단속 시작시간을 재조정하는 방안 그러나 각각의 방안을 개별적으로 적용시킬 경우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자기감응식 루프검지기의 위치를 재조정함에 있어 하나의 루프 검지기를 정지선 이후에 존재함과 동시에 황색신호시간을 재조정하거나, 자기감응식 루프검지기의 작동시간을 재조정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3개의 교차로를 비교대상으로 선정하여 각각의 교통환경에 따른 접근로별 딜레마 죤의 범위를 최소화하기 위한 대안을 제시하였다. 향후 보다 광범위한 조사와 함께 교통류 특성에 따른 루프 검지기 위치 및 단속시간 허용범위의 표준화 작업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신호교차로에서의 딜레마 죤의 범위는 접근속도, 인지-반응시간, 황색시간, 교차로폭 등 여러 가지 변수들의 영향을 받으며, 이러한 변수들의 변화에 따라 딜레마 죤의 범위도 여러 형태로 나타나게 된다. 대부분의 딜레마 죤 관련 연구 자료들을 살펴보면 All-Red 신호의 운영, 황색신호시간의 재설정 등 신호 운영적인 측면에서의 해결책을 모색하는 것이 전부이다. 또한 딜레마 죤 범위산정에 있어 인지-반응 시간, 감속도 등 여러 가지 변수들을 Default값으로 설정하여 분석하고 있다. 이는 각 교차로의 기하구조 및 환경 조건에 따른 영향을 전혀 고려하지 못한 이론적인 분석이 될 뿐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교통사고 및 과속방지를 위하여 신호교차로에 대하여 다기능단속기계를 이용하여 신호 및 과속에 대한 단속을 강화함으로써 올바른 교통문화를 정립하려 하고 있다. 하지만 차량의 접근속도를 줄이는 효과는 있지만, 교차로별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일관된 기준으로 단속을 함에 있어 여러 가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고 판단된다. 또한 우리나라의 경우 각기 다른 교차로별 접근로 상에서 딜레마 죤에 대한 연구 없이 루프의 위치를 균일적인 설치기준에 의해 설치되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교차로별 딜레마 죤에 대한 분석을 토대로 딜레마 죤 설정에 있어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함과 동시에 딜레마 죤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또한 이러한 연구를 토대로 신호위반 단속의 허용범위에 대한 의견을 제시하는데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calculate the scope dilemma zone at the signal intersections where the traffic violation vehicles running at red light are existing. Based on the collected data on each approach lane, the ranges of dilemma zone are calculated, and the appropriate relocation of inductive loop detector is proposed to minimize the dilemma zone. The dilemma zone is calculated using the perception-reaction time and yellow time as a default value. The approaching speed and pass through speed on each approach lane by using speed gun are examined and the driver's perception-reaction time by using video photography is checked out. The result of analyzing above data tells that stopping distance(d。) is determined by yellow time and the scope. So the effect of dilemma zone is minimized by reducing the gap between d。and dc through readjusting the yellow time. It is analyzed that perception-reaction time and approach speed have an major effect on the scope of clearing distance. To solve this problem this study proposes the relocation of loop detector to make dc extremely close to d。. Namely the fixed standard of loop installation has many problems because current location of inductive loop detector for red light running enforcement is installed 6.8m apart from the stop line. Finally, this study proposed appropriate method adjusting the location of loop to eliminate the dilemma zone on each approach lane. On the basis of this study, the future study will be conducted to standardize the location of loop detector for red light running enforcement based on the other traffic parameters.

      • 딜레마 상황에서 인공지능과 인간의 공리주의와 의무론적 선택에 대한 판단 : 이중과정이론을 넘어서

        김보경 경기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943

        인공지능 및 로봇은 생산성을 높여주는 수동적 역할에 그치지 않고 경제 분석이나 양형 판단, 군사행동 등 자율적인 학습 및 판단 능력을 갖추어 가고 있다. 이렇게 인공지능의 기술적 발전은 계속되고 있으나 사람이 인공지능의 행동이나 판단을 어떻게 생각하고 평가하는지에 관한 연구는 많지 않다. 이에 본 연구는 사람들이 인간 행위자와 인공지능 행위자의 윤리적 선택을 판단할 때, 서로 다른 인지적 과정을 사용한다는 새로운 가설을 제시하였다. 구체적으로 사람들은 인간 행위자의 윤리적 선택을 판단할 때, 빠른 사고(system 1)와 느린 사고(system 2)를 모두 사용하지만, 인공지능 행위자의 윤리적 선택을 판단할 때는 빠른 사고(system 1)만을 사용하는 단일 과정(one process)을 사용할 것이라고 예상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실험 1에서는 행위자에 따른 갈등 수준에 차이를 살펴보고, 실험 2에서는 발생 가능성을 높은 조건과 낮은 조건으로 조작하여 행위자에 따라 발생 가능성에 영향받는 정도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실험 3에서는 작위·부작위를 조작하여 행위자에 따라 작위·부작위에 영향받는 정도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실험 1에서 실험참여자들은 인간이 행위자인 딜레마 시나리오를 읽고 공리주의와 의무론 중 더 옳다고 생각하는 것을 선택하였고, 같은 시나리오와 질문에 행위자가 인공지능인 조건에도 응답하였다. 그리고 행위자에 따라 갈등을 느끼는 정도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갈등 정도를 평정하였다. 그 결과, 사람들은 인간보다 인공지능이 행위자일 때, 공리주의적 선택이 더 옳다고 응답하였고, 행위자가 인간일 때보다 인공지능일 때 낮을 갈등을 경험하였다. 실험참가자의 판단 근거를 질적으로 분석한 결과, 인공지능보다는 인간이 행위자일 때, 그리고 공리주의적 선택을 한 사람들보다 의무론적인 선택이 옳다고 응답한 사람들이 발생 가능성에 대해 더 많이 언급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응답은 행위자가 인공지능일 때보다 인간일 때 더 많이 관찰되었다. 실험 2에서는 실험 1에서 관찰된 발생 가능성을 높은 조건과 낮은 조건으로 조작하여 사람들이 행위자에 따라 발생 가능성에 영향을 받는 정도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실험참여자는 발생 가능성이 높은 조건 혹은 낮은 조건에 무작위 할당되었고, 인간이 행위자인 딜레마 시나리오와 인공지능이 행위자인 딜레마 시나리오를 읽고 공리주의와 의무론 중 더 옳은 것을 선택하였다. 그 결과 행위자가 인간일 때보다 인공지능일 때 더 많은 사람이 공리주의적 선택을 더 옳다고 판단하였다. 그리고 발생 가능성은 인간 행위자의 윤리적 선택을 판단할 때는 영향을 미쳤지만, 인공지능 행위자의 윤리적 선택을 판단할 때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 3에서는 딜레마 판단에 영향을 미친다고 알려진 부작위 편향이 인공지능 행위자의 윤리적 선택을 판단할 때도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참여자는 행위자(인공지능/인간)가 이미 윤리적 선택(공리주의/의무론)을 내린 상황에서 행위자의 판단이 작위 혹은 부작위로 이루어졌다는 내용이 기술된 시나리오를 읽고 인간 행위자의 선택이 얼마나 옳다고 생각하는지 그리고 수용할만하다고 생각하는지 응답하였다. 그 후, 같은 시나리오와 질문에 행위자가 인공지능인 조건에 응답하였다. 그 결과, 행위자와 작위·부작위 간 중요한 상호작용이 관찰되었다. 인간 행위자가 의무론을 선택했을 때, 사람들은 작위보다는 부작위일 때 더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하지만 인공지능 행위자의 딜레마 판단을 평가할 때는 놀랍게도 작위·부작위 간의 차이가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사람들이 인공지능 행위자의 윤리적 선택을 판단할 때 인간 행위자와는 다른 인지적 과정을 거친다는 것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사람들이 인공지능 행위자의 윤리적 선택을 판단할 때, 인간과는 다른 인지적 과정을 거친다는 새로운 시각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인간과 인공지능의 상호작용이나 인공지능 윤리를 연구하기 위해서는 기존에 인간 행위자를 대상으로 확인된 심리적 효과나 현상이 인공지능에게도 적용되는지 확인하는 연구보다는 인간과 인공지능을 서로 독립적으로 인식하고 연구해야 한다고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인간과 인공지능의 상호작용에 대한 이해와 다양한 영역의 인공지능 윤리지침 마련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AI and robots are moving beyond passive roles that increase productivity to autonomous learning and judgment capabilities, such as economic analysis, sentencing, and military actions. Despite these technological advances, there is little research on how humans think about and evaluate the actions and judgments of AI. In this study, we propose a new hypothesis that people use different cognitive processes when judging the ethical decisions of human and AI actors. Specifically, we predicted that people would use both fast thinking (system 1) and slow thinking (system 2) when judging the ethical decisions of human actors, but would use a single process, using only fast thinking (system 1), when judging the ethical decisions of AI actors. To test our hypotheses, we examined differences in the level of conflict across actors in Experiment 1 and manipulated high and low probability conditions in Experiment 2 to see if actors differed in the degree to which they were influenced by probability. In Experiment 3, we manipulated commission and omission to see if actors differed in the degree to which they were influenced by commission and omission. In Experiment 1, participants read dilemma scenarios in which humans were the actors and chose whether they thought utilitarianism or deontology was more correct, and responded to the same scenarios and questions in a condition in which the actor was an AI. We then rated the level of conflict to see if there was a difference in how conflicted people felt based on the actor. The results showed that people responded that the utilitarian choice was more correct when the actor was an AI than a human, and they experienced less conflict when the actor was an AI than when the actor was a human. A qualitative analysis of the participants' rationales for their judgments revealed that those who responded that the deontological choice was correct were more likely to mention about probability than those who responded that the utilitarian choice was correct. These responses were observed more when the actor was a human than when the actor was an AI. In Experiment 2, we manipulated the high and low probability conditions observed in Experiment 1 to see if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extent to which people were influenced by probability of occurrence depending on the actor.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either the high or low probability condition and read dilemma scenarios in which a human actor and an AI actor were asked to choose between utilitarianism and deontology. The results showed that more people judged the utilitarian choice as more correct when the actor was an AI than when the actor was a human. Furthermore, probability of occurrence was found to have an impact on the ethical choices of human actors, but not on the ethical choices of AI actors. In Experiment 3, we sought to determine whether the omission bias, which is known to affect dilemma judgment, also affects the ethical choices of AI actors. To do so, participants read a scenario in which an actor (AI/human) had already made an ethical choice (utilitarianism/deontology) and the actor's judgment was described as an act or omission, and responded to how correct and acceptable they thought the human actor's choice was. They then responded to the same scenario and questions in a condition where the actor was an AI. As a result, a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actor and commission-omission was observed. When the human actor chose deontology, people evaluated the act more positively than the omission. However, when evaluating the dilemma judgment of the AI actor, there was surprisingly no commission-omission difference. These results suggest that people go through different cognitive processes when judging the ethical choices of AI actors than human actors. This study sheds new light on the cognitive processes that people go through when judging the ethical choices of AI actors. This study suggests that in order to study human-AI interaction or AI ethics, we should recognize and study humans and AI independently of each other, rather than trying to determine whether psychological effects or phenomena previously identified for human actors apply to AI. This study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understanding the interaction between humans and A.I. and preparing ethical guidelines for AI in various fields. Key Word: Artificial intelligence, ethics, moral dilemma, utilitarianism, deontology, omission bias

      • 政策의 딜레마와 對應에 關한 硏究 : 放射性 中·低準位廢棄物 處分場 立地選定을 中心으로

        金相和 경기대학교 행정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942

        우리 나라의 전력의 거의 절반을 공급하고 있는 原子力發電은 放射性廢棄物(radioactive waste)이라는 부산물이 발생되고 이에 따른 中·低準位 放射性廢棄物 處分場(radioactive waste disposal system) 건설을 위한 立地選定은 시급한 政府의 政策課題이다. 그러나 과거 10여 년간 中·低準位 放射性廢棄物 處分場 建設을 위하여 정부는 여러 가지 政策代案으로 政策決定을 推進하였으나 政策의 漂流는 계속되고 있다. 이러한 政策의 漂流는 情報의 完全性이나 曖□性과는 相關없이 機會損失(opportunity loss)이 크기 때문에 代案의 選擇이 어려운 딜레마(dilemma)상황이다. 본 논문에서는 中·低準位 放射性廢棄物 處分場 立地選定 政策의 딜레마 상황과 政府의 政策對應(policy reaction)에 관한 硏究를 위하여 (1) 中·低準位 放射性廢棄物 處分場 立地選定 政策의 딜레마 상황을 딜레마 모형으로 분석하고, (2) 딜레마 상황에 처한 정책에 대한 政府의 政策對應을 분석하여, (3) 이 분석을 토대로 딜레마 模型의 有用性과 適實性을 確認하였다. 中·低準位 放射性廢棄物 處分場 立地選定 政策은 ‘80년대 후반 동해안 지역, ‘91∼‘93년 동해안과 전남지역, ‘90년 안면도, ‘95년 굴업도에 입지선정까지 정부의 일방적인 政策決定 方式과 誘致公募에 의한 政策決定 方式을 試圖하였으나 地域住民, 地方自治團體 그리고 環境團體 등의 강한 반대로 무산되었고, 정부의 일방적인 政策決定에 의한 강력한 추진도, 誘致公募에 의한 민주적 방법에 의한 결정도 機會損失의 收容領域(zone of acceptance)을 넘어서는 장기적 딜레마 상황에 처하게 되었다. 딜레마 상황에 처한 政府의 政策對應은 (1) 딜레마의 突破. 遲延과 非 決定 : ‘90년 안면도에 公權力을 動員한 强硬한 推進으로 딜레마의 突破를 試圖하였으나 積極的인 反對勢力의 反對로 政府는 政策을 留保하거나 非 決定을 하였다. (2) 資源擴張으로 딜레마 상황 탈출시도: ‘94년 施設周邊地域의 支援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여 후보지역에 대하여 지역개발과 지원 그리고 對 國民 理解事業 推進으로 處分場 選定 政策을 추진하였으나 무산되었다. (3) 問題의 재 규정(reframing)으로 딜레마 脫出: ‘97년 政策의 主管部處를 原子力硏究所에서 産業資源部로 轉換하고, 정책의 모든 과정을 투명하게 공개하고 地方自治團體, 地域住民의 意見을 충분히 反影하는 公募方式에 의한 政策의 推進方向을 發表하여 문제의 재 규정을 통한 딜레마 탈출을 시도하게 되었다. 딜레마 模型으로 中·低準位 放射性 廢棄物 處分場 立地選定 政策을 분석한 결과 딜레마 개념의 유용성으로 (1) 政策의 合理性에 의한 政策決定 模型으로는 설명할 수 없는 딜레마 상황을 이해하고 설명하는데 유용성을 발견할 수 있었고, (2) 政府의 政策이 漂流하거나 혼선을 초래하는 것은 政策決定者의 能力의 한계, 완전한 정보의 부재 등에서 발생되는 경우도 있지만 政策代案의 選擇은 딜레마 상황에서 비롯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딜레마 상황에 처한 政策問題는 딜레마 개념으로 문제를 接近해야 하며 合理性에 바탕은 둔 政策決定理論으로는 本質的으로 接近이 不可能하며 政策失敗의 惡循環을 되풀이 할 可能性이 높다. 장기 딜레마에 처해 있는 中·低準位 放射性廢棄物 處分場 立地選定 政策의 事例分析에서 기존의 政策決定理論으로는 분석이 불가능한 딜레마 상황을 발견할 수 있었고, 이러한 딜레마 모형을 통한 정책의 분석은 類似한 政策分析과 政策 對應에 시사점이 될 수 있는 의의를 지니며, 또한 딜레마 상황은 행정의 보편적인 현상으로 파악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It is a government's policy of urgency to make a decision a radioactive waste disposal system. The radioactive waste is a by - product in the process of the nuclear power planting that supplies an half the need of electric power in Korea. During the past 10 years, the policy to construct a radioactive waste disposal system has been drifted repeatedly in spite of all government's efforts. This policy is the dilemma situation that is difficult to select an alternative proposal because of big opportunity regardless of completeness and vagueness of information. The study on dilemma situation and countermeasure of the policy about a radioactive waste disposal system was to analysis: (1) dilemma situation by using dilemma model. (2) the countermeasure of government on the policy confronting with dilemma. (3) Through this analysis the value of a dilemma model was confirmed. From three districts in east cost 1988, Anmyon island in 1990, the east cost district during 1991-1993 and the cancellation of in Gulup island in 1995 as the site for disposal to the invitation policy in 1998, the government has tried to push forward selecting a radioactive waste disposal system, but it has not been decided confronting with the resistance of counterforce such as local governments, residents and environment groups. Unilateral policy or democratic policy for deciding a radioactive waste disposal site was ended in failure as it was over zone of acceptance of opportunity loss. Accordingly, the government has faced in a long-term dilemma . The countermeasures of government to escape from dilemma situation, were (1) to surmount, postpone and make a non-decision on the policy. In 1990, the government tried to push forward the plan mobilizing authority power, but made a decision not to set up the plan because of powerful resistance in Anmyon island. (2) to expand of resource. The government tried to persuade the residents and established a law for economic supporting to local resident in 1994. (3) to make a re-definition on the policy. The government are trying to push forward selecting a radioactive waste disposal system by opening to the public all the contents and invitation of the radioactive waste disposal policy. The result from the analysis with dilemma model in the policy on a radioactive waste disposal system is the usefulness of dilemma concept that are; (1) to understand and explain the dilemma situation that could not be explained in the policy decision theory by rationality. (2) to confirm that the cause of policy failure is not only limit of ability, absence of complete information, and etc., but also the dilemma situation in selecting alternative proposal. The policy problem in dilemma situation must be approached with the concepts of dilemma. It is impossible to approach essentially the problem with the policy decision theory on the basis of rationality. There is a possibility of the vicious circle of policy failure repeatedly. In this case study of a radioactive waste disposal system policy that has been faced in a long-term dilemma, it is found out the dilemma situation that is impossible to analysis with the policy decision theory on the basis of rationality. The policy analysis through the dilemma model suggests a new countermeasure and policy analysis in a similar policy. And it seems that the dilemma situation is a general phenomenon of administration.

      • 사회적 딜레마 상황에서 리더십 이론의 가능성에 대한 검토

        박성래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942

        좋은 정치적 질서라는 인류 보편적 목표를 위해 서구 전통은 제도의 역할을, 중국 전통은 도덕적 리더십의 역할을 각각 강조해왔다. 그러나 서구 전통의 관점이 중국 전통을 바라보는 관점은 동양적 전제주의의 경우에서 보듯이 우열과 대결의 관점이 상당한 영향력을 발휘해 왔다. 본 논문은 두 전통 사이의 대화와 상호학습이 가능하다는 비교정치이론의 관점에서 대화의 접촉점을 모색하려는 예비적 시도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 중 하나는 제도 중심의 서구 전통과 리더십 중심의 중국 전통을 한 단계 높은 일반화 수준에서 아우를 수 있는 이론적 틀을 마련하는 것이다. 이는 좋은 제도가 사회적 딜레마를 해결하고 공동선을 가져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상당 부분 이미 확립된 제도주의의 이론과 마찬가지로, 좋은 리더십이 사회적 딜레마 상황을 해결하고 공동선을 가져온다는 사회적 딜레마 상황에서 리더십 이론이 가능한가의 질문을 제기한다. 본 논문의 주장은 엘리너 오스트롬의 프레임워크가 제도 중심의 서구 전통과 리더십 중심의 중국 전통을 한 단계 높은 일반화 수준에서 아우를 수 있는 이론적 틀로서 적합하다는 것이다. 오스트롬의 프레임워크는 애초에 사회적 딜레마 해결 과정에서 제도의 역할을 분석하기 위한 목적으로 만들어졌으나 몇 가지 이유에서 리더십 등 다른 변수들을 포괄할 수 있는 개방성과 확장성을 가지고 있다. 첫째 오스트롬의 중심 개념인 다중심성은 변수들의 단순화를 추구하는 일반적인 서구 이론들과 달리, 다양한 변수들을 동시에 고려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사회적 딜레마 상황에서 제도와 리더십의 역할을 동시에 포착하는 이론적 틀로 적합하다. 주류 합리적 선택이론이 주로 정치과정의 시스템적 특성들을 설명하고자 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과는 달리, 오스트롬의 프레임워크는 다양한 상황적 맥락적 변수들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가령, 좋은 리더십은 상황과 맥락에 따라 있을 수도 있고 없을 수도 있는 대표적인 상황적 맥락적 변수이므로 주류 합리적 선택이론보다는 오스트롬의 프레임워크에서 파악하기 더 용이하다. 둘째, 오스트롬의 프레임워크는 인간 행동의 동기와 관련해 주류 합리적 선택이론이 가정하는 완전한 합리성 모델을 확대한 제한적 합리성과 제한된 도덕성 모델을 채택한다. 완전한 합리성 모델에서 파생된 주인/대리인 모델은 리더들을 공동체의 이익보다는 자신의 이익을 우선시하는 합리적 이기주의자의 틀 속에 가두어 놓음으로써 리더십 이론을 불필요하게 만든다. 그러나 오스트롬의 이론체계는 개인들을 제한적 합리성과 제한적 도덕성을 지닌 조건부적 협력자로 파악함으로써 사회적 딜레마 상황에서 리더의 도덕성이 할 수 있는 역할을 열어놓고 있다. 그러나 오스트롬의 프레임워크는 리더십 이론을 다루는 데 있어 두 가지 한계를 가지고 있다. 첫째, 사회적 딜레마 해결 과정에서 민주주의와 시민들의 역할을 강조하는 규범적 측면이 리더십 이론과 충돌한다. 둘째, 사회적 딜레마 해결을 위한 오스트롬의 처방은 주로 대면적 소통이 가능한 소규모 공동체에 적합하다는 비판이 있다. 로스타인은 여러 측면에서 오스트롬의 이론적 성과를 계승하고 있지만 오스트롬이 보여준 몇 가지 한계를 극복하고 사회적 딜레마 상황에서 리더십 이론을 본격적으로 모색한다. 첫째, 로스타인은 민주주의 자체보다는 정치체제가 산출하는 정부의 질에 주목하기에 민주주의라는 오스트롬의 규범적 한계에 구애 받지 않는다. 둘째, 로스타인은 사회적 딜레마 해결과정에서 신뢰와 상황적 맥락적 변수들에 주목하는 오스트롬의 접근방식을 소규모 공동체를 넘어 국가와 같은 대규모 공동체로 확장한다. 대면적 의사소통의 범위를 넘어선 대규모 공동체에서 오스트롬이 강조하는 대면적 신뢰는 ‘사회적 신뢰’로 확장될 필요가 있다. 즉, 국가 수준의 대규모 공동체에서는 다른 구성원들이 신뢰할 만한지 여부를 일일이 대면적으로 확인하는 것이 불가능하므로, 공동선을 가져오는 집합행동에 참여할지 여부를 판단해야 하는 개인들은 리더나 공직자의 도덕성을 휴리스틱으로 삼아 나머지 구성원들이 신뢰할 만한지 여부를 판단한다는 것이다. 로스타인은 역사적 사례 연구와 심리 실험을 통해 이에 대한 근거를 제시한다. 사회적 딜레마 상황에서 리더십 이론이 가능해진다면, 제도를 중시하는 서구 전통과 리더십을 중시하는 중국 전통 사이에서 대화의 접촉점이 마련됨으로써 대화를 통한 상호학습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 발달장애인 부모의 윤리적 딜레마에 관한 인식연구

        신선숙 나사렛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942

        발달장애인 부모는 혼자서 일상생활이나, 사회생활을 할 수 없는 발달장애인 자녀들을 돌보는 데 일생을 보낸다. 발달장애 부모는 자녀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양육 과정 중 여러 상황을 마주하게 된다. 이에 본 연구는 발달장애인 부모가 발달장애 자녀를 통해 경험하는 윤리적 딜레마와 이에 대한 대처방법을 탐색하는 것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18세 이상의 발달장애 자녀를 키우고 있으며 비장애 자녀도 함께 양육하고 있는 부모를 기준으로 연구 참여에 동의한 총 8명의 참여자를 확정하였다. 2019년 8월부터 9월까지 총 2개월간 인터뷰를 진행하였으며 참여자마다 1∼3차에 걸친 인터뷰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들을 대상으로 진행한 심층 면담을 통해 수집한 자료를 가지고 여섯 단계의 자료 분석 절차를 통해 분석하였다. 자료는 4가지 범주를 통해 13개의 주제로 도출되었다. 4가지 범주는 발달장애인 부모가 자녀를 양육하며 겪는 문제, 발달장애인 부모가 경험하는 윤리적 딜레마, 발달장애인 부모가 경험한 윤리적 딜레마의 대처 과정, 발달장애인 부모가 윤리적 딜레마 대처를 위해 필요한 방법으로 설정하였으며, 그에 따라 13개의 주제는 발달장애 진단과 심리적 경험, 발달장애 수용 경험, 발달장애 자녀를 양육하면서 겪었던 사건, 발달장애 자녀와 부모 사이의 윤리적 딜레마, 발달장애 자녀와 가족 사이의 윤리적 딜레마, 발달장애인 자녀와 사회에서의 윤리적 딜레마, 발달장애 자녀와의 현재와 미래에 대한 윤리적 딜레마, 윤리적 딜레마의 문제와 원인, 윤리적 딜레마 대처 경험, 윤리적 딜레마 대처 과정에서 도움 경험, 윤리적 딜레마 대처를 위한 개인적 방법, 윤리적 딜레마 대처를 위한 관계적 방법, 윤리적 딜레마 대처를 위한 사회적 방법으로 나타났다. 심층 인터뷰를 통해 나타난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통하여 발달장애인 부모들이 윤리적 딜레마 경험이 있음을 확인하였고, 윤리적 딜레마에 대해 어떻게 대처하고 있는지 대처 경험을 조사하였으며 이에 대한 방법이 필요하다고 파악되었다. 이를 통한 이 연구의 최종 결론은 다음과 같다. 먼저 발달장애인 부모가 자녀를 양육하면서 여러 문제를 겪고 있다. 발달장애인 부모들은 자녀가 발달장애를 진단받으면서부터 심리적 영향을 받고 자녀의 발달장애 판정 이후 발달장애를 수용하는 것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발달장애의 특성상 일상생활이 어려움에 따라 여러 상황적 문제를 경험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발달장애 부모들은 자녀를 양육하며 돌발적 행동을 하는 발달장애 자녀로 인해 혼자 둘 수 없어 계속 옆에서 돌봐야 하므로 극심한 스트레스와 소진을 겪고 있다. 다음으로 이러한 문제들에서 부모는 자녀에 대한 신체적, 정신적 학대, 현실 도피, 자녀 부정에 이르는 윤리적 딜레마를 경험하고 있다. 발달장애인 자녀와 가족 사이에서도 부부의 갈등으로 인해 이혼의 상황에 마주한 경험이 있으며 비장애 자녀와 자녀 장애 간의 갈등도 일어나는 것으로 보인다. 상대적으로 부모가 장애 자녀를 돌봄으로써 비장애 자녀는 박탈감과 소외감을 느끼게 되고 때로는 장애 형제를 부인하거나 미워하는 감정까지 느끼게 된다. 사회와의 관계에서 윤리적 딜레마는 더욱 심하게 나타나는데 사회적 편견으로 인한 색안경의 시선과 모욕과 불편함의 감정은 나아졌다고는 하나 아직도 여전히 계속되고 있다. 이로 인해 발달장애인 부모들은 힘든 현실에서 벗어나고 미래를 포기하고자 죽음이라는 극단적인 선택적 딜레마에 빠지기도 한다. 연구 참여자들은 여러 상황에서 발생하는 윤리적 딜레마의 발생 원인과 문제는 발달장애라고 밝히며 윤리적 딜레마 상황에 닥쳤을 때 부정적이고 소극적인 선택이 우선되었다고 이야기하고 있다. 경험한 윤리적 딜레마 상황에서 발달장애인 부모는 스스로 상황을 해결하거나 외부 전문가나 종교의 도움을 대처하고 있다고 밝혔다. 발달장애인 부모의 윤리적 딜레마 대처방법으로는 부모 스스로 발달장애에 대한 교육적 지식과 심리 상담 같은 것을 통해 스스로 스트레스와 소진을 막아야 하며, 가족 역시 발달장애 지식과 함께 장애 형제로 인해 비장애 형제가 받는 정서적 감정들을 이해하고자 노력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사회적 방법은 전문 인력을 양성하고, 발달장애 부모를 위해 정부, 지자체의 지원과 시설의 확충 같은 자원의 필요성이 강조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지역적 확대와 발달장애인 자녀의 다양한 연령층을 연구하고 또한 자폐성 장애와 지적장애 그리고 발달장애의 다양한 특성을 가진 대상자를 선정하여 후속 연구에서는 발달장애인 부모의 윤리적 딜레마에 대한 의미를 더욱 다양한 관점에서 이해하여 심층적 연구가 되길 제언한다.

      • 인권 딜레마 토론 수업이 법적관용성에 미치는 영향

        김경래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942

        현재 한국사회는 여성혐오, 지역 간 혐오, 세대 간 혐오, 타 인종에 대한 혐오 등 특정 집단을 타자화하여 혐오의 정서를 표출하는 분위기가 팽배해있다. 이러한 혐오 정서에 기반한 사회적 갈등 상황은 제도적 방책보다 사회구성원 간의 근본적인 신뢰의 형성이 선행되는 것이 중요하다. 즉, 사회적 갈등의 해결이 상대방에 대한 이해와 배려에서 출발해야 한다는 것으로, 이는 관용이라는 사회문화적 요소로 설명이 가능하다. 이러한 관용은 사람들 간의 권리의 평등성을 전제로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각자의 자유를 존중하는 것으로 개인의 자유와 권리에서 논의가 시작된다. 그리고 권리 담론이 정치, 사회, 문화 등 다양한 영역으로 확장됨에 따라 관용 개념은 도덕적 관용, 사회문화적 관용, 정치적 관용 등 다양한 분류로 나뉘기 시작하였다. 관용 수준을 향상시키는 가장 핵심적 요인으로 언급되는 교육 영역에서도 이러한 변화양상이 반영되었으며, 각 교과 영역에서도 관용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가 이루어지기 시작하였다. 사회과에서는 정치적 관용과 법적관용성 개념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왔다. 이 중 사회과 법교육의 중요한 목표로서 제시한 법적관용성은 다원성에 대한 제도적 변화가 시민들의 의식적 변화보다 선행한 우리나라에서 혐오집단에 까지 기본권의 범위를 확장시키기 위한 기초적 개념으로서 그 중요성이 대두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법적 관용성을 “학생들이 싫어하는 사람이나 집단에게까지 기본권을 확대·적용하고자 하는 심리적 경향”으로 정의하였다. 본 연구는 법적관용성을 함양하기 위한 내용, 방법 측면에서 구체적인 교수-학습 방안을 제시하는 연구로서, 인권 딜레마 토론 수업이 법적관용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와 같은 연구 문제를 확인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였다. 주 가 설 : 인권 딜레마 토론 수업은 인권 설명식 수업보다 법적관용성을 향상시킬 것이다. 보조가설 1 : 인권 딜레마 토론 수업은 인권 설명식 수업보다 신체의 자유에 해당하는 법적관용성을 향상시킬 것이다. 보조가설 2 : 인권 딜레마 토론 수업은 인권 설명식 수업보다 사생활의 자유에 해당하는 법적관용성을 향상시킬 것이다. 보조가설 3 : 인권 딜레마 토론 수업은 인권 설명식 수업보다 사회·경제적 권리에 해당하는 법적관용성을 향상시킬 것이다. 보조가설 4 : 인권 딜레마 토론 수업은 인권 설명식 수업보다 정치적 권리에 해당하는 법적관용성을 향상시킬 것이다. 이와 같은 연구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서울, 경기, 인천 지역에 소재한 5개 학교를 대상으로 학교당 2개의 학급에 각각 인권 딜레마 토론 수업과 인권 설명식 수업을 처치하고 사전·사후 설문을 진행하였다. 이렇게 수집된 설문 중 최종적으로 유효하게 측정된 응답한 총 293명의 응답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인권 딜레마 토론 수업이 법적관용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인권 딜레마 토론 수업은 설명식 수업보다 법적관용성 함양에 효과적이라는 본 연구의 주 가설을 채택하였다. 또한 세부가설인 신체의 자유, 사생활의 자유, 사회·경제적 권리, 정치적 권리에 대한 법적관용성이 모두 수업 방법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즉, 인권 딜레마 토론 수업의 효과가 나타났다. 독립변수인 수업 방법 이외에 통제변인인 성별, 연령, 종교, 학업성취도 중 연령이 법적관용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사회인지이론 역시 발달수준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연령이 주요한 요인으로서 작용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성별, 종교, 학업성취도는 법적관용성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혐오집단을 규정하는데 있어서 연구참여자들의 응답에서는 성별이 중요한 의미를 가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현재 사회적으로 여성혐오에를 비롯한 특정 성별에 대한 혐오 담론이 확산되고 있는 경향과 흐름을 함께한다. 이와 같은 다중회귀분석 결과를 통해 인권을 포함한 권리의 영역은 법적, 도덕적 딜레마 상황을 제시하여 토론식 수업을 적용하는 것이 법적관용성 함양에 효과적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본 연구에서의 논의를 통해 학교 현장에서 인권 교육의 내용, 방법, 수업자료 측면에서 보다 다양한 논의들이 확장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